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848A -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 Google Patents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848A
KR20180049848A KR1020160145956A KR20160145956A KR20180049848A KR 20180049848 A KR20180049848 A KR 20180049848A KR 1020160145956 A KR1020160145956 A KR 1020160145956A KR 20160145956 A KR20160145956 A KR 20160145956A KR 20180049848 A KR20180049848 A KR 20180049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ir
voltage fuse
high voltage
c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285B1 (ko
Inventor
윤지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2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 상기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은 일정 길이를 갖는 엘리먼트를 원통 형상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하는 엘리먼트 배치단계와;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한 쌍의 캡을 고정함을 통해 상기 엘리먼트 고정하는 캡 설치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소호사를 충전하는 소호사 충전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PROCESS FOR MANUFACTURING HIGH VOLTAGE FUSE AND HIGH VOLTAGE FUS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 먼트의 틀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캡과 엘리먼트 및 하우징과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퓨즈는 배터리 등의 전기공급원에서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신속하게 전장부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고전압용 퓨즈는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해 가정용 전압을 승압시키는 고전압용 트랜스가 사용되는 제품들에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고전압 퓨즈는 절연체인 유리관의 양단에 금속재질의 도체인 한 쌍의 캡을 연결하고, 이상 전류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단선되는 가용체는 유리관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퓨즈는 한 쌍의 캡에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단자는 설치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예컨대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경우 체결홀이 형성되는 단자로 구성되고,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영역에 실장되는 경우, 일자 형상의 단자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퓨즈의 설치 영역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단자를 갖는 퓨즈를 개별 공정 라인에서 생산됨으로써, 설비 대형화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20-2014-0004270호(공개일: 2014년 07월 11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 먼트의 틀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캡과 엘리먼트 및 하우징과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
상기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은 일정 길이를 갖는 엘리먼트를 원통 형상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하는 엘리먼트 배치단계와;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한 쌍의 캡을 고정함을 통해 상기 엘리먼트 고정하는 캡 설치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소호사를 충전하는 소호사 충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엘리먼트 배치 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준비하고, 상기 엘리먼트의 양단을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걸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리먼트의 양단을,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걸어 고정하여, 상기 엘리먼트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경사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리먼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엘리먼트 몸체와, 상기 엘리먼트 몸체의 양단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리먼트 몸체는, 다단의 경사를 이루는 절곡부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리먼트 몸체에는, 서로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설치단계는, 상기 한 쌍의 캡을 준비하고, 상기 한 쌍의 캡 각각을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끼우되, 상기 한 쌍의 캡 각각의 내주가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걸리는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에 밀착되도록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호사 충전단계는, 상기 한 쌍의 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충전홀을 통해, 상기 소호사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충전하고, 상기 충전홀을 홀커버를 압입하여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고전압 퓨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엘리 먼트의 틀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캡과 엘리먼트 및 하우징과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에 엘리먼트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의 양단에 캡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소호사가 충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에 엘리먼트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의 양단에 캡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소호사가 충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은 엘리먼트 배치단계 -> 캡 설치단계 -> 소호사 충전단계의 순으로 실시된다.
엘리먼트 배치단계
도 3a를 참조 하면, 원통 형상의하우징(100)을 준비한다.
즉,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 형상을 이룬다.
도 3b를 참조 하면, 그리고, 엘리먼트(200)를 준비한다. 상기 엘리먼트(200)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엘리먼트(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엘리먼트(200)는 엘리먼트 몸체(210)와, 한 쌍의 걸림부재(220)로 구성된다.
상기 엘리먼트 몸체(21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를 갖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엘리먼트 몸체(210)의 양단에는 한 쌍의 걸림부재(220)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220)는 상기 엘리먼트 몸체(210)의 양단에서 'ㄷ'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220)는, 상기 엘리먼트 몸체(210)의 양단에서 서로 상하를 따라 엇갈리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걸림 부재(220)의 갭은 실질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양단 테두리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 몸체(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비스듬한 경사를 이룬다.
상기 엘리먼트 몸체(210)는 다단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다수의 절곡부(2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 몸체(210)에는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엘리먼트(200)가 준비되면, 상기 엘리먼트 몸체(21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도록 삽입한다.
이때, 상기 엘리먼트(200)의 양단을 상기 하우징(100)의 양단에 걸어 고정한다.
즉, 상기 엘리먼트 몸체(210)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걸림부재(220)를 상기 하우징(100)의 양단 테두리에 걸어지도록 끼워 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엘리먼트 몸체(210)는 그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재(220)가 하우징의 양단에 걸어 고정됨과 동시에,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하우징(100)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경사지도록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엘리먼트(200)는 하우징(100)의 양단에 걸어 고정된다.
캡 설치단계
도 3c 및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이 하우징(100)에 엘리먼트(200)를 배치한 이후, 하우징(100)의 양단에 한 쌍의 캡(300)을 고정함을 통해 상기 엘리먼트(200)를 고정한다.
상기 한 쌍의 캡(300) 각각은, 상기 하우징(100)의 양단에 끼워지는 홈(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310)은, 원형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홈의 내측 둘레의 형상은, 하우징(100)의 외측 둘레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양단 외측 둘레의 외경은, 홈(10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한 쌍의 캡(300)을 하우징(100)의 양단에 끼워 고정하면, 하우징(100)의 양단에 걸려 고정되는 엘리먼트(200)의 한 쌍의 걸림부재(220)의 외측부는 끼워지는 한 쌍의 캡(300) 각각의 홈(310) 내측 둘레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00)의 양단에 한 쌍의 걸림 부재(220)의 외측 둘레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걸림 부재(220)의 외측부는 하우징(100)의 양단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안착단에 삽입 안착되고, 서로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캡(300) 각각의 홈(310) 내주에는, 상기 한 쌍의 걸림 부재(220)의 외측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캡(300)이 하우징(100)의 양단에 끼워 고정되는 경우, 하우징의 양단에 고정되는 엘리먼트(200)의 각 걸림 부재(220)의 외측부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끼워지는 상태로 고정되어, 축방향으로의 회전 유동이 방지될 수도 있다.
소호사 충전단계
도 3d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캡(300) 중 어느 하나에는 충전홀(301)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양단에 끼워 고정된 어느 하나의 캡(300)의 충전홀(301)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설정된 양의 소호사(1)를 주입 충전한다.
이어, 상기와 같이 충전홀(301)을 통해 소호사가 하우징(100)에 충전된 이후, 상기 충전홀(301)을 홀커버(302)를 사용하여 압입 밀봉한다.
물론, 상기 압입 방식 이외, 초음파 융착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밀봉 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고전압 퓨즈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엘리 먼트의 틀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캡과 엘리먼트 및 하우징과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200 : 엘리먼트
210 : 엘리먼트 몸체
211 : 절곡부
220 : 걸림 부재
300 : 캡
301 : 충전홀
302 : 홀커버
310 : 홈

Claims (8)

  1. 일정 길이를 갖는 엘리먼트를 원통 형상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하는 엘리먼트 배치단계;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한 쌍의 캡을 고정함을 통해 상기 엘리먼트 고정하는 캡 설치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소호사를 충전하는 소호사 충전단계를 포함하는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 배치 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준비하고,
    상기 엘리먼트의 양단을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걸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의 양단을,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걸어 고정하여, 상기 엘리먼트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경사지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엘리먼트 몸체와,
    상기 엘리먼트 몸체의 양단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엘리먼트 몸체는, 다단의 경사를 이루는 절곡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 몸체에는,
    서로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캡 설치단계는,
    상기 한 쌍의 캡을 준비하고,
    상기 한 쌍의 캡 각각을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끼우되,
    상기 한 쌍의 캡 각각의 내주가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걸리는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에 밀착되도록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사 충전단계는,
    상기 한 쌍의 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충전홀을 통해, 상기 소호사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충전하고,
    상기 충전홀을 홀커버를 압입하여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KR1020160145956A 2016-11-03 2016-11-03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KR10261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956A KR102614285B1 (ko) 2016-11-03 2016-11-03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956A KR102614285B1 (ko) 2016-11-03 2016-11-03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848A true KR20180049848A (ko) 2018-05-14
KR102614285B1 KR102614285B1 (ko) 2023-12-18

Family

ID=6218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956A KR102614285B1 (ko) 2016-11-03 2016-11-03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766A (ko) * 2018-07-17 2020-01-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및 이의 제조 공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188B1 (ko) * 2011-05-18 2011-10-19 전태화 휴즈의 리드와이어 연결구조
JP2012043573A (ja) * 2010-08-17 2012-03-01 Hinode Denki Seisakusho:Kk 速断ヒューズ
JP3191164U (ja) * 2014-03-14 2014-06-12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筒形ヒュー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164B2 (ja) * 1991-03-29 2001-07-23 日本無線株式会社 複合縦振動メカニカル・フィル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3573A (ja) * 2010-08-17 2012-03-01 Hinode Denki Seisakusho:Kk 速断ヒューズ
KR101075188B1 (ko) * 2011-05-18 2011-10-19 전태화 휴즈의 리드와이어 연결구조
JP3191164U (ja) * 2014-03-14 2014-06-12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筒形ヒュー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766A (ko) * 2018-07-17 2020-01-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및 이의 제조 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285B1 (ko) 202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319B1 (en) Insulated cable termination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on
JP6294532B2 (ja) インライン・ヒューズ・ホルダ・アセンブリ
KR101693454B1 (ko) 모선 접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스위치 기어
US8872043B2 (en) Electric connection device and a method of producing such a device
EP3449492B1 (en) A hv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pparatus
US20190295798A1 (en) Fuse component
CN102570699A (zh) 防电弧接线盒
JP2019503044A (ja) シールドプラグ接続アセンブリ
JP6567682B2 (ja) 高圧ケーブルセット
JP2013046549A (ja) プラグインブッシング及び耐電圧試験方法
RU2535197C1 (ru) Мультиэлектродный изолятор-разрядни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8366484B2 (en) Device for electric connection,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device, and an electric installation
US20120178294A1 (en) Device For Electric Connection And An Electric Installation
KR20180049848A (ko)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KR101674785B1 (ko) 중앙 피드스루를 갖는 캡슐형 서지 보호기
JP5555365B2 (ja) プラグインブッシング及び耐電圧試験方法
CN113646976B (zh) 具有构建为铸件的接触元件的插式连接器
AU2013404504A1 (en) Cutout for use i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JP6025993B2 (ja) ハウジング壁を貫通して導体を気密に案内するための装置
KR200449360Y1 (ko) 부싱용 쉴드
JP2019204781A (ja) 固体絶縁母線、及び固体絶縁母線の製造方法
CN104847565A (zh) 电晕点火装置
JP7391120B2 (ja) シールドスプリングコンタクト、シールドスプリングコンタクトを備えるプラグインコネクタ、およびシールドスプリングコンタクトを備えるプラグインコネクタシステム
KR102663252B1 (ko) 차폐 스프링 접촉부, 차폐 스프링 접촉부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및 차폐 스프링 접촉부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KR20190142883A (ko)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