KR20170045645A -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645A
KR20170045645A KR1020150145573A KR20150145573A KR20170045645A KR 20170045645 A KR20170045645 A KR 20170045645A KR 1020150145573 A KR1020150145573 A KR 1020150145573A KR 20150145573 A KR20150145573 A KR 20150145573A KR 20170045645 A KR20170045645 A KR 20170045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heat insulating
thickness
wall
insulat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069B1 (ko
Inventor
송명섭
김대환
김민수
최진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5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069B1/ko
Priority to PCT/KR2016/011308 priority patent/WO2017069440A1/ko
Priority to US15/769,687 priority patent/US10533697B2/en
Priority to EP16857698.1A priority patent/EP3336466A4/en
Priority to CN201680061230.6A priority patent/CN108139142B/zh
Publication of KR2017004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8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foi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Y02B40/3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1Filled with gas other than air; or unde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단열성능을 유지하면서 두께를 얇게하여 저정실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초박벽형 단열벽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단열벽의 단열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단열벽 내측으로 진공단열재가 배치되고 진공단열재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은 발포재의 두께를 진공단열재가 배치된 부분보다 두껍게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조박벽 형상의 단열벽을 유지하면서 단열성능을 유지하는 단열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진공단열재가 배치되지 않는 단열벽의 모서리 영역에 보조 진공단열재를 추가로 배치하여 냉장고 전체의 단열성능을 유지하면서 초박벽형 단열벽을 형성하여 단열벽의 전체 두께를 축소시켜 저장실의 용량을 증가시키고 냉장고의 슬림한 디지안을 가능하게 하여 냉장고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REFRIGERATOR AMD PRODUCING METHOD OF SAME}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벽을 가진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소비하는 에너지는 한정적이고, 이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온난화는 에너지 위기와 함께 인류가 가진 가장 큰 문제이다. 이에 따라 각국의 에너지 규제는 나날이 강화되고, 가전제품에 대한 에너지 등급제는 제조사가 안고 있는 영원한 숙제이다. 적은 에너지로 최대의 효율을 요구하는 정부의 에너지 등급제는 높은 내용적량과 낮은 소비전력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잘 부합한다. 특히, 냉장고에 대하여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냉각사이클 및 압축기, 열교환기 등의 효율 향상 연구는 이미 한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최근에는 열손실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냉장고의 단열성능을 강화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는 열전도도가 약 20mK/m·K이고, 이를 사용할 경우 냉장고 단열벽의 두께가 두꺼워져 냉장고의 저장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단열성능을 가지는 진공 단열재의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의해 진공 단열재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발포재를 통해 냉장고의 단열벽을 형성할 수 있는데 단열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단열벽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냉장고의 저장 용략을 늘리기 위해 단열벽 내부의 진공 단열재와 발포재의 효율적인 배치가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열성능을 유지하면서 단열벽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단열재와 발포재를 포함하는 구간간에 두께가 다른 단열벽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발포재가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발포액을 발포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보조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개구를 가지고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상과 두께를 가지도록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벽은 상기 개구에서 연장되는 제 1단열벽과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단열벽과 만나는 제 2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단열벽은 상기 개구와 인접한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서 상기 제 2단열벽을 향해 연장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의 두께보다 두껍다.
또한 상기 단열벽은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와 상기 공간에 발포되어 형성되는 발포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가 배치되지 않는 제 1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개구와 제 1영역의 일측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은 상기 제 1부분에서 조립된다.
또한 상기 제 1부분에서 형성되는 최대 두께는 상기 제 1단열벽의 최대 두께이다.
상기 제 1부분은 30mm에서 55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발포재가 함께 배치되는 제 2부분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제 1부분과 인접한 일측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과 인접한 타측의 두께보다 두껍다.
또한 상기 제 2영역은 모든 구간에서 상기 진공단열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영역에서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5mm 에서 10mm 사이다.
상기 제 1영역에서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에서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보다 두껍다.
또한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의 사이의 두께의 차이는 상기 내상의 단차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단열벽은 상기 저장실을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하도록 상기 저장실 내측에 마련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서의 단차는 상기 냉장실측 또는 냉동실측 중 적어도 일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벽은, 상기 제 1단열벽과 상기 제 2단열벽이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3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영역과 상기 제 1단열벽이 만나는 부분에서의 상기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발포재의 최소 두께와 적어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3영역과 상기 제 2단열벽이 만나는 부분에서의 상기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발포재의 최소 두께와 적어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3영역은 상기 저장실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에는 보조 진공 단열재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보조 진공 단열재는 상기 제 1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 측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보조 진공 단열재는 상기 제 1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 1단열벽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진공단열재 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3영역을 형성하는 외상의 내측에는 보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 진공단열재와 상기 보강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제 1영역에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보다 두껍다.
본 발명에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개구를 가지고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상과 두께를 가지도록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와 발포재를 포함하는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벽은 상기 개구에서 연장되는 제 1단열벽과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단열벽과 만나는 제 2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단열벽은, 상기 개구와 인접한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서 상기 제 2단열벽을 향해 연장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 상에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 상에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보다 두껍다.
또한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가 배치되지 않는 제 1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개구와 상기 제 1영역의 일측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부분에서 형성되는 최대 두께는 상기 제 1단열벽의 최대 두께이다.
또한 상기 제 1부분은 30mm에서 55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발포재가 함께 배치되는 제 2부분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의 두께보다 두껍다.
또한 상기 제 2영역은 모든 구간에서 상기 진공단열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영역에서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5mm 에서 10mm 사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전면에 개구를 가지고 내상 및 외상을 포함하는 본체와 두께를 가지도록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내측으로 진공단열재와 발포재를 포함하는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벽은, 상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 1단열벽과 상기 본체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 2단열벽과 상기 제 1단열벽과 상기 제 2단열벽이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모서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영역과 상기 제 1단열벽 또는 상기 제 2단열벽이 만나는 부분에서의 상기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발포재의 최소 두께와 적어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모서리영역은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보조 진공 단열재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 진공 단열재는 상기 제 1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 또는 상기 제 2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 내측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보조 진공 단열재는 상기 제 1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 및 상기 제 2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을 기준으로 상기 상기 제 1단열벽 및 상기 제 2단열벽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진공단열재 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개구를 가지고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을 커버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과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진공단열재와 발포재를 포함하는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벽은 상기 개구에서 연장되는 일단을 포함하는 제 1단열벽과 상기 제 1단열벽의 타단과 만나고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단열벽은, 상기 제 1단열벽의 일단을 포함하는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서 상기 제 2단열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 2영역에서 모든 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단열벽은, 상기 제 1단열벽과 상기 제 2단열벽이 만나는 부분에서 마련되는 제 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영역은 상기 저장실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보조 진공단열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기 보조 진공단열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진공단열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단열벽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3영역 상에서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내상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 또는 상기 제 2단열벽 상에서 마련되는 상기 발포재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개구를 가지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상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서 연장되는 제 1단열벽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 1단열벽과 만나는 제 2단열벽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단열벽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개구와 인접한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서 상기 제 2단열벽을 향해 연장되는 제 2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의 두께보다 두껍다.
또한 상기 내상을 절곡하여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를 상기 제 2영역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내상과 마주하는 상기 외상의 일면에 진공단열재를 부착한다.
또한 상기 단열벽 내부 공간에 발포재를 발포하고, 상기 제 2영역에서의 상기 진공달열재와 상기 내상 사이에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5mm 에서 10mm 사이가 되도록 발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열벽 내부의 대부분의 공간에 진공단열재를 배치하고 발포재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도록 발포액을 발포하여 두께가 얇은 단열벽을 형성함에 따라 단열성능을 유지하면서 진공단열재가 배치되는 않는 부분은 발포재를 두껍게 형성하고, 단열벽의 모서리 영역에 보조 진공단열재를 배치하여 냉장고의 전체적인 단열성능을 유지하여 냉장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벽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상에서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벽의 두께를 구하기 위한 조건들을 도식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의 외측에서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벽의 두께를 계산한 도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외측에서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벽의 두께를 계산한 도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의 일부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내측으로 발포액의 흐름에 대한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의 일부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의 일부 확대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의 일부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의 일부 확대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전방, 전면', '후방, 후면', '상측', '하측'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부, 즉 도 1에서 전면을 향하는 측을 기준으로 기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벽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40)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50)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벽(100)을 포함하며,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C)와, 응축기(미도시)와, 팽창밸브(미도시)와, 증발기(26)와, 송풍팬(2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단열벽(100)의 내부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진공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 VIP)(200)와 내상(40)과 외상(50) 사이에 발포되어 형성되는 발포재(210)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압축기(C)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70)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격벽(16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며, 본체(10)의 우측에는 냉장실(21)이 마련되고, 본체(10)의 좌측에는 냉동실(22)이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21) 및 냉동실(22)은 각각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며,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도어가드(35)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에는 복수의 선반(24)이 마련되어 저장실(20)을 복수 개로 구획할 수 있으며, 선반(24)의 상부에는 음식물 등의 물품이 적재된다.
또한, 저장실(20)에는 복수의 저장박스(25)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도어(3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벽(100)은 전방으로 형성되는 개구(15)를 포함하고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동시에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열벽(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상(40)과 내상(40)의 외측에서 내상(40)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외상(50)에 의해 형성되나, 이에 한하지 않고 내상(40) 또는 외상(5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단열벽(100)은 본체(10)을 측면을 이루며 개구(15)에서부터 냉장고(1)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 1단열벽(110)과 제 1단열벽(110)과 본체(10)의 후측에서 만나고 본체(10)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 2단열벽(15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외상(50)의 상면(51), 좌측면(52) 및 우측면(53)이 제 1단열벽(110)을 형성하며, 외상(50)의 후면(54)이 제 2단열벽(15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열벽(100)은 저장실(20) 내부에서 냉장실(21)과 냉동실(22)을 구획하는 격벽(16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60)은 내상(40)에 의해 형성되며 단열벽(100)과 동일하게 진공단열재(200)와 발포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100)은 일정한 단열성능을 확보하여 저장실(20)의 열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냉장고(1) 전체의 강성을 유지하기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단열벽(100)은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상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만 단열벽(100)의 두께가 단열성능과 강성을 고려하여 너무 두껍게 마련되는 경우 저장실(20)의 용량이 축소되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성능과 강성을 유지하는 범위안에서 저장실(20)의 저장용량을 최대화시키기 위해 단열벽(100)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상(40) 과 외상(50)의 사이에는 단열성능이 뛰어난 진공단열재(200)와 내상(40)과 외상(50) 사이에 형성되는 발포공간(S)에 발포되어 형성되는 발포재(210)가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발포재(210)가 형성되는 두께가 5mm에서 10mm사이에서 형성되게 하여 단열벽(100)를 두께가 얇은 초박벽의 형태로 형성하는 동시에 진공단열재(200)를 외상(50)의 이루는 면 즉, 외상(50)의 상면(51)과 양 측면(52,53) 및 후면(54)에 모두 배치시켜 단열성능을 확보하도록 단열벽(100)을 형성할 수 있다.
발포재(210)는 내상(40)과 외상(50) 사이에 충진되는 발포액에 의해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냉장고(1)의 제조 과정에서 내상(40)과 외상(50)이 조립된 후 기계실(70)을 커버하는 기계실 커버(71)상에 마련되는 발포액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발포액이 내상(40)과 외상(50) 내측으로 발포된다.
즉, 제 2단열벽(150)의 일측에 마련되는 발포액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발포액이 유동되어 제 2단열벽(150)의 외곽측까지 흐르고 제 1단열벽(110)의 내측까지 발포액이 흘러들어 충진될 수 있다.
발포액은 진공단열재(200)가 위치하지 않는 발포공간(S)으로 유동되어 충진되면서 단열벽(100)의 내부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진공단열재(200)가 외상(50)에 접하게 마련되는 경우 발포공간(S)은 주로 진공단열재(200)와 내상(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초박형 단열벽(100)을 형성하기 위해 단열벽(100)의 내부에서 발포재(210)가 형성되는 두께는 5mm에서 10mm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발포액이 유동되는 발포공간(S)의 두께, 즉 진공단열재(200)와 내상 사이의 거리가 이와 같이 형성되어 발포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포액을 발포공간(S) 전체로 고르게 충진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개선된 진공단열재(200)의 배치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초박벽 형태의 단열벽(100) 상에 마련되는 진공단열재(200)는 외상(50)의 내측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발포액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함이며, 나아가 단열벽(100)의 두께를 얇게 마련되게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진공단열재(200)는 도 2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51)과 좌측면(52)과 우측면(53) 및 후면(54)에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단열벽(110) 및 제 2단열벽(150)에 모두 진공단열재(200)와 발포재(21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진공단열재(200)는 내상(40)의 내측에도 부착될 수 있다. 다만 내상(40)은 저장실(20)을 형성하기 때문에 저장실(20)의 형상에 따라 다소 많은 굴곡부 또는 요철을 포함하여 진공단열재(200)와 접하는 면이 외상(50)에 비해 많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내상(40)에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는 경우 외상(50)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외상(50)이 본체(10)의 외관 형상으로 가공되기 전에 플레이트 형상에서 진공단열재(200)가 부착된 후 본체(10)의 외관 형상으로 외상(50)이 가공될 수 있어 냉장고(1)의 제조 공정이 용이해지며 외상(50)이 내상(40)에 조립되기 전에 진공단열재(200)가 부착되어 역시 냉장고(1)의 제조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조 공정 상으로 볼 때, 진공단열재(200)는 외상(50)이 절곡의 형상을 가지기 전인 플레이트 형상일 때 외상(50)의 내상(40)과 마주하게 될 일면에 접착된다. 이 후 내상(40)의 형상과 외상(50)이 절곡되면서 내상(40)의 형상과 같이 가공될 수 있다.
내상은(40)은 개구(15)를 포함하며 저장실(20)을 형성하도록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내상(40)의 외측면에는 상술한 외상(50)이 배치되고 조립되어 단열벽(100)을 형성하게 된다.
내상(40)의 제 1단열벽(110)에 대응되는 구간은 후술할 단차부(43)에 의해 절곡된 구간을 가지게 되고 이 절곡된 구간에 의해 제 1단열벽(110) 제 1영역(120)과 제 2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상(40)의 단차부(43)는 외상(50)과 조립되기 전에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내상(40)과 외상(50)이 조립되는 공정이 끝나고 내상(40)과 외상(50) 사이의 공간 즉, 단열벽(100)의 내부에는 발포재(210)를 충진시킬 수 있다.
즉, 단차부(43)를 포함하도록 가공된 내상(40)과 진공단열재(200)가 부착된 외상(50)이 조립되고 이 후 내상(40)과 외상(50) 사이의 공간에 발포재(210)가 발포되는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격벽(160)의 경우 내상(40)으로만 형성되는 바 격벽(160)을 형성하는 마주하는 내상(40)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진공단열재(200)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진공단열재(200)가 부착된 후 나머지 격벽(160) 내측 공간은 발포재(210)가 형성되며, 특히 진공단열재(200)와 내상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5mm~10mm의 두께로 발포재(210)가 형성될 수 있어 저장실(20)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단열벽(110)에 배치되는 진공달열재(60)은 상면(51) 및 측면(52,53)에 배치되고 개구(15)에서 연장되는제 1단열벽(110)의 일단(111)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 1단열벽(110)의 일단(111)에서는 외상(50)과 내상(40)이 조립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일단(111)에서는 외상(50)과 내상(40)에 각각 마련되는 외상 플렌지(50a)와 내상 플렌지(40a)가 결합될 수 있다.
외상 플렌지(50a)와 내상 플렌지(40a)는 제 1단열벽(110) 내측으로 연장되어 일단(111)에서 제 1단열벽(110) 내측 방향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외상 플렌지(50a)와 내상 플렌지(40a) 사이에는 핫파이프(250)가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단(111) 측에는 진공단열재(200)와 발포재(210) 외 다른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단열벽(110) 내측으로는 상술한 구성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단(111)과 인접한 제 1단열벽(110)의 영역에는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지 않으며, 발포재(210)가 형성되는 두께가 더 두꺼워 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열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상에서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벽의 두께를 구하기 위한 조건들을 도식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의 외측에서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벽의 두께를 계산한 도표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외측에서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벽의 두께를 계산한 도표이다.
도 6을 참고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단열벽(110)의 일단(111)은 외상(50)의 상면(51) 측면(52,53)이 이와 대응되는 내상(40)과 조립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일단(111)의 일부는 외상(50)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부는 내상(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벽(100)의 외측을 형성하고 일단(111) 측으로 연장되는 외상(50)의 전면부(50')와 단열벽(100)의 내측을 형성하고 일단(111) 측으로 연장되는 내상(40)의 전면부(40')가 일단(111)에서 결합되어 단열벽(100)을 형성할 수 있다.
내상(40)의 전면부(40')에서 연장되는 내상 플렌지(40a)와 외상(50)의 전면부(50')에서 연장되는 외상 플렌지(50a)가 일단(111)에서 포개지면서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플렌지(40a, 50a)는 제 1단열벽(110)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플렌지(40a, 50a)가 결합되면서 생기는 공간에는 핫 파이프(250)가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단(111)과 인접한 제 1단열벽(110)의 내측으로는 내상 플렌지(40a)와 외상 플렌지(50a) 및 핫 파이프(250)와 같은 구성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 상술한 구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의 단열벽(100)은 초박벽 형태로 형성되는 바 일단(111)과 인접한 제 1단열벽(110) 내측으로 공간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단(111)과 인접한 제 1단열벽(110)의 영역에는 진공단열재(200)를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지 않아 일단(111) 내측으로 외상 플렌지(50a)와 내상 플렌지(40a)가 조립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진공단열재(200)의 단열성능은 발포재(210)의 단열성능보다 뛰어나므로 진공단열재(200)가 포함되지 않는 일단(111)과 인접한 제 1단열벽(110)의 영역에는 단열성능의 문제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저장실(20)의 내부온도가 단열벽(100)에 전달되어 단열벽(100)의 외측 즉 외상(50)의 온도가 저하되고 외상(50)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일단(111)의 경우, 개구와 인접하고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외기와 일시적으로 개방되었다가 폐쇄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힛 브릿지(Heat Bridge)가 발생할 수 있다.
일단(111) 및 일단(111)과 인접한 제 1단열벽(110)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결로 현성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단열성능을 확보해야 하는데, 단열벽(100) 내측으로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발포재(210)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단열벽(100)의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발포재(210)의 두께(D1)가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는 공간의 두께(D5)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전체 단열벽(100)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열벽(110)은 일단(111)에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에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지 않은 제 1영역(120)과 제 1영역(120)에서 제 2단열벽(150)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영역(120)의 두께(D1)보다 얇은 두께(D2,D3)를 가지는 제 2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의 단열벽(100)은 전체적으로 초박벽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 1영역(120)을 제외한 제 2영역(130) 및 제 2단열벽(150)에는 진공단열재(200)와 5mm에서 10mm사이의 얇은 두께(D2,D3)를 가지는 발포재(210)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1영역(12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의 확보를 위해 제 1영역(120) 내측으로 진공단열재(200)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고, 일단(111)측에서 힛 브릿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단열재(200)의 단열성능을 대체하기 위해 두껍게 형성되는 발포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단열벽(100)은 초박벽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제 1영역(120)의 두께(D1)는 단열성능이 유지되면서 최소한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최소의 두께(D1)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단열벽(100)의 최소 두께(D1)는 하기의 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에서 은 외부 온도, 는 외상(50)의 표면 온도, 는 외상(50)의 표면 열전달계수, 은 내상(40)의 표면 온도, 는 저정실(20)의 내부 온도, 는 내상(40) 표면의 열전달 계수이고 L 은 제 1영역(120)의 두께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표를 참고할 때, 냉장실(21)과 냉동실(22)과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 1영역(120)의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 최소 두께(D1)는 상기 식에 대입할 때 각각 30mm 와 54m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영역(120)의 두께(D1)는 대략 30mm에서 60mm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벽(100)에서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지 않은 발포재(210)만으로 형성되는 단열벽(100) 구간에서만 필요한 최소 두께(D1)이며,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는 경우 진공단열재(200)의 단열성능이 뛰어나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는 단열벽(100)의 두께(D2,D3)는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단열성능을 유지하면서 단열벽(100)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저장실(20)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는 단열벽(100) 측 두께(D2,D3)는 대략 30m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냉장실(21) 측에 마련되는 제 2영역(130)의 두께(D2)는 20mm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9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냉동실(22) 측에 마련되는 제 2영역(130)의 두께(D3)는 30mm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6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격벽(160)에 마련되는 제 1영역(120)의 경우에도 30mm 에서 55mm 사이의 두께(D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영역(130)의 두께(D4)는 30m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 1영역(120)과 제 2영역(130)의 두께의 차이는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내상(40)의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상(50)은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직육면체의 케이징 형태로 형성되며, 단열벽(100)의 두께 차이는 외상(50)과 대응되는 내상(40)과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내상(40)은 내상(40)의 연장되는 길이방향과 수직 또는 다른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43)는 제 1영역(120)과 제 2영역(130)이 구분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제 1영역(120)과 제 2영역(130)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즉 제 1영역(120)과 제 2영역(130)은 단차부(43)에 의해 영역이 구획될 수 있다.
단차부(43)에 의해 두께가 증가하고, 제 1단열벽(110)의 일단(111)에서부터 단차부(43)까지의 영역을 제 1영역(120)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단차부(43)에서부터 제 2단열벽(150)과 만나는 제 1단열벽(110)의 영역을 제 2영역(130)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43)는 제 1단열벽(110)이 연장되는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단차부(43)에서부터 일단(111)까지의 영역은 제 1영역(120)으로 정의되고 단차부(43)에서부터 일단(111)까지 일정한 두께(D1, 30mm~5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부(43)에서 제2 단열벽(150)과 만나는 구간까지의 영역은 제 2영역(130)으로 정의되고 역시 일정한 두께(D2,D3, 10mm~30mm)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단차부(43)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단차부(43)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자세히 서술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차부(43a,43b,43c,43d)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할 때 제 1영역(120)에는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지 않는 제 1부분(113)과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는 제 2부분(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분(113)은 제 1영역(120)에서 실질적으로 내상(40)과 외상(50)이 조립되는 부분이고, 핫 파이프(25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단열벽(100) 내측으로 일정 크기의 공간이 필요한 부분이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이다.
따라서 제 1부분(113)은 제 1단열벽(110) 상에서 두께(D1)가 가장 두꺼운 부분이고, 제 1부분(113)의 두께(D1)가 최대가 되는 부분이 제 1단열벽(100)의 최대 두께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부분(114) 상에는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부분(114)는 제 2영역(130)과 같이 초박벽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 1부분(113)과 제 2영역(130) 사이의 완충부분으로 볼 수 있어 그 두께가 제 2영역(130)의 두께(D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부분(114) 상에서는 상술한 단차부(43)가 마련되어 제 1영역(120)과 제 2영역(130)이 구분될 수 있다. 단차부(43)에 의해 발포재(210)의 두께가 변화되어 이에 따른 단열성능이 변하게 되므로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는 부분에 마련되게 하여 단열벽(100)의 단열 성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부(43)는 제 1단열벽(110)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1영역(120)과 제 2영역(130)을 구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43)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43a)는 제 1단열벽(110)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나 단차부(43a)가 절곡되는 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43b)는 라운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단차부(43b)는 제 2영역(130)에서부터 저정실(20) 내측으로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제 1영역(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43c)는 사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단차부(43c)는 제 2영역(130)에서부터 저장실(20) 내측방향을 향하는 사선 형상으로 제 1영역(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43d)는 복수의 단차를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즉, 단차부(43d)는 저장실(20) 내측으로 향하는 계단 형식으로 마련되어 제 2영역(130)과 제 1영역(1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격벽(160)에 마련되는 제 1영역(120)에 대하여 자세히 서술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격벽(160)에 마련되는 제 1영역(120)과 내상면(40') 구성 이외 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60)에 마련되는 제 1영역(120)은 내상(40)에 의해 마련되며 마주하는 내상(40) 중 어느 하나가 저장실(20)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제 1영역(120)의 두께(D1)를 확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격벽(160)에 마련된 제 1영역(120)을 형성하는 내상 중 냉동실(22)측에 마련되는 내상면(40')이 냉동실(22)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 1영역(120)의 두께가 제 2영역(130)에 대해 증가될 수 있다.
즉, 제 1영역(120)과 제 2영역(130)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가 냉동실(22) 내측에서 발생하며 이에 따라 단차부(43)도 냉동실(22)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단차부(43)의 위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43)는 냉장실(2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격벽(160)에 마련되는 제 1영역(120)을 형성하는 내상 중 냉장실(21)측에 마련되는 내상면(40')이 냉장실(21)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 1영역(120)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43)는 복수로 마련되어 냉장실(21)과 냉동실(2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영역(120)을 형성하는 한 쌍의 내상면(40')이 각각 배치되는 냉장실(21)과 냉동실(22) 측으로 돌출되어 제 1영역(120)의 두께가 두꺼워 질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영역(120)은 제 2영역(130)과 동일한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격벽(160)은 일단(111)측 이외에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격벽(160) 상에 마련되는 제 1영역(120)은 외기와 접하는 상면(51) 좌우측면(52,53) 상에 마련되는 제 1영역(120)의 두께보다 얇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영역(110a)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영역(110a)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제 1영역(120)과 제 2영역(130)은 두께 차이를 두어 제 1영역(120)과 제 2영역(130)의 단열성능을 유지하게 한다.
단열벽(100a)의 전체적인 단열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영역(110a)과 제 2영역(130)의 두께는 유지하면서 제 1영역(110a)과 제 2영역(130)에 발포되어 형성되는 발포재(210)의 두께의 차이로만 전체적인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영역(120)의 두께(D1)은 제 2영역(130)의두께(D2,D3)보다 두꺼워 두께가 증가한 만큼 개구의 크기가 줄어들고, 제 1영역(120)에 대응되는 측의 저장실(20)의 용량은 증가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210)보다 단열성능이 우수한 발포재(210)를 사용하여 제 1영역(110a)과 제 2영역(130)의 두께(D1,D2,D3,D4)가 유지되더라도 내측에 배치되는 발포재(210)의 두께 차이에 의해 전체적인 단열벽(100a)의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단열벽(110)과 제 2단열벽(150)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 3영역(18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내측으로 발포액의 흐름에 대한 개략도이다.
제 1단열벽(110)과 제 2단열벽(150)은 본체(10)의 후측면에서 만나면서 직육각형 형태의 단열벽(100)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단열벽(110)은 상면(51)과 좌측면(52), 우측면(53)에서 각각 후면(54)과 접하면서 제 2단열벽(150)과 만나게 된다.
이 때 제 1단열벽(110)과 제 2단열벽(150)이 만나는 부분 중 좌측면(52) 및 우측면(53)과 후면(54)이 만나는 지점에는 제 3영역(180)이 형성될 수 있다.(도 4참고)
제 3영역(180)은 측면(52,53)과 후면(54)이 만나는 측의 모서리부(55)을 형성하는 바 모서리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 3영역(180)은 제 1단열벽(110)과 제 2단열벽(150)이 만나는 지점이며 외상(50)과 내상(40)이 절곡을 이루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단열벽(100)을 이루는 외상(50)은 단일개의 플레이트가 가공을 통해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절곡되는데 외상(5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절곡되는 부분의 내측으로 보강부재(24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3영역(180)의 내측으로는 절곡되는 모서리 부분(55)과 대응되는 절곡형상을 가진 보강부재(240)가 마련되어 외상(50) 및 전체적인 단열벽(10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단열벽(110) 및 제 2단열벽(150)에 배치되는 각각의 진공단열재(200)는 좌우측면(52,53) 및 후면(54)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각각 모서리부분(55)과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게 마련되고, 보강부재(240)는 각각의 진공달열재(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제 1단열벽(110) 및 제 2단열벽(150)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에 의해 외부측으로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저장실(20)의 모든 구간이 진공단열재(200)에 의해 커버되지는 못하기 때문에 저장실(20)의 일부 영역은 외부와 저장실(20) 사이에 진공단열재(200)가 배치되지 않아 단열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술한 보강부재(240)가 마련되는 구간에는 진공단열재(200)가 외상(50)에 부착될 수 없어 보강부재(240)가 위치되는 구간측은 진공단열재(200)에 의해 저장실(20)을 커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진공단열재(200)에 의해 단열 성능이 유지되는 구간(A)을 확장하기 위해 제 3영역(180)에는 내상(4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조 진공단열재(2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3영역(180)의 외상(50) 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부재(240)가 마련되는 바 좌우측면(52,53) 또는 후면(54)에 배치된 진공단열재(200)가 외상(5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없다.
따라서 보조 진공단열재(220)는 제 3부분(180)의 내상(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내상(40)의 외상(50)과 마주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영역(180)을 이루는 내상(40)은 내측으로 보조 진공단열재(220)가 배치되기 때문에 보조 진공단열재(220)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저장실(20)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81)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81)는 좌우측면(52,53)과 후면(54)에 각각 대응되는 내상(40)이 형성하는 모서리측에서 저장실(2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81)는 제 1단열벽(110)과 제 2단열벽(150)을 이루는 내상(40) 상에서 제 1단열벽(110) 상의 내상(40)과 이와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 2단열벽(150) 상의 내상(40)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장실(20)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81)가 돌출되는 만큼 제 3영역(180)은 내상(40)과 외상(5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보조 진공단열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단열벽(110)을 기준으로 보조 진공단열재(220)가 없을 경우, 진공단열재(200)에 의해 저장실(20)의 단열성이 확보는 영역은 A1 영역에 한했으나, 보조 진공단열재(220)가 마련되어 저장실(20)의 단열성이 확보되는 영역이 A2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다.
즉, 저장실(20)에서 모서리 부분(55)와 인접한 일부는 진공단열재(200)가 모서리부(55)까지 연장되지 않아 단열성능이 유지되지 않는 부분에 노출될 수 있으나, 보조 진공단열재(220)를 제 3영역(180)에 배치하여 저장실(20)의 모든 외측 둘레에 진공단열재(200)와 보조 진공단열재(220)가 배치될 수 있게 마련된다.
추가적으로 진공단열재(200)와 보조 진공단열재(220)가 중복으로 마련되는 영역인 A3영역이 형성될 수 있는데 A3영역은 진공단열재(200)가 복수로 마련되는 영역으로 단열성능이 A1영역이나 A2영역보다 더 뛰어날 수 있다.
제 1단열벽(110)에 있어서 A1영역과 A2영역이 겹치는 구간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단열벽(110)의 적어도 일부구간에는 진공단열재(200)와 보조 진공단열재(220)가 겹치는 A3구간이 적어도 일부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진공단열재(220)는 진공단열재(200)와 보조 진공단열재(220) 사이의 거리(D6)의 길이가 제 1영역(120)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와 이에 대응되는 내상(40) 사이의 거리(D5) 또는 제 2단열벽(150)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와 이에 대응되는 내상(40) 사이의 거리(D5)의 길이보다 적어도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영역(120)에서는 좌우측면(52,53)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와 좌우측면(52,53)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내상(40)과의 거리(D5)의 길이와 보조 진공단열재(220)와 좌우측면(52,53)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 사이의 거리(D6)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D6의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단열벽(150)에서는 후면(54)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와 후면(54)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내상(40)과의 거리(D5)의 길이와 보조 진공단열재(220)와 후면(54)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 사이의 거리(D6)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D6의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재(210)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액의 주입 시 발포액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유동 경로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발포재(210)는 내상(40)과 외상(50) 사이에 충진되는 발포액에 의해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냉장고(1)의 제조 과정에서 내상(40)과 외상(50)이 조립된 후 기계실(70)을 커버하는 기계실 커버(71)상에 마련되는 발포액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발포액이 내상(40)과 외상(50) 내측으로 발포된다.(도 2참고)
발포액은 진공단열재(200) 및 진공단열재(220)가 위치하지 않는 발포공간(S)으로 유동되어 충진되면서 단열벽(100)의 내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사상에 의한 초박벽 단열벽(100)을 가지는 냉장고(1)의 제 2영역(130) 및 제 2단열벽(150)의 진공단열재(200)와 내상(40) 사이에 마련되는 발포재(210)의 두께가 5mm에서 10mm사이로 제한됨에 따라 발포액이 유동되는 발포공간(S)의 폭도 이와 같이 형성되어 발포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냉장고(1)의 제조 공정에서 후면(54)의 일측에서 발포액이 발포되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액은 제 2단열벽(150)의 내측을 따라 모서리 부분(55)를 관통하여 제 1단열벽(110) 내측으로 유동되어 전체 단열벽(100)에 충진될 수 있다.
이 때, 발포액은 대부분 D5길이의 폭을 가지는 발포공간(S)을 따라 충진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D5의 길이는 5mm에서 10mm사이로 비교적 좁게 형성되어 유동경로의 일부가 제한되는 경우 발포액의 유동 흐름이 좋지 않아 단열벽(100) 전체에 고르게 충진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냉장고(1)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제 2단열벽(150)과 제 1단열벽(110) 사이에 마련되는 제 3영역(180)에서 발포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제 1단열벽(110)에 발포액이 제대로 충진되지 않아 발포재(210)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3영역(180) 상에 발포액이 유동하는 발포공간(S)의 폭의 최소 길이인 진공달열재(200)와 보조 진공단열재(220) 사이의 거리(D6)를 제 2단열벽(150) 내측에서 발포액이 유동하는 발포공간(S)의 폭의 길이(D5)와 적어도 동일하게 마련하여 발포액의 유동을 제한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단열벽(150) 내측으로 유동한 발포액은 제 3영역(180)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제 3영역(180)을 통과하여 제 1단열벽(11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 3영역(180) 상에 발포액이 유동하는 발포공간(S)의 폭의 길이인 진공달열재(200)와 보조 진공단열재(220) 사이의 거리(D6)를 제 1단열벽(110) 내측에서 발포액이 유동하는 발포공간(S)의 폭의 길이(D5)와 적어도 동일하게 마련하여 제 3영역(180)을 통과하는 발포액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진공단열재(220)의 단면은 돌출부(181)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밑변(221)과 밑변보다 길이가 짧은 윗변(222) 및 밑변(221)과 윗변(222)을 연결하는 한 쌍의 빗변(223)을 가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진공단열재(220)는 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고 냉장고(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사다리꼴 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D6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빗변(223)과 제 1단열벽(110)과 제 2단열벽(150)에 배치되는 각각의 진공단열재(200)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진공단열재(220)의 단면의 빗변(223)은 D6의 길이가 적어도 D5의 길이보다 동일하거나 크게 마련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빗변(223)은 제 1단열벽(110)과 제 2단열벽(150)을 형성하는 내상(40)의 연장방향 상에 마련되어 빗변(223)과 각각의 내상(40)이 직선상에 마련될 수 있다.
빗변(223)과 내상(40)이 동일한 직선상에 마련될 경우 D5와 D6의 길이는 동일하게 마련되고 이에 따라 발포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빗변(2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내상(40)과 동일한 직선상에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내상(40)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저정실(20)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빗변(223)과 밑변(221) 사이의 각도()가 빗변(223)과 내상(40)이 직선상에 마련될 때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빗변(223)과 밑변(221) 사이의 각도()가 도 19에 도시된 빗변(223)과 밑변(221) 사이의 각도()보다 줄어들 경우 윗변(222)의 길이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빗변(223)이 연장되고 이에 따라 빗변(223)이 진공단열재(200)에 대해 멀게 배치되어 D6의 길이는 더 길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공단열재(220a, 220b, 220c)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조 진공단열재(220a, 220b, 220c) 구성 이외 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 내지 도22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진공단열재(220a)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진공단열재(220a)의 삼각형 형상의 단면은 두개의 밑변(221a)과 두 밑변(221a)을 연결하는 빗변(223a)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공단열재(220a)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냉장고(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D6의 길이는 빗변(223a)과 제 1단열벽(110) 및 제 2단열벽(150)에 배치되는 각각의 진공단열재(200)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D6의 길이는 최소 D5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빗변을 따라 D5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두 밑변(221a)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로 직각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길이가 가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직각이 아닌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81)는 보조 진공단열재(220a)의 2개의 밑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저장실(20)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81)는 제 1단열벽(110)과 제 2단열벽(150)을 형성하는 각각의 내상(40) 사이에서 직각형태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81)는 도 20과 같이 직각형태로 돌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진공단열재(220a)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진공단열재(220b)는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진공단열재(220b)의 사각형 형상의 단면은 두개의 밑변(221a)과 두 밑변(221b)과 평행하게 대응되는 대변(223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공단열재(220b)는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냉장고(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D6의 길이는 대변(223b)과 제 1단열벽(110) 및 제 2단열벽(150)에 배치되는 각각의 진공단열재(200)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D6의 길이는 D5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진공단열재(220c)는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진공단열재(220c)의 원 단면은 최대 돌출부(181)에서 저장실(20) 내측으로 돌출된 길이만큼의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81)는 도 20 및 도 21과 같이 직각의 형태로 저장실(20)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조 진공단열재(220c)는 직각을 이루는 돌출부(181)의 일면의 단면길이가 원주의 길이가 되는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공단열재(220c)는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냉장고(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D6의 길이는 보조 진공단열재(220c)의 외주면의 일측과 각각의 진공단열재(200)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D6의 최소길이는 D5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200a)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진공단열재(200a) 구성 이외 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의 일부 확대도이다.
단열벽(100)의 제 3영역(180)은 저정실(20)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81)를 포함하기 때문에 저장실(20)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다만, 제 3영역(180)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제 3영역 내측에 배치되는 보조 진공단열재(220)가 마련될 공간이 없어 보조 진공단열재(220)도 포함할 수 없어 진공단열재(200)가 저장실(20)의 외측 둘레를 모두 커버할 수 없어 단열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영역(180)을 포함하지 않아 저장실(20)의 용량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진공단열재(200)가 저장실(20)의 외측 둘레를 모두 커버하도록 복수의 진공단열재(200) 중 적어도 하나의 진공단열재(200a)는 내상(40)과 인접하게 배치시켜 보강부재(240)가 마련되는 부분까지 진공단열재(200a)로 저장실(20)을 커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200)는 보강부재(240)가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200) 중 일부 진공단열재(200a)는 단열벽(100)의 내상(40)측에 배치되어 외상(5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보강부재(240)가 배치되는 측에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진공단열재(200a)는 일반적으로 외상(50)에 배치되어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영역(A1) 및 보강부재(240)가 배치되는 영역에서도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영역(A4)을 포함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54)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a)는 좌측면(52) 및 우측면(53)에 직접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와 달리 후면(54)과 대응되는 내상(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상(50)의 모서리 부분(55)에 마련되는 보강부재(240) 측까지 진공단열재(200a)를 연장하여 보강부재(240)가 배치되는 영역(A4)에까지 단열성능을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진공단열재(200a)가 보강부재(240)가 배치되는 측까지 연장되는 영역(A4)은 구체적으로 저장실(20)이 형성되는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실(20) 외측 둘레를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동시에 후면(54)에 대응되는 내상(40)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a)와 좌우측면(52,53)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 사이의 거리(D6)는 진공단열재(200)와 내상(40) 사이의 거리(D5)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내상(40)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a)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좌측면(52) 및 우측면(53)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내상(4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후측면(54)에는 진공단열재(200)가 바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된 외상(50)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와 내상(40)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200a)가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냉장고(1',1”) 타입 이외 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SBS(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1) 뿐만 아니라 도 24 및 도 26과 같이 TMF(Top Mount Freezer) type 냉장고(1')나 FDR(French Door Refrigerator) type 냉장고(1)의 제 1단열벽(110',110)은 제 1영역(120',120) 및 제 2영역(130',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단열벽(110',110)과 제 2단열벽(150',150)사이에 형성되는 제 3영역(180',180)을 포함하여 진공단열재(200',200) 사이에 보조 진공단열재(220',2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100',100)은 저장실(20',20)의 좌우를 구분하는 격벽(16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20 : 저장실 21 : 냉장실
22 : 냉동실 24 : 선반 25 : 저장박스
30 : 도어 31 : 냉장실 도어
33 : 냉동실 도어 35 : 도어가드
38 : 힌지 40 : 내상 43: 단차부
50 : 외상 51 : 상면
52 : 좌측면 53 : 우측면
54 : 후면 55 : 모서리부
100 : 진공단열재 110 : 제 1단열벽
111: 단열벽 일단 113 : 제 1부분
114 : 제 2부분 120 : 제 1영역
130 : 제 2영역 150: 제 2단열벽
160 : 격벽 180 : 제 3영역
181 : 돌출부 200 : 진공단열재
210 : 발포재 220 : 보조 진공단열재

Claims (39)

  1. 개구를 가지고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상;
    두께를 가지도록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벽은 상기 개구에서 연장되는 제 1단열벽과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단열벽과 만나는 제 2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단열벽은,
    상기 개구와 인접한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서 상기 제 2단열벽을 향해 연장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벽은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와 상기 공간에 발포되어 형성되는 발포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가 배치되지 않는 제 1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개구와 제 1영역의 일측 사이에 마련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은 상기 제 1부분에서 조립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에서 형성되는 최대 두께는 상기 제 1단열벽의 최대 두께인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30mm에서 55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발포재가 함께 배치되는 제 2부분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제 1부분과 인접한 일측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과 인접한 타측의 두께보다 두꺼운 냉장고.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은 모든 구간에서 상기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에서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5mm 에서 10mm 사이인 냉장고.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에서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에서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의 사이의 두께의 차이는 상기 내상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열벽은 상기 저장실을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하도록 상기 저장실 내측에 마련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서의 단차는 상기 냉장실측 또는 냉동실측 중 적어도 일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벽은,
    상기 제 1단열벽과 상기 제 2단열벽이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3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영역과 상기 제 1단열벽이 만나는 부분에서의 상기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발포재의 최소 두께와 적어도 동일한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영역과 상기 제 2단열벽이 만나는 부분에서의 상기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발포재의 최소 두께와 적어도 동일한 냉장고.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영역은 상기 저장실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 공간에는 보조 진공 단열재가 마련되는 냉장고.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진공 단열재는 상기 제 1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 측 방향에 위치하는 냉장고.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진공 단열재는 상기 제 1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 1단열벽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진공단열재 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냉장고.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영역을 형성하는 외상의 내측에는 보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 진공단열재와 상기 보강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제 1영역에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냉장고.
  20. 개구를 가지고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상;
    두께를 가지도록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단열재와 발포재를 포함하는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벽은 상기 개구에서 연장되는 제 1단열벽과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단열벽과 만나는 제 2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단열벽은,
    상기 개구와 인접한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서 상기 제 2단열벽을 향해 연장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 상에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 상에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냉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가 배치되지 않는 제 1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개구와 상기 제 1영역의 일측 사이에 마련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에서 형성되는 최대 두께는 상기 제 1단열벽의 최대 두께인 냉장고.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30mm에서 55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발포재가 함께 배치되는 제 2부분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냉장고.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은 모든 구간에서 상기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에서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5mm 에서 10mm 사이인 냉장고.
  28. 전면에 개구를 가지고 내상 및 외상을 포함하는 본체;
    두께를 가지도록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내측으로 진공단열재와 발포재를 포함하는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벽은, 상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 1단열벽;과 상기 본체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 2단열벽;과 상기 제 1단열벽과 상기 제 2단열벽이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모서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영역과 상기 제 1단열벽 또는 상기 제 2단열벽이 만나는 부분에서의 상기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발포재의 최소 두께와 적어도 동일한 냉장고.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영역은 상기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보조 진공 단열재가 배치되는 냉장고.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진공 단열재는 상기 제 1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 또는 상기 제 2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냉장고.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진공 단열재는 상기 제 1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 및 상기 제 2단열벽을 형성하는 내상을 기준으로 상기 상기 제 1단열벽 및 상기 제 2단열벽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진공단열재 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냉장고.
  32. 개구를 가지고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을 커버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진공단열재와 발포재를 포함하는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벽은 상기 개구에서 연장되는 일단을 포함하는 제 1단열벽과 상기 제 1단열벽의 타단과 만나고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단열벽은,
    상기 제 1단열벽의 일단을 포함하는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서 상기 제 2단열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 2영역에서 모든 영역은 상기 진공단열재가 배치되는 냉장고.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열벽은,
    상기 제 1단열벽과 상기 제 2단열벽이 만나는 부분에서 마련되는 제 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영역은 상기 저장실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보조 진공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보조 진공단열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진공단열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단열벽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냉장고.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영역 상에서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내상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 또는 상기 제 2단열벽 상에서 마련되는 상기 발포재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한 냉장고.
  36. 개구를 가지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상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서 연장되는 제 1단열벽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 1단열벽과 만나는 제 2단열벽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단열벽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개구와 인접한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서 상기 제 2단열벽을 향해 연장되는 제 2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 2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냉장고 제조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을 절곡하여 상기 제 1영역의 두께를 상기 제 2영역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냉장고 제조방법.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과 마주하는 상기 외상의 일면에 진공단열재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조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벽 내부 공간에 발포재를 발포하고,
    상기 제 2영역에서의 상기 진공달열재와 상기 내상 사이에 형성되는 발포재의 두께는 5mm 에서 10mm 사이가 되도록 발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조방법.
KR1020150145573A 2015-10-19 2015-10-19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102442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573A KR102442069B1 (ko) 2015-10-19 2015-10-19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6/011308 WO2017069440A1 (ko) 2015-10-19 2016-10-10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US15/769,687 US10533697B2 (en) 2015-10-19 2016-10-10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16857698.1A EP3336466A4 (en) 2015-10-19 2016-10-10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1680061230.6A CN108139142B (zh) 2015-10-19 2016-10-10 冰箱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573A KR102442069B1 (ko) 2015-10-19 2015-10-19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45A true KR20170045645A (ko) 2017-04-27
KR102442069B1 KR102442069B1 (ko) 2022-09-13

Family

ID=5855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573A KR102442069B1 (ko) 2015-10-19 2015-10-19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3697B2 (ko)
EP (1) EP3336466A4 (ko)
KR (1) KR102442069B1 (ko)
CN (1) CN108139142B (ko)
WO (1) WO20170694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414A (ko) 2020-08-2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4106712A1 (ko) * 2022-11-18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210B1 (ko) 2015-08-03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88A (ko)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56642B1 (ko) 2015-08-03 202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2973B1 (ko) 2015-08-03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02160B1 (ko) 2015-08-03 202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97139B1 (ko) 2015-08-03 202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KR102529853B1 (ko)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조방법, 다공성물질패키지, 및 냉장고
KR102466469B1 (ko) 2015-08-03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EP3332193B1 (en) 2015-08-03 2021-11-17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KR102525550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852B1 (ko)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7245B1 (ko) 2015-08-03 202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1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66470B1 (ko) 2015-08-04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10006740A (ko) * 2019-07-09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냉장고
DE102020212816A1 (de) * 2020-10-09 2022-04-1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evorrichtung
EP4293304A1 (en) * 2021-02-15 2023-12-20 Hitachi Global Life Solutions, Inc. Refrigerator
JP7460563B2 (ja) * 2021-02-15 2024-04-02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JP7456958B2 (ja) 2021-02-19 2024-03-2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US11859895B2 (en) * 2022-02-10 2024-01-0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662B1 (ko) * 2005-08-24 2008-01-02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단열재 및 그것을 이용한 냉장고
JP2013002655A (ja) * 2011-06-13 2013-01-07 Toshiba Corp 冷蔵庫
JP2014126219A (ja) * 2012-12-25 2014-07-07 Toshiba Corp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8046A (en) * 1952-07-09 1956-10-23 Gen Electric Insulating structures
US3401997A (en) * 1967-06-15 1968-09-17 Gen Motors Corp Refrigerator with segmented modular inner liner
IT1144387B (it) 1981-07-16 1986-10-29 Indesit Sistema di isolamento per un apparecchio frigorifero
JP4580843B2 (ja) * 2005-08-24 2010-11-1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真空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KR101620397B1 (ko) * 2009-08-07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재 및 진공단열재를 구비한 냉장고
CN201651674U (zh) * 2009-10-27 2010-11-24 滁州银兴电气有限公司 一种具不同厚度分区的真空绝热板
JP2012063038A (ja) 2010-09-14 2012-03-29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DE102012201107A1 (de) * 2012-01-26 2013-08-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JP6125163B2 (ja) * 2012-06-27 2017-05-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9464751B2 (en) * 2013-02-06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insulation material, insulation case unit, an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662B1 (ko) * 2005-08-24 2008-01-02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단열재 및 그것을 이용한 냉장고
JP2013002655A (ja) * 2011-06-13 2013-01-07 Toshiba Corp 冷蔵庫
JP2014126219A (ja) * 2012-12-25 2014-07-07 Toshiba Corp 冷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414A (ko) 2020-08-2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4106712A1 (ko) * 2022-11-18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9142B (zh) 2020-10-02
US10533697B2 (en) 2020-01-14
WO2017069440A1 (ko) 2017-04-27
KR102442069B1 (ko) 2022-09-13
EP3336466A1 (en) 2018-06-20
US20180299060A1 (en) 2018-10-18
CN108139142A (zh) 2018-06-08
EP3336466A4 (en)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5645A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US11802728B2 (en) Refrigerator
KR102311397B1 (ko) 냉장고
TWI391621B (zh) 冰箱
JP5677737B2 (ja) 冷蔵庫
KR102273285B1 (ko)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KR101622008B1 (ko) 냉장고용 중앙 격벽 밀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8365551B2 (en) Vacuum insulato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TWI477728B (zh) 電冰箱
EP2789938B1 (en) Refrigerator
US20100147001A1 (en) Refrigerator having heat conduction sheet
TWI529360B (zh) 電冰箱
EP2789952B1 (en) Refrigerator
CN113348334B (zh) 冰箱
TWI567354B (zh) 冰箱
EP3327387A1 (en) Vacuum insulation material, vacuum insulation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refrigerator including vacuum insulation material
WO2024099360A1 (zh) 制冷电器
JPH10253244A (ja) 冷蔵庫
JPH10205994A (ja) 冷却貯蔵庫の断熱箱体
JP6194482B2 (ja) 冷蔵庫
WO2013183261A1 (ja) 冷蔵庫
CN217031787U (zh) 改进搁板支撑结构的冰箱
JP6721750B2 (ja) 冷蔵庫
CN103175367A (zh) 一种制冷器具
KR19990056269A (ko) 냉장고의 캐비넷의 코너 플랜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