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202A - 탈기기(옵션) - Google Patents

탈기기(옵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202A
KR20170039202A KR1020177004824A KR20177004824A KR20170039202A KR 20170039202 A KR20170039202 A KR 20170039202A KR 1020177004824 A KR1020177004824 A KR 1020177004824A KR 20177004824 A KR20177004824 A KR 20177004824A KR 20170039202 A KR20170039202 A KR 20170039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seal
section
fitting
steam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블라디미르 빅토로비치 베즐레프킨
안젤라 겐나디에브나 아멜유시나
리디야 드미트리에브나 리트비엔코
블라디미르 올레고비치 흐테비치
안드레이 게나디에비치 미트류힌
미하일 세르게비치 우스티노프
알렉세이 이바노비치 쿠르체브스키
Original Assignee
조인트-스톡 컴퍼니 사이언티픽 리서치 앤드 디자인 인스티튜트 포 에너지 테크놀로지스 아톰프로엑트 (제이에스씨 아톰프로엑트)
조인트 스톡 컴퍼니 “사이언스 앤드 이노베이션즈” (“사이언스 앤드 이노베이션즈”, 제이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트-스톡 컴퍼니 사이언티픽 리서치 앤드 디자인 인스티튜트 포 에너지 테크놀로지스 아톰프로엑트 (제이에스씨 아톰프로엑트), 조인트 스톡 컴퍼니 “사이언스 앤드 이노베이션즈” (“사이언스 앤드 이노베이션즈”, 제이에스씨) filed Critical 조인트-스톡 컴퍼니 사이언티픽 리서치 앤드 디자인 인스티튜트 포 에너지 테크놀로지스 아톰프로엑트 (제이에스씨 아톰프로엑트)
Publication of KR2017003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5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incorporating thermal de-aeration of feed-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21Degasification of liquids by bringing the liquid in a thin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28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for direct heat transfer, e.g. by mixing water and steam
    • F22D1/3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for direct heat transfer, e.g. by mixing water and steam with stages, steps, baffles, dishes, circular troughs, or other means to cause interrupted or cascading fall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3Water in cooling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 기계류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는 출구 피팅 및 스팀 소스를 갖는 탱크와,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 피팅이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커버를 갖고, 하부 및 상부 탈기 섹션을 포함하는 탈기기 칼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섹션은 그 사이의 공간 내에 제트 챔버를 형성하는 압력 트레이 및 분배 트레이, 및 랜덤 요소 패킹을 포함한다. 탈기 섹션은 상부 섹션 압력 트레이의 에지 및 탈기기 칼럼 커버에 연결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된다.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 피팅은 그 내에 개구를 갖는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에 위치된다. 개구의 하부 에지는 에지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부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유압 밀봉부의 상부 에지보다 높게 위치된다. 개구의 총 단면적은 블로우다운 피팅 내의 그리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의 공간 내의 증기압의 균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작동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탈기기(옵션){DEAERATOR (VARIANTS)}
본 발명의 그룹은 열교환 기계류, 특히 열적 탈기기(deaerator)에 관한 것이고, 열 및 원자력 발전소의 파워 유닛(power unit)에, 그리고 보일러에 사용될 수 있다.
청구된 기술적 해결책은 랜덤 요소 패킹(random element packing)을 갖는 열적 탈기기로서 분류된다.
본 출원의 주 분야는 수냉각형 수감속 원자로(water-cooled water-moderated power reactors)를 갖는 원자력 발전소(nuclear power plants: NPPs)의 보충수(makeup) 및 붕소 제어 시스템이다.
보충수 및 붕소 제어 시스템의 작동은 대부분의 시간에 냉각제가 낮은 유량(시간당 약 5 톤)에서 1차 냉각 회로로부터 탈기를 위해 공급된다는 사실에 의해 특징화된다. 그러나, 탈기기로의 냉각제 공급물의 유량은 유닛 작동 모드에 따라, 주기적으로 10 내지 15배(최대 시간당 70 톤) 증가할 수 있다.
이는 탈기기가 일반적으로 제1 섹션이 낮은 유량(5 내지 7 t/h)에서의 탈기를 보장하는 반면 제2 섹션은 유량 증가의 경우에 작동되게 되는 2-섹션 탈기기 칼럼을 갖는 이유이다.
NPP에서의 이러한 탈기기의 작동의 경험은 부하의 증가가 탈기기 칼럼의 범람(flooding)을 유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냉각제를 포화점(온도)까지 가열하고 블로우다운 매체(blowdown medium)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스팀(steam)이 냉각제를 증기(vapor)에 혼입하여 상향으로 이동할 때의 프로세스이다.
이러한 것은 높은 수소 함량을 갖는 냉각제가 재결합 시스템 내로 진입하는 동안 증기가 수소 재결합 시스템으로 유동하여 시스템을 작동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NPP에 대해서 극단적으로 위험하다. 재결합 시스템의 고장은 폭발성 혼합물이 폭발되게 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방법(예를 들어, 기술적 가이드라인 "Calculation and Design of Thermal Deaerators", RTM 108.030.21-78, Rev. 1)을 사용하는 탈기기 칼럼의 유체역학적 안정성 계산(범람 마진의 결정)은 범람의 원인에 대한 질문에 대한 어떠한 대답도 제공하지 않았다.
탈기기 범람의 원인을 결정하고 과도기(transient)를 포함하여, 모든 작동 모드에서 탈기기의 신뢰적인 작동을 보장하는 해결책을 발견하기 위해 개별 칼럼 조립체 및 전체 탈기기의 작동의 더 심도 있는 분석이 요구된다.
랜덤 요소를 갖는 칼럼을 포함하는 탈기기가 개시되어 있다(Oliker I. I., Permyakov V. A. "Thermal Deaeration of Water at Thermal Power Plants", Leningrad, Energy, 1971, pp. 31 내지 35 참조).
상기 탈기기의 칼럼은 커버를 갖는 분할 본체(split body), 천공된 트레이로 이루어진 물 분배기, 패킹된 베드, 및 스팀 분배 헤더를 갖는다. 노즐이 물 스트림의 입구, 스팀의 입구 및 증기의 출구를 위한 칼럼 내에 제공되어 있다.
이 탈기기의 단점은 단지 하나의 섹션에 의해서만 결정된 제한된 범위의 부하 편차이다. 부하가 설계값에 비교할 때 급격하게 강하함에 따라, 물 분배기 위의 수막(water layer)은 물 분배기를 완전히 커버하지 못하게 충분히 낮아지게 되어, 범람 조건이 부하의 급격한 증가 중에 발생하는 동안 물 분배기 내로의 가열 스팀의 "탈출(break out)"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탈기기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부하에서의 신뢰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탈기된 물 저장 탱크 상에 장착 설치되어 있는 수직 실린더 본체, 물 및 스팀 배수 디바이스, 탈기된 물 스프레이 노즐, 및 증발 채널을 포함하는 분할된 탈기기 칼럼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RU 제95654호, C02F 1/20, 2010 참조).
디바이스는 물 배수 및 리프팅 덕트를 갖는 유압 밀봉부를 형성하는 탈기된 물의 흡입을 위한 개방 버킷(bucket)을 또한 포함하고, 분사된 물과 스팀 접촉 영역은 그 높이 전체에 걸쳐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노즐을 갖는 2개의 섹터로 분할된다.
이 디바이스는 제트 챔버의 분리에 의해 넓은 범위에 걸쳐 부하 편차의 제어를 허용한다.
이 디바이스의 단점은:
- 각각의 노즐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필요성;
- 탈기된 물 유동 범위의 증가가 더 많은 섹션을 필요로 하여, 탈기기 칼럼의 질량 및 크기 파라미터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
- 냉각제 가열 및 탈기 프로세스가 대항류형(counterflow) 구성보다 덜 집약적인 직선형(straight-through) 구성에 기초하는 것;
- 랜덤 패킹이 더 높은 프로세스 강도를 보장하는 동안 단지 제트부만이 사용되는 것;
- 저부 증기 출구가 블로우다운부에 물 침입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수냉각형 수감속 원자로를 갖는 NPP의 보충수 및 붕소 제어 시스템용 탈기기는 기술적으로 청구된 해결책과 가장 근접한다(Fomin M. P., Popik V. V. "Operation Adjustment of the Deaerator of the Primary Circuit Feed-and-Bleed System with Controlled Leakage and Recombination Systems", collection of abstracts of the 3rd Inter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Conference "NPP Commissioning", Moscow, April 28-29, 2014, pp. 56-57 참조).
디바이스는 스팀 소스(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출구 피팅(fitting)을 갖는 탈기된 냉각제 저장 탱크를 포함한다. 탱크는 그 위에 장착된 탈기기 칼럼을 갖고, 탈기기 칼럼은 그 사이의 영역이 제트 챔버를 형성하는 압력 트레이 및 분배 트레이, 및 각각의 섹션 내의 랜덤 요소 패킹으로 이루어진 서로 상하로 위치된 2개의 탈기 섹션을 갖는다.
탈기 섹션은 상부 섹션 압력 트레이의 에지 및 칼럼 커버에 연결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된다. 칼럼 커버는 블로우다운 출구 피팅 및 탈기기로의 냉각제 공급을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입구 피팅을 갖는다. 모든 피팅은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에 있다.
이 디바이스의 단점은, 탈기기가 작동함에 따라, 물이 블로우다운부에 유동하여 재결합 시스템을 불능하게 하고, 이는 폭발을 야기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낮은 신뢰성이다.
청구된 해결책의 기술적 결과는 고정 및 과도기 작동 모드에서 탈기기 칼럼의 상부 부분의 진공배기의 방지에 의한, 탈기기 부하가 몇배 이상일 때 블로우다운부 내로의 범람 및 제팅의 배제에 의한 탈기기 작동의 증가된 신뢰성에 있다.
상기 기술적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탈기기(옵션 1)는, 출구 피팅 및 스팀 소스를 갖는 탱크와, 탱크 상에 장착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을 위한 피팅이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커버를 갖는 탈기기 칼럼을 포함하고, 이 탈기기 칼럼은 하부 및 상부 탈기 섹션을 포함하고, 각 탈기 섹션은 제트 챔버를 그 사이의 영역에 형성하도록 설치된 압력 트레이와 분배 트레이, 및 랜덤 요소 패킹을 구비하며, 탈기 섹션들은 상부 섹션 압력 트레이의 에지 및 칼럼 커버에 연결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 피팅이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는 본 발명에 따라 개구를 갖고, 개구의 하부 에지는 유압 밀봉부 에지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부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유압 밀봉부의 상부 에지보다 높게 위치되고, 반면에 개구의 총 단면적은 블로우다운 피팅 내의 그리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의 영역 내의 증기압의 균등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기술적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탈기기(옵션 2)는 출구 피팅 및 스팀 소스를 갖는 탱크와, 탱크 상에 장착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을 위한 피팅이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커버를 갖는 탈기기 칼럼을 포함하고, 이 탈기기 칼럼은 하부 및 상부 탈기 섹션을 포함하고, 각 탈기 섹션은 제트 챔버를 그 사이의 영역에 형성하도록 설치된 압력 트레이와 분배 트레이, 및 랜덤 요소 패킹을 구비하며, 탈기 섹션들은 상부 섹션 압력 트레이의 에지 및 칼럼 커버에 연결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 피팅이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는 본 발명에 따라 개구를 갖고, 개구의 하부 에지는 유압 밀봉부 에지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부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유압 밀봉부의 상부 에지보다 높게 위치되고, 반면에 개구의 총 단면적은 블로우다운 피팅 내의 그리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의 영역 내의 증기압의 균등에 의해 결정되고, 부가의 스팀 블로우다운 피팅이 탈기기 칼럼의 커버 상의 유압 밀봉부 돌출부의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기술적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탈기기(옵션 3)는 출구 피팅 및 스팀 소스를 갖는 탱크와, 탱크 상에 장착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을 위한 피팅이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커버를 갖는 탈기기 칼럼을 포함하고, 이 탈기기 칼럼은 하부 및 상부 탈기 섹션을 포함하고, 각 탈기 섹션은 제트 챔버를 그 사이의 영역에 형성하도록 설치된 압력 트레이와 분배 트레이, 및 랜덤 요소 패킹을 구비하며, 탈기 섹션들은 상부 섹션 압력 트레이의 에지 및 칼럼 커버에 연결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 피팅이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는 본 발명에 따라 개구를 갖고, 개구의 하부 에지는 유압 밀봉부 에지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부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유압 밀봉부의 상부 에지보다 높게 위치되고, 반면에 개구의 총 단면적은 블로우다운 피팅 내의 그리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의 영역 내의 증기압의 균등에 의해 결정되고, 부가의 스팀 블로우다운 피팅이 탈기기 칼럼의 커버 상의 유압 밀봉부 돌출부의 외부에 위치되고, 반면에 상부 탈기 섹션은 하부 탈기 섹션을 통해 줄곧 연장하는 연결 파이프에 의해 탱크에 직접 연결된다.
청구범위는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데, 여기서
도 1은 탈기기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고(옵션 1);
도 2는 옵션 1에 따른 탈기기 칼럼을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개구를 갖는 유압 밀봉부 돌출부를 도시하고 있는 섹션 A를 포함하고(옵션 1);
도 4는 옵션 2에 따른 부가의 블로우다운 피팅을 갖는 탈기기 칼럼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옵션 3에 따른 부가의 연결 파이프를 갖는 탈기기 칼럼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은 단지 청구범위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이들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고,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진 연계된 장비는 생략하고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하의 아이템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1 - 탱크; 2 - 스팀 소스; 3 - 탈기기 칼럼; 4 및 5 - 물 공급 피팅 6 - 블로우다운 피팅; 7 - 출구 피팅; 8 -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 9 -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 10 -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 11 -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의 버킷; 12 - 제1 탈기 섹션의 랜덤 요소 패킹; 13 - 제2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 14 - 제2 탈기 섹션의 제트부; 15 - 제2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 16 - 제2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의 버킷; 17 - 제2 탈기 섹션의 랜덤 요소 패킹; 18 - 유압 밀봉부 에지; 19 - 유압 밀봉부 돌출부; 20 - 격벽; 21 -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의 개구; 22 - 옵션 2에 대한 부가의 블로우다운 피팅; 23 - 옵션 3에 대한 부가의 연결 파이프.
탈기기(옵션 1)는 타원형 저부 및 커버를 갖는 실린더강 용기의 형태의 탱크(1)로 이루어진다. 탱크(1)의 하부 부분은 터빈 추출로부터의 스팀에 의해 가열된 평활한 강관으로 제조된 표면 열교환기인 스팀 소스(2)를 수용한다(도 1).
탱크(1)는 랜덤 요소를 갖는 2개의 직병렬 탈기 섹션으로 이루어진 탈기기 칼럼(3)을 수용한다.
칼럼 커버(3)는 물 공급 피팅(4, 5) 및 블로우다운 피팅(6)을 구비한다. 탱크(1)의 하부 부분은 출구 피팅(7)을 갖는다.
제1 탈기 섹션은 서로 상하로 위치된 이하의 요소: 압력 트레이(8), 제트부(9), 그 위에 장착된 버킷(11)을 갖는 분배 트레이(10)(천공됨), 및 이 특정 용례에서 오메가형 요소와 같은 랜덤 요소를 갖는 패킹(12)을 포함한다.
제2 탈기 섹션은 디바이스의 수직축을 따라 제1 탈기 섹션의 하부에 위치된다. 제2 탈기 섹션은 제1 탈기 섹션과 동일한 요소: 압력 트레이(13), 제트부(14), 그 위에 장착된 버킷(16)을 갖는 분배 트레이(15)(천공됨), 및 랜덤 요소(17)를 갖는 패킹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탈기 섹션은 에지(18) 및 돌출부(19)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에지(18) 상부는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위에 위치된다. 돌출부(19)는 그 하부 에지가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아래에 있고, 상부 에지는 칼럼(3) 커버에 연결되어 입구 피팅(4, 5)이 돌출부(19) 내부에 있게 되도록 설계된다.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9)는 압력 트레이(8)를 통해 연장하고 상부 부분 내의 칼럼(3) 커버에 부착된 격벽(20)에 의해 블로우다운 피팅(6)에 연결된다. 소형 통기 구멍이 칼럼(3) 커버로의 돌출부(19) 및 격벽(20)의 부착점에 위치된다.
돌출부(19)는 에지(18)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에지(18) 상부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는 개구(21)를 그 내부에 갖는다.
개구(21)의 총 단면적은 블로우다운 피팅(6) 내의 그리고 돌출부(19) 내부의 공간 내의 스팀 압력의 균등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옵션
탈기기(옵션 1)는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냉각제의 소스 스트림(회로 블로우다운)은 일정한 유량에서 물 입구 피팅(4)을 통해 탈기기 칼럼(3) 내로 유동한다. 냉각제가 탈기기 내에 있자마자, 스팀 응축에 의해 가열되기 시작한다. 게다가, 스팀은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상에 발생된 냉각제 미러 상에 응축한다. 압력 트레이(8) 내의 개구를 통해, 냉각제는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9)에 진입하고, 여기서 스팀 소스(2) 내에 발생된 스팀에 의해 포화점으로 가열된다.
유압 밀봉부의 에지(18)의 높이는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상의 냉각제 레벨이 더 낮을 것이도록, 즉 전체 냉각제량이 단지 제1 탈기 섹션에만 진입하도록 계산된다.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9) 내의 가열 후에, 냉각제는 스팀의 일부를 응축하고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10)로 유동한다. 그 위에 장착된 버킷(11)은 스팀이 제트부(9) 내로 통과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데, 이는 이들의 높이가 잠재적인 냉각제의 레벨을 초과하고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10) 상에 응축해야 하는 이유이다.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10)의 천공을 통해, 냉각제는 랜덤 요소를 갖는 패킹(12) 내로 유동하고, 여기서 포화 상태로의 그 최종 가열 및 탈가스가 발생한다. 랜덤 요소는 물이 박막 내의 이들의 표면에 걸쳐 확산함에 따라 탈가스의 효율을 보장하고, 따라서 물과 스팀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한편, 요소 사이에 큰 자유 단면을 남겨두어(이들의 랜덤성에 기인하여) 스팀이 통과하게 한다.
다음에, 그 가열의 결과로서 발생된 냉각제 및 응축물은 제2 탈기 섹션을 통해 탱크(1)로 그리고 출구 피팅(7)을 통해 재차 회로로 유동한다. 몇몇 스팀과 함께 혼합물 내의 냉각제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격벽(20)을 통해 블로우다운 피팅(6) 내로 나온다.
부가의 냉각제 유동(예를 들어, 보충수)이 입구 피팅(5)을 통해 탈기기로 공급되고 그리고/또는 입구 피팅(4)을 통한 유량이 상당히 증가할 때,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를 통해 제1 섹션 내로의 전체 냉각제 유동이 중단된다. 트레이(8) 상의 레벨은 유압 밀봉부의 에지(18)의 높이를 초과하여 증가하기 시작하고, 냉각제는 제2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13)로 넘쳐 유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더 높은 냉각제 유량은 양 탈기 섹션이 작동하게 한다. 제1 탈기 섹션을 통한 유량은 유압 밀봉부의 에지(18)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고, 냉각제의 나머지는 제2 탈기 섹션의 트레이(13)로 그리고 이어서 제트부(14), 분배 트레이(15)로 그리고 랜덤 요소를 갖는 패킹(17) 내에서 유동한다.
소스(2)의 스팀은 냉각제 스트림을 향해: 제2 탈기 섹션의 패킹(17)을 통해, 버킷(16)을 통해 제트부(14) 내로 이동하고, 이어서 제1 섹션으로 부분적으로 유동하고 나머지는 제2 탈기 섹션의 제트부(14) 내의 냉각제를 가열한다. 제2 탈기 섹션을 통해 통과하는 냉각제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제트부(14)의 체적으로부터 제1 섹션의 모든 요소(아이템 12, 10, 11, 9, 20)를 통해 블로우다운 피팅(6)으로 나온다.
탈기기의 신뢰적인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고정 모드 및 과도기 모드의 모두에서, 그 작동 중에 범람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랜덤 요소 패킹(12, 17)의 단면의 정확한 선택, 및 칼럼(3)의 모든 부분 내의 압력 균형을 필요로 한다.
패킹 단면은 규제 문서(기술적 가이드라인 "Calculation and Design of Thermal Deaerators" RTM 108.030.21-78, Rev. 1)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돌출부(19) 내의 개구(21)의 세트의 유동 단면이 불충분하면, 돌출부(19)에 의해 제한된 칼럼(3)의 체적은 진공배기될 것이다.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8)의 진공배기는 냉각제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어질 것이다. 냉각제 레벨이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10) 상의 버킷(11)의 높이를 초과할 때, 블로우다운 유동을 위한 단면은 감소되어 냉각제가 피팅(6)에 혼입된 상태의 범람을 유발한다.
돌출부(19) 내의 개구(21)의 세트의 단면은 이하의 조건: 격벽(20) 상의 압력차가 0이어야 한다는 조건에 기초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탈기 섹션의 제트 챔버(14)로부터 블로우다운 피팅(6)까지의 스팀 저항 압력차는 제2 탈기 섹션의 제트 챔버(14)로부터 돌출부(19) 내부의 체적까지의 스팀 저항 압력차에 동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버킷(16)을 통해 제2 탈기 섹션의 제트부(14)에 진입하는 스팀의 양은 이하와 같이 소비된다:
1. 제트부(14)의 제트 상에 응축.
2. 압력 트레이(13)의 미러 상에 응축.
3. 입구 피팅(4, 5)으로부터 유동하는 냉각제 제트 상에 응축.
4. 압력 트레이(8)의 미러 상에 응축.
5. 패킹(12) 내에 응축.
6. 분배 트레이(10) 상에 응축
7. 제트부(9) 내에 응축
8. 탈기 가스와 함께 격벽(20)을 통해 피팅(6)으로 유동.
따라서, 제2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의 버킷(16)의 출구와 격벽(20)의 내부 공간 사이의 압력차를 발생하는 스팀 유량은 제1 탈기 섹션 내에 응축된 스팀 유동(항목 5 내지 7) 및 제1 및 제2 섹션의 블로우다운 스팀(항목 8)에 의해 형성된다. 버킷(11)의 출구와 돌출부(19) 내부의[즉, 격벽(18) 외부의] 공간 사이의 압력차를 결정하는 스팀 유량은 항목 1 내지 4 및 부분적으로 항목 8의 유동에 의해 형성된다.
개구(21) 내의 압력차는 이들 압력차의 균등에 의해 결정된다. 돌출부(18) 내부의 체적 내에서 응축된 스팀의 양(항목 3 및 4)이 공지되면, 돌출부(19)를 통한 필수 스팀 유동을 보장할 것인 개구(21)의 세트의 요구된 총 유동 단면이 결정될 수 있다.
기술적으로, 이 단면은 돌출부 주위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대응 직경의 다수의 구멍으로서 설계된다. 단면이 압력 트레이(8) 상의 냉각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지지 않게 하기 위해, 개구(21)의 하부 에지는 에지(18)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유압 밀봉부의 에지(18) 상부보다 더 높게 위치되어야 한다.
이하는 개구(21)의 직경, 블로우다운 피팅(6) 내의 그리고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위의 유압 밀봉부의 돌출부(18)의 내부의 압력 균형에서 이들의 총 단면적의 계산의 특정 경우이다.
1. 탈기기 칼럼의 상부 챔버 내의 증기 응축은 이하의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KORSAR/I1.1. Thermal-Hydraulic Calculation Code. Calculation Method of Closing Relations and Individual Physical Phenomena of Circuit Thermal Hydraulics. Sosnovy Bor: A. P. Aleksandrov NITI, 2001, p.147.
2. 분배 트레이(8)로부터 유압 밀봉부의 에지(18)를 통한 분배 트레이(13)로의 과잉의 물의 오버플로우를 보장하는 레벨 초과는 이하의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A. V. Fluvial Hydraulics. Leningrad, Hydrometeorological Publishing House, 1969, p.417.
유압 밀봉 채널의 유압 저항이 레벨의 계산 중에 고려되었다.
3. 유압 저항은 이하의 출판물에 따라 계산되었다: Idelchak I. Ye. Reference Book of Hydraulic Resistance. Moscow, Mashinostroyeniye, 1957, p.559.
그 결과, 이하의 데이터가 붕소 제어 탈기기에 대해 얻어졌다: 유압 밀봉부의 돌출부(19)를 통한 스팀 흐름에 대해, 20 mm의 직경을 갖는 12개의 개구에 의해 보장될 수 있는 총 단면적 F = 0.0038 m2을 갖는 개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12·π·(20·10-3)2/4 = 0.00377 m2).
청구된 기술적 해결책은 탈기기 부하가 몇배 이상만큼 변경될 때 블로우다운부의 범람 및 제팅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탈기기는 탈기 섹션이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할되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가 제1 섹션의 압력 트레이 위의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 및 블로우다운 피팅 내의 압력 균형을 보장하는 미리설정된 총 단면적을 갖는 개구의 세트를 갖는 2-섹션 칼럼을 갖고 설계된다.
이는 탈기기 칼럼의 상부 부분의 진공배기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디바이스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탈기기(옵션 2)는 타원형 저부 및 커버를 갖는 실린더강 용기의 형태의 탱크(1)로 이루어진다. 탱크(1)의 하부 부분은 터빈 추출로부터의 스팀에 의해 가열된 평활한 강관으로 제조된 표면 열교환기인 스팀 소스(2)를 수용한다(도 5).
탱크(1)는 랜덤 요소를 갖는 2개의 직병렬 탈기 섹션으로 이루어진 탈기기 칼럼(3)을 수용한다.
칼럼 커버(3)는 물 공급 피팅(4, 5) 및 블로우다운 피팅(6)을 구비한다. 탱크(1)의 하부 부분은 출구 피팅(7)을 갖는다.
제1 탈기 섹션은 서로 상하로 위치된 이하의 요소: 압력 트레이(8), 제트부(9), 그 위에 장착된 버킷(11)을 갖는 분배 트레이(10)(천공됨), 및 이 특정 용례에서 오메가형 요소와 같은 랜덤 요소를 갖는 패킹(12)을 포함한다.
제2 탈기 섹션은 디바이스의 수직축을 따라 제1 탈기 섹션의 하부에 위치된다. 제2 탈기 섹션은 제1 탈기 섹션과 동일한 요소: 압력 트레이(13), 제트부(14), 그 위에 장착된 버킷(16)을 갖는 분배 트레이(15)(천공됨), 및 랜덤 요소(17)를 갖는 패킹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탈기 섹션은 에지(18) 및 돌출부(19)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에지(18) 상부는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위에 위치된다. 돌출부(19)는 그 하부 에지가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아래에 있고, 상부 에지는 칼럼(3) 커버에 연결되어 입구 피팅(4, 5)이 돌출부(19) 내부에 있게 되도록 설계된다.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9)는 압력 트레이(8)를 통해 연장하고 상부 부분 내의 칼럼(3) 커버에 부착된 격벽(20)에 의해 블로우다운 피팅(6)에 연결된다. 소형 통기 구멍이 칼럼(3) 커버로의 돌출부(19) 및 격벽(20)의 부착점에 위치된다. 돌출부(19)는 에지(18)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에지(18) 상부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는 개구(21)를 그 내부에 갖는다.
개구(21)의 총 단면적은 블로우다운 피팅(6) 내의 그리고 돌출부(19) 내부의 공간 내의 스팀 압력의 균등에 의해 결정된다.
옵션 2에 따른 탈기기(도 4)는 유압 밀봉부 돌출부(19)에 의해 제한된 공간의 외부의 탈기기 칼럼의 커버 상에 위치된 부가의 블로우다운 피팅(22)을 포함한다.
탈기기(옵션 2)는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냉각제의 소스 스트림(회로 블로우다운)은 일정한 유량에서 물 입구 피팅(4)을 통해 칼럼(3) 내로 유동한다. 냉각제가 탈기기 내에 있자마자, 스팀 응축에 의해 가열되기 시작한다. 게다가, 스팀은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상에 발생된 냉각제 미러 상에 응축한다. 압력 트레이(8) 내의 개구를 통해, 냉각제는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9)에 진입하고, 여기서 스팀 소스(2) 내에 발생된 스팀에 의해 포화점으로 가열된다.
유압 밀봉부의 에지(18)의 높이는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상의 냉각제 레벨이 더 낮을 것이도록, 즉 전체 냉각제량이 단지 제1 탈기 섹션에만 진입하도록 계산된다.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9) 내의 가열 후에, 냉각제는 스팀의 일부를 응축하고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10)로 유동한다. 그 위에 장착된 버킷(11)은 스팀이 제트부(9) 내로 통과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데, 이는 이들의 높이가 잠재적인 냉각제의 레벨을 초과하고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10) 상에 응축해야 하는 이유이다.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10)의 천공을 통해, 냉각제는 랜덤 요소를 갖는 패킹(12) 내로 유동하고, 여기서 포화 상태로의 그 최종 가열 및 탈가스가 발생한다. 랜덤 요소는 물이 박막 내의 이들의 표면에 걸쳐 확산함에 따라 탈가스의 효율을 보장하고, 따라서 물과 스팀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한편, 요소 사이에 큰 자유 단면을 남겨두어(이들의 랜덤성에 기인하여) 스팀이 통과하게 한다.
다음에, 그 가열의 결과로서 발생된 냉각제 및 응축물은 제2 탈기 섹션을 통해 탱크(1)로 그리고 출구 피팅(7)을 통해 재차 회로로 유동한다. 몇몇 스팀과 함께 혼합물 내의 냉각제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격벽(20)을 통해 블로우다운 피팅(6) 내로 나온다.
부가의 냉각제 유동(예를 들어, 보충수)이 입구 피팅(5)을 통해 탈기기로 공급되고 그리고/또는 입구 피팅(4)을 통한 유량이 상당히 증가할 때,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를 통해 제1 섹션 내로의 전체 냉각제 유동이 중단된다. 트레이(8) 상의 레벨은 유압 밀봉부의 에지(18)의 높이를 초과하여 증가하기 시작하고, 냉각제는 제2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13)로 넘쳐 유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더 높은 냉각제 유량은 양 탈기 섹션이 작동하게 한다. 제1 탈기 섹션을 통한 유량은 유압 밀봉부의 에지(18)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고, 냉각제의 나머지는 제2 탈기 섹션의 트레이(13)로 그리고 이어서 제트부(14), 분배 트레이(15)로 그리고 랜덤 요소를 갖는 패킹(17) 내에서 유동한다.
소스(2)의 스팀은 냉각제 스트림을 향해: 제2 탈기 섹션의 패킹(17)을 통해, 버킷(16)을 통해 제트부(14) 내로 이동하고, 이어서 제1 섹션으로 부분적으로 유동하고 나머지는 제2 탈기 섹션의 제트부(14) 내의 냉각제를 가열한다. 제2 탈기 섹션을 통해 통과하는 냉각제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제트부(14)의 체적으로부터 제1 섹션의 모든 요소(아이템 12, 10, 11, 9, 20)를 통해 블로우다운 피팅(22)으로 나온다.
따라서, 제2 탈기 섹션의 증기는 제1 섹션을 통해 통과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제1 섹션을 통한 가스 유량을 감소시키고 범람 마진을 증가시킨다.
특정 실시예에서, 범람 마진은 RTM 108.030.21-78에 따른 설계 스팀 속도에 대한 한계 스팀 속도의 관계로서 결정되었다.
한계 스팀 속도는 스프레이 속도, 패킹의 저항, 및 다수의 다른 파라미터에 의존한다. 설계 스팀 속도는 패킹의 열린 개구에 대한 체적 스팀 유량의 비이다.
패킹을 통한 체적 스팀 유량은 포화점까지 냉각제를 가열하는 데 요구되는 스팀의 유량에 의해(이 스팀은 물이 가열됨에 따라 응축되는 데, 즉 그 유량은 이동함에 따라 감소함), 탈기 중에 물로부터 방출된 블로우다운 혼입 비응축성 가스로 유동하는 스팀의 유량에 의해 형성된다.
후자의 유량은 칼럼 높이를 따라 일정하고 총 값의 약 3 내지 5%이다. 제2 탈기 섹션이 작동하게 될 때, 즉 냉각제가 트레이(13)로 유압 밀봉부의 에지(18)를 범람하기 시작할 때, 블로우다운 스팀의 유량은 정상 블로우다운을 보장하기 위해 증가해야 한다(3 내지 4배).
따라서, 부가의 피팅(22)의 설치는 옵션 1에 비교할 때 대략 15% 내지 20%만큼 제1 섹션 내의 부하 증가의 경우에 범람 마진의 증가를 허용한다.
탈기기(옵션 3)는 타원형 저부 및 커버를 갖는 실린더강 용기의 형태의 탱크(1)로 이루어진다. 탱크(1)의 하부 부분은 터빈 추출로부터의 스팀에 의해 가열된 평활한 강관으로 제조된 표면 열교환기인 스팀 소스(2)를 수용한다(도 5).
탱크(1)는 랜덤 요소를 갖는 2개의 직병렬 탈기 섹션으로 이루어진 탈기기 칼럼(3)을 수용한다.
칼럼 커버(3)는 물 공급 피팅(4, 5) 및 블로우다운 피팅(6)을 구비한다. 탱크(1)의 하부 부분은 출구 피팅(7)을 갖는다.
제1 탈기 섹션은 서로 상하로 위치된 이하의 요소: 압력 트레이(8), 제트부(9), 그 위에 장착된 버킷(11)을 갖는 분배 트레이(10)(천공됨), 및 이 특정 용례에서 오메가형 요소와 같은 랜덤 요소를 갖는 패킹(12)을 포함한다.
제2 탈기 섹션은 디바이스의 수직축을 따라 제1 탈기 섹션의 하부에 위치된다. 제2 탈기 섹션은 제1 탈기 섹션과 동일한 요소: 압력 트레이(13), 제트부(14), 그 위에 장착된 버킷(16)을 갖는 분배 트레이(15)(천공됨), 및 랜덤 요소(17)를 갖는 패킹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탈기 섹션은 에지(18) 및 돌출부(19)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에지(18) 상부는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위에 위치된다. 돌출부(19)는 그 하부 에지가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아래에 있고, 상부 에지는 칼럼(3) 커버에 연결되어 입구 피팅(4, 5)이 돌출부(19) 내부에 있게 되도록 설계된다.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9)는 압력 트레이(8)를 통해 연장하고 상부 부분 내의 칼럼(3) 커버에 부착된 격벽(20)에 의해 블로우다운 피팅(6)에 연결된다. 소형 통기 구멍이 칼럼(3) 커버로의 돌출부(19) 및 격벽(20)의 부착점에 위치된다. 돌출부(19)는 에지(18)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에지(18) 상부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는 개구(21)를 그 내부에 갖는다.
개구(21)의 총 단면적은 블로우다운 피팅(6) 내의 그리고 돌출부(19) 내부의 공간 내의 스팀 압력의 균등에 의해 결정된다.
탈기기는 유압 밀봉부 돌출부(19)에 의해 제한된 공간의 외부의 탈기기 칼럼의 커버 상에 위치된 부가의 블로우다운 피팅(22)을 포함한다.
탈기기(옵션 3)는 패킹(17)(도 5)을 통해 연장하는 저장 탱크(1)의 공간에 직접 제1 탈기 섹션[패킹(12)]을 연결하는 부가의 연결 파이프(23)를 포함한다.
탈기기(옵션 3)는 이하와 같이 작동한다.
냉각제의 소스 스트림(회로 블로우다운)은 일정한 유량에서 물 입구 피팅(4)을 통해 칼럼(3) 내로 유동한다. 냉각제가 탈기기 내에 있자마자, 스팀 응축에 의해 가열되기 시작한다. 게다가, 스팀은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상에 발생된 냉각제 미러 상에 응축한다. 압력 트레이(8) 내의 개구를 통해, 냉각제는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9)에 진입하고, 여기서 스팀 소스(2) 내에 발생된 스팀에 의해 포화점으로 가열된다.
유압 밀봉부의 에지(18)의 높이는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 상의 냉각제 레벨이 더 낮을 것이도록, 즉 전체 냉각제량이 단지 제1 탈기 섹션에만 진입하도록 계산된다.
제1 탈기 섹션의 제트부(9) 내의 가열 후에, 냉각제는 스팀의 일부를 응축하고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10)로 유동한다. 그 위에 장착된 버킷(11)은 스팀이 제트부(9) 내로 통과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데, 이는 이들의 높이가 잠재적인 냉각제의 레벨을 초과하고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10) 상에 응축해야 하는 이유이다.
제1 탈기 섹션의 분배 트레이(10)의 천공을 통해, 냉각제는 랜덤 요소를 갖는 패킹(12) 내로 유동하고, 여기서 포화 상태로의 그 최종 가열 및 탈가스가 발생한다. 랜덤 요소는 물이 박막 내의 이들의 표면에 걸쳐 확산함에 따라 탈가스의 효율을 보장하고, 따라서 물과 스팀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한편, 요소 사이에 큰 자유 단면을 남겨두어(이들의 랜덤성에 기인하여) 스팀이 통과하게 한다.
다음에, 그 가열의 결과로서 발생된 냉각제 및 응축물은 제2 탈기 섹션을 통해 연결 파이프(23)를 거쳐 탱크(1)로 그리고 출구 피팅(7)을 통해 재차 회로로 유동한다. 몇몇 스팀과 함께 혼합물 내의 냉각제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격벽(20)을 통해 블로우다운 피팅(6) 내로 나온다.
부가의 냉각제 유동(예를 들어, 보충수)이 입구 피팅(5)을 통해 탈기기로 공급되고 그리고/또는 입구 피팅(4)을 통한 유량이 상당히 증가할 때, 제1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8)를 통해 제1 섹션 내로의 전체 냉각제 유동이 중단된다. 트레이(8) 상의 레벨은 유압 밀봉부의 에지(18)의 높이를 초과하여 증가하기 시작하고, 냉각제는 제2 탈기 섹션의 압력 트레이(13)로 넘쳐 유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더 높은 냉각제 유량은 양 탈기 섹션이 작동하게 한다. 제1 탈기 섹션을 통한 유량은 유압 밀봉부의 에지(18)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고, 냉각제의 나머지는 제2 탈기 섹션의 트레이(13)로 그리고 이어서 제트부(14), 분배 트레이(15)로 그리고 랜덤 요소를 갖는 패킹(17) 내에서 유동한다.
소스(2)의 스팀은 냉각 스트림을 향해: 파이프(23)를 통해 제1 탈기 섹션으로, 그리고 제2 탈기 섹션의 패킹(17)을 통해 제2 탈기 섹션으로, 버킷(16)을 통해 제트부(14)로 이동한다. 연결 파이프(23)를 통해 통과하는 스팀은 단지 제1 탈기 섹션으로만 유동하고, 반면에 제2 탈기 섹션을 통해 통과하는 스팀은 패킹(17) 내의 그리고 제트부(14) 내의 냉각제를 가열한다. 제1 탈기 섹션을 통해 통과하는 냉각제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블로우다운 피팅(6)으로 나오고, 반면에 제트부(14)의 체적으로부터 제2 탈기 섹션을 통해 통과하는 냉각제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블로우다운 피팅(22)으로 나온다.
따라서, 탈기 섹션은 병렬로 작동하는 데, 이는 제2 섹션을 통한 스팀 및 물 유량을 감소시키고, 명확한 계산을 제공하여, 따라서 탈기기의 계산 및 작동의 전체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탈기기(옵션)는 탈기를 위해 공급된 냉각제의 유량의 광범위한 편차를 갖는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

  1. 탈기기(deaerator)로서:
    출구 피팅(fitting) 및 스팀 소스(steam source)를 갖는 탱크와, 탱크 상에 장착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vapor blowdown)을 위한 피팅이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커버를 갖는 탈기기 칼럼(deaerator column)을 포함하고, 이 탈기기 칼럼은 하부 및 상부 탈기 섹션을 포함하고, 각 탈기 섹션은 제트 챔버를 그 사이의 영역에 형성하도록 설치된 압력 트레이와 분배 트레이, 및 랜덤 요소 패킹(random element packing)을 구비하며,
    탈기 섹션들은 상부 섹션 압력 트레이의 에지 및 칼럼 커버에 연결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 피팅이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는 개구를 갖고, 개구의 하부 에지는 유압 밀봉부 에지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부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유압 밀봉부의 상부 에지보다 높게 위치되고, 반면에 개구의 총 단면적은 블로우다운 피팅 내의 그리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의 영역 내의 증기압의 균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탈기기.
  2. 탈기기로서:
    출구 피팅 및 스팀 소스를 갖는 탱크와, 탱크 상에 장착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을 위한 피팅이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커버를 갖는 탈기기 칼럼을 포함하고, 이 탈기기 칼럼은 하부 및 상부 탈기 섹션을 포함하고, 각 탈기 섹션은 제트 챔버를 그 사이의 영역에 형성하도록 설치된 압력 트레이와 분배 트레이, 및 랜덤 요소 패킹을 구비하며,
    탈기 섹션들은 상부 섹션 압력 트레이의 에지 및 칼럼 커버에 연결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 피팅이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는 개구를 갖고, 개구의 하부 에지는 유압 밀봉부 에지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부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유압 밀봉부의 상부 에지보다 높게 위치되고, 반면에 개구의 총 단면적은 블로우다운 피팅 내의 그리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의 영역 내의 증기압의 균등에 의해 결정되고, 부가의 스팀 블로우다운 피팅이 탈기기 칼럼의 커버 상의 유압 밀봉부 돌출부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인 탈기기.
  3. 탈기기로서:
    출구 피팅 및 스팀 소스를 갖는 탱크와, 탱크 상에 장착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을 위한 피팅이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커버를 갖는 탈기기 칼럼을 포함하고, 이 탈기기 칼럼은 하부 및 상부 탈기 섹션을 포함하고, 각 탈기 섹션은 제트 챔버를 그 사이의 영역에 형성하도록 설치된 압력 트레이와 분배 트레이, 및 랜덤 요소 패킹을 구비하며,
    탈기 섹션들은 상부 섹션 압력 트레이의 에지 및 칼럼 커버에 연결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밀봉부에 의해 분리되고, 물 입구 및 증기 블로우다운 피팅이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는 개구를 갖고, 개구의 하부 에지는 유압 밀봉부 에지 위의 냉각제의 오버플로우 높이와 유압 밀봉부 채널의 유압 저항의 합을 초과하는 값만큼 유압 밀봉부의 상부 에지보다 높게 위치되고, 반면에 개구의 총 단면적은 블로우다운 피팅 내의 그리고 유압 밀봉부 돌출부 내부의 영역 내의 증기압의 균등에 의해 결정되고, 부가의 스팀 블로우다운 피팅이 탈기기 칼럼의 커버 상의 유압 밀봉부 돌출부의 외부에 위치되고, 반면에 상부 탈기 섹션은 하부 탈기 섹션을 통해 줄곧 연장하는 연결 파이프에 의해 탱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인 탈기기.
KR1020177004824A 2014-07-24 2015-07-24 탈기기(옵션) KR201700392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4130847 2014-07-24
RU2014130847/06A RU2565650C1 (ru) 2014-07-24 2014-07-24 Деаэратор (варианты)
PCT/RU2015/000466 WO2016013961A1 (ru) 2014-07-24 2015-07-24 Деаэратор (вариант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202A true KR20170039202A (ko) 2017-04-10

Family

ID=5432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824A KR20170039202A (ko) 2014-07-24 2015-07-24 탈기기(옵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718510B2 (ko)
EP (1) EP3173695B1 (ko)
JP (1) JP6312935B2 (ko)
KR (1) KR20170039202A (ko)
CN (1) CN107076409B (ko)
BR (1) BR112017001521B1 (ko)
CA (1) CA2955688C (ko)
EA (1) EA030592B1 (ko)
HU (1) HUE047443T2 (ko)
MY (1) MY191540A (ko)
RU (1) RU2565650C1 (ko)
UA (1) UA118984C2 (ko)
WO (1) WO2016013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97652C1 (ru) * 2018-09-28 2019-08-1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Энергетических Технологий "Атомпроект"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риведения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в безопасное состояние после экстремаль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WO2023180588A2 (en) 2023-04-03 2023-09-28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Deaerator systems and methods of servicing of dea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57319A (en) * 1923-04-02 1928-01-24 Josiah H Rohrer Water-tube boiler
US2580791A (en) * 1950-07-17 1952-01-01 Infilco Inc Deaerating apparatus
US2689018A (en) * 1951-06-11 1954-09-14 American Water Softener Co Apparatus and method for deaerating water
US2966230A (en) * 1958-01-17 1960-12-27 Bata Shoe Company Of Canada Lt Storage and deaeration of viscous liquid material
US3347023A (en) * 1965-10-24 1967-10-17 Forrest L Murdock Vacuum deaerator
SU536126A1 (ru) * 1975-04-22 1976-11-2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3513 Термический деаэратор
CH640931A5 (en) * 1978-05-12 1984-01-31 Peter Agonas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in particular boiler feed water and hot service water
JPS625003A (ja) * 1985-07-01 1987-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ドレンタンク
JP2867768B2 (ja) * 1991-11-21 1999-03-10 富士電機株式会社 脱気器
JPH0688604A (ja) * 1992-09-09 1994-03-29 Toshiba Corp 脱気器
JPH06182108A (ja) * 1992-12-17 1994-07-05 Mitsubishi Heavy Ind Ltd 脱気器
GB2305136B (en) * 1993-06-21 1999-01-06 Max Leva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tripping and absorption of volatie materials
RU2217656C1 (ru) * 2002-05-18 2003-11-27 Трифонов Николай Николаевич Дегазатор
RU2240982C2 (ru) * 2002-12-15 2004-11-27 Криловецкий Владимир Михайлович Термический деаэратор
RU48966U1 (ru) * 2005-06-08 2005-11-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Машпром" (ЗАО НПП "Машпром") Деаэратор термический линейноструйного типа
RU2308419C2 (ru) * 2005-06-08 2007-10-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Машпром" (ЗАО НПП "Машпром") Деаэратор термический линейно-струйного типа
RU95654U1 (ru) * 2010-04-01 2010-07-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сероссийский дважды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теплотехниче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екционированная деаэрационная колонка (варианты)
CN202253580U (zh) * 2011-09-07 2012-05-30 泰安市利德容器制造有限公司 旋膜除氧器
CN202303333U (zh) * 2011-09-26 2012-07-04 山东源和电站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热力除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30592B1 (ru) 2018-08-31
BR112017001521A2 (pt) 2018-02-14
HUE047443T2 (hu) 2020-04-28
JP2017522537A (ja) 2017-08-10
BR112017001521B1 (pt) 2022-03-22
EP3173695A1 (en) 2017-05-31
CA2955688A1 (en) 2016-01-28
EA201650100A1 (ru) 2017-04-28
EP3173695A4 (en) 2018-05-23
RU2565650C1 (ru) 2015-10-20
CN107076409A (zh) 2017-08-18
WO2016013961A1 (ru) 2016-01-28
JP6312935B2 (ja) 2018-04-18
CA2955688C (en) 2018-08-28
US10718510B2 (en) 2020-07-21
EP3173695B1 (en) 2019-10-02
CN107076409B (zh) 2019-03-05
UA118984C2 (uk) 2019-04-10
US20170211804A1 (en) 2017-07-27
MY191540A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9899B2 (ja) 発電モジュール組立体、原子炉モジュールおよび原子炉冷却方法
CN102282628B (zh) 反应堆容器冷却剂偏转屏障
KR101791758B1 (ko) 액체 금속 냉각제를 갖는 원자로
KR101250479B1 (ko) 안전보호용기를 구비한 피동형 비상노심냉각설비 및 이를 이용한 열 전달량 증가 방법
KR20170039202A (ko) 탈기기(옵션)
EP3492811B1 (en) Nuclear power plants
US5511102A (en) Apparatus for draining lower drywell pool water into suppresion pool in boiling water reactor
EP3316264B1 (en) Flow damper, pressure accumulation and water injection device, and nuclear power equipment
KR20220098791A (ko) 일체형 원자로(실시예)
US10900508B2 (en) Flow damper, pressure-accumulation and water-injection apparatus, and nuclear installation
RU2217656C1 (ru) Дегазатор
US41657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condensate to a high pressure vapor generator
US3250258A (en) Straight tubes in a vertical shell steam generator
JP2013246117A (ja) 原子力プラント
RU2378571C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WO2023180588A2 (en) Deaerator systems and methods of servicing of deaerator
JP3684192B2 (ja) 脱気装置
JP2023015624A (ja) 復水脱気装置、脱気復水器および復水脱気方法
RU2450380C1 (ru) Способ подачи воды
RU2247434C1 (ru) Гидроёмкость для пассивной системы аварийного залива реактора
RU2059835C1 (ru) Система отвода сепарата из блока сепаратор - пароперегреватель паросиловых установок
JPH04334507A (ja) 脱気器
JPH06269768A (ja) 脱気器
JP2010210529A (ja) 沸騰水型原子炉
JP2011069752A (ja) 沸騰水型原子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