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095A -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095A
KR20200025095A KR1020180101937A KR20180101937A KR20200025095A KR 20200025095 A KR20200025095 A KR 20200025095A KR 1020180101937 A KR1020180101937 A KR 1020180101937A KR 20180101937 A KR20180101937 A KR 20180101937A KR 20200025095 A KR20200025095 A KR 20200025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cancer
amino acid
preventing
pk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977B1 (ko
Inventor
박종선
박지수
김선환
이현지
박성진
조명행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1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9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상기 펩타이드를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는 PKB 기질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어 여러 가지 암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펩타이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이 증대되고 높은 세포 투과성을 갖는 수용성 펩타이드이며 이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종양의 진행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바, 암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 기능성 식품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암의 발생에 관여하는 경로를 조절하므로 해당 경로에 관련된 종양 진행 억제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Peptid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cancer and pha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상기 펩타이드를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KT라고도 알려진 단백질 키나아제 B(Protein Kinase B, PKB)는 여러 암에서 빈번하게 활성화된다. PKB는 다른 단백질을 인산화시켜 그 활성화를 조절하는 신호 단백질로 가장 많이 연구된 유전자 중 하나이다. 또한 PI3K-PKB 신호 전달은 암 세포 생존을 촉진하고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편 FCHO1은 Fer/CIP4 Homology - Bin-Amphiphysin-Rvs (F-BAR) 도메인을 포함하는 F-BAR 단백질군 중 하나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FCHO1은 초기 엔도사이토시스(endocytosis) 동안 막 관상화(membrane tubulation)와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또한 세포질 분열 동안 세포 중앙체(midbody)에서 PKB에 의한 FCHO1 인산화가 세포 분열의 조절에 필요하다.
지금까지 40개 이하의 아미노산 펩타이드가 1형 및 2형 당뇨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에이즈, 만성 통증, 말단 비대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암에서 새로운 약제로 부상하였다. 2010 년 Sipuleucel-T는 암 치료제로서 전립선 암에 대한 최초의 펩타이드 파생 백신이 된 바 있다. 또한 최근의 연구는 낮은 생물학적 안정성과 빠르게 분해되는 펩타이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펩타이드의 생물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높은 세포 투과성을 가지며 수용성인 인간 FCHO1 PKB 기질 모티프 유래 펩타이드 FCHO1560571가 효과적인 종양 진행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상기 펩타이드를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외(in vitro) p-PKB(phosphorylated protein kinase B), p-ERK(phospho-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CDC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단백질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외(in vitro) SMAD4(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4) 단백질 발현 촉진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는 PKB 기질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어 여러 가지 암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펩타이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이 증대되고 높은 세포 투과성을 갖는 수용성 펩타이드이며 이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종양의 진행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바, 암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 기능성 식품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암의 발생에 관여하는 경로를 조절하므로 해당 경로에 관련된 종양 진행 억제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TCGA RNA 시퀀싱 데이터를 통해 FCHO1 mRNA 발현이 폐 선암종을 포함한 대부분의 암 유형에서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FCHO1의 triplex siRNA의 디자인(도 2 상단)과 FCHO1 siRNA로 처리된 A549 세포의 실시간 증식분석 결과 세포사멸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도 2 하단). 대조군과 비교하여 *** P <0.001를 나타낸다(n = 4).
도 3은 JuLI™ 분석 결과 FCHO1 siRNA로 처리한 A549 세포에서 세포질 분열 동안 두 개의 딸세포의 세포사멸이 유발됨을 확인한 결과(검은색 화살표 및 화살표 머리부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PKB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3개의 FCHO1 유래 펩타이드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이다. Red S는 PKB에 의해 인산화된 위치를 나타내며, 파란색 부분은 F-BAR 도메인(F-BAR)을, 회색은 프롤린이 풍부한 도메인(PRD)을, 노란색은 mu 상동 도메인(MHD)을 나타낸다.
도 5는 FCHO1 펩타이드의 세포 흡수를 비오틴-스트렙타비딘-결합된 형광염료(녹색)를 통해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FCHO1560571 펩타이드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내로 현저하게 흡수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실시간 세포증식 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FCHO1560571 펩타이드를 처리한 A549 세포에서 유의적으로 세포증식이 억제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P < 0.05로 나타내었다(n = 4).
도 7은 A549 세포 용해물로 처리한 플레이트-결합된 FCHO1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ELISA 기반 결합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PKB와의 결합 친화도 분석 결과 본 발명의 FCHO1560571가 PKB와 높은 결합 친화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 ***P<0.001로 나타내었으며, FCHO1560567 펩타이드와 비교하여 ###P<0.001로 나타내었다(n = 4).
도 9는 in vitro 키나아제 분석 결과 본 발명 FCHO1560571 펩타이드의 세린(serine)에서의 인산화는 활성 PKB 키나아제에 의해 발생함을 확인하였으며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P<0.001, n=4).
도 10은 면역블롯 분석 결과 본 발명의 FCHO1560571 펩타이드는 A549 세포에서 SMAD4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p-PKB, p-ERK 및 CDC2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의 결과를 수치화하여 상대적 단백질 함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FCHO1560571 펩타이드가 SMAD4/PKB/ERK/CDC2 경로를 통해 암의 진행을 억제시키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FCHO1560571 펩타이드가 DPBS(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에 완전히 용해된 용액의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DPBS로 희석된 FCHO1560571 펩타이드를 A549-이종이식 누드마우스에 투여하는 투여 프로토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A549-이종이식 누드마우스의 종양 부피를 2일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 15 mg/kg 이상의 농도로 본 발명의 FCHO1560571 펩타이드를 주입하였을 때 종양의 부피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p <0.05, n = 2).
도 16은 A549-이종이식 누드마우스의 종양 크기를 촬영한 결과 15 mg/kg 이상의 농도로 본 발명의 FCHO1560571 펩타이드를 주입하였을 때 종양의 크기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7은 A549-이종이식 누드마우스의 종양 무게를 측정한 결과 15 mg/kg 이상의 농도로 본 발명의 FCHO1560571 펩타이드를 주입하였을 때 종양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A549-이종이식 누드마우스의 종양을 면역조직화학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FCHO1560571 펩타이드 처리시 세포증식 인자인 KI67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9는 TUNEL 분석 결과 본 발명의 FCHO1560571 펩타이드 처리군에서의 TUNEL-양성 세포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FCHO1 단백질의 560번 내지 571번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이며 “FCHO1560571”로 명명하였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PKB의 기질 모티프 RXRXXS, 바람직하게는 RSRKVS를 함유하고 있는 펩타이드이다. 상기 PKB의 기질 모티프를 함유함으로써 PKB와 더 높은 결합 친화도를 가질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암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펩타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N-말단 아세틸화 및 C-말단 아미드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N-말단 아세틸화 및 C-말단 아미드화함으로써 본원 발명 FCHO1560571 펩타이드가 생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10 내지 50 mg/kg 농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mg/kg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의 농도로 포함되게 되면 종양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수용성 펩타이드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약제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바람직하게는 DPBS(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용해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용액에 용해되게 되면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다른 펩타이드 약물에 비해 생체 내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기용매에 따른 독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는 PKB 기질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어 여러 가지 암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펩타이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이 증대되고 높은 세포 투과성을 갖는 수용성 펩타이드로서 효과적으로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은 폐암, 안구암, 피부암, 자궁암, 갑상선암, 흉선종, 고환암, 위암, 육종, 전립선암, 췌장암, 부신암, 중피종, 악성 흑색종, 포도막 흑색종, 간암, 두경부암, 뇌암, 신경교종, 교모세포종, 식도암, 악성림프종, 담관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방광암, 백혈병, 구강암, 후두암, 소장암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는 고체 또는 액체의 제제용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제용 첨가물은 유기 또는 무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당, 자당, 백당, 포도당, 옥수수 전분 (corn starch), 전분, 탈크, 소르비트, 결정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카올린,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에테르,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고무, 트래거캔스 (tragacanth), 젤라틴, 셀락(shella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구연산칼슘, 덱스트린, 펙틴 (pectin)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탈크,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카, 경화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통상 의약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정제, 과립제에는 당의(糖衣), 젤라틴코팅, 기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코팅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부제, 항산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신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제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유효량은 환자의 상처 종류, 적용부위, 처리회수, 처리시간, 제형, 환자의 상태, 보조제의 종류 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일일 유효량을 환자에 적용시 0.00001 내지 10000 μg일 수 있다. 상기 1 일량은 1일에 1회, 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하루에 2~3회에 나눠 투여해도 되고, 수일(數日) 간격으로 간헐(間歇)투여해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상기 사용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상처 종류, 적용부위, 처리회수, 처리시간, 제형, 환자의 상태, 보조제의 종류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유효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하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종양의 진행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바, 암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체"란 소, 개, 돼지, 닭, 양, 말을 포함한 포유동물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체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로 암 치료 중인 환자, 암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자, 암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는 환자를 모두 포함하며, 암 치료를 위하여 외과적 수술을 시행한 환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이 외 기존의 암 치료를 위한 약물 또는 치료방법과 병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병용 처리하는 경우, 이는 암 치료를 위한 다른 약물 또는 치료방법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10 내지 50 mg/kg 농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mg/kg 농도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의 농도로 투여되게 되면 종양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2 내지 4주 동안 주 2 내지 4회, 바람직하게는 3주 동안 주 3회 투여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외(in vitro) p-PKB(phosphorylated protein kinase B), p-ERK(phospho-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CDC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단백질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PKB 및 ERK는 세포 증식에 중요한 경로이며 CDC2는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G2/M 세포주기 체크포인트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PKB/ERK/CDC2 경로가 활성화되면 G1 또는 G2 세포주기 정지가 감소되고 세포증식이 촉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시약 조성물을 사용하면 생체 외(in vitro)에서 p-PKB(phosphorylated protein kinase B), p-ERK(phospho-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CDC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단백질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어 종양 진행 억제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외(in vitro) p-PKB(phosphorylated protein kinase B), p-ERK(phospho-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CDC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단백질 발현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외(in vitro) SMAD4(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4) 단백질 발현 촉진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SMAD4의 결핍은 PKB 활성화를 통해 전이성 폐 선편평세포암(metastatic adenosquamous lung tumors)의 발생을 초래한다. 또한 SMAD4의 결핍은 PI3K/PKB/CDC2 경로를 활성화시켜 G1 또는 G2 세포주기 정지를 감소시키고 세포증식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SMAD4이 촉진되어야 세포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시약 조성물을 사용하면 생체 외(in vitro) SMAD4(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4) 단백질 발현이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어 종양 진행 억제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외(in vitro) SMAD4(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4) 단백질 발현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시알릴락토오스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츠 등), 식용식물유지, 마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의약외품”은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한 물품일 수 있으며,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또는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이용하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종양의 진행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바, 암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외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재료 - 펩타이드, siRNA 및 항체.
모든 펩타이드는 GL Biochem (Shanghai) Ltd (Shanghai, China)에서 구입하였다. 각각의 펩타이드는 N-말단 바이오티닐화(biotinylated)되거나 아세틸화(acetylated)되고 C-말단 아미드화(amidated)되었다. 펩타이드는 순도가 80 % 이상이며 10 mM DPBS(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DMSO(dimethylsulphoxide) 저장용액 하에서 영하 20 ℃ 조건으로 저장하였다. FCHO1 siRNAs(sc-97726)는 Santa Cruz Biotechnology(Santa Cruz, CA, USA)에서 구입하였다.
사용한 항체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CDC2 p34 (sc-54), KI-67 (sc-23900), p-ERK (sc-7383), ERK1 (sc-93), SMAD4 (sc-7966) 및 HRP-conjugated β-actin (sc-47778 HRP)은 Santa Cruz Biotechnology로부터 구매하였고, p-AKT substrate (RXRXXS/T-p) (#10001), AKT (#9272S) 및 p-AKT (Ser473) (#3787S)은 Cell Signaling Technologies (Beverly, MA, USA)로부터 구매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배양 및 형질도입(transfection)
A549 세포를 10 % 태아 소 혈청 (Biowest, Kansas City, MO, USA)과 1 % 항생제-항균제 (Life Technologies, Inc., Carlsbad, CA, USA)가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high-glucose(WELGENE Inc., Daegu, South Korea) 내에서 37 ℃, 5 % CO2 조건 하에 배양시켰다. 그 후 세포는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을 위해 Neon® 형질전환 시스템(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형질도입시켰다.
실험예 2.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
A549 세포를 8-웰 챔버 슬라이드(Thermo Fisher Scientific, Pittsburgh, PA, USA)에서 배양하고, 비오틴-결합된 펩타이드를 처리한 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3 % 파라포름알데히드(Electron Microscopy Sciences, Hatfield, PA, USA)에 고정시켰다. 5 분 동안 0.5 % Triton X-100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으로 투과시킨 후 30 분 동안 블락킹하고 0.1 % 사포닌(Sigma-Aldrich) 및 3 % 소 혈청 알부민(Biosesang, 성남, 한국)이 PBS(phosphate-buffered saline)에 포함된 블락킹 용액 내에서 alexafluor 488 결합된 스트렙타비딘(s11223, Life Technologies)과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슬라이드를 PBS로 워싱하고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LSM)(LSM710, Carl Zeiss GmbH, Jena, Germany)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예 3. 면역블랏(Immunoblot analysis) 분석
면역블랏 분석은 이전의 문헌에 따라 수행하였다(Recognition of Transmembrane Protein 39A as a Tumor-Specific Marker in Brain Tumor Toxicological Research 2017;33:63*?*69). 세포를 50 mM Tris-HCl, pH 7.5, 1 % v/v Nonidet P-40, 40 mM β- 글리세롤 포스페이트, 120 mM NaCl, 25 mM 나트륨 플루오 라이드, 0.1 mM 소듐 오르토 바나 데이트, 1 mM을 함유하는 용해 완충액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나서 2 mM microcystin-LR, 1 mM benzamidine을 4 ℃에서 30 분간 처리하였다. 그 후 13,000 × g에서 30 분간 원심분리하였으며,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고 동량의 용해물을 면역 블로킹에 사용하였다. 웨스턴 블라팅은 표지된 일차 항체 및 horseradish peroxide(KOMA Biotechnology, Seoul, Korea)에 결합된 항-토끼 항체로 수행하였다. 그리고나서 X-선 필름노출(Agfa-Gevaert N.V, Morstel, Antwerp, Belgium)을 통해 화학 발광을 일으켜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비중 분석은 CS Analyzer 프로그램(ATTO, Tokyo, Japan)을 통해 수행하였다.
실험예 4. in vitro (생체 외) 키나아제 분석 기반 ELISA
비오틴 결합된 FCHO1560571 펩타이드를 스트렙타비딘 코팅된 플레이트 상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펩타이드 코팅된 플레이트를 워싱용액 (0.05 % Tween20(Sigma-Aldrich) 포함된 PBS)으로 3 회 워싱하였다. 상기 코팅된 펩타이드를 50 ㎕ Kinase buffer (25 mM Tris (pH 7.5), 5mM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2mM DTT, 0.1mM Na3VO4, 10mM MgCl2) 내 0.1 μg 재조합 활성 AKT1 (BioVision, Inc., Milpitas, CA, USA) 및 100 μM ATP (Life Technologies, Inc., Rockville, MD, USA)와 30 분간 30 ℃에서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3 번 세척하고 항-포스포-AKT 기질 항체 (3 : 1000)를 실온에서 30 분 동안 첨가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3 회 세척하고, HRP-결합된 2차 항체 (3 : 1000)를 실온에서 30 분 동안 첨가하였다. 마지막 3회 세척 후, 100 ㎕의 TMB 기질 용액 (Pierce, Rockford, IL, USA)을 30 ℃에서 6분 동안 배양하고, 흡광도를 EZ Read 800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Biochrom, Berlin, Germany)를 이용하여 650 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예 5. In vivo (생체 내) 종양 이종이식(xenograft) 실험
본 실험에서 사용한 모든 동물은 충남대학교 가이드라인에 따른 동물 프로토콜로 유지되었으며, 본 실험은 충남대학교의 동물실험 및 사용위원회 (IACUC) (IACUC 승인 번호 CNU-00889)의 승인을 받았다. 누드마우스(BALB/c-nu)는 Raonbio(Yongin, Korea)에서 구입하였다. 동물을 실험실 동물 시설에서 온도와 상대 습도를 각각 23 ± 2 ℃ 및 40 ± 20 %로 유지하면서 12 시간의 명암주기 하에 유지시켰다. 실험은 그룹당 5주된 수컷 누드마우스 2마리로 수행되었다.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의 경우, 8 마리의 마우스에게 PBS 200㎕에 5 × 106 A549 세포를 접종했다. 종양이 50-80 mm3 크기로 성장했을 때, 마우스를 무작위로 4가지 그룹, PBS 대조군, FCHO1560571 펩타이드 5 mg/kg, 15 mg/kg 및 30 mg/kg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 후 상기 4가지 그룹, 즉 PBS 그룹과 펩타이드(5, 15 및 30 mg/kg 체중) 그룹에 마우스 당 DPBS 용해된 펩타이드 200 μl를 3주 동안 일주일에 3회 종양 내 주입을 통해 투여하였다. 종양의 부피는 일정한 간격으로 캘리퍼스로 측정하였다. 부피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부피(mm3) = 너비 1 ⅹ 너비 2 ⅹ 길이. 최종 주입 약 24시간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개별적인 종양을 계량하여 영상화 및 추가 연구를 위해 수집하였다.
실험예 6. TUNEL assays
이종이식 종양 절편의 사멸세포는 Invitrogen의 Click-iT™ TUNEL Colorimetric IHC Detection kit를 사용하여 설명서에 따라 말단 TUNEL(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labeling) 분석에 의해 검출하였다.
실험예 7. 면역조직화학법(Immunohistochemistry)
이종이식된 종양 절편을 수집하여 10 % 포르말린에 고정시켰다. 파라핀 고정 후, 조직 블록을 4㎛의 두께로 절단하고 실란 코팅된 마이크로슬라이드 (MUTO Pure Chemicals Co., Ltd., Tokyo, Japan)로 이동시켰다. 면역조직화학 분석을 위해 파라핀 고화된 조직 절편을 1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로 회수 완충액으로 끓인 다음, 슬라이드를 5 % 과산화수소에서 15분 동안 배양하여 내인성 퍼옥시다제 활성을 차단시켰다. Tween 20가 더해진 TBS(Tris-buffered saline) 용액으로 세척한 후, 절편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차단시켰다. 지시된 1차 항체 및 2차 horseradish peroxide-결합 항체를 차례로 조직 슬라이드 상에 도포하였다. 그 후 세척하고 조직 슬라이드를 적절한 반응을 위한 DAB 기질 용액 (DAKO)과 반응시키고 증류수로 신속하게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 슬라이드를 헤마톡실린으로 대비 염색시키고 탈수시킨 다음 장착하였다. 샘플은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예 8. 통계분석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표현하였다. 두 그룹 간의 비교를 위해 Student’s t-test을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GraphPad Software 버전 5.01 (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1. FCHO1 발현과 암 진행 관련성을 확인
우선 FCHO1이 인간 암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 악성 종양에서 FCHO1 mRNA 발현을 모니터링하였으며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ncer Genome Atlas(TCGA)의 RNA 시퀀싱 데이터(cBioPortal: http://www.cbioportal.org/index.do.)를 통해 FCHO1 mRNA 발현이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폐 선암종을 포함한 대부분의 암 유형에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 능력에 대한 FCHO1 siRNA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Real-Time Cell Analyzer (RTCA)를 사용하여 실시간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여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FCHO1은 triplex siRNA(도 2 상단)가 처리된 A549 세포에서는 발현이 억제되며, 실시간 증식분석 결과 FCHO1 siRNA 처리 세포에서 대조군 세포 대비 세포사멸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2 하단 그래프).
또한 FCHO1 siRNA 처리에 따른 세포사멸의 증가를 보다 자세히 확인하기 위해, JuLI™ 분석기를 사용하여 FCHO1 siRNA로 처리한 A549 세포의 9시간 동안의 생존 세포 영상을 분석하였고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생존 세포 이미지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FCHO1 siRNA로 처리 된 세포가 세포질 분열 동안 두 개의 딸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FCHO1 발현이 암 세포의 진행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실시예 2. PKB 결합 펩타이드인 FCHO1560571가 A549 세포에서 세포 증식을 억제시킴을 확인
인간 FCHO1의 Ser-570 (S570)은 PKB 결합 모티프 (RXRXXS)에 포함되고 PKB에 의해 인산화된다. FCHO1 발현을 억제시키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PKB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3개의 FCHO1 유래 펩타이드(FCHO1560567(PPRRLRSR), FCHO1562571(RRLRSRKVSC), FCHO1560571 (PPRRLRSRKVSC))를 디자인 하였으며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3개의 펩타이드의 세포 투과능을 확인하기 위해, 비오틴 N-말단 결합된 FCHO1 펩타이드를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에 90분 동안 처리하였다. FCHO1 펩타이드의 세포 흡수는 비오틴-스트렙타비딘-결합된 형광염료(녹색)를 통해 CLSM 이미지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FCHO1 유래 펩타이드 중 FCHO1560571 펩타이드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내로 현저하게 흡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간 세포증식 분석기로 분석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FCHO1560571 펩타이드를 처리한 A549 세포는 다른 FCHO1 펩타이드를 처리한 세포 및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FCHO1 펩타이드가 PKB에 결합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A549 세포 용해물로 처리한 플레이트-결합된 FCHO1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ELISA 기반 결합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방법을 도식화하여 도 7에, PKB와의 결합 친화도를 분석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RXRXXS 모티프를 포함하는 FCHO1560571 및 FCHO1562571 펩타이드는 RXRXXS 모티프를 포함하지 않는 FCHO1560567과 비교하여 PKB와 더 높은 결합 친화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CHO1560571 펩타이드의 in vitro 키나아제 분석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FCHO1560571 펩타이드의 세린(serine)에서의 인산화는 활성 PKB 키나아제에 의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FCHO1560571 펩타이드의 인산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세포 투과능을 나타내며 PKB 결합 펩타이드인 FCHO1560571 펩타이드가 A549 세포증식을 억제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실시예 3. FCHO1560571 펩타이드가 SMAD4 신호 전달을 활성화시키고 PKB/CDC2 경로를 억제함을 확인
SMAD4의 결핍은 PKB 활성화를 통해 전이성 폐 선편평세포암(metastatic adenosquamous lung tumors)의 발생을 초래한다. 또한 CDC2는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G2/M 세포주기 체크포인트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SMAD4의 결핍은 PI3K/PKB/CDC2 경로를 활성화시켜 G1 또는 G2 세포주기 정지를 감소시키고 세포증식을 촉진시킨다.
FCHO1560571 펩타이드가 PKB, ERK 및 SMAD4 경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FCHO1560571 펩타이드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A549 세포의 용해물로 면역블롯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0에, 수치화하여 상대적 단백질 함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FCHO1560571 펩타이드는 A549 세포에서 SMAD4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p-PKB, p-ERK 및 CDC2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FCHO1560571 펩타이드가 SMAD4/PKB/ERK/CDC2 경로를 통해 암의 진행을 억제시킴을 나타내며 이를 도식화하여 도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FCHO1560571 펩타이드가 A549-이종이식 마우스에서 암 성장을 억제시킴을 확인
종양 성장에 대한 FCHO1560571 펩타이드의 생체 내 효과를 추가로 평가하기 위해, 누드마우스의 A549 이종이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FCHO1560571 펩타이드는 생체 내의 생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N-말단 아세틸화 및 C-말단 아미드화 시켰다. FCHO1560571 펩타이드는 DPBS(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에 완전히 용해시켰으며 용액의 사진을 도 13에 나타내었다.
상기 DPBS로 희석된 FCHO1560571 펩타이드를 A549-이종이식 누드마우스에 3주 동안 주 3회 종양 내 주사를 통해 0, 5, 15 및 30 mg/kg 농도로 투여하였으며 19일째 마우스를 희생시켜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를 도식화하여 도 14에 나타내었다.
또한 A549 폐 종양 형성이 억제되는지는 전체 실험 기간 동안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피하 종양의 너비와 길이를 Vernier 캘리퍼스로 2일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종양 부피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 mg/kg 이상의 농도로 FCHO1560571 펩타이드를 주입하였을 때 종양의 부피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입 19일째에 절제된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여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FCHO1560571 펩타이드를 15 mg/kg 이상의 농도로 처리한 A549 이종이식 종양의 크기가 대조군(0 mg/kg) 및 낮은 FCHO1560571 처리 군(5 mg/kg)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절제된 종양의 무게를 측정하여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FCHO1560571 펩타이드를 15 mg/kg 이상으로 처리한 경우의 종양의 무게가 대조군 및 5 mg/kg 처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집한 종양을 면역조직화학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증식 인자인 KI67의 발현은 모든 FCHO1560571 펩타이드 처리군에서 대조군 대비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CHO1560571 펩타이드의 세포사멸 유도 효과를 더 확인하기 위해, 수집한 이종이식 종양에서 0.5% 메틸그린 용액을 사용하여 TUNEL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9에 나타내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mg/kg FCHO1560571 펩타이드 처리군에서의 TUNEL-양성 세포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FCHO1560571 펩타이드가 종양의 진행을 억제시키며, 특히 15 mg/kg 이상의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종양의 진행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의약품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FCHO1560571 펩타이드 200mg
유당 100mg
탈크 10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FCHO1560571 펩타이드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FCHO1560571 펩타이드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FCHO1560571 펩타이드 10μg/ml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FCHO1560571 펩타이드 1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FCHO1560571 펩타이드 100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예, 영양캔디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FCHO1560571 펩타이드 100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110>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120> Peptid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cancer and pha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130> CNU1.59P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CHO1560571 <400> 1 Pro Pro Arg Arg Leu Arg Ser Arg Lys Val Ser Cys 1 5 10 <210> 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CHO1560567 <400> 2 Pro Pro Arg Arg Leu Arg Ser Arg 1 5 <210> 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CHO1562571 <400> 3 Arg Arg Leu Arg Ser Arg Lys Val Ser Cys 1 5 10

Claims (8)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10 내지 50 mg/kg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수용성 펩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10 내지 50 mg/kg 농도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2 내지 4주 동안 주 2 내지 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7.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외(in vitro) p-PKB(phosphorylated protein kinase B), p-ERK(phospho-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및 CDC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단백질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
  8.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체 외(in vitro) SMAD4(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4) 단백질 발현 촉진용 시약 조성물.
KR1020180101937A 2018-08-29 2018-08-29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152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37A KR102152977B1 (ko) 2018-08-29 2018-08-29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37A KR102152977B1 (ko) 2018-08-29 2018-08-29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95A true KR20200025095A (ko) 2020-03-10
KR102152977B1 KR102152977B1 (ko) 2020-09-07

Family

ID=6980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937A KR102152977B1 (ko) 2018-08-29 2018-08-29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9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0843A1 (en) * 2001-07-26 2008-03-20 Curegenics Ltd. Protein kinase inhibitors comprising atp mimetics conjugated to peptides or peptidomimetics
US20110144034A1 (en) * 2007-06-07 2011-06-1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Inhibition of tumor metastases using protein kinase c (pkc) inhibitors
KR20170057857A (ko) * 2015-11-17 2017-05-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CHo1 조절제를 포함하는 세포 분열 조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열 조절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0843A1 (en) * 2001-07-26 2008-03-20 Curegenics Ltd. Protein kinase inhibitors comprising atp mimetics conjugated to peptides or peptidomimetics
US20110144034A1 (en) * 2007-06-07 2011-06-1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Inhibition of tumor metastases using protein kinase c (pkc) inhibitors
KR20170057857A (ko) * 2015-11-17 2017-05-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CHo1 조절제를 포함하는 세포 분열 조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분열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977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ida Autophagosome formation and molecular mechanism of autophagy
Athiroh et al. Effect of Scurrula atropurpurea on nitric oxide, endothelial damage, and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of DOCA-salt hypertensive rats
Liu et al. The physiological metabolite α-ketoglutarate ameliorates osteoarthritis by regulating mitophagy and oxidative stress
Choi et al. Fisetin inhibits osteoclast differentiation via downregulation of p38 and c-Fos-NFATc1 signaling pathways
Kim et al. Lycopene induces apoptosis by inhibiting nuclear translocation of β-catenin in gastric cancer cells
Zhang The osteoprotective effects of artemisinin compounds and the possible mechanisms associated with intracellular iron: A review of in vivo and in vitro studies
UA122218C2 (uk)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для лікування ракового захворювання, що містить лактатну сіль металу
JP2019511514A (ja) ブドウ抽出物およびそれに関する方法
Liu et al.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pathway mediates T-2 toxin-induced chondrocyte apoptosis
Zou et al. [1–9-NαC]-linusorb B2 and [1–9-NαC]-linusorb B3 isolated from flaxseed induce G1 cell cycle arrest on SGC-7901 cells by modulating the AKT/JNK signaling pathway
CN109453164B (zh) 一种抗肿瘤的联合用药物
Sakai et al. Sanguiin H-6, a constituent of Rubus parvifolius L., inhibits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induced osteoclastogenesis and bone resorption in vitro and prevents tumor necrosis factor-α-induced osteoclast formation in vivo
US20210386822A1 (en) Anti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f1 as active ingredient
KR102261371B1 (ko) CP2c 표적 펩티드 기반 항암제
US1116697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 comprising aucubin
KR102152977B1 (ko)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92843B1 (ko)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374440B1 (ko) 후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184177A1 (en) Polypeptides for treatment of cancer
KR20210052326A (ko) 신규 화합물의 근위축성측색경화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Dai et al. Elevated O-GlcNAcylation promotes malignant phenotypes of 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by stabilizing Nrf2 through regulation of the PI3K/Akt pathway
Wu et al. Downregulation of caveolin-1 promotes murine breast cancer cell line progression by highly glycosylated CD147
KR102434348B1 (ko) 케르세틴, 루테올린, 델피니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궁내막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Zhu et al. Peiminine Suppresses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by Inhibiting the NFATc1, ERK, and NF-kB Signaling Pathways
KR20150039264A (ko) cyb5R3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