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502A -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 Google Patents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502A
KR20170044502A KR1020150144279A KR20150144279A KR20170044502A KR 20170044502 A KR20170044502 A KR 20170044502A KR 1020150144279 A KR1020150144279 A KR 1020150144279A KR 20150144279 A KR20150144279 A KR 20150144279A KR 20170044502 A KR20170044502 A KR 20170044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ill
image
bankno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길
안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4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4502A/ko
Publication of KR20170044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7D11/0084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1Apparatus characterised by sensor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에 빛을 조사하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LED, 지폐를 통과된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 빛이 모아주는 위치에 위치한 수광센서,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로 위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가 판단하기 이한 기준 데이터 및 제어부의 수행 알고리즘이 저장된 메모리부가 구비된 위폐 감지기에서, LED의 빛을 균일하게 출사하도록 하는 광가이드가 더 구비되어, 지폐를 중심으로 한편에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 LED의 빛은 광가이드를 통하여 확산되고, 지폐를 투과한 빛은 집광판을 통하여 모아주며, 상기 집광판을 통하여 빛이 모아지는 위치에 수광센서를 위치하도록 하므로서, CLOOR, 자외선, 적외선 센서를 통하여 각각의 영역과 전체 영역에 대한 지폐의 DATA를 추출하여 기준 DATA와 비교함으로서, 권종 인식과 위폐의 판별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COUNTERFEIT BILL DETECTION APPRATUS WITH LIGHT FOCUSING PLATE}
본 발명은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백색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적외선 엘이디, 자외선 엘이디를 통하여 출사되는 빛은 지폐의 모든 면을 투과하도록 하고, 지폐를 투과하여 출사된 빛은 집광판을 통하여 모아지는 영역을 만들고, 상기 빛이 모아지는 영역에 적외선센서, 자외선센서, COLOR 센서가 위치하도록 하여, 지폐의 모든 부분에 대한 반응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효과적인 권종 판별 및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조는 진짜 지폐를 모방하여 진짜와 같게 가짜 지폐를 제조하는 것으로 사진, 인쇄, 또는 손으로 그리는 방법 등이 있다. 인쇄위조에는 사진제판과 조각제판의 2가지가 있는데, 보통 대량의 위조지폐를 제조할 경우에는 사진제판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변조는 진짜 지폐를 가공하여 그 가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진권을 표면과 이면으로 분리하여 변조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위조지폐는 주로 국제적 위조단에 의한 것이 많으며, 그 조직은 자금제공, 기술, 행사 등 각 그룹으로 나뉘어 있어 수사를 어렵게 하고 있다. 근래에는 통화 외에 주권, 여행자수표의 위조도 늘고 있다.
즉, 최근 지폐, 수표, 상품권, 유가증권 등의 위조가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폐인식기, 지폐계수기, 환류형 현금입출금기 등에서 권종 구분 뿐 아니라 위조 여부를 판별할 필요성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위폐를 감별 방법으로는 UV LED(또는 램프)를 광원을 이용하여 지폐에 인쇄되어 있는 형광물질이나, 지폐의 지질을 검출하는 방식 등이 있다.
물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3965호에서는 “지폐이송부; 상기 하부체 및 상기 상부체에 배열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식별 센서부; 상기 지폐이송부로 투입된 지폐가 현금과 수표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는 지폐종류 선택부; 및 상기 상부체에 배열된 디스플레이부; 기준값 저장부, 상기 센서부의 센서 신호 수신부, 수신된 신호값과 상기 저장부의 기준값을 비교 판단하는 비교 연산부, 상기 지폐종류 선택부의 지정에 따라 상기 식별 센서부의 센서 종류를 선택하고 상기 비교 연산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지폐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명령부를 포함하는 마이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위폐 복합 식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74171호 에서는 “정상지폐 적체부 상측에는 위폐 검출센서에서 위폐감별시 정상지폐 적체부에 적체된 위폐를 감별하기 위해 바닥면에 권종별 지폐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를 형성한 위폐거취부)와; 상기 위폐거취부에 거취되는 지폐를 촬영하기 위해 위폐거취부 상측면으로 적외선카메라;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처리부에는, 권종별 정상지폐에 대한 영상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으며, 상기 적외선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과 입력된 권종별 정상지폐에 대한 영상을 비교분석하여, 정상지폐 및 위폐 감별시 상태표시창에 표시할 수 있는 보조 중앙처리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2단계 자동 위폐감별 기능을 구비한 지폐계수기.”를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의 특허 기술은, 권종 구별 시에 이미지 프로세서 등을 사용하여야 하고, 지폐의 모든 부분에 대한 반응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위폐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해진 수의 센서를 사용함에도 지폐의 모든 부분에 대한 반응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이미지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아 저 가격화의 실현도 가능한 위폐 감지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3965호, 등록일(2008년12월08일) 선행기술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4171호, 등록일(2008년12월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해진 수의 센서를 사용함에도 지폐의 모든 부분에 대한 반응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이미지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권종 구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권종인식 및 위조지폐 검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지폐에 빛을 조사하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LED, 지폐를 통과된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 빛이 모아주는 위치에 위치한 수광센서,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로 위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가 판단하기 이한 기준 데이터 및 제어부의 수행 알고리즘이 저장된 메모리부가 구비된 위폐 감지기에서, LED의 빛을 균일하게 출사하도록 하는 광가이드가 더 구비되어, 지폐를 중심으로 한편에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 LED의 빛은 광가이드를 통하여 확산되어 지폐에 투과되고, 지폐를 투과한 빛은 집광판을 통하여 모아주며, 상기 집광판을 통하여 빛이 모아지는 위치에 수광센서를 위치하도록 하므로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광 가이드에서 빛이 출사되는 면을 제외한 외부면에 빛을 반사하거나 빛을 차단하는 광가이드 커버가 구비되거나, 상기 외부면에 백색 인쇄를 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광센서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한다.
또한, 적어도 2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영역에 하나씩 집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영역별로 각각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각각의 영역의 데이터를 모두 합한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한다.
한편, 상기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LED는 백색 LED, 적외선 LED 및 자외선 LED 이며, 상기 수광부는 자외선을 감지하는 자외선센서, 백색 LED를 감지하는 Color 센서 및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이다.
아울러,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으로서, 지폐에 빛을 조사하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LED, 지폐를 통과된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 빛이 모아주는 위치에 위치한 수광센서,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로 위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가 판단하기 이한 기준 데이터 및 제어부의 수행 알고리즘이 저장된 메모리부가 구비된 위폐 감지기에서, 지폐는 상기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LED와 수광센서 사이를 이동하게 되고, 전체의 길이가 지폐의 길이 보다 크고 지폐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광가이드, 지폐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배열된 집광판의 전체 길이도 지폐의 길이보다 크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위폐 감지기에 의하면, 지폐를 통과한 백색 엘이디, 자외선 엘이디 및 적외선 엘이디의 빛을 3 개 영역으로 모아지도록 하고, CLOOR, 자외선, 적외선 센서를 통하여 각각의 영역과 전체 영역에 대한 지폐의 DATA를 추출하여 기준 DATA와 비교함으로서, 권종 인식과 위폐의 판별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지폐 감지 센서의 원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내지 도7은 본원 발명의 지폐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와 도9는 본원 발명의 블록도 및 작용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정해진 수의 수광 센서를 이용한 권종인식 및 위폐검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폐의 이미지 인식을 위한 이미지 추출시 집광장치(집광판)을 이용하므로서, 정해진 개수의 수광 센서로 수평부분 전체에 대한 투과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지폐 전체 영역에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폐를 기준으로 한쪽 편에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발광 LED BOARD, 광가이드, 광가이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LED BOZARD는 자외선LED, 백색LED, 적외선LED로 구성되고 광가이드의 좌,우에 부착되어 빛을 조사하고, 광가이드를 통하여 확산된 빛을 반사하여 빛의 효율을 높여주는 광가이드 커버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폐를 기준으로 또 다른 한편에는 지폐를 투과한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 수광센서 BOARD, 집광장치(집광판), 집광 커버를 포함하며, 수광센서 BOARD는 자외선센서, COLOR센서, 적외선센서가 구비된다.
또한, 각각의 센서의 값을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DATA와 기준 DATA를 비교하여 지폐의 권종 및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판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집광장치(집광판)은 수평부분 지폐를 투과한 발광부의 빛을 수광센서가 위치한 곳으로 모아주고, 집광 커버는 투과한 집광판의 빛의 효율을 높여준다.
따라서, 본발명의 특징은 하나의 수광 센서 세트를 사용하여 지폐 수평 부분의 모든 반응값을 추출하고 수직 부분은 모터가 지폐를 이송하며 연속 적으로 지폐의 수평 부분의 반응값을 추출 함으로서 지폐 전체의 DATA를 추출 하기 때문에 아주 뛰어난 권종 및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장치는 일반적으로, 장치의 전체 구성품을 지지하는 MAIN FRAME(11), 지폐(13)를 투입하는 지폐투입구(1), 지폐를 이송하는 MOTOR(4), MOTOR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서 지폐를 이송하는 주동력 롤라(3), 주동력 롤라(3) 통하여 지폐를 이송할 때 지폐를 가압하는 IDLE 롤라(2), 백색LED(5), 수광 COLOR센서(8), 자외선LED(6) 적외선센서(9), 자외선LED(7), 자외선센서(1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MOTOR의 구동으로 지폐가 이송되면 각각의 센서는 지폐를 투과한 DATA를 검출하여 위조 여부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 영역은 상기 센서(5,6,7)가 위치한 센서(5,6,7) 감지 경로(14, 15, 16)부분에만 한정되게 된다. 즉, 상기 지폐(13)가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S)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센서(5,6,7)가 위치한 부분에만 센서 감지 경로(14, 15, 16)가 만들어지므로, 센서 감지 경로(14, 15, 16) 이외의 지폐(13) 영역에서는 데이터 추출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지폐(13)의 일부분만 검출하기 때문에 각각의 권종 및 각국의 지폐에 따라 센서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야 하며 권종 구분 및 위조 여부 판별력이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센서의 수를 늘리면 단가 상승 및 센서의 물리적 크기(Min 5mm)에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도출되게 된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지폐 감지 센서의 원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지폐를 사이에 두고(도3에서는 화살표(IN) 방향에 지폐가 위치한다) 한편에 광가이드(20)와 상기 광가이드(20) 양쪽에 장착된 백색LED(21), 적외선LED(22), 및 자외선LED(23)가 구비되고, 또 다른 한편에는 지폐를 투과한 빛을 집광하는 집광판(26), 집광된 빛의 DATA를 추출하는 적외선센서(27) 자외선센서(28), COLOR센서(29), 각각의 수광부(30), (31), (32)로 구성된다.
즉, 광가이드(20) 측면에 구비된 백색LED(21), 적외선LED(22), 및 자외선LED(23)로부터 빛이 출사되면, 출사된 빛은 상기 광가이드(20)를 통하여 아래 방향(도면에서 볼 때 아래 방향)으로 나오고, 상기 광가이드(20)를 나온 빛은 수광부(30, 31, 32)로 입사되고, 상기 수광부(30, 31, 32)로 입사된 빛은 집광판(26)을 통하여 모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광판(26)을 통하여 모아진 빛은 적외선센서(27) 자외선센서(28), COLOR센서(29)(백색 LED에서 출사된 빛을 감지함) 가 감지하게 된다.
도 4내지 도7은 본원 발명의 지폐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원 발명의 지폐 감지 장치의 앞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결과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가이드(20) 양쪽에 장착된 백색LED(21), 적외선LED(22), 및 자외선LED(23)가 구비되고 상기 LED(21,22,23)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광가이드를 나와 집광판의 수광부(30,31,32)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광판(26)은 빛을 초점으로 모아주는 볼록렌즈와 같은 원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지폐가 투입되고 감지되는 원리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으로, 지폐가 투입되고 롤러에 의하여 이동되는 원리는 도 1의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으며, LED(21,22,23)를 통하여 출사한 빛이 광가이드(20)를 통하여 출사하여 지폐를 통과하고, 지폐를 통과한 빛은 집강판(26)으로 모아지게 되고, 상기 모아진 빛은 센서(27,28,29)가 감지하게 된다.
한편, 빛의 효율을 위하여, 광가이드(20)의 외부면(도면에서는 A로 표시하고, 광가이드에서 빛이 출사되는 아래 면을 제외한 면)은 빛의 출사를 차단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집광판(26)의 외부면(도면에서는 A로 표시하고, 집광판으로 빛이 입사되는 면과 빛이 모아져서 출사되는 영역을 제외한 면)도 빛의 출사를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광가이드(20)는 폴리카보네이(Polycarbonate) 혹은 PET 등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로 만들어져 빛의 전달이 잘되도록 하며, 상기 외부면은 백색 도료를 코팅하거나 반사필름 혹은 빛 차단판 형태의 커버를 부착하여, 빛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광가이드는 확산하는 기능을 가져서, 광가이드 양 측면에서 입사한 빛이 균일하게 아래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한다,
또한, 집광판은 유리 혹은 폴리카보네이(Polycarbonate) 혹은 PET 등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로 만들어져 빛의 전달이 잘되도록 하며 볼록렌즈처럼 촛점으로 빛이 모아지도록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촛점 영역에 센서(27,28,29)가 위치하도록 한다.
도 6과 도7은 지폐를 투과한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26)과 지폐로 빛을 투과하는 광가이드(20)와 지폐(13)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판(26) 전체의 길이는 지폐(13)의 길이보다 커서 지폐 전체로부터 오는 빛을 감지할 수 있으며, 도 7에서보는 바와 같이 광가이드(20)의 전체의 길이도 지폐(13)의 길이보다 커서 지폐(13) 전체로 빛이 출사되게 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지폐가 이동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전체의 길이가 지폐(13)의 길이보다 크고 지폐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배열된 집광판(26)이 화살표(S)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집광판(26)에서 모아지는 빛이 지폐(13) 전체를 투과한 빛이 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지폐가 이동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전체의 길이가 지폐(13)의 길이 보다 크고 지폐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광가이드(20)이 화살표(S)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광가이드(20)에서 출사한 빛이 지폐(13) 전체를 투과할 수 있게 된다.
도 8와 도9는 본원 발명의 블록도 및 작용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센서(27) 자외선센서(28), COLOR센서(29)에서 출력된 신호는 데이터 처리부(60)를 통하여 안정화과정과 증폭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지폐의 잉크에 포함된 CrO₃성분에 반응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마그네틱 센서(18)에서 출력된 신호도 데이터 처리부(60)를 통하여 안정화과정과 증폭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센서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로는 아나로그 신호이므로 상기 아나로그 신호는 데이터 변환부(AD컨버터부)(51)릍 통하여 제어부에 전달이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바꾸어 주게 된다.
아울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54), 위폐 감지기의 수행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53) 및 위폐 감지 등이 되었을 때 상황을 경보하는 알람부(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상기 각각의 장치를 제어할 뿐아니라, 데이터 변환부(AD컨버터부)(51)로부터 받은 신호를 미리 저장된 진폐의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도9 에서처럼 발광부에서 출사된 빛은 센서부에서 감지되고, 제어부에서 판단하게 된다, 예를들어, 지폐가 투입되면 백색LED를 점등하고 지폐를 투과한 COLOR DATA를 각각 추출하고, 백색LED를 점멸한 후 자외선LED를 점등하여 지폐를 투과한 자외선 DATA를 각각 추출하며, 자외선LED를 점멸한 후 적외선LED를 점등하여 지폐를 투과한 적외선 DATA를 각각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을 교대로 진행하면 지폐 전체의 DATA를 추출 할 수 있으며, 추출한 DATA를 각각의 영역별로 COLOR DATA, 자외선 DATA, 적외선 DATA를 추출하고 각각의 영역을 합한 지폐전체의 COLOR DATA, 자외선 DATA, 적외선 DATA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의 데이터 추출은 제어부(50)가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DATA를 기준 DATA와 비교하여 권종 및 위조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제어부가 수행하는 알고리즘은 메모리부(55)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지폐감지 수행 단계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백색 LED ON
COLOR 센서의 색상값 검출(BLOCK1, BLOCK2, BLOCK3)
(2)적외선 LED ON
적외선 센서의 반응값 검출(BLOCK1, BLOCK2, BLOCK3)
(3)자외선 LED ON
자외선 센서의 반응값 검출(BLOCK1, BLOCK2, BLOCK3)
지폐가 전부 지나갈 때까지 반복하여 (1),(2),(3)을 반복한다.
각각 센서의 값을 최고값, 평균값, 최저값, 변화량 등을 BLOCK1,2,3와 BLOCK1,2,3을 합한최고값, 평균값, 최저값, 변화량 등을 산출하여 진폐의 DATA와 비교하여 위조 여부 및 권종을 구분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3개 영역으로 나누었으나 영역을 늘릴수록 정밀한 권종 및 위폐 여부를 판별 할 수 있으며, 또한 지폐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표 및 상품권 모든 유가 증권의 권종 및 위조 여부를 판별 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원 발명읜 지폐계수기, 권종구분 지폐계수기, 금융자동화기기(CD기, ATM기), 각종 지폐인식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30)는, 키입력부(18)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따라 운영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입력부(18)로부터 제공받은 신호가 단순계수모드 신호라면,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대상물(100)을 제1 적재판(14)으로 안내하도록 제1 호퍼(16)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도 4에서, 제1 호퍼(16)가 상방으로 작동하면서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대상물(100)이 회전 날개(22)를통해 제1 적재판(14)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반면, 컴퓨터(30)는 키입력부(18)로부터 제공받은 신호가 판별모드 신호라면,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대상물(100)을 이미지 스캔유닛(12)으로 안내하도록 제1 호퍼(16)의 작동을 제어하고, 이미지 스캔유닛(12)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인식부(40)에서 제공받은 정보와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이상이 확인되면 이미지 스캔유닛(12)을 통과한 대상물(100)을 제2 적재판(15)으로 안내하도록 제2 호퍼(17)의 작동을 제어하고, 이상이 미확인 되면 이미지 스캔유닛(12)을 통과한 대상물(100)을 제1 적재판(14)으로 안내하도록 제2 호퍼(17)의 작동을 제어 한다.
즉, 도 5에서 제1 호퍼(16)가 상방으로 작동하면서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대상물(100)을 이미지 스캔유닛(12)으로 제공하고, 이미지 스캔유닛(12)을 거친 대상물(100)이 비정상적인 대상물이면 제2 호퍼(17)가 하방으로 작동하여 대상물(100)을 제2 적재판(15)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미지 스캔유닛(12)을 거친 대상물(100)이 정상적인 대상물이라면 제2 호퍼(17)가 상방으로작동하여 대상물(100)이 회전 날개(22)를 거쳐 제1 적재판(14)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인식부(40)는 컴퓨터(30)에서 판별된 정보를 제공받아 이와 관련한 정보를 검색함과 동시에 인식한다.
인식부(40)는 검색되거나 인식된 정보를 컴퓨터(30)로 다시 제공하여 컴퓨터(30)가 지폐 계수기(10)
를 제어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보가 필요한 기관 또는 단체(예를 들면, 도 2에서 제1 기관 내지 제3 기관)에 통보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한 제어방법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기를 이용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감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기를 이용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감별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제3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기를 이용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감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1 단계 내지 제 6단계(S10~S6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단계(S10)는 키입력부의 조작으로 판별모드로 진입하는 것이고, 제2 단계(S20)는 상기 이미지 스캔유닛이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를 스캔하도록 하는 것이고, 제3 단계(S30)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스캔된 이미지의 정보를 제공받아 기설정된 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감별하는 것이고, 제4 단계(S40)는 상기 컴퓨터가 판별된 정보를 상기 인식부로 통보하는 것이고, 제5 단계(S50)는 상기 인식부가 상기 판별된 정보를 제공받아 이와 관련한 정보를 검색함과 동시에 인식하는 것이며, 제6 단계(S60)는 상기 인식부가 검색되거나 인식된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다시 제공하여 상기 지폐 계수기를 제어하도록 함과 동시에 기관 또는 단체에 통보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3 단계(S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된 이미지의 정보를 제공받는 제3-1단계(S31)와, 스캔된 이미지로부터 식별롤러의 페인팅된 색깔을 기준으로 대상물의 외곽선을 판별하는 제3-2단계(S32)와, 상기 대상물의 외곽선이 기준좌표로부터 벗어나 틀어져 비스듬한 상태로 있는지 판별하는 제3-3단계(S33)와, 상기 스캔
된 이미지에서 상기 대상물 이미지의 휘어진 각만큼을 보정하여 이미지를 캡처하는 제3-4단계(S34)와, 캡처된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감별하는 제3-5단계(S35)로 이루어지는 것이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기를 이용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감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기를 이용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감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먼저 키입력부를 조작하였는지 확인(S100)한 후에 판별모드로 진입하였는지 확인한다(S110). 판별모드로 진입하지 못하였다면 다시 키입력부를 조작하도록 한다(S100).
이후, 이미지 스캔유닛이 대상물의 이미지를 스캔하게 되고(S120), 스캔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S130). 만일 스캔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다시 이미지를 스캔하게 된다(S120) 스캔이 제대로 이루어졌다면 컴퓨터가 스캔된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았는지 확인한다(S140). 스캔된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았다면 스캔된 이미지로부터 식별롤러의 페인팅된 색깔을 기준으로 대상물의 외곽선을 판별한다(S150).
만일, 컴퓨터가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였으면 이미지 스캔유닛이 대상물의 이미지를 스캔하도록 한다(S120).
스캔된 이미지로부터 식별롤러의 페인팅된 색깔을 기준으로 대상물의 외곽선을 판별(S150)한 후, 대상물의 외곽선이 기준좌표로부터 벗어나 있는지 확인하고(S160), 대상물의 이미지가 휘어져 있을 경우에 휘어진 각만큼을 보정하게 된다(S170).
보정이 끝난 후에 보정된 이미지를 캡처하였는지를 확인하고(S180), 캡처된 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의 정보와 비교한다(S190).
하지만, 보정된 이미지를 캡처하지 못하였다면, 대상물 이미지가 휘어져 있을 경우에 휘어진 각만큼을 보정하도록 한다(S170).
캡처된 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의 정보와 비교(S190)한 뒤에는 그 비교 결과를 컴퓨터가 인식부로 통보한다(S200).
이후, 컴퓨터에서 제공된 정보와 관련한 정보를 인식부가 검색/인식한다(S210).
이 검색/인식된 정보는 컴퓨터로 다시 제공(S220)되어 이 제공된 정보에 의해 지폐 계수기를 제어(S230)하거나,검색/인식된 정보가 기관 또는 단체에 통보(S240)되어 자료로서 활용되게 된다.
먼저, 지폐 계수기(10)는 도 10과 도 11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중 어느 하나인 대상물(100)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이미지 스캔유닛(12)을 포함한다.
이 이미지 스캔유닛(12)은 컴퓨터(<44> 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미지 스캔유닛(12)은 씨아이에스(CIS) 모듈 즉, 시모스 이미지 센서(CMOS Image Sensor) 모듈이거나 밀착형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밀착형 이미지 센서 모듈은 광원, 렌즈, 센서 부분이 일체화된 소형 화상 입력 장치로서, 화상 정보를 빛을 이용해 읽어 들이는 장치이다.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사용되는 광원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외선 광원, 가시광선 광원, 경우에 따라서는 자외선광원을 쓰기도 하며 적색, 녹색 또는 청색 광원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도 13과 도 14는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상기 이미지 스캔유닛(12)은 상기 대상물(100)의 상,하면 각각의 스캔이 가능하도록 대상물(100)을 기준으로 상,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3), 제1 적재판(14), 제2 적재판(15), 제1 호퍼(16), 및제2 호퍼(17)를 더 포함한다.
몸체부(13)는 단순계수 모드 및 판별모드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8)와 투입구(11)를 가진다.
아울러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부(13)의 외주면에는 대상물(100)의 매수를 표시하거나 지폐 계수기(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키입력부(18)는 컴퓨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3)는 대상물(100)이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롤러(19,20,21,23)들을 가진다.
즉, 투입구(11)의 하부에는 대상물(100)을 하나씩 투입하기 위한 피딩(Feeding) 롤러(19) 및 백프릭션(Back-
Friction)롤러(20)가 각각 구비되고, 몸체부(13)의 내부에는 대상물(100)의 공급을 위한 구동롤러(21), 및 구동 롤러(21)의 구동에 의해 대상물(100)을 회전 날개(22) 방향 또는 이미지 스캔유닛(12) 방향으로 급지하는 복수의 급지롤러(23)들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롤러(21)와 급지롤러(23)들은 서로 타이밍밸트로 연결되며, 이 중에서 구동롤러(21)는 지폐 계수기(10) 전원의 온/오프에 통해 작동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적재판(14)은 대상물(100) 중 정상적이거나 단순 계수된 대상물을 적재하는 것이고, 제2 적재판(15)은 대상물(100) 중 위조되거나 비정상적인 대상물을 적재하는 것이다.
제1 호퍼(16)는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대상물(100)을 제1 적재판(14)으로 안내하거나 이미지 스캔유닛(12)으로 안내하도록 경로를 전환시키는 것이고, 제2 호퍼(17)는 이미지 스캔유닛(12)을 통과한 대상물(100)을 제1적재판(14)으로 안내하거나 제2 적재판(15)으로 안내하도록 경로를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 제1 호퍼(16) 및 제2 호퍼(17)는 각각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하게 되며, 이 구동모터들은 컴퓨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기(10)를 이용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감별 시스템(200)은, 지폐 계수기(10)의 몸체부(13) 상단에는 주민등록증 및 등본을 포함한 서류를 스캔하도록 하는보조 스캔유닛(25)을 더 구비한다. 이 보조 스캔유닛(25) 서류를 상부에 놓고 스캔하게 된다.
이 보조 스캔유닛(25)에서 스캔된 이미지는 컴퓨터(30)로 제공되어 컴퓨터(30)에서 직접 편집 또는 프린터를 통해 인쇄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스캔유닛(25)은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에서 입출금업무를 할 경우, 별도의 복사기를 이용하여 입출금자의 주민등록증이나 등본을 직접 복사하기 위해 먼거리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효율적으로 해소할수 있다.
20 : 광가이드 21 : 백색 LED
22: 적외선 LED 23 ; 자외선 LED
26 : 집광판 27 : 적외선 센서
28 : 자외선 센서 29 : Color 센서

Claims (6)

  1. 지폐에 빛을 조사하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LED, 지폐를 통과된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 빛이 모아주는 위치에 위치한 수광센서,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된 신호로 위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가 판단하기 이한 기준 데이터 및 제어부의 수행 알고리즘이 저장된 메모리부가 구비된 위폐 감지기에서,
    LED의 빛을 균일하게 출사하도록 하는 광가이드가 더 구비되어, 지폐를 중심으로 한편에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 LED의 빛은 광가이드를 통하여 확산되어 지폐에 투과되고,
    지폐를 투과한 빛은 집광판을 통하여 모아주며, 상기 집광판을 통하여 빛이 모아지는 위치에 수광센서를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중 어느 하나인 대상물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이미지 스캔유닛을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
    상기 이미지 스캔유닛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스캔된 이미지를 제공받아 기설정된 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에서 판별된 정보를 제공받아 이와 관련한 정보를 검색함과 동시에 인식하되, 상기 검색되거나 인식된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다시 제공하여 상기 컴퓨터가 상기 지폐 계수기를 제어하도록 함과 더불어, 정보가 필요한 기관 또는 단체에 통보하도록 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스캔유닛와 대응하는 측에는 식별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롤러는 상기 컴퓨터에 기설정된 색깔 정보와 동일한 색깔로 페인팅된 상태이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이미지 스캔유닛에서 상기 대상물의 방향이 틀어져 비스듬한 상태로 이미지가 스캔되더라도 상기 식별롤러에 페인팅된 색깔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물 이미지의 휘어진 각만큼을 보정하여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를 이용한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가 단순계수모드 신호라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대상물을 상기 제1 적재판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호퍼의 작동을 제어하며, 반면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가 판별모드 신호라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대상물을 상기 이미 지 스캔유닛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호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스캔유닛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상기 인식부에서 제공받은 정보와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이상유무가 확인되면 상기 이미지 스캔유닛을통과한 대상물을 상기 제2 적재판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2 호퍼의 작동을 제어하고, 이상유무가 미확인되면 상기 이미지 스캔유닛을 통과한 대상물을 상기 제1 적재판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2 호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6. 지폐는 상기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LED와 수광센서 사이를 이동하게 되고, 전체의 길이가 지폐의 길이 보다 크고 지폐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배열된 광가이드,
    지폐가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배열된 집광판의 전체 길이도 지폐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KR1020150144279A 2015-10-15 2015-10-15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KR20170044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279A KR20170044502A (ko) 2015-10-15 2015-10-15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279A KR20170044502A (ko) 2015-10-15 2015-10-15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502A true KR20170044502A (ko) 2017-04-25

Family

ID=5870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279A KR20170044502A (ko) 2015-10-15 2015-10-15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45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0355B2 (en) Currency evaluation and recording system
EA003308B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длинности, достоинства и степени ветхости денежных биле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сортировки и счета
WO2012083713A1 (zh) 一种纸币、票券识别方法和装置
EP3598401B1 (en) Paper sheet detection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detection method
JP7227818B2 (ja) 紙幣識別装置、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識別方法
KR101992387B1 (ko)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JP2009080837A (ja) 拒否された金銭を記憶する能力を有する金銭受領機
JPH08180189A (ja) 紙葉類の真贋判定方法及び装置
JP2015180981A (ja) 束状紙葉類の載置状態検出装置及び載置状態検出方法
KR100874171B1 (ko) 2단계 자동 위폐감별 기능을 구비한 지폐계수기
US20010040994A1 (en) Counterfeit bills discriminating device with infrared ray transmitting array module and method of discriminating counterfeit bills
US9336638B2 (en) Media item validation
US9472037B2 (en) Media item re-orientation
JP2003296801A (ja) 紙幣計数装置
KR101385358B1 (ko) 매체 인식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KR20170044502A (ko) 빛을 모아주는 집광판이 구비된 지폐 감별기
JP2004529420A (ja) 書類確認方法および装置
EP1128338B1 (en) Document counter
KR20160113878A (ko) 권종인식 및 위조지폐 검출장치
UA73732C2 (en) Method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nominal value, and wear and tear of bank notes; device for sorting and counting bank notes
KR102394286B1 (ko) 지폐 취급 장치 검사 시스템
RU2736700C2 (ru) Аппарат и способ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KR20040090056A (ko) Ccd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분류 및 위폐 식별계수기
KR100862589B1 (ko) 지폐 계수기를 이용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감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H0830834A (ja) 紙幣識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