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928A -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928A
KR20170036928A KR1020150135501A KR20150135501A KR20170036928A KR 20170036928 A KR20170036928 A KR 20170036928A KR 1020150135501 A KR1020150135501 A KR 1020150135501A KR 20150135501 A KR20150135501 A KR 20150135501A KR 20170036928 A KR20170036928 A KR 20170036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kk
inhibitor
chronic sinusitis
protein express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철현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6928A/ko
Publication of KR2017003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enzymes or iso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7/00Transferases transferring phosphorus-containing groups (2.7)
    • C12Y207/11Protein-serine/threonine kinases (2.7.11)
    • C12Y207/1101IkappaB kinase (2.7.11.1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8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verteb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78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miRNA, siRNA or ncRN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4Disorders of ear, nose or thr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성 부비동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용 조성물과,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비강상피세포에서 정상인보다 증가된 IKKε의 발현이 관찰되었으며 렌티바이러스(lentivirus)를 이용하여 마우스 비강상피세포에 IKKε을 과발현 시킨 결과 센다이바이러스(Sendai virus) 감염시 정상군 보다 염증 소견이 증가하였는 바, IKKε을 만성 부비동염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만성 부비동염 마우스 모델에서 IKKε 억제제의 처리에 의해 염증 소견이 감소되므로, IKKε 억제제를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또는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Rhinosinusitis Comprising IKKε Inhibitor}
본 발명은 만성 부비동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용 조성물과,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성 부비동염(CRS)의 주요 병인은 지속적인 염증이며, 만성 부비동염은 콧물, 안면통, 후각 감퇴와 질병의 내시경적 신호 또는 CT 스캔 변화 중 어느 하나와 같은 증상 중 둘 이상이 최소 8-12주로 야기되는 비강 및 부비강의 염증으로 정의된다.
만성 부비동염은 비용종의 유무에 따라 비용종을 갖는 만성 부비동염(CRSwNP)과 비용종을 갖지 않는 만성 부비동염(CRSsNP)분류되며, 비용종은 울퉁불퉁한 점막과 내시경을 통한 중비도 또는 양측 유경성 병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직 분석에 따르면, CRSwNP에서는 약 80% 코카시안 용종에서 주로 호산구로 이루어진 염증세포의 과도한 침윤을 나타내는 반면, CRSsNP에서는 전형적으로 보다 많은 호중구성 염증을 나타낸다. 만성 부비동염에서 호산구 염증은 자주 약물 치료에 저항성을 나타내며, 수술과 같은 외과적 치료를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비강 내에서 용종이 관찰되는 만성 부비동염(CRSwNP)은 약물 또는 수술 등의 치료 이후 재발가능성이 매우 높고 완치가 어렵다. 국내에서 만성부비동염의 발병율은 전체인구의 6.95%에 달하며 이는 공중 보건 문제뿐만 아니라 치료를 위한 사회 경제적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하지만 만성 부비동염에서 기저 원인으로 생각되는 비강상피세포 내의 비정상적 염증 유발 기전은 현재까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치료를 위한 표적 물질에 대한 연구 역시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IkB 카이네이즈 엡실론(IKKε)은 LPS-유도성 유전자 및 카이네이즈 도메인을 갖는 PMA-유도성 단백질로서 감수잡종형성으로 동정하였고, IKKα 및 IKKβ과 27%의 동일성을 나타낸다. IKKε의 발견 후, TANK-결합 카이네이즈 1(TBK1)와 결합하여 선천성 면역 조절자로서 기능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만성 부비동염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필요하며, 이러한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새로운 약물치료 요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109969호 (2005.11.22)
본 발명의 목적은 만성 부비동염 특히 재발가능성이 매우 높고 완치가 어려운 비강 내에서 용종이 관찰되는 만성 부비동염을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성 부비동염 특히 재발가능성이 매우 높고 완치가 어려운 비강 내에서 용종이 관찰되는 만성 부비동염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만성 부비동염 특히 재발가능성이 매우 높고 완치가 어려운 비강 내에서 용종이 관찰되는 만성 부비동염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만성 부비동염 특히 재발가능성이 매우 높고 완치가 어려운 비강 내에서 용종이 관찰되는 만성 부비동염의 효율적인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물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KKε를 포함하는 만성 부비동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KKε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만성 부비동염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KKε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후보약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 부비동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비강상피세포에서 정상인보다 증가된 IKKε의 발현이 관찰되었으며 렌티바이러스(lentivirus)를 이용하여 마우스 비강상피세포에 IKKε을 과발현 시킨 결과 센다이바이러스(Sendai virus) 감염시 정상군 보다 염증 소견이 증가하였는 바, IKKε을 만성 부비동염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만성 부비동염 마우스 모델에서 IKKε 억제제의 처리에 의해 염증 소견이 감소되므로, IKKε 억제제를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또는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만성 부비동염 환자(CRS)와 만성 부비동염이 아닌 환자(Non-CRS)의 비강상피세포에서 내인성 IKKε 발현 수준에 대한 면역블롯팅 분석 결과이고,
도 2는 만성 부비동염 환자(CRS)와 만성 부비동염이 아닌 환자(Non-CRS)의 인간 비강상피에서 KKε 발현 수준에 대한 면역조직적 분석 결과이고,
도 3은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한 KKε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형의 도입 후 센다이바이러스 또는 폴리(I:C)로 자극한 후 BALB/c 누드 마우스 비강상피에서 염증의 염색 분석 결과이고,
도 4는 CRS의 BALB/c 마우스 모델에서 KKε 억제제인 BX795 또는 생리식염수 처리 후 비강상피의 염증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만성 부비동염(CRS) 환자의 비강상피세포에서 비정상적으로 유도되는 염증의 원인 유발 물질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규명하고 치료 표적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비강상피세포에서 정상인보다 증가된 IKKε의 발현이 관찰되었으며 렌티바이러스(lentivirus)를 이용하여 마우스 비강상피세포에 IKKε을 과발현 시킨 결과 센다이바이러스(Sendai virus) 감염시 정상군 보다 염증 소견이 증가하였으며, 만성 부비동염 마우스 모델에서 IKKε 억제제의 처리에 의해 염증 소견이 감소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IKKε를 포함하는 만성 부비동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KKε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만성 부비동염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제는 IKKε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IKKε mRNA에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IKKε 억제제는 IKKε 단백질에 결합하는 펩타이드, 항체 또는 화합물에서 선택되거나, IKKε mRNA에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펩타이드 미메틱스, 폴리뉴클레오타이드, siRNA, shRNA 또는 화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서, 상기 IKKε 억제제는 BX795, MCCK1, MRT67307, CYT387, CAY10575, 암렉사녹스(Amlexanox), 바이오(6-Bromoindirubin-3'-oxime), 보수티닙(Bosutinib), GSK2606414, IKK 억제제 VII, IKK-3 억제제 IX, IPA-3, R-406, TTT-3002 및 와이어스 PDK1 억제제 컴파운드 1(Wyeth PDK1 Inhibitor Compound 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IKKε 억제제 외에도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량"은 만성 부비동염의 치료 효능을 발휘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 (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 (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비강내 주입, 정맥내 주입, 피하주입, 근육 주입 등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지만, 비강내 주입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적합한 1일 투여량은, 0.0001-100 mg/kg(체중)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식품은 유효성분인 IKKε 억제제 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IKKε 억제제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KKε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후보약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 부비동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만성 부비동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의 일례로는 마우스 또는 비강상피세포에 IKKε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갖는 렌티바이러스를 감염시켜 IKKε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 단계(제1단계); 및 상기 IKKε 단백질 발현이 유도된 마우스 또는 비강상피세포에 후보약물을 처리하여 IKKε 단백질 발현 수준을 분석하는 단계(졔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 사이에 센다이바이러스 또는 폴리(I:C)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만성 부비동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의 다른 일례로는 마우스 또는 비강상피세포에 알레르기원을 처리하여 IKKε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 단계(제1단계); 및 상기 IKKε 단백질 발현이 유도된 마우스 또는 비강상피세포에 후보약물을 처리하여 IKKε 단백질 발현 수준을 분석하는 단계(졔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발현 수준은 웨스턴 블롯 분석 등을 포함하여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만성 부비동염의 비강상피세포에서의 IKKε의 발현 분석
1. 비강상피세포(NAEC) 배양
NAEC는 2011년 여름부터 겨울까지 내시경 수술을 위해 서울아산병원을 내원하는 만성 부비동염 및 비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하비갑개 조직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상기 조직은 인산완충 생리식염수(PBS)로 3회 세정한 후 1~2 mm3 체적의 조각으로 갈았다. 이러한 조직 시편은 4.5 mL DMEM/F-12K(Life Technologies, Grand Island, NY)에 200 ㎍/mL의 Dispase II(Roche, Basel, Switzerland)을 포함한 분산용액 5 mL로 현탁시킨 후 37 ℃에서 밤새도록 배양하였다. 이튿날, 해리된 시편을 10초 동안 강하게 진탕시키고 2~3분 동안 파편이 가라앉도록 남겨두었다. 이렇게 얻어진 상등액 3~4 mL를 1 mL FBS 및 5~7 mL DMEM/F-12K으로 10 mL 채워 반응시켜 Dispase II를 제거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1,5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세포 침전물에 1 mL PBS를 처리하고 강하게 두드려 현탁시킨 후 9 mL PBS를 더 첨가하였다. 다시 원심분리하여 가라앉은 세포 침전물을 75T 플라스크 상 10 mL 기도상피세포 성장배지(AEGM; PromoCell, Heidelberg, Germany)에서 배양하고, 37℃에서 습한 5% CO2/95% 공기를 포함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7일째 0.05% 트립신-EDTA를 이용하여 제1계대 NAEC를 확보하였다.
2. IKKε의 발현 분석
앞서 준비된 NAEC를 104 세포/웰의 밀도로 6-웰 플레이트 상에서 분주하고 4일 동안 배양하여 내인성 IKKε 단백질 수준을 관찰하였다. 렌티바이러스에 의한 IKKε 야생형과 돌연변이의 과발현을 위하여, 준비된 NAEC를 250 ㎕의 렌티바이러스 스탁물과 8 ㎍/mL의 폴리브렌(in 1.25 mL의 AEGM)으로 감염시켰다. 이튿날, 배지를 신선한 AEGM으로 변경시키고, 감염 후 3일째 NAEC를 25 헤마글루티닌(HA)/mL의 센다이바이러스, 40 ㎍의 폴리(I:C)[Polyinosinic:polycytidylic acid] 및 200 ㎕의 HRV-16 스탁물로 자극하였다. 상기 자극 후 1일째에 세포를 모았다. 이렇게 모은 세포들은 방사면역침강분석(RIPA) 완충액(Thermo Scientific, Rockford, IL)으로 재현탁시켰다. 4℃에서 20분 동안 배양하고 5분 동안 진탕한 후, 용출된 세포들을 12,000 X 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파편을 침전시켰다. 얻어진 상등액을 SDS 시료 완충액(Bio-Rad)과 1:1 비율로 혼합하고 95℃에서 5분 동안 끓였다. 이렇게 끓인 시료는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을 통해 분리하고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멤브레인에 전이시켰다. 상기 전이된 멤브레인은 0.1% 트윈20을 포함한 인산완충액(PBST)와 1%(w/v) 분말 탈지유를 30분 동안 처리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실온에서 1시간 또는 4℃에서 밤새도록 1차 항체와 반응시켰다. 혼합기에서 5분 동안 PBST로 3회 세정한 후, 멤브레인을 1시간 동안 호올스레디쉬 퍼옥시데이즈(HRP)-결합 2차 항체로 반응시키고 5분 동안 PBST로 3회 세정하였다. 그 후, 증강화학발광계(enhanced chemiluminescence system; ECL system,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와 ECL 검출장치(ImageQuant LAS 4000; GE Healthcare, Pittsburgh, PA)를 이용하여 신호를 검출하였다.
도 1과 같이, 내인성 IKKε 단백질 수준은 만성 부비동염이 아닌 환자의 비강상피세포보다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그것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2> 만성 부비동염환자의 비강상피에서의 IKKε의 면역조직학적 분석
비용종을 갖는 만성 부비동염 환자와 대조군으로부터 각각 신선한 상악골 상피 조직을 준비하여 IKKε의 존재 유무를 면역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모든 시료를 10% 파라포름알데히드(pH 7.4)로 고정하고, 파라핀으로 포매하며, 4-㎛ 두께 절편으로 잘랐다. 멸균 전처리 후, 절편을 3% 과산화수소와 반응시키고, 인산완충액(PBS)으로 세정하고, 5% 탈지유로 반응을 중지한 후 4℃에서 밤새도록 IKKε 항체(rabbit monoclonal, 1:100, Cell Signaling Technology, MA, USA)로 반응시켰다. 그 후, 37℃에서 40분 동안 퍼옥시데이즈-결합 2차 항체로 반응시킨 후, 기질로서 디아미노벤지딘(DAB)을 이용하여 색 반응을 확인하였다. 슬라이드에 올리고, 헤마톡실린으로 대비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2와 같이, IKKε 단백질 수준은 만성 부비동염이 아닌 환자의 비강상피보다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그것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3> IKKε 과발현에 따른 마우스 비강에서의 염증 유도 분석
Balb/c 누드 마우스에 비강 점적을 통해 IKKε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갖는 렌티바이러스 50 ㎕로 감염시켰다. 렌티바이러스 감염 1주일 후, 12.5 헤마글루티닌(HA)/mL의 센다이바이러스 또는 50 ㎍의 폴리(I:C)를 비강 점적으로 처리하였다. 1주일 후,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각 조직 시편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고, 4℃에서 4-5일 동안 5% 질산에서 칼슘을 제거하였다. 상기 시편을 2번째 구개릉에서 1번째 윗니로 절개하였다. 조직을 탈수시키고 표준 파라핀 포매 절차에 따라 처리하였다. 이러한 조직을 4 ㎛ 두께로 치관부 절편으로 잘랐다. 염색 변화를 특정하기 위하여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염색을 수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3과 같이, IKKε의 증가는 비강상피의 염증 변화를 야기하고 바이러스 유도에 의한 반응성 염증을 조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IKKε 억제제의 만성 부비동염 치료 효과 검토
제1실험군인 Balb/c 누드 마우스는 7주 동안 매주 3회 비강 점적을 통해 3% 오브알부민 40 ㎕ 및 0.54U의 Aspergillus oryzae 유래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하였다. 그 후, 절반의 마우스는 50 ㎕의 생리식염수를 처리하고, 나머지 절반의 마우스는 1 mM BX795 40 ㎕를 2주 동안 매주 3회 비강 점적으로 처리하였다.
제2실험군인 Balb/c 누드 마우스는 7주 동안 매주 3회 비강 점적을 통해 12% 오브알부민 40 ㎕ 및 0.54U의 Aspergillus oryzae 유래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하였다. 그 후, 절반의 마우스는 50 ㎕의 생리식염수를 처리하고, 나머지 절반의 마우스는 12% 오브알부민, 0.54U의 Aspergillus oryzae 유래 단백질분해효소 및 1 mM BX795 40 ㎕를 4주 동안 매주 3회 비강 점적으로 처리하였다. 그 후,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마우스로부터 얻어진 조직 시편을 앞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염색을 수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4와 같이, IKKε 억제제인 BX795는 알레르기원과 함께 처리하거나 알레르기원 처리 후 처리하든 상관없이 알레르기원에 의해 야기된 비강상피세포의 심한 염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IKKε 억제제인 BX795는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IKKε 억제제인 BX795를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직접 가압)
BX795 5.0㎎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습식 조립)
BX795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3> 분말과 캡슐제
BX795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넣어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
BX795 100 mg,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앰틀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레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건강식품
BX795 1 ㎎,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및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6> 건강음료
BX795 1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하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IKKε(IkB Kinase epsilon)를 포함하는 만성 부비동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2. IKKε를 검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만성 부비동염 진단용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IKKε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IKKε mRNA에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부비동염 진단용 조성물.
  4.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IKKε 억제제는 IKKε 단백질에 결합하는 펩타이드, 항체 또는 화합물에서 선택되거나, IKKε mRNA에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펩타이드 미메틱스, 폴리뉴클레오타이드, siRNA, shRNA 또는 화합물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IKKε 억제제는 BX795, MCCK1, MRT67307, CYT387, CAY10575, 암렉사녹스(Amlexanox), 바이오(6-Bromoindirubin-3'-oxime), 보수티닙(Bosutinib), GSK2606414, IKK 억제제 VII, IKK-3 억제제 IX, IPA-3, R-406, TTT-3002 및 와이어스 PDK1 억제제 컴파운드 1(Wyeth PDK1 Inhibitor Compound 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7.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IKKε 억제제는 BX795, MCCK1, MRT67307, CYT387, CAY10575, 암렉사녹스(Amlexanox), 바이오(6-Bromoindirubin-3'-oxime), 보수티닙(Bosutinib), GSK2606414, IKK 억제제 VII, IKK-3 억제제 IX, IPA-3, R-406, TTT-3002 및 와이어스 PDK1 억제제 컴파운드 1(Wyeth PDK1 Inhibitor Compound 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9. IKKε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후보약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 부비동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마우스 또는 비강상피세포에 IKKε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갖는 렌티바이러스를 감염시켜 IKKε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 단계(제1단계); 및
    상기 IKKε 단백질 발현이 유도된 마우스 또는 비강상피세포에 후보약물을 처리하여 IKKε 단백질 발현 수준을 분석하는 단계(졔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부비동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센다이바이러스 또는 폴리(I:C)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부비동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마우스 또는 비강상피세포에 알레르기원을 처리하여 IKKε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 단계(제1단계); 및
    상기 IKKε 단백질 발현이 유도된 마우스 또는 비강상피세포에 후보약물을 처리하여 IKKε 단백질 발현 수준을 분석하는 단계(졔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부비동염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KR1020150135501A 2015-09-24 2015-09-24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70036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01A KR20170036928A (ko) 2015-09-24 2015-09-24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01A KR20170036928A (ko) 2015-09-24 2015-09-24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928A true KR20170036928A (ko) 2017-04-04

Family

ID=5858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501A KR20170036928A (ko) 2015-09-24 2015-09-24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69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957A (ko) 2018-07-09 2020-01-1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de4b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에서의 비용 발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72331B1 (ko) 2020-06-26 2021-07-0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비동염 진단 장치
KR20230000784A (ko) 2021-06-25 2023-01-0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비동염 진단용 패치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969A (ko) 2003-03-06 2005-11-22 보툴리늄 톡신 리서치 어쏘시에이츠, 인크. 보툴리눔 톡신으로 부비동염 관련 만성 안면통 및 두통을치료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969A (ko) 2003-03-06 2005-11-22 보툴리늄 톡신 리서치 어쏘시에이츠, 인크. 보툴리눔 톡신으로 부비동염 관련 만성 안면통 및 두통을치료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957A (ko) 2018-07-09 2020-01-1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de4b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에서의 비용 발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72331B1 (ko) 2020-06-26 2021-07-0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비동염 진단 장치
KR20230000784A (ko) 2021-06-25 2023-01-0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비동염 진단용 패치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ishna et al. PG490-88, a derivative of triptolide, blocks bleomycin-induced lung fibrosis
JP5460600B2 (ja) 肥満症治療における肥満細胞安定化薬
US11890283B2 (en)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or preventing acute lung injury
WO2015070619A1 (zh) 鸢尾素在制备预防心肌缺血再灌注损伤的药物中的应用
AU2018206372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static ovarian cancer, endometrial cancer or breast cancer
US11524055B2 (en) Methods for treating diseases mediated by ERBB4-positive pro-inflammatory macrophages
KR20170036928A (ko)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Shimada et al. Proteasome inhibitors improve the function of mutant lysosomal α-glucosidase in fibroblasts from Pompe disease patient carrying c. 546G> T mutation
JP2021527669A (ja) 線維症の軽減又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US20230026808A1 (en)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schemia-reperfusion injury and/or lung injury
KR102370176B1 (ko) HopQ를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US20230381163A1 (en) Dabigatra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KR102087662B1 (ko)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576151B2 (en) Ciclopirox for use in modulation of glucose homeostasis
KR20230060087A (ko) Egf 또는 egf 처리 대식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8141B1 (ko) 클라스린 발현 저해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파브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7031223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20230132377A (ko) Shlp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당뇨 또는 nash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0293B1 (ko) 백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U2012347468A1 (en) Osteopontin variants for use in suppression or prevention of tumor growth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osteopontin variants
KR20200025095A (ko)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90065584A (ko) WKYMVm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산소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1621A (ko) 벤조[d]싸이아졸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세포 이동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