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916A -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916A
KR20170042916A KR1020150142124A KR20150142124A KR20170042916A KR 20170042916 A KR20170042916 A KR 20170042916A KR 1020150142124 A KR1020150142124 A KR 1020150142124A KR 20150142124 A KR20150142124 A KR 20150142124A KR 20170042916 A KR20170042916 A KR 20170042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transverse cable
tray
cable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2916A/ko
Publication of KR2017004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73Floating structures supporting industrial plants, such as factories, refineri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를 트랜스버스 방향(좌현-우현 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기관실 상측 구역(Hull Machinery Upper Space)에 설치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에 관한 것으로, 기관실 상측 구역에 선체 건조 초기부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Transverse Cable Trunk)를 구비하여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Topside-Hull Interface Cable)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Transverse Cable Rack/Tray)의 설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의 제약 사항들로 인한 어려움 없이 설계 및 현장 설치 업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TRANSVERSE CABLE TRUNK STRUCTURE FOR TRANSVERSE CABLE RACK AND TRAY AND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TRANSVERSE CABLE TRUNK STRUCTURE}
본 발명은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를 트랜스버스 방향(좌현-우현 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기관실 상측 구역(Hull Machinery Upper Space)에 설치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관실 상측 구역에 선체 건조 초기부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Transverse Cable Trunk) 구조를 구비하여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Topside-Hull Interface Cable)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Transverse Cable Rack/Tray)의 설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의 제약 사항들로 인한 어려움 없이 설계 및 현장 설치 업무가 가능한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해양 구조물이란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가지면서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 된 채 사용되는 구조물과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Oil FPSO,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해상 플랜트뿐만 아니라 LNG 수송선이나 유조선, LNG RV(LNG 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선박을 포함한다.
LNG FPSO는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LNG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 시 LNG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 싣기 위해 사용되는 해양 구조물이다.
Oil FPSO는 천연가스 대신에 석유를 생산 및 저장하고, 저장탱크에 저장된 석유를 유조선으로 옮겨 싣기 위해 사용되는 해양 구조물이다.
또한,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LNG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해양 구조물이다.
특히, LNG FPSO는 선체 내에 액화된 LNG를 저장하기 위한 LNG 저장탱크가 설치되고, 선체의 상부 갑판에 천연가스를 처리(예컨대, 천연가스의 생산 및 액화 등)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설비들, 즉 탑 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이 설치된다.
해양구조물은 많은 수량의 탑 사이드 모듈 및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이 존재하여 트랜스버스(Transverse)(Port-Starboard) 방향의 많은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Transverse Cable Rack and Tray)의 설치가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전기 룸 및 제어 룸이 선체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에서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선체(1)의 기관실(2) 내부 선수 및 선미 측에 전기 룸(10) 및 제어 룸(20)이 설치된다. 선체(1)의 상부에는 다수의 탑 사이드 모듈(30)이 설치된다.
선체 좌현과 우현의 사이드에는 메인 데크 랙(40)이 배치된다. 그리고 탑 사이드 모듈(30)과 선체 각종 장비들과의 접속을 위해서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C1)이 론지튜디널 방향(선수 선미 방향)은 물론 트랜스버스 방향(좌현 우현 방향)으로도 배치된다.
통상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배치되는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C1)은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안에 수납되는데, 종래에는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를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선체 기관실 데크(D) 상부에 빈공간을 찾아서, 도시하지 않은 선체 거더 및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해야만 하므로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의 구성 및 설치 시, 여러 요구 사항과 공간의 제약 사항들로 인해서 설계 및 현장 설치에 많은 어려움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 공개 제20-2014-000513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관실 상측 구역에 선체 건조 초기부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를 구비하여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의 설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의 제약 사항들로 인한 어려움 없이 설계 및 현장 설치 업무가 가능한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 전기 룸 및 제어 룸이 선체 내부 기관실에 설치되고,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수납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가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기관실 상측 구역에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내부에 상기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가 터렛 주변의 보이드 스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관실 상측 구역에 선체 건조 초기부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Transverse Cable Trunk 공간)을 구비하여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Topside-Hull Interface Cable)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Transverse Cable Rack/Tray)의 설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의 제약사항들로 인한 어려움 없이 설계 및 현장설치 업무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전기 룸 및 제어 룸이 선체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에서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보인 단면도
FPSO와 같은 해양구조물 건조시 선체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많은 전기 장치들, 예를 들어 Control Panels, Motors, 감지 Sensors, 화재 Detectors, 알림 Speakers, 조명 Lighting 등은 일반적으로 전력공급(Power Feeding)과 제어신호 (Control Signal)로 크게 두 가지 전기사항이 고려되어 설계된다.
전기 장치들에 대한 전력공급(Power Feeding)은 전기 룸(Electrical Room)으로부터 전력 케이블(Power Cable)들이 연결 구성되고, 제어 신호(Control Signal)는 제어 룸(Instrumentation Control Room)으로부터 제어 케이블(Control Cable)들이 연결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 룸과 제어 룸에는 요구되는 전기장비 및 제어장비의 규모가 크고 탑 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 구역은 외부 폭발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기 룸과 제어 룸은 선체와 갑판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선체 내부 구역에 큰 규모의 전기 룸과 제어 룸으로 좌현(Port side)과 우현(Starboard side) 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FPSO의 여러 탑 사이드 모듈들은 좌현과 우현으로 나누어져 배치되고, 여러 탑 사이드 모듈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장치들 관련 전력 케이블과 제어 케이블은 선체 기관실 좌현과 우현에 배치되는 전기 룸과 제어 룸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종래에는 좌현과 우현 간의 케이블 연결은 케이블 랙 및 트레이의 설치공간을 제한적으로 찾아내어 도시하지 않은 데크 상에 설치된 선체 거더 및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해야만 했다. 이와 같이 종래와 같이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의 구성 및 설치 시, 여러 요구 사항과 공간의 제약 사항들로 인해서 설계 및 현장 설치에 많은 어려움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기관실 상측 구역에 선체 건조 초기부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를 구비하여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의 설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의 제약 사항들로 인한 어려움 없이 설계 및 현장 설치 업무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은 전기 룸(10) 및 제어 룸(20)이 선체(1) 내부 기관실(2)에 설치된다.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C1)을 수납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120)가 트랜스버스 방향(좌현-우현 방향)으로 배치된다.
기관실(2) 상측 구역에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110)가 구비되고,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110) 내부에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120)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는, 전기 룸(10) 및 제어 룸(20)이 선체(1) 내부 기관실(2)에 설치된다.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C1)을 수납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120)가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배치된다.
기관실(2) 상측 구역에는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110)가 구비되고,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110) 내부에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120)가 설치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가 터렛 공간 주변의 보이드 스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210)를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터렛 공간 주변의 보이드 스페이스를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로 활용하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관실 상측 구역에 선체 건조 초기부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Transverse Cable Trunk 공간)을 준비하여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Topside-Hull Interface Cable)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Transverse Cable Rack/Tray) 설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의 제약 사항들로 인한 어려움 없이 설계 및 현장 설치 업무가 가능하다.
1: 선체
2: 기관실
10: 전기 룸
20: 제어 룸
C1: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
110: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120: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Claims (3)

  1. 전기 룸 및 제어 룸이 선체 내부 기관실에 설치되고,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수납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가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배치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로서,
    상기 기관실 상측 구역에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내부에 상기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는 터렛 주변의 보이드 스페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3. 전기 룸 및 제어 룸이 선체 내부 기관실에 설치되는 해양구조물로서, 탑 사이드 선체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수납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가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기관실 상측 구역에 트랜스버스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내부에 상기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가 설치되는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KR1020150142124A 2015-10-12 2015-10-12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KR20170042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24A KR20170042916A (ko) 2015-10-12 2015-10-12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24A KR20170042916A (ko) 2015-10-12 2015-10-12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16A true KR20170042916A (ko) 2017-04-20

Family

ID=5870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124A KR20170042916A (ko) 2015-10-12 2015-10-12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29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1872B2 (ja) 長大海上浮体設備
KR102055049B1 (ko)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JP5785118B2 (ja) 船舶、洋上浮体式設備、及び液化天然ガス貯蔵方法
KR200437039Y1 (ko) 안전 지대에 주 발전기를 구비한 부유식 생산 저장 선박
WO2017033800A1 (ja) 液化ガス貯蔵設備を備えた浮体構造物及びその設計方法
EP2951083B1 (en) Lng carrier construction method
US11118734B2 (en) Cold-box system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aboard ships
JP2020033009A (ja) 浮体式炭化水素貯蔵プラントおよび/または浮体式炭化水素処理プラントの外殻として用いる船体、同船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同船体を備える船舶、ならびに同船体を有する同船舶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20100135354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170036178A (ko) 펌프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EP3131807B1 (en) Method of integrating new built structural block and sponson with existing lng carrier
KR20100039482A (ko) 독립형 lng 저장탱크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WO2017150250A1 (ja) 生産設備を備える浮体構造物
KR20170042916A (ko) 트랜스버스 케이블 랙 및 트레이 설치용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 및 그 트랜스버스 케이블 트렁크 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JP6856298B2 (ja) Lng運搬船およびlng運搬船の製造方法
KR101337272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120001499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20000973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0434344Y1 (ko) 선박의 라이저 파이프 설치구조
KR20150058676A (ko)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랙 및 그 설치 방법
KR20120003757U (ko) 터릿 문풀로부터 탈출 경로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20003659U (ko)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
KR102160480B1 (ko)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KR101337273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140052349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사이드 셀 보강구조 및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사이드 셀 보강구조를 이용한 계류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