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401B1 - 제전 장치 - Google Patents

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401B1
KR101898401B1 KR1020177006179A KR20177006179A KR101898401B1 KR 101898401 B1 KR101898401 B1 KR 101898401B1 KR 1020177006179 A KR1020177006179 A KR 1020177006179A KR 20177006179 A KR20177006179 A KR 20177006179A KR 101898401 B1 KR101898401 B1 KR 101898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charge
electrode holder
cable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811A (ko
Inventor
케이지 카와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4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제전 장치(10)는, 접속 케이블(12)이고, 접속 케이블(12)의 내부에 삽입된 부분(15b)과, 접속 케이블의 선단에서 도출된 선단 도출부(15d)를 구비하는 고전압 케이블(15)을 포함하는 접속 케이블(12); 및 접속 케이블(12)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13)를 구비한다. 고전압 케이블(15)의 선단 도출부(15d)는, 헤드부(13) 내에 도입되어 있다. 헤드부(13)는, 고전압 케이블(1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고전압 케이블(15)을 통해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제전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전극(23); 방전 전극(23)의 외주를 포위하고, 또한 해당 방전 전극(23)을 유지하는 절연성을 갖는 전극 홀더(22); 전극 홀더(22)의 외주에 배치된 대향 전극(21); 방전 전극(23)과 고전압 케이블(1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34); 대향 전극(21)과 방전 전극(23)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접속부(34)를 포위하여 유지하는 절연 파이프(25); 및 헤드부(13) 내에 도입된 고전압 케이블(15)의 선단 도출부(15d)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24)를 포함한다. 전극 홀더(22)는,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제전 장치{STATIC ELI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제전 대상물에 대해 스폿적으로 이온을 공급하는 타입의 제전 장치가 있다. 이 종류의 제전 장치에서는, 접속 케이블이, 본체 컨트롤러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접속 케이블의 내부에는 고전압 케이블이 삽입되고, 접속 케이블의 선단부에는 이온을 발생하는 소형의 헤드부가 마련되어 있다. 헤드부는, 고전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바늘 모양의 방전 전극과, 방전 전극의 외주를 포위하면서 해당 방전 전극을 유지하는 절연성을 갖는 전극 홀더와, 전극 홀더의 외주에 배치된 통형상의 대향 전극(접지 전극)을 구비한다. 제전 장치는, 방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그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5-203291호 공보
여기서, 상기 헤드부의 전극 홀더는, 방전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절연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전극 홀더는, 절연 파괴가 일어나기 어려운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 홀더를 소형으로 하여 방전 전극과 대향 전극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게 되어, 헤드부의 소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하지만, 세라믹은 비유전율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방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시켰을 때에 전극 홀더 내에 유전 분극이 일어나 전계가 커진다. 그에 의해, 전극 홀더와 대향 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전극 홀더가 열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극 홀더의 열화를 억제하면서도 헤드부의 소형화가 가능한 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측면은, 제전 이온을 생성하는 제전 장치이고, 접속 케이블이고, 상기 접속 케이블의 내부에 삽입된 부분과, 상기 접속 케이블의 선단에서 도출된 선단 도출부를 구비하는 고전압 케이블을 포함하는 상기 접속 케이블과, 상기 접속 케이블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상기 선단 도출부가, 상기 헤드부 내에 도입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상기 고전압 케이블을 통해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상기 제전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전극; 상기 방전 전극의 외주를 포위하고, 또한 해당 방전 전극을 유지하는 절연성을 갖는 전극 홀더; 상기 전극 홀더의 외주에 배치된 대향 전극; 상기 방전 전극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대향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접속부를 포위하여 유지하는 절연 파이프; 및 상기 헤드부 내에 도입된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상기 선단 도출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홀더는,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절연 파이프와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상기 절연 파이프의 외주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포위하는 포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위부는, 상기 전극 홀더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상기 선단 도출부의 외주를 포위하는 통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전극 홀더의 포위부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해당 접속 케이블의 내부에 삽입된 에어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에어 튜브를 통해 공급된 압축 에어를 안내하는 에어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에어 공급 통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전 이온을 상기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압축 에어에 실어 제전 대상물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방전 전극의 외주를 포위하는 통형상의 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 홀더의 상기 주벽부의 내주면에 의해, 이온 생성실이 구획되고,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전극 홀더의 주벽부 선단에 형성된 이온 방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이온 생성실 내에서 생성된 상기 제전 이온을 상기 이온 방출구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 홀더의 상기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은, 상기 전극 홀더에 있어서의 상기 이온 방출구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홀더의 상기 주벽부는, 상기 에어 공급 통로와 상기 이온 생성실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전 장치에 의하면, 전극 홀더의 열화를 억제하면서도 헤드부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도 1의 (a), (b)는 실시예에 따른 제전 장치에 있어서의 헤드부 부근의 단면도이다.
이하, 제전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전 장치(10)는, 스폿형 제전 장치이고, 본체 컨트롤러(11)와, 본체 컨트롤러(11)로부터 연장되면서 가요성을 갖는 접속 케이블(12)과, 접속 케이블(12)의 선단에 장착되는 헤드부(1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전 장치(10)는, 헤드부(13)로부터 제전 이온을 압축 에어에 실어 제전 대상물에 스폿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 컨트롤러(11)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이온 생성을 위한 예를 들면 수kV의 교류 고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11a)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에어 공급부(11b)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케이블(12)은, 수지 재킷(14)(resin jacket)과, 해당 수지 재킷(14) 내에 병렬로 삽입된 고전압 케이블(15) 및 에어 튜브(16)를 포함한다. 고전압 케이블(15)은, 교류 고전압을 헤드부(13)에 공급하고, 에어 튜브(16)는, 압축 에어를 헤드부(13)에 공급한다. 즉,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는 별체이지만, 양자가 함께 수지 재킷(14)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한 가닥의 접속 케이블(12)로서 구성되어 있다.
고전압 케이블(15)은, 심선(15a)과, 심선(15a)의 외주를 커버하여 심선(15a)에 인가되는 수kV의 교류 고전압과의 절연을 위한 절연부(15b)와, 절연부(15b)의 외주를 커버하는 실드부(15c)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심선(15a)은, 구리선을 포함한다. 절연부(15b)는, 실리콘계나 불소계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실드부(15c)는, 금속망을 포함한다. 실드부(15c)는, 심선(15a)에 흐르는 교류 고전압에 의한 방전이 고전압 케이블(15)의 외부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실드한다. 예를 들면, 에어 튜브(16)는, 주로 압축 에어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우레탄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고전압 케이블(15) 및 에어 튜브(16)를 커버하는 수지 재킷(14)은, 우레탄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접속 케이블(12)의 선단에는, 헤드부(13)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17)가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17)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 부재(17)는, 고전압 케이블(15)과 에어 튜브(16)를 도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다. 개구부에 있어서의 고전압 케이블(15) 및 에어 튜브(16) 이외의 틈은, 수지성 밀봉제(18)로 밀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속 케이블(12)(연결 부재(17))과 연결하는 헤드부(13)에 공급된 압축 에어의 일부가, 연결 부재(17)의 개구부로부터 접속 케이블(12)의 수지 재킷(14) 내에 진입(역류)하지 않는다. 한편, 고전압 케이블(15)의 실드부(15c)는, 그 밀봉제(18)의 앞부분에서 벗겨져 있다.
[헤드부의 구성]
접속 케이블(12)의 선단부에는, 접속 케이블(12)과 동축이면서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갖는 외형이 원형상인 헤드부(13)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헤드부(13)는, 접속 케이블(12)의 선단 연결 부재(17)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대향 전극(21)과, 대향 전극(21)의 선단부에 장착된 전극 홀더(22)와, 전극 홀더(22)에 유지된 바늘 모양의 방전 전극(23)을 포함한다. 대향 전극(21)과 전극 홀더(22)로, 헤드부(13)의 쉘(shell) 부분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13)는, 대향 전극(21)의 내측에 배치된 통형상의 유지 블록(24)(유지 부재)과, 유지 블록(24)에 유지된 원통 형상의 절연 파이프(25)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헤드부(13)의 쉘을 구성하는 대향 전극(21)은,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 부재(17)의 선단 외주면에는, 나사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전극(2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기단부에는, 연결 부재(17)의 나사부(17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 부재(17)는, 접속 케이블(12)(수지 재킷(14)) 내에 배선된 도시하지 않는 접지선과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 연결 부재(17)와 접촉하는 대향 전극(21)도 접지 전위로 되어 있다.
대향 전극(21)은, 대향 전극(21)에 있어서의 나사 결합부(21a)보다도 선단측의 위치에 형성된 단차부(21b)를 포함한다. 유지 블록(24)은, 피협지부(24a)와 가이드부(24b)를 포함한다. 피협지부(24a)는, 대향 전극(21)의 단차부(21b)와 연결 부재(17)의 선단부에 의해 축 방향에서 협지되어 있다. 가이드부(24b)는, 피협지부(24a)로부터 대향 전극(21)의 선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지 블록(24)은, 전체적으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부재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유지 블록(24)의 가이드부(24b)는, 접속 케이블(12)과 동축이며 피협지부(24a)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24b)는, 연결 부재(17)의 개구부(밀봉제)로부터 헤드부(13) 내에 도입된 고전압 케이블의 선단 도출부(15d)를, 헤드부(13)의 지름 방향 중심으로 안내하면서 유지하고 있다. 한편, 선단 도출부(15d)에 있어서, 실드부(15c)가 벗겨져서, 심선(15a)이 절연부(15b)만으로 피복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4b)에는, 그 가이드부(24b)의 내외를 연통하도록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4c)이 형성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 전극(21)의 선단부(나사 결합부(21a)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장착된 전극 홀더(22)는,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PFA(Tetrafluoroethylene/Perfluoalkylvinylether Copolymer)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극 홀더(22)는, 대향 전극(21) 선단의 개구부(21c)에 삽입된 원통 형상의 외주부(31)(포위부)와, 외주부(31)의 내주측에 마련된 전극 유지부(32)와, 전극 홀더(22)의 선단에 있어서 전극 유지부(32)의 주벽부(32a) 및 외주부(31)를 연결하는 선단 연결부(33)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극 유지부(32)는,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외주부(31)는, 대향 전극(21)과 동축을 가지고, 외주부(31)의 외주면의 일부는, 대향 전극(21)의 내주면과 지름 방향에서 당접하고 있다. 한편, 외주부(31)의 외주면과 대향 전극(21)의 내주면 사이에는 환상의 실링 부재(S)가 개재되어, 그 사이로부터의 에어 누설이 억제되고 있다.
외주부(31)는, 외주부(31)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개구부(21c)로부터 대향 전극(2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부(31a)를 포함한다. 전극 홀더(22)를 대향 전극(21)의 선단부에 장착할 때는, 위치 결정부(31a)가 대향 전극(21)의 선단부와 당접할 때까지 외주부(31)를 대향 전극(21)에 삽입한다.
전극 유지부(32)는, 전극 홀더(22)의 선단면의 지름 방향 중심부에 있어서 축 방향 내측(기단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 유지부(32)의 주벽부(32a)는, 외주부(31)의 내주면과 틈을 통해 지름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선단 연결부(33)는, 전극 홀더(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을 구비한다. 선단 연결부(33)에는, 전극 홀더(22)의 축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3a)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 유지부(32)의 주벽부(32a)에는, 해당 주벽부(32a)의 내주측의 공간과, 주벽부(32a)와 외주부(31) 사이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32b)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 유지부(32)의 저부(전극 유지부(32)에 있어서의 선단 연결부(33)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전극 홀더(22)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지 구멍(32c)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구멍(32c)에는, 바늘 모양의 방전 전극(23)이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방전 전극(23)의 축 방향 중앙부가, 유지 구멍(32c)에 의해 유지된다. 방전 전극(23)의 선단부는, 전극 유지부(32)의 주벽부(32a)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방전 전극(23)의 기단부는, 유지 구멍(32c)로부터 헤드부(13)의 내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방전 전극(23)의 선단부를 포위하는 주벽부(32a)의 내주면에 의해 이온 생성실(G)이 구획되어 있다. 방전 전극(23)에 고전압이 인가된 경우, 이온 생성실(G)에서 제전 이온이 생성되고, 생성된 제전 이온이, 주벽부(32a)의 선단부의 이온 방출구(32d)로부터 방출된다.
절연 파이프(25)는, 전극 유지부(32)의 기단측에 배치되고, 유지 블록(24)의 가이드부(24b)에 삽입되어 유지되고 있다. 절연 파이프(25)는, 예를 들면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극 홀더(22), 절연 파이프(25) 및 유지 블록(24)은, 동축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극 유지부(32)의 저부의 일부(유지 구멍(32c)을 포함하는 부위)가, 절연 파이프(25)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 파이프(25)의 외경은, 전극 유지부(32)의 주벽부(32a)의 외경과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절연 파이프(25)의 선단측의 유지 구멍(32c)에는, 방전 전극(23)의 기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한편, 절연 파이프(25)의 기단측에는, 고전압 케이블(15)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유지되고 있다. 절연 파이프(25) 내에는, 고전압 케이블(15)의 선단에서 돌출되는 심선(15a)과, 방전 전극(2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절연 파이프(25)는, 접속부(34)의 외주를 커버하여 해당 접속부(34)를 유지하고 있다.
접속부(34)는, 단자 부재(35)(접속 단자부)와, 콘택터(36)를 포함한다. 단자 부재(35)(접속 단자부)는, 고전압 케이블(15)의 심선(15a)에 장착되어 있다. 콘택터(36)는, 방전 전극(23)의 기단부에 고정되고, 또한 단자 부재(35)와 접촉한다. 예를 들면, 콘택터(36)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단자 부재(35)는, 절연 파이프(25)의 축 방향(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극 홀더(22)를 대향 전극(21)에 장착할 때, 콘택터(36)는, 전극 홀더(22)에 방전 전극(23)과 함께 미리 조립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 홀더(22)를 대향 전극(21)에 장착함으로써, 콘택터(36)가 단자 부재(35)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다음으로, 전극 홀더(22), 유지 블록(24), 절연 파이프(25) 및 접속부(34)의 위치 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극 홀더(22)의 외주부(31)의 일부와, 유지 블록(24)의 가이드부(24b)의 선단부(24d)는, 절연 파이프(25)의 외주에 위치하고 있다. 즉, 외주부(31)의 일부와 가이드부(24b)의 선단부(24d)는, 절연 파이프(25)와 대향 전극(21)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유지 블록(24)의 가이드부(24b)는, 절연 파이프(25)의 축 방향 중앙보다도 기단측(연결 부재(17)측)의 외주를 포위하고 있다. 가이드부(24b)는, 가이드부(24b)의 선단부(24d)(피협지부(24a)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절연 파이프(25) 내의 단자 부재(35)보다도 헤드부(13)의 기단측(이하, 헤드 기단측이라 한다)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극 홀더(22)의 외주부(31)는, 그 기단부(31b)(연결 부재(17)측의 단부)가 절연 파이프(25) 내의 단자 부재(35)보다도 헤드 기단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연 파이프(25)에 있어서의 가이드부(24b)로부터 돌출되는 부위와 외주부(31)가, 틈을 통해 지름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더욱이, 외주부(31)의 기단부(31b)는, 가이드부(24b)의 선단부(24d)의 외주를 포위하고 있다. 외주부(31)의 기단부(31b)와 가이드부(24b)의 선단부(24d)는, 틈을 통해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즉, 절연 파이프(25)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절연 파이프(25)의 축 방향 중간부에서 선단부까지의 부위와 대향 전극(21) 사이에는, 전극 홀더(22)의 외주부(31)만 개재되어 있다. 또한, 절연 파이프(25)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절연 파이프(25)의 기단부와 대향 전극(21) 사이에는, 가이드부(24b)만 개재되어 있다. 또한, 절연 파이프(25)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절연 파이프(25)의 축 방향 중간 위치이고 단자 부재(35)보다도 헤드 기단측의 위치와 대향 전극(21) 사이에는, 외주부(31)와 가이드부(24b) 모두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헤드부(13) 내에는, 유지 블록(24)의 관통 구멍(24c)을 포함하는 에어 공급 통로(P)가, 절연 파이프(25) 및 전극 홀더(22)의 전극 유지부(32)에 의해 고전압 인가 부분(방전 전극(23) 및 접속부(34))과 격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에어 공급 통로(P)는,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가이드부(24b)와 대향 전극(21) 사이,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가이드부(24b) 선단과 전극 홀더(22)의 외주부(31) 기단 사이,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절연 파이프(25)와 외주부(31) 사이, 및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 유지부(32)의 주벽부(32a)와 외주부(31) 사이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 공급 통로(P)는, 전극 홀더(22)에 형성된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3a) 및 전극 유지부(32)에 형성된 상기 연통 구멍(32b)과 연통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고전압 케이블(15)의 심선(15a)으로부터 단자 부재(35) 및 콘택터(36)를 통해 방전 전극(23)에 교류 고전압이 공급되면, 대향 전극(21)과 방전 전극(23)의 관계에 의해, 방전 전극(23)의 선단부의 주위의 이온 생성실(G) 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여 제전 이온이 생성된다. 생성된 제전 이온은, 이온 생성실(G)의 이온 방출구(32d)(주벽부(32a)의 선단부)로부터 방출된다. 그리고, 방전 전극(23)에서의 코로나 방전과 연동하여, 압축 에어가 헤드부(13) 내의 에어 공급 통로(P)에 공급되어, 주로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3a)으로부터 방출된다. 이에 의해, 이온 방출구(32d)로부터 방출된 제전 이온이, 주로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3a)으로부터 방출되는 압축 에어에 실려 제전 대상물에 대해 공급된다. 한편, 이때, 전극 유지부(32)의 주벽부(32a)에 형성된 연통 구멍(32b)에 의해 그 주벽부(32a)의 내주측이 정압이 되기 때문에, 먼지를 포함하는 외기가 주벽부(32a)의 내주측에 진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방전 전극(23)으로의 먼지의 부착이 억제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효과를 기재한다.
(1) 방전 전극(23)을 유지하면서 해당 방전 전극(23)과 대향 전극(21)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전극 홀더(22)가 불소 수지(본 실시예에서는 PFA)에 의해 형성된다. 불소 수지는 비유전율이 비교적 낮기(PFA의 비유전율은 2.1) 때문에, 방전 전극(23)으로의 고전압 인가시에 전극 홀더(22)의 예를 들면 외주부(31)와 대향 전극(21) 사이에서의 방전의 발생이 억제되고, 그 결과, 전극 홀더(22)의 열화가 억제된다. 더욱이, 불소 수지는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전극 홀더(22)(외주부(31))를 작은 지름으로 하여 방전 전극(23)과 대향 전극(21)의 지름 방향의 간격을 좁게 해도 전극 홀더(22)의 절연 파괴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전극 홀더(22)에 불소 수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전극 홀더(22)의 열화를 억제하면서도 헤드부(13)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불소 수지 중에서도 사출 성형 가능한 PFA를 전극 홀더(22)에 채용하는 것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 저비용으로 전극 홀더(22)를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예를 들면, 전극 유지부(32)의 주벽부(32a)에 연통 구멍(32b)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2) 전극 홀더(22)에는, 절연 파이프(25)와 대향 전극(21) 사이에 개재되면서 절연 파이프(25)의 외주에 있어서의 접속부(34)와 대응하는 부위를 포위하는 외주부(31)(포위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방전 전극(23)과 고전압 케이블(15)의 접속부(34)의 외주가, 함께 불소 수지로 이루어는 절연 파이프(25)와 전극 홀더(22)의 외주부(31)에 의해 포위되기 때문에, 절연 파이프(25) 및 전극 홀더(22)의 절연부에 절연 파괴가 발생하는 것이 더욱 억제되고, 그 결과, 헤드부(13)의 더욱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전극 홀더(22)의 외주부(31)가 절연 파이프(25)와 대향 전극(21) 사이에 개재되기 때문에, 절연 파이프(25)와 대향 전극(21) 사이에서의 방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3) 헤드부(13)는, 접속 케이블(12)의 선단부로부터 도출되어 헤드부(13) 내에 삽입된 고전압 케이블(15)의 선단 도출부(15d)를 유지하는 유지 블록(24)(유지 부재)을 구비한다. 해당 유지 블록(24)이, 불소 수지(본 실시예에서는, 비유전율이 2.1인 PTFE)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전극 홀더(22)에 불소 수지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지 블록(24)과 대향 전극(21) 사이에서의 방전의 발생이 억제되어 유지 블록(24)의 열화가 억제되는 한편, 불소 수지의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유지 블록(24)을 소형으로 해도 절연 파괴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고, 그 결과, 헤드부(13)의 더욱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4) 유지 블록(24)은, 고전압 케이블(15)의 선단 도출부(15d)의 외주를 포위하는 통형상을 구비하고, 유지 블록(24)의 선단부(가이드부(24b)의 선단부(24d))는, 전극 홀더(22)의 외주부(31)의 기단부(31b)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전압 케이블(15)의 선단 도출부(15d)에서 방전 전극(23)에 걸쳐지는 고전압 인가 부분의 전체가 불소 수지로 이루어는 전극 홀더(22) 및 유지 블록(24)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포위되기 때문에, 방전 전극(23)과 대향 전극(21) 사이의 절연 부분의 절연 파괴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5) 전극 홀더(22)에는, 헤드부(13)에 공급된 압축 에어를 방출하는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3a)이 형성되고, 제전 이온을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3a)으로부터 방출되는 압축 에어에 실어 제전 대상물에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헤드부(13)에서 생성된 제전 이온을 제전 대상물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6) 전극 홀더(22)는, 방전 전극(23)의 외주를 포위하는 통형상의 주벽부(32a)를 구비한다. 주벽부(32a)의 내주면에 의해 구획되는 이온 생성실(G) 내에서 생성된 제전 이온이, 주벽부(32a) 선단의 이온 방출구(32d)로부터 방출된다. 그리고, 압축 에어를 방출하는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3a)은, 전극 홀더(22)에 있어서의 이온 방출구(32d)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전 이온을 제전 대상물에 더욱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7) 주벽부(32a)에는, 에어 공급 통로(P)와 이온 생성실(G)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32b)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전극 홀더(22)의 주벽부(32a)에 형성된 연통 구멍(32b)에 의해 이온 생성실(G) 내가 정압이 되기 때문에, 주벽부(32a)의 이온 방출구(32d)로부터 이온 생성실(G)에 외기가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외기에 포함되는 먼지 등이 이온 생성실(G) 내 및 방전 전극(23)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 전극 홀더(22)의 각 에어 방출 구멍(33a)의 방출구가, 방전 전극(23) 선단보다도 헤드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극 홀더(22)의 선단부 부근에 형성되는 제전 이온을,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33a)으로부터 방출되는 압축 에어에 실어 더욱 효율적으로 제전 대상물에 공급할 수 있다.
(9) 헤드부(13)를 구성하는 전극 홀더(22), 유지 블록(24) 및 절연 파이프(25)을 포함하는 3개의 부품이 모두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향 전극(21)과의 사이의 방전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세라믹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좋다.
·전극 홀더(22), 유지 블록(24) 및 절연 파이프(25)에 사용하는 불소 수지의 종류는 상기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구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좋지만, 대향 전극(21)과의 사이의 방전을 억제하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PFA나 PTFE 등의 비유전율이 2.1 이하인 불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극 홀더(22), 유지 블록(24) 및 절연 파이프(25)를 각각 별체로 구성했지만, 절연 파이프(25)를 전극 홀더(22) 및 유지 블록(24)의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헤드부(13)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지 블록(24)을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했지만, 이외에 예를 들면, 세라믹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방전 전극(23)과 대향 전극(21) 사이의 절연 부분에 있어서, 방전 전극(23)과 고전압 케이블(15)의 접속부(34)를 커버하는 피복부(절연 파이프(25))를 불소 수지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열성에 위수한 예를 들면 세라믹으로 구성해도 좋다. 절연 파이프(25)는, 방전 전극(23)과 고전압 케이블(15)의 접속부(34)를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방전 전극(23)과 대향 전극(21) 사이의 절연부를 구성하는 부위 중에서 특히 절연 파괴가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그 절연 파이프(25)만을 세라믹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방전 전극(23)과 대향 전극(21) 사이의 전극 홀더(22)를 포함한 절연 부분의 절연 파괴를 더욱 억제할 수 있고, 헤드부(13)의 더욱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전극 홀더(22) 및 유지 블록(24)의 형상 등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본체 컨트롤러(11)는, 고전압의 생성과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었지만, 구비하는 기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제전 이온을 생성하는 제전 장치이고,
    접속 케이블이고, 상기 접속 케이블의 내부에 삽입된 부분과, 상기 접속 케이블의 선단에서 도출된 선단 도출부를 구비하는 고전압 케이블을 포함하는 상기 접속 케이블과,
    상기 접속 케이블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상기 선단 도출부가, 상기 헤드부 내에 도입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상기 고전압 케이블을 통해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상기 제전 이온을 생성하는 방전 전극;
    상기 방전 전극의 외주를 포위하고, 또한 해당 방전 전극을 유지하는 절연성을 갖는 전극 홀더;
    상기 전극 홀더의 외주에 배치된 대향 전극;
    상기 방전 전극과 상기 고전압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대향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접속부를 포위하여 유지하는 절연 파이프; 및
    상기 헤드부 내에 도입된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상기 선단 도출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홀더는,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제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제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절연 파이프와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상기 절연 파이프의 외주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위하는 포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위부는, 상기 전극 홀더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절연 파이프와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상기 절연 파이프의 외주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위하는 포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위부는, 상기 전극 홀더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상기 선단 도출부의 외주를 포위하는 통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전극 홀더의 포위부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고전압 케이블의 상기 선단 도출부의 외주를 포위하는 통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전극 홀더의 포위부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해당 접속 케이블의 내부에 삽입된 에어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에어 튜브를 통해 공급된 압축 에어를 안내하는 에어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에어 공급 통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전 이온을 상기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압축 에어에 실어 제전 대상물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방전 전극의 외주를 포위하는 통형상의 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 홀더의 상기 주벽부의 내주면에 의해, 이온 생성실이 구획되고,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전극 홀더의 주벽부 선단에 형성된 이온 방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 홀더는, 상기 이온 생성실 내에서 생성된 상기 제전 이온을 상기 이온 방출구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 홀더의 상기 복수의 에어 방출 구멍은, 상기 전극 홀더에 있어서의 상기 이온 방출구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제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홀더의 상기 주벽부는, 상기 에어 공급 통로와 상기 이온 생성실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구비하는 제전 장치.
KR1020177006179A 2014-09-02 2015-07-07 제전 장치 KR101898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8389 2014-09-02
JP2014178389A JP6452998B2 (ja) 2014-09-02 2014-09-02 除電装置
PCT/JP2015/069528 WO2016035443A1 (ja) 2014-09-02 2015-07-07 除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811A KR20170041811A (ko) 2017-04-17
KR101898401B1 true KR101898401B1 (ko) 2018-09-12

Family

ID=5543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179A KR101898401B1 (ko) 2014-09-02 2015-07-07 제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52998B2 (ko)
KR (1) KR101898401B1 (ko)
CN (1) CN206977775U (ko)
WO (1) WO201603544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497A (ja) * 2001-08-29 2003-03-07 Kasuga Electric Works Ltd 直流除電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5203292A (ja) * 2004-01-19 2005-07-28 Keyence Corp 除電器
JP2012256489A (ja) * 2011-06-08 2012-12-27 Ngk Insulators Ltd 点火部品
JP2014016524A (ja) * 2012-07-10 2014-01-30 Seiko Epson Corp 波長可変干渉フィルター、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3878B2 (ja) 2004-01-19 2010-01-0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除電器
WO2007013182A1 (ja) * 2005-07-28 2007-02-01 Hugle Electronics Inc. ハンディタイプイオナイ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497A (ja) * 2001-08-29 2003-03-07 Kasuga Electric Works Ltd 直流除電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5203292A (ja) * 2004-01-19 2005-07-28 Keyence Corp 除電器
JP2012256489A (ja) * 2011-06-08 2012-12-27 Ngk Insulators Ltd 点火部品
JP2014016524A (ja) * 2012-07-10 2014-01-30 Seiko Epson Corp 波長可変干渉フィルター、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54025A (ja) 2016-04-14
CN206977775U (zh) 2018-02-06
WO2016035443A1 (ja) 2016-03-10
JP6452998B2 (ja) 2019-01-16
KR20170041811A (ko) 201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5352B (zh) 聚合物套管及使用該聚合物套管的纜線末端連接部
CN110785827A (zh) X射线源和制造x射线源的方法
US7990687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JP6035658B2 (ja) 給電源コネクタに装着されるx線管を備えるx線源デバイス
JP2016507255A5 (ko)
WO2011144253A3 (en)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termination apparatus
WO2012044977A2 (en) Compact rf antenna for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ion source
US11257703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CA3033945C (en) Vacuum switch
KR101898401B1 (ko) 제전 장치
JP4474567B2 (ja) 半導体モジュール
JP4643362B2 (ja) 除電装置
KR101970834B1 (ko) 전계 방출형 x선 발생 장치
KR20200135777A (ko) 탭 어셈블리를 갖는 부싱
JP2007201084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101898400B1 (ko) 제전 장치
KR20180049848A (ko)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JP2017022286A (ja)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JP2013016295A (ja) スパークプラグ
CN109716604B (zh) 放电装置
JP5714443B2 (ja) 除電装置
JP7022606B2 (ja) 電子線照射装置
JP7469547B2 (ja) X線管、及びx線発生装置
JP6661958B2 (ja) 内燃機関用のスパークプラグ
KR20220112363A (ko) 용량결합형 정전기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