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545A -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545A
KR20170035545A KR1020150134517A KR20150134517A KR20170035545A KR 20170035545 A KR20170035545 A KR 20170035545A KR 1020150134517 A KR1020150134517 A KR 1020150134517A KR 20150134517 A KR20150134517 A KR 20150134517A KR 20170035545 A KR20170035545 A KR 20170035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thdrawal
deposit
portable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445B1 (ko
Inventor
박경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riority to KR102015013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445B1/ko
Priority to PCT/KR2016/010676 priority patent/WO2017052276A1/ko
Publication of KR2017003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은, 카드리더를 포함하고 하기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MIN카드를 인식하면 상기 MIN카드 정보를 하기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현금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 입출금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입출금 처리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로 입출금 승인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한 MIN카드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명령을 수신한 다음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입출력장치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출금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ED TELLER MACHINE SERVICE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MIN카드와 사용자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거래정보를 표시하고 입력받아 자동현금입출금기(ATM)와 서버 사이에 인증을 진행하는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현금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는 입출금과 관련된 작업을 처리하는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처리장치와, 입출금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계좌번호나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구성되는데, 표시장치로 통상의 터치패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력장치의 역할까지 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ATM의 전면부에는 카드나 통장, 현금의 출입구 등 각종 출입구가 존재하고, 이러한 ATM을 이용하여 현금을 출금하는 경우에, 통장이나 현금카드를 ATM의 출입구에 투입하고, 입출금 여부와 거래금액, 비밀번호를 ATM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면 처리장치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확인을 거친 후 현금을 현금출입구를 통해 배출하는 방식으로 현금 출금이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표시장치와 입력장치가 ATM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주변사람들에 의해 그 입력내용이 쉽게 파악될 수 있고 어떤 카드로 입출금이 진행되었는지도 알 수 있으므로, 현금카드나 통장을 도난 당하는 경우에 이렇게 알아낸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손쉽게 출금이 가능하여 도난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입출금을 위해서 통장이나 현금카드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므로 통장이나 현금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ATM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현금카드나 통장 대신 도난의 경우에도 도용의 위험이 적은 MIN카드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ATM을 이용할 수 있는 출금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은, 카드리더를 포함하고 하기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MIN카드를 인식하면 상기 MIN카드 정보를 하기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현금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 입출금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입출금 처리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로 입출금 승인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한 MIN카드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명령을 수신한 다음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입출력장치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출금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MIN카드를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카드리더에 인식시키고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는 서버로 상기 MIN카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MIN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MIN카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다음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화면을 통해 입출금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출금정보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금융정보가 저장된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거래정보를 상기 저장된 금융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로 입출금 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장이나 현금카드 없이 전화번호 정보만 저장된 MIN카드와 휴대단말로 자동현금 입출금기를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과, 휴대단말의 입출력 기능을 이용하여 입출금에 관한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자동현금입출금기의 화면 터치나 버튼입력에 따른 비밀번호 노출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MIN카드를 분실해도 도용의 위험이 적어지는 등 보안을 더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은 자동현금입출금기(110), 휴대단말(120) 및 서버(130)로 구성된다.
자동현금입출금기(110)는 카드리더 등 카드 인식기를 포함하고 있어 전화번호 또는 개인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카드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서버(130)와의 통신을 통해 입출금 거래에 필요한 정보들을 교환하고 서버(130)로부터 승인번호를 전달받으면 현금을 직접 출금하거나 입금받는다. 이때 자동현금입출금기(110)는 현금 대신 일정액의 선불카드, 상품권, 기프트카드, 복권 등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MIN카드를 자동현금입출금기(110)의 카드인식기에 인식시키면 자동현금입출금기(110)는 MIN카드의 정보와 자동현금입출금기(110)의 정보를 서버(130)로 전달한다.
이후 입출금정보나 회원정보 등은 휴대단말(120)과 서버(130) 사이에 직접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고 자동현금입출금기(110)는 서버(130)로부터 승인처리에 따른 승인번호를 전달받아 현금을 출금하거나 전술한 선불카드나 상품권 등을 출력한다.
휴대단말(120)은 입출금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 등이 설치되고 입출금 정보의 표시와 입력을 위한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등의 기기로 사용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이용을 위해 미리 설치되어있어야 하나 Push 방식으로 명령을 받은 후 설치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 최초 실행 시에만 입출금 서비스를 위한 금융기관명, 계좌번호 동의 계좌정보와 자동입출금서비스 이용을 위한 회원정보 등을 설정해 두고 이후에는 이러한 정보들을 입력하지 않고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다.
자동현금입출금기(110)로부터 MIN카드 정보를 전달받은 서버(130)는 MIN카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휴대단말 전화번호나 개인식별번호를 확인하고, 개인식별번호를 전달받은 경우에는 서버(130)나 다른 인증서버에 저장된 개인식별번호를 수신한 개인식별번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다음, 해당번호의 휴대단말로 Push 방식으로 휴대단말(120)의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송신하게 된다.
명령을 수신한 휴대단말(12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그 화면에서 입출금에 관한 정보들을 표시하고 터치인터페이스나 휴대단말(120)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기 때문에 자동현금입출금기(110)에는 표시장치나 입력장치가 없이도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단말(120)은 서버(130)와 거래에 필요한 정보들을 주고받는데, 휴대단말(120)의 위치와 고유번호, 전화번호,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의 고유번호 등 위, 변조 방지를 위한 정보들과, 입출금 금융기관명이나 금융기관의 고유코드, 입출금 금액, 비밀번호 등 입출금과 관련된 정보들을 교환한다.
휴대단말(120)의 화면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거래할 금융기관, 계좌번호, 거래금액, 비밀번호 입력 창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각각을 터치하면 입출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화면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비밀번호 입력 창은 가변키패드가 적용되고, 추가적인 보안의 강화를 위해 지문인식, 서명인식,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인식이나 홍채인식 등의 추가 인증수단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휴대단말의 맥박센서와 습도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거짓말 탐지기와 같이 부정사용에 따른 맥박수의 상승과 땀 배출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도난이나 협박에 의한 인출 등의 경우를 감지하여 출금을 차단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한 입출금 정보들을 서버(130)로 전달하면 서버(130)가 정보들을 종합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서버(130)는 서비스 이용자의 회원정보와 금융기관의 계좌정보 등을 저장해 두고 휴대단말(120)이나 자동현금입출금기(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의 진위 판단을 위해 사용한다.
수신한 정보들이 진정한 것이라 판정되면 거래를 승인하여 자동현금입출금기(110)로 승인번호를 전송하여 입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데, 도 1과 달리 자동입출금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사업자 서버(230)와 금융기관 서버(240)로 구성된다.
전술한 시스템과 달리, 자동현금입출금기(210)의 기기정보나 자동입출금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정보, 인증한 휴대단말(220)의 정보 등을 서비스사업자서버(230) 저장해 두고 이를 비교하여 정상적인 거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금융기관 서버(240)는 금융기관명, 계좌번호, 입출금액, 비밀번호 등 입출금과 관련된 정보만을 저장하고 판단하여 승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시스템 구성을 통해 자동현금입출금기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거래를 위한 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 휴대단말에 표시되고 휴대단말을 통해 입력되므로 도난이나 보이스피싱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현금카드나 통장 등을 가지고 다니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현금입출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자동입출금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서비스 이용을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의 휴대단말의 전화번호 정보나 개인식별번호를 포함하는 MIN카드를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카드리더에 인식시킨다(S310). MIN카드를 인식한 자동현금입출금기는 자동현금입출금기의 금융기관명, 지점명, 기기고유번호, 위치 등의 정보와 MIN카드의 정보를 서버로 전달한다(S312).
서버는 전달받은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정보와 MIN카드의 정보를 체크하여 사용자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획득한다.MIN카드의 정보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있으면 이를 사용하고, 개인식별번호만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나 다른 인증서버에 저장된 개인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MIN카드 정보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입출금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명령을 Push 방식으로 전달한다(S314).
휴대단말은 이를 전달받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의 해킹등 변조 확인을 위한 앱 고유의 정보와 현급입출금 서비스 이용을 위한 회원정보, 휴대단말의 기기번호나 전화번호, 위치정보 등을 서버로 전달한다(S318).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휴대단말의 화면은 도 5와 같이 입출금을 위한 은행명이나 출금액, 비밀번호 입력칸 등이 나타난다. 보안을 위해 계좌번호나 공인인증서정보 등은 어플리케이션 최초 실행 시 1회만 입력하고 입출금 화면에는 나타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입출금액을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S320) 보안을 위해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가변키패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보안 강화를 위해 비밀번호 입력과는 별도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명이나 지문입력, 휴대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인식이나 홍채인식 등의 추가적인 인증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강도의 위협을 받는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제대로 입력하면 현금 등을 빼앗길 수 있고, 비밀번호를 계속 틀리는 경우에 강도로부터 사용자가 폭력 등의 신체적 위험을 당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미리 제2의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이러한 위험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험상황에서 제2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휴대단말이나 자동현금입출금기에서는 정상적으로 출금이 진행되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금융기관이나 경찰 등에 자동으로 연락이 취해져 범인 검거를 위한 출동이나, 현금인출기 주변의 CCTV 녹화 등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위험상황인 경우에 자동현금입출금기에서는 실제 현금이나 상품권, 선불카드가 아닌 가짜 현금이나 상품권, 선불카드를 출력할 수 있고, 이들 현금 등에는 강도나 부정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는 GPS칩 등을 설치할 수 있다.
휴대단말에서 입력이 완료되면 은행, 금액, 비밀번호 등의 입출금정보를 서버로 전달한다(S322). 서버는 이를 수신하여 기존에 저장되어있던 계좌번호, 비밀번호와 비교하고, 추가적인 인증수단인 서명, 지문, 얼굴 또는 홍채 등을 저장되어 있던 정보와 비교하여 거래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S324).
또한, 자동현금입출금기의 고유번호 등으로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휴대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해 둔 일정한 거리 이내에 자동현금입출금기와 휴대단말이 위치한 경우에만 거래를 승인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보안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거래가 승인되면 서버는 승인결과인 승인번호를 자동현금입출금기로 전송한다(S326).
승인번호를 전달받은 자동현금입출금기는 승인번호를 체크하고 현금 입출금을 처리한다(S328).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현금 대신 상품권, 선불카드 또는 복권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입출금을 완료하면 자동현금입출금기는 거래내역을 저장하고 또한 서버로 전달하며(S330), 서버는 수신한 거래내역을 통상의 은행거래와 마찬가지로 저장한다(S332).
거래내역 저장이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서버는 거래내역을 휴대단말로 전달하고(S334)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화면을 통해 거래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데, 도 3과 달리 서버가 서비스사업자 서버와 금융기관 서버로 이루어진 경우이다.
사용자가 MIN카드를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카드리더에 인식시키면(S410) 자동현금입출금기는 자신의 정보와 MIN카드 정보를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전달하고(S412), 서버는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정보와 MIN카드의 정보를 체크하고(S414) MIN카드로부터 획득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단말로 Push 방식으로 입출금 앱 실행을 위한 명령을 송신한다(S416).
휴대단말은 명령을 수신한 다음 입출금 앱 정보와 회원정보를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송신하고(S418),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금액, 비밀번호 등의 입출금정보를 입력 받고(S420), 이를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면(S422),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이를 금융기관 서버로 송신하여 입출금 승인을 요청한다(S424).
금융기관 서버는 전달받은 입출금정보를 체크하여 거래를 승인하고(S426) 승인번호를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송신하면(S428),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승인번호를 자동현금입출금기로 전송한다(S430).
승인번호를 수신한 자동현금입출금기는 승인번호를 체크하고 입출금처리를 한다(S432).
입출금처리가 완료되면 자동현금입출금기는 거래내역을 서비스사업자 서버에 전달하고(S434),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거래내역을 저장하고(S436) 금융기관 서버로 다시 전달한다(S438).
거래내역을 전달받은 금융기관 서버는 이를 저장(S440)한 다음 휴대단말로 전달(S442)하여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통해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과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보안이 강화된 입출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자동현금입출금기 120: 휴대단말
130: 서버
210: 자동현금입출금기 220: 휴대단말
230: 서비스사업자 서버 240: 금융기관 서버

Claims (14)

  1. 카드리더를 포함하고 하기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MIN카드를 인식하면 상기 MIN카드 정보를 하기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현금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
    입출금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입출금 처리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로 입출금 승인정보를 송신하는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한 MIN카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전화번호정보 또는 상기 개인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휴대단말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명령을 수신한 다음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입출력장치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출금 정보를 입력받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서비스사업자 서버와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자동입출금서비스 회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입출금 처리를 위한 상기 계좌정보를 저장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각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와 상기 휴대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에만 입출금 거래를 승인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 처리를 위한 정보는,
    거래 금융기관 코드, 거래금액, 비밀번호,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입출력장치에 표시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가변키패드로 구성된 비밀번호 입력창을 포함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사용자의 지문, 서명, 홍채 및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식하기 위한 상기 비밀번호 입력창과 별도의 입력창을 더 포함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현금입출금장치는 상기 입출금 승인정보를 수신한 다음 승인된 금액에 해당하는 현금, 상품권, 선불카드, 티켓 또는 복권을 출력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시스템.
  8. 사용자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를 포함하는 MIN카드를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카드리더에 인식시키고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는 서버로 상기 MIN카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MIN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MIN카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휴대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상기 개인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휴대단말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다음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화면을 통해 입출금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출금정보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금융정보가 저장된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거래정보를 상기 저장된 금융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로 입출금 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IN카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에만 상기 승인정보를 송신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정보는,
    거래 금융기관 코드, 거래금액, 비밀번호,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면은 가변키패드로 구성된 비밀번호 입력창을 포함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화면은 사용자의 지문, 서명 및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식하기 위한 상기 비밀번호 입력창과 별도의 입력창을 더 포함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 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는 상기 승인정보를 수신한 다음 승인된 금액에 해당하는 현금, 상품권, 선불카드, 티켓 또는 복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
  14.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MIN카드를 자동현금입출금기의 카드리더에 인식시키고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는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상기 MIN카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가 상기 MIN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MIN카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입출금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로부터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수신한 다음 상기 입출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화면을 통해 입출금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출금정보를 포함한 거래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가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하고, 금융정보가 저장된 금융기관 서버로 상기 거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정보를 상기 저장된 금융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 또는 상기 자동현금입출금기로 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입출금서비스 방법.
KR1020150134517A 2015-09-23 2015-09-23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28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517A KR101828445B1 (ko) 2015-09-23 2015-09-23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6/010676 WO2017052276A1 (ko) 2015-09-23 2016-09-23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517A KR101828445B1 (ko) 2015-09-23 2015-09-23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45A true KR20170035545A (ko) 2017-03-31
KR101828445B1 KR101828445B1 (ko) 2018-02-13

Family

ID=5838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517A KR101828445B1 (ko) 2015-09-23 2015-09-23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8445B1 (ko)
WO (1) WO20170522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769A1 (ko) * 2017-06-02 2018-12-06 주식회사 우리은행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182409A1 (en) * 2018-03-22 2019-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652B1 (ko) * 2002-05-16 2005-01-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통 통신망을 이용한 안전 금융 거래 방법
JP2008046717A (ja) * 2006-08-11 2008-02-28 Dainippon Printing Co Ltd 携帯端末を利用した決済システム
KR101016829B1 (ko) * 2008-10-10 2011-02-24 엘지엔시스(주)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금융거래 방법
KR20130083815A (ko) * 2012-01-13 2013-07-23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101514706B1 (ko) * 2014-06-26 2015-04-23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가변 키패드와 생체 인식을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550825B1 (ko) * 2015-05-15 2015-09-10 김현민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769A1 (ko) * 2017-06-02 2018-12-06 주식회사 우리은행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182409A1 (en) * 2018-03-22 2019-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KR20190111329A (ko) * 2018-03-22 2019-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인증 방법
US11605145B2 (en) 2018-03-22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445B1 (ko) 2018-02-13
WO2017052276A1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444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3048592B1 (en) Method, device, and self service equipment thereof for card processing in card reader
US8836473B2 (en) Dynamic keypad and fingerprinting sequence authentication
US8910861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including a user-accessible USB port
JP6512272B1 (ja) 端末装置、サービス申込み受付方法、プログラム
CN111292489A (zh) 卡结算终端及卡结算系统
KR20070009457A (ko) 생체인증대응 자동거래장치
JP5864964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US20140316993A1 (en) Mobile terminal, transac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arrying out a transaction at a transaction terminal by means of a mobile terminal
CA2798626A1 (en) Biometric banking machin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2006252110A (ja) 金融取引システム
KR101828445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19672A1 (en)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CN111260843B (zh) 多功能一体化柜员机的实现方法及柜员机
JP6036184B2 (ja) 取引装置、取引方法及び取引システム
WO2017188747A1 (ko) 선승인에 의한 금융거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29647A (ja) 暗証番号運用システム
KR20150084648A (ko) 변하는 핀을 가진 금융 거래
WO2002075676A1 (fr) Dispositif de transaction automatique et son procede
JP2004139604A (ja) 電子財布及び電子マネー
US20220405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banking device
Khan et al. ATM PIN Veri? cation via Smartphones: Securing the Future of Digital Banking in Pakistan
KR20160074313A (ko)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KR101717726B1 (ko) 보안 인증 기능이 강화된 금전 출금 시스템
GB2384098A (en) A pay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