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293A - 제전 장치 - Google Patents

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293A
KR20170039293A KR1020177006177A KR20177006177A KR20170039293A KR 20170039293 A KR20170039293 A KR 20170039293A KR 1020177006177 A KR1020177006177 A KR 1020177006177A KR 20177006177 A KR20177006177 A KR 20177006177A KR 20170039293 A KR20170039293 A KR 20170039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ble
high voltage
voltage cable
mai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400B1 (ko
Inventor
케이지 카와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3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전 장치(10)는, 본체 컨트롤러(11); 본체 컨트롤러(11)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에 의해 방전하여 제전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전극(24)과, 본체 컨트롤러(11)로부터 공급된 압축 에어를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2)을 포함하는 헤드부(13); 및 본체 컨트롤러(11)를 헤드부(13)에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12)을 구비한다. 접속 케이블(12)은, 고전압을 본체 컨트롤러(11)로부터 헤드부(13)에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15); 고전압 케이블(15)의 외주를 커버하는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재(20); 고전압 케이블(15)과 별체로 병렬로 배치되고, 또한 압축 에어를 본체 컨트롤러(11)로부터 헤드부(13)에 공급하는 에어 튜브(16); 및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를 커버하는 외측 수지 튜브(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전 장치{STATIC ELI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전 장치는, 방전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그때 생성되는 이온을 제전 대상물을 향해 방출하는 것에 의해 제전 대상물의 제전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스폿형 제전 장치(제전기)를 개시한다. 스폿형 제전 장치에서는, 방전 전극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본체 컨트롤러가, 가요성 접속 케이블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의 방전 전극의 주위에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을 제전 대상물을 향해 효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전 대상물을 향해 압축 에어를 방출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케이블은, 본체 컨트롤러부터 헤드부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과, 압축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튜브를 포함한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5-203291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제전 장치는, 이온을 에어의 흐름에 실어 이송시키고 있다. 제전 장치의 헤드부는, 헤드부의 지름 방향 중앙부에 배치된 방전 전극과, 그 방전 전극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헤드부 내의 통로)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접속 케이블에서는, 방전 전극과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통로) 위치 관계에 대응시켜, 중심부에 고전압 케이블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 케이블에서는, 고전압 케이블의 주위에, 에어 공급을 위한 틈을 구비하도록 에어 튜브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고전압 케이블을 사용한 접속 케이블은, 실드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제전 장치에서는, 에어 튜브의 외측이, 금속제의 망 등의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 부재로 피복되어 있다.
하지만, 에어 튜브 내에 고전압 케이블을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 튜브의 지름이 커지고, 더욱이 그 외측의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 부재의 지름이 커지기 때문에, 접속 케이블은 구부리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우려된다. 접속 케이블이 구부리기 어려우면, 헤드부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때의 위치 결정이 어렵다.
또한, 고전압 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수kV의 교류 고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고전압 케이블과 에어 튜브의 외측의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 부재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방전이 발생하면, 고전압 케이블과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수지제의 에어 튜브가 영향을 받아, 에어 튜브의 열화가 진행되어 수명이 짧아진다. 또한, 고전압 케이블과 에어 튜브 사이의 틈은 에어 공급로이고, 이 틈에는 압축 에어가 유통되기 때문에, 방전에 의해 압축 에어가 오존화되는 것도 우려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헤드부와 본체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접속 케이블의 구성을 개선하여, 접속 케이블을 구부리기 쉽게 하고, 또한 고전압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방전에 의한 에어 튜브의 열화 억제나 압축 에어의 오존화 억제를 실현할 수 있는 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전 이온을 압축 에어에 실어 제전 대상물에 공급하는 제전 장치이고, 본체 컨트롤러; 상기 본체 컨트롤러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에 의해 방전하여 상기 제전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전극과, 상기 본체 컨트롤러로부터 공급된 압축 에어를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을 포함하는 헤드부; 및 상기 본체 컨트롤러를 상기 헤드부에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케이블은, 상기 고전압을 상기 본체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헤드부에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외주를 커버하는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재; 상기 고전압 케이블과 별체로 병렬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압축 에어를 상기 본체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헤드부에 공급하는 에어 튜브; 및 상기 고전압 케이블 및 상기 에어 튜브를 커버하는 외측 수지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상기 외측 수지 튜브와, 상기 고전압 케이블 및 상기 에어 튜브와의 틈에 삽입된, 상기 접속 케이블의 다방향에 있어서의 굽힘 하중을 평균화시키기 위한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상기 접속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부와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 및 상기 에어 튜브를 도출하기 위한 도출 구멍을 구비하는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도출 구멍에 있어서의 틈을 밀봉하여,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에어의 역류를 억제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은, 상기 방전 전극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상기 접속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부와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결 부재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대향 전극; 상기 대향 전극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방전 전극을 지름 방향 중앙부에서 유지하는 전극 홀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선단 부분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과 연통하는 에어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심선에 장착하는 단자 부재와, 상기 방전 전극의 기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단자 부재에 접촉하는 콘택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에어 공급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튜브로부터의 압축 에어를, 상기 에어 공급 통로에 방출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전 장치에 의하면, 헤드부와 본체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접속 케이블의 구성을 개선하여, 접속 케이블을 구부리기 쉽게 하고, 또한 고전압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방전에 의한 에어 튜브의 열화 억제나 압축 에어의 오존화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제전 장치의 헤드부 및 접속 케이블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전 장치의 접속 케이블의 횡단면도(도 1의 2-2 단면도)이다.
이하, 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전 장치(10)는, 스폿형 제전 장치이고, 본체 컨트롤러(11)와, 본체 컨트롤러(11)로부터 연장되면서 가요성을 갖는 접속 케이블(12)과, 접속 케이블(12)의 선단에 장착되는 헤드부(1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전 장치(10)는, 헤드부(13)로부터 제전 이온을 압축 에어에 실어 제전 대상물에 스폿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 컨트롤러(11)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이온 생성을 위한 예를 들면 수kV의 교류 고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11a)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에어 공급부(11b)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케이블(12)은, 외측 수지 튜브(14)와, 해당 외측 수지 튜브(14) 내에 병렬로 삽입된 고전압 케이블(15) 및 에어 튜브(16)를 포함한다. 고전압 케이블(15)은, 교류 고전압을 헤드부(13)에 공급하고, 에어 튜브(16)는, 압축 에어를 헤드부(13)에 공급한다. 즉,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는 별체이지만, 양자가 함께 외측 수지 튜브(14)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한 가닥의 접속 케이블(12)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수지 튜브(14)는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그 외측 수지 튜브(14) 내에는 외형이 원형상인 고전압 케이블(15)과 원통 형상의 에어 튜브(16)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이들 이외의 부분에 틈이 생긴다. 접속 케이블(12) 내에 틈이 있는 경우,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가 배열되는 방향과 그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접속 케이블(12)의 굽힘 하중의 차이가 비교적 크다. 즉, 접속 케이블(1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굽힘 하중과 접속 케이블(1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굽힘 하중의 차이가 비교적 크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틈에 면부재(17)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접속 케이블(12)은, 어느 방향으로 접속 케이블(12)을 굽혀도 그 굽힘 하중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케이블(12)의 선단에는, 헤드부(13)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18)가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18)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 부재(18)는,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를 도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다. 개구부에 있어서의 고전압 케이블(15) 및 에어 튜브(16) 이외의 틈은, 수지성 밀봉제(19)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속 케이블(12)(연결 부재(18))과 연결하는 헤드부(13)에 공급된 압축 에어의 일부가, 연결 부재(18)의 개구부로부터 접속 케이블(12)의 외측 수지 튜브(14) 내의 틈(면부재(17)의 부분)에 진입(역류)하지 않는다. 한편, 고전압 케이블(15)의 후술되는 실드부(20)는, 그 밀봉제(19)의 앞부분에서 벗겨져 있다.
여기서, 고전압 케이블(15)은, 심선(21)과, 심선(21)의 외주를 커버하면서 심선(21)에 인가되는 수kV의 교류 고전압과의 절연을 위한 절연부(22)와, 절연부(22)의 외주를 커버하는 실드부(2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심선(21)은, 구리선을 포함한다. 절연부(22)는,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실드부(20)는, 금속제의 망(가요성 금속제의 실드재)을 포함한다. 실드부(20)는, 심선(21)에 흐르는 교류 고전압에 의한 방전을 고전압 케이블(15)의 외부에 있어서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에어 튜브(16)는, 주로 압축 에어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우레탄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고전압 케이블(15) 및 에어 튜브(16)를 커버하는 외측 수지 튜브(14)는, 우레탄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접속 케이블에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전압 케이블이 중심부에 배치되고, 고전압 케이블의 주위에 에어 공급을 위한 틈을 구비하도록 에어 튜브가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에어 튜브의 외측이 금속제 망인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 부재로 피복되어 있었다. 종래의 접속 케이블에서는, 에어 튜브 내에 고전압 케이블을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 튜브의 지름이 커지고, 더욱이 그 외측의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 부재의 지름이 커지기 때문에, 접속 케이블은 구부리기 어려운 구조인 것이 우려되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접속 케이블(12)에서는,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 부재에 상당하는 실드부(20)는, 고전압 케이블(15)만 커버하고, 또한 에어 튜브(16)는, 고전압 케이블(15)과 별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에어 튜브(16) 및 실드부(20)는, 비교적 작은 지름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접속 케이블(12)은, 종래의 접속 케이블보다 작은 굽힘 하중을 갖는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튜브(16)가 실드부(20)를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15)과 별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 튜브(16)에는 방전에 대한 내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가장 외측의 외측 수지 튜브(14)에 대해서도, 에어의 압력 내성이나 방전 내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에어 튜브(16) 및 외측 수지 튜브(14)를 예를 들면 우레탄계의 연질의 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케이블(12)의 굽힘 하중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 케이블(12)의 선단부에는, 접속 케이블(12)과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갖는 외형이 원형상인 헤드부(13)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헤드부(13)는, 접속 케이블(12)의 선단 연결 부재(18)에 장착되는 대향 전극(23)과, 대향 전극(23)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전극 홀더(25)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대향 전극(23)은,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전극 홀더(25)는, 바늘 모양의 방전 전극(24)을 지름 방향 중앙부에서 유지한다. 또한, 대향 전극(23)의 내측에는, 고전압 케이블(15)의 실드부(20)를 벗긴 선단 부분을 유지하는 유지 블록(26)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13)는, 고전압 케이블(15)의 심선(21)에 장착하는 단자 부재(27)와, 방전 전극(24)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한편 단자 부재(27)에 접촉하는 콘택터(28)와, 유지 블록(26)의 선단부에 유지된 원통 형상의 절연 파이프(29)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콘택터(28)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절연 파이프(29)는, 심선(21), 단자 부재(27), 콘택터(28), 및 방전 전극(24)의 기단부를 커버하도록, 유지 블록(26)의 선단부에서 전극 홀더(25)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편, 접속 케이블(12)(외측 수지 튜브(14)) 내에는, 도시하지 않는 접지선도 배선되어 있고, 접지선이 밀봉제(19)의 앞에서 연결 부재(18)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연결 부재(18)와 접촉하는 대향 전극(23)도 접지 전위로 되어 있다. 고전압 케이블(15)의 심선(21)으로부터 단자 부재(27) 및 콘택터(28)를 통해 방전 전극(24)에 교류 고전압이 공급되면, 방전 전극(24)과 대향 전극(23)의 관계에 의해, 방전 전극(24)의 선단 부근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여 이온이 발생한다.
또한, 헤드부(13) 내에는, 유지 블록(26)의 관통 구멍(30)을 포함하는 에어 공급 통로(31)가 절연 파이프(29) 등에 의해 고전압 인가 부분과 격리되어 있다. 헤드부(13) 내의 에어 공급 통로(31)는, 전극 홀더(25)의 선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2)과 연통되어 있다.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2)은, 지름 방향 중앙부에 유지되는 방전 전극(24)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 방전 전극(24)에서의 코로나 방전과 연동하여 헤드부(13) 내에 압축 에어가 공급되면,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2)으로부터 방출되는 압축 에어에 실려 제전 이온이 제전 대상물에 대해 공급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효과를 기재한다.
(1) 접속 케이블(12)에서는, 고전압 케이블(15)의 외주가, 실드재(실드부(20))로 덮여 있다. 이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가, 별체로 병설되면서, 하나의 외측 수지 튜브(14) 내에 함께 삽입되어 있다. 종래의 고전압 케이블을 에어 튜브 내에 삽입하고 그 외측에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재로 커버하는 형태의 접속 케이블 등과 비교해도, 고전압 케이블(15)을 커버하기만 하는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재(실드부(20))는 작은 지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케이블(15)과 별체로 한 에어 튜브(16)에 관해서도 작은 지름으로 구성 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굽힘 하중이 작아, 접속 케이블(12) 전체적으로 더욱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재(실드부(20))를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가 별체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고전압 케이블(15)에서 발생하는 방전의 영향이 에어 튜브(16)에 미치는 것이 억제되어, 방전에 의한 에어 튜브(16)의 열화 억제나 에어 튜브(16) 내를 유통하는 압축 에어의 오존화 억제 등을 실현할 수 있다.
(2)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가 삽입되는 외측 수지 튜브(14) 내의 틈에는, 면부재(17)의 충전재가 삽입되었다. 이에 의해, 접속 케이블(12)을 어느 방향으로 구부려도 그 굽힘 하중이 평균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속 케이블(12)의 취급(처리)이 쉬운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외측 수지 튜브(14) 내에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가 삽입되는 접속 케이블(12)의 구조상, 헤드부(13)와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 외측 수지 튜브(14) 내로의 압축 에어의 역류가 발생할 수 있지만, 밀봉제(19)에 의한 밀봉에 의해 그 역류가 억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헤드부(13)에 마련되는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2)에 대해 효율적으로 압축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4)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 전극(24)과 그 주위에 마련되는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2)(에어 공급 통로(31))을 구비하는 헤드부(13)와 연결하는 접속 케이블(12)에서는, 외측 수지 튜브(14) 내에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가 병설되어 있다. 즉, 접속 케이블(12)을 더욱 구부리기 쉽게 하고, 방전에 의한 에어 튜브(16)의 열화 억제나 압축 에어의 오존화 억제를 실현하는 것을 충분히 고려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에어 튜브(16)나 외측 수지 튜브(14)의 재질의 자유도는 높게 되어 있다.
(5) 유지 블록(26)의 관통 구멍(30)을 포함하는 에어 공급 통로(31)는, 절연 파이프(29), 대향 전극(23), 및 전극 홀더(25)에 의해 구성되고, 전극 홀더(25)의 선단부에 마련한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2)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부(13) 내에 압축 에어가 공급되면, 압축 에어는, 유지 블록(26)의 관통 구멍(30)으로부터 에어 공급 통로에 유입되고, 유입된 압축 에어는 에어 공급 통로(31)와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2)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방전 전극(24)의 주위에 압축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좋다.
·접속 케이블(12)을 구성하는 각종 부재의 재질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시한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외측 수지 튜브(14) 내의 틈에 면부재(17)를 충전했지만, 이 이외의 재료로 충전재를 해도 좋고, 또한 면부재(17) 등의 충전재를 생략해도 좋다.
·접속 케이블(12)의 선단부(연결 부재(18)의 개구부)를 도포형 밀봉제(19)를 사용하여 밀봉했지만, 장착형 밀봉 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외측 수지 튜브 내에 고전압 케이블(15), 에어 튜브(16), 접지선(도시 생략)을 삽입하는 접속 케이블(12)의 구성으로 했지만, 삽입시키는 배선이나 튜브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 컨트롤러(11)는, 고전압의 생성과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었지만, 구비하는 기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제전 이온을 압축 에어에 실어 제전 대상물에 공급하는 제전 장치이고,
    본체 컨트롤러;
    상기 본체 컨트롤러로부터 공급된 고전압에 의해 방전하여 상기 제전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전극과, 상기 본체 컨트롤러로부터 공급된 압축 에어를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을 포함하는 헤드부; 및
    상기 본체 컨트롤러를 상기 헤드부에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케이블은,
    상기 고전압을 상기 본체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헤드부에 공급하는 고전압 케이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외주를 커버하는 가요성 금속제의 실드재;
    상기 고전압 케이블과 별체로 병렬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압축 에어를 상기 본체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헤드부에 공급하는 에어 튜브; 및
    상기 고전압 케이블 및 상기 에어 튜브를 커버하는 외측 수지 튜브를 포함하는, 제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상기 외측 수지 튜브와, 상기 고전압 케이블 및 상기 에어 튜브와의 틈에 삽입된, 상기 접속 케이블의 다방향에 있어서의 굽힘 하중을 평균화시키기 위한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상기 접속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부와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 및 상기 에어 튜브를 도출하기 위한 도출 구멍을 구비하는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도출 구멍에 있어서의 틈을 밀봉하여,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에어의 역류를 억제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제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은, 상기 방전 전극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상기 접속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부와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결 부재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대향 전극;
    상기 대향 전극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방전 전극을 지름 방향 중앙부에서 유지하는 전극 홀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선단 부분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과 연통하는 에어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심선에 장착하는 단자 부재와,
    상기 방전 전극의 기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단자 부재에 접촉하는 콘택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에어 공급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튜브로부터의 압축 에어를, 상기 에어 공급 통로에 방출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제전 장치.
KR1020177006177A 2014-09-02 2015-07-07 제전 장치 KR101898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8388 2014-09-02
JP2014178388A JP6393561B2 (ja) 2014-09-02 2014-09-02 除電装置
PCT/JP2015/069514 WO2016035442A1 (ja) 2014-09-02 2015-07-07 除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293A true KR20170039293A (ko) 2017-04-10
KR101898400B1 KR101898400B1 (ko) 2018-09-12

Family

ID=5543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177A KR101898400B1 (ko) 2014-09-02 2015-07-07 제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93561B2 (ko)
KR (1) KR101898400B1 (ko)
CN (1) CN206533599U (ko)
WO (1) WO201603544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596A (ja) * 2000-12-14 2002-06-28 Yokogawa Denshikiki Co Ltd 除電器の高圧ケーブル端末処理構造
JP2003068497A (ja) * 2001-08-29 2003-03-07 Kasuga Electric Works Ltd 直流除電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5203292A (ja) * 2004-01-19 2005-07-28 Keyence Corp 除電器
JP2005203291A (ja) 2004-01-19 2005-07-28 Keyence Corp 除電器
JP2009170182A (ja) * 2008-01-11 2009-07-30 Keyence Corp 除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0722B2 (en) * 2004-06-24 2007-02-20 Illinois Tool Works, Inc. Alternating current monitor for an ionizer power supply
JP5721546B2 (ja) * 2011-06-07 2015-05-20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微粒子セン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596A (ja) * 2000-12-14 2002-06-28 Yokogawa Denshikiki Co Ltd 除電器の高圧ケーブル端末処理構造
JP2003068497A (ja) * 2001-08-29 2003-03-07 Kasuga Electric Works Ltd 直流除電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5203292A (ja) * 2004-01-19 2005-07-28 Keyence Corp 除電器
JP2005203291A (ja) 2004-01-19 2005-07-28 Keyence Corp 除電器
JP2009170182A (ja) * 2008-01-11 2009-07-30 Keyence Corp 除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533599U (zh) 2017-09-29
KR101898400B1 (ko) 2018-09-12
JP6393561B2 (ja) 2018-09-19
WO2016035442A1 (ja) 2016-03-10
JP2016054024A (ja)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2870B (zh) 电极丝式离子发生器
CN101192741B (zh) 电离装置
JP6612084B2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7049329B2 (ja) 放電装置および電気機器
ES2294624T3 (es) Dispositivo de enchufe para conexiones de cables o aparatos en una instalacion electrica.
JP6035658B2 (ja) 給電源コネクタに装着されるx線管を備えるx線源デバイス
JP2006514420A (ja) コロナ放電装置とその製造方法
CN109074948B (zh) Hv设备和制造此类设备的方法
KR101898400B1 (ko) 제전 장치
JP5606252B2 (ja) ポリマー套管
JP6772854B2 (ja) ワイヤハーネス
US20170338630A1 (en) Emission tip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9337646B2 (en) Electrode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component
WO2017144467A1 (en) Voltage measuring device for the use in medium or high voltage application
JP6157587B2 (ja) サージ電圧避雷器
KR101970834B1 (ko) 전계 방출형 x선 발생 장치
KR101898401B1 (ko) 제전 장치
CN114391303A (zh) 用于产生气体放电的设备
JP2013016295A (ja) スパークプラグ
JP4257309B2 (ja) ポリマー套管およ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終端接続部
JP6945709B2 (ja) ガス絶縁ブッシング
JP7469547B2 (ja) X線管、及びx線発生装置
KR101389694B1 (ko) 탈부착 가능한 고전압 발생부와 x선 발생부를 갖는 x선 발생 장치 및 정전기 제거 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고전압 발생부와 x선 발생부
JP5714443B2 (ja) 除電装置
WO2018146833A1 (ja) 放電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