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644A -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644A
KR20170040644A KR1020150139900A KR20150139900A KR20170040644A KR 20170040644 A KR20170040644 A KR 20170040644A KR 1020150139900 A KR1020150139900 A KR 1020150139900A KR 20150139900 A KR20150139900 A KR 20150139900A KR 20170040644 A KR20170040644 A KR 20170040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ning
window frame
pivo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840B1 (ko
Inventor
양성만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5013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8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짝프레임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 회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측으로 향하는 돌출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록킹부재;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OPEN AUXILIARY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 회동에 의해 록킹부재가 회동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될 뿐만 아니라 돌출부재가 돌출되어 이에 의해 창틀프레임으로부터 창짝프레임이 개방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창짝프레임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부에는 출입 단속 및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의 창이 마련된다.
이때, 창은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미닫이식의 창, 즉 미닫이창이 주택의 거실 및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중대형 창의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창은 창짝프레임에 마련되는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측으로 밀거나 당길 때 창짝프레임 하단의 롤러가 창틀프레임의 레일에서 회전함에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개폐된다.
한편, 최근 중대형 미닫이창의 경우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이전에 비해 두꺼운 유리 또는 복층 유리를 창짝프레임에 적용하므로 창짝의 하중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외기 유입 차단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창짝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기밀수단을 적용하므로 창짝프레임과 기밀수단이 긴밀히 접촉하여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밀거나 당겨 창짝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창짝프레임의 개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공개일 : 2010.12.17.) 등의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는, 잠금장치를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에 결합된 피니언과 기어 결합되는 랙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에 열림장치용 랙을 형성하고, 열림장치용 랙의 전방으로 문틀프레임에서 문짝프레임이 떨어지게 하는 열림장치를 설치하되, 열림장치는 레일홈에 내입된 상태에서 문짝프레임에 고정되는 바디와, 바디에 암 핀(arm pin)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열림장치용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돌기가 수개 형성된 암(arm)과, 암의 선단에 조립되는 롤러와, 암이 바디 내측에 위치되게 탄성 지지하도록 바디에 고정된 상태에서 암의 수직부에 접하도록 설치한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는, 문짝프레임에 마련된 손잡이를 회동시킬 때 손잡이와 함께 암이 회동하여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문짝프레임을 이격시키므로 중대형 미닫이창호의 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32호는, 손잡이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가 각각 구비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에 번거로움이 따랐을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의 해제 작동 선행 후 열림장치를 작동시킬 수밖에 없어 열림장치 작동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열림장치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손잡이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가 각각 구비됨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에 번거로움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손잡이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가 각각 구비됨에 따라 잠금장치의 해제 작동 선행 후 열림장치를 작동시킬 수밖에 없어 열림장치 작동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 회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측으로 향하는 돌출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록킹부재;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창짝프레임 일측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은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단부의 일측에 상기 창틀프레임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트임부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부재는 중심에 핸들의 중심축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한다.
상기 통공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는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이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부재는 일측에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과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동부재 반대측의 일단이 상기 돌출부재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돌출부 내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의 결합부위에 종방향의 장홈을 구비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한 가동부재의 하강에 의해 스토퍼와의 물림이 해제됨에 따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에 구비되는 기어이의 일부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홈을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는 하단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와의 물림이 해제된 상태로부터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회동부재에 구비되는 통공과 연통하는 개방구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는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는, 하우징 내에 해제 가능한 록킹부재 및 창틀프레임 내측면측으로 돌출 가능한 돌출부재가 함께 마련되는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에 비해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는 핸들 회전에 의해 록킹부재의 해제와 돌출부재의 돌출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잠금장치의 작동과 열림장치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열림장치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가 적용된 창짝프레임이 폐쇄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가 적용된 창짝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회동부재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돌출부재의 돌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록킹부재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가동부재의 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에서 스토퍼의 물림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는, 하우징(10)과, 회동부재(20)와, 연결부재(30)와, 돌출부재(40)와, 록킹부재(50)와, 커버(6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회동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돌출부재(40)와, 상기 록킹부재(50)의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하우징(10)은 상단부의 일측에 창틀프레임측(100)으로 돌출된 돌출부(1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돌출부(1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돌출부(11)에 의해 상기 돌출부재(40)의 출몰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돌출부(11)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트임부(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트임부(1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30)가 상기 트임부(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0)의 회동이 자유롭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창짝프레임(200) 일측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창짝프레임(200) 일측의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300)의 중심축(310)이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회동부재(20)와 결합함에 따라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은 나사(도면상 미도시) 체결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이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2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창짝프레임(20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상기 회동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회동부재(20)는 중심에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이 삽입되는 통공(2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20)가 상기 통공(2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통공(21)에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300)과 상기 회동부재(20)가 연결되어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통공(21)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21)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을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통공(2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핸들(300) 회동시 상기 통공(21) 내에서 상기 중심축(310)의 공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가 원활히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0)는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이(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20)가 상기 기어이(2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기어이(22)의 일부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가동부재(70)의 개방홈(71)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2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70)가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0)는 일측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일단과 접촉하는 돌기(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20)가 상기 돌기(2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20) 회전시 상기 돌기(23)가 상기 연결부재(30)의 일단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0)의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회동부재(20)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0) 회동에 의해 회동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회동부재(20) 반대측의 일단이 상기 돌출부재(40)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30)가 상기 돌출부재(4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돌출부재(40)의 돌출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재(40)는 상기 연결부재(3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30) 회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측으로 향한다.
이와 같은 상기 돌출부재(40)는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돌출부(11)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재(40)가 상기 돌출부(11) 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돌출부재(40) 외면은 상기 돌출부(11) 내면에 의해 감싸지므로 상기 돌출부재(40)가 상기 돌출부(11)를 따라 출몰할 수밖에 없어 상기 돌출부(11)에 의해 상기 돌출부재(40)의 출몰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40)는 상기 연결부재(30)와의 결합부위에 종방향의 장홈(4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재(40)가 상기 장홈(4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재(40)와 상기 연결부재(30)를 결합하는 힌지(42)가 상기 장홈(41) 내에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0) 회동시 상기 돌출부재(40)가 횡방향 이동된다.
상기 록킹부재(5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동부재(20)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기 록킹부재(50)는 상기 회동부재(20) 회동에 의한 가동부재(70)의 하강에 의해 스토퍼(80)와의 물림이 해제됨에 따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0) 미회동시 상기 가동부재(70)가 상승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80)는 상기 록킹부재(50)에 물리므로 상기 록킹부재(5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록킹부재(50)는 잠금 상태에서 선단의 고리부(51)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10)에 삽입되므로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개방이 차단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동부재(70)는 상기 회동부재(20)에 구비되는 상기 기어이(22) 일부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홈(7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70)가 상기 개방홈(7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20)의 상기 기어이(22) 일부가 상기 개방홈(71)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2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70)가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80)는 하단이 탄성부재(8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80)의 하단이 상기 탄성부재(81)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토퍼(80)가 상기 록킹부재(50)와의 물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81)의 탄성이 상기 스토퍼(80)에 미침에 따라 상기 스토퍼(80)가 상기 록킹부재(50)와의 물림이 해제된 상태로부터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81)의 탄성은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70)와, 상기 스토퍼(80)에 미치는 외력에 비해 미미하므로 상기 회동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70)와, 상기 스토퍼(80)에 외력이 미치지 않는 상태, 즉 상기 핸들(300)이 회동 이전 상태로 전환될 때부터 미회동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만 작용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커버(60)는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10) 내부 공간의 개방을 차단한다.
상기 커버(60)가 상기 하우징(10) 내부 공간의 개방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회동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돌출부재(40)와 상기 록킹부재(50) 등의 이탈 및 손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기 커버(60)는 상기 회동부재(20)에 구비되는 상기 통공(21)과 연통하는 개방구(6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60)가 상기 개방구(6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이 상기 개방구(61)를 거쳐 상기 통공(2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핸들(300)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버(60)는 나사(도면부호 미표시) 체결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0)가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기 커버(60)의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60)와 상기 하우징(10)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가 적용된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개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상기 창짝프레임(200) 일측의 내부에 장착되는바,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핸들(300)의 상기 중심축(310)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회동부재(20)의 상기 통공(2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300)을 파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20)는 일측에 상기 연결부재(30)의 일단과 접촉하는 상기 돌기(23)를 구비하는바, 상기 회동부재(20) 회동시 상기 돌기(23)와 접촉하는 상기 연결부재(30)의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회동부재(20) 반대측의 일단이 상기 돌출부재(40)에 힌지결합되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 회동에 의해 상기 돌출부재(40)가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측면 측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돌출부재(40)와 상기 창틀프레임(100) 접촉시의 반력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상기 창틀프레임(100)으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창틀프레임(100)으로부터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이격 과정에서 상기 핸들(300)을 밀거나 당겨 상기 창짝프레임(200)을 개방 방향으로 진행시키게 되면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횡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간단히 개방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 내에는 상기 돌출부재(40)와 함께 상기 록킹부재(50)가 설치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폐쇄되어 상기 록킹부재(50)가 잠긴 상태, 즉 상기 록킹부재(50) 선단의 고리부(51)가 상기 창틀프레임(100)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기 스트라이커(11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창짝프레임(200)의 횡방향 슬라이딩이 불가하므로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개방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부재(20) 외주면의 상기 기어이(2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상기 가동부재(70)의 상기 개방홈(71)에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40) 돌출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재(70)가 하강하고, 상기 가동부재(70) 하강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의 상기 스토퍼(80)가 하강하며, 상기 스토퍼(8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스토퍼(80)와 상기 록킹부재(50)의 물림이 해제되는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50)가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어 상기 록킹부재(50)에 의한 간섭 없이 상기 창짝프레임(200)이 원활히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미닫이창의 개방에 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를 미닫이문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A)는, 상기 하우징(10) 내에 해제 가능한 상기 록킹부재(50) 및 상기 창틀프레임(100) 내측면측으로 돌출 가능한 상기 돌출부재(40)가 함께 마련되는바, 잠금장치와 열림장치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에 비해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고,상기 핸들(300) 회전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50)의 해제와 상기 돌출부재(40)의 돌출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잠금장치의 작동과 열림장치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열림장치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하우징 11 : 돌출부
20 : 회동부재 21 : 통공
22 : 기어이 23 : 돌기
30 : 연결부재 40 : 돌출부재
41 : 장홈 42 : 힌지
50 : 록킹부재 51 : 고리부
60 : 커버 61 : 개방구
70 : 가동부재 71 : 개방홈
80 : 스토퍼 81 : 탄성부재
100 : 창틀프레임 110 : 스트라이커
200 : 창짝프레임 300 : 핸들
310 : 중심축
A :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Claims (17)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 회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측으로 향하는 돌출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동부재 회동에 의해 회동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록킹부재;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창짝프레임 일측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창짝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부의 일측에 상기 창틀프레임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트임부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중심에 핸들의 중심축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이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일측에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과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동부재 반대측의 일단이 상기 돌출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돌출부 내에 배치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의 결합부위에 종방향의 장홈을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한 가동부재의 하강에 의해 스토퍼와의 물림이 해제됨에 따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에 구비되는 기어이의 일부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홈을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하단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와의 물림이 해제된 상태로부터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회동부재에 구비되는 통공과 연통하는 개방구를 구비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인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20150139900A 2015-10-05 2015-10-0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998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900A KR101998840B1 (ko) 2015-10-05 2015-10-0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900A KR101998840B1 (ko) 2015-10-05 2015-10-0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563A Division KR102063732B1 (ko) 2019-02-28 2019-02-28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644A true KR20170040644A (ko) 2017-04-13
KR101998840B1 KR101998840B1 (ko) 2019-07-10

Family

ID=5857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900A KR101998840B1 (ko) 2015-10-05 2015-10-05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511B1 (ko) * 2017-04-27 2018-05-30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20210119068A (ko) * 2020-03-24 2021-10-0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016B1 (ko) * 2001-03-22 2003-08-02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455185Y1 (ko) * 2009-06-09 2011-08-23 주식회사 대현상공 손잡이 연동식 미닫이문용 열림장치
JP4917936B2 (ja) * 2006-09-29 2012-04-18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錠装置
KR200465812Y1 (ko) * 2011-11-08 2013-03-12 주식회사 대현상공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016B1 (ko) * 2001-03-22 2003-08-02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4917936B2 (ja) * 2006-09-29 2012-04-18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錠装置
KR200455185Y1 (ko) * 2009-06-09 2011-08-23 주식회사 대현상공 손잡이 연동식 미닫이문용 열림장치
KR200465812Y1 (ko) * 2011-11-08 2013-03-12 주식회사 대현상공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511B1 (ko) * 2017-04-27 2018-05-30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20210119068A (ko) * 2020-03-24 2021-10-0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자동 열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840B1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311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170027987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20190025864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2052529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915448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1932938B1 (ko)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KR101998840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CN103628752B (zh) 一种扶手箱锁及扶手箱
KR200414222Y1 (ko) 창문용 크레센트
EP2019180B1 (en) An operating device for windows
ITMI20110136A1 (it) Serramento motorizzato
KR101936371B1 (ko) 틸트 앤 턴 도어가 설치된 폴딩 도어
KR20170062768A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200479683Y1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KR200216904Y1 (ko) 창문 개폐장치
KR20170054641A (ko) 도어 잠금장치
CN107237560B (zh) 一种用于副锁门的副锁装置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KR20038426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CN218493438U (zh) 钩锁机构、推拉门结构及推拉窗结构
KR20180061627A (ko) 미닫이형 이중창문
CN103696633B (zh) 一种平开门锁体
JP2020111899A (ja) 建具
KR200416483Y1 (ko) 윗 열기와 여닫이 겸용 시스템창호의 세팅수단
JP2019178557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