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412A -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412A
KR20200038412A KR1020190116680A KR20190116680A KR20200038412A KR 20200038412 A KR20200038412 A KR 20200038412A KR 1020190116680 A KR1020190116680 A KR 1020190116680A KR 20190116680 A KR20190116680 A KR 20190116680A KR 20200038412 A KR20200038412 A KR 20200038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ells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sen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110B9 (ko
KR102248110B1 (ko
Inventor
신민정
김현수
정인혁
유은혜
정지형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3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110B1/ko
Publication of KR10224811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11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은 세포외 ATP 방출 효과를 가지며, 다양한 암세포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항암 효능을 발휘하므로, 강력한 항암제의 활성성분으로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Anti-Cancer Composition Comprising IF1}
본 발명은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함유하는 항암용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암세포 증식 억제, 세포외 ATP 방출 증가, 암세포 이동 억제, 암세포 사멸 유도 또는 암세포의 자가포식 반응 유도의 효과를 가지는 IF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환경의 악화와 노년인구의 증가로 세계 암 발생률이 매년 5%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전체 사망원인 중 암에 의한 사망은 4명 중 1명꼴이며, 이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암의 유발 인자인 발암물질로는 흡연, 자외선, 화학물질, 음식물, 기타 환경인자들이 있으나, 그 유발 원인이 다양하여 치료제의 개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치료제의 효과 또한 각기 다르다.
현재 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적 수술요법, 화학요법, 생물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화학요법은 흔히 말하는 약물요법으로서 핵산 알킬화제, 대사 길항제, 천연물, 호르몬제 등의 합성된 화학물질을 이용한 것이며, 생물요법은 우리 몸이 원래 가지고 있는 면역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증진시켜 암세포의 활동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암의 진행을 막는 것으로서, 사이토카인, 면역요법제, 유전자 치료제, 암백신, 신생혈관형성 억제제 등이 있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방법들을 단독 혹은 병용하여 치료에 응용하고 있으나, 치료제로 사용되는 물질들은 상당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서, 부작용, 약제내성, 재발 등으로 완벽한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암의 발생 후 이의 치료뿐 아니라, 암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독성이 적고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한편, IF1은 ATPase의 기능을 방해하는 주요한 단백질로서 인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어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ATP 생성 및 분해를 조절하는 타겟으로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Campanella et al., Cell Metab , 8:13-25, 2008). IF1은 다양한 세포 및 이에 상응하는 암세포에서의 과발현이 관측되고 있으나, 각 세포주마다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인체 내 IF1에 의한 영향이 조직 특이적으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내포한다. IF1 단백질을 표적하는 항체를 이용한 이전 연구결과에서는 위 (stomach), 심장, 간 및 자궁내막 (endometrium)과 신장의 상피세포에서는 높은 수준의 IF1 발현을 볼 수 있었다. 이와 달리, 위 (gastric), 폐, 유방, 결장 (colon), 난소 세포에서의 IF1 수준은 정상세포에 비해 암세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유전자 레벨에서의 IF1 발현도는 같은 경향성을 띄지 않았다. 결장 (colon) 및 유방에서는 정상세포에 비해 암세포의 IF1 mRNA 발현도가 증가하였으나, 폐 및 난소에서는 정상세포에서 더욱 높은 발현도를 나타냈다 (Maria et al., Oncogenesis 2.4: e46, 2013; Laura, et al.,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jbc-M110, 2010)
또한, IF1의 타겟인 ATPase는 미토콘드리아를 벗어나 다양한 세포타입의 세포막에서도 발현되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HUVEC, BCE (Bos taurus eye; 소 눈), A549 (lung carcinoma; 폐암), SNU-C5 (human stomach; 인간 위), THP-1 (monocytic cell; 단핵세포), HepG2 (liver; 간), CEM (Human leukemia cell; 인간 백혈병 세포), BAEC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 소 대동맥 내피세포), 편도체 (amygdal), 신경아세포종 (Neuroblastoma) B103, C6 별아교세포종 (astrocytoma), daudi (human lymphoma; 인간 림프종), 섬유아세포 (fibroblast), MOLT-4 T 세포, 3T3-L1, HaCaT (immortal keratinocyte; 불멸화 케라틴 세포), 유방암, 143B (osteosarcoma; 골육종), 293T (kidney; 신장), 심장, 비장, 흉선, 골격근에 존재한다 (Lyly, Annina, et al., Human molecular genetics 17.10: 1406-1417, 2008). 상기 기술된 모든 세포주 및 조직은 각각 존재하는 ATPase의 subunit이 다르므로 IF1의 주입시 인체 내 조직별 기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IF1은 세포막의 F1-ATPase와 결합하게 되고 해당효소의 ATP 분해를 저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세포외액의 ATP (extracellular ATP. exATP)양을 증가시키며, 이렇게 증가된 exATP는 관련 퓨린성 신호전달을 촉발시키는 기전을 통해서 암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고 효과가 우수한 암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IF1 재조합 단백질이 다양한 암 세포주에 대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 세포외 ATP 방출 증가, 암세포 이동 억제, 암세포 사멸 유도 또는 암세포의 자가포식 반응 유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세포 증식 억제, 세포외 ATP 방출 증가, 암세포 이동 억제, 암세포 사멸 유도 또는 암세포의 자가포식 반응 유도에 따른 면역체계 활성화, 항암 및 암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또는 암전이 억제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은 다양한 암세포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 세포외 ATP 방출 증가, 암세포 이동 억제, 암세포 사멸 유도 또는 암세포의 자가포식 반응 유도 효과를 나타내어 항암 및 암전이 억제 효능을 발휘하므로, 강력한 항암제의 활성성분으로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IF1 처리 후 간암 및 유방암 세포주에서 세포외 ATP 방출 증가를 확인한 것이다. *p<0.01 compared with basal level.
도 2는 IF1 처리에 의한 4가지 암 세포주의 증식 억제 효과를 MTT, CVS 분석을 통해 나타낸 것이다. (A) 및 (B)는 24시간 및 48시간에서의 MTT 분석에 의한 4가지 세포주의 결과이며, (C)는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에서 MTT 분석에 의한 6, 24, 48시간의 결과이다. (D)는 CVS분석을 이용한 48시간 IF1 처리의 상대적 세포 생존률을 측정한 것이다. * P < 0.05, ** p<0.01, *** p<0.001 and *** p<0.0001 compared with each control group.
도 3은 IF1 처리에 의한 암세포 이동성의 억제효과를 migration assay를 통해 IF1(1ug/ml, 10ug/ml) 48시간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IF1 처리에 의한 세포사멸 유도를 caspase 3/7 활성도 증가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 P < 0.05, ** p<0.01, *** p<0.001 and *** p<0.0001 compared with each control group.
도 5는 IF1에 의한 (A) Akt, mTOR 활성 및 (B) LC3B 단백질의 발현도 저하를 western blot을 통해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IF1의 PI3K를 통한 세포증식 억제 및 사멸효과를 PI3K 억제제를 이용해 확인한 것이다.
도 7은 IF1에 의한 ER stress 유도를 sXBP1의 발현도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 P < 0.05, ** p<0.01, *** p<0.001, **** p<0.0001 compared with each control group.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ATPase inhibitory factor 1 (이하 IF1)은 84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9.6-kDa basic 단백질이고, ATP5IF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 ATPase는 F0, F1 domain과 central, pheripheral stalk로 구성되며 여러 subunit으로 세분화된다. IF1은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ATP synthesis 합성 및 분해에 관여하는 F1Fo ATP synthase (multi-subunit, membrane-bound assembly)에 결합하게 된다. IF1이 세포막 (plasma membrane)에 위치하는 F1-ATPase subunit과 결합하고, 이때 F1-ATPase 활성 조절로 ATP 가수분해가 억제됨으로 인해 세포외액의 ATP (extracellular ATP, exATP) 증가를 유발한다. IF1은 hypoxia 시에 F1Fo ATP synthase에 결합, ATP 분해를 저해함으로써 ATP 손실을 막게 되고, 따라서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암세포 등에서 관찰되는 endogenous IF1의 과발현 및 F1Fo ATP synthase 발현 저하는 해당과정 증가 등의 에너지 대사 리프로그래밍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저하를 병태생리로 하는 질환에서 IF1의 과발현 및 F1Fo ATP synthase 발현 저하가 관찰되지만, IF1을 외부에서 주입하여 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기작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암 예방 기전에서 면역개선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데, IF1에 의한 exATP의 증가는 면역 시스템의 활성에 있어 구심점이 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증가된 exATP 농도는 인체 내 위험신호와 같은 기능을 하여 단핵구의 P2Y2 수용체의 활성을 통해 식균 작용 (phagocytose)을 유발하거나 Toll-like receptors (TLRs), 혹은 NOD-like receptors (NLRs)을 이용해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인플라마솜 (inflammasome)의 소집은 그 downstream의 하나로서 NLRP3 (또는 NALP3) P2X7을 통한 퓨린성 신호전달에 의한 인플라마솜의 활성화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선천적 면역체계를 통해 IL-1β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카스파제-1 의존적인 성숙 (maturation)을 이끌어 낸다 (Piccini, Alessandra, et al., PNAS 105.23: 8067-8072, 2008). 따라서, IF1의 외부적 주입은 해당 세포의 세포막에서 ATP 방출을 통해 이러한 면역체계의 조절역할을 하며 파라크린 (paracrine) 및 오토크린 (autocrine) 기능을 모두 실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면역세포인 B 세포의 증식, NK 세포의 이동 및 T 세포 면역반응 또한 exATP에 의해 조절되므로 IF1 처리는 면역반응을 기전으로 하는 여러 암종의 예방과 더불어 퓨린성 시스템 신호전달이 면역체계를 이용한 암 치료에 이로운 작용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 IF1 전체 mRNA 서열 (NCBI No. NM_007512.3)을 바탕으로 GST-tag를 포함한 IF1의 DNA data를 클로닝을 통하여 재조합 단백질 (서열번호 1)을 생산하고, 몇몇 암세포주 (간암 세포주, HepG2; 유방암 세포주, MDA-MB-231, T47D; 자궁경부암 세포주, HeLa)에 재조합 IF1을 처리하여 암세포의 증식억제 및 세포사멸을 확인하였다. 또한, 암세포에 IF1 처리후 배지내 ATP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과 암세포의 이동 (migration)이 억제되는 것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관점에서,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암"이란 "예방" 및 "치료"를 포함하며, 여기서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암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암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전이"란 암 또는 악성 종양이 발병한 장기에서 떨어진 다른 조직으로 전파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F1은 암세포의 증식 억제, 암세포의 세포외액 ATP 방출 증가, 암세포 이동 (migration) 억제, 암세포 사멸 유도 또는 암세포의 자가포식 반응 유도를 통해 항암 또는 암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ATP의 세포외 방출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일반적인 암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간암, 유방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식도암, 난소암, 골암, 선암종,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뇌종양, 척수종양, 혈액암, 결장암, 피부암, 두부암, 두경부암, 흑색종, 소장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 질암, 음문암,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임파선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신장골반암, 뇌암,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뇌간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하루 동안 10 내지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으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내지 3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의약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으로서 멸균 주사용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이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예, 트윈 80)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본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될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무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중의 멸균 주사용액 또는 현탁액(예, 1,3-부탄디올중의 용액)일 수 있다. 허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만니톨, 물, 링겔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불휘발성 오일이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자극성이 적은 어떠한 불휘발성 오일도 사용할 수 있다.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와 같은 지방산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천연오일(예,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 특히 이들의 폴리옥시에틸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주사 제제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실온에서 고형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상인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는 목적하는 치료가 국소 적용으로 접근이 용이한 부위 또는 기관과 관련이 있을 때 특히 유용하다.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의약 조성물은 담체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성분을 함유한 적합한 연고로 제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국소 투여하기 위한 담체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유, 유동 파라핀, 백색 와셀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유화 왁스 및 물이 포함된다. 다른 방도로서, 의약 조성물은 담체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적합한 로션 또는 크림으로 제형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유,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솔베이트 60, 세틸 에스테르 왁스, 세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카놀, 벤질 알코올 및 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또한 직장 좌제에 의해 또한 적합한 관장제로 하부 장관으로 국소 적용할 수 있다. 국소 적용된 경피 패치가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비내 에어로졸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제의 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에 따라 제조하며 벤질 알코올 또는 다른 적합한 보존제, 생체이용율을 증강시키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기타 본 분야에 알려진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염수중의 용액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제제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최종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치료 또는 전이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암의 예방, 치료 또는 전이 억제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암의 예방, 치료 또는 전이 억제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암이 이미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암 치료는 암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포유 동물에 적용이 가능하며, 그 예로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 가축을 제한없이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들의 투여 경로는 약물이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강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 내 투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또는 암전이 억제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암"이란 "예방" 및 "개선"을 포함하며, 여기서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암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전이"란 암 또는 악성 종양이 발병한 장기에서 떨어진 다른 조직으로 전파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F1은 암세포의 증식 억제, 암세포의 세포외액 ATP 방출 증가, 암세포 이동 (migration) 억제, 암세포 사멸 유도 또는 암세포의 자가포식 반응 유도를 통해 항암 또는 암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ATP의 세포외 방출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일반적인 암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간암, 유방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식도암, 난소암, 골암, 선암종,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뇌종양, 척수종양, 혈액암, 결장암, 피부암, 두부암, 두경부암, 흑색종, 소장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 질암, 음문암,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임파선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신장골반암, 뇌암,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뇌간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츠 등), 식용식물유지, 마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식품 또한, 식품조성물로써 기능성 식품, 영양보조제, 건강식품, 식품 첨가제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 예컨대,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차, 쥬스,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분말화 하거나,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을 음료, 과실 및 가공식품, 어유, 육류 및 그 가공식품, 빵류, 면류, 조미료 등 각종 식품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세포외액 ATP 방출 측정
유방암 (MDA-MB-231, MCF7, T47D), 간암 (HepG2), 자궁경부암 (HeLa) 세포주는 10% FBS, 1% penici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배지로 37℃, 5%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IF1 처리에 따른 세포외액 ATP 방출 측정은 CellTiter-Glo Luminescent Assay kit (Promega, Madison, WI,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간암 세포주인 HepG2 세포 또는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 (3×104 세포/웰)에 IF1 (100 ng/mL) 처리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BSA/DMEM 배지로 10초, 30초, 1분, 5분, 10분 및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각 배지를 수거하여 luminescent 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IF1 처리에 의해 배지 내에서 빠르게 ATP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1). 이러한 증가는 HepG2 세포의 경우는 5분 정도, MDA-MB-231 세포의 경우는 10 분 정도 지속 후에 basal level 로 되돌아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시험관 내 암세포 증식 및 사멸 분석
IF1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증식억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MTT (3-(4,5-디메틸티아졸릴-2)-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분석과 CVS (Crystal violet solution assay)를 실시하였다. MTT와 CVS 분석법은 살아있는 세포의 생육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MTT는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환원효소에 의한 MTT 환원을 이용하고, CVS는 세포가 죽는 과정에서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지며 crystal violet 염색도가 떨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능을 측정하는 것이다.
각각의 암 세포주 (HepG2, MDA-MB-231, T47D, HeLa)를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밤새 배양한 후, 다음날 무혈청 배지로 교환하여 다시 밤새 배양하였다. IF1을 농도별로 각각 대조군, 6h, 24h, 48h (MDA-MB-231 세포주) 동안 처리하였다. IF1 처리가 끝난 플레이트는 PBS를 이용해 2번 세척하고, MTT 용액을 배지에 1:40의 비율로 섞어 각 웰에 200 ㎕씩 첨가하였다. 호일로 플레이트를 감싸 빛을 차단하고, 플레이트 바닥이 보라색이 될 때까지 37℃ 5% CO2 인큐베이터에 보관하였다. 이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DMSO 200 ㎕를 각 웰에 첨가하여 상온의 쉐이커에 5분간 정치하였다. 각 웰의 용액은 다시 새로운 플레이트로 옮겨 ELISA 리더를 통해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 세포를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세포증식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4가지 종류의 암 세포주 (HepG2, MDA-MB-231, T47D, HeLa) 모두 IF1 처리에 의해 24h, 48h에서 세포증식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A 및 2B). 또한,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의 경우, 24h부터 48h까지 유의하게 세포증식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2C).
MDA-MB-231 유방암 세포주는 추가적으로 CVS 염색을 통해 세포 생존능을 평가하였다. 12-well 플레이트에 접종한 유방암 세포는,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0.5%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 IF1 (500nM, 1uM)를 첨가하여 37℃, 5% CO2-에서 48h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는 25% 메탄올과 0.5% crystal violet 용액을 이용해 염색하였다. PBS로 3번 세척 후, 1% SDS로 녹인 용액을 570nm 흡광도에서 측정하고, 이를 3번 반복하여 평균을 내었다.
그 결과, IF1의 농도에 따라 48h에서 대조군 대비 세포증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D).
실시예 3: IF1 처리에 의한 암세포 이동성 (migration) 억제효과
인체 내에서 암세포는 그 특성과 미세환경의 조성을 통해 건강조직에 이동하여 전이를 일으킨다. 암세포의 전이는 정상조직의 암조직화를 의미하기에, 세포이동성 실험을 통해 IF1의 암세포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6-well plate에 배양한 MDA-MB-231 세포는 각 well마다 한방향의 스크래치를 낸 후, IF1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48시간이 되었을 때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IF1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빈공간으로 이동한 세포의 수가 적어져, IF1이 암세포의 이동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실시예 4: 세포 사멸(apoptosis)의 측정
IF1의 항암 효과에 있어 세포사멸 (apoptosis)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Caspase 3/7 활성도 검사를 진행하였다. 캐스페이즈 (caspase)는 세포 외, 내부적 요인에 의해 활성화되어 세포사멸과 관련된 효소들의 반응을 촉진하는 단백질로, Caspase 3/7의 활성도는 세포사멸과 직결되는 주요한 마커이다.
96-well 플레이트에 접종된 MDA-MB-231 세포에 IF1과 0.5% FBS를 포함하는 DMEM을 처리하여, 48h 동안 배양하였다. 이는 Promega사의 caspase-Glo 3/7 assay kit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luminometer를 이용하여 luminescene을 측정하였다.
반복실험을 통하여 평균을 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IF1의 처리가 caspase 3/7 활성도를 증가시킴으로 인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유방암세포의 생존을 저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실시예 5: 세포 자가포식 ( Autophagy )의 측정
IF1의 항암 효과에 있어 자가포식 (Autophagy)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 및 MTT assay를 실행하였다. mTOR는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하나로서, 자가포식과 관련된 주요한 요소이다. mTOR는 세포가 스트레스환경에 처하거나 영양성분의 보급이 어려워지면 세포 내에서 조절되는데, 특히 이는 세포외부에서 오는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PI3K/AKT 신호경로에 의해 저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F1과 상기 자가포식 관련 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S6 (mTOR 복합체 구성요소), AKT, LC3B 단백질의 인산화 및 발현도를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에서 웨스턴 블롯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IF1의 처리는 48시간 이후 Akt와 S6 단백질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활성을 낮췄으며 (도 5A), 자가포식 마커인 LC3B의 발현도가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5B).
또한, 자가포식반응이 IF1의 항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시행한 MTT asssay에 IF1과 PI3K/AKT의 억제제인 LY294002를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에 동시에 처리하였다.
그 결과, LY294002의 처리는 IF1의 항암 효과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mTOR조절에 의한 자가포식 활성이 IF1의 신호경로 대상임을 확인하였다 (도 6).
실시예 6: IF1의 처리에 의한 ER 스트레스 유도
ER (Endoplasmic reticulum)은 세포내 단백질의 접힘과 변형 (modification) 및 운송을 담당함으로써,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소기관이다. 최근, 암세포에서 ER stress가 일어날 시 세포사멸 및 자가포식 작용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받고 있다. ER stress의 유발은 UPR (Unfolded protein response)을 통해 항암작용을 일으키는데, 이때 XBP1이 RNase 작용에 의해 잘려, sXBP1가 되는 현상에 의해 신호전달이 이루어진다.
이에, IF1과 ER stress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에 IF1을 6h, 24h, 48h동안 처리하여 sXBP1의 mRNA 발현도를 관찰하였다 (도 7).
그 결과, 6h, 24h에서에서 sXBP1이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IF1에 의한 항암 효과가 ER stress와 관련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120> Anti-Cancer Composition Comprising IF1 <130> P19-B200 <150> KR 10-2018-0117694 <151> 2018-10-02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8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IF1 <400> 1 Val Ser Asp Ser Ser Asp Ser Met Asp Thr Gly Ala Gly Ser Ile Arg 1 5 10 15 Glu Ala Gly Gly Ala Phe Gly Lys Arg Glu Lys Ala Glu Glu Asp Arg 20 25 30 Tyr Phe Arg Glu Lys Thr Lys Glu Gln Leu Ala Ala Leu Arg Lys His 35 40 45 His Glu Asp Glu Ile Asp His His Ser Lys Glu Ile Glu Arg Leu Gln 50 55 60 Lys Gln Ile Glu Arg His Lys Lys Lys Ile Gln Gln Leu Lys Asn Asn 65 70 75 80 His

Claims (10)

  1.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F1은 암세포의 증식 억제, 암세포의 세포외액 ATP 방출 증가, 암세포 이동 (migration) 억제, 암세포 사멸 유도 또는 암세포의 자가포식 반응 유도를 통해 항암 또는 암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액 ATP 방출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유방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식도암, 난소암, 골암, 선암종,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 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뇌종양, 척수종양 및 혈액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또는 암 전이 억제용 기능성 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F1은 암세포의 증식 억제, 암세포의 세포외액 ATP 방출 증가, 암세포 이동 (migration) 억제, 암세포 사멸 유도 또는 암세포의 자가포식 반응 유도를 통해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액 ATP 방출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유방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췌장암, 위암, 식도암, 난소암, 골암, 선암종,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 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뇌종양, 척수종양 및 혈액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10. 제6항에 있어서,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KR1020190116680A 2018-10-02 2019-09-23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KR102248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694 2018-10-02
KR20180117694 2018-10-02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412A true KR20200038412A (ko) 2020-04-13
KR102248110B1 KR102248110B1 (ko) 2021-05-06
KR102248110B9 KR102248110B9 (ko) 2022-03-15

Family

ID=7005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680A KR102248110B1 (ko) 2018-10-02 2019-09-23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86822A1 (ko)
KR (1) KR102248110B1 (ko)
CN (1) CN113573725A (ko)
WO (1) WO2020071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4744B (zh) * 2019-09-29 2022-06-28 新乡医学院 Atpif1基因沉默的t细胞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CN114752615B (zh) * 2022-04-21 2023-09-22 新乡医学院 过表达atp5if1基因的靶向cd19的car-t细胞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835A (ja) * 1999-11-10 2003-09-24 マイトコー Atpシンターゼにおける調節内因性インヒビター
KR20180033108A (ko) * 2016-09-23 2018-04-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0714A (en) * 1989-08-29 1993-08-31 Rof Jose M S Non-digoxin-like Na+, K+ -ATPase inhibitory factor
AU6037898A (en) * 1997-01-31 1998-08-25 Incyte Pharmaceuticals, Inc. Novel human atpase inhibitor protein
US20030026781A1 (en) * 1999-11-10 2003-02-06 Mitoko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gulating endogenous inhibitor of ATP synthase, including treatment for diabetes
US20040072739A1 (en) * 1999-11-10 2004-04-15 Anderson Christen 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gulating endogenous inhibitor of ATP synthase, including treatment for diabetes
US20060135468A1 (en) * 2004-09-02 2006-06-22 Bionaut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refractory cancers using NA+/K+ ATPase inhibitors
US20100190845A1 (en) * 2009-01-26 2010-07-29 National Taiwan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cancer using atp synthase inhibitors
CN103097397B (zh) * 2010-05-30 2015-11-25 多伦多大学管理委员会 作为抗癌化合物载体的线粒体穿透肽
US20150065556A1 (en) * 2013-08-05 2015-03-05 Whitehead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Therapeutic targets for mitochondrial disorders
US20150064714A1 (en) * 2013-08-28 2015-03-05 Lifesearch Polypeptides containing a modified fragment of the peptide IF1
US20180143199A1 (en) * 2016-11-23 2018-05-2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of identifying glioblastoma patients as susceptible to anti-angiogenic therapy using quantitative imaging features and molecular profiling
JP2020536045A (ja) * 2017-01-17 2020-12-10 デイヴィッド フォレスト マイケル Atp合成酵素のリバースモードの治療的阻害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835A (ja) * 1999-11-10 2003-09-24 マイトコー Atpシンターゼにおける調節内因性インヒビター
KR20180033108A (ko) * 2016-09-23 2018-04-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2015, 70: 90-96 *
Oncogenesis, 2013, 2, e46, 1-11 *
Oncology Letters, 2018, 16.4: 5230-523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110B9 (ko) 2022-03-15
KR102248110B1 (ko) 2021-05-06
WO2020071795A1 (ko) 2020-04-09
US20210386822A1 (en) 2021-12-16
CN113573725A (zh)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923B2 (en) Method using slit-robo system to treat sarcopenia
KR102090383B1 (ko) 플로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8110B1 (ko)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KR20180130090A (ko) 전이성 난소암,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4986B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15390B1 (ko) 계혈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3235A (ko) 강글리오사이드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eoung et al. Synergistic effects of autocrine motility factor and methyl jasmonate on human breast cancer cells
KR102374440B1 (ko) 후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0557B1 (ko) 아플리쿠로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40319B1 (ko) cyb5R3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37918A (ko) 아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40336135A1 (en) Novel use of rhododendrin
KR101941368B1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0305B1 (ko) 아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18286A (ko) 다이알릴 다이설파이드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4264B1 (ko) 익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49013B1 (ko) 멜라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67715A (ko) 나린제닌 및 trail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90000031A (ko) 홍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12182A (ko) 칸타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5363B1 (ko) C12orf59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34528A (ko) 멜라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32332A (ko) 티모퀴논을 포함하는 흑색종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08175A (ko) 피크노제놀과 trai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