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176B1 - HopQ를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HopQ를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176B1
KR102370176B1 KR1020200026078A KR20200026078A KR102370176B1 KR 102370176 B1 KR102370176 B1 KR 102370176B1 KR 1020200026078 A KR1020200026078 A KR 1020200026078A KR 20200026078 A KR20200026078 A KR 20200026078A KR 102370176 B1 KR102370176 B1 KR 102370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q
protein
cancer metastasis
vimentin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043A (ko
Inventor
박영준
류충민
박승호
이무승
윤성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2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17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1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antineoplastic a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45Methods of identify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 protein 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n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opQ (Hrp outer protein Q)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HopQ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암전이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및 암 전이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HopQ 단백질은 14-3-3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비멘틴 (vimentin) 단백질의 발현 또는 안정성을 저해하여, 암세포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암전이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므로, 본 발명의 HopQ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암전이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HopQ를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HopQ for suppressing cancer metastasis}
본 발명은 HopQ(Hrp outer protein Q)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HopQ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암전이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및 암 전이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흑색종은 피부 또는 점막에 있는 멜라닌 세포에 의해 발생하는 종양이며 림프관을 통해 피부뿐만 아니라 림프절과 다른 장기들로 조기에 퍼지기 때문에 가장 치명적인 형태의 피부암이다. 흑색종은 연령이나 인종 성별에 구분 없이 발병하며 25-30세 여성의 암으로 인한 사망의 주된 원인이며 30-35세 여성의 암 사망 원인 중 두번째이다. 흑색종의 발병률은 1973년 이래 현재 두배로 증가하였으며 미국 흑색종연구재단 (melanoma research foundation, MRF)에 의하면 2019년 미국에서는 192,000명 이상이 흑색종 진단을 받고 7,000명 이상이 사망할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에 비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에서는 흑색종의 발병률이 적어 관심이 적었었지만 통계청 발표 자료에 따라 최근 한국에서의 흑색종 발생 건수를 보면 1992년 121명, 2002년 266명, 2012년 520명으로 20년 만에 4.3배의 증가를 보였다. 2015년에는 570명의 새로운 흑색종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국내 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새로운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흑색종 환자의 40-60% 정도는 종양유전자 (oncogene)으로 잘 알려진 비라프 (BRAF)의 V600E 돌연변이 (Mutation)가 확인된다. 이런 변이는 BRAF 키나아제 단백질의 활성화를 초래하여 세포증식과 생존에 필수 조절인자인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신호 전달 경로를 과활성 시킨다. BRAF변이가 확인되면 BRAF를 억제하는 항암제인 베무라페닙(vemurafenib)과 다브라페닙(dabrafenib)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항암제는 반응속도가 빠르며 흑색종 환자의 전반적인 생존률을 향상시켰지만 MAPK경로가 역으로 활성화 되어 내성이 생기거나 과다증식성 피부독성을 초래하고 드물게 피부 현형상피세포암이 생기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흑색종의 10~30%정도에 존재하는 NRAS 돌연변이 역시 PI3K/AKT 및 다른 생존신조경로의 활성화를 유발하는데 엔라스 (NRAS) 돌연변이를 직접 저해하는 효과적인 항암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NRAS 돌연변이에 의한 흑색종은 종종 성장과 생존을 위해 MAPK 신호전달을 이용하기 때문에 RAS의 MAPK 하위 경로를 억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돌연변이 NRAS가 BRAF와 CRAF를 활성화 시키기 때문에 MAPK 신호를 억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에 라프 (RAF)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소라페니브 (sorafenib) 같은 RAF 억제제들은 낮은 선택성과 종양에서 RAF 활성을 저해하기에 충분한 양을 투여할 수 없기 때문에 흑색종에서 효능이 거의 없다.
또한 AKT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PTEN의 기능이 상실된 돌연변이(Mutation)가 흑색종의 10%에서 발생하여 AKT 신호전달이 증가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때문에 PI3K/AKT 억제제들이 흑색종 치료에 사용될 수 있고 임상에서 좋은 항암효과를 나타냈지만 생체 내에서 그 효과가 미비하고 이는 억제제들이 AKT를 완벽히 억제하지 못했거나 다른 신호에 의해 AKT 억제가 회복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기존 흑색종 치료제가 가지는 부작용과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비멘틴 (Vimentin)은 타입 III 중간섬유(Type III intermediate filament : IF) 단백질로 세포질에 존재하는 세포 소기관들을 고정하고 세포골격과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에도 관여한다. 특히 상피간엽이행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 EMT)가 일어날 때 간엽(mesenchymal)한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어 암세포의 이동과 전이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흑색종의 폐전이와 관련된 바이오 마커(marker)를 찾기 위해 수행했던 선행 연구에서 Vimentin이 폐로 전이가 일어난 흑색종 그룹에서 많이 발현되었고 혈종 전이가 있는 원발암 또는 원발성인 흑색종 환자에서 Vimentin의 과다 발현이 빈번하게 관찰되었기 때문에 흑색종의 전이를 억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vimentin의 발현 조절은 효과적인 접근이 될 수 있다.
박테리아 에펙터는 병원성 박테리아가 그들의 숙주세포 (Host cell)로 분비하는 단백질이며 대게 타입 III 분비 시스템 혹은 타입 IV, VI 분비 시스템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에펙터(effector) 단백질들은 숙주 조직에 침투하여 면역체계를 억제하거나 병원체가 생존하는데 도움을 준다. 식물과 감수성 식물에 질환을 야기하는 병원성 세균사이의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모델 중 하나인 Pseudomanas Syringae pv. tomato는 타입 III 분비 시스템을 통하여 HopQ 에펙터 단백질을 숙주 식물내로 주입한다. HopQ는 Pseudomanas Syringae pv. tomato DC3000균이 숙주에 병을 일으키는 숙주범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며 토마토에서 질병을 촉진시키는 에펙터로 알려져 있다. HopQ는 숙주내로 주입되면 숙주가 가진 인산화효소에 의해 인산화 되어 숙주의 14-3-3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다. 14-3-3 단백질은 식물뿐만 아니라 동물세포에서도 잘 보존된 단백질로서 인산화효소, 탈인산화효소, 막통과수용체등 다양한 신호전달 단백질들과 결합하며 암의 전이에도 다양하게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박테리아 에펙터 단백질인 HopQ이 동물세포의 14-3-3 단백질과 결합한다면 동물세포내 다양한 신호전달에 관여하여 있으며 암세포의 전이 또한 조절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흑색종 치료 측면에서 HopQ의 역할을 밝히고자 연구한 결과, HopQ가 14-3-3과 상호작용하여 암세포의 이동에 관여함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HopQ가 14-3-3과 상호작용하여 비멘틴 (vimentin) 단백질을 조절함으로써, 흑색종 전이를 억제하는 것을 밝히고, 암세포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암전이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으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HopQ (Hrp outer protein Q)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opQ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opQ 및 14-3-3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암전이 억제제를 대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HopQ (Hrp outer protein Q)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결합에 의한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암은 흑색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상기 HopQ 단백질은 식물 식균작용 박테리아인 슈도모나스 시린개 (Pseudomonas syringae)의 에펙터 단백질 (effector protein)이다. 상기 에펙터는 병원성 박테리아가 그들의 숙주세포 (Host cell) 로 분비되는 단백질이며, 상기 에펙터 단백질들은 숙주 조직에 침투하여 면역체계를 억제하거나 병원체가 생존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상기 HopQ 단백질은 14-3-3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암세포의 비멘틴 (Vimentin) 단백질의 발현 및 안정성을 저해하여 암 전이를 억제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세포의 이동을 억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4-3-3 단백질은 식물뿐만 아니라 동물세포에서도 잘 보존된 단백질로, 인산화 효소, 탈인산화효소, 막통과 수용체 등 다양한 신호전달 단백질과 결합하며, 암의 전이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비멘틴 (vimentin) 단백질은 타입 Ⅲ 중간섬유 단백질로, EMT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가 일어날 때 간엽 (mesenchymal)한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여 암세포의 이동과 전이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암”이란 세포의 정상적인 분열, 분화 및 사멸의 조절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며, 비정상적으로 과다 증식하여 주위 조직 및 장기에 침윤하여 덩어리를 형성하고 기존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키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암전이”는 암세포가 원발 장기를 떠나 다른 장기로 이동하여 증식하는 것을 말한다. 암이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퍼지는 것은 크게 원발암에서 암조직이 성장하여 직접적으로 주위 장기를 침습하는 것과 멀리 있는 다른 장기로 혈관이라 림프관을 따라 원격전이를 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상기 암은 발생한 부위에 존재하는 원발암과 상기 발생 부위로부터 다른 부위로 퍼져나간 전이암으로 구분된다. 상기 전이암은 혈액순환이나 림프순환을 통해 퍼져나가서 형성되는 것으로, 대개는 혈액순환을 타고 다른 장기로 옮겨간 후 새로운 종양으로 자라난 것이다. 이와 달린 암세포가 이웃한 조직으로 직접 이동하여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암 전이는 암세포가 이웃조직으로 직접 이동하고 침투하는 침윤에 의한 암세포의 확산 및 암세포가 혈류를 타고 이동하여 물리적으로 원발암과는 인접하지 않는 장기에서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는 전이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암 전이에 있어서, 세포의 이동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암세포의 이동을 저해하는 것이 암전이를 예방하는 일차적인 방법이다.
또한 암전이에 있어서, 세포의 이동은 여러 단계에 관여하는데, 암세포가 초기의 원발암 위치에서 세포간질 (Extracellular matrix)을 지나 혈관으로 이동할 때, 제2의 전이 조직에서 혈관 밖으로 이동할 때 신생혈관에서 혈관 내피세포 (Vascular endothelial cell)가 이동할 때에 관여하는 등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항암제가 단순히 암세포를 사멸시키거나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세키는 효과를 갖는 것임을 고려할 때, 암전이 억제를 위한 제제는 이와 달리 별도로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체로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운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학적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티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툴로즈, 미정질 셀릴로즈, 폴리비닐피롤리딘,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티드,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DNA 알킬화제 (DNA alkylating agents), 항암항생제 (anti-cancer antibiotics), 식물 알카로이드 (plant alkaloids)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항암제는 베무라페닙(vemurafenib)과 다브라페닙(dabrafenib), 택솔 (Taxol), 셀라스트롤 (celastrol), 소라페니브 (sorafenib), 다카르바진, 테모졸모미드, 키트루다, 카르무스틴, 카르보플라틴, 빈블라틴, 이필리무밥, 니볼루맘, 펨브롤리주맙, 시스플라틴, 멕키니스트, 트라메티닙, 트라메티닙디메틸설폭시드, 셀루메티빕, 코비메니닙, 다사티닙, 이마티닙 또는 닐로티닙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HopQ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HopQ 단백질은 암전이 억제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는데, 식품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과자류, 빵류, 면류 등과 같은 각종 식품류, 물, 청량음료, 과실음료 등의 드링크류, 껌, 차, 비타민 복합제, 조미료류, 건강 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음료 및 야체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1) HopQ 단백질 발현 암 세포주에 피검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세포주에서 14-3-3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14-3-3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이동 및 전이와 관련한 인자들의 발현 및 활성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14-3-3의 상호 작용 분석은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면역침강법 (Immunoprecipitation), 면역염색 (Immuno-staining), 면역형광염색 (Immuno-fluorescence), 형광공명에너지전이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분석, CHIP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효소면역분석법 (ELISA), tag-단백질 pull down 분석 및 면역조직화학 (Immunohistochemistry)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피검물질”은 펩티드, 단백질, 항체, 항체의 부분, 비펩티드성 화합물, 활성화합물, 발효생산물, 세포 추출액, 식물 추출액, 동물조직 추출액 및 혈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HopQ (Hrp outer protein Q)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HopQ 단백질은 14-3-3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비멘틴 (vimentin) 단백질의 발현 또는 안정성을 저해하여, 암세포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암전이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므로, 본 발명의 HopQ는 암전이 억제를 위한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암전이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HopQ에 의한 흑색종 세포주 (B16F10)의 세포의 이동성 감소 결과이다. 도 1A-D는 세포 이동성 감소 결과를 사진, 세포 이동 면적 또는 궤적을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이다. 도 1E-F는 HopQ에 의한 세포 성장에 대한 결과이다.
도 2는 HopQ에 의한 인간 흑색종 세포의 이동성 감소 결과이다. 도 2A-C는 세포주에 따른 세포 이동성 감소 결과를 사진, 세포 이동 면적 또는 궤적을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이다. 도 2D는 HopQ에 의한 세포 성장에 대한 결과이다.
도 3은 HopQ와 14-3-3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A는 흑색종 세포주에서 발현된 HopQ가 14-3-3 단백질에 강하게 결합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3B-C는 14-3-3 단백질과 상기 HopQ의 상호작용 부위를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HopQ에 의한 흑색종의 이동성 감소에 14-3-3와의 결합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도 4A는 HopQ에 14-3-3 binding motif를 확인한 것이고, 도 4B-C는 돌연변이(HopQ S51A)와 14-3-3 단백질의 결합여부를 확인한 것이며, 도 4D-F는 HopQ S51A의 B16F10 세포의 이동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이다.
도 5는 HopQ에 의한 비멘틴 (vimentin) 단백질 발현 감소와 상호작용을 확인한 것이다. 도 5A는 HopQ에 의해 세포의 이동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고, 도 5B는 vimentin 발현이 HopQ의 양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을 웨스턴 블럿 (western blot) 결과로 확인한 것이며, 도 5C는 HopQ에 의한 vimentin 감소가 mRNA 수준에서 발생하는 것인지 확인한 결과이고, 도 5D는 인간 흑색종 암세포에서 HopQ에 의한 vimentin 단백질의 감소를 확인한 결과이며, 도 5E와 F는 사이클로헥시미드 (cycloheximide)를 시간별로 처리하여 신생 합성되는 단백질을 억제하였을 때도 대조군에 비해 HopQ에 의한 vimentin 단백질 양이 감소한 것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5G-I는 HopQ에 의한 vimentin 단백질의 감소가 HopQ와 vimentin의ㅏ 결합에 의한 것인지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HopQ와 14-3-3의 상호작용과 vimentin의 발현과의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A-B는 HopQ S51A를 과발현시킨 후 vimentin 억제효과를 확인한 것이고, 도 6C는 HopQ S51A의 경우 vimentin과의 결합 능력이 HopQ WT에 비해 현저히 떨어짐을 immunoprecipitation을 통해 확인한 것이며, 도 6D는 14-3-3의 inhibitor (R18)를 처리하면 HopQ와 vimentin의 결합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6E는 HopQ가 14-3-3과 결합할 수 있는 domain인 HopQ N90을 HopQ와 함께 발현시키면 vimentin이 억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6F는 14-3-3과 결합 할 수 없도록 N-term을 제거한 HopQ ΔN의 경우 과발현 되어도 vimentin을 어제하는 효과가 적었으며 HopQ N90 역시 vimentin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HopQ에 의한 vimentin의 분해 메카니즘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A는 HopQ를 과발현 시키고 proteasome 억제제와 caspase 억제제를 처리하여도 여전히 HopQ에 의해 vimentin의 감소가 확인한 것이고, 도 7B는 vimentin의 분해가 다른 단백질 분해기작인 autophagy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autophage 억제제인 Bafilomycin A와 zVAD를 처리하였을 때 HopQ를 과발현 시켜도 vimentin이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한 것이며, 도 7C는 HopQ를 과발현 시켰을 때 autophagy marker인 LC3-II가 증가를 확인한 것이고, 도 7D는
E는 Atg5와 Atg7을 siRNA로 억제하여 autophagy를 막았을 때는 HopQ를 과발현 시켜도 vimentin이 감소하지 않음을 확한 것이며, 도 7E-F는 GFP-LC3 fusion 단백질이 발현되면 autophagosome에 축적되어 세포질에서 punctae가 나타나는데 HopQ에 의해 punctae가 증가되고 western blot을 통해 free GFP가 증가됨을 확인한 것이고, 도 7G는 HopQ에 의해 빨란색 puntae가 증가함을 확인한 것이며, 도 7H는 HopQ에 의해 vimentin 과 LC3B가 co-localization하는 것을 관찰한 것이다.
도 8은 HopQ의 vimentin의 selective autophagy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8A는 B16F10 세포에서 HopQ가 과발현되어 ubiquitination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8B-C는 p62와 HopQ, vimentin이 결합하는 것을 확인한 것이며, 도 8D-E는 HopQ와 p62의 결합은 HopQ의 NH domain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HopQ의 암전이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9A는 암전이 억제를 효과를 암조직 사진으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전이된 암조직인, 마우스의 폐 (Lung tumor)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암전이가 억제됨을 사진 결과로 나타낸 것이며, 도 9B는 전이된 폐결절 (Lung Nodule)에서도 감소함을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은 HopQ (Hrp outer protein Q)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HopQ 단백질은 14-3-3 단백질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암세포의 비멘틴 (Vimentin) 단백질의 발현 및 안정성을 저해하여 암 전이를 억제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물질, 펩티드, 펩티드 미메릭스, 기질유사체, 앱타머, 뉴클레오타이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폴리펩타이드, 항체, 안티센스, siRNA 및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이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운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학적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티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툴로즈, 미정질 셀릴로즈, 폴리비닐피롤리딘,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 할 수 있다. 또한 분산제, 계명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약제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피보정, 정제, 캡슐제, 좌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및 활성 화합물의 서방출형 제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요구되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등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우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DNA 알킬화제 (DNA alkylating agents), 항암항생제 (anti-cancer antibiotics), 식물 알카로이드 (plant alkaloids)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항암제는 베무라페닙(vemurafenib)과 다브라페닙(dabrafenib), 택솔 (Taxol), 셀라스트롤 (celastrol), 소라페니브 (sorafenib), 다카르바진, 테모졸모미드, 키트루다, 카르무스틴, 카르보플라틴, 빈블라틴, 이필리무밥, 니볼루맘, 펨브롤리주맙, 시스플라틴, 멕키니스트, 트라메티닙, 트라메티닙디메틸설폭시드, 셀루메티빕, 코비메니닙, 다사티닙, 이마티닙 또는 닐로티닙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은 것 일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세포주 배양
마우스 흑색종 세포인 B16F10은 10% fetal bovine serum (FBS, RMBIO)과 1% penicillin-streptomycin (antibiotic-antimycotic) 혼합액 (Gibco, Invitrogen)이 첨가된 RPMI (Welgene)을 배양액으로 사용하여 5% CO2가 유지되는 37℃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2. 유전자 발현 벡터의 제조 및 형질 주입
HopQ 유전자 (gene)를 Flag표지 단백질 발현 벡터 (vector)인 pBICEP vector에 클로닝(cloning) 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프라이머(primer)를 준비하였다.
<pBICEP vector 클로닝을 위한 프라이머>
Name Primer sequence ( 5’- 3’)
Flag-HopQ (full) Forward 5’-GACAAGCTTGCGGCCCATCGTCCTATCACCGCA (NotⅠ)
Reverse 5’-ATGCCACCCGGGATCTCAATCTGGGGCTACCGT (BamHⅠ)
다음으로 PCR을 이용하여 HopQ를 증폭시킨 후에 agarose 젤에 로딩하여 사이즈를 확인 후 젤에서 정제한 후에 DNA 정량법으로 100ng/ul의 농도로 맞췄다. 다음으로 pBICEP vector 1ug을 제한효소인 NotⅠ과 BamHⅠ을 이용하여 vector를 절단한 후에 아가로즈(agarose) 젤에 로딩(loading) 하여 사이즈를 확인하여 젤에서 정제한 후에 DNA 정량법으로 정량하여 50ng에 맞췄다. 위와 같이 준비된 HopQ 100ng와 절단된 pBICEP vector를 INFUSION HD enzyme(Clontech Laboratories) 으로 ligation을 수행하여 Flag 표지 HopQ 발현 시스템을 준비하였다.
pCMV-Myc-N vector에 HopQ의 각 도메인 별로 클로닝 하기위해 하기 표2와 같이 프라이머 (Primer)를 준비하였다.
<pCMV-Myc-N vector 도메인별 클로닝을 위한 프라이머>
Primer Primer sequence ( 5’- 3’)
Myc-HopQ (full) Forward 5’-CGGTCGACCGAGATCATGCATCGTCCTATCACCGC (Bgl2)
Reverse 5’-TGGATCCCCGCGGCCTCAATCTGGGGCTACCGTCG (Not1)
HopQ delNT (△N)
N 말단 제거
Forward 5’-CGGTCGACCGAGATCCTTTTACCTAAGGATACGTGGTT (Bfl2)
Reverse 5’-TGGATCCCCGCGGCCTCAATCTGGGGCTACCGTC (Not1)
HopQ delC (△C)
C 말단 제거
Forward 5’-CGGTCGACCGAGATCATGCATCGTCCTATCACCGC (Bgl2)
Reverse 5’-TGGATCCCCGCGGCCTCAGGCCAGTAATGTCAGAGG (Not1)
HopQ NH (NH)
중심부분
Forward 5’-CGGTCGACCGAGATCCTTTTACCTAAGGATACGTGGTT (Bgl2)
Reverse 5’-TGGATCCCCGCGGCCTCAGGCCAGTAATGTCAGAGG (Not1)
HopQdelN90 (N90)
N 말단 90번까지
Forward 5’-CGGTCGACCGAGATCATGCATCGTCCTATCACCGCAG (Bgl2)
Reverse 5’-TGGATCCCCGCGGCCTCAGGGCTTGTGTGATCTCAG (Not1)
Flag-HopQ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HopQ 도메인들을 100ng을 준비하고 pCMV-Myc-N vector 또한 pBICEP vector와 동일한 방법으로 50ng을 준비한 후에 INFUSION HD enzyme(Clontech Laboratories) 으로 라이게이션 (ligation, 벡터로의 도입)을 수행하여 Myc 표지 HopQ 발현 시스템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발현 vector들을 형질 주입하기 위하여 B16F10 세포주를 8 × 105 cell 기준으로 6-well 배양접시에 배양한 후에 항생제가 첨가 되지 않은 10%FBS가 포함된 RPMI 배지 2ml을 배양접시에 공급하였다. 준비된 vector는 1ug을 TransIT-X2 Dynamic Delivery System (Mirus, transfection reagent)시약과 1:3 비율로 250ul의 opti-MEM 배지에 혼합하여 30분 정도 실온 (24°C)에서 반응 시킨 후에 준비된 B16F10 세포주에 첨가하여 24시간 후에 발현 양을 확인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3. 면역염색 (Immuno-staining)
24-well 배양접시에 둥근 커버글라스를 집어 넣은 후에 B16F10 세포를 1.0 × 105 cell 수로 배양한 후 Myc-HopQ vector를 형질주입시켰다. 형질주입 24시간 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차가운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 bufffered saline, PBS)를 1ml씩 세 번 세척 한 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 (paraformaldehyde)가 포함된 PBS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동안 고정을 시킨 후에 세포막 투과화 (membrane permeabilization)를 위해 0.2% 트리톤엑스-100 (TritonX-100) 첨가 후에 15분동안 실온에서 반응을 진행 시켰다. 반응 후 차가운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 bufffered saline, PBS)를 세 번 세척하고 남아있는 트리톤엑스-100을 제거한 후에 Myc 항체와 14-3-3 항체를 4°C에서 12시간 동안 반응 시킨 후에 차가운 PBS로 1ml씩 세 번 배양접시에 첨가 후 제거하는 방법으로 세포 주변에 남아 있는 항체를 제거한 후에 Myc-HopQ를 인식하여 녹색 형광을 나타내는 Alexa Fluorⓡ 488 conjugated Donkey-anti mouse IgG 항체와 14-3-3을 인식하여 빨간색 형광을 나타내는 Alexa Fluorⓡ 555 conjugated Donkey-anti rabbit IgG 항체를 2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 시킨 후 다시 차가운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 bufffered saline, PBS)로 남아있는 안티바디(Antibody)를 세척한 후에 핵 염색 (DAPI) 염료를 5분 동안 첨가하여 핵을 염색 후에 차가운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 bufffered saline, PBS)로 세 번 세척하여 남아있는 DAPI를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면역 염색 샘플은 공초점형광현미경인 LSM510 confocal microscope (Carl Zeiss)을 이용하여 형광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4. 웨스턴 블랏 (Western blot)
프로테아제 억제제 (proteinase inhibitor)가 포함된 세포 용해 버퍼 (Cell lysis buffer)로 세포를 용해 시킨 후에 BCA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정량을 하여 각 세포 용해 샘플의 단백질 농도를 일정하게 맞췄다. 준비된 단백질 샘플을 SDS-PGAE 겔(gel)에 로딩한 후에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전기영동이 완료된 SDS-PAGE 겔(gel)을 PVDF 막여과지에 단백질을 전기적으로 흡입 (Transfer)시킨 후에 비특이적인 항체 위 결합을 막기 위해 5% 탈지유(Skim-Milk)와 1% 트윈20(Tween 20)이 포함된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 bufffered saline, PBS)으로 1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이후 1%트윈20 (Tween 20)이 포함된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 bufffered saline, PBS)으로 5분 마다 한 번씩 3번 세척한 후에 표적 단백질을 인식하는 1차 항체를 4°C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표적 단백질에 대한 일차 항체는 다음과 같이 이용한다. 안티 Myc 항체, 안티 14-3-3 (pan) 항체, 안티 14-3-3 beta 항체, 안티 14-3-3 gamma 항체, 안티 14-3-3 epsilon 항체, 안티 14-3-3 zeta 항체, 안티 14-3-3 eta 항체, 안티 14-3-3 theta 항체, 안티 14-3-3 tau 항체, 안티 phospho-ser/Thr 항체, 안티 vimentin 항체, 안티 β-actin 항체, 안티-LC3B 항체, 1차 항체 반응 후 1% 트윈20(Tween 20)이 포함된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 bufffered saline, PBS)으로 5분 마다 3번 세척한 후에 HRP표지 2차 항체를 이용하여 각 표적 단백질에 대한 형광의 세기를 EZ Capture Image system 장비 (ATTO)를 통하여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시예 5. 면역침강법(Immunoprecipitation)
면역침강법을 위해 Myc 표지 HopQ이 형질주입된 B16F10 세포주를 프로테아제 억제제 (proteinase inhibitor)가 포함된 세포 용해 버퍼로 세포를 용해 시킨 후에 BCA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정량을 한 후에 동일한 단백질 샘플에 안티-Myc 항체를 넣고 4°C에서 12시간동안 선회장치(rotating apparatus)에서 반응 시켰다.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를 30ul 첨가하여 4°C에서 2시간 동안 선회장치에서 반응 시키고 자성 컬럼을 이용하여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에 결합되지 않은 단백질을 차가운 세포용해버퍼로 3번 세척하였다. 세포용해버퍼를 제거한 후에 2배의 Laemmli 샘플 버퍼(Laemmli sample buffer) 로 비드에 결합된 단백질 샘플을 얻어 낸 후에 단백질 흡입법을 통하여 Myc 표지 HopQ와 결합된 단백질을 안티 14-3-3 항체, 안티 pSer/Thr 항체, 안티 vimentin 항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6. 암세포 이동 측정법 (Woundhealing assay)
B16F10 세포주를 8 × 105 cell 기준으로 6-well 배양접시에 배양한 후에 세포가 80~90%정도 자랐을 때 HopQ를 형질 주입하였다. 24시간 뒤 Mitomycin C를 40ug/ml로 2시간 동안 처리하고 200ul용 팁(tip)으로 위에서 아래로 세포가 자란 배양접시를 긁어서 스크레치(scratch)를 만들었다.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 bufffered saline, PBS)으로 2번 씻어주고 배양배지를 넣고 현미경상에서 사진으로 결과를 기록하였다. 18시간 뒤 똑같은 구역의 사진을 다시 찍어서 imageJ 프로그램으로 스크레치의 공간면적을 계산하여 그래프로 결과를 기록하였다.
Transwell assay는 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7.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Real-Time PCR :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B16F10 세포주를 3 × 105 cell 기준으로 12-well 배양접시에 배양한 후에 세포가 80~90%정도 자랐을 때 HopQ를 형질주입하였다. 24시간 뒤 NucleoZOL(MACHEREY-NAGEL)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ReverTra Ace qPCR RT Master Mix with gDNA Remover(TOYOBO)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고 하기 표 3과 같이 프라이머(primer)를 준비하였다.
<Real time PCR을 위한 프라이머>
Primer Primer sequence ( 5’- 3’)
vimentin Forward 5’-AAAGCGTGGCTGCCAAGAA
Reverse 5’- ACCTGTCTCCGGTACTCGTTTGA
Rps18
(House keeping gene)
Forward 5’-TTCTGGCCAACGGTCTAGACAAC
Reverse 5’-CCAGTGGTCTTGGTGTGCTGA
준비된 프라이머와 cDNA, THUNDERBIRD SYBR qPCR Mix (TOYOBO)를 섞어서 ROTOR-Gene Q (QIAGEN)을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8. In vivo assay (In vivo mouse model)
B16F10 세포에 pBICEP vector와 pBICEP-HopQ vector를 각각 형질주입 시키고 24시간 뒤 세포를 떼어내어 5×105개를 100ul PBS에 풀어서 8주령의 C57BL/6 마우스 (Mouse) 의 꼬리에 주사하였다. 14일 뒤 마우스의 폐를 적출하여 사진으로, 결과로 기록하고, 전이된 B16F10 세포의 콜로니 (Colony) 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1. HopQ에 의한 B16F10 세포의 이동성 감소 확인
전이성 암세포에 대한 HopQ의 항전이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인 B16F10세포에 HopQ을 과발현 시킨 결과 세포의 이동성이 증가한 Control군에 비하여 HopQ가 과발현된 B16F10 세포의 경우 이동성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1A-D). HopQ의 과발현이 B16F10 세포의 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1E와 F).
실험예 2. HopQ에 의한 인간 흑색종 세포의 이동성 감소 확인
마우스 세포주인 B16F10 뿐만 아니라 인간 흑색종 세포주인 SK-MEL-2, SK-MEL-28, UACC-257에서도 HopQ가 과발현 될 때 세포의 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세포의 이동성 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2A-C). 반면, HopQ의 과발현이 SK-MEL-2, SK-MEL-28, UACC-257 세포의 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2D).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전이성 흑색종 세포에서 HopQ의 발현을 유도하게 되면 암세포의 이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HopQ와 14-3-3 의 결합 확인
식물세포에서는 HopQ 에펙터 단백질이 박테리아로부터 주입되면 식물세포내 인산화효소에 의해 인산화 되어 14-3-3 단백질과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현상이 B16F10 세포에서도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HopQ를 과발현시키고 Immunoprecipitation을 실시한 결과 B16F10에서 과발현된 HopQ는 14-3-3 단백질과 강하게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A). HopQ 단백질의 구조에서 14-3-3와 결합 할 수 있는 위치를 확인하고자 HopQ 단백질의 도메인을 클로닝하여 B16F10세포에서 발현을 유도한 후 결합능력을 확인한 결과 HopQ의 N-말단 90번 까지 존재하는 아미노산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14-3-3 단백질과 결합이 가능하며 (도 3b), 모든 14-3-3 isoform과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c).
실험예 4. 흑색종 이동성 감소에 HopQ와 14-3-3의 결합이 미치는 영향 확인
HopQ에 14-3-3 binding motif를 확인하고 (도 4A), 돌연변이(HopQ S51A)를 제작하여 14-3-3 단백질과 결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4B-C). HopQ S51A의 경우 B16F10 세포에 과발현 시켜도 세포의 이동성을 억제하는 능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4D-F>.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HopQ가 흑색종 세포의 이동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14-3-3과의 결합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HopQ에 의한 vimentin 단백질 감소 확인
HopQ와 14-3-3의 상호작용이 암세포의 이동성 감소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 14-3-3의 세포내 역할 중에서 세포의 이동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western blot을 통해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 type III intermediate filament 단백질인 vimentin의 발현이 HopQ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5A), vimentin의 발현이 HopQ의 양에 비례하여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도 5B), HopQ에 의한 vimentin의 감소는 mRNA의 감소에 의한 것이 아님을 RT-PCR로 확인하였다 (도 5C).
마우스 뿐만 아니라 인간 흑색종 암세포 주에서도 HopQ에 의한 vimentin 단백질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도 5D).
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정지시키는 사이틀로헥시미드 (cycloheximide)를 시간별로 처리하여 신생 합성되는 단백질을 억제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HopQ가 과발현되면 vimentin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E-F).
HopQ에 의한 vimentin 단백질의 감소가 HopQ와 vimentin의 결합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immunoprecipitation을 수행한 결과 HopQ의 NH domain을 통해서 vimentin과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G-I).
실험예 6. HopQ/14-3-3/vimentin의 상호작용 메카니즘 분석
HopQ와 14-3-3의 결합이 vimentin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14-3-3과 결합하지 않는 돌연변이인 HopQ S51A를 과발현시킨 결과 HopQ WT에 비해 vimentin을 억제하는 능력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A-B).
실제 HopQ S51A의 경우 vimentin과의 결합 능력이 HopQ WT에 비해 현저히 떨어짐을 immunoprecipitation을 통해 확인하였고 (도 6C) 14-3-3의 inhibitor (R18)를 처리하면 HopQ와 vimentin의 결합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D).
HopQ가 14-3-3과 결합할 수 있는 domain인 HopQ N90을 HopQ와 함께 발현시키면 vimentin이 억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E). 14-3-3과 결합 할 수 없도록 N-term을 제거한 HopQ ΔN의 경우 과발현 되어도 vimentin을 어제하는 효과가 적었으며 HopQ N90 역시 vimentin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F). 이는 HopQ가 vimentin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14-3-3과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HopQ에 의한 vimentin의 분해 메카니즘 확인
현재까지 알려진 vimentin의 분해 기작은 proteasome에 의한 분해와 caspase에 의한 절단이 알려져 있음. HopQ에 의한 vimentin의 분해 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HopQ를 과발현 시키고 proteasome 억제제와 caspase 억제제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두 억제제를 처리하여도 여전히 HopQ에 의해 vimentin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도 7A). vimentin의 분해가 다른 단백질 분해기작인 autophagy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autophage 억제제인 Bafilomycin A와 zVAD를 처리하였을 때 HopQ를 과발현 시켜도 vimentin이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7B).
HopQ를 과발현 시켰을 때 autophagy marker인 LC3-II가 증가하였다 (도 7C). Autophagy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tg5와 Atg7을 siRNA로 억제하여 autophagy를 막았을 때는 HopQ를 과발현 시켜도 vimentin이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7D). GFP-LC3 fusion 단백질이 발현되면 autophagosome에 축적되어 세포질에서 punctae가 나타나는데 HopQ에 의해 punctae가 증가되고 western blot을 통해 free GFP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도 7E-F).
Tandem RFP-GFP-LC3 구조는 autophagosome에서는 노란색을 나타내지만 autolysosome에서는 산성 조건에 의해 빨간색을 나타냈다. HopQ에 의해 빨란색 puntae가 증가함을 확인했는데 (도 7G)이는 HopQ에 의해 autophagic flux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또한, HopQ에 의해 vimentin 과 LC3B가 co-localization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7H). 이 결과들은 HopQ가 autolysosome을 통해 vimentin 분해를 유도함을 시사하였다.
특정 단백질이 선택적으로 autophagy에 의해 제거 될 때는 특정 cargo 단백질이 필요함. 그중 p62는 ubiquitination된 단백질에 붙어서 선택적으로 해당 단백질만을 autophagy에 의해 제거 되도록 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 B16F10 세포에서 HopQ가 과발현되어 ubiquitination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도 8A), p62와 HopQ, vimentin이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도 8B-C), 이러한 HopQ와 p62의 결합은 HopQ의 NH domain에서 일어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도 8D-E).
실험예 8. HopQ의 암전이 억제효과 확인
in vivo에서 HopQ가 암전이에 관여하는지 확인하가기 위하여 마우스에 i.v.로 HopQ가 발현되는 B16F10을 주입한 결과 control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암전이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이된 암세포의 nodule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9A-B).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전이성이 강한 흑생종 B16F10세포에 HopQ를 발현을 유도할 경우 암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HopQ 단백질이 흑색종의 생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비멘틴 (vimentin) 단백질의 발현 혹은 안전성만을 특징적으로 줄여서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기 때문에 기존 약물이 가지는 내성 기전을 극복하고, 해당 약물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암전이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12)

  1. HopQ (Hrp outer protein Q)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은 슈도모나스 시린개 (Pseudomonas syringae)의 에펙터 단백질 (effector prote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흑색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암세포의 비멘틴 (Vimentin) 단백질의 발현 및 안정성을 저해하여 암 전이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암세포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10. HopQ (Hrp outer protein Q)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은 슈도모나스 시린개 (Pseudomonas syringae)의 에펙터 단백질 (effector prote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이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026078A 2020-03-02 2020-03-02 HopQ를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370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078A KR102370176B1 (ko) 2020-03-02 2020-03-02 HopQ를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078A KR102370176B1 (ko) 2020-03-02 2020-03-02 HopQ를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043A KR20210111043A (ko) 2021-09-10
KR102370176B1 true KR102370176B1 (ko) 2022-03-03

Family

ID=7777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078A KR102370176B1 (ko) 2020-03-02 2020-03-02 HopQ를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1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9346A (ja) * 2016-07-20 2019-10-17 テクニシェ ユニバーシタット ミュンヘン H.ピロリ感染の予防又は治療に関する作用物質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9346A (ja) * 2016-07-20 2019-10-17 テクニシェ ユニバーシタット ミュンヘン H.ピロリ感染の予防又は治療に関する作用物質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043A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923B2 (en) Method using slit-robo system to treat sarcopenia
RU2680527C1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кальциноза клапана, содержащие dpp-4 ингибитор
KR20170083997A (ko) 암 줄기세포 치료용 조성물
KR101579008B1 (ko) ERR-γ 저해제를 포함하는, 망막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9432121B (zh) 岩藻聚糖在制备抑制lox-1信号途径药物中的应用
US11571460B2 (en) Composition including melittin for removing M2-type tumor-associated macrophage
KR102370176B1 (ko) HopQ를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JP4167061B2 (ja) 成長因子fgf−2の活性化の変化によって起こる疾患の治療のための長いペントラキシンptx3の使用
KR102563495B1 (ko) 스테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38412A (ko)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KR20150143190A (ko) Pdk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및 pdk 억제제의 용도
MXPA05005307A (es) Metodo para el tratamiento del infarto al miocardio.
KR101540319B1 (ko) cyb5R3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70707B1 (ko) Ucm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9013B1 (ko) 멜라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18953B1 (ko) 골손실의 완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092843B1 (ko)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118116B1 (ko) Foxp3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나노입자 및 이의 용도
JP2019535721A (ja) 抗癌剤としての選択的c−FLIP阻害剤
KR101844816B1 (ko) 구아나벤즈를 포함하는 식욕부진증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194537B1 (ko) 피어스 1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치료 또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75778B1 (ko) Ptp4a1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8141B1 (ko) 클라스린 발현 저해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파브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5500836A (ja) 腫瘍増殖の抑制または防止に使用されるオステオポンチン変異体、およびそうしたオステオポンチン変異体を含む組成物
TW202135805A (zh) 含有作為活性成分之去鎂葉綠素酸化合物的用於預防或治療纖維化的藥學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