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414A - 교합기 - Google Patents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414A
KR20170040414A KR1020150138962A KR20150138962A KR20170040414A KR 20170040414 A KR20170040414 A KR 20170040414A KR 1020150138962 A KR1020150138962 A KR 1020150138962A KR 20150138962 A KR20150138962 A KR 20150138962A KR 20170040414 A KR20170040414 A KR 2017004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ase member
gypsum
extens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8753B1 (ko
Inventor
조영선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조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선 filed Critical 조영선
Priority to KR102015013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753B1/ko
Priority to US15/280,182 priority patent/US10034727B2/en
Publication of KR2017004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753B1/ko
Priority to US16/049,653 priority patent/US2018033323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6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incisal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 A61C5/35Pins; Mounting tools or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Means or methods for correctly replacing a dental model, e.g. dowel pins; Dowel pin positioning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교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는 석고가 주입되는 장 방향의 제 1 홈부와, 상기 제 1 홈부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힌지부를 포함하는 제 1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핀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와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되는 제 2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홈부에 도포된 석고의 상면에 위치된 인상체에 형성될 보철 대상 대합치의 중심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핀 홀에 삽입되는 포지션 핀; 상기 핀 홀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보철 대상 대합치가 성형된 이후에 상기 제 1,2 베이스 부재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보철 대상 대합치의 정교합을 위해 상기 제 1,2 베이스 부재에 양단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교합 유도 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합기{Articulator}
본 발명은 치아모델로 지대치에 보철을 만들 때 작업자가 정확하고 편리하게 작업 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악관절의 운동으로 상하치아가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원호형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치아에 손상을 입은 경우에는 교합에 문제가 생기면서 치아의 기능장애를 불러온다. 이러한 경우, 손상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보철물을 기존 치아 부위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보철기공물의 정확한 제작 및 설치를 위해 구강모형, 모형조립체, 교합기 등의 보조기구들이 활용된다. 즉, 환자의 치아와 잇몸상태를 채득한 구강모형을 모형조립체에 부착한 상태에서 모형조립체를 교합기에 장착하여 제작될 인공치아의 정확한 형상(크기) 및 설치위치를 결정하게 되고, 이후 구강모형을 분할과 착탈이 용이한 모형조립체 같은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모형조립체는 통상 구강모형이 부착되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이 결합하게 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몸체에 결합된 상기 부착판은 구강모형이 부착된 상태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치아 위치별로 개개의 치아단위별로 절단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모형조립체의 경우, 부착판과 몸체 간의 결합에 석고가 사용됨으로 인해 석고 사용에 따른 경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는 물론, 분진과 슬러지가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구강모형이 부착된 부착판을 절단한 이후에는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절단된 부착판을 몸체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몸체 하부면에서 부착판의 핀을 망치와 같은 부재로 타격하여야 하므로 타격에 따른 불편함이 있으며, 분할된 치아의 흔들림으로 인해 치아와 치아의 정확한 접촉면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 모형조립체에서는 구강모형이 부착된 부착판을 절단하여 분할하는 과정에서 절단지점을 경험칙으로 지정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정확도 오류가 발생하기가 쉽고 특히, 그 절단과정에서 부착판의 하측 핀이 손상되거나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제작하고자 하는 부위의 구강모형에 대합되는 대합치의 경우에는 구강에서 채득한 인상체에 석고를 먼저 붓고 경화한 다음 분리하여 교합기에 재부착하는 방법을 통상적으로 사용해 왔으며, 이러한 방법은 복잡한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고 석고가 사용되기 때문에 제작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치아 중앙에 정확하게 핀을 위치시키기가 어려웠고, 석고 주입시 과도하게 주입될 경우 교합기의 외측으로 흘러 넘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20140593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포지션 핀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고, 정확한, 보철을 만들고, 가이드 핀을 통한 보철 대상 지대치의 중심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한 후에 작업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교합이 이루어질 보철 대상 지대치의 정확한 교합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교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석고가 주입되는 장 방향의 제 1 홈부와, 상기 제 1 홈부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힌지부를 포함하는 제 1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핀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와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되는 제 2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홈부에 도포된 석고의 상면에 위치된 인상체에 형성될 보철 대상 대합치의 중심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핀 홀에 삽입되는 포지션 핀; 상기 핀 홀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보철 대상 대합치가 성형된 이후에 상기 제 1,2 베이스 부재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보철 대상 대합치의 정교합을 위해 상기 제 1,2 베이스 부재에 양단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교합 유도 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홈부의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각 변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석고의 흘러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석고 넘침 방지 벽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측을 향해 제 1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2 연장부; 상기 각각의 제 2 연장부 단부에 형성된 제 1 결합구; 상기 제 1 결합구와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된 제 1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힌지부는 상기 제 2 베이스 부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 3 연장부; 상기 제 3 연장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측을 향해 제 1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4 연장부; 상기 제 4 연장부 단부에 형성된 제 2 결합구; 상기 제 2 결합구와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된 제 2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힌지부는 상기 제 2 베이스 부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 3 연장부; 상기 제 3 연장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측을 향해 제 1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4 연장부; 상기 각각의 제 4 연장부 단부에 형성된 제 2 결합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힌지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교합 유도 핀이 부분 삽입되는 제 1 삽입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와 맞물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보철 대상 대합치에 대한 절단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전후면의 길이 방향에 상기 핀 홀에 삽입된 교합 유도 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핀 위치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홈부에 주입된 석고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 1 홈부의 반대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보스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각 변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석고의 흘러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석고 넘침 방지 벽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핀 홀에서 이격된 상태로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돌기의 길이 방향 외측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2 힌지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교합 유도 핀이 삽입되는 락킹 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2 힌지부의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교합 유도 핀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된 제 3,4 삽입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하면 내측의 내부 영역을 상기 핀 홀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한다.
상기 포지션 핀은 핀 홀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포지션 핀과 제 2 포지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지션 핀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봉 형태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핀 홀에 삽입될 경우 걸림 상태가 유지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하측으로 연장된 핀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포지션 핀은 핀 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핀 홀에 압입되는 핀 홀 걸림부,; 상기 핀 홀 걸림부의 하측으로 연장된 핀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과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의 내측 사이에 석고가 주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제 2 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홈부에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위치에서 부피가 점점 감소되게 형성되어 석고의 부피 팽창에 따른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부피 감소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포지션 핀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고, 정확한, 보철을 만들고, 가이드 핀을 통해 인상체에 형성될 보철 대상 지대치의 중심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어 정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인상체가 제 1 베이스 부재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차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위치 조정을 실시할 수 있고, 이와 함께 가이드 핀을 통해 보철 대상 지대치에 대해서만 정확하게 유도하여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불필요한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보철 대상 지대치의 정교합을 위한 교합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어 교합에 따른 정확성 향상과 작업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교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 1 베이스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 2 베이스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교합기의 조립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교합기에 포지션 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교합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교합기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교합기(1)는 인상체(2)에 형성될 보철 대상 지대치(3)에 대한 중심을 포지션 핀을 통해 정확하게 유도한 상태로 상기 보철 대상 지대치(3)에 대한 교합을 실시할 수 있어 정확한 교합을 통해 작업자의 작업시간 단축과 작업의 편리성 및 정확성이 향상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석고(10)가 주입되는 장 방향의 제 1 홈부(110)와, 상기 제 1 홈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힌지부(120)를 포함하는 제 1 베이스 부재(100)와, 상기 제 1 힌지부(120)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핀 홀(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힌지부(21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와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되는 제 2 베이스 부재(200)와, 상기 제 1 홈부(110)에 도포된 석고(10)의 상면에 위치된 인상체(2)에 형성된 보철 대상 지대치(3)의 중심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핀 홀(220)에 삽입되는 포지션 핀(300)과, 상기 핀 홀(220)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400) 및 상기 보철 대상 지대치(3)가 성형된 이후에 상기 제 1,2 베이스 부재(100, 200)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보철 대상 지대치(3)의 정교합을 위해 상기 제 1,2 베이스 부재(100, 200)에 양단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교합 유도 핀(50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와 제 2 베이스 부재(200)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되고 후술할 제 1,2 힌지부(120,210)에 의해 각각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는 석고(10)가 주입되는 장 방향의 제 1 홈부(110)와, 상기 제 1 홈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힌지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홈부(11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도면 기준으로 상면에 상기 제 1 홈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홈부(110)의 바닥면에 돌기(102)가 돌출된다. 상기 돌기(102)는 직육면체 또는 다각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돌기(102)는 석고(10)가 상기 제 1 홈부(110)에 주입될 경우 상기 석고(10)의 고정을 도모하여 상기 인상체(2)가 제 1 홈부(110)에 주입된 석고의 상면에 위치될 경우 응집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인상체(2)를 이용한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각 변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석고(10)의 흘러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석고 넘침 방지 벽(10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석고 넘침 벽(104)은 작업자가 상기 제 1 홈부(110)에 석고를 주입할 때 제 1 베이스 부재(100)의 외측으로 석고(10)가 흘러 넘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여 불필요한 석고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이 이루어지는 교합기의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 1 힌지부(120)는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 1 연장부(122)와, 상기 제 1 연장부(122)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측을 향해 제 1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2 연장부(124)와, 상기 각각의 제 2 연장부(124)의 단부에 형성된 제 1 결합구(126)와, 상기 제 1 결합구(126)와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된 제 1 스토퍼(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힌지부(120)는 제 1 연장부(122)가 플레이트 형태로 제 1 베이스 부재(10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 2 연장부(124)는 상기 제 1 힌지부(120)의 상면 중 좌측과 우측 단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상측을 향해 제 1 경사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경사각은 특별히 특정 각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결합구(126)는 상기 제2 연장부(124)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연장된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을 향해 직교되어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1 연장핀(126a)과, 상기 제1 연장핀(126a)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1 연장핀 결합로(126a-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연장핀(126a)의 단부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이탈방지 판(126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장핀(126a)은 후술할 제2 힌지부(210)의 제2 결합홈(216d)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연장핀(126a)은 외주면의 일부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나, 상기 제1 연장핀 결합로(126a-1)가 형성된 부분이 수평하게 연장되며 일 예로 평면 컷팅된 형태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제1,2 베이스 부재(100, 200)를 서로 간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 후술할 제2 결합홈(216d)에 제1 연장핀(126a)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연장핀 결합로(126a-1)에 의해 삽입되는 방향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어 삽입과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져 작업자가 제1,2 베이스 부재(100, 200)를 서로 간에 손쉽게 조립 및 조립해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연장핀(126a)과 마주보는 상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반원 형태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100)를 바라보며 돌출된 제1 스토퍼(125)와, 상기 제1 연장핀(126a)을 바라보는 제1스토퍼(125)의 반대면에 평면 형태로 스토퍼 정지부(125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토퍼(125)는 제1 연장핀(126a)이 제2결합홈(216d)에 결합된 이후에 최대로 펼치거나, 최대로 접었을 때 제2 결합홈(216d)의 외각부분이 스토퍼 정지부(125a)에 직접적으로 접촉 되어 더 이상 펼쳐지거나 접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간 단축과 조립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124)에서 연장된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연장핀(126a)과 마주보는 위치에 U 자 형태로 형성된 제 1 결합홈(126d)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홈(126d)은 상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으며 후술할 제 2 힌지부(210)의 제 2 연장핀(216a)이 삽입된다.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는 상기 제 1 힌지부(120)와 마주보는 상태로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교합 유도 핀(500)이 부분 삽입되는 제 1 삽입구(10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삽입구(101)는 전술한 제 1 석고 넘침 방지 벽(104)의 하측에 형성되고 외측을 향해 u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교합 유도 핀(500)이 접착제로 고정된다.
제 1 석고 넘침 방지 벽(104)은 석고의 주입에 따른 제 1 베이스 부재(100)의 외측으로 석고가 흘러 넘치는 현상을 최소화 하여 작업 시간 단축과 작업 공정의 간편함 및 작업장 주변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석고의 불필요한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는 상기 제 1 홈부(110)에 주입된 석고(10)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 1 홈부(110)의 반대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보스부(1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스부(105)는 원기둥 형태로 외측을 향해 돌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 1 홈부(110)에 주입된 석고(10)가 응고된 이후에 상기 응고된 석고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보스부(105)를 나무 망치 또는 다른 공구를 이용하여 충격을 가할 경우 상기 석고(10)에 충격이 전달되어 제 1 홈부(110)에서 외측으로 상기 석고(10)와 함께 손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석고(10)를 분리하기 위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성과 작업 속도를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다.
포지션 핀은 핀 홀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포지션 핀(300)과 제 2 포지션 핀(34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포지션 핀(300)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봉 형태의 손잡이(310)와, 상기 손잡이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핀 홀(220)에 삽입될 경우 걸림 상태가 유지되는 걸림부(320)와, 상기 걸림부(320)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310)와 걸림부(320)의 무게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갖는 핀 바디(330)를 포함한다.
포지션 핀(300)은 보철이 이루어질 지대치(3)의 상면 중앙에 포지션 핀(300)의 하단이 정확히 위치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지대치(3)의 중앙에 대한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10)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포지션 핀(300)을 손으로 파지할 때 손쉽게 파지할 수 있어 상기 핀 홀(220)에 삽입 작업을 실시할 때 미끄러지거나 놓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포지션 핀(300)은 작업자가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를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에 위치된 보철 대상 지대치(3)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핀 홀(220)에 삽입할 경우 상기 핀 홀(220)의 상면에 걸린 상태가 유지되므로 이탈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참고로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는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를 향해 제 1 힌지부(120)와 결합된 제 2 힌지부(210)에 의해 손쉽게 회전된다.
상기 핀 바디(330)는 자체 무게가 상기 손잡이(310)와 걸림부(320)의 무게보다 무거우므로 상기 핀 홀(220)에 손쉽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포지션 핀(300)은 핀 홀(220)에 삽입될 경우 상기 핀 바디(330)의 하측 단부가 보철 대상 지대치(3)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보철 대상 지대치(3)의 중심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후속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포지션 핀(300))과 함께 핀 홀(220)에 삽입되는 제 2 포지션 핀(340)은 핀 홀(22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핀 홀(220)에 압입되는 핀 홀 걸림부(350)와, 상기 핀 홀 걸림부(350)의 하측으로 연장된 핀 바디(360)를 포함한다. 핀 바디(360)는 일정 직경을 갖고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포지션 핀(340) 또한 전술한 제 1 포지션 핀(300)과 기능은 동일하며 지대치(3)의 상면 중앙에 상기 핀 바디(360)가 오도록 유도하여 정확한 교합을 도모한다.
작업자는 상기 제 1 홈부(110)에 석고가 주입된 이후에 인상체(2)의 하면에 석고를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홈부(110)에 도포된 석고의 상면에 인상체(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 2 베이스 부재(200)를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200)와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힌지부(120)와 연결된 제 2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포지션 핀(300)을 핀 홀(220)에 삽입하여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200)의 상면에 위치된 인상체(2)를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가 마주보도록 한 후에 상기 보철 대상 지대치(3)의 중심 위치를 향해 상기 포지션 핀(300)의 핀 바디(330)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포지션 핀(300)을 핀 홀(220)에서 제거한 후에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의 상면에 석고를 도포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각 변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석고의 흘러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석고 넘침 방지 벽(20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석고 넘침 벽(204)은 작업자가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의 상면에 석고를 주입할 때 외측으로 석고(10)가 흘러 넘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여 불필요한 석고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이 이루어지는 교합기의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400)은 핀 홀(220)에 각각 삽입되며 상면이 상기 핀 홀(220)의 상부로 소정길이 이상 돌출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는 상기 핀 홀(220)에서 이격된 상태로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 돌기(20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돌기(205)의 길이 방향 외측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 돌기(202)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 돌기(205)는 상기 지지 돌기(202)와 동일 높이로 돌출되나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제 2 베이스 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 돌기(205)는 핀 홀(22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동일 길이로 이격되어 대칭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 돌기(202)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석고가 주입될 경우 결합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지지 돌기(202)는 상기 연장 돌기(20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연장 돌기(20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지지 돌기(202)는 석고(10)가 주입된 이후에 보철 대상 대합치(3) 또는 이와 이웃한 주변 대합치를 분리할 때 가이드 핀(400)의 축 방향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때 좌, 우, 앞, 뒤로 움직임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안정적인 교합기의 작업을 도모하여 정밀한 보철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지지 돌기(202)는 핀 홀(220)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므로 상기 보철 대상 지대치(3) 또는 주변 치아가 가이드 핀(400)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는 작업자가 실톱을 이용하여 상기 보철 대상 지대치(3) 또는 이와 이웃한 주변 치아를 분리할 때 정확히 고정된 상태에서 해당 보철 대상 지대치(3) 또는 이웃한 주변 치아를 분리하고자 할 때 정확하게 해당 지대치(3) 만을 분리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는 상기 제 2 힌지부(210)와 마주보는 상태로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교합 유도 핀(500)이 삽입되는 락킹 홀(20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락킹 홀(201)은 제 2 석고 넘침 방지 벽(204)의 하측에 형성되고 외측을 향해 u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교합 유도 핀(500)이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된다.
락킹 홀(201)은 후술할 교합 유도 핀(500)의 돌출부(520)의 안정적인 진입을 가이드 하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교합 유도 핀(500)이 상기 락킹 홀(201)로 삽입될 경우 정확한 위치로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전후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결합 안전성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보철 작업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정지부(206)는 교합 유도 핀(500)의 하단이 과도하게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어 정확한 교합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위치 표시부(103)는 핀 홀(220)이 다수 개일 경우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의 전면 또는 후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전후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양각 또는 음각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제 2 힌지부(210)는 상기 제 2 베이스 부(20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 3 연장부(212)와, 상기 제 3 연장부(212)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측을 향해 제 1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4 연장부(214)와, 상기 각각의 제 4 연장부(214)의 단부에 형성된 제 2 결합구(21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힌지부(210)는 제 3 연장부(212)가 플레이트 형태로 제 2 베이스 부재(20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 3 연장부(212)는 상기 제 2 힌지부(210)의 상면 중 좌측과 우측 단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상측을 향해 제 1 경사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경사각은 특별히 특정 각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 결합구(216)는 상기 제3 연장부(212)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연장된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을 향해 직교되어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2 연장핀(216a)과, 상기 제2 연장핀(216a)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1 연장핀 결합로(216a-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연장핀(216a)의 단부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이탈방지 판(216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장핀(216a)은 제1 힌지부(120)의 제1 결합홈(110d)에 삽입된다.
상기 제2 연장핀(216a)은 외주면의 일부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나, 상기 제2 연장핀 결합로(216a-1)가 형성된 부분이 수평하게 연장되며 일 예로 평면 컷팅된 형태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제1,2 베이스 부재(100, 200)를 서로 간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2 연장핀 결합로(216a-1)에 의해 삽입되는 방향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어 삽입과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져 작업자가 제1,2 베이스 부재(100, 200)를 서로 간에 손쉽게 조립 및 조립해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연장핀(216a)과 마주보는 상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반원 형태로 상기 제2 베이스 부재(200)를 바라보며 돌출된 제2 스토퍼(215)와, 상기 제2 연장핀(216a)을 바라보는 제2 스토퍼(215)의 반대면에 평면 형태로 스토퍼 정지부(215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토퍼(215)는 제2 연장핀(216a)이 제1결합홈(126d)에 결합된 이후에 최대로 펼치거나, 최대로 접었을 때 스토퍼 정지부(215a)에 직접적으로 접촉 되어 더 이상 펼쳐지거나 접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간 단축과 조립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제4 연장부(214)에서 연장된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제2 연장핀(216a)과 마주보는 위치에 U자 형태로 형성된 제2 결합홈(216d)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홈(216d)은 상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으며 후술할 제1 힌지부(120)의 제1 연장핀(126a)이 삽입된다.
상기 제 1,2 가이드 부재(100, 200)는 상기 제 1,2 힌지부(120, 210)의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교합 유도 핀(500)을 접착제로 붙이는 제 3,4 삽입구(1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3,4 삽입구(106)는 전술한 제 1,2 삽입구(101, 201)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교합 유도 핀(500)은 제 1,2 베이스 부재(100, 200)가 서로 간에 맞물릴 경우 정확한 교합을 위해 구비되는데, 좌측과 우측 길이 방향을 따라 교합 유도 홈(51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라운드 진 상태로 돌출된 돌출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교합 유도 홈(510)은 반원 또는 타원 중의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삽입구 돌기(106-1)는 제 3,4 삽입구(106)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돌출되는데, 상기 교합 유도 홈(510)은 상기 교합 유도 핀(500)이 제 3,4 삽입구(106)를 따라 하강될 경우 상기 삽입구 돌기(106-1)에 의해 이동 방향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된다.
또한 접착제가 상기 교합 유도 홈(510)으로 주입될 경우 결합력과 접착 면적이 증가된다.
돌출부(520)는 락킹 홀(201)에 정확하게 삽입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어 교합 정확도와 안전성 및 정확한 보철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는 하면 내측의 내부 영역을 상기 핀 홀(220)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격벽(2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격벽(230)은 교합기(1)를 메탈로 이루어진 본체에 사용할 때 석고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격벽(230)과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의 내측 사이에 석고가 주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제 2 홈부(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홈부에(240)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위치에서 부피가 점점 감소되게 형성되어 석고의 부피 팽창에 따른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부피 감소부(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피 감소부(250)는 석고가 주입될 경우 부피 팽창에 따른 제 2 베이스 부재(2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여 석고 주입에 따른 문제 발생을 예방한다.
격벽(230) 하단에 위치한 스티커 접착부(260)은 띠 형태의 스티커(미도시)가 부착되기 위한 접착면을 제공하는데, 상기 스티커 접착부(260)에 의해 석고가 내측 영역으로 추가 주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석고의 유입으로 인한 뒤틀림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보철 작업의 정확성과 작업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는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와 맞물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보철 대상 지대치(3)에 대한 절단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200)의 전면 또는 후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전후면의 길이 방향에 상기 핀 홀(220)에 삽입된 교합 유도 핀(50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핀 위치 표시부(20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핀 위치 표시부(203)는 작업자가 핀 홀(220)의 상면에 석고가 도포된 후에 실톱을 이용하여 절단하고자 할 때 정확한 절단 위치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상기 보철 대상 지대치(3)에 대한 정확한 절단과 작업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보철 대상 지대치(3)에 대한 절단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 속도 또한 동시에 향상되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절단된 보철 대상 지대치(3)에 대한 정확한 교합을 위해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100)와 제 2 베이스 부재(200)가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정확한 교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위치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하여 정확한 교합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교합 유도 핀(500)을 제 1 삽입구(101)에 삽입한 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위, 아래 교합된 치아가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교합 유도 핀(500)이 제 1 삽입구(101)간의 접촉된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2 : 인상체
10 : 석고
100 : 제 1 베이스 부재
101 : 제 1 삽입구
104 : 제 1 석고 넘침 방지벽
105 : 보스부
110 : 제 1 홈부
120 : 제 1 힌지부
122, 124 : 제 1,2 연장부
125 : 제 1 스토퍼
125a : 스토퍼 정지부
126 : 제 1 결합구
126a : 제 1 연장핀
126a-1 : 제 1 연장핀 결합로
126b : 이탈방지 판
126d : 제 1 결합홈
200 : 제 2 베이스 부재
201: 락킹 홀
202 : 지지 돌기
203 : 핀 위치 표시부
204 : 제 2 석고 넘침 방지벽
210 : 제 2 힌지부
212, 214 : 제 3,4 연장부
215 : 제 2 스토퍼
215a : 스토퍼 정지부
216 : 제 2 결합구
216a : 제 2 연장핀
216a-1 : 제 2 연장핀 결합로
216b : 이탈방지 판
216d : 제 2 결합홈
230 : 격벽
240 : 제 2 홈부
300 : 제 1 포지션 핀
310 : 손잡이
320 : 걸림부
330 : 핀 바디
340 : 제 2 포지션 핀
350 : 핀홀 걸림부
360 : 핀바디
400 : 가이드 핀
500 : 교합 유도 핀

Claims (17)

  1. 석고가 주입되는 장 방향의 제 1 홈부와, 상기 제 1 홈부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힌지부를 포함하는 제 1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 2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핀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와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되는 제 2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홈부에 도포된 석고의 상면에 위치된 인상체에 형성될 보철 대상 대합치의 중심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핀 홀에 삽입되는 포지션 핀;
    상기 핀 홀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보철 대상 대합치가 성형된 이후에 상기 제 1,2 베이스 부재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보철 대상 대합치의 정교합을 위해 상기 제 1,2 베이스 부재에 양단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교합 유도 핀을 포함하는 교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홈부의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교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각 변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석고의 흘러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석고 넘침 방지벽을 더 포함하는 교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부는,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측을 향해 제 1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2 연장부;
    상기 제 2 연장부 단부에 형성된 제 1 결합구;
    상기 제 1 결합구와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된 제 1 스토퍼를 포함하는 교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부는,
    상기 제 2 베이스 부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 3 연장부;
    상기 제 3 연장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측을 향해 제 1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4 연장부;
    상기 제 4 연장부 단부에 형성된 제 2 결합구;
    상기 제 2 결합구와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된 제 2 스토퍼를 포함하는 교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힌지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교합 유도 핀이 부분 삽입되는 제 1 삽입구를 더 포함하는 교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와 맞물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보철 대상 대합치에 대한 절단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전후면의 길이 방향에 상기 핀 홀에 삽입된 교합 유도 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핀 위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교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홈부에 주입된 석고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 1 홈부의 반대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보스부를 더 포함하는 교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각 변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석고의 흘러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석고 넘침 방지벽을 더 포함하는 교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핀 홀에서 이격된 상태로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돌기의 길이 방향 외측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2 힌지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교합 유도 핀이 삽입되는 락킹 홀을 더 포함하는 교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2 힌지부의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교합 유도 핀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된 제 3,4 삽입구를 더 포함하는 교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하면 내측의 내부 영역을 상기 핀 홀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교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핀은,
    핀 홀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포지션 핀과 제 2 포지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지션 핀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봉 형태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핀 홀에 삽입될 경우 걸림 상태가 유지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하측으로 연장된 핀 바디를 포함하는 교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포지션 핀은,
    핀 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핀 홀에 압입되는 핀 홀 걸림부,;
    상기 핀 홀 걸림부의 하측으로 연장된 핀 바디를 포함하는 교합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의 내측 사이에 석고가 주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제 2 홈부를 더 포함하는 교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홈부에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위치에서 부피가 점점 감소되게 형성되어 석고의 부피 팽창에 따른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부피 감소부를 더 포함하는 교합기.
KR1020150138962A 2015-10-02 2015-10-02 교합기 KR10175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962A KR101758753B1 (ko) 2015-10-02 2015-10-02 교합기
US15/280,182 US10034727B2 (en) 2015-10-02 2016-09-29 Articulator
US16/049,653 US20180333234A1 (en) 2015-10-02 2018-07-30 Artic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962A KR101758753B1 (ko) 2015-10-02 2015-10-02 교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414A true KR20170040414A (ko) 2017-04-13
KR101758753B1 KR101758753B1 (ko) 2017-07-19

Family

ID=5844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962A KR101758753B1 (ko) 2015-10-02 2015-10-02 교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034727B2 (ko)
KR (1) KR101758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06B1 (ko) * 2019-06-07 2020-05-28 (주)푸르고바이오로직스 홀이 형성된 골 이식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4796B (zh) * 2018-09-28 2020-12-29 先临三维科技股份有限公司 注塑装置及其牙模成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593A (ko) 2011-06-21 2012-12-31 요시타카 야마기시 어개류의 양식방법 및 그에 이용하는 사육수의 정화활성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2531A (en) * 1943-01-18 1944-11-14 Berger Knute Pin retainer latch for fair-leaders
US4184255A (en) * 1977-06-03 1980-01-22 Gordon Woodford W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orming accurate hinge axis tooth positioners
US4305708A (en) * 1979-01-09 1981-12-15 Teledyne Hanau, A Division Of Teledyne, Inc. Dental articulator
US4496319A (en) * 1982-08-19 1985-01-29 Whip-Mix Corporation Dental articulator with spatially oriented mounting table
AT384729B (de) * 1986-02-10 1987-12-28 Lisec Bernhard Artikulator
US4981437A (en) * 1989-11-14 1991-01-01 Wilcox Earl 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dentures
US5366373A (en) * 1993-12-10 1994-11-22 Frank Mumolo Dental articulator
EP1098609A1 (en) * 1998-07-23 2001-05-16 Jose E. Walter Disposable articulator having tray support with opening which accepts a projection from a tray
US6019601A (en) * 1998-08-13 2000-02-01 Cho; Kyung Rok Tray modeling system with articulator assembly and ejection mechanism for producing a dental model
US6318999B1 (en) * 1999-04-07 2001-11-20 Nu-Tek Dental, Llc Dental articulator
US6402513B1 (en) * 2000-12-07 2002-06-11 Gordon K. Sim Dental model articulator
US7147465B2 (en) * 2002-07-01 2006-12-12 Yunoh Jung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6869281B2 (en) * 2003-01-07 2005-03-22 Jerry W. Doviack Tooth model occlusion testing device
US7338283B2 (en) * 2003-02-26 2008-03-04 Dental Ventures Of America Inc. Dental prostheses modeling system with symmetric double-well trays slidably mountable to articulator
US6913462B2 (en) 2003-02-26 2005-07-05 Dental Ventures Of America, Inc. Pin tray dental prostheses modeling system with re-usable tray
WO2006099515A2 (en) * 2005-03-14 2006-09-21 Premier Dental Products Company Dental articulator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0569667B1 (ko) * 2005-07-20 2006-04-10 임무철 치아제작용 모형조립체와 그 성형방법
US7690919B2 (en) * 2006-03-28 2010-04-06 Huffman Ronald E Dental articulator
KR101272866B1 (ko) 2011-06-09 2013-06-10 김연순 치과 기공용 아티큘레이터
EP2765951A4 (en) 2011-10-13 2015-09-09 Ronald E Huffman DENTAL MODELING SYSTEMS AND METHODS WITHOUT PRINTING
KR200469131Y1 (ko) * 2011-12-07 2013-09-23 동 준 유 래치를 포함하는 치아용 교합기
US10441389B2 (en) * 2012-04-27 2019-10-15 Scott Eric Gallacher Apparatus and system for dental modeling
KR101515215B1 (ko) * 2013-09-17 2015-04-24 변태희 교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593A (ko) 2011-06-21 2012-12-31 요시타카 야마기시 어개류의 양식방법 및 그에 이용하는 사육수의 정화활성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06B1 (ko) * 2019-06-07 2020-05-28 (주)푸르고바이오로직스 홀이 형성된 골 이식재 제조방법
WO2020246830A1 (ko) * 2019-06-07 2020-12-10 (주)푸르고바이오로직스 홀이 형성된 골 이식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34727B2 (en) 2018-07-31
US20180333234A1 (en) 2018-11-22
KR101758753B1 (ko) 2017-07-19
US20170095318A1 (en)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1607B2 (ja) 機能性インプラント
US112849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implants
KR101783605B1 (ko) 치과용 교합기
KR101758753B1 (ko) 교합기
KR10126583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US8506297B2 (en) Dental model
ITRM940500A1 (it) "corredo di elementi per la col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modelli di gesso per protesi dentarie, e sistemi di colatura che impiegano tali elementi".
US20140080088A1 (en) Dental articulator
JP6454627B2 (ja) 有床義歯の設計方法、有床義歯の製造方法、位置決め手段
KR100865591B1 (ko) 치아모형 교합기
JP2001178744A (ja) 歯科技工用の型枠
US20060210944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0594356B1 (ko)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KR101849044B1 (ko) 교합기용치아모델 베이스 툴
JP4112732B2 (ja) 歯科技工用作業模型の基台
KR102352945B1 (ko)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US3454256A (en) Dowel assembly
KR20120054962A (ko) 치모형 제작 장치
WO2006091982A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0955320B1 (ko) 교합기
KR20160051105A (ko) 상하악 구강상태 동시 인상채득용 바이트 트레이
KR20130073511A (ko) 치과 기공용 아티큘레이터 및 이 아티큘레이터에 사용되는 치아모델 고정핀
JP2014184010A (ja) 歯科補綴物作成装置
JP2021104238A (ja) 印象採得方法、義歯床の製造方法及び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