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162A -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162A
KR20220026162A KR1020200106871A KR20200106871A KR20220026162A KR 20220026162 A KR20220026162 A KR 20220026162A KR 1020200106871 A KR1020200106871 A KR 1020200106871A KR 20200106871 A KR20200106871 A KR 20200106871A KR 20220026162 A KR20220026162 A KR 20220026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radle body
negative ion
user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628B1 (ko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주)헤드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드라인 filed Critical (주)헤드라인
Priority to KR1020200106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6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위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 방출유닛과,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래들 본체와,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 또는 크래들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 수집부와,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관리서버 또는 기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는 음이온 발생유닛이 결합되는 크래들 본체에, 사용자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환경정보 수집부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환경정보 수집부의 정보를 관리서버 또는 기등록된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어 유아 지킴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Portable air purifier with infant keeper function}
본 발명은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이온을 방출하여 공기를 정화하되, 사용자의 주위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서버 및 기등록된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일상은 항상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업화에 따른 각종 매연과 같은 산업공해와 공기 중을 부유하는 미세먼지, 그리고 알레르기(allergy)를 유발하는 꽃가루를 비롯하여 황사, 중증 급성 호흡기 중후근(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AI) 등의 바이러스가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등 심각한 환경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중의 부유하는 유해물질들을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 청정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일정한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공기 중의 부유하는 유해물질들을 완벽하게 청정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지면이나 기타 부수적인 장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휴대가 불가능하여 이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상의 제약이 많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12857호(등록일 : 2006 03 27)에서는 천연물질과 향이 배합된 건강 기능성 음이온 목걸이를 제안하였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01070호(등록일 : 2005 11 04)에서는 전류가 인가되는 내부 심선과 내부 심선을 감싸도록 된 절연 층으로 이루어진 도전 선과, 상기 도전 선이 내부에 결합되기 위한 관로를 형성하는 음이온 관체를 포함하는 음이온 방사 줄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음이온을 발생시킬 뿐, 사용자의 위치 정보나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유아 지킴이 기능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9720호 : 휴대용 음이온 발생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음이온 발생유닛이 결합되는 크래들 본체에, 사용자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환경정보 수집부가 마련된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는 주위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 방출유닛과,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래들 본체와,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 또는 크래들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 수집부와,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관리서버 또는 기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는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어 해당 크래들 본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모듈과, 상기 크래들 본체 주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구비한다.
상기 크래들 본체는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상기 크래들 본체의 삽입슬롯에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결합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의 메인 배터리를 충진시키기 위해 상기 크래들 본체에 마련된 배터리 충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시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의 충전단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슬롯 상에 설치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메인 배터리로 전기를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는 외주면이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에 접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삽입슬롯 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크래들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회전휠에 마련된 회전감지부와, 상기 회전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삽입슬롯에 대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의 삽입 깊이를 산출하는 깊이 산출부와,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상기 크래들 본체에 불완전 결합시 경고등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 또는 크래들 본체에 설치된 경고부와, 상기 깊이 산출부에서 제공되는 산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삽입슬롯에 대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의 삽입깊이가 기설정된 기준 깊이 미만일 경우, 해당 음이온 방출유닛이 상기 크래들 본체에 불완전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등이 표시되도록 상기 경고부를 제어하는 경고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제어부는 상기 삽입슬롯에 대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의 삽입깊이가 기준 깊이 이상인 상태에서, 해당 기준 깊이 미만으로 변경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와 함께 알림 정보를 위급상황 대처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는 상기 착용부재를 착용한 사용자에 대향되는 상기 크래들 본체의 일측면에 상호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드럼과, 상기 사용자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드럼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드럼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부착돌기와,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크래들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크래들 본체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달리는 상태이거나 뜀 운동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상태 판별부와, 상기 브라켓을 상호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드럼에 설치된 드럼 구동부와, 상기 상태 판별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달리는 상태이거나 뜀 운동 상태로 판별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15)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부착돌기가 상기 의복(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부착돌기가 형성된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이 상기 의복(15)에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드럼들을 회전시키되, 상기 회전드럼들 사이에 상기 의복(15) 중 일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회전드럼들을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드럼 구동부를 제어하는 파지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는 음이온 발생유닛이 결합되는 크래들 본체에, 사용자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환경정보 수집부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환경정보 수집부의 정보를 관리서버 또는 기등록된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어 유아 지킴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100)는 주위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 방출유닛(110)과,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래들 본체(120)와,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 또는 크래들 본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30)와, 상기 크래들 본체(120)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 수집부(140)와,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정보를 관리서버 또는 기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50)을 구비한다.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에 음이온이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112)가 형성된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음이온 발생모듈(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11)는 내부에 음이온 발생모듈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전면 하단부에는 상기 음이온 발생모듈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1) 내부에는 상기 음이온 발생모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11)의 하면에는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메인 배터리에 연결되는 충전단자(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모듈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그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원리는, 방전 극과 접지전극의 2개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 극에 전원을 인가함과 더불어 상기 접지전극을 접지하여 상기 방전 극에서 전자 또는 양전자가 접지전극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방전 극에서 전자가 대기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은 상기 방전극에서 방출된 전자가 대기 또는 수중 등에 부유된 수증기와 질소와 산소와 이의 화합물 등에 결합되어 상기 수중기 및 가스 등을 음극성을 갖는 물질로 변화시켜 형성되며, 이 음극성을 갖는 음이온화 된 물질이 또 다른 물질과 결합되어 요구하는 작용 및 효과를 얻게 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음이온 발생모듈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보호 하우징(미도시) 내부에 밀봉되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보호 하우징의 일측에는 음이온 방출호스(미도시)의 일측 단이 연결설치되어 음이온 발생모듈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을 음이온 방출호스를 따라 진행하여 외부 즉, 사용자의 안면으로 방출되게 되어 있다. 이때, 음이온 방출호스의 타측 단이 상기 케이스(111)의 방출구(112)에 대향되거나 방출구(112)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111)에 세팅될 수도 있다.
크래들 본체(12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부에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슬롯(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슬롯(121)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해 하방으로 인입되는데, 상기 음이온 발출유닛의 케이스(111)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는 깊이만큼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래들 본체(120)는 외부에서 상기 케이스(111)의 작동 스위치(113)를 조작할 수 있도록 삽입슬롯(121)의 전방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삽입슬롯(121)은 상기 케이스(111)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1)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좌우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래들 본체(120)의 좌측면에는 후술되는 환경정보 수집부(140)의 카메라(142)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 카드가 인입될 수 있도록 카드 리더기(1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는 SD카드(Secure Digital memory card)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크래들 본체(120)의 우측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카메라(14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해당 카메라(14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촬영버튼(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착용부재(130)는 음이온 방출유닛(110)에 설치되는 제1목걸이(131)를 구비한다. 상기 제1목걸이(131)는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케이스(111)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환형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목걸이(131)는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목걸이(131)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크래들 본체(12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재(130)는 크래들 본체(120)에 설치되는 제2목걸이(13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목걸이(132)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환형으로 연장형성된다. 사용자는 제1목걸이(131)와 제2목걸이(132)를 모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환경정보 수집부(140)는 상기 크래들 본체(120)에 설치되어 해당 크래들 본체(12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모듈(141)과, 상기 크래들 본체(120) 주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래들 본체(120)에 설치되는 카메라(142)를 구비한다.
상기 지피에스모듈(141)은 크래들 본체(120) 내부에 설치되며, 위성과 통신 가능하게 되어 위성으로부터 크래들 본체(12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정보를 통신모듈(150)로 전송한다. 상기 지피에스모듈(141)은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위치정보 획득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카메라(142)는 삽입슬롯(121) 하측의 크래들 본체(120) 전면에 설치되어 크래들 본체(120) 주위 즉, 사용자 주위를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142)는 촬영된 영상 정보를 카드 리더기(122)에 인입된 메모리 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42)는 크래들 본체(120)에 마련된 촬영버튼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100)는 상기 크래들 본체(120)의 삽입슬롯(121)에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이 결합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메인 배터리를 충진시키기 위해 상기 크래들 본체(120)에 마련된 배터리 충전부(1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부(160)는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이 상기 삽입슬롯(121)에 삽입시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충전단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슬롯(121) 상에 설치되는 연결단자(161)와, 상기 연결단자(161)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크래들 본체(120)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단자(161)를 통해 상기 메인 배터리로 전기를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단자(161)는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케이스(111) 하부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슬롯(121)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연결단자(161)는 삽입슬롯(121)의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배터리는 소정의 전력이 충전되는 것으로서, 크래들 본체(120) 내부에 설치되며, 연결단자(161)에 연결되어 있어 연결단자(161)가 케이스(111)의 충전단자에 연결시 연결단자(161)를 통해 충전된 전기를 메인 배터리로 공급한다. 한편, 크래들 본체(120)의 측면에는 해당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보조단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해당 보조 배터리는 상기 보조단자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보조단자에 연결된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된다.
통신모듈(150)은 지피에스모듈(141)에 제공되는 위치정보 및 카메라(142)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서버 또는 기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관리서버는 유아 지킴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고, 수신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기등록된 단말기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보호자가 기등록한 단말기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처리기기가 적용된다. 해당 기등록된 단말기는 해당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마련되어 있고, 해당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켜 통신모듈(150)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100)는 음이온 발생유닛이 결합되는 크래들 본체(120)에, 사용자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환경정보 수집부(140)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환경정보 수집부(140)의 정보를 관리서버 또는 기등록된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어 유아 지킴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210)는 외주면이 상기 삽입슬롯(121)에 삽입되는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에 접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삽입슬롯(121) 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크래들 본체(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휠(211)과, 상기 회전휠(211)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회전휠(211)에 마련된 회전감지부(212)와, 상기 회전감지부(212)에서 감지된 회전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삽입슬롯(121)에 대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삽입 깊이를 산출하는 깊이 산출부(213)와,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이 상기 크래들 본체(120)에 불완전 결합시 경고등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 또는 크래들 본체(120)에 설치된 경고부(214)와, 상기 깊이 산출부(213)에서 제공되는 산출 정보를 토대로 경고부(214)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고 제어부(215)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휠(211)은 삽입슬롯(121)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세팅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크래들 본체(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회전휠(211)은 일부가, 삽입슬롯(121)에 삽입되는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케이스(111)에 접할 수 있도록 삽입슬롯(121) 상에 노출되도록 크래들 본체(1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감지부(212)는 상기 회전휠(211)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해당 회전휠(211)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엔코더가 적용된다. 한편, 회전감지부(212)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111)에 간섭되어 회전하는 회전휠(211)의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상기 회전감지부(212)는 감지된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깊이 산출부(213)에 제공한다.
깊이 산출부(213)는 회전감지부(212)에서 제공되는 회전휠(211)의 회전수에, 상기 회전휠(211)의 원주길이를 곱한 값에, 회전휠(211)의 세팅거리를 더하여 삽입슬롯(121)에 대한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삽입 깊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깊이 산출부(213)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감지부(212)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삽입슬롯(121)에 대한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삽입 깊이를 산출할 수 있는 산출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경고부(214)는 크래들 본체(120) 전면에 설치되어 적색의 경고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엘이디 램프가 적용된다. 한편, 상기 경고부(214)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케이스(111) 전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경고 제어부(215)는 상기 깊이 산출부(213)에서 제공되는 산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삽입슬롯(121)에 대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삽입깊이가 기설정된 기준 깊이 미만일 경우, 해당 음이온 방출유닛(110)이 상기 크래들 본체(120)에 불완전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등이 표시되도록 상기 경고부(214)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준깊이는 상기 삽입슬롯(121)의 상단부에서 삽입슬롯(121)의 바닥면까지의 거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경고 제어부(215)는 삽입슬롯(121)에 대해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불완전 결합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음이온 방출유닛(110)이 크래들 본체(120)로부터 분리되거나 음이온 방출유닛(110)이 배터리 충전부(160)에 미연결되어 메인 배터리가 미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고 제어부(215)는 상기 삽입슬롯(121)에 대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110)의 삽입깊이가 기준 깊이 이상인 상태에서, 해당 기준 깊이 미만으로 변경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정보와 함께 알림 정보를 위급상황 대처기관에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범죄상황이나 기절과 같은 위험상황에서,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음이온 방출유닛(110)이 분리될 수 있는데, 경고 제어부(215)는 분리되는 음이온 방출유닛(110)을 감지하여 위급상황 대처기관에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급상황 대처기관은 경찰서, 소방서 또는 미아관리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알림 정보에는 사용자에 대한 신상정보가 포함될 수 있도록 위급상황 대처기관은 경고 제어부(215)에 의해 전송된 위치정보 또는 영상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신속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2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220)는 상기 착용부재(130)를 착용한 사용자에 대향되는 상기 크래들 본체(120)의 일측면에 상호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221)과, 상기 브라켓(221)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드럼(222)과, 상기 사용자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드럼(222)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드럼(222)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부착돌기(223)와, 상기 크래들 본체(120)에 설치되어 상기 크래들 본체(1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224)와, 상기 움직임 감지부(224)에서 제공되는 상기 크래들 본체(12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달리는 상태이거나 뜀 운동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상태 판별부(225)와, 상기 브라켓(221)을 상호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시키는 액츄에이터(226)와, 상기 회전드럼(22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드럼(222)에 설치된 드럼 구동부(227)와, 상기 상태 판별부(225)에서 상기 사용자가 달리는 상태이거나 뜀 운동 상태로 판별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15)을 파지할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226) 및 드럼 구동부(227)를 제어하는 파지 제어부(228)를 더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221)은 복수개가 크래들 본체(120)의 후면에,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브라켓(221)은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드럼(222)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회전드럼(222)의 상단부는 브라켓(22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드럼(222)은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돌기(223)는 회전드럼(222)의 외주면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착돌기(223)는 회전드럼(222)의 회전에 의해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15)에 접촉될 경우, 해당 의복(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부착돌기(223)는 보다 용이하게 의복(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단부가 하방 또는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움직임 감지부(224)는 크래들 본체(120) 내에 설치되며, 크래들 본체(12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가 적용된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224)는 크래들 본체(120)의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상태 판별부(225)에 제공한다.
상태 판별부(225)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224)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착용부재(130)를 착용한 사용자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이동할 경우, 해당 사용자가 달리는 상태로 판별한다. 또한, 상태 판별부(225)는 사용자가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경우, 해당 사용자가 뜀 운동 상태로 판별한다. 여기서, 상태 판별부(225)는 판별정보를 파지 제어부(228)에 제공한다.
액츄에이터(226)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좌우단부가 각각 브라켓(221)에 연결되며, 좌우방향 길이가 신축되는 스크류잭이 적용된다. 한편, 액츄에이터(226)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브라켓(221)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구동 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드럼 구동부(227)는 회전드럼(222)들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드럼(22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드럼 구동부(227)는 파지 제어부(228)에 의해 회전드럼(222)을 회전시킨다.
파지 제어부(228)는 상기 상태 판별부(225)에서 상기 사용자가 달리는 상태이거나 뜀 운동 상태로 판별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15)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221)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26)를 제어한다. 이때, 파지 제어부(228)는 상기 부착돌기(223)가 상기 의복(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부착돌기(223)가 형성된 상기 회전드럼(222)의 외주면이 상기 의복(15)에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드럼(222)들을 회전시키되, 상기 회전드럼(222)들 사이에 상기 의복(15) 중 일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회전드럼(222)들을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드럼 구동부(227)를 제어한다. 즉, 파지제어부는 도 7을 기준으로 크래들 본체(120) 우측의 회전드럼(22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크래들 본체(120) 좌측의 회전드럼(22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드럼 구동부(227)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파지 제어부(228)는 사용자가 달리는 상태이거나 뜀 운동 상태일 경우, 크래들 본체(120)가 사용자의 의복(15)에 부착되도록 액츄에이터(226) 및 드럼 구동부(227)를 작동시키므로 사용자가 달리거나 뛰더라도 크래들 본체(120)가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음이온 방출유닛(110)이 사용자의 안면으로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110: 음이온 방출유닛
111: 케이스
112: 방출구
113: 작동 스위치
120: 크래들 본체
121: 삽입슬롯
122: 카드 리더기
123: 촬영버튼
130: 착용부재
131: 제1목걸이
132: 제2목걸이
140: 환경정보 수집부
141: 지피에스모듈
142: 카메라
150: 통신모듈
160: 배터리 충전부
161: 연결단자
162: 보조 배터리

Claims (7)

  1. 주위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 방출유닛;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래들 본체;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 또는 크래들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 수집부; 및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관리서버 또는 기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는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어 해당 크래들 본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피에스모듈; 및
    상기 크래들 본체 주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본체는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슬롯이 형성된,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본체의 삽입슬롯에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결합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의 메인 배터리를 충진시키기 위해 상기 크래들 본체에 마련된 배터리 충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부는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시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의 충전단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슬롯 상에 설치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메인 배터리로 전기를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는,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외주면이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에 접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삽입슬롯 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크래들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휠;
    상기 회전휠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회전휠에 마련된 회전감지부;
    상기 회전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삽입슬롯에 대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의 삽입 깊이를 산출하는 깊이 산출부;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이 상기 크래들 본체에 불완전 결합시 경고등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 또는 크래들 본체에 설치된 경고부;
    상기 깊이 산출부에서 제공되는 산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삽입슬롯에 대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의 삽입깊이가 기설정된 기준 깊이 미만일 경우, 해당 음이온 방출유닛이 상기 크래들 본체에 불완전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등이 표시되도록 상기 경고부를 제어하는 경고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제어부는 상기 삽입슬롯에 대한 상기 음이온 방출유닛의 삽입깊이가 기준 깊이 이상인 상태에서, 해당 기준 깊이 미만으로 변경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와 함께 알림 정보를 위급상황 대처기관에 전송하는,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재를 착용한 사용자에 대향되는 상기 크래들 본체의 일측면에 상호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드럼;
    상기 사용자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드럼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드럼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부착돌기;
    상기 크래들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크래들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크래들 본체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달리는 상태이거나 뜀 운동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상태 판별부;
    상기 브라켓을 상호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드럼에 설치된 드럼 구동부; 및
    상기 상태 판별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달리는 상태이거나 뜀 운동 상태로 판별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15)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부착돌기가 상기 의복(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부착돌기가 형성된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이 상기 의복(15)에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드럼들을 회전시키되, 상기 회전드럼들 사이에 상기 의복(15) 중 일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회전드럼들을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드럼 구동부를 제어하는 파지 제어부;를 구비하는,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0200106871A 2020-08-25 2020-08-25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449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871A KR102449628B1 (ko) 2020-08-25 2020-08-25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871A KR102449628B1 (ko) 2020-08-25 2020-08-25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162A true KR20220026162A (ko) 2022-03-04
KR102449628B1 KR102449628B1 (ko) 2022-09-30

Family

ID=8081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871A KR102449628B1 (ko) 2020-08-25 2020-08-25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628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291A (ja) * 2006-06-12 2007-12-27 Sharp Corp 携帯型空気浄化装置
KR20100002009A (ko) * 2008-07-14 2010-01-06 주식회사 오벨코리아 액세서리용 음이온 발생목걸이
KR101419720B1 (ko) 2013-01-09 2014-08-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이온 발생기
KR200474765Y1 (ko) * 2014-05-20 2014-10-13 이희철 목걸이형 음이온 풍 발생장치
KR20170045606A (ko) * 2015-10-19 2017-04-27 주식회사 이쓰리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KR20170098391A (ko)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프리텍 유모차 거치용 음이온 발생기
KR20170098390A (ko)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프리텍 휴대폰 거치기능을 가지는 착탈식 음이온 발생기
KR101812124B1 (ko) * 2016-08-12 2018-01-09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WO2019175863A1 (en) * 2018-03-11 2019-09-19 Sescom Ltd Ultra-light small rechargeable emergency power bank for mobile devices
KR102062236B1 (ko) * 2018-11-27 2020-01-03 (주)헤드라인 음이온 방출 목걸이
KR20200015291A (ko) * 2018-08-03 2020-02-12 서정호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291A (ja) * 2006-06-12 2007-12-27 Sharp Corp 携帯型空気浄化装置
KR20100002009A (ko) * 2008-07-14 2010-01-06 주식회사 오벨코리아 액세서리용 음이온 발생목걸이
KR101419720B1 (ko) 2013-01-09 2014-08-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이온 발생기
KR200474765Y1 (ko) * 2014-05-20 2014-10-13 이희철 목걸이형 음이온 풍 발생장치
KR20170045606A (ko) * 2015-10-19 2017-04-27 주식회사 이쓰리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KR20170098391A (ko)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프리텍 유모차 거치용 음이온 발생기
KR20170098390A (ko)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프리텍 휴대폰 거치기능을 가지는 착탈식 음이온 발생기
KR101812124B1 (ko) * 2016-08-12 2018-01-09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WO2019175863A1 (en) * 2018-03-11 2019-09-19 Sescom Ltd Ultra-light small rechargeable emergency power bank for mobile devices
KR20200015291A (ko) * 2018-08-03 2020-02-12 서정호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62236B1 (ko) * 2018-11-27 2020-01-03 (주)헤드라인 음이온 방출 목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628B1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0893A (zh) 指示供气式呼吸器系统中的危险暴露
CN105492984B (zh) 自走式电子设备
CN103913268B (zh) 具有声音和视觉指示的可佩戴的低压报警装置
CN109414603A (zh) 用于防护头戴装置的改进型传感器模块
US20200007741A1 (e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10798282B2 (en) Min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6016099A (en) Automatically active personal alert safety system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6002855U (zh) 智能手表
CN204319548U (zh) 空气呼吸器的多功能告警安全设备
US20060270471A1 (en) Modular system for electronic assembly units worn close to the body and process for putting same into operation
CN101785587A (zh) 一种电子标签型口罩及携带物套装、系统及其实现方法
CN104200535B (zh) 一种基于二维码信息的巡检签到装置
WO2017098329A1 (en) Respirator mask management system
KR102449628B1 (ko)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CN108881643A (zh) 一种行走使用手机危险提醒装置及其使用方法
CN202472870U (zh) 新型气体报警仪
KR102056202B1 (ko) 기저귀 장착용 용변 감지 장치를 갖는 용변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CN207383255U (zh) 一种新型宠物导航项圈
KR200469487Y1 (ko) 아동용 다기능성 우산
CN105771105A (zh) 一种智能防霾装置
KR102138438B1 (ko) 스마트 랜턴
CN207779444U (zh) 实时监测周围环境的穿戴设备
CN206260927U (zh) 一种用于地下施工的安全帽
CN215867135U (zh) 一种带有报警功能的多源融合定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