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606A -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606A
KR20170045606A KR1020150145400A KR20150145400A KR20170045606A KR 20170045606 A KR20170045606 A KR 20170045606A KR 1020150145400 A KR1020150145400 A KR 1020150145400A KR 20150145400 A KR20150145400 A KR 20150145400A KR 20170045606 A KR20170045606 A KR 20170045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guardian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inf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8482B1 (ko
Inventor
조흔우
전성우
차승훈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쓰리
Priority to KR102015014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482B1/ko
Priority to PCT/KR2015/014507 priority patent/WO2017069342A1/ko
Publication of KR20170045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7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은 유해한 환경과 기상조건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기적으로,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검출하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와, 주기적으로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와,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를 제2보호자단말기 측에 제공하는 제1보호자단말기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이 제공하는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는 제2보호자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생활 주변의 위험 및 유해 요소에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영유아들을 보호하고, 영유아의 생활환경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뿐 아니라 유아동의 건강관리와 적절한 생활환경 조성을 책임져야 하는 어린이집이나 보육원 등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영유아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영유아 뿐 아니라, 건강부문에 취약한 장애인, 노인, 환자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안전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INFANTS AND BABIES SAFETY KEEPING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특히 생활주변의 유해한 환경이나 기상 상황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이란 인간이 생활하는 자연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특히 영유아 생활환경이란 영유아가 주로 생활하는 실내외 자연적 환경으로 한정하여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한 실내환경이란 우선 유해화학물질이 없어야 하고, 이산화탄소가 최소화되고, 산소가 풍부해야 하며, 습도가 50-60% 정도, 실내온도가 계절 별로 20-22℃를 유지해야 한다.
실내 공기오염은 새로 지어진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더욱 많이 발생하고 실내 온도가 높을수록 공기오염 농도는 높아지며, 특히 24시간 대부분(하루의 90% 이상)을 실내에서만 지내야 하는 영유아 및 산모들은 아토피 등 유해환경인자에 쉽게 노출되는 실정이다.
영유아는 체중 당 먹고, 마시고, 호흡하는 대사량이 성인에 비해 크므로 화학물질 등 유해물질 노출에 가장 취약하고, 성인에 비해 신경, 호흡, 생식기관 발달이 불완전하고, 키가 작아서 지면의 자동차 배출가스, 먼지 등의 노출에도 매우 취약할 수 있다. 또한, 무더위가 지속되는 여름철, 차량 내부에서 영유아의 질식사 확률은 매우 높을 수 있다.
또한, 여름의 고온 다습한 날씨로 인해 실내에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환기와 습도 조절을 해 주는 것이 필요하며, 관심을 가지고 항상 영유아의 생활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생활 주변의 위험 및 유해 요소에 영유아가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가장 큰 문제는 부모들의 인식 부재에서 비롯되며, 심각하지만 부모들이 사소하게 느낄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알라밍(alarming)하고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일반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유아동의 건강관리를 책임지는 어린이집, 보육원 등에서도 스마트한 영유아 환경 관리는 필수적인 추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생활주변의 유해 환경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생활 주변의 위험 및 유해 요소에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영유아들을 보호하고, 영유아의 생활환경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뿐 아니라 유아동의 건강관리와 적절한 생활환경 조성을 책임져야 하는 어린이집이나 보육원 등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영유아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영유아 뿐 아니라, 건강부문에 취약한 장애인, 노인, 환자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안전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블록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5b는 서비스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분석항목들(웨어러블 기기의 검출 정보)의 표시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5c는 서비스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기상정보의 표시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들 중, 오염도 정보에 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들 중, 온도 및 습도정보에 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은 유해한 환경과 기상조건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기적으로,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검출하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와, 주기적으로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와,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를 제2보호자 단말기 측에 제공하는 제1보호자단말기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이 제공하는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는 제2보호자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부와,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와 통신을 설정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기기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외부기기 작동모듈과,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알람부와 외부기기 작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부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환경 호르몬을 검출하는 환경호르몬 검출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 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을 검출하는 VOCs 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검출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미세먼지를 검출하는 미세먼지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정단말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은, 유해한 환경이나 기상상황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웨어러블(wearable) 기기(100), 제1보호자단말기(200), 제2보호자단말기(300),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영유아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거나 옷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영유아 주변 일측에 장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유모차를 타고 야외활동 중이라면 유모차에 장착될 수 있고, 만일 거실이나 방에서 낮잠을 재우는 중이라면 아이의 머리 맡이나 침대 일측에 놓아 둘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100)는 주기적으로,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검출한다. 보다 상세하게, 영유아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환경 호르몬과 미세먼지를 검출한다. 또한, 영유아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Watch)타입, 팔뚝이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밴딩(Banding)타입,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벨트(Belt)타입,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목걸이(Necklace) 타입, 그리고 집게 타입 또는 클립(Clip) 타입 등으로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400)는 주기적으로 기상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하, '서비스 앱(app)'이라 한다)을 실행한 제1보호자 단말기(200)과 제2보호자단말기(300)이 기상정보를 요청하면, 이들 단말(200, 300)에 상기 수집된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400)가 제공하는 기상정보는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 등이다.
서비스 서버(400)는 또한, 제1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검출정보(예: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서비스 앱(app)을 안드로이드 구글마켓이나 아이폰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에 배포하여 사용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400)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를 제2보호자단말기(300) 측에 제공한다.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와 통신이 설정되면, 주기적으로 웨어러블 기기(100)의 발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이면, 웨어러블 기기(100)가 통신 가능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경고신호를 단말(200) 화면에 출력한다.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발신된 신호의 세기(strong)를 검출하여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웨어러블 기기(100)간의 거리를 구한다. 즉, 발신신호의 세기(strong)를 거리값으로 환산하여, 제1보호자 단말기(200)와 웨어러블 기기(100)간의 거리를 구한다.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또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와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그에 따른 경고신호를 웨어러블 기기(100)와 단말(200)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대처요령 메시지도 단말(200) 화면 일측에 표시한다.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가능 단말기인 경우,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앱(app)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보호자단말기(300)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200)이 제공하는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400)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한다.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웨어러블 기기(100)에 접속하여,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직접 검출정보를 수신하지만, 제2보호자 단말기(300)는 제1보호자단말기(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를 수신한다. 웨어러블 기기(100)와 제2보호자단말기(300)간의 관계에서, 제1보호자 단말기(200)는 일종의 AP(Access Point)역할을 수행한다.
제2보호자단말기(300)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마찬가지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 가능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앱(app)을 통해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는 통신부(110), 센서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50), 메모리(160), 알라밍부(170), 외부기기 작동모듈(180), 전원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통신을 설정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호르몬 검출센서(120a), 온도센서(120b), 환경호르몬 검출센서(120a), 온도센서(120b), 습도센서(120c), VOCs센서(120d), 유해가스 검출센서(120e), 미세먼지 검출센서(120f)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센서부(120)의 측정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에 관한 각종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130)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100)의 상판을 두 구역(예: 제1영역(M10)과 제2영역(M20))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역에 디스플레이부를 배치하거나, 또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알라밍부(170)는 음향 출력부, 광출력부, 진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구성장치를 통해 외부(예: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 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주변 일측에 위치하며 발광소자들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소자들은 외부(예: 제1보호자단말기(200)) 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점멸을 반복한다.
상기 진동 출력부는 외부(예: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각기 다른 세기와 패턴으로 진동을 출력한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외부(예: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따른 경고음이나 사운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음을 출력하거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 작동모듈(180)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기기(예: 유모차 부착 선풍기 등)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외부기기는 사물 인터넷 기술(IoT)을 적용하여 제어 가능한 전자적 장치로서, 공기 청정기, 공조기, 오디오 기기, 가습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센서부(120)의 측정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예: 센싱신호, 제어신호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90)는 2개의 배터리(예: 주 배터리, 예비 배터리)로 구성되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예: 110~18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 센서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메모리(160), 알라밍부(170), 외부기기 작동모듈(180), 그리고 전원부(190)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20)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상기 제1보호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제1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알람밍부(170)와 외부기기 작동모듈(18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제1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알람밍부(170)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람밍부(170)의 해당 구성요소(예: 음향 출력부, 광출력부, 진동 출력부 등)를 통해 경고 신호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광출력부의 점멸을 반복 수행하거나, 진동 출력부를 통해 특정 패턴의 진동을 출력하거나, 음향 출력부를 통해 특정 경고음이나 사운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착용자가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보호자 단말기(200)로부터 외부기기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기기 작동모듈(180)를 온(on)/오프(off)하는 것으로서 해당 외부기기를 동작시키거나 그 작동을 중단시킨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120)는 환경호르몬 검출센서(120a), 온도센서(120b), 환경호르몬 검출센서(120a), 온도센서(120b), 습도센서(120c), VOCs센서(120d), 유해가스 검출센서(120e), 미세먼지 검출센서(120f), 산소 검출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120b)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습도센서(120c)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한다.
상기 환경호르몬 검출센서(120a)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의 환경 호르몬을 검출한다.
상기 VOCs센서(120d)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 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을 검출한다.
상기 유해가스 검출센서(120e)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검출한다.
상기 미세먼지 검출센서(120f)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주변의 미세먼지를 검출한다.
상기 산소 검출센서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 공기에 포함된 산소량을 측정한다.
센서부(120)는 영유아 주변 즉,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예: 환경 호르몬, 미세먼지, 유기화합물 성분(VOCs),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소 등)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웨어러블 기기(100)가 영유아의 신체 일부에 부착(or 착용)되거나 혹은 주변에 장착되면, 주기적으로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예: 환경 호르몬, 미세먼지, 유기화합물 성분(VOCs),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를 측정하기 시작한다. (S10)
또한, 서비스 서버(400)도 제1보호자 단말기(200)와 제2보호자 단말기(30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상센터(예: 기상청 등)로부터 기상정보(예: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를 수집한다. (S20)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호자(예: 엄마)가 단말(200)에 설치된 서비스 앱을 기동시키면, 서비스 앱은 웨어러블 기기(100)에 접속하여,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예: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 정보)를 수신한다. (S50~S60)
그리고, 상기 검출정보를 서비스 서버(400)와 제2보호자(예: 아빠)의 단말(300)로 전송한다. (S90)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웨어러블 기기(100)에 접속하여,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직접 검출정보를 수신하지만, 제2보호자 단말기(300)는 제1보호자단말기(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를 수신한다.
웨어러블 기기(100)와 제2보호자단말기(300)간의 관계에서, 제1보호자 단말기(200)는 일종의 AP(Access Point)역할을 수행하여 원격지의 제2보호자 단말기(300) 측으로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를 전송한다. 아이(예: 영아)를 불가피하게 차량 안에 혼자 남겨두어야 하는 상황일 때, 엄마의 단말기(예: 제1보호자 단말기(200))를 웨어러블 기기(100)와 함께 차량에 남겨두면, 원격지에서도 엄마와 아빠는 아빠의 단말기(예: 제2보호자 단말기(300))를 통해, 아이의 주변 상황(예: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 등)을 모니터할 수 있다.
상기 과정(S60)에서,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검출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이번에는,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하여, 기상센터 (예: 기상청 등)로부터 수집한 기상정보들(예: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을 수신한다. (S70~S80)
그리고, 수신된 정보들(예: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 & 서비스 서버(400)의 기상정보)을 분석한다. (S100)
상기 분석과정(S100)을 통해,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로부터 온도/습도 정보와 오염도 정보(예: 환경 호르몬, 미세먼지, 유기화합물 성분(VOCs),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소 등)를 추출하고 한편으로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발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웨어러블 기기(100)간의 거리정보를 구한다.
그리고, 온도와 습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 상기 오염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 상기 거리정보의 기준치 초과 여부를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화면에 표시한다.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서비스 앱의 메인 화면을 제1영역(M10)과 제2영역(M20)으로 나누고, 상기 제1영역(M10)에는 상기 3가지의 분석항목 즉, 온도와 습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에 관한 항목(온습도 항목), 상기 오염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에 관한 항목(오염도 항목), 그리고 상기 거리정보의 기준치 초과 여부에 관한 항목(거리 항목)을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M10)에 각각 표시한다.
상기 3가지 분석항목(예: 온습도 항목, 오염도 항목, 거리 항목)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치 다이얼로 '정상', '주의', '경고'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5b는 서비스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분석항목들(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의 표시방법을 예시한 도면으로, 3가지 분석항목 중 오염도 항목에 관한 것이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도 항목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오염도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예: 환경 호르몬, 미세먼지, 유기화합물 성분(VOCs),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소 등) 중, 기준치를 초과하는 항목이 없으면, 정상 상태의 수치 다이얼표시하고 만일, 기준치를 초과하는 항목이 있는 경우, 그 항목을 대상으로 수치 다이얼의 상태(예: '정상', '주의', '경고')를 나타낸다.
기준치를 초과하는 항목이 만일, 여럿인 경우, 위험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갖는 항목을 대상으로 수치 다이얼의 상태(예: '정상', '주의', '경고')를 나타낸다.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주의'나 '경고'의 수치 다이얼을 나타낼 때, 특정 패턴의 진동이나 경고음을 출력하고 해당 수치 다이얼이 깜박이도록 하여 보호자의 주의를 끌게 한다. (S110 ~ S120) 이러한 알람 신호(예: 진동, 경고음, 수치 다이얼의 깜박임 등)는 보호자가 인지할 때까지 반복 출력된다. (S130)
상기 분석과정(S100)에서,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또한,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서, 세부 항목들(예: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 등)을 추출하고 기준치와 비교한다.
그리고, 각 세부 항목의 기준치 초과 여부를 판정하여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화면의 제2영역(M20)에 표시한다.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기상정보의 세부 항목들(예: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 등)을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픽 이미지로서 '정상', '주의', '경고'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5c는 서비스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기상정보의 표시방법을 예시한 도면으로, 기상정보의 세부 항목들 중 자외선 수치에 관한 것이다.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주의'나 '경고'의 그래픽 이미지를 나타낼 때, 특정 패턴의 진동이나 경고음을 출력하고 그래픽 이미지의 해당 항목(예: 자외선 지수를 표시하는 부분)이 깜박이도록 하여 보호자의 주의를 끌게 한다. (S110 ~ S120) 그리고, 그러한 알람 신호(예: 진동, 경고음, 수치 다이얼의 깜박임 등)의 출력을 보호자가 인지할 때까지 반복한다. (S130)
한편, 제2보호자단말기(300)의 경우, 제2보호자(예: 아빠)가 단말(300)에 설치된 서비스 앱을 기동시키면, 서비스 앱(예: 제2보호자단말기(300))은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기상정보들(예: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 등)을 수신한다. (S140~S150) 그리고,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예: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 정보)를 수신한다. (S90)
이후, 서비스 앱(예: 제2보호자단말기(300))은 상기 수신된 정보들(예: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 & 서비스 서버(400)의 기상정보)을 분석하고 (S160), 그 분석된 결과를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화면에 표시한다.
서비스 앱(예: 제2보호자단말기(300))은, '주의'나 '경고'의 수치 다이얼 혹은 그래픽 이미지를 단말(200)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특정 패턴의 진동이나 경고음을 출력하고 해당 수치 다이얼이 깜박이도록 하여 보호자의 주의를 끌게 한다. (S170 ~ S180) 그리고, 보호자가 인지할 때까지 이러한 알람 신호(예: 진동, 경고음, 수치 다이얼의 깜박임 등)의 출력 반복한다. (S190)
이상의 과정들 중, 상기 수신된 정보들(예: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 & 서비스 서버(400)의 기상정보)을 분석하고, 그 분석된 결과를 단말(200)화면에 표시하는 절차들(S160 ~ S190)은 제1보호자단말기(200)의 수행과 동일하다. 서비스 앱(예: 제2보호자단말기(300))은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절차들(S160 ~ S190)을 수행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들 중, 오염도 정보에 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서비스 앱(보호자단말기(200 or 300))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메인화면에, '온습도', '오염도', '거리'의 3가지 분석항목에 관한 수치 다이얼을 표시하면, 단말 사용자 즉, 보호자는 메인화면의 수치 다이얼을 선택(터치)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항목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자가 오염도에 관한 수치 다이얼을 선택(터치)하면, 서비스 앱(보호자단말기(200 or 3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도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예: 환경 호르몬, 미세먼지, 유기화합물 성분(VOCs),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소 등)의 상세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보호자는 상기 세부 항목들의 상세 정보를 통해, 아이 주변의 공기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오염도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 중, 수치가 '주의'나 '경고' 상태에 도달한 항목(예: 미세먼지)이 있는 경우 서비스 앱(보호자단말기(200 or 300))은 화면 일측(예: 하단)에, 해당 항목(예: 미세먼지)에 대응하는 대처요령들을 표시하여, 보호자가 아이 주변의 유해 환경에 침착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들 중, 온도 및 습도정보에 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호자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화면의 수치 다이얼들 중, '온습도'에 관한 수치 다이얼을 선택(터치)하면, 서비스 앱(보호자단말기(200 or 30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와 습도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보호자는 상기 도7의 화면을 통해, 아이 주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생활 주변의 위험 및 유해 요소에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영유아들을 보호하고, 영유아의 생활환경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뿐 아니라 유아동의 건강관리와 적절한 생활환경 조성을 책임져야 하는 어린이집이나 보육원 등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영유아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영유아 뿐 아니라, 건강부문에 취약한 장애인, 노인, 환자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안전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00 : 웨어러블 기기 110 : 통신부
120 : 센서부 120a : 환경호르몬 검출센서
120b : 온도센서 120c : 습도센서
120d : VOCs센서 120e : 유해가스 검출센서
120f : 미세먼지 검출센서 130 : 디스플레이부
150 : 제어부 160 : 메모리
170 : 알라밍부 180 : 외부기기 작동모듈
190 : 전원부 200 : 제1보호자단말기
300 : 제2보호자단말기 400 : 서비스 서버

Claims (11)

  1. 유해환경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검출하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100)와,
    주기적으로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400)와,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를 제2보호자단말기 측에 제공하는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이 제공하는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는 제2보호자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부(120)와,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와 통신을 설정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10)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170)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기기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외부기기 작동모듈(180)과,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알람부와 외부기기 작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0b)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20c)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환경 호르몬을 검출하는 환경호르몬 검출센서 (120a)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 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을 검출하는 VOCs센서(120d)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검출센서(120e)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미세먼지를 검출하는 미세먼지 검출센서(120f)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와 같은 방식의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와 통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이 설정되면, 주기적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발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웨어러블 기기가 통신 가능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경고 신호를 단말(200)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들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그에 따른 경고 신호를 웨어러블 기기와 단말(200)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상기 경고신호와 함께 영유아 보호를 위해 대처요령 메시지를 단말(200) 화면 일측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단말(200) 화면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제1영역(M10)에는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와 기준치를 비교한 분석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M20)에는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 그리고 상기 기상정보와 기준치를 비교한 분석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로부터 온도/습도 정보와 오염도 정보를 추출하고 웨어러블 기기까지의 거리정보를 계산하여, 온도와 습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오염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거리정보의 기준치 초과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영역(M10)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시계(Watch)타입, 밴딩(Banding)타입, 벨트(Belt)타입, 목걸이(Necklace) 타입, 집개 타입, 클립(Clip)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호자단말기(300)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로부터 검출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기상정보가 수신하여, 상기 제1보호자단말과 동일한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KR1020150145400A 2015-10-19 2015-10-19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KR10181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400A KR101818482B1 (ko) 2015-10-19 2015-10-19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PCT/KR2015/014507 WO2017069342A1 (ko) 2015-10-19 2015-12-30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400A KR101818482B1 (ko) 2015-10-19 2015-10-19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06A true KR20170045606A (ko) 2017-04-27
KR101818482B1 KR101818482B1 (ko) 2018-02-21

Family

ID=5855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400A KR101818482B1 (ko) 2015-10-19 2015-10-19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8482B1 (ko)
WO (1) WO201706934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67A1 (ko) * 2018-04-20 2019-10-24 주식회사 창의테크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WO2020071569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효일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KR20200133430A (ko) 2019-05-20 2020-11-30 이승재 아이 세이프티 키퍼 - I-Safety Watch
KR20220026162A (ko) * 2020-08-25 2022-03-04 (주)헤드라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CN115076937A (zh) * 2022-06-22 2022-09-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穿戴设备的空调控制装置、控制方法及空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9548B2 (en) * 2016-11-23 2018-08-14 Eric Squatrito Clippable air condition monitor device
CN107941668A (zh) * 2017-11-28 2018-04-20 苏州佑克骨传导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pm2.5检测播报装置
KR102089874B1 (ko) * 2018-12-13 2020-03-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CN113917074A (zh) * 2021-07-28 2022-01-11 周怡佳 一种便携式空气质量检测仪
JP7346505B2 (ja) * 2021-08-24 2023-09-19 花王株式会社 育児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363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0986137B1 (ko) * 2007-04-27 2010-10-07 이성일 영아 위험경보장치
KR20140088004A (ko) * 2012-12-31 2014-07-09 안헌일 자동 알림 방식에 기반한 양방향 안전 관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방법
KR101440362B1 (ko) * 2013-04-04 2014-09-17 주식회사 이도링크 스마트 와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54625B1 (ko) * 2013-05-06 2014-01-22 주식회사 카이언스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
US9848786B2 (en) * 2013-09-12 2017-12-26 Mattel, Inc. Inf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67A1 (ko) * 2018-04-20 2019-10-24 주식회사 창의테크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WO2020071569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효일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KR20200133430A (ko) 2019-05-20 2020-11-30 이승재 아이 세이프티 키퍼 - I-Safety Watch
KR20220026162A (ko) * 2020-08-25 2022-03-04 (주)헤드라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CN115076937A (zh) * 2022-06-22 2022-09-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穿戴设备的空调控制装置、控制方法及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342A1 (ko) 2017-04-27
KR101818482B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482B1 (ko)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US11137163B2 (en) Environm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478783B1 (ko) 탐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205375104U (zh) 一种用于婴儿监护的智能穿戴设备
US1150162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personal air quality monitor
US7394385B2 (en)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KR101316662B1 (ko) 대기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오염 관리 시스템
KR20160002280A (ko)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9021B1 (ko) 생체 신호와 비콘 기술을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아동 케어 시스템
CA3034811C (en) Combustible gas sensing element with cantilever support
KR101332414B1 (ko)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50051041A (ko)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2114B1 (ko) 아두이노와 통신모듈을 이용한 실내외 원격 미세먼지 측정기, 미세먼지 모니터링시스템, 측정 및 모니터링방법
KR101021155B1 (ko) 유아 돌연사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83003B1 (ko) 안전 밴드를 활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708776B1 (ko) 모바일 기반 공동 육아 서비스 시스템
Jayabharata et al. Wearable real time health and security monitoring scheme for coal mine workers
CN216719223U (zh) 一种天然气报警装置
US20240038046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Personal Air Quality Monitor
CN207741272U (zh) 室内智能空气质量态势感知终端
KR20160104326A (ko) 알람 시스템이 구비된 유아용 온도계
TR201903477A2 (tr) Sağlik destek si̇stemi̇
KR20230101326A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육아 도우미 시스템
WO2023086044A1 (en) A versatile multi-functional integrated smart notification, assistance and support device measuring vital environmental data and manages emergency processes and devices in interaction with the measured data
JP2013000311A (ja) 動作検出装置、動作検出ユニット、動作検出システムおよび動作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