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869B1 -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 Google Patents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869B1
KR101973869B1 KR1020170168578A KR20170168578A KR101973869B1 KR 101973869 B1 KR101973869 B1 KR 101973869B1 KR 1020170168578 A KR1020170168578 A KR 1020170168578A KR 20170168578 A KR20170168578 A KR 20170168578A KR 101973869 B1 KR101973869 B1 KR 10197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fastening
fastening body
cable gland
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근
Original Assignee
김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근 filed Critical 김부근
Priority to KR1020170168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Abstract

본 발명은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원터치 방식의 슬립시키는 동작으로 케이블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케이블 그랜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는, 피연결체에 전방부가 나사체결 형태로 체결될 수 있고, 관형상으로 마련되는 체결바디부, 탄성재질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디부 내측에 밀착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링부, 금속재질의 링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밀착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의 후방에 인접 마련되는 링받침부, 상기 링받침부와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는 링형태로 원중심을 향해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링받침부의 후방에 인접 마련되는 후크부, 상기 링받침부와 동일한 외경이 관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의 후방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슬립관부, 관형상으로 상기 슬립관부의 내경에 비해 소정간격 작은 외경이 형성되어, 전방부가 상기 슬립관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슬립관부를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삽입바디부 및 상기 피연결체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바디부의 전방부에 체결가능한 너트형태로 마련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바디부에 전방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삽입바디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후크부의 돌기부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후크부의 내경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는, 케이블의 삽입 및 해제를 원터치 형식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는, 습기 및 이물질의 침투 방지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Slip type cable gland}
본 발명은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원터치 방식의 슬립시키는 동작으로 케이블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케이블 그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그랜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에 탄력적으로 내측으로 함몰 가능한 패킹(400)이 바디부(100) 내부에 형성되고, 후방부에 마련되는 체결부(200)를 공구를 이용하여 강하게 조였을 때, 상기 패킹(400)의 전방 및 후방이 서로 압착되어지며, 상기 패킹(400)의 가운데 형성되는 탄력적인 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되어져 케이블을 강하게 압박하여 밀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마련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블 그랜드의 경우, 상기 패킹(40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케이블을 압착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200)에 상당히 높은 압력이 가해져야 하므로 다수개의 케이블 그랜드 설치 시, 작업자의 힘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려 용이한 작업 수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을 삽입 후,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부(200)를 체결 시, 복수개 연결되는 케이블 사이에서 공구의 회동이 용이하지 않아 상기 체결부(200)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어려웠고, 이에 따라, 상기 패킹(400)에 강한 압력을 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패킹(400)에 충분한 압력이 가해져 압착되어, 상기 케이블을 밀폐하더라도 상기 패킹(400)의 구조상 완만한 곡선(U)형태로 케이블과 접촉면이 형성되어, 완벽한 수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을 용이하게 삽입 후, 안정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타고 침투 가능한 수분 및 이물질의 투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케이블그랜드 및 그 제작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6970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케이블의 삽입 및 해제가 용이하지 않고, 반드시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 및 해제가 이루어져 작업이 용의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0-0996970호 (2010.11.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의 삽입 및 해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케이블 그랜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기 및 이물질의 침투 방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케이블 그랜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는, 피연결체에 전방부가 나사체결 형태로 체결될 수 있고, 관형상으로 마련되는 체결바디부, 탄성재질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디부 내측에 밀착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링부, 금속재질의 링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밀착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의 후방에 인접 마련되는 링받침부, 상기 링받침부와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는 링형태로 원중심을 향해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링받침부의 후방에 인접 마련되는 후크부, 상기 링받침부와 동일한 외경이 관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의 후방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슬립관부, 관형상으로 상기 슬립관부의 내경에 비해 소정간격 작은 외경이 형성되어, 전방부가 상기 슬립관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슬립관부를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삽입바디부 및 상기 피연결체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바디부의 전방부에 체결가능한 너트형태로 마련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바디부에 전방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삽입바디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후크부의 돌기부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후크부의 내경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의 삽입 및 해제를 원터치 형식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는, 습기 및 이물질의 침투 방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한국등록특허 10-0996970 / 도 2)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체결바디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체결바디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실링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실링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링받침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링받침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후크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후크부의 회동 전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후크부의 회동 후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슬립관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슬립관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삽입바디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의 삽입바디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에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에 케이블을 해제하기 위해, 삽입바디부에 압력을 가하는 상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에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바디부에 압력을 가하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에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바디부에 압력을 가해 후크부를 전방으로 회동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연결체(미도시)에 전방부가 나사체결 형태로 체결될 수 있고, 관형상으로 마련되는 체결바디부(1), 탄성재질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바디부(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디부(1) 내측에 밀착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링부(2), 금속재질의 링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바디부(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밀착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2)의 후방에 인접 마련되는 링받침부(3), 상기 링받침부(3)와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는 링형태로 원중심을 향해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돌기부(41)가 마련되며, 상기 링받침부(3)의 후방에 인접 마련되는 후크부(4), 상기 링받침부(3)와 동일한 외경이 관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4)의 후방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슬립관부(5), 관형상으로 상기 슬립관부(5)의 내경에 비해 소정간격 작은 외경이 형성되어, 전방부가 상기 슬립관부(5)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슬립관부(5)를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삽입바디부(6) 및 상기 피연결체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바디부(1)의 전방부에 체결 가능한 너트형태로 마련되는 체결너트(7)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바디부(6)에 전방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삽입바디부(6)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후크부(4)의 돌기부(41)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후크부(4)의 내경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체결바디부(1)는, 피연결체에 전방부가 나사체결 형태로 체결될 수 있고, 관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체결바디부(1)는, 케이블 그랜드의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A)이 수용될 수 있는 내경이 형성되는 관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방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바디부(1)의 전방측은 피연결체(배전반 등)(미도시)의 연결홀(미도시)에 삽입되어, 하기의 체결너트(7)에 의해 체결되어, 용이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바디부(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1), 걸림턱부(12), 전방제한부(13), 후방제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체결부(11)는, 상기 체결바디부(1)의 전방측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상기 체결부(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피연결체(미도시)의 연결홀(미도시)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연결홀(미도시)에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11)는, 하기의 체결너트(7)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피연결체(미도시)에 용이하게 고정되어야 하므로, 하기의 체결너트(7)와 결합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턱부(12)는, 상기 체결부(11)에 비해 비교적 큰 직경이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부(12)는, 상기 체결부(11)가 상기 피연결체(미도시)의 연결홀(미도시)에 결합 시, 상기 체결바디부(1)가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피연결체(미도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부(12)는, 상기 체결바디부(1)가 상기 연결홀(미도시)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턱부(12)가 단차 또는 방사형으로 복수개 마련되는 돌기 형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 2 내지 도 5에는 상기 걸림턱부(12)가 단차 형태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턱부(12)는, 상기 체결바디부(1)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부로부터 후방부의 직경이 상기 체결부(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자연스럽게 단차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턱부(12)를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체결바디부(1)는, 상기 연결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상기 피연결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턱부(12)는, 상기 체결부(11)에 비해 비교적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연결체(미도시)의 내측으로 완전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피연결체(미도시)에 형성된 연결홀(미도시)에 걸릴 수 있는 직경의 단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전방제한부(13)는, 상기 체결바디부(1)의 전방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차 형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제한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디부(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차 형태로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제한부(13)는, 상기 체결바디부(1)의 내주면에 단차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체결부(11)의 내경에 비해, 상기 체결바디부(1)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부로부터 후방부의 내경이 커지며 형성되는 단차 형태로 마련된다.
이로 인해, 상기 체결바디부(1)의 중간부로부터 후방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하기의 실링부(2), 링받침부(3), 후크부(4), 슬립관부(5)가 상기 체결바디부(1)의 전방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제한부(13)는, 하기의 실링부(2), 링받침부(3), 후크부(4), 슬립관부(5)가 상기 체결바디부(1)의 전방으로 통과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단차형태 또는 상기 체결바디부(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 마련되는 돌기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제한부(14)는, 상기 체결바디부(1)의 후방단부의 내주면에 돌기형태 및 단차형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제한부(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디부(1)의 후방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단차 또는 복수개의 돌기 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제한부(14)는, 하기의 실링부(2), 링받침부(3), 후크부(4), 슬립관부(5)가 상기 체결바디부(1)에 내측에 삽입된 후, 상기 체결바디부(1)의 후방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제한부(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후방제한걸림부(51)와의 걸림형태로 상기 슬립관부(5)가 상기 체결바디부(1)의 후방으로의 이탈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링부(2)는, 탄성재질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바디부(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디부(1) 내측에 밀착삽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2)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디부(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는 링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체결바디부(1)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관통홀이 형성되는 콘형태의 밀착부(21)가 마련된다.
상기 실링부(2)는, 상기 전방제한부(13)에 밀착되어, 상기 체결바디부(1)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실링부(2)는, 탄력적인 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실리콘 및 고무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결바디부(1) 내측으로 삽입되는 케이블(A)을 타고 습기 및 이물질이 상기 피연결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부(21)가 상기 케이블(A)이 삽입 시, 상기 케이블(A)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밀착부(21)의 홀은 상기 케이블(A)의 외경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블(A) 삽입 시, 상기 케이블(A)의 외주면을 상기 밀착부(21)가 탄력적으로 감싸 밀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링받침부(3)는, 금속재질의 링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바디부(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밀착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2)의 후방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받침부(3)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디부(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고, 링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실링부(2)의 후방에 밀착되게 형성되며, 후방단부측에 경사면 형태로 마련되는 경사받침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링받침부(3)는, 상기 실링부(2) 및 하기의 후크부(4) 사이에 공간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경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금속재료, 세라믹재료, 고경도의 플라스틱 재료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받침부(31)는, 상기 체결바디부(1)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향할수록 내주면으로부터 경사면이 시작되어, 후방단부로 향할수록 상기 링받침부(3)의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받침부(31)는, 하기의 돌기부(41)가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하기의 돌기부(41)가 회동되어, 상기 케이블(A)의 이탈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경사받침부(31)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후크부(4)는, 상기 링받침부(3)와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는 링형태로 원중심을 향해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돌기부(41)가 마련되며, 상기 링받침부(3)의 후방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부(4)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태로 마련되고,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돌기의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비스듬히 마련되는 돌기부(41)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41)는, 단부가 원중심축 방향으로 향하되, 비스듬히 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부(41)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압력이 가해질 시, 도 12의 (b)와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보다 전방으로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고, 상기 압력이 해제될 시, 도 12의 (a)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케이블(A)이 상기 체결바디부(1) 내부로 유입 시, 유입 된 상기 케이블(A)의 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돌기부(41)의 단부가 상기 케이블(A)의 표피에 비스듬히 전방측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케이블(A)이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하기의 삽입바디부(6)가 전방을 향해 압력을 가하면, 하기의 가압부(61)가 상기 돌기부(41)에 전방으로 압력을 가해 상기 돌기부(41)가 도 8의 (c)와 같이, 전방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케이블(A)의 표피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케이블(A)을 후방으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립관부(5)는, 상기 링받침부(3)와 동일한 외경이 관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4)의 후방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상기 슬립관부(5)는,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후크부(4)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4)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슬립관부(5)는, 후방제한걸림부(51) 및 슬립제한부(52)가 더 마련된다.
먼저, 상기 후방제한걸림부(51)는, 후방측 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단차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후방제한부(14)에 걸리는 형태로 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제한걸림부(51)는, 상기 후방제한부(14)에 걸려 상기 슬립관부(5)가 상기 체결바디부(1)의 후방측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후방제한걸림부(51)는, 단차 또는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후방제한부(14)에 의해 제한받을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슬립제한부(52)는, 상기 슬립관부(5)의 후방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 또는 단차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슬립제한부(52)는, 하기의 삽입바디부(6)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립제한부(52)와 하기의 슬립제한걸림부(62)의 걸림에 의해, 하기의 삽입바디부(6)의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된다.
이를 통해, 하기의 삽입바디부(6)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돌기부(41)에 용이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상기 압력을 가하지 않을 시에도 상기 체결바디부(1)의 후방측으로 상기 삽입바디부(6)가 이탈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삽입바디부(6)는, 관형상으로 상기 슬립관부(5)의 내경에 비해 소정간격 작은 외경이 형성되어, 전방부가 상기 슬립관부(5)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슬립관부(5)를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바디부(6)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삽입바디부(6)는, 가압부(61) 및 슬립제한걸림부(62)가 더 마련된다.
먼저, 상기 가압부(61)는, 상기 삽입바디부(6)의 전방단부에 전방을 향해 비스듬한 면이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41)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61)는, 상기 경사받침부(31)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바디부(6)에 전방으로 압력이 가해질 시, 상기 가압부(61)는, 상기 돌기부(41)에 압력을 가해 상기 돌기부(41)가 전방을 향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립제한걸림부(62)는, 상기 삽입바디부(6)의 중간부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홈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슬립제한걸림부(62)는, 상기 슬립제한부(52)가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슬립제한걸림부(62)에 상기 슬립제한부(52)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삽입바디부(6)가 슬라이딩 시,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립제한걸림부(62)의 폭넓이 만큼 상기 삽입바디부(6)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너트(7)는, 상기 피연결체(미도시)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바디부(1)의 전방부에 체결가능한 너트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체결너트(7)는, 상기 체결부(11)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체결바디부(1)를 상기 피연결체(미도시)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는, 배전반 등과 같은 피연결체(미도시)에 케이블(A)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2 내지 도 4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도 11의 (a)와 같이, 상기 케이블(A)을 상기 체결바디부(1) 내부로 삽입 시, 상기 케이블(A)이 삽입되며, 상기 돌기부(41) 및 상기 실링부(2)에 압력을 가해 상기 돌기부(41) 및 상기 실링부(2)가 벌어지는 형태로 회동되고, 상기 케이블(A)이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 케이블(A)이 삽입된 후에는, 상기 돌기부(41)의 단부가 상기 케이블(A)의 표피에 전방측으로 비스듬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상기 케이블(A)이 후방측으로 이탈할 수 없게 구성 된다 .
상기 케이블(A)을 해제시에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바디부(6)를 상기 케이블(A)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측으로 압력을 가한다.
상기 삽입바디부(6)가 전방측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가압부(61)가 상기 돌기부(41)를 전방측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케이블(A)의 표피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A)을 후방으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케이블
1 : 체결바디부 11 : 체결부
12 : 걸림턱부 13 : 전방제한부
14 : 후방제한부 2 : 실링부
21 : 밀착부 3 : 링받침부
31 : 경사받침부 4 : 후크부
41 : 돌기부 5 : 슬립관부
51 : 후방제한걸림부 52 : 슬립제한부
6 : 삽입바디부 61 : 가압부
62 : 슬립제한걸림부 7 : 체결너트

Claims (6)

  1. 피연결체에 전방부가 나사체결 형태로 체결될 수 있고, 관형상으로 마련되는 체결바디부;
    탄성재질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디부 내측에 밀착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링부;
    금속재질의 링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어 밀착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의 후방에 인접 마련되는 링받침부;
    상기 링받침부와 동일한 외경이 형성되는 링형태로 원중심을 향해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링받침부의 후방에 인접 마련되는 후크부;
    상기 링받침부와 동일한 외경이 관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의 후방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슬립관부;
    관형상으로 상기 슬립관부의 내경에 비해 소정간격 작은 외경이 형성되어, 전방부가 상기 슬립관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슬립관부를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삽입바디부; 및
    상기 피연결체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바디부의 전방부에 체결가능한 너트형태로 마련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바디부에 전방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삽입바디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후크부의 돌기부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후크부의 내경이 탄력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바디부는,
    전방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될 수 있게 마련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바디부의 전방측 내주면에 단차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실링부의 전방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방제한부;
    상기 체결바디부의 후방측 단부의 내주면에 단차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슬립관부의 후방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방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관부는,
    후방측 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단차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후방제한부에 걸리는 형태로 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후방제한걸림부;
    후방측 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돌기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삽입바디부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되는 슬립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바디부는,
    전방측 단부에 전방을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게 마련되는 가압부; 및
    중간부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홈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슬립제한부가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되는 슬립제한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바디부는, 상기 슬립제한걸림부의 폭넓이 만큼 슬라이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받침부는,
    상기 체결바디부에 결합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후방단부의 두께가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받침부;가 더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회동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돌기부는,
    전방을 향해 압력이 가해질 시, 전방을 향해 회동되었다가 압력 해제 시, 복귀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68578A 2017-12-08 2017-12-08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KR10197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578A KR101973869B1 (ko) 2017-12-08 2017-12-08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578A KR101973869B1 (ko) 2017-12-08 2017-12-08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869B1 true KR101973869B1 (ko) 2019-09-02

Family

ID=6795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578A KR101973869B1 (ko) 2017-12-08 2017-12-08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563B1 (ko) * 2022-07-14 2023-11-21 김건 시공이 용이한 케이블 그랜드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647A (ja) * 1995-09-01 1997-03-18 Read Eng Kk ケーブル引込金具、クランプ及びグランド本体
KR100996970B1 (ko) 2008-11-03 2010-11-26 대량산업 (주) 케이블그랜드 및 그 제작방법
KR101608174B1 (ko) * 2015-04-17 2016-03-31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방폭 제품과 전선관 연결용 폴 유니온 케이블 그랜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647A (ja) * 1995-09-01 1997-03-18 Read Eng Kk ケーブル引込金具、クランプ及びグランド本体
KR100996970B1 (ko) 2008-11-03 2010-11-26 대량산업 (주) 케이블그랜드 및 그 제작방법
KR101608174B1 (ko) * 2015-04-17 2016-03-31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방폭 제품과 전선관 연결용 폴 유니온 케이블 그랜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563B1 (ko) * 2022-07-14 2023-11-21 김건 시공이 용이한 케이블 그랜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2437A (en) Pipe coupling
US2201372A (en) Pipe coupling
KR101678379B1 (ko) 관 연결 조립장치
US4025093A (en) Pipe couplings and split rings used therein
JPH10510038A (ja) 管を堅い端部部材に連結するための迅速連結装置
FR2479406A1 (fr) Raccords instantanes pour tubes nus et lisses
AU2011278959A1 (en) Pipe fitting
KR101973869B1 (ko) 슬립형 케이블 그랜드
KR102391413B1 (ko) 케이블 클램핑 장치
WO2008104561A2 (en) Joint for connecting pipes
US4083587A (en) Split-ring type pipe couplings
US2694584A (en) Coupling
FR2492499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tubes
TWM529798U (zh) 管路接頭
US9964243B1 (en) Pipe joint structure
KR20200065772A (ko) 케이블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 글랜드
KR101782946B1 (ko) 파이프 연결구의 누름식 체결장치
US3079187A (en) Fastening apparatus
US2485049A (en) Hose coupling
FR2881502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auto-extractible
JPS5949475B2 (ja) 管継ぎ手
TWM493166U (zh) 電纜固定裝置
JPH04224388A (ja) 離脱防止管継手
JPS63231086A (ja) 管継手
KR101441508B1 (ko) 패킹 삽입형 소켓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