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088A - 관상체의 로크기구 - Google Patents

관상체의 로크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088A
KR20170040088A KR1020160114530A KR20160114530A KR20170040088A KR 20170040088 A KR20170040088 A KR 20170040088A KR 1020160114530 A KR1020160114530 A KR 1020160114530A KR 20160114530 A KR20160114530 A KR 20160114530A KR 20170040088 A KR20170040088 A KR 2017004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housing
receiving
corresponding insertion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키오 네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7004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6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comprising radi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hooks hinged about 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hinged about an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과제) 관상체의 로크기구로서, 진흙이나 모래 등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를 하우징의 수납 통형상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긁어내어 떨어뜨리게 함으로써 관상체 및 하우징을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관상체(2)를 하우징(1)에 대해서 하우징에 설치된 로크부재(3)를 관상체(2)의 걸어맞춤부(26)에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하여 착탈하는 관상체의 로크기구로서, 하우징에 형성되며 관상체(2)의 대응 삽입관부(20)를 내측으로 받아들이는 수납 통형상부(10)와, 관상체(2)에 형성되며 대응 삽입관부(20)를 수납 통형상부(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10a)과 대향하는 확장된 플랜지부(21)와,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10a) 및 플랜지부(21)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며, 수납 통형상부(10)에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20)를 삽입한 상태에서 타방으로 접근하는 돌기(18)(28)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관상체의 로크기구{LOCK MECHANISM OF TUBULAR BODY}
본 발명은 관상체를 하우징에 원터치 조작에 의해서 착탈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한 관상체의 로크기구에 관한 것이다.
대상의 로크기구는, 도 8(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에 예시한 바와 같이, 관상체(어댑터)(1)를 하우징(커플러)(2)에 대해서 이 하우징(2)에 설치된 로크부재(체결 캠 레버)(5)를 관상체(1)의 걸어맞춤부(8)에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하여 착탈하는 타입이다. 도 8에 있어서, 관상체(1)는 그 외주에 형성되며 로크부재(5)의 캠부(6)가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되는 둘레 홈 형상의 걸어맞춤부(8)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2)은, 관상체(1)의 선단 부분을 받아들이는 수납 통형상부의 외주에 형성되며 로크부재(5)를 사이에 배치하는 1쌍의 돌출부(3) 및 캠부(6)를 출몰시키는 개구부(7)를 가지고 있다. 로크부재(5)는, 하우징(2)에 대해서 캠부(6) 측을 돌출부(3)끼리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지지축(4)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부재(5)는, 관상체(1) 측으로 회동되면 캠부(6)가 개구부(7)에서 외측으로 빠져서 언로크 상태가 되고, 하우징(2) 측으로 회동되면 캠부(6)가 개구부(7)에서 걸어맞춤부(8)와 걸어맞춰져서 로크 상태가 된다.
또, 로크부재(5)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걸어맞춤 오목부(13,14)와, 하우징(2)에 설치되며 걸어맞춤 오목부(13,14)와 걸어맞춰지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각 걸어맞춤 오목부(13,14)에 걸림 및 걸림 해제 가능한 로크 핀(17)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로크기구에서는, 로크 핀(17)이 로크부재(5)의 언로크 상태에서 제 1 걸어맞춤 오목부(13)에 걸어맞춰지고, 로크 상태에서 제 2 걸어맞춤 오목부(14)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로크부재(5)가 로크 상태에서 언로크 상태로 불필요하게 회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4773154호 공보
상기한 로크기구는, 용도의 예로서, 배관끼리나 파이프끼리를 관상체 및 하우징의 착탈에 의해서 접속ㆍ분리하거나 관상체에 하우징을 착탈하여 관상체의 일단을 개폐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이용되고, 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또, 관수 자재인 파이프끼리나 호스끼리를 빈번히 착탈하거나 관상체에 하우징을 빈번히 착탈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관상체 및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로 밭 등의 지면에 방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에 접속 조작할 때에 관상체나 하우징의 접속용 단부 측에 부착된 진흙 등의 부착물에 의해서 정상적으로 걸어맞출 수 없게 되거나 걸어맞춰진 것을 해제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작동 불량은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며, 또한 파이프나 호스에 의해서 이송되는 물 등의 누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다소나마 해소하여, 진흙이나 모래 등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를 하우징의 수납 통형상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긁어내어 떨어뜨리게 함으로써 관상체 및 하우징을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관상체의 로크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분명하게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관상체를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로크부재를 상기 관상체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하여 착탈하는 관상체의 로크기구로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를 내측으로 받아들이는 수납 통형상부와, 상기 관상체에 형성되며 상기 대응 삽입관부를 상기 수납 통형상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과 대향하는 확장된 플랜지부와, 상기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 및 상기 플랜지부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 통형상부에 상기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타방으로 접근하는 돌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로크기구에 있어서, "돌기"는 수납 통형상부 및 플랜지부의 대향면, 즉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에 돌출되어 있는 구성, 플랜지부에 돌출되어 있는 구성,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 및 플랜지부에 각각 대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돌기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로크부재를 관상체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기 위해서, 즉 관상체를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해서, 관상체 및 하우징을 서로 접근 조작하거나 일방을 타방으로 접근 조작하면, 수납 통형상부 및 플랜지부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있던 진흙 등의 부착물을 긁어내어 떨어뜨리도록 작용한다. 또, 이 돌기는 하우징 및 관상체가 실시형태와 같이 상대적으로 회동되는 것도 있기 때문에 1개이어도 좋고, 또 1개의 돌기를 둘레방향으로 늘려서 원호 내지는 초승달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5에서 특정한 바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 상기 돌기는 기단부 측에서 선단으로 향해서 가늘어지게 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나) 상기 돌기의 기단부가 내경 측(수납 통형상부의 단면의 경우는 수납 통형상부의 내경 측, 플랜지부의 경우는 대응 삽입관부의 외주에 가까운 측)에서 외경 측(수납 통형상부의 단면의 경우는 수납 통형상부의 외경 측, 플랜지부의 경우는 대응 삽입관부의 외주에서 멀어지는 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산(山)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
(다) 상기 돌기는 복수이며, 상기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 상기 플랜지부의 단면, 또는 상기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 및 상기 플랜지부의 단면의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4).
(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관상체의 선단과 대향하는 개소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5).
청구항 1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관상체와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로 지표에 방치되고, 양자의 접속부인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 혹은 하우징의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에 진흙이나 모래 등의 부착물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자를 접속 조작하면, 도 3(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를 수납 통형상부에 삽입하는 삽입 과정, 즉 돌기가 플랜지부에 접근하거나 맞닿는 과정에서 돌기와 플랜지부의 사이에 부착되어 있던 진흙이나 모래 등의 부착물을 돌기에 의해서 긁어내어 떨어뜨리게 된다. 환언하면, 이 로크기구에서는, 부착물이 각 부재의 접속부에 부착된 상태라 하더라도, 돌기의 긁어내는 작용에 의해서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를 하우징의 수납 통형상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부착물을 자동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접속 불량을 없애어 양자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돌기의 형상으로서, 돌기가 기단부 측보다 돌출 선단을 가늘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긁어내는 작용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돌기의 형상으로서, 돌기의 기단부가 내경 측에서 외경 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산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부착물을 내경 측에서 외경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긁어내어 떨어뜨리기 쉬워지게 되며, 이 점에서 긁어내는 작용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복수의 돌기가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이나 플랜지부의 단면의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긁어내는 작용을 전 둘레에 균등하게 부여하기 쉽고, 이 점에서 긁어내는 작용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 중 관상체의 선단과 대향하는 개소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관상체의 선단에 부착된 부착물을 체결시에 경사부를 따라서 배제하기 쉬워지게 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관상체의 로크기구의 적용예를 나타내며, (a)는 하우징 및 관상체의 사용상태에서의 상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우측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상기 관상체를 하우징에 삽입하는 과정을 삽입 이전 상태와 삽입 도중 상태와 삽입 완료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상기 관상체 및 하우징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b)는 상기 관상체와 하우징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상기 하우징을 나타내며, (a)는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b)는 그 상면도이다.
도 6은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도 1(a)에 대응한 도면, (b)는 도 3(a)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도 6(a)에 대응한 도면, (b)는 도 6(b)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8은 특허문헌 1의 로크기구를 나타내며, (a)는 로크 상태에서의 단면도, (b)는 언로크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형태의 구조 및 그 작동 특징, 도 6의 제 1 변형예, 도 7의 제 2 변형예의 순서로 설명한다.
(구조)
본 실시형태의 로크기구는, 관상체(2)를 하우징(1)에 대해서 하우징에 설치된 로크부재인 레버(3)를 관상체(2)의 둘레 홈(26)에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하여 착탈하는 타입이다. 주된 주요부는, 하우징(1)에 형성되며 관상체(2)의 대응 삽입관부(20)를 내측 내지는 통내로 받아들이는 수납 통형상부(10)와, 관상체(2)에 형성되며 대응 삽입관부(20)를 수납 통형상부(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납 통형상부(10)의 단면(10a)과 대향하는 확장된 플랜지부(21)와, 수납 통형상부(10)의 단면(10a)에 형성되며 수납 통형상부(10)에 관상체(2)의 대응 삽입관부(20)를 삽입한 상태에서 플랜지부(21)에 접근하는 복수의 돌기(18)를 가지고 있는 점에 있다. 또한, 하우징(1)과 관상체(2)와 레버(3)는 모두 수지 성형품이다.
다른 주요부는 레버(3) 및 둘레 홈(26)의 구성이다. 즉, 레버(3)는 지지축(5)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식으로 요동 가능하며, 또한 탄지부재인 토션 스프링(4)의 탄지력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경동(傾動)되어 있는 레버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둘레 홈(26)은 관상체(2)의 외주에 형성되며 레버(3)가 탄지력에 저항하여 걸어맞춰지는 것이 가능한 주위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들의 세부를 분명하게 한다.
하우징(1)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측에 형성되며 관상체(2)에 접속되는 수납 통형상부(10)와, 타단 측에 형성되며 파이프나 호스 등의 관부재(8)에 연결되는 접속부(11)로 이루어진다. 그 내경은 수납 통형상부(10) 측이 접속부(11)에 비해서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관상체(2)는, 수납 통형상부(10)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어맞춤부인 둘레 홈(26)을 외주에 형성하고 있는 대응 삽입관부(20)와, 타단 측에 형성되며 파이프나 호스 등의 관부재(7)에 연결되는 접속부(22)와, 대응 삽입관부(20)와 접속부(22)의 사이에 형성된 확장된 턱부 형상의 플랜지부(21)로 이루어진다. 그 내경은 선단(24)에서부터 후단(25)까지 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11,22)에는 관부재(8,7)에 삽입되었을 때에 빠지기 어렵게 하는 복수의 둘레 돌조(17,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 통형상부(10)는 접속부(11)보다 일단(一段) 큰 직경으로 되어 있으며, 내주에 형성된 내주 홈(15)과, 주위를 등분하는 2개소에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틀부(16)와, 단면(10a)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8)를 가지고 있다. 내주 홈(15)은 틀부(16)보다 접속부(11)에 가까운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주 홈(15)에는 링 형상의 밀봉부재(6)가 장착된다. 밀봉부재(6)는 수납 통형상부(10)의 내경과 대응 삽입관부(20)의 사이를 수밀하게 유지한다.
각 돌기(18)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진흙 등의 부착물(9)이 각 부재의 접속부에 부착된 상태라 하더라도, 대응 삽입관부(20)를 수납 통형상부(1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부착물(9)을 긁어내어 떨어뜨린다. 각 돌기(18)의 형상은, 부착물을 긁어내는 작용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뿔 형상, 즉 기단부 측에서 선단으로 향해서 점차로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 기단부 측에 있어서 내경 측에서 외경 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원호 내지는 산(山)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 수납 통형상부(10)의 단면(10a)의 전 둘레에 걸쳐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틀부(16)에는, 저면의 일부를 잘라낸 통내로 통하는 개구부(16a)와, 축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형성된 회동 규제용의 일단(一段) 높은 받이면(16b) 및 반대 측에 형성된 회동 규제용의 받이면(16c)과,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좌우의 축구멍(16d)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틀부(16)에는 레버(3)가 지지축(5)을 통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레버(3)는 상판부(30)와 이 상판부(3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블록부(31)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틀부(16) 내에 요동 가능하게 수납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판부(30)에는 상면 후방 측에 미끄럼 방지용 볼록부(30a)가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면 전방 측이 받이면(16b)에 맞닿는 맞닿음부(30b)로 설정되어 있다. 블록부(31)에는 그 하면에 역 오목 형상으로 잘라낸 복수의 홈(32)과, 하면 전방 측에서 가장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34)와, 하면 후방 측에 위치하여 받이면(16c)에 맞닿는 맞닿음부(35)와, 좌우를 관통하고 있는 축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3)는 지지축(5)이 틀부의 일측 축구멍(16d), 축구멍(36), 틀부의 타측 축구멍(16d)에 끼워져서 빠짐 방지됨으로써, 틀부(16)에 대해서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때, 레버(3)는 토션 스프링(4)에 의해서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부(30b)가 받이면(16b)에 맞닿을 때까지 회동되어 대략 수평 상태로 되며, 걸림부(34)가 개구부(16a)에서 돌출되게 된다.
또, 레버(3)는 관상체(2)의 대응 삽입관부(20)를 수납 통형상부(1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걸림부(34)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 삽입관부(20)의 선단(24)에 맞닿게 된다. 대응 삽입관부(20)가 수납 통형상부(10) 내로 더 밀어 넣어지면, 레버(3)는 대응 삽입관부(20)로부터 받는 응력에 의해서 토션 스프링(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걸림부(34)가 개구부(16a)에서의 돌출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34)가 둘레 홈(26)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상의 토션 스프링(4)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부(31)의 한쪽 면에 있어서, 중간의 코일부가 지지축(5)에 꿰어진 상태로 유지되고, 일단(4a)이 홈(32) 내로 삽입된 후 다시 홈(32) 내에서 밖으로 돌출된 상태로 걸려 고정되고, 타단(4b)이 탄지력에 저항하여 받이면(16c)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다만, 탄지부재로서는 토션 스프링(4)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레버(3) 또는 틀부(16) 내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탄성편에 의해서 구성하여도 좋다.
(작동)
이상의 로크기구는 작동 특징으로서 특히 다음과 같은 점에서 우수하다.
(가) 이 로크기구에서는, 하우징(1)에 대해서 관상체(2)를 접근시켜서 장착하거나 하우징(1) 및 관상체(2)를 서로 접근시켜서 연결하는 경우, 수납 통형상부(10)에 대한 대응 삽입관부(20)의 삽입 도중에 걸림부(34)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 삽입관부(20)의 선단(24)에 맞닿기 때문에, 대응 삽입관부(20)를 수납 통형상부(10)에 더 밀어넣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레버(3)는 대응 삽입관부(20)로부터 받는 응력에 의해서 토션 스프링(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하면서,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34)가 둘레 홈(26)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 걸어맞춤 상태에서는,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부(30b)가 받이면(16b)에 맞닿아 레버(3)의 회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레버(3)가 틀부(16) 내에서 당초의 대략 수평 상태로 된다.
따라서, 로크기구로서는 밀어넣는 압입 조작, 즉 원터치 조작에 의해서 장착 가능하게 되고, 또한 레버(3)가 외측에 배치되어 육안 확인이 가능한 점에서 체결 확인성이 우수하다. 물론, 특허문헌 1에 비해 외관이 콤팩트하여 취급성이 우수하고, 또 수지제로 되어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운반성도 우수하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 F는 레버(3)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할 때의 압압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나) 이상의 장착 내지는 연결 조작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하우징(1)과 관상체(2)가 분리된 상태로 지표에 방치됨에 의해서, 양자의 접속부인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20) 혹은 하우징의 수납 통형상부(10)의 단면(10a)에 진흙이나 모래 등의 부착물(9)이 부착되는 경우도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하면,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가 수납 통형상부에 끝까지 삽입되지 않게 되어 걸어맞춤 불량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 로크기구에서는, 도 3(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20)를 수납 통형상부(10)에 삽입하는 삽입 과정, 즉 각 돌기(18)가 플랜지부(21)에 접근하거나 맞닿는 과정에서, 돌기(18)와 플랜지부(21)의 사이에 부착되어 있던 부착물(9)을 각 돌기(18)에 의해서 긁어내어 떨어뜨리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종래와 같은 걸어맞춤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양자를 확실하게 걸어맞춰서 체결할 수 있다.
(다) 이상의 각 돌기(18)는 기단부 측에서 선단으로 향해서 점차로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흙 등의 부착물(9)이 건조되어 딱딱하게 굳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한 긁어내는 작용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 각 돌기(1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돌기의 기단부가 내경 측에서 외경 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원호 내지는 산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진흙 등의 부착물을 내경 측에서 외경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긁어내어 떨어뜨리기 쉬워지게 되어, 긁어내는 작용을 더욱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각 돌기(18)는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10a)의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긁어내는 작용을 전 둘레에 균등하게 부여하기 쉽고, 이 점에서도 긁어내는 작용을 보다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과 관상체(2)가 상대적으로 회동하였을 경우에 더욱더 진흙 등의 부착물이 떨어지기 쉬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 로크기구에서는 종래와 같이 진흙 등의 부착물을 세정한다고 하는 작업을 폐지하거나 반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라) 이상의 로크기구에서는, 수납 통형상부(10)의 통내에 있어서, 대응 삽입관부(20)의 선단(24)과 대향하는 개소에 경사부(1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대응 삽입관부(20)의 선단(24)에 부착되어 있던 진흙 등의 부착물을 체결시 등에 있어서 경사부(14)를 따라서 접속부(11) 내로 긁어내기 쉬워지게 된다. 또, 체결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1) 및 관상체(2)는 걸림부(34)가 둘레 홈(26)에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양 부재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접속부(11,22)에 연결되는 관부재(7,8)로부터 받는 비틀림 방향의 응력을 받기 어렵고, 또 관부재(7,8)의 뒤틀림 보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탈 조작성도 양호하게 된다.
(마) 또, 하우징(1) 및 관상체(2)는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돌기(18)가 플랜지부(21)의 대향 단면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으나, 관부재(7,8)에 액체가 흐르게 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부재가 그 액압에 의해서 약간 떨어지는, 즉 걸림부(34)가 둘레 홈(26)의 대응 단면에 맞닿을 때까지 떨어지는 이간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액압에 의한 가압시에는 걸림부(34)가 둘레 홈(26)의 대응 단면에 압접되어 레버(3)를 누를 수 없는 상태(걸어맞춤 해제 불능 상태)로 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이와 같이 각 돌기(18)가 플랜지부(21)로부터 이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바) 하우징(1)과 관상체(2)를 다시 분리할 경우에는 각 레버(3)를 도 3(c)의 화살표 F방향으로 압압 조작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레버(3)는 토션 스프링(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대략 수평 상태에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부(35)가 받이면(16c)에 맞닿을 때까지 회동되어 경사 상태로 된다. 이 결과, 걸림부(34)가 둘레 홈(26)으로부터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우징의 수납 통형상부(10)에 대해서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20)를 빼내거나 하우징(1) 및 관상체(2)를 서로 떼어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제 1 변형예)
도 6의 제 1 변형예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수납 통형상부(10)의 단면(10a)의 돌기(18)를 생략하고, 관상체(20)의 플랜지부(21)에 상기 돌기(18)와 같은 복수의 돌기(28)를 형성한 예이다. 이 설명에서는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한 변경점만을 설명한다.
플랜지부(21)는, 양 단면 중 수납 통형상부(10)의 단면(10a)과 대향하는 단면에 복수의 돌기(28)가 상기 돌기(18)와 같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로크기구에서도 관상체(2)의 대응 삽입관부(20)를 수납 통형상부(10)에 삽입하는 삽입 과정, 즉 각 돌기(28)가 단면(10a)에 접근하거나 맞닿는 과정에서, 단면(10a)과 플랜지부(21)의 사이에 부착되어 있던 부착물을 각 돌기(28)에 의해서 긁어내어 떨어뜨리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종래와 같은 걸어맞춤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양자를 확실하게 걸어맞춰서 체결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
도 7의 제 2 변형예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수납 통형상부(10)의 단면(10a)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8)와 플랜지부(21)의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28)를 모두 구비한 예이다. 이 로크기구에서는 관상체(2)의 대응 삽입관부(20)를 수납 통형상부(10)에 삽입하는 삽입 과정, 즉 서로의 돌기(18)와 돌기(28)가 접근하거나 맞닿는 과정에서, 단면(10a)과 플랜지부(21)의 사이에 부착되어 있던 부착물을 돌기(18)와 돌기(28)에 의해서 긁어내어 떨어뜨리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종래와 같은 걸어맞춤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양자를 확실하게 걸어맞춰서 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관상체의 로크기구는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세부는 실시형태나 각 변형예를 참고로 하여 더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예를 들면, 용도는 하우징에 관상체를 착탈하는 관상체의 로크기구이면 되며, 예를 들면 고정된 관상체에 하우징을 착탈하거나 고정된 하우징에 관상체를 착탈하는 경우이어도 좋다.
또, 하우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납 통형상부의 반대 측의 접속부를 생략함과 아울러 이 접속부 대신에 차폐벽으로 함으로써, 덮개나 캡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축(5)으로서는 레버에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돌기(18,28)의 형상은 진흙 등의 부착물을 긁어낼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으며, 실시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이 채용 가능하다. 일례로서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원호 또는 원호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관부재(7,8)로서는 파이프나 호스를 상정하였으나 금속제의 배관이어도 좋다.
1 - 하우징 10 - 수납 통형상부
11 - 접속부 2 - 관상체
20 - 대응 삽입관부 22 - 접속부
3 - 레버(로크부재) 4 - 토션 스프링(탄지부재)
5 - 지지축 6 - 밀봉부재
7 - 관부재 8 - 관부재
9 - 진흙 등의 부착물 21 - 플랜지부
18 - 돌기 26 - 둘레 홈(걸어맞춤부)
28 - 돌기

Claims (5)

  1. 관상체를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로크부재를 상기 관상체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하여 착탈하는 관상체의 로크기구로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를 내측으로 받아들이는 수납 통형상부와,
    상기 관상체에 형성되며 상기 대응 삽입관부를 상기 수납 통형상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과 대향하는 확장된 플랜지부와,
    상기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 및 상기 플랜지부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 통형상부에 상기 관상체의 대응 삽입관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타방으로 접근하는 돌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체의 로크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기단부 측에서 선단으로 향해서 가늘어지게 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체의 로크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기단부가 내경 측에서 외경 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산(山)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체의 로크기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복수이며, 상기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 상기 플랜지부의 단면, 또는 상기 수납 통형상부의 단면 및 상기 플랜지부의 단면의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체의 로크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관상체의 선단과 대향하는 개소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체의 로크기구.
KR1020160114530A 2015-10-02 2016-09-06 관상체의 로크기구 KR201700400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6335 2015-10-02
JP2015196335A JP6433402B2 (ja) 2015-10-02 2015-10-02 管状体のロック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088A true KR20170040088A (ko) 2017-04-12

Family

ID=5849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30A KR20170040088A (ko) 2015-10-02 2016-09-06 관상체의 로크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33402B2 (ko)
KR (1) KR201700400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3471A (zh) * 2018-07-17 2018-12-18 安徽京冠派克流体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清洗用水管
DE102020104170A1 (de) * 2020-02-18 2021-08-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schlusseinrichtung für einen Getriebeentlüfter
CN111927760A (zh) * 2020-07-28 2020-11-13 鲍玲芳 一种水泵接合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3154B2 (ja) 2005-07-29 2011-09-14 小澤物産株式会社 レバー式カップ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6028A1 (de) * 1993-02-26 1994-09-01 United Carr Gmbh Trw Spannverbindung
JP2001304469A (ja) * 2000-04-25 2001-10-31 Tokai Rubber Ind Ltd ワンタッチ継手構造
JP5761931B2 (ja) * 2010-06-15 2015-08-12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3154B2 (ja) 2005-07-29 2011-09-14 小澤物産株式会社 レバー式カップ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33402B2 (ja) 2018-12-05
JP2017067249A (ja)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41344A (en) Coupling
KR100314314B1 (ko) 2개의 유체 파이프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접속식 커플링
KR20170040088A (ko) 관상체의 로크기구
JP3443425B2 (ja) 急速着脱型カップリング、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950011083B1 (ko) 전기청소기 및 호스고정장치와 그 성형방법
JP2008275085A (ja) 管継手
US3425717A (en) Tube coupling assembly
CA3041665A1 (fr) Circuit de fluide comprenant une premiere canalisation, une deuxieme canalisation et un raccord de liaison et procede de raccordement
JP5581079B2 (ja) 管継手
CN216307049U (zh) 一种新型管道连接件
KR102215988B1 (ko) 호스 연결용 버튼형 피팅 장치
KR102250122B1 (ko) 원터치 고압 커넥터
CN114763865A (zh) 软管连接用接头装置
JP2015081624A (ja) 差込式管継手及びこれに用いる管抜き用治具
KR101973869B1 (ko)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CN210440758U (zh) 快速接头
JP2008291914A (ja) 管継手
JP2017217710A (ja) カップリング機構の接合離脱具
JP4727077B2 (ja) 差込式管継手
CN214924045U (zh) 一种高稳定活塞环拆装钳
KR100543019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JP6490910B2 (ja) 取外し冶具
JP2002357295A (ja) 管継手
CN219127759U (zh) 用于注射器的防脱件
US11041582B2 (en) Anti-rotational push to connect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