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084Y1 - 인공치아 제조용 고정판과 모형조립체 - Google Patents

인공치아 제조용 고정판과 모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084Y1
KR200428084Y1 KR2020060010575U KR20060010575U KR200428084Y1 KR 200428084 Y1 KR200428084 Y1 KR 200428084Y1 KR 2020060010575 U KR2020060010575 U KR 2020060010575U KR 20060010575 U KR20060010575 U KR 20060010575U KR 200428084 Y1 KR200428084 Y1 KR 200428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tooth
fixing plate
fix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태희
이도찬
이병수
Original Assignee
원치과기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치과기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치과기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0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0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공치아의 제작을 위한 치아모형이 고정되는 고정판과 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를 상악 및 하악골의 전치 내지 구치부의 형상을 갖는 모형조립체로서 제작하여 실제 치아와의 오차가 발생됨 없이 매우 정밀한 치아모형의 제작을 가능케 하고, 상기 고정판의 탈부착 및 제작된 치아모형의 절단이 용이한 구성을 갖도록 하므로 공정이 단순화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아모형 고정판은, 편평한 평면으로서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모형안착면과, 상기 모형안착면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다수개의 고정핀을 포함하는 고정판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치아모형의 외측에 해당되는 전면이 상기 치아모형의 내측에 해당되는 후면보다 그 폭이 큼에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인공치아, 치아모형, 전치골

Description

인공치아 제조용 고정판과 모형조립체{A Fixing Plate for manufacturing a Crownwork and the Tooth Model Assembly using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의 배면도,
도 3은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와 교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는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의 치아모형의 절단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의 치아모형의 절단선을 나타낸 정면도,
도 4c는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핀의 절단선을 나타낸 평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접착액수용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접착액수용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베이스부재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판의 정면도,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판의 배면도,
도 7d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핀을 나타낸 측면도,
도 7e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핀을 나타낸 평면도,
도 7f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핀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와 교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경사면을 갖는 교합기결합홈을 나타낸 측면도,
도 8c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경사면을 갖는 교합기결합홈과 교합기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제작된 치아모형의 절단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제작된 치아모형의 절단선을 나타낸 정면도,
도 9c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제작된 치아모형의 고정핀에서 절단선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악골조립체 2 : 교합기
3 : 전치부조립체 11 : 고정판
12 : 베이스부재 13 : 치아모형
21 : 상부결합봉 22 : 상부모형연장부
23 : 하부결합봉 24 : 하부모형연장부
31 : 고정판 32 : 베이스부재
33 : 핀고정판 111 : 모형안착면
112 : 고정핀 121 : 관통공
122 : 배면홈 311 : 모형안착면
312 : 고정핀 312a : 경사면
312b : 돌출부 312c : 연장부
312d : 연결부 313 : 고정핀위치표시돌기
314 : 고정핀이탈홈 315 : 접착액수용홈
315a-1 : 돌출턱 321 : 관통공
322 : 배면홈 323 : 교합기결합홈
323a : 경사면 a : 변화영역
b, c : 절단선 d, e : 절단영역
f : 치아모형의 외측폭 g : 치아모형의 내측폭
본 고안은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공치아의 제작을 위한 치아모형이 고정되는 고정판과 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를 상악 및 하악골의 전치 내지 구치부의 형상을 갖는 모형조립체로서 제작하여 실제 치아와의 오차가 발생됨 없이 매우 정밀한 치아모형의 제작을 가능케 하고, 상기 고정판의 탈부착 및 제작된 치아모형의 절단이 용이한 구성을 갖도록 하므로 공정의 단순화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치나 손상된 치아를 복원하기 위한 치료방법으로는 충치를 제거한 후 인공치아로 교체하는 방법과 기존의 치아에 보철작업을 수행하는 방법등이 대표적이다.
통상적으로 인공치아 시술방법에는 치과병원에서 환자의 일부 또는 전체 치아에 대한 음각본을 떠서 그 음각내에 치과용 시멘트, 석고, 매몰재의 응고물질을 주입하여 치아모형을 제작한 후, 기공소에서 그 치아모형과 실제 환자의 치아구조와 비교하여 오차를 보정하여 실제와 동일한 치아모형을 제작한 뒤 이를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치아모형은 상기와 같은 작업을 위해 모형조립체에 안착된 후 상기와 같은 공정이 진행되며, 이때 상기 모형조립체는 인체의 치아구조에서 측악골의 형상을 갖는 주형에 석고나 치과용 시멘트등이 타설되어 응고됨에 따라 완성되며, 이는 하기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좌우측악골의 형상으로서 제작되며, 특히 상기 치아모형(13)이 상면에 안착되는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이 결합되는 베이스부재(1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형조립체는 상기 베이스부재(12)의 형상과 일치되는 합성수지나 고무등과 같은 재질을 갖는 주형에 치과용 시멘트, 석고나 매몰제등의 액상의 접착물이 타설된 이후, 상기 고정판(11)을 상기 접착액속에 매립시키고 상기 접착액을 응고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베이스부재(12)는 상기 접착액이 응고된 이후에 주형을 분리시키므로 상기 고정판(11)이 매립고정된 상태로서 완성된다. 도 1에서는 이와 같은 모형조립체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분해사시도로 도시하였다.
상기 고정판(11)은 플라스틱, 금속, 나무등의 재질 중 어느 하나로써 제작되어 치아모형(13)이 접착되도록 상면을 이루는 모형안착면(111)과, 상기 모형안착면(11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배열되는 고정핀(112)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2)는 실제로 환자에게 시술되는 인공치아의 제작을 위한 치아모형(13)을 환자의 치아구조에 맞도록 하는 보정등의 후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인체의 구강구조에서 측악골의 형상을 갖고,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고정판(21)의 하부구조가 안착되는 관통공(121)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기 배면홈(122)과 상기 관통공(121)은 상기 측악골의 베이스부재(12)의 형상을 갖는 주형의 내측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단면을 형성하고, 그 단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11)의 고정핀(112)을 상기 단면의 관통공에 관통시켜 고정시킨 뒤, 시멘트, 석고, 또는 매몰재성분의 액체를 타설하여 응고시킨다. 이후에 상기 주형(도시되지 않음)을 제거하면, 상기 접착액이 응고되어 상기 금형의 형상과 일치되는 상기 측악골베이스부재(12)의 작업이 완료되며, 이때 상기 주형의 내측에 돌출되는 단면에 의해 상기 배면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112)이 상기 단면의 관통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접착액이 응고되었기 때문에 상기 고정판(11)의 고정핀(112)이 관통되는 관통공(12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2)의 형상을 갖는 주형에 접착액이 타설되어 응고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12)에 매립고정된 상태로 제작되고, 상기 고정핀(111)은 그 선단이 상기 배면홈(122)에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핀(112)은 상기 모형안착면(11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형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이 일정한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면홈(122)에서 선단부가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핀(112)은 전면과 후면이 상기와 같이 양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거 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 면이 경사면(도시되지 않음)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11)의 강성을 보강함도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치아모형(13)이 상기 측악골조립체(1)에 접착고정되면, 작업자는 이를 교합기(2)에 부착하여 상기와 같은 측악골조립체(1)를 이용하여 실제 환자의 치아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통상, 인체의 치아구조로는 상측의 상악골과, 하측의 하악골로 분류되며, 상기 상악골과 하악골은 다시 치아구조에서 중절치부터 송곳니까지의 전면부를 지칭하는 전치골 또는 어금니에서 사랑니까지의 구치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자연치아는 상악골과 하악골, 전치골과 구치부에서 각 치아간의 간격은 서로 상이하고, 동일 범위내에 속하는 치아라 할지라도 유아, 청소년, 청장년층마다 차이가 있으나 종래의 고정판과 고정핀은 일정간격(a'=a''=a''')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배열된 것으로 실제 자연치아의 배열간격과는 상이하여 그 오차가 매우 크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전치부와 구치부를 모두 포함하는 치아모형(13)의 조립체가 없기 때문에 구치부와 전치부의 일부 또는 구치부만을 포함하는 측악골의 형상으로 갖는 측악골조립체(1)를 이용하여 시술대상이 되는 해당 치아와 맞물리는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조립체를 제작하여 상기 교합기(2)에 결합시키므로 시술대상이 되는 치아와 타 치아의 맞물림상태를 비교하여 해당 치아모형(13)의 오차를 보정하므로 실제 시술되는 인공치아의 모형을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치아모형(13)의 보정을 위한 교합기의 결합상태는 하기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와 교합기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교합기(2)는 회전부재(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상부결합봉(21)과 하부결합봉(23)과, 상기 상부결합봉(21)과 하부결합봉(23)이 끝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악골과 하악골을 이루는 상기 측악골조립체(1)에 밀착되는 상부모형연장부(22)와 하부모형연장부(24)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측악골조립체(1)를 이용하여 상악골과 하악골을 구성하여 환자의 치아구조의 모형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시술대상이 되는 부위가 하악골에 위치되어 있다면, 작업자는 환자의 상악골에서 해당 치아와 맞물리는 부위간의 결합관계를 관찰하여 상호간의 부자연스러운 결합이 발생되는 지를 관찰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상악골과 하악골간의 맞물림을 관찰한 후 기구를 이용하여 해당 치아모형(13)을 보정하여 실제 환자에 시술되는 인공치아의 모형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통상 인체의 치아구조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반구형상을 갖게 되며, 상측의 상악골과 하측의 하악골, 그리고 상악과 하악의 전면부를 이루는 전치부, 그리고 전치골의 양측에서 어금니등이 포함되는 구치부가 포함되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구치부용 측악골조립체만을 이용하여 상악, 하악골에서 전치부(A1, 도 7c참조) 및 구치부(B1, 도 7c 참조)의 형상을 갖는 환자의 치아구조의 모형을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인체의 치아는 상기 상악골과 하악골, 또는 전치부와 구치부에 따라 치아간의 간격이나 크기 등에 차이가 있기 때문 에 측악골조립체만으로 인체의 치아구조를 재현하는 종래의 치아모형조립체는 그 정밀도에 있어 오차가 많이 발생되며, 아울러 작업시간의 증가 및 난이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교합기(2)에 상악골과 하악골을 구성하여 치아모형(13)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치아모형(13)을 포함하여 전체 치아간의 맞물림상태를 고려해서 상기 베이스부재(12)에 상기 교합기(2)를 결합시켜 치아모형의 오차를 보정하게 되나, 상기 베이스부재(12)는 상기 교합기(2)의 연장부위나 위치등이 별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작업자가 실제 환자의 치아구조를 고려하여 상측과 하측의 모형조립체간의 위치를 조절하여 접착시키게 되므로 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전치부와 구치부의 형상을 갖는 조립체가 없었기 때문에 동종업계의 종사자들은 상기와 같은 측악골조립체를 이용하여 인공치아의 보정작업을 진행하고, 이후 상기 교합기(2)에서 상기 측악골조립체(1)를 분리시켜 인공치아의 제작을 위해 해당 치아모형을 상기 모형조립체에서 절단한다.
이때 작업자는 해당 치아모형의 양측을 톱질한 뒤에 상기 베이스부재(12)의 상기 배면홈(122)에 돌출되는 해당 치아모형(13)의 고정핀(112)의 선단부를 망치등을 이용하여 가압하거나 타격하므로 상기 치아모형(13)과 고정판(11)을 상기 베이스부재(12)에서 분리시키며, 이때의 절단과정을 하기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의 치아모형의 절단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의 치아모형의 절단선을 나타낸 정면도, 도 4c는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핀의 절단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종래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합기를 이용한 보정이 완료되면, 해당 치아모형(13)을 상기 측악골조립체(1)에서 분리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시술되는 인공치아를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측악골조립체(1)는 실제 사람의 구강구조와 유사하게 외측과 내측의 곡률이 서로 다른 타원형을 이루고 있는 타원형의 반구형상을 갖고 있고, 그 원형의 내측과 외측의 곡률의 차이에 따라 해당 치아모형을 절단시에는, 양측 절단선(b, c)에서 외측과 내측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된다.
하지만, 상기 고정핀(112)은 전면과 후면의 폭이 서로 동일하게 되며, 양측 절단선(b, c)에 따라 톱질하게 되면, 톱날이 상기 치아모형(13)을 거쳐서 상기 고정핀(112)의 양측 모서리영역(d, e)에 접촉되어 톱질이 용이하지 못하고, 아울러 상기 고정핀(112)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해당 치아모형(13)의 양측 절단선(b, c)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12)의 상부 일부분까지 톱질이 되면, 작업자는 상기 배면홈(122)에 돌출된 고정핀(112)의 선단을 망치로 가압하거나 타격하므로 해당 치아모형(13)이 접착된 고정판(11)을 상기 베이스부재(12)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핀(1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끝단이 상측보다 좁은 원뿔형이나 사각 형의 형상을 갖고 제작되는 형상을 갖고 있음에 따라 돌출된 선단부를 가압이나 타격시엔 그 끝단이 측방향으로 뭉게지게 되는 형상의 변형(도 2의 도면번호 a)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고정핀의 뭉게진 끝단에 걸려 상기 고정핀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아모형의 제작시에 환자의 치아구조와 일치될 수 있는 치아모형을 제작하기 위하여 환자의 치아구조에서 전치부와 구치부의 형상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부재에 상기 교합기가 안착되는 구성을 포함시키므로 환자의 치아구조를 재현함에 있어 그 작업시간의 단축 및 정확한 치아구조를 재현할 수 있게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핀의 선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충진되는 접착액간의 연장부분과 돌출부분간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의 강성을 보강하므로 가압에 의한 형상의 변화를 방지하고, 또는 형상변화시에도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아모형 고정판은, 편평한 평 면으로서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모형안착면과, 상기 모형안착면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다수개의 고정핀을 포함하는 고정판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치아모형의 외측에 해당되는 전면이 상기 치아모형의 내측에 해당되는 후면보다 그 폭이 큼에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아모형 고정판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의 원호가 서로 다른 타원형으로서 인체의 치아구조 중, 상악 및 하악골의 전치부와 구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형상을 갖고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아모형 고정판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모형안착면의 하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연장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자연치아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아모형 고정판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연장부의 상기 끝단에서 편평한 하면을 이루는 연결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연결부에 이르는 어느 하나의 면에서 내향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아모형 고정판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핀과 동일한 위치에서 하면에 돌출형성되므로 상기 모형안착면에 안착된 치아모형이 이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절단되고, 상기 고정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고정핀위치표시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아모형 고정판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모형안착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내측으로 빈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기구물이 삽입되어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베이스부재를 분리시키는 고정핀이탈홈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아모형 고정판은,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의 접착을 위해 도포되는 접착액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수용하는 접착액수용홈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아모형 고정판은,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수용홈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영역의 외측방향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치아모형 고정판은,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수용홈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영역의 외측방향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홈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모형의 접착시에 발생된 접착액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고정판과, 상면에 상기 고정판이 안착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고정판은 서로 다른 원호를 갖는 외측과 내측을 갖는 타원형의 반구형상으로 인체의 치아구조중 상악 또는 하악골에서 전면을 포함하는 전치부와 측면을 포함하는 구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면에서 상기 고정판이 안착되는 모형안착면과, 상기 모형안착면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어 자연치아의 간격과 동일하게 배열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모형안착면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핀위치표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핀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모형안착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내측으로 빈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기구물이 삽입되어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베이스부재를 분리시키는 고정핀이탈홈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의 접착을 위해 도포되는 접착액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수용하는 접착액수용홈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4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수용홈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영역의 외측방향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 한다.
본 고안의 제 15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수용홈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영역의 외측방향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홈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모형의 접착시에 발생된 접착액을 수용한다.
본 고안의 제 16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배면에서 상기 고정판의 고정핀이 돌출되는 배면홈과, 배면에서 치아모형의 조립체가 부착되는 교합기의 결합수단이 안착되는 교합기결합홈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7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결합홈은 상기 교합기가 바닥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바닥면은 평면 또는 상기 교합기가 진입되는 방향에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8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치아모형의 외측에 해당되는 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이 내측에 해당되는 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되므로 그 단면이 상기 치아모형의 양측 절단선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9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아모형은 상기 모형안착면에 접착되어, 양측에서 외측과 내측이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 방향으로 양측의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0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측에서 응고된 접착액에 의해 고정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의 편평한 하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연장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연장부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상기 끝단의 편평한 하면에 내향되어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가 베이스부재의 배면홈에 돌출되고, 상기 연장부의 하면을 구성하는 연결부가 상기 배면홈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제 10 내지 제 20 실시예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치아모형조립체는 상기 배면홈에 분리가능하도록 안착되고, 상기 고정핀의 돌출부가 접착 또는 삽입되어 상기 배면홈에 분리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핀고정판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접착액수용홈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접착액수용홈의 응 용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인체의 치아구조에서 전치부와 구치부가 모두 포함되어 인체의 치아구조 전체와 일치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거나 또는 각각 분리되어 전치부 또는 구치부와 일치된 형상으로 제작되는 전치부조립체(3)를 포함한다. 하기에서는 상기 전치부조립체(3)에서 상기 전치부와 구치부의 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전치부(A1, 도 7c참조)와 구치부(B1, 도 7c참조)로 분리시킴도 본 고안의 응용예에 해당된다.
상기 전치부조립체(3)는 타원형의 반구형상으로 제작된 베이스부재(32)와, 상기 베이스부재(32)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면에 치아모형(13)이 안착되는 고정판(31)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31)은 상기 베이스부재(32)의 제작시에 주형의 내측에 타설된 접착액이 응고되기 이전에 접착액속에 매립되므로 상기 베이스부재(32)의 상면에 접착되며, 그 상면에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모형안착면(311)과, 상기 치아모형이 안착될 경우 주입되는 접착액(순간접착제)이 상기 베이스부재(32)로 흘러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접착액수용홈(3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형안착면(311)은 평면을 이루어 치아모형(13)이 후술되는 고정핀위치표시돌기(313)와 고정핀이탈홈(314)에 중심이 일치되도록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액수용홈(315)은 상기 치아모형(13)을 상기 모형안착 면(31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주입된 접착액이 상기 베이스부재(32)에 흘러가지 않도록 접착액을 수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착액수용홈(315)의 일실시예(315a)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형안착면(311)의 전방과 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턱(315a-1)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상기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접착액수용홈(315a)은 상기 돌출턱(315a-1) 사이에 상기 치아모형(13)이 안착됨에 따라 상기 치아모형(13)의 접착을 위해 도포되는 접착액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액수용홈(315b)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형안착면(311)에서 상기 치아모형(13)이 안착되는 영역의 앞뒤에서 형성됨도 하나의 응용예로서 구현가능하다. 상기 접착액수용홈(315b)은 상기 도 5b와 같이 상기 모형안착면(311)의 전방과 후방에서 돌출턱(315a-1)을 형성하지 않은 대신, 전방과 후방에서 상기 모형안착면(311)의 상면보다 낮은 바닥면을 갖고 복수개가 상기 치아모형(13)이 안착되는 영역의 앞뒤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 5c의 접착액수용홈(315b)은 상기 치아모형(13)의 접착을 위해 도포되는 접착액중에서 상기 치아모형(13)의 하면을 고정시키는 접착액외에 나머지 잔량이 상기 접착액수용홈(315b) 안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판(31)의 외측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접착액수용홈(315)은 종래에서 상기 치아모형(13)을 상기 고정판(31)에 안착시 사용되는 접착액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재(32)까지 흘러들어가게 되어 나중에 상기 고정판(31)과 상기 베이스부재(32)를 고정시킴에 따라 나중에 상기 고정판(31)을 베이스부재(32)에서 분리함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상기 베이스부재(32)는 인체의 치아구조중 상악 및 하악골을 이루는 타원형의 치아구조에서 양측 송곳니사이의 전면부인 전치부(A1)와 어금니와 송곳니 사이인 구치부(B1)를 모두 포함하여 인체의 상악 및 하악골에 일치되는 형상을 갖는 주형의 내측에 석고, 치과용 시멘트등의 접착액을 타설하고, 상기 접착액이 응고되므로 상악 또는 하악에서 전치부(A1)와 구치부(B1)의 형상을 모두 포함하므로 인체의 치아구조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치아모형조립체는 상기 주형에 타설된 접착액이 응고된 이 후, 상기 주형을 벗겨내면 상기 베이스부재(32)의 상면에 상기 고정판(31)이 접착된 상태로서 제작되며,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32)는 상기 접착액이 상기 고정판(31)의 고정핀(311)의 형상에 따라 응고되므로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공(321)과, 하면에서 상기 교합기(2)의 상부 내지 하부모형연장부(22, 24)가 안착되는 교합기결합홈(323)과, 상기 고정판(31)의 고정핀(312)이 돌출되는 배면홈(322)을 포함한다.
상기 교합기결합홈(323)은 교합기(3)의 상부 내지 하부모형연장부(22, 24)가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32)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내지 하부모형연장부(22, 24)간의 높이(h1, h2)에 따라 평면 또는 내측으로 하향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323a) 중에서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하기의 도 8a 내지 도 8c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본 고안의 타실시예로서 전치부조립체(3)는 상기 베이스부재(32)의 배면홈에 안착되는 핀고정판(33)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핀고정판(33)은 상기 주형내에 타설된 접착액속에 상기 고정판(31)을 매립하기 이전에 상기 고정핀(312)의 선단에 고무나 플라스틱재질의 판형상을 갖는 핀고정판(33)을 접착 또는 상기 고정핀(312)의 돌출부(312b)를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판(31)과 함께 타설된 접착액 속에 매립시킨다. 이때 고정판(31)은 상기 핀고정판(33)의 하면이 상기 주형의 바닥면에 완전히 닿을 때까지 매립된다.
그러므로 상기 핀고정판(33)은 상기 배면홈(322)을 통해 관통된 상기 고정핀(312)의 돌출부(312b, 도 7d참조)가 삽입 또는 접착된 상태로 상기 배면홈(322)에 안착된 체로 제조되며, 여기서 상기 배면홈(322)은 종래와 동일하다.
아울러 상기 핀고정판(33)은 상기 배면홈(322)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치아모형(13)의 절단 이후에 상기 치아모형(13)을 상기 베이스부재(32)에서 분리하기 직전에 사용자가 손이나 기타 기구물을 이용하여 벗겨내게 된다. 이는 상기 고정핀(312)의 돌출부(312b)가 상기 치아모형이 상기 베이스부재(32)에서 분리되기 이전까지 훼손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판의 정면도,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판의 배면도, 도 7d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고정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판(31)은 상기 치아모형(13)이 안착되는 모형안착면(311)과, 상기 모형안착면(311)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재(32)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고정핀(312)과, 상기 고정판(31)의 모형안착면(311)의 하면에서 상기 고정핀(312)과 동일위치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모형안착면(311)에 접착된 치아모형(13)의 절단위치를 표시하는 고정핀위치표시돌기(313)와, 상기 모형안착면의 전면과 후면에서 내측으로 빈공간을 형성하는 고정핀이탈홈(314)과, 상기 모형안착면(311)에서 접착액이 외측으로 흘러감을 방지하는 상기 접착액수용홈(315)(도 5a, 도 5b, 도 5c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핀(312)은 상기 모형안착면(311)의 하측에서 다수개가 실제 자연치아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3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의 치아구조와 동일한 전치부(A1)와 구치부(B1)가 포함된 형상을 갖고 있으며, 각 고정핀(312)마다 자연치아간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배열된다. 예를들면, 청소년의 치아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전치부(A1)의 중절치에 해당되는 고정핀(3121)의 간격(L1)이 5mm, 상기 중절치의 옆쪽에 위치되는 측절치에 해당되는 고정핀(3122)와 송곳니에 해당되는 고정핀(3123)간의 간격(L2)이 6mm, 구치부(B1)에서 어금니에 해당되는 고정핀(3124)과 대구치에 해당되는 고정핀(3125)간의 간격(L3)이 8mm에서 9mm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위의 중절치, 중절치와 측절치, 측절치와 송곳니, 어금니와 대구치(사랑니)간의 간격은 일반적이 자연치아의 평균거리이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평균간격에서 ±10%의 오차범위를 갖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312)은 상술한 바와 같은 청소년기의 치아구조 외에 청장년층의 치아구조와 일치되도록 그 간격을 형성함도 본 고안의 응용예에 해당된다. 예를들면, 상기 청장년기의 치아구조와 일치되도록 상기 고정핀(312)에서 자연치아의 중절치와 측절치에 해당되는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위치와 일치되는 고정핀(3121, 3122)간의 간격(L1)을 6mm, 측절치와 송곳니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핀(3122~3123)간의 간격(L2)을 7mm, 어금니와 대구치에 해당되는 고정핀(3124, 3125)의 간격(L3)을 8~9mm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며, 위와 같은 길이는 실제 청장년층 치아의 평균간격이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평균치아간격에서 ±10%의 오차를 갖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핀(312)은 전면(치아의 외측을 지향하는 면)의 폭(f)이 후면(치아의 내측을 지향하는 면)의 폭(g)에 비해 커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되며 이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312)은 전면과 후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연장부(312c)와, 상기 연장부(312c)의 후면에서 내향되어 경사지는 경사면(312a)과, 상기 경사면(312a)의 끝부분에서 상기 연장부(312c)의 하면을 이루는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부(312d)와, 상기 연결부(312d) 사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2b)를 포함한다(도 7d참조).
여기서 상기 고정핀(312)은, 도 7e 및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312a)까지 상기 접착액에 매립되어 상기 배면홈(322)을 통해 상기 연결부(312d)가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연결부(312d)에서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312b)가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12b)는 상기 배면홈(322)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핀고정판(33)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서 상기 교합기(2)를 통한 치아보정까지 진행되며, 이후 해당 치아모형(13)을 절단하기 바로 이전에 상기 핀고정판(33)이 벗겨짐에 따라 노출된다. 상기 도 7f에서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에 의한 상기 핀고정판(33)의 적용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상기 핀고정판(33)이 제거된 상태로서 도시되었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312)은 상기 베이스부재(32)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상기 돌출부(312b)를 망치나 기타 기구물을 이용하여 가압 내지 타격하면, 상기 고정핀(312)은 상기 돌출부(312b)가 연장부(312c)에 비해 좁은 폭 내지 직경을 갖고 있음에 따라 가압이나 타격에 의해 상기 돌출부(312b)가 뭉개져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a, 도 2참조)의 변형이 발생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연결부(312d)를 통해 상기 연장부(312c)가 관통공(3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312b)에서 뭉개진 영역이 상기 관통공(321)에 걸리지 않고 쉽사리 분리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위치표시돌기(313)는 상기 고정핀(312)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31)의 하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치아모형(13)을 정확하게 절단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점으로서의 역할과 상기 고정판(31)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홈에 비해 강도를 보강함으로서 고정판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도 9a 및 도 9b 참조), 상기 치아모형(13)의 절단시에 작업자는 상기 고정핀위치표시돌기(313)를 통해 고정핀(312)의 위치를 추측하게 되어 상기 고정핀(312)과 톱날(도시되지 않음)의 접촉을 방지하고, 치아모형(13)을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치아모형(13)은 각각의 치아의 중심부가 상기 고정판(31)의 전 면에서 상기 고정핀(312)과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핀위치표시돌기(313)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31)에 안착된다.
아울러 종래에는 상기 고정핀(112) 및 치아모형(13)의 중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111)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절단표시홈(113)을 형성하므로 그 전면의 강성이 타 부분에 비하여 약화됨에 따라 상기 치아모형(13)의 절단시에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절단표시홈(113)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판(11)의 전면이 손상될 수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특히 요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판(31)의 하면에서 상기 고정핀위치표시돌기(313)를 형성함에 따라 전면의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치아모형(13)의 중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이탈홈(314)은 상기 모형안착면(311)의 전면과 후면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위치표시돌기(313)와 일치되는 위치를 갖고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핀이탈홈(314)은 상기 베이스부재(32)에서 상기 고정판(31)을 이탈시킬때 송곳이나 기타 도구가 삽입되어 힘을 가하여 상기 고정판(31)의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와 교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경사면을 갖는 교합기결합홈을 나타낸 측면도, 도 8c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경사면을 갖는 교합기결합홈과 교합기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는 상기 고정판(31)의 상면에 치아모형(13)이 고정되면(도 9a 및 도 9b참조), 상기 교합기(2)의 상하부모형연장부(22, 24)가 상기 베이스부재(32)의 하면에 형성되는 교합기결합홈(323)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석고나 치과용 시멘트 및 매몰재등의 접착액이 도포됨에 따라 상기 교합기(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교합기결합홈(323)은 각 베이스부재(32)마다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교합기(2)를 통해 치아구조의 모형을 제작시에 그 기준점의 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종래와 같이 상악골과 하악골이 정확하게 위치되어 서로간의 맞물림이 실제 환자의 치아구조에 맞게 상기 모형조립체를 상기 교합기(2)에 조립시에 작업자의 시력이나 감각에 의존한 바와 달리 상기 교합기결합홈(323)을 기준으로 하여 최초 결합된 전치부조립체(3)와 이에 맞물리는 전치부조립체(3)의 위치를 설정함에 따라 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작업자는 시술대상이 되는 치아모형(13)과 상측 또는 하측에서 맞물리게 되는 정상치아와의 결합관계를 관찰하여 상기 치아모형(13)과의 결합시에 발생되는 엊갈림등의 오차를 확인하여 상기 치아모형(13)을 절삭 및 가공하여 실제 시술되는 인공치아의 모형을 완성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교합기결합홈(323)은 상기 교합기의 상, 하부모형연장부(22, 24)의 높이(h)에 따라서 그 바닥면을 수평면(도 8a 참조) 또는 경사면(323a, 도 8b, 도 8c참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교합기(2)의 상, 하부모형연장부(22, 24)를 수평이 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상부모형연장부(22)와 하부모형연장부(24)간의 거리(h, 이하, 교합기의 높이라 함)가 상기 상악골과 하악골의 모형조립체에서 상측과 하측의 교합기결합홈(323) 사이의 거리(a) 보다 낮은 경우에는, 베이스부재(32)의 교합기결합홈(323)의 바닥면을 수평면으로 하면, 교합기(2)에 고정된 상측의 베이스부재(32)와 하측의 베이스부재(32)가 상호 정교하게 맞물리지 않고 베이스부재(32)의 구치부 측이 벌어지게 되어 정교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높이가 낮은 교합기(2)에 사용하는 베이스부재(32)에 대해서는, 도 8b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32)의 바닥면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323a)으로 형성하여, 교합기(2)에 고정된 상측의 베이스부재와 하측의 베이스부재간에 정교한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반면, 교합기(2)의 높이(h)가 교합기결합홈(323)의 높이(a)가 높은 경우에는, 베이스부재(32)의 교합기결합홈(323)의 바닥면을 수평면으로 하면, 교합기에 고정된 상하측의 베이스부재(32)간의 정교한 맞물림이 발생하지 않고 베이스부재(32)의 구치부의 반대측이 벌어지게 되어 정교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베이스부재(32)의 바닥면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323b)으로 하여 정교한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기의 높이(h)가, 상측의 베이스부재(32)와 하측의 베이스부재(32)가 정확하게 맞물렸을 때의 교합기결합홈(323)간의 거리와 대략 유사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이 경우에는 베이스부재(32)의 바닥면을 수평면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제작된 치아모형의 절단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제작된 치아모형의 절단선을 나타낸 정면도, 도 9c는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에서 제작된 치아모형의 고정핀에서 절단선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교합기(2)에 의한 치아모형(13)의 보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완성된 치아모형(13)을 상기 전치부조립체(3)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상기 고정핀위치표시돌기(313)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치아모형(13)의 각각의 치아의 양측을 톱질하여 상기 고정판(31)과 상기 베이스부재(32)의 상측 일부까지 절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타원형 반구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치아모형(13)의 양측 절단선(b, c)의 간격이 상기 전치부조립체(3)의 외측과 내측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톱이 수평이 아닌 경사각을 갖고 상기 치아모형(13)의 양측에 삽입된다. 이는 상기 전치부조립체(3)의 외측과 내측이 상호 다른 원호를 갖기 때문에 상기 톱이 외측과 내측간의 간격을 동일하도록 수평으로 삽입될 경우엔 해당 치아모형(13) 만이 절단되지 않고 인접된 타 치아모형(13)의 일부까지 절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양측의 절단선(b, c)의 외측과 내측의 간격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종래의 고정핀(112)과 톱이 접촉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핀(312)의 폭이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여 고정 핀(312)의 단면이 양측 절단선(b, c)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경사각을 갖고 절단시에 수직으로 직립된 고정핀(312)의 전면의 폭(f)이 후면의 폭(g)보다 두껍기 때문에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이 상기 절단선(b, c)을 따라서 하측으로 삽입될 시에 상기 고정핀(312)과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고정핀위치표시돌기(313)를 통하여 절단선(b, c)의 위치를 설정한 후, 외측보다 내측의 간격이 더 좁도록 상기 치아모형(13)의 양측을 절단하게 되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핀(312)과 톱날의 접촉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톱질이 용이하고, 고정핀(312)이 손상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상기 고정판(31)과, 상기 베이스부재(32)의 상면 일부까지 톱질이 완료되면, 상기 배면홈(322)에 안착되는 핀고정판(33)을 손이나 기타 기구물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상기 배면홈(322)에서 벗겨낸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핀(312)의 돌출부(312b)가 상기 배면홈(322)에서 노출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망치등과 같은 기구물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부재(32)의 배면홈(322)에 돌출된 상기 고정핀(312)의 돌출부(312b)를 가압 내지 타격한다. 이때 상기 고정핀(312)은 석고등의 접착액이 응고된 접착액과 접촉되는 연장부(312c)와 돌출부(312b)간의 서로 다른 폭을 갖고 형성됨에 따라 뭉게지므로서 그 형상이 변형되었다 하더라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작업자가 송곳이나 기타 뾰족한 도구를 상기 고정핀이탈홈(314)에 삽입하여 힘을 가하여 상기 고정판(31)을 상기 베이스부재(32)에서 이탈시킴도 가 능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모형의 조립체를 종래와 달리 상악 및 하악골의 전치부 또는 구치부를 모두 포함하여 인체의 치아구조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함에 따라 실제 환자의 치아구조에 일치되는 정밀한 치아구조의 모형의 제작이 가능하며, 치아모형의 오차보정을 위한 교합기와의 고정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줄어들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 및 작업의 능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교합기와의 결합부분을 설정 및 표시함에 따라 상악골과 하악골의 위치 및 각 치아모형간의 맞물림을 고려해야 되는 교합기와 베이스부재간의 결합작업시에 비숙련자라도 쉽게 그 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돌출되어 고정핀의 분리시에 가압 또는 타격되는 돌출부와 상기 베이스부재내에 상기 접착액에 의해 매립된 연장부와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하므로 가압이나 타격에 의한 상기 돌출부의 형상의 변형시에도 그 변형된 끝단이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돌출부의 형상변화시에도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핀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폭을 좁게 하여 상기 치아모형의 절단시에 상기 절단선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절단기구와 상기 고정핀의 접촉이 발생되지 않음으로 절단이 용이하고, 아울러 절단기구와 고정 핀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핀이 부러지거나 손상되는 불량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판에서 고정핀의 간격을 실제 자연치아의 간격과 유사하게 배열형성함에 따라 시술대상자의 인공치아의 구현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편평한 평면으로서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모형안착면과, 상기 모형안착면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다수개의 고정핀을 포함하는 고정판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치아모형의 외측에 해당되는 전면이 상기 치아모형의 내측에 해당되는 후면보다 그 폭이 큼에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전면과 후면의 원호가 서로 다른 타원형으로서 인체의 치아구조 중, 상악 및 하악골의 전치부와 구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형상을 갖고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판.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모형안착면의 하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연장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자연치아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연장부의 상기 끝단에서 편평한 하면을 이루는 연결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연결부에 이르는 어느 하나의 면에서 내향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핀과 동일한 위치에서 하면에 돌출형성되므로 상기 모형안착면에 안착된 치아모형이 이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절단되고, 상기 고정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고정핀위치표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핀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모형안착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내측으로 빈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기구물이 삽입되어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베이스부재를 분리시키는 고정핀이탈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의 접착을 위해 도포되는 접착액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수용하는 접착액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고정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수용홈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영역의 외측방향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고정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수용홈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영역의 외측방향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홈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모형의 접착시에 발생된 접착액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고정판.
  10.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제 1 항의 고정판과, 상면에 상기 고정판이 안착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고정판은 서로 다른 원호를 갖는 외측과 내측을 갖는 타원형의 반구형상으로 인체의 치아구조중 상악 또는 하악골에서 전면을 포함하는 전치부와 측면을 포함하는 구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면에서 상기 고정판이 안착되는 모형안착면과, 상기 모형안착면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어 자연치아의 간격과 동일하게 배열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모형안착면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핀위치표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핀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모형안착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내측으로 빈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기구물이 삽입되어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베이스부재를 분리시키는 고정핀이탈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의 접착을 위해 도포되는 접착액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수용하는 접착액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수용홈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영역의 외측방향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수용홈은
    상기 모형안착면에서 상기 치아모형이 안착되는 영역의 외측방향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홈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모형의 접착시에 발생된 접착액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배면에서 상기 고정판의 고정핀이 돌출되는 배면홈과, 배면에서 치아모형의 조립체가 부착되는 교합기의 결합수단이 안착되는 교합기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결합홈은
    상기 교합기가 바닥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바닥면은 평면 또는 상기 교합기가 진입되는 방향에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18. 삭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모형은
    상기 모형안착면에 접착되어, 양측에서 외측과 내측이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 방향으로 양측의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측에서 응고된 접착액에 의해 고정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의 편평한 하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연장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연장부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상기 끝단의 편평한 하면에 내향되어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가 베이스부재의 배면홈에 돌출되고, 상기 연장부의 하면을 구성하는 연결부가 상기 배면홈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21. 제 10 항 내지 제 17 항과 제 19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모형조립체는
    상기 배면홈에 분리가능하도록 안착되고, 상기 고정핀의 돌출부가 접착 또는 삽입되어 상기 배면홈에 분리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핀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제조용 모형조립체.
KR2020060010575U 2006-04-19 2006-04-19 인공치아 제조용 고정판과 모형조립체 KR200428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575U KR200428084Y1 (ko) 2006-04-19 2006-04-19 인공치아 제조용 고정판과 모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575U KR200428084Y1 (ko) 2006-04-19 2006-04-19 인공치아 제조용 고정판과 모형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084Y1 true KR200428084Y1 (ko) 2006-10-09

Family

ID=4929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575U KR200428084Y1 (ko) 2006-04-19 2006-04-19 인공치아 제조용 고정판과 모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0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15B1 (ko) 2008-10-10 2011-02-10 박승민 치아보철 제작용 모형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15B1 (ko) 2008-10-10 2011-02-10 박승민 치아보철 제작용 모형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0252C2 (ru) Зубные протезы, зубные дуги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CN110769778B (zh) 基准义齿用对位夹具、义齿制作套件及使用它们的义齿制作方法
US73644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JP5102835B2 (ja) 排列補助機能付人工歯用シェル状プレート
JP6877753B2 (ja) 筋肉位3d調節器具、及び筋肉位3d調節咬合器
JP2015536704A (ja) 機能性インプラント
US20220401116A1 (en) Bone anchor with a drilling template connecting to this bone anch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one anchor and the drilling template
US20010044092A1 (en) Dental model
KR101763763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KR101265838B1 (ko) 치아모형 조립체
KR100865080B1 (ko) 치열 교정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치열 교정 시스템
JP4214419B2 (ja) 咬合面トランスファー器具、咬合器、咬合面設定用器具及びそれらを用いた差し歯製作方法
KR200428084Y1 (ko) 인공치아 제조용 고정판과 모형조립체
JP5486598B2 (ja) 歯科作業模型の基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53775B1 (ko) 임플란트 정밀유도 식립용 시술 기구 키트
JP2018050728A (ja) 有床補綴装置およびその製作方法
US1010520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model and carrying plate for receiving same
KR101515215B1 (ko) 교합기
US20060210944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JP2009106686A (ja) 蝋義歯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人工歯列用標準陰型および咬合嵌合位決定用陰型
KR101198685B1 (ko) 임플란트용 경화성수지치아 위치정렬장치
JP2002000628A (ja) 歯科模型
KR101849044B1 (ko) 교합기용치아모델 베이스 툴
KR101394887B1 (ko) 고딕 아치 트레이서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cad cam 총의치 제작 방법
US20060216667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