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03567A1 -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03567A1
WO2019203567A1 PCT/KR2019/004642 KR2019004642W WO2019203567A1 WO 2019203567 A1 WO2019203567 A1 WO 2019203567A1 KR 2019004642 W KR2019004642 W KR 2019004642W WO 2019203567 A1 WO2019203567 A1 WO 20192035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 information
child care
server
care environmen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46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태하
신승우
김가람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의테크
Publication of WO20192035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035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ct the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of the indoor place where the infant is located to serve as a repeater that provides the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It relates to a server 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 SID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for infants aged 0 years or older is monitored in real time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e mobile application-based server linkage enables monitoring through a smart device linked with the server. It is to propose a type integrated infant and child health monitoring device.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00711 (2016.01.05)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that detects the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of the indoor place where infants are located and serves as a relay that provides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 the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110 for measuring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where infants are located
  • MC-U 130 for acquiring the detected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and provid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o send to the smart device or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mart device 200 or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 300) serves as a repeater to provide.
  • an external measuring device information linkage processing unit when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or posture / breathing measuring device is linked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fant or the posture or breathing state information of the infant is measured.
  •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By providing it to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it provides scalability and efficiency.
  •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of the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device of the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the posture / breathing apparatus of the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110 for measuring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where infants are located
  • MC-U 130 for acquiring the detected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and provid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o send to the smart device or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mart device 200 or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 300) serves as a repeater to provide.
  • the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100 the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100
  •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is obtained by obtain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fant or the posture or respiratory state information of the infant measured from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 App execution unit 210 for executing an app for displaying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output unit 220 for displaying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in a predetermined layou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ors linked server type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mart device 200, an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300, and a wired / wireless network network, and provides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It serves as a repeater to provide a smart device and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400 or The posture / breath measurement device 500 provides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he posture, and the respiration information to the infant health state monitoring device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110, a power supply unit 120, an MC oil 130,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It will be configured to include 140.
  •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110 measures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where the infant is loca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nitor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and a repeater function.
  • the power supply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for supplying power.
  • the power supply unit 120 may configure a charging battery for using a charging method or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 the MC 130 is provided with a local communication unit to obtain the detection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to provide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o a smart device or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will be.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40 is to provide the indoor measurement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C to a smart device or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preferably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Wi-Fi.
  • the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for storing the measured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the memory unit for storing the threshold value for each measurement item;
  • the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and the threshold value for each measurement item are extracted from the memory unit and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for each measurement item.
  • Ev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ev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alarm output unit for providing;
  • an alarm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s an alarm sound or a text.
  •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or generates event information including 40% fine dust value and 30% threshold value and generates an alarm output unit. By outputting the alarm sound or text, the guardian can immediately check the benefits.
  •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110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ing unit 110
  •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11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 Atmospheric pressure sensor 112 for measuring the atmospheric pressure
  • Fine dust sensor 115 for measuring fine dust
  • a noise sensor 117 for measuring noise At least any one of the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is u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place where the infant is currently located, and to measure the air pressure through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 the TVOCs sensor 113 is to measure the TVOCs, currently measuring harmful gases in the room, CO2 / CO sensor 114 to measure the CO2 and CO, fine dust sensor 115 is fine dust Will be measured.
  • the sensors are sensors for measuring the air quality, and configure the illumination sensor 116 to measure the illuminance of the current room, and configure the noise sensor 117 to measure the noise.
  • infants are sensitive to air quality, illuminance, noise, etc., so that the indoor environment is measured in order to measure them in real time and inform the guardian, and the above measurement variables are defined as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information.
  •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100,
  •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is obtained by obtain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fant or the posture or respiratory state information of the infant measured from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infant health status 100 to serve as a repeater, and thus may configure various measuring apparatuses for measur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infant, no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 respect to the infant.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400 or the posture / breathing apparatus 500 may be configured.
  • the external measuring device information interworking unit 150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posture or breathing state measured by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400 or the posture / breathing measuring device 500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Obtain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 the smart device by providing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posture or breathing state information measured in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to the smart devic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sleep posture, sleep breathing state and the like in real time.
  • FIG. 5 may further comprise a posture / breathing apparatus 500.
  • the posture / breathing apparatus 500 is a MEMS sensor (MEMS sensor, 510), band pass filter 520, respiratory average period analysis unit 530, respiratory average period storage unit 540, respiratory average value calculation
  • the unit 550, the power supply unit 560, the MC oil 570,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580 are configured to be included.
  • the MEMS sensor 510 includes a gyro sensor and an accelerometer to measure the values of the X, Y, Z axes of the gyro sensor and the X, Y, Z axes of the accelerometer.
  • the band pass filter 520 is to filter the value obtained by the MEMS sensor.
  • the band pass filter unit filters only the band between 0.1 Hz and 1 Hz, which is a frequency similar to breathing, to the values of the X, Y, Z axes of the gyro sensor and the X, Y, Z axes of the accelerometer obtained through the MEMS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 the respiratory mean period analyzing unit 530 measures the average cycle of respiration by measuring the data of each axis according to the analyzed posture with reference to the value measured by the MEMS sensor once per set period and respiratory mean period storage unit 540. Will be stored in.
  • the posture In the case of the posture, it is based on the sleep posture by filtering only the band between 0.1 Hz and 1 Hz, which is a frequency similar to breathing, based on the values of the X, Y and Z axes of the gyro sensor and the X, Y and Z axes of the accelerometer obtained through the MEMS sensor. This is to determine the period similar to the sine graph of abdominal movement by acquiring the value of each axis.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check whether the shape of the breathing cycle, that is, the shape similar to a sine graph in which the abdominal movement has a constant frequency, is output.
  • Movement outside the frequency range or not reached is determined by filtering the filter and then determining the period of the sine graph to inform the operator. In this case, when the period is too slow or too fast, the breath of the subject is determined to be unstable.
  • the accelerometer X, Y, Z axis value and the gyro X, Y, Z axis value through the band-pass filter.
  • the pass frequency was set to 0.1Hz ⁇ 1Hz based on the breathing cycle.
  • the period is determined by the values of the Z axis and the gyro X axis, which are less influenced by gravity and the displacement difference is obvious.
  •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through a polysomnography test in a hospital with a neurology department.
  • the test takes about 12 hours on average and often complains of uncomfortable sleep due to sleep in an unfamiliar place, rather than sleeping in a familiar and familiar space.
  • Sensitive subjects may have complaints of insomnia and may be accompanied by skin allergy after measurement.
  • the measurement by the conventional method is impossible for young children with a lot of age, and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and expensive to measure periodically every day.
  • the respiratory average value calculation unit 550 extracts the average period information of the respiration stored in the respiratory mean period storage unit and obtains the filtered value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respiration.
  • the respiratory cycle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data of each axis according to the posture once every 50ms, and stored for 5 seconds, which is assumed to have passed at least once, based on the average interval of respiration.
  • the average value is calculated by the breathing average value calculation unit.
  • the average value is removed from the stored data.
  • the time when the sign of the filtered data is '+' to '-' is determined to pass the axis of '0' and the time until the next sign is '+' to '-' is obtained. Soon, one cycle of breathing can be calculated and calculated.
  • the power supply unit receives the power from the outside to provide power to the MEMS sensor, MC U,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 the MC can filter only the band between 0.1 Hz and 1 Hz, which is a frequency similar to breathing, to the sleep posture by filtering the values of the X, Y and Z axes of the gyro sensor and the X, Y and Z axes of the accelerometer obtained through the MEMS sensor.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period similar to the sine graph of abdominal movement by acquiring the value of each axis as a reference.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is to provide the cycle information of the breath provided by the MC to the external measurement device information linkage processing unit 150 by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preferably us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 the power supply unit receives the power from the outside to provide power to the MEMS sensor, MC U,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 the MC 570 acquires the value measured by the MEMS sensor and determines the posture during sleep, and provides the posture information and the respiratory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respiratory average value calculating unit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o link the external measuring device information.
  • the function to send to the processing unit 150 is performed.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580 is to provide the posture information or breath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C to the external measurement device information interworking unit 150 by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preferably us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 the MC oil 570 which is a key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ll angle measuring unit, a pitch angle measuring unit, and a posture determination result providing unit.
  • the roll angle measuring unit performs a function of measuring the ROLL angle value through the value of the accelerometer X axis and the value of the accelerometer Z axis.
  • the pitch angle measuring unit performs a function of measuring a PITCH angle value through values of an accelerometer Y axis and an accelerometer Z axis.
  • the posture determination result providing unit acquires a result value measured by the roll angle measuring unit and the pitch angle measuring unit, and is lying in a straight position, looking in the left side and lying sideways, looking in the right side and lying on the side.
  •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judgment result is provided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in a standing posture, lying down, or standing.
  • the posture information means a result value determined by the posture determination result providing unit.
  • the gyro X, Y, Z axis values obtained through the MEMS sensor and the acceleration X, Y, Z axis values are processed to obtain the Roll angle and Pitch angle values, and then the sleep position is determined using these values.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of the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3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n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and a risk level event signal generation unit 330. .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apparatus 100, and stores the received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 the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is a threshold value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a threshold value for air pressure, a threshold value for TVOCs, a threshold value for CO2 and CO, fine dust included in the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 threshold value for, the threshold value for illuminance, the threshold value for noise is stored.
  • the danger level event signal generation unit 330 extracts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threshold value of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Each level is compared to determine the level of risk.
  • the measured noise is 30dB
  • the threshold value of the noise stored in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is 10dB
  • an event signal for each level of risk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for example, a caution signal when the excess value is less than 5 dB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of 10 dB, a dangerous signal when less than 5 dB ⁇ 10 dB, more than 10 dB
  • an ev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signal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smart device 200.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device of the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mart device 200 includes an app execution unit 210 and an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output unit 220.
  • the app running unit 210 to run the app for displaying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300.
  • the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put for each area, for example, the first area for output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ment value and the threshold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11, measured by the barometric pressure sensor 112.
  • a second area for outputting the barometric pressure value and a threshold value a third area for outputting the TVOCs value and the threshold value measured by the TVOCs sensor 113, and a CO2 and CO value measured by the CO2 / CO sensor 114
  • At least one area information of the sixth area for output, the noise value measured by the noise sensor 117 and the seventh area for outputting the threshold valu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information output unit 220 When the app is run, the indoor parenting Machine room childcare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server environment that will be displayed in the layout set.
  • the measured noise value and the threshold value are displayed in the seventh region.
  •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server-linked integrated infant health status monitoring device that detects the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of the indoor place where infants are located and serves as a repeater to provide to the indoor parenting environment information server based on short-range communication. By doing so, it provides the effect of monitoring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where infants are located in real time through a plurality of user mobile applications and the we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유아가 위치하고 있는 실내 장소의 실내 육아 환경을 감지하여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본 발명은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유아가 위치하고 있는 실내 장소의 실내 육아 환경을 감지하여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집이나 가정에서 가장 사회적 문제가 되는 것이 영아 돌연사이다.
영아 돌연사는 생후 6개월 미만의 아기들이 90%를 차지하고 있다.
생후 5~6개월이 되면 아기들이 혼자 뒤집기를 시작하는데 얼굴을 이불에 대고 엎어지는 경우 숨을 못 쉬어 숨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부모나 어린이집 선생님들은 항상 아이의 수면 상태를 계속 관찰해야 하고 매우 민감하게 돌봐야 하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영유아 보육은 국가의 근본이 되는 산업으로 영아 돌연사는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즉, 유아 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은 부검이나 사망 당시의 상황이나 병력 검토 등 사후 검사에서도 사망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신생아나 유아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말한다.
돌연사한 아이들의 연령을 보면 거의 1세 미만이고, 그 중에서 6개월 미만이 대다수 차지하며, 특히 생후 1 ~ 4개월의 유아에게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후 1년 이내의 유아들은 신체를 제대로 가눌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잠을 자며 누워서 지내므로, 몸을 뒤척이거나 뒤집는 동작을 하는 과정에서 질식사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효과적인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고 관리자(교사,원장,부모)들이 항상 영아를 관심 있게 관찰하는 것이다.
하지만, 24시간 항상 영아를 계속 관찰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스템 개발 및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출산 후, 0세 이상 영유아의 실내 육아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해당 모니터링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며, 서버와 연동된 스마트기기를 통해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10-2016-0000711호(2016.01.0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유아가 위치하고 있는 실내 장소의 실내 육아 환경을 감지하여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영유아가 위치하는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110)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0)와,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여 근거리통신부로 제공하여 스마트기기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송출하기 위한 엠씨유(130)와,
상기 엠씨유에서 제공된 실내 측정 감지 정보를 스마트기기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스마트기기(200)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300)로 제공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영유아가 위치하고 있는 실내 장소의 실내 육아 환경을 감지하여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웹을 통해 실시간으로 영유아가 위치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외부측정장치정보연동처리부를 구성함으로써, 체온측정장치 혹은 자세/호흡측정장치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동될 경우에, 체온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영유아의 체온 정보 혹은 영유아의 자세 혹은 호흡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함으로써, 확장성과 효율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스마트기기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자세/호흡측정장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영유아가 위치하는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110)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0)와,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여 근거리통신부로 제공하여 스마트기기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송출하기 위한 엠씨유(130)와,
상기 엠씨유에서 제공된 실내 측정 감지 정보를 스마트기기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스마트기기(200)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300)로 제공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는,
체온측정장치(400) 혹은 자세/호흡측정장치(500)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동될 경우에, 체온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영유아의 체온 정보 혹은 영유아의 자세 혹은 호흡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측정장치정보연동처리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기기(200)는,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부터 제공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앱실행부(210);와
앱이 실행되면,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부터 제공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표시하기 위한 실내육아환경정보출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는 스마트기기(200)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300)와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스마트기기 및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100)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300) 간에는 와이파이 망을 이용한 와이파이 중계기를 이용하여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체온측정장치(400) 혹은 자세/호흡측정장치(500) 간에는 블루투스 통신망을 이용하여 체온 정보, 자세 및 호흡 정보를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로 정의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는,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110)와, 전원공급부(120)와, 엠씨유(130)와, 근거리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110)는 영유아가 위치하는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측정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에는 별도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들을 구성하고, 해당 감지 장치들을 별도의 중계기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장치를 구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와 중계기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중계기 역할과 측정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충전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충전배터리를 구성하거나,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엠씨유(130)는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여 근거리통신부로 제공하여 스마트기기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송출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데,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근거리통신부(140)는 엠씨유에서 제공된 실내 측정 감지 정보를 스마트기기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통신 방식인 와이파이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측정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각 측정 항목별 임계치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에서 측정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와 각 측정 항목별 임계치값을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각 측정 항목별 임계치값과 비교하여 임계치값을 벗어날 경우에 해당 측정 항목별 임계치값과 측정값을 포함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알람출력부로 제공하기 위한 이벤트정보생성부;와
상기 이벤트정보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알람음 혹은 문자로 출력하기 위한 알람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임계치값이 30%로 설정하였다면 측정된 미세먼지값이 40%라면 이벤트정보생성부에서 미세먼지값인 40%, 임계치값인 30%를 포함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알람출력부를 통해 알람음 혹은 문자로 출력함으로써, 보호자들이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110)는,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습도센서(111);와
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기압센서(112);와
TVOCs를 측정하기 위한 TVOCs센서(113);와
CO2와 CO를 측정하기 위한 CO2/CO센서(114);와
미세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미세먼지센서(115);와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116);와
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소음센서(1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습도센서를 통해 현재 영유아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게 되며, 기압센서를 통해 기압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TVOCs센서(113)는 TVOCs를 측정하게 되는데, 현재 실내의 유해 가스를 측정하게 되며, CO2/CO센서(114)는 CO2와 CO를 측정하게 되며, 미세먼지센서(115)는 미세먼지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한 센서들은 공기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이며, 현재 실내의 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조도센서(116)를 구성하고, 소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소음센서(117)를 구성하게 된다.
즉, 영유아의 경우에는 공기질, 조도, 소음 등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보호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복합적으로 실내 환경을 측정하게 되며, 상기한 측정 변수를 실내 육아 환경 정보로 정의한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인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는,
체온측정장치(400) 혹은 자세/호흡측정장치(500)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동될 경우에, 체온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영유아의 체온 정보 혹은 영유아의 자세 혹은 호흡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측정장치정보연동처리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는 중계기 역할도 수행하기 때문에 영유아에 대하여 주변 환경이 아닌 영유아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측정 장치들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체온측정장치(400) 혹은 자세/호흡측정장치(50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외부측정장치정보연동처리부(150)는 근거리 통신 방식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체온측정장치(400) 혹은 자세/호흡측정장치(500)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 자세 혹은 호흡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 자세 혹은 호흡 상태 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제공함으로써, 현재 영유아의 체온이나, 수면 자세, 수면 호흡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자세/호흡측정장치(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자세/호흡측정장치(500)는 멤스센서(MEMS sensor, 510), 밴드패스필터부(520), 호흡평균주기분석부(530), 호흡평균주기저장부(540), 호흡평균값계산부(550), 전원공급부(560), 엠씨유(570), 근거리통신부(58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멤스센서(MEMS sensor, 510)는 자이로센서와 가속도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이로센서의 X,Y,Z축의 값과 가속도계의 X,Y,Z축의 값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 축의 값들을 측정하여 이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자세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밴드패스필터부(520)는 상기 멤스센서에 의해 획득된 값을 필터링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특징적인 것으로서 상기 밴드패스필터부는 멤스센서를 통해 획득된 자이로센서의 X,Y,Z축의 값과 가속도계의 X,Y,Z축의 값을 호흡과 비슷한 주파수인 0.1Hz ~ 1Hz 사이 대역만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흡평균주기분석부(530)는 상기 멤스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참조하여 분석된 자세에 따른 각 축의 데이터를 설정 주기당 한번씩 측정하여 호흡의 평균 주기를 분석하여 호흡평균주기저장부(540)에 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세인 경우에는 멤스센서를 통해 획득된 자이로센서의 X,Y,Z축의 값과 가속도계의 X,Y,Z축의 값을 호흡과 비슷한 주파수인 0.1Hz ~ 1Hz 사이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수면 자세를 기준으로 각 축의 값을 획득하여 복부 움직임의 사인그래프와 유사한 주기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호흡의 주기 즉, 복부 움직임이 일정한 주파수를 띄는 사인 그래프와 유사한 모양이 출력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거나 도달하지 못하는 움직임은 필터 처리로 걸러낸 후 그 사인 그래프의 주기를 판단하여 측정자에게 알려주는 것인데, 이때, 주기가 너무 느리거나 너무 빠를 시에는 피 측정자의 호흡이 불안정하다고 판단하여 측정자에게 알리게 되며, 가속도계 X, Y, Z축의 값과 자이로 X, Y, Z축의 값을 Band-pass Filter를 통하여 필터링을 하였다.
이때, 통과 주파수는 호흡 주기를 근거로 하여 0.1Hz ~ 1Hz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과한 값에서 바른 자세로 누워있을 때는 중력의 영향이 적고, 값의 변위차가 뚜렷한 가속도계 Y축과 자이로 X축의 값으로 주기를 파악하였다.
또한, 옆으로 누워 있을 때는 마찬가지로 중력의 영향이 적고, 값의 변위차가 뚜렷한 가속도계 Z축과 자이로 X축의 값으로 주기를 파악하도록 하였다.
기타의 자세에서는 대부분의 가속도축이 동시에 중력의 영향을 받아 측정값이 부정확하거나 혹은 복부가 지면에 닿아 있어 정확한 복부움직임 측정이 불가능하여 호흡주기 파악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바른 자세로 누워있거나, 옆으로 누워 있을 경우를 측정하는 것이다.
종래는 피 측정자의 수면 중 호흡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복잡한 절차와 특정한 장소에서 측정자의 실시간 체크가 이루어져야만 가능하였다.
예를 들어, 피 측정자의 수면 중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신경과가 있는 병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통하여 측정이 되어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일단 검사를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12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가 되고, 평소 피 측정자에게 친숙하고 익숙한 공간에서의 수면이 아닌 낯선 장소에서의 수면으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더불어 여러 유선적인 측정장치를 연결하여 예민한 피 측정자는 불면을 호소하는 경우도 발생하며 측정 후 피부 알레르기 등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은 연령대가 많이 어린 영유아에게는 불가능하며, 또한 매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고 비용도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멤스센서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한 단점을 일거에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호흡평균값계산부(550)는 상기 호흡평균주기저장부에 저장된 호흡의 평균 주기 정보를 추출하여 밴드패스필터부에 제공하여 필터링한 값을 획득하여 호흡의 평균값을 계산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호흡주기 측정은 자세에 따른 각 축의 데이터를 50ms당 한번 씩 측정하여, 호흡의 평균 주기를 바탕으로, 적어도 한번 주기를 통과했다고 가정되는 5초 동안을 저장하여 측정하게 된다.
상기 호흡평균주기저장부에 5초간 저장된 데이터를 밴드패스필터부를 통하여 필터링한 후, 호흡평균값계산부에 의해 평균값을 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평균값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서 제거하게 된다.
이는 필터링된 데이터가 '0'을 기준으로 분포하게끔 영점 보정을 해주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5초마다 평균값을 구하여 그 평균값을 구한 데이터에 영점 보정을 적용하여 연속적인 데이터 배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영점 보정이 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필터링된 데이터의 부호가 '+'에서 '-'되는 순간을 '0'의 축을 지났다고 파악하여 다음 부호가 '+'에서 '-'되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구하면 곧 호흡의 한 주기로 산정하여 계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멤스센서와 엠씨유, 근거리통신부 등에 전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엠씨유는 멤스센서를 통해 획득된 자이로센서의 X,Y,Z축의 값과 가속도계의 X,Y,Z축의 값을 호흡과 비슷한 주파수인 0.1Hz ~ 1Hz 사이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수면 자세를 기준으로 각 축의 값을 획득하여 복부 움직임의 사인그래프와 유사한 주기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근거리통신부는 엠씨유에서 제공된 호흡의 주기 정보를 외부측정장치정보연동처리부(150)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근거리통신부는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멤스센서와 엠씨유, 근거리통신부 등에 전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엠씨유(570)는 상기 멤스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획득하여 수면 중 자세를 판단하여 판단된 자세 정보와 호흡평균값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호흡 정보를 근거리통신부로 제공하여 외부측정장치정보연동처리부(150)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근거리통신부(580)는 엠씨유에서 제공된 자세 정보 혹은 호흡 정보를 외부측정장치정보연동처리부(150)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근거리통신부는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수단인 상기 엠씨유(570)는, 롤각측정부, 피치각측정부, 자세판단결과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롤각측정부는 가속도계 X 축의 값과 가속도계 Z 축의 값을 통해 ROLL angle 값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치각측정부는 가속도계 Y 축의 값과 가속도계 Z 축의 값을 통해 PITCH angle 값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세판단결과제공부는 상기 롤각측정부와 피치각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값을 획득하여 똑바로 누워있는 자세인지, 좌측을 바라보고 옆으로 누워있는 자세인지, 우측을 바라보고 옆으로 누워있는 자세인지, 엎드려 누워있는 자세인지, 서있는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의 자세 정보를 근거리통신부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자세 정보란, 자세판단결과제공부에서 판단하여 내린 결과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멤스센서를 통해 얻은 자이로 X, Y, Z축의 값과 가속도 X, Y, Z축의 값을 가공하여 Roll angle, Pitch angle값을 얻은 후 이 값으로 수면 자세를 판단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300)는, 무선통신부(310), 실내육아환경정보저장부(320), 위험수위별이벤트신호생성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통신부(310)는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수신받게 되며, 수신받은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실내육아환경정보저장부(320)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저장부(320)는 실내 육아 환경 정보에 포함된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임계치값, 기압에 대한 임계치값, TVOCs에 대한 임계치값, CO2와 CO에 대한 임계치값, 미세먼지에 대한 임계치값, 조도에 대한 임계치값, 소음에 대한 임계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임계치값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위험수위별이벤트신호생성부(330)는 무선통신부로부터 획득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로부터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각각 추출하며,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의 임계치값과 각각 비교하여 위험 수위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측정된 소음이 30dB이며, 실내육아환경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소음의 임계치값이 10dB일 경우에 해당 임계치값을 벗어나게 되므로 위험 수위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임계치값일 기준으로 위험 수위별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어, 임계치값인 10dB를 기준으로 초과값이 5dB 미만일 경우에 주의 신호, 5dB ~ 10dB 미만일 경우에 위험 신호, 10dB 이상일 경우에 경고 신호에 해당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기기(2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스마트기기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기기(200)는 앱실행부(210), 실내육아환경정보출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앱실행부(210)를 통해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300)로부터 제공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앱을 실행시키게 된다.
그러면, 영역별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출력시키게 되는데, 예를 들어, 온습도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습도 측정값과 임계치값을 출력하기 위한 제영역, 기압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기압값과 임계치값을 출력하기 위한 제2영역, TVOCs센서(113)에 의해 측정된 TVOCs 값과 임계치값을 출력하기 위한 제3영역, CO2/CO센서(114)에 의해 측정된 CO2와 CO 값과 임계치값을 출력하기 위한 제4영역, 미세먼지센서(115)에 의해 측정된 미세먼지값과 임계치값을 출력하기 위한 제5영역, 조도센서(116)에 의해 측정된 조도값과 임계치값을 출력하기 위한 제6영역, 소음센서(117)에 의해 측정된 소음값과 임계치값을 출력하기 위한 제7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실내육아환경정보출력부(220)에 의해 앱이 실행되면,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부터 제공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음의 경우에는 제7영역에 측정된 소음값과 임계치값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영유아가 위치하고 있는 실내 장소의 실내 육아 환경을 감지하여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웹을 통해 실시간으로 영유아가 위치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영유아가 위치하는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110)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0)와,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감지 정보를 획득하여 근거리통신부로 제공하여 스마트기기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송출하기 위한 엠씨유(130)와,
    상기 엠씨유에서 제공된 실내 측정 감지 정보를 스마트기기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스마트기기(200) 혹은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300)로 제공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는,
    체온측정장치(400) 혹은 자세/호흡측정장치(500)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동될 경우에, 체온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영유아의 체온 정보 혹은 영유아의 자세 혹은 호흡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측정장치정보연동처리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200)는,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부터 제공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앱실행부(210);와
    앱이 실행되면, 상기 실내육아환경정보서버로부터 제공된 실내 육아 환경 정보를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표시하기 위한 실내육아환경정보출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PCT/KR2019/004642 2018-04-20 2019-04-17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WO201920356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354 2018-04-20
KR1020180046354A KR102135425B1 (ko) 2018-04-20 2018-04-20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567A1 true WO2019203567A1 (ko) 2019-10-24

Family

ID=6823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4642 WO2019203567A1 (ko) 2018-04-20 2019-04-17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5425B1 (ko)
WO (1) WO201920356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2797A1 (en) * 2010-08-06 2012-02-09 Cosco Management, Inc. Remote child monitoring system with temperature sensing
KR20160040773A (ko) * 2014-10-06 2016-04-15 (주)유로스마트 다수 측정센서들과의 통신제어가 최적화된 실시간 영유아 건강관리 모니터링시스템
US20160287073A1 (en) * 2015-04-05 2016-10-06 Smilables Inc. Infant monitoring hub
KR20170045606A (ko) * 2015-10-19 2017-04-27 주식회사 이쓰리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KR101798498B1 (ko) * 2017-04-28 2017-11-16 주식회사 엠프로스 영유아 수면 감시용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711A (ko) 2014-06-25 2016-01-05 필아이티 주식회사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공기 오염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2797A1 (en) * 2010-08-06 2012-02-09 Cosco Management, Inc. Remote child monitoring system with temperature sensing
KR20160040773A (ko) * 2014-10-06 2016-04-15 (주)유로스마트 다수 측정센서들과의 통신제어가 최적화된 실시간 영유아 건강관리 모니터링시스템
US20160287073A1 (en) * 2015-04-05 2016-10-06 Smilables Inc. Infant monitoring hub
KR20170045606A (ko) * 2015-10-19 2017-04-27 주식회사 이쓰리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KR101798498B1 (ko) * 2017-04-28 2017-11-16 주식회사 엠프로스 영유아 수면 감시용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425B1 (ko) 2020-07-17
KR20190122490A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08582A1 (ko) 스마트 침대 시스템 및 제어 방법
EP1350466B1 (en) Monitor
WO2014101466A1 (zh) 一种血压测量仪
US20140303459A1 (en) Psg test headgear and psg test apparatus
WO2017069342A1 (ko)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WO2018147477A1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근로자 건강관리 방법
KR101712191B1 (ko) 환자 낙상예방 모니터링 장치
WO2014035056A1 (ko) 하의 부착형 센서 유닛을 가지는 수면 장애 검출 시스템
JP7177150B2 (ja) 携帯用パーソナルレスピレータおよびその使用
WO2018074576A1 (ja) 生体情報監視装置及びシステム
KR20190088686A (ko) 스마트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0271103A (ja) 無呼吸検出装置
WO2016140389A1 (ko) 사용자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형 장치 및 시스템
WO2019203567A1 (ko) 서버 연계형 통합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WO2016197385A1 (zh) 一种可监控人体意外摔倒的报警系统及方法
CN113706824A (zh) 一种基于物联网监控的老人居家看护系统
WO2021010645A1 (ko) 식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9221332A1 (ko) 무구속형 영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JPWO2020071375A1 (ja) 状態監視装置
JPWO2020003758A1 (ja) レポート出力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CN112971730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婴幼儿睡眠健康数据监测系统
WO2013058565A2 (ko) 인체 위험 상황 감시 장치 및 방법
TWI697852B (zh) 監管系統
US20220148334A1 (en) Breathin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breathing
CN104665930A (zh) 检测健康的穿戴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892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892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