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838B1 - 치아모형 조립체 - Google Patents

치아모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838B1
KR101265838B1 KR1020120145982A KR20120145982A KR101265838B1 KR 101265838 B1 KR101265838 B1 KR 101265838B1 KR 1020120145982 A KR1020120145982 A KR 1020120145982A KR 20120145982 A KR20120145982 A KR 20120145982A KR 101265838 B1 KR101265838 B1 KR 101265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rotrusion
main body
tooth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선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조영선
최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선, 최재선 filed Critical 조영선
Priority to KR102012014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6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incisal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Means or methods for correctly replacing a dental model, e.g. dowel pins; Dowel pin positioning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모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교합기와 결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환자의 치열궁(Dental Arch)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다수개의 핀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핀홀에 삽입되는 핀; 상기 본체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되, 내부가 중공 상태로 개구되어 석고 또는 수지와 같은 주입물이 주입되는 주입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 공간에 주입물을 주입시켜 핀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성형된 인상재의 내측에 주입물이 주입된 후에 상기 인상재의 하면은 프레임의 상면과 밀착되고, 상면은 상기 교합기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인상재에 주입된 주입물이 경화된 후에 상기 환자의 상, 하악과 대응되는 형태로 생성된 치아모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모형 조립체{Teeth Model Assembly}
본 발명은 치아모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인상된 인상재를 통한 치아모형에 대한 제작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실시하기 위한 치아모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부분적으로 썩거나 잇몸질환이 있을 경우에는 인공치아로 교체하거나 상한 치아를 치료 한후 메탈합금 등으로 형성된 보철로 덮어씌워 정상치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철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내 배치된 치아의 위치와 형상에 정확히 일치해야 하므로 치과병원에서는 환자의 구강 구조와 일치하는 치아모형을 제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대부분에는 치아모형을 이용해서 치아보철을 제조하기 위해 트리머를 이용하여 치아모형의 바닥면을 평평하게하고, 상기 치아모형의 각 치아 하부 중앙에 홀을 천공한 후 천공된 홀에 고정핀을 순간접착재로 삽입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핀이 삽입된 치아모형의 하단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일정한 형상의 틀에 치과용 석고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된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베이스판을 형성한 다음 교합기에 상하치아모형을 서로 맞 물려 교합기에 한쪽씩 석고로 고정한 다음 베이스판의 상단에 고정된 치아모형 중 보철을 요하는 특정 치아부위들을 절단하여 절단된 치아모형을 가지고 보철을 제작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전체 치아모형 중 보철을 요하는 특정 치아부위들을 절단하여 베이스판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해낸 치아모형을 베이스판의 원래 위치에 재차 고정하는 경우에 원상태로 결합되지 않고 이격되거나 좌우로 움직임이 발생되면서 고도의 작업 정밀성을 유지할 수 없고 이로 인해 환자의 치아형상을 정확히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고정핀을 이용한 보철작업은 치아모형의 준비과정이 복잡하여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복잡한 치아모형 준비작업(핀작업, 모델작업)의 기술을 습득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한번 형성한 핀과 베이스판은 다른 작업에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재료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가장 많이쓰는 작고 단순한 교합기 사용으로 한번 붙인 교합기와 베이스판이 분리가 안되 단순한 상하운동은 재현이 되나 정확한 측방운동은 재현이 안되고, 기존의 거의대부분 교합기는 매번 한쪽씩 많은 석고로 붙여야 하기에 석고팽창이 생겨 오차가 생기고, 시간과 비용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45787 (등록일: 2011년 06월 27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철을 제작하기 위한 치아모형의 변형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다양한 치아 형태를 가지는 환자의 치아 배열에 상관없이 상기 치아모형의 제작과 분리를 용이하게 실시하고, 납형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개의 부재료(홀 마개, 핀, 본체부 및 프레임)의 재활용을 통해 경제성을 도모하고 기존의 모든 교합기와도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며 치아본에 석고을 붇고, 치아모형작업, 베이스작업, 교합기에 연결 작업을 한번에 실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는 교합기와 결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환자의 치열궁(Dental Arch)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다수개의 핀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핀홀에 삽입되는 핀; 상기 본체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 상태로 개구되어 석고 또는 수지와 같은 주입물이 주입되는 주입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 공간에 주입물을 주입시켜 핀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성형된 인상재의 내측에 주입물이 주입된 후에 상기 인상재의 하면은 프레임의 상면과 밀착되고, 상면은 상기 교합기(700)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인상재에 주입된 주입물이 경화된 후에 상기 환자의 상, 하악과 대응되는 형태로 생성된 치아모형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교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격벽이 형성된 장착판; 상기 장착판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장착판의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고, 단부가 장착판의 외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된 연장편; 상기 연장편에 형성되고 본체부와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판은 본체부의 하면과 끼움 결합되기 위해 상기 장착판의 상면 모서리 위치에서 내측을 향해 부분 개구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판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부를 향해 연장된 제1 정렬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정렬돌기는 상기 장착판의 정 중앙 또는 사이드 중의 어느 한 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정렬돌기는 원기둥 또는 타원 또는 다각기둥 중의 어느 한 형태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1 보조 정렬돌기; 상기 제1 보조 정렬돌기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2 보조 정렬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조 정렬돌기와 제2 보조 정렬돌기는 서로 간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정렬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부재와 결합되는 제1 정렬돌기의 결합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하면에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홈; 상기 핀홀의 전, 후방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돌출된 지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프레임과 위치 정렬을 위해 상기 프레임을 향해 돌출된 제2 정렬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핀은 핀 걸림홈이 형성된 핀 바디; 상기 핀 바디의 상단에 형성된 핀 헤드; 상기 핀 헤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핀 캡을 포함한다.
상기 핀 걸림홈은 상기 핀 바디의 길이 방향 중앙 하측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보철을 실시할 치아의 위치를 유도하기 위해 외측 가장자리의 일부 구간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가이드 돌기; 상기 가이드 돌기의 하측에 숫자로 기재된 치아 넘버부; 상기 가이드 돌기와 마주보는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물이 경화된 치아모형의 절단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치아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판 형태의 고정편에 형성되고 제2 정렬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고정홀을 포함한다.
상기 치아모형은 경화된 주입물을 톱으로 절단할 때 핀홀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치아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치아홈; 상기 치아홈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과도한 절단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 상기 치아모형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면부를 포함한다.
치아모형 조립체는 핀이 미 삽입되는 핀홀의 내측으로 주입물이 주입되지 않도록 상기 핀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홀 마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은 치아모형 조립체 제작 및 교합기와의 연결 작업에 소모되는 시간을 최소화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주재료에 대한 재활용 및 재사용으로 인한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납형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치아 배열과 일치하는 보철 제작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개별 치아와 대응되는 핀에 의하여 납형 제작에 따른 움직임 발생을 최소화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기존의 교합기와도 손쉽게 연결되므로 사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인상재에 석고를 붇는 작업을 하면서 치아모형작업, 모형 베이스작업, 교합기와 연결작업을 한번에 실시할 수 있어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가 교합기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종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에 구비된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에 구비된 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삽입부재에 제1 정렬돌기가 결합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에 구비된 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에 구비된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에 주입물이 주입되어 본체부가 제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
도 11은 치아모형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치아모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모형 조립체의 주요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치아모형 조립체(1)는 교합기(700)와 결합되는 장착부(100)와, 상기 장착부(100)의 상면에 결합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핀(300)과,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에 설치되고 주입 공간(401)이 형성된 프레임(400)과, 상기 프레임(400)의 상면과 밀착된 인상재(500)를 통해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대응되는 형태로 생성된 치아모형(600)을 포함한다.
교합기(700)는 하부 교합기(701)와 상부 교합기(702)를 포함하고, 힌지를 매개로 서로 간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며, 장착부(100)는 하부 교합기(701)의 상면에 설치된다.
장착부(10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 장착판(110)을 통해 상기 하부 교합기(70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격벽(15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판(110)은 하부 교합기(701)와 석고를 매개로 서로 간에 고정되나 상기 재질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격벽(150)은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판(110)의 하부영역을 일정 간격으로 구획하고, 상기 석고와 하부 교합기(701) 및 장착판(110)이 서로 간에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장착판(110)은 상면 중앙에 하측을 향해 연결홀(14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140)을 통해 하부 교합기(701)에 주입물을 주입할 경우 육안을 통해 직접적으로 주입량을 확인할 수 있다.
장착판(110)은 상면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결합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130)는 후술할 본체부(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부(130)는 장착판(110)의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고, 단부가 장착판(110)의 외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된 연장편(131)과, 상기 연장편(131)에 형성되고 본체부(200)와 결합되는 결합돌기(132)를 포함한다.
연장편(131)은 단부가 라운드진 형태로 밴딩되므로 작업자가 장착판(110)에 본체부(200)를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하고자 할 때 상기 연장편(131)의 상단을 손으로 잡고 보다 편리하고 본체부(200)와 신속하게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킬 수 있으며, 결합돌기(132)는 서로 마주보며 외측을 향해 반원 형태로 돌출되나, 상기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단면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장착판(110)은 본체부(200)의 하면과 끼움 결합되기 위해 상기 장착판(110)의 상면 모서리 위치에서 내측을 향해 부분 개구된 장착홈(120)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홈(120)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참고로 주입물은 석고 또는 수지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도면에서는 석고(900)로 한정하여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본체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200)는 장착부(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환자의 치열궁(Dental Arch)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210)와, 상기 돌출부(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핀홀(211)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10)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지 않으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아크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체부(200)는 장착판(11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2포인트에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첫 번째는 결합부(130)를 통해 이루어지고, 두 번째는 장착홈(120)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체부(200)는 첫 번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26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60)의 하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70)을 포함한다.
경사면(270)은 결합돌기(132)가 삽입홈(260)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결합돌기(132)의 외주면과 우선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삽입홈(260)의 위치로 결합돌기(132)를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형성된다.
경사면(270)은 본체부(200)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므로 상기 본체부(200) 전체를 장착부(100)와 결합시키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킬 경우 결합돌기(132)가 경사면(270)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삽입홈(26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삽입홈(260)은 결합돌기(132)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서로 간에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외부에서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장착판(110)에 결합된 본체부(200)가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유지된다.
상기 본체부(200)가 장착판(110)에서 결합 해제되기 위해서는 현재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200)의 상면을 손으로 파지한 후에 연장편(131)을 외측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본체부(200)를 상측으로 잡아당디면 해제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결합돌기(132)가 구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삽입홈(260) 또한 구 형태 또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돌기(132)와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상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두 번째 결합은 본체부(200)의 위치돌기(250)가 장착홈(120)에 삽입되면서, 상기 본체부(200)가 장착부(100)의 상면과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위치돌기(250)는 장착판(110)의 상면을 향해 모두 동일 길이로 연장되고, 모두 모서리 위치에 배치되므로 본체부(200)의 특정 위치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장착판(110)과 결합된 상태가 불안정해지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200)는 장착부(100)와 크게 2 포인트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상호 결합 시키거나 상황에 따라 임의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위치돌기(250)는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경사지거나, 양측면이 경사진 형태 또는 반구 형태 및 역삼각 형태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 1 및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장착판(110)은 본체부(200)와의 안정적인 결합과 얼라인을 위해 상기 장착판(110)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부(200)를 향해 연장된 제1 정렬돌기(112)를 포함한다.
제1 정렬돌기(112)는 상기 장착판(110)의 정 중앙 또는 사이드 중의 어느 한 곳에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중앙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나, 상기 위치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정렬돌기(112)는 원기둥 또는 타원 또는 다각기둥 중의 어느 한 형태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1 보조 정렬돌기(112a)와, 상기 제1 보조 정렬돌기(112a)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2 보조 정렬돌기(112b)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정렬돌기(112)의 형태를 원기둥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제1 보조 정렬돌기(112a)와 제2 보조 정렬돌기(112b)는 서로 간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므로 본체부(200)에 장착부(100)가 결합될 경우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편심되거나 불안정한 상태로 결합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1,2 보조 정렬돌기(112a,112b)는 상면이 하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퍼에 의해 본체부(200)와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보조 정렬돌기(112a,112b)는 삽입부재(202)와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200)는 전술한 제1 정렬돌기(112)가 삽입되도록 하면에 형성된 삽입부재(202)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202)는 본체부(200)의 하면에 십자 형태로 형성된 일종의 플레이트(Plate) 형태로 이루어져 제1,2 보조 정렬돌기(112a,112b)가 삽입될 경우 상기 제1,2 보조 정렬돌기(112a,112b)의 교차된 외측에 밀착되면서 장착부(100)가 본체부(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결합될 경우 작업자가 장착부(100)와 결합된 본체부(2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전, 후 방향 또는 좌, 우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장착부(100)와 본체부(200)의 결합 상태는 해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체부(200)는 전술한 위치돌기(250)와 삽입홈(260) 및 제1 정렬돌기(112)를 통해 상기 장착부(100)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작업자가 작업 도중 본체부(200)를 건드리거나 임의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장착부(100)에서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체부(200)는 삽입부재(202)와 결합되는 제1 정렬돌기(112)의 결합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장착부(100)와 본체부(200)를 상호 간에 결합시킬 때 느낌에 의존하지 않고 정확하게 눈으로 보고 결합 시킬 수 있다.
상기 투명 재질은 통상의 아크릴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나 다른 재질로의 변경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강화 유리가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돌출부(210)는 환자의 치열궁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돌출부(210)는 다수개의 핀 홀(211)이 돌출부(2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핀 홀(211)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돌출부(2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212)를 포함한다. 상기 핀 홀(211)에는 핀(300)이 삽입되며, 지지돌기(212)는 상기 핀(300)과 함께 프레임(400)에 주입된 주입물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본체부(200)는 프레임(400)과 위치 정렬을 위해 상기 프레임(400)을 향해 돌출된 제2 정렬돌기(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정렬돌기(220)는 전술한 돌출부(21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의 변경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체부(200)는 상면에 돌출부(210)의 내측 라운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인너 절단 가이드선(230)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아우터 절단 가이드선(240)이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톱을 이용하여 절단을 실시할 때 인너 절단 가이드선(230)과 아우터 절단 가이드선(240)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절단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핀(300)은 본체부(200)에 형성된 핀홀(211)에 삽입되고 전체 길이가 본체부(200)의 두께 보다는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된 형태로 형성된다.
핀(300)은 핀 걸림홈(311)이 외주면에 형성된 핀 바디(310)와, 상기 핀 바디(310)의 상단에 형성된 핀 헤드(320)와, 상기 핀 헤드(3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핀 캡(330)을 포함한다.
상기 핀 걸림홈(311)은 상기 핀 바디(310)의 길이 방향 중앙 하측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위치에 형성되는 이유는 작업자가 핀(300)을 핀홀(211)에 삽입하거나, 수납함(미도시)에 이동시키기 위해 손으로 파지하게 되면 핀 걸림홈(311)에 의해 상기 핀(300)을 잡는 위치가 핀(300)의 단부가 아닌 중앙 에 위치되면서 작업 도중 핀(300)을 떨어뜨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핀(300)을 이용한 작업 도중 분실되거나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점이 예방되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핀(300)은 핀홀(211)에 다수회 재사용 될 때 핀 헤드(320)가 석고 또는 수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핀 캡(330)을 결합시켜 사용한다. 핀 캡(330)은 핀 헤드(32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 헤드(320)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된다. 상기 핀 캡(330)이 핀 헤드(320)에 설치될 경우 석고와 핀 헤드(320)가 미 접촉 되므로 상기 핀 헤드(32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는 핀(300)이 미 삽입되는 핀홀(211)의 내측으로 주입물이 주입되지 않도록 상기 핀홀(2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홀 마개(350)를 포함한다. 상기 홀 마개(350)는 상면에 손잡이(351)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351)를 잡고 핀홀(211)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마개(350)는 작업자가 핀 홀(211)의 하측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삽입시켜 결합시킨 후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마개(350)가 설치될 경우 주입물이 핀 홀(211)의 내측으로 일정량 만큼 주입된 후에 경화되므로다수개의 핀(300)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프레임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400)은 본체부(200)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으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되, 내부가 중공 상태로 개구되어 석고 또는 수지와 같은 주입물이 주입되는 주입 공간(401)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 공간(401)에 주입물을 주입시켜 핀(300)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해 구비된다.
프레임(400)은 연질의 고무, 실리콘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소정의 탄성 복원력과, 신장력이 유지된다. 또한 작업자가 주입 공간(401)에 주입물을 주입할 경우 상기 주입 공간(401)의 외측으로 석고가 흘러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프레임(400)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주입공간(401)에 주입된 석고를 프레임(400)의 외측으로 분리하고자 할 때 상기 프레임(400)이 소정의 탄성력이 유지되므로 경화된 치아모형(600)을 보다 편리하게 분리시키기 위해서이다.
프레임(400)은 보철을 실시할 치아의 위치를 유도하기 위해 외측 가장자리의 일부 구간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가이드 돌기(420)와, 상기 가이드 돌기의 하측에 숫자로 기재된 치아 넘버부(421)와, 상기 가이드 돌기(420)와 마주보는 프레임(4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물이 경화된 치아모형(600)의 절단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치아 돌기(431)를 포함한다.
상기 치아 넘버부(421)는 작업자가 보철을 실시할 치아 번호를 보다 쉽게 인지하기 위해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되므로 보철이 이루어질 치아모형(600)에 대한 인지 능력이 향상된다.
프레임(400)은 판 형태의 고정편(411)에 형성되고 제2 정렬돌기(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고정홀(41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홀(412)은 제2 정렬돌기(220)가 삽입되어 본체부(200)와 프레임(400)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치아모형(600)은 경화된 주입물을 톱으로 절단할 때 핀홀(211)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치아 돌기(43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치아홈(620)과, 상기 치아홈(620)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과도한 절단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630)과, 상기 치아모형(600)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면부(650)를 포함한다.
치아홈(620)은 치아 돌기(431)에 의해 음각 형태로 형성되며 작업자가 톱으로 절단을 실시할 때 촉각인 손과 시각인 눈을 통해 직접적인 확인이 가능하므로 보다 정확한 절단을 실시할 수 있어서, 실수로 잘못 절단하는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걸림홈(630)은 작업자가 톱을 이용하여 절단을 실시할 때 상기 톱이 하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걸림홈(630)은 치아모형(6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마주본 형태로 배치되므로 작업자가 어느 위치에서 절단을 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절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작업중에 여러 번 탈,부착을 반복하는데 이때 걸림홈(630)에 손가락이 위치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쉽게 분리가 가능하다
접착면부(650)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별도로 제작된 치아모형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상기 접착면부(650)에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모형 조립체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주입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석고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교합기(700)에 장착부(100)를 설치하기 위해 하부 교합기(701)의 상면에 장착판(110)을 위치시키되, 격벽(150)에 석고를 주입한 후에 상기 하부 교합기(701)의 상부에 안착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장착판(110)에 형성된 결합부(130)와 본체부(200)의 삽입홈(260)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킨 후에 상기 본체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돌기(132)를 삽입홈(260)에 삽입시킨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연장편(131)은 삽입홈(260)과 결합될 때 각각 외측을 향해 순간적으로 이동된 후에 결합돌기(132)가 삽입홈(260)의 영역으로 진입되면서 각각 원 위치되어 상기 결합돌기(132)와 록킹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결합돌기(132)는 삽입홈(260)과 대응되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결합돌기(132)가 삽입홈(26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장착판(110)은 장착홈(120)에 본체부(200)의 위치돌기(250)가 각각 삽입되므로 작업자가 임으로 장착판(110)에 결합된 본체부(20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지 않는 이상 서로 간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작업자는 장착부(100)의 상면에 본체부(200)를 결합할 때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삽입부재(202)와 결합되는 제1,2 보조 정렬돌기(112a,112b)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삽입부재(202)와 제1,2 보조 정렬돌기(112a,112b)의 결합 위치를 별도로 찾지 않고서도 손쉽게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핀홀(211)에 핀(300)을 삽입시킨 후에 핀 헤드(320)에 핀 캡(330)을 결합시켜 상기 핀 헤드(32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핀(300)이 미 설치되는 핀 홀에는 홀 마개(350)를 삽입시켜 핀홀(211)으로 석고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예를 들어 보철이 이루어질 치아가 어금니인 경우 상기 어금니에 해당되는 핀 홀(211)에만 핀(300)을 삽입하고, 나머지 핀 홀에는 홀 마개(350)를 삽입하여 석고가 핀홀(2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0c내지 도 10e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프레임(400)을 본체부(200)의 상면에 결합하기 위해 제2 정렬돌기(220)에 고정홀(412)을 삽입시켜 본체부(200)에 프레임(400)을 설치한다. 그리고 주입 공간(401)에 석고(900)를 주입하되, 상기 석고가 프레임(400)의 외측으로 흘러 넘치지 않도록 주의하여 석고를 주입한다.
그리고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성형된 인상재(500)의 내측에도 각각 석고를 주입한 후에 상기 주입 공간(401)에 주입된 석고와 인상재(500)에 주입된 석고가 경화되기 이전에 상기 프레임(400)의 상면에 인상재(500)의 하면을 위치시키고, 상기 인상재(500)의 상면은 상부 교합기(702)와 고정되도록 별도로 석고를 주입하여 고정시킨다. 작업자는 소정 시간 동안 주입된 석고가 경화되도록 기다리면 인상재(500)에 인상된 환자의 상악 및 하악과 대응되는 형태로 치아모형(600)이 생성된다.
그리고 상부 교합기(702)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인상재(500)를 분리하면 프레임(400)의 상면에 환자의 상, 하악과 대응되는 치아모형(600)이 생성되므로, 톱을 이용하여 인너절단 가이드선(230)과 아우터 절단 가이드선(240)을 따라 절단을 실시하여 생성된 치아모형에 대한 부분 절단을 실시한다.
작업자가 톱을 이용하여 절단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석고 분말로 인해 정확한 절단 위치가 일시적으로 파악되지 않을 수 있으나 걸림홈(630)에 의해 정확한 절단 위치를 인지할 수 있고, 상기 걸림홈(630)이 형성된 곳까지만 절단한 후에 돌출부(210)와 접착면부(650)를 분리하게 되면 미세한 갭을 가지고 미 절단된 부분은 소정의 힘을 가해 부러뜨리면 몸체부(200)의 손상없이 분리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치아 모형을 다듬고 왁스로 납형(800)을 형성한 후 연장편(131)을 외측으로 밴딩시켜 본체부(200)를 분리시키고 치아 마모면을 따라 측방운동을 시켜 걸리는 부분이 있으면 제거한다.
작업이 모두 종료되면 교합기(700)에서 장착부(100)와 본체부(200)는 그대로 두고 대합치모형(601)을 교합기(700)에서 분리하고 돌출부(210)에서 작업이 종료된 치아모형을 분리시킨 후에 또 다른 작업을 할 때는 핀 홀(211)에 홀 마개(350)를 그대로 두고 이미 사용한 핀(300)을 핀 캡(330)에서 분리한 후에 상기 핀 홀(211)에 결합시켜 재사용을 할 수 있으며, 이후의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한 번에 치아모형작업, 베이스작업, 교합기와의 연결 을 한번에 가능하게 되고. 핀 캡(330)만 빼고, 모든 구성품에 대한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때, 선택적으로 하나의 삭제치아가 있는 경우 핀(300)에 핀캡(330)을 결합하지 않고 사용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면, 삭제치아(810)가 형성된 석고모형(600)은 접착면부(650)에 접착제를 도포한 이후에 상기 삭제치아(810)의 하면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곧바로 접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면, 삭제치아(810)가 부분 삭제된 경우 다수개의 핀(300)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핀 홀(211)의 내측으로 홀 마개(350)를 소정의 깊이로 하향 결합시킨 후에 석고를 주입할 경우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홀 돌기(660)가 형성되므로 이러한 상태로 그대로 반복 사용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여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장착부
10: 장착판
120 : 장착홈
130: 결합부
131: 연장편
132: 결합돌기
200: 본체부
210: 돌출부
211: 핀홀
212: 지지돌기
300: 핀
400: 프레임
401: 주입 공간
500: 인상재
600: 치아모형

Claims (18)

  1. 교합기(700)와 결합되는 장착부(100);
    상기 장착부(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환자의 치열궁(Dental Arch)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210)와, 상기 돌출부(210)의 상면에 다수개의 핀홀(211)이 형성된 본체부(200);
    상기 핀홀(211)에 삽입되는 핀(300);
    상기 본체부(200)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으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되, 내부가 중공 상태로 개구되어 석고 또는 수지와 같은 주입물이 주입되는 주입 공간(401)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 공간(401)에 주입물을 주입시켜 핀(300)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프레임(400); 및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성형된 인상재(500)의 내측에 주입물이 주입된 후에 상기 인상재(500)의 하면은 프레임(400)의 상면과 밀착되고, 상면은 상기 교합기(700)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인상재(500)에 주입된 주입물이 경화된 후에 상기 환자의 상, 하악과 대응되는 형태로 생성된 치아모형(600)을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0)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교합기(7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격벽(150)이 형성된 장착판(110);
    상기 장착판(110)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30)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장착판(110)의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고, 단부가 장착판(110)의 외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된 연장편(131);
    상기 연장편(131)에 형성되고 본체부(200)와 결합되는 결합돌기(132)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110)은,
    본체부(200)의 하면과 끼움 결합되기 위해 상기 장착판(110)의 상면 모서리 위치에서 내측을 향해 부분 개구된 장착홈(120);
    상기 장착판(110)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부(200)를 향해 연장된 제1 정렬돌기(112)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돌기(112)는,
    상기 장착판(110)의 정 중앙 또는 사이드 중의 어느 한 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돌기(112)는,
    원기둥 또는 타원 또는 다각기둥 중의 어느 한 형태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1 보조 정렬돌기(112a);
    상기 제1 보조 정렬돌기(112a)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2 보조 정렬돌기(112b)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정렬돌기(112a)와 제2 보조 정렬돌기(112b)는 서로 간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정렬돌기(112)가 삽입되는 삽입부재(202)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삽입부재(202)와 결합되는 제1 정렬돌기(112)의 결합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하면에 상기 결합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홈(260);
    상기 핀홀(211)의 전, 후방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돌출된 지지돌기(212)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프레임(400)과 위치 정렬을 위해 상기 프레임(400)을 향해 돌출된 제2 정렬돌기(220)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300)은,
    핀 걸림홈(311)이 형성된 핀 바디(310);
    상기 핀 바디(310)의 상단에 형성된 핀 헤드(320);
    상기 핀 헤드(3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핀 캡(330)을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핀 걸림홈(311)은,
    상기 핀 바디(310)의 길이 방향 중앙 하측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00)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00)은,
    보철을 실시할 치아의 위치를 유도하기 위해 외측 가장자리의 일부 구간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가이드 돌기(420);
    상기 가이드 돌기의 하측에 숫자로 기재된 치아 넘버부(421);
    상기 가이드 돌기(420)와 마주보는 프레임(4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물이 경화된 치아모형(600)의 절단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치아 돌기(431)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00)은,
    판 형태의 고정편(411)에 형성되고 제2 정렬돌기(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고정홀(412)을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모형(600)은,
    경화된 주입물을 톱으로 절단할 때 핀홀(211)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치아 돌기(43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치아홈(620);
    상기 치아홈(620)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과도한 절단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630);
    상기 치아모형(600)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면부(650)를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모형 조립체는,
    핀(300)이 미 삽입되는 핀홀(211)의 내측으로 주입물이 주입되지 않도록 상기 핀홀(2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홀 마개(350)를 더 포함하는 치아모형 조립체.
KR1020120145982A 2012-12-14 2012-12-14 치아모형 조립체 KR101265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82A KR101265838B1 (ko) 2012-12-14 2012-12-14 치아모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82A KR101265838B1 (ko) 2012-12-14 2012-12-14 치아모형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838B1 true KR101265838B1 (ko) 2013-05-20

Family

ID=4866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982A KR101265838B1 (ko) 2012-12-14 2012-12-14 치아모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8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427A1 (ko) * 2013-09-17 2015-03-26 주식회사 거승 교합기
KR101849044B1 (ko) * 2017-02-28 2018-05-24 장석경 교합기용치아모델 베이스 툴
CN109589177A (zh) * 2018-12-29 2019-04-09 天天诺齿科技术(天津)有限公司 一种可分离模型底座插件
KR20210094814A (ko) * 2020-01-22 2021-07-30 (주)레피오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KR20210094811A (ko) * 2020-01-22 2021-07-30 (주)레피오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KR20220144968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인터덴탈 알앤디 센터 교합기용 인공치아 지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교합 시스템
KR102666293B1 (ko) 2023-06-23 2024-05-16 김미라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1681A (ja) 1997-02-14 2001-08-14 セラムコ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科鋳造用鋳型装置
JP2005270134A (ja) 2004-03-22 2005-10-06 Factory Aruee Kk 歯列矯正治療用硬質マウスピースとその製造方法。
JP2010042296A (ja) 2009-11-21 2010-02-25 Dentasu:Kk 間接法作業模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1681A (ja) 1997-02-14 2001-08-14 セラムコ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科鋳造用鋳型装置
JP2005270134A (ja) 2004-03-22 2005-10-06 Factory Aruee Kk 歯列矯正治療用硬質マウスピースとその製造方法。
JP2010042296A (ja) 2009-11-21 2010-02-25 Dentasu:Kk 間接法作業模型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427A1 (ko) * 2013-09-17 2015-03-26 주식회사 거승 교합기
KR101515215B1 (ko) 2013-09-17 2015-04-24 변태희 교합기
KR101849044B1 (ko) * 2017-02-28 2018-05-24 장석경 교합기용치아모델 베이스 툴
CN109589177A (zh) * 2018-12-29 2019-04-09 天天诺齿科技术(天津)有限公司 一种可分离模型底座插件
KR20210094814A (ko) * 2020-01-22 2021-07-30 (주)레피오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KR20210094811A (ko) * 2020-01-22 2021-07-30 (주)레피오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KR102352945B1 (ko) 2020-01-22 2022-01-19 (주)레피오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KR102352943B1 (ko) 2020-01-22 2022-01-19 (주)레피오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KR20220144968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인터덴탈 알앤디 센터 교합기용 인공치아 지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교합 시스템
KR102531555B1 (ko) 2021-04-21 2023-05-15 주식회사 인터덴탈 알앤디 센터 교합기용 인공치아 지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교합 시스템
KR102666293B1 (ko) 2023-06-23 2024-05-16 김미라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83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US8506297B2 (en) Dental model
KR10113665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US20040013998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JP2009100880A (ja) 歯科技工用作業模型
US20070128579A1 (en) Working model suited for extraoral fabrication
KR20130035986A (ko) 치과용 인상용 트레이
ITRM940500A1 (it) "corredo di elementi per la col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modelli di gesso per protesi dentarie, e sistemi di colatura che impiegano tali elementi".
KR101849044B1 (ko) 교합기용치아모델 베이스 툴
JP5486598B2 (ja) 歯科作業模型の基台及びその製造方法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JP5553679B2 (ja) 歯科技工用作業模型
US20050250069A1 (en) Refractory die with pin and sleeve for teeth restoration
US20180333234A1 (en) Articulator
KR10180810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US20050233278A1 (en) Pin for fixing dental model
KR100651015B1 (ko) 치아 인상용 트레이
KR101737618B1 (ko) 치과용 인상 트레이
JP3140958U (ja) 石膏歯台スクリューリテイン型
JP5586315B2 (ja) 歯科技工用作業模型
JP5340118B2 (ja) 間接法作業模型
KR100840193B1 (ko) 나사로 고정되는 치아보철물
KR101894630B1 (ko) 교합기용 하부 트레이
KR100417880B1 (ko) 치아모형 교합기
KR200428084Y1 (ko) 인공치아 제조용 고정판과 모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