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124B1 -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124B1
KR101812124B1 KR1020160102788A KR20160102788A KR101812124B1 KR 101812124 B1 KR101812124 B1 KR 101812124B1 KR 1020160102788 A KR1020160102788 A KR 1020160102788A KR 20160102788 A KR20160102788 A KR 20160102788A KR 101812124 B1 KR101812124 B1 KR 101812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 information
unit
voice
information collecting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중
Original Assignee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02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5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mobile data collecting device, e.g. walk by or drive 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2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where the sensing device takes the initiative of sending data
    • H04Q2209/823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where the sensing device takes the initiative of sending data where the data is sent when the measured values exceed a threshold, e.g. sending an alarm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에 관한 것으로, 측정값이 포함된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주위 환경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이루어진 환경정보 수집부; 환경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환경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환경정보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환경정보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통신부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환경정보 수집부, 통신부, 제어부 및 전원부를 수용하는 휴대용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The combination multifunctional Portable State the measuring devices of Bluetooth based}
본 발명은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및 야외환경에서 온도, 습도, 조도, 연기 및 불꽃에 대한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해줄 수 있도록, 기능이 개선된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쾌적한 환경에 대해서 온도, 습도, 기타 유해물질에 대한 위험성이 대두 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도 미세먼지 단계별 경보제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시범예보 중인 초미세먼지(PM2.5)를 본예보로 전환했으며. 2014년도에 발표한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를 높여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예보를 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그리고 노인복지시설, 보육시설, 도서관, 학원, 의료기관, 업무시설, 지하상점가, 대합실,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실내주차장 등 불특정 다수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설과 아파트와 연립주택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 이상의 공동주택을 규제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현재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활동인 여행, 캠핑 등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에 따라, 주위 환경정보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 환경상태 측정 시스템은 임의의 지역에 고정된 상태에서 특정 환경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다른 위치의 전광판이나 방송 매체 등에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특정 환경정보는 임의의 지역에 고정된 상태에서 측정되기 때문에 실제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여행지, 캠핑장, 및 다중이용 시설 등과 같은 장소에서의 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및 실외에서도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그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집된 환경정보의 음성 출력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상태측정 측정기기와 연동하여 일정 지역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환경정보를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 지역의 환경정보 수집 시, 지역에 따라 수집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환경정보 중에서 선택적으로 환경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측정기기의 배터리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광범위한 지역의 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는 측정값이 포함된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주위 환경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이루어진 환경정보 수집부;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환경정보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환경정보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는, 조도 센서, 불꽃 센서, 연기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환경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사용자가 음성으로 지시하는 명령을 인식하고 그 음성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음성 인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된 음성 명령에 따른 환경정보를 음성 출력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 통신부, 제어부 및 전원부를 수용하는 휴대용 몸체; 상기 음성 출력부와 음성 인식부를 수용하는 도킹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용 몸체과 도킹 본체에는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각각의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용 몸체과 도킹 본체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다른 상태 측정기기와 환경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다른 상태 측정기기와 접속하는 메쉬 연동부; 및 상기 메쉬 연동부를 통해 상기 다른 상태 측정기기와 연동 시, 환경정보 감지 연동 지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연동된 다른 상태 측정기기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환경정보 감지 연동 지역의 접속 위치에 따라 감지하고자 하는 환경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를 제어하는 외부 단말 연동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부 단말 연동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다른 상태 측정기기와 분산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에서는 물론, 실외에서도 온도, 습도, 조도, 연기 및 불꽃 등과 같은 환경정보들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환경정보들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주위 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몸체와 도킹 본체가 커넥터를 통해 착탈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실내에서는 휴대용 몸체와 도킹 본체를 결합시켜 실내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실외에서는 휴대용 몸체를 도킹 본체에서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되는 상태 측정기기의 위치에 따라 필요한 센싱 만을 함으로써, 측정기기의 전력 효율을 높여 주면서도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환경정보 수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의 기능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서의 환경정보 수집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의 기능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의 기능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가 지역에 따라 수집하고자 하는 환경정보를 달리하여 수집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서의 환경정보 수집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는 환경정보 수집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전원부(140) 및 휴대용 몸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환경정보 수집부(110)는 주위 환경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이루어져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110)는, 조도 센서(111), 불꽃 센서(112), 연기 센서(113), 온도 센서(114) 및 습도 센서(1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나 그 센서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하고, 환경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통신 수단을 블루투스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통신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환경정보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환경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환경정보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가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되도록, 상기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전원부(140)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140)는 충전식 배터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용 몸체(100)는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및 전원부(140)를 수용하고, 각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에서는 물론, 실외에서도 온도, 습도, 조도, 연기 및 불꽃 등과 같은 환경정보들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환경정보들을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주위 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외 활동에서도 환경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환경 상태 모니터링된 환경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됨에 따라 안전하고 편리하게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거시설의 실내 환경상태(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등)를 센서를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 줌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창출과 산업간 시너지 효과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의 기능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서의 환경정보 수집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전원부(140) 및 휴대용 몸체(100)를 포함하고, 음성 출력부(210), 음성 인식부(220) 및 도킹 본체(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특징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음성 출력부(210)는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되는 환경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음성 인식부(220)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지시하는 명령을 인식하고 그 음성 명령을 제어부(13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킹 본체(200)는 상기 음성 출력부(210)와 음성 인식부(220)를 수용하고, 음성 출력부(210)와 음성 인식부(2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휴대용 몸체(100)과 도킹 본체(20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각각의 커넥터(310, 320)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310, 320)를 통해 휴대용 몸체(100)과 도킹 본체(200)가 착탈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음성 인식부(220)를 통해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된 음성 명령에 따른 환경정보를 음성 출력부(2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몸체(100)와 도킹 본체(200)가 커넥터(310, 320)를 통해 착탈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실내에서는 휴대용 몸체(100)와 도킹 본체(200)를 결합시켜 실내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실외에서는 휴대용 몸체(100)를 도킹 본체(200)에서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몸체(100)를 도킹 본체(200)에 결합하여 실내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음성인식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장애로 인해 움직임이 불편하거나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에게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가 지역에 따라 수집하고자 하는 환경정보를 달리하여 수집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서의 환경정보 수집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전원부(140) 및 휴대용 몸체(100)를 포함하고, GPS부(150), 메쉬 연동부(160), 외부 단말 연동 제어부(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특징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GPS부(150)는 측정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메쉬 연동부(160)는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접속하여,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환경정보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연동하는 방법은 메쉬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메쉬 연동부(160)는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통신 프로토콜에 한정되지 않고, 메쉬 네트워크의 구성이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인 경우 이용이 가능하다.
외부 단말 연동 제어부(170)는 메쉬 연동부(160)를 통해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연동 시, 환경정보 감지 연동 지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연동된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환경정보 감지 연동 지역의 접속 위치에 따라 감지하고자 하는 환경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1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연동부(160)를 통해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의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되면, 일 실시예에서와 달리 장치 단독으로 일정 범위에 대해서만 환경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가 수집한 환경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환경정보 수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위치에 따라 감지하고자 하는 환경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함으로써, 복수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면서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앙에 위치한 측정기기(100-A)는 조도센서(111)만 구동되도록 하고, 그 조도센서(111)를 통해 수집한 조도 정보를 다른 연동된 측정기기(100-B, 100-C)로 제공해주고, 측정기기(100-A)의 주위에 배치되어 연동된 다른 측정기기(100-B)들은 불꽃 센서(112)와 연기센서(113)만 구동하고 그 불꽃센서와 연기센서를 통해 수집한 불꽃 및 연기정보를 연동된 다른 측정기기(100-A, 100-C)로 제공해주며, 다른 측정기기(100-B) 다음에 연동된 또 다른 측정기기(100-C)들은 온도센서(114) 및 습도센서(115)만 구동하고, 그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통해 수집한 온도 및 습도정보를 연동된 다른 측정기기(100-A, 100-B)로 제공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되는 상태 측정기기의 위치에 따라 필요한 센싱만을 함으로써, 측정기기의 전력 효율을 높여 주면서도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환경정보 수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외부 단말 연동 제어부(170)는,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분산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11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연동하여 기기의 전력 효율을 높이면서도, 감지하고자 하는 모든 환경정보의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를 이용한 제어방법은 환경정보 수집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전원부(140) 및 휴대용 몸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환경정보 수집부(110)는 주위 환경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이루어져서 환경정보를 수집(S110)하면, 제어부(130)는 환경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20)하고, 상기 환경정보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YES),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130). 여기서,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통신 수단을 블루투스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통신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이용된 환경정보 수집부(110)는, 조도 센서(111), 불꽃 센서(112), 연기 센서(113), 온도 센서(114) 및 습도 센서(1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에서는 물론, 실외에서도 온도, 습도, 조도, 연기 및 불꽃 등과 같은 환경정보들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환경정보들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주위 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외 활동에서도 환경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정보를 환경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 제공해줌에 따라 안전하고 편리하게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를 이용한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환경정보 수집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전원부(140), 휴대용 몸체(100), 음성 출력부(210), 음성 인식부(220) 및 도킹 본체(200)를 포함하는 상태 측정기기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따르면, 일 실시예에 채용된 동일한 특징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출력부(210)는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되는 환경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하고, 음성 인식부(220)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지시하는 명령을 인식하고 그 음성 명령을 제어부(130)로 제공하는 한다.
따라서, 휴대용 몸체(100)과 도킹 본체(20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각각의 커넥터(310, 320)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310, 320)를 통해 휴대용 몸체(100)과 도킹 본체(200)가 착탈되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음성 인식부(220)를 통해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된 음성 명령에 따른 환경정보를 음성 출력부(2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몸체(100)와 도킹 본체(200)가 커넥터(310, 320)를 통해 착탈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실내에서는 휴대용 몸체(100)와 도킹 본체(200)를 결합시켜 실내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실외에서는 휴대용 몸체(100)를 도킹 본체(200)에서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몸체(100)를 도킹 본체(200)에 결합하여 실내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음성인식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장애로 인해 움직임이 불편하거나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에게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를 이용한 제어방법은 환경정보 수집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전원부(140), 휴대용 몸체(100), GPS부(150), 메쉬 연동부(160), 외부 단말 연동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 측정기기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특징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메쉬 연동부(160)는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접속하여,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환경정보를 송수신한다(S310). 여기서,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연동하는 방법은 메쉬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쉬 연동부(160)는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통신 프로토콜에 한정되지 않고, 메쉬 네트워크의 구성이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인 경우 이용이 가능하다.
외부 단말 연동 제어부(170)는 메쉬 연동부(160)를 통해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연동 시, 환경정보 감지 연동 지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연동된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에 GPS부(150)를 통해 수신한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S320)하고, 환경정보 감지 연동 지역의 접속 위치에 따라 감지하고자 하는 환경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110)를 제어한다(S330).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연동부(160)를 통해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의 메쉬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서와 달리 상태 측정기기 단독으로 일정 범위에 대해서만 환경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가 수집한 환경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환경정보 수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위치에 따라 감지하고자 하는 환경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함으로써, 복수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면서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앙에 위치한 측정기기(100-A)는 조도센서(111)만 구동되도록 그 조도센서(111)를 통해 수집한 조도 정보를 다른 연동된 측정기기(100-B, 100-C)로 제공해주고, 측정기기(100-A)의 주위에 배치되어 연동된 다른 측정기기(100-B)들은 불꽃 센서(112)와 연기센서(113)만 구동하고 그 불꽃센서와 연기센서를 통해 수집한 불꽃 및 연기정보를 연동된 다른 측정기기(100-A, 100-C)로 제공해주며, 다른 측정기기(100-B) 다음에 연동된 또 다른 측정기기(100-C)들은 온도센서(114) 및 습도센서(115)만 구동하고, 그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통해 수집한 온도 및 습도정보를 연동된 다른 측정기기(100-A, 100-B)로 제공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되는 상태 측정기기의 위치에 따라 필요한 센싱 만을 함으로써, 측정기기의 전력 효율을 높여 주면서도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환경정보 수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외부 단말 연동 제어부(170)는,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분산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11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상태 측정기기(101)와 연동하여 기기의 전력 효율을 높이면서도, 감지하고자 하는 모든 환경정보의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휴대용 몸체 110 : 환경정보 수집부
111 : 조도 센서 112 : 불꽃 센서
113 : 연기 센서 114 : 온도 센서
115 : 습도 센서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전원부
200 : 도킹 본체 210 : 음성 출력부
220 : 음성 인식부 310, 320 : 커넥터

Claims (6)

  1. 측정값이 포함된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주위 환경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이루어진 환경정보 수집부;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환경정보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환경정보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수집된 환경정보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 통신부, 제어부 및 전원부를 수용하는 휴대용 몸체;를 더 포함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다른 상태 측정기기와 환경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다른 상태 측정기기와 접속하는 메쉬 연동부; 및 상기 메쉬 연동부를 통해 상기 다른 상태 측정기기와 연동 시, 환경정보 감지 연동 지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연동된 다른 상태 측정기기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환경정보 감지 연동 지역의 접속 위치에 따라 감지하고자 하는 환경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를 제어하는 외부 단말 연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GPS부, 메쉬 연동부 및 외부 단말 연동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몸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는,
    조도 센서, 불꽃 센서, 연기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환경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사용자가 음성으로 지시하는 명령을 인식하고 그 음성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와 음성 인식부를 수용하는 도킹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용 몸체과 도킹 본체에는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각각의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용 몸체와 도킹 본체가 착탈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에 의해 상기 음성 출력부 및 음성 인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된 음성 명령에 따른 환경정보를 음성 출력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 연동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환경정보를 다른 상태 측정기기와 분산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KR1020160102788A 2016-08-12 2016-08-12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KR101812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88A KR101812124B1 (ko) 2016-08-12 2016-08-12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88A KR101812124B1 (ko) 2016-08-12 2016-08-12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124B1 true KR101812124B1 (ko) 2018-01-09

Family

ID=6100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788A KR101812124B1 (ko) 2016-08-12 2016-08-12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1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021A (ko) * 2019-11-19 2021-05-27 (주)아센코리아 이동형 실시간 계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26162A (ko) * 2020-08-25 2022-03-04 (주)헤드라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470408B1 (ko) 2022-04-13 2022-11-25 주식회사 드림즈 방사성 미세입자 양방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454B1 (ko) * 2006-11-24 2008-02-01 (주)오로라 디자인랩 탈착식 스몰 월패드 및 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454B1 (ko) * 2006-11-24 2008-02-01 (주)오로라 디자인랩 탈착식 스몰 월패드 및 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021A (ko) * 2019-11-19 2021-05-27 (주)아센코리아 이동형 실시간 계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8570B1 (ko) * 2019-11-19 2021-08-11 (주)아센코리아 이동형 실시간 계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26162A (ko) * 2020-08-25 2022-03-04 (주)헤드라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449628B1 (ko) 2020-08-25 2022-09-30 (주)헤드라인 유아 지킴이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470408B1 (ko) 2022-04-13 2022-11-25 주식회사 드림즈 방사성 미세입자 양방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345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KR101812124B1 (ko) 블루투스 기반 결합 가능한 다기능 휴대용 상태 측정기기
KR100956332B1 (ko) 환경 정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방법
US20090058663A1 (en) Mininature modular wireless sensor
KR101152595B1 (ko) 실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94585A (ko)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컴퓨터-판독 가능한 레코딩 매체
CN103759387A (zh) 一种能控制室内空气品质的空调机组/器控制器及系统
KR101734399B1 (ko) 충전 거치대 및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US9530305B2 (en) System for obtaining performance information
CN107401809A (zh) 一种蓝牙空调遥控器
KR101126522B1 (ko) 실내 및 실외 환경 통합 감지 시스템
KR20110056946A (ko) 무선통신형 실내환경 통합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실내환경 통합 관제 시스템
EP3376173A1 (en) Environmental sensor
KR20150120658A (ko) 센서 자동 인식형 무선 측정기
JP2009145059A (ja) 環境モニタリング装置、環境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環境センサモジュール
KR102043612B1 (ko) 스마트 환경 센서 장치
JP6282770B1 (ja) センサ装置セット及びセンサシステム
CN205785300U (zh) 便携式智能环境监测装置
KR20190086289A (ko) 에너지 환경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환경 변수 검출장치
CN103869798A (zh) 一种基于无线通讯的智能包间管理系统和方法
KR101511679B1 (ko)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과 외부 전자기기 간의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모바일 단말과 전력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CN109239267A (zh) 一种气体含量检测方法及系统
CN208124557U (zh) 一种智能空气检测仪
KR20150118693A (ko) 공기 다중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TWI567349B (zh) Cloud control 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