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815A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815A
KR20130083815A KR1020120147115A KR20120147115A KR20130083815A KR 20130083815 A KR20130083815 A KR 20130083815A KR 1020120147115 A KR1020120147115 A KR 1020120147115A KR 20120147115 A KR20120147115 A KR 20120147115A KR 20130083815 A KR20130083815 A KR 20130083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thdrawal
portable terminal
user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양
정훈준
임홍석
김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ublication of KR20130083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은,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service using portab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자동 입출금기(Automatic Teller's Machine, ATM)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를 구비하며, 본체에는 입출금과 관련된 작업을 처리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처리유닛과, 입출금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하도록 마련된 입출력장치 등이 설치된다. 처리유닛의 경우 통상 본체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입출력장치는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다. 입출력장치는 통상의 터치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전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본체 전면의 개구에는 본체의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도어에는 카드출입구 및 현금출입구 등과 같이 처리유닛과 관련된 각종 출입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하여 입출금동작을 수행할 경우, 먼저 고객은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기기의 사용방법에 따라 입출력장치를 가지고 입출금 여부를 선택하고 현금카드 등을 카드출입구에 투입한 후, 다시 입출력장치에 비밀번호와 거래금액을 입력하게 되며, 이어서 처리유닛이 이를 인식한 후 본체 내부의 현금 등을 현금출입구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도어는 통상적으로 본체의 전면 상부 쪽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된 제1 패널부와, 전방을 향하도록 본체 후방 쪽 제1패널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부 쪽으로 절곡 연장된 제2 패널부를 포함하는데, 입출력장치의 경우 고객의 입출력 정보가 다른 사람에게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제1패널부 쪽에 설치되며, 제2 패널부에는 출입구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입출금기는 사용자가 현금카드 또는 통장을 소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자가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목발을 짚고 다니는 장애우인 경우에는 현금카드 또는 통장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몸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금카드 또는 통장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목발을 짚고 다니는 장애우인 경우라 하더라도, 손쉽게 출금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출금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부착물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숫자 키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착물이 NFC 태그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NFC 태그에 접근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상기 부착물이 QR 코드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QR 코드를 스캔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상기 부착물이 숫자 키패드인 경우에, 상기 숫자 키패드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출금액, 상기 ATM의 기기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요청화면은,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금융기관명 화면, 및 상기 금융기관명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금융기관명이 선택된 후에 상기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액 입력화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액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출금액 입력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확인정보는 인증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ATM에 입력되어 상기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ATM의 소속 금융기관 코드와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가 다른 경우에,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1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ATM의 소속 금융기관 코드와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가 다른 경우에,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ATM으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출금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사업자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상기 ATM으로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요청정보는,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ATM의 기기번호, 및 출금요청일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요청정보가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요청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및 상기 ATM의 출금제한시간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지시정보가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고, 상기 출금지시정보가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ATM의 기기번호, 출금지시 요청일시,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할 때, 출금 영수증은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제2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출금액 입력단계;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 및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출금확인정보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출금액 입력단계;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출금인증정보 수신단계; 및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출금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출금확인정보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부착물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숫자 키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착물이 NFC 태그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NFC 태그에 접근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상기 부착물이 QR 코드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QR 코드를 스캔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상기 부착물이 숫자 키패드인 경우에, 상기 숫자 키패드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출금액, 상기 ATM의 기기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금융기관명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금융기관명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금융기관명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출금액 입력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액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출금액 입력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확인정보는 인증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ATM에 입력되어 상기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출금확인정보 수신단계는,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1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출금확인정보 수신단계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제1 호스트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의 이전에는,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ATM으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출금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서비스 사업자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상기 ATM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요청정보는,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ATM의 기기번호, 및 출금요청일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요청정보가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요청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및 상기 ATM의 출금제한시간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출금지시정보가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고, 상기 출금지시정보가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ATM의 기기번호, 출금지시 요청일시,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할 때, 출금 영수증은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제2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화면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화면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출금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화면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출금액 입력단계;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 및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출금확인정보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화면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출금액 입력단계;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출금인증정보 수신단계; 및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출금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출금확인정보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금카드 또는 통장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목발을 짚고 다니는 장애우인 경우라 하더라도, 손쉽게 출금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에 NFC 태그 또는 QR 코드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에 숫자 키패드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금융기관명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액 입력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지시정보 송신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확인정보 수신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확인정보 수신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은,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100),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 제1 금융기관 서버(300), 제1 호스트 서버(400), 서비스사업자 서버(500), 제2 금융기관 서버(600), 및 제2 호스트 서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은, (1) ATM(100)이 소속된 금융기관을 통해 출금하는 경우와, (2) ATM(100)이 소속된 금융기관을 통해 출금하지 않고 타 금융기관을 통해 출금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 (1), (2)의 경우 모두, ATM(100),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 제1 금융기관 서버(300), 서비스사업자 서버(500)가 공통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만, (1)의 경우는 제1 호스트 서버(400)가 더 구성되어야 하고, (2)의 경우는 제2 금융기관 서버(600)와 제2 호스트 서버(700)가 더 구성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하여 (1), (2)의 경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1) ATM(100)이 소속된 금융기관을 통해 출금하는 경우
이 경우는 ATM(100)의 소속 금융기관 코드와 출금 금융기관 코드가 동일하다. 예를 들면, ATM(100)의 소속 금융기관이 KB 은행이라면, 사용자가 출금하고자하는 금융기관은 우리은행인 경우이다.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는 ATM(100)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다. 부착물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숫자 키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부착물이 NFC 태그인 경우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가 NFC 태그에 접근하면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부착물이 QR 코드인 경우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가 QR 코드를 스캔하면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킨다. 그리고, 부착물이 숫자 키패드인 경우에는, 숫자 키패드에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가 입력되면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킨다.
출금요청화면은 ATM(100)의 부착물을 통하여 생성시킬 수 있으나, ATM(100)의 화면을 통하여 생성시킬 수도 있다. 즉, ATM(100)의 화면에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 출금요청화면이 생성될 수 있다. 출금요청화면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금융기관명 화면, 및 금융기관명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금융기관명이 선택된 후에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액 입력화면을 포함한다. 출금액은 사용자 입력(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통해 출금액 입력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UBPay App.와 같은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출금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 UBPay App.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해당 금융기관의 UBPay App.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UBPay App. 프로그램을 한 번만 설치하면 사용자는 ATM이 설치된 장소라면 언제든지 UBPay App.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는 휴대폰이 사용될 수 있는데, 휴대폰으로는 NFC 폰, NFC 폰이 아닌 스마트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일 수 있다.
제1 금융기관 서버(300)는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1 호스트 서버(400)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제1 호스트 서버(400)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금융기관 서버(300)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있는데, 제1 금융기관 서버(300)는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할 때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제1 호스트 서버(400)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한다.
서비스사업자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300)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제1 금융기관 서버(300)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출금인증정보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출금액, ATM(100)의 기기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다. 출금지시정보는 ATM(100)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다. 출금확인정보는 인증번호를 포함하고, 인증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ATM (100)에 입력되어 ATM(100)이 출금동작을 실행한다. ATM(100)이 출금동작을 실행할 때, 출금 영수증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사업자 서버(500)는 ATM(100)으로부터 제1 금융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출금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사업자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를 생성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ATM(100)으로 송신한다. 출금요청정보는, 출금 금융기관 코드, ATM(100)의 기기번호, 및 출금요청일시이다. 특히, 출금요청정보가 제1 금융기관 서버(300)로부터 서비스사업자 서버(500)로 송신될 때, 출금요청정보는 ATM(100)의 거래일련번호, 및 ATM(100)의 출금제한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 ATM(100)이 소속된 금융기관을 통해 출금하지 않고 타 금융기관을 통해 출금하는 경우
이 경우는 ATM(100)의 소속 금융기관 코드와 출금 금융기관 코드가 다르다. 예를 들면, ATM(100)의 소속 금융기관과 사용자가 출금하고자하는 금융기관이 모두 KB 은행인 경우이다. (1)의 경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금융기관 서버(300)는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600)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한다.
제2 금융기관 서버(600)는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호스트 서버(700)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제2 호스트 서버(700)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2 금융기관 서버(600)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있는데, 제2 금융기관 서버(600)는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할 때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제2 호스트 서버(700)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한다.
서비스사업자 서버(500)는 제1 금융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600)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제2 금융기관 서버(600)로부터 제1 금융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한다. 출금지시정보가 서비스사업자 서버(500)로부터 제1 금융기관 서버(300)로 송신될 때, 출금지시정보는, ATM(100)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다. 또한, 출금지시정보가 제1 금융기관 서버(300)로부터 제2 금융기관 서버(600)로 송신될 때, 출금지시정보는, ATM(100)의 거래일련번호,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ATM(100)의 기기번호, 출금지시 요청일시, 출금 금융기관 코드,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다.
한편,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사업자 서버(500)와 제1 금융기관 서버(300)가 분리되어 구성되었지만, 서비스사업자 서버(500)가 제1 금융기관 서버(300)의 기능까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비스사업자 서버(500)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출금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10의 설명과 관련해서도, 서비스사업자 서버(500)가 제1 금융기관 서버(300)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에 NFC 태그 또는 QR 코드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TM(100)의 부착물로서 NFC 태그(110) 또는 QR 코드(130)를 ATM(100)의 일측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들을 ATM(100)에 부착한 상태에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NFC 태그(110)에 접근시키거나 QR 코드(130)를 스캔하면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킬 수 있다.
NFC 태그(110)는 전자태그(RFID)의 하나인데,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 휴대폰이 사용될 수 있다. 부착물이 NFC 태그(110)인 경우에는 NFC 폰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NFC 폰을 NFC 태그(110)에 접근하면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킬 수 있다.
QR 코드(130)는 바코드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격자무늬의 2차원 코드인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 QR 코드(130)를 스캔하면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 휴대폰이 사용될 수 있다. 부착물이 QR 코드(130)인 경우에는 NFC 폰이 아닌 스마트폰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NFC 폰이 아닌 스마트폰으로 QR 코드(130)를 스캔하면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현금카드 또는 통장을 사용하고 있지 않거나,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목발을 짚고 다니는 장애우인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NFC 태그(110)에 접근시키거나 QR 코드(130)를 스캔하면 손쉽게 ATM(100)으로부터 출금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에 숫자 키패드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TM(100)의 부착물로서 숫자 키패드(150)를 ATM(100)의 일측에 부착할 수 있다. 이를 ATM(100)에 부착한 상태에서 숫자 키패드(150)에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킬 수 있다.
숫자 키패드(150)는 0~9까지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키패드인데, 숫자 키패드(150)에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 휴대폰이 사용될 수 있다. 부착물이 숫자 키패드(150)인 경우에는 NFC 폰이 아닌 스마트폰, 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숫자 키패드(150)에 휴대폰 번호가 입력되면 휴대폰에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현금카드 또는 통장을 사용하고 있지 않거나,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목발을 짚고 다니는 장애우인 경우라 하더라도, 숫자 키패드(150)에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여 손쉽게 ATM(100)으로부터 출금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금융기관명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폰 화면에서 사용자에게 출금기관을 선택하라고 안내하고 있으며, 다수의 은행명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때, 출금하고자 하는 은행명을 클릭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해당 은행에서 출금하고자 한다는 정보가 입력된다. 그러나, "취소" 버튼을 누르면 은행명을 클릭하기 전의 상태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액 입력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폰 화면에서 사용자에게 ○○은행에서 ATM 출금액으로 150,000원이 입력된 상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때, 출금액 입력란은 공란(blank)이나 150,000라고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은행에서 150,000원을 출금하고자 한다는 정보가 입력된다. 그러나, "취소" 버튼을 누르면 150,000를 입력하기 전의 상태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지시정보 송신화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폰 화면에서 사용자가 ○○은행에서 ATM 출금액으로 150,000원을 출금한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계좌비밀번호를 입력한 상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때, 은행명, 출금액, 은행/지점, ATM No는 각각 ○○은행, 150,000원, ○○/충무로, 12345667이라는 것을 계좌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확인" 버튼을 누르면 출금지시정보가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송신된다. 그러나, "취소" 버튼을 누르면 계좌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전의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확인정보 수신화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폰 화면에서 사용자가 ○○은행에서 ATM 출금액으로 150,000원을 출금한다는 것을 확인하는 상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때, 은행명, 출금액, 은행/지점, ATM No는 각각 ○○은행, 150,000원, ○○/충무로, 12345667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나, "아니오" 버튼을 누르면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확인정보 수신화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폰 화면에서 사용자가 ○○은행에서 ATM 출금액으로 150,000원을 출금한다는 것을 확인하는 상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때, 은행명, 출금액, 은행/지점, ATM No는 각각 ○○은행, 150,000원, ○○/충무로, 12345667이라는 것을 확인한 후 안내된 인증번호인 123123을 ATM에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나, "아니오" 버튼을 누르면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할 때, 도 7에서는 계좌비밀번호를 입력하여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하도록 하지만, 도 8에서는 안내된 인증번호를 ATM에 입력함으로써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차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9는 ATM(100)이 소속된 금융기관을 통해 출금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먼저, 사용자가 ATM(100)의 출금메뉴를 선택하면, 서비스사업자 서버(500)가 ATM(100)으로부터 제1 금융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출금요청정보를 수신하고 (S100, S200), 서비스 사업자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를 생성하여 (S300) 제1 금융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ATM(100)으로 송신한다(S400, S500). 출금요청정보는, 출금 금융기관 코드, ATM(100)의 기기번호, 및 출금요청일시이다. 특히, 출금요청정보가 제1 금융기관 서버(300)로부터 서비스사업자 서버(500)로 송신될 때, 출금요청정보는 ATM(100)의 거래일련번호, 및 ATM(100)의 출금제한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500 단계 이후,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ATM(100)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킨다(S600). 부착물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숫자 키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부착물이 NFC 태그인 경우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가 NFC 태그에 접근하면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부착물이 QR 코드인 경우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가 QR 코드를 스캔하면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킨다. 그리고, 부착물이 숫자 키패드인 경우에는, 숫자 키패드에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가 입력되면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킨다. 출금요청화면은 ATM(100)의 부착물을 통하여 생성시킬 수 있으나, ATM(100)의 화면을 통하여 생성시킬 수도 있다. 즉, ATM(100)의 화면에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 출금요청화면이 생성될 수 있다. 출금요청화면이 생성될 때,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금융기관명이 디스플레이되고 금융기관명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금융기관명이 선택된 후, 출금액 입력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S600 단계 이후,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다(S700). 출금액은 사용자 입력(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통해 출금액 입력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S700 단계 이후, 서비스사업자 서버(500)에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300)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한다(S800, S900). 출금인증정보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출금액, ATM(100)의 기기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다. 출금지시정보는 ATM(100)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다.
S900 단계 이후, 제1 금융기관 서버(300)에서,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1 호스트 서버(400)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S1000), 제1 호스트 서버(400)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한다(S1100). 여기서, 제1 금융기관 서버(300)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있는데, 제1 금융기관 서버(300)는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할 때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제1 호스트 서버(400)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한다. 출금확인정보는 인증번호를 포함하고, 인증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ATM (100)에 입력되어 ATM(100)이 출금동작을 실행한다. ATM(100)이 출금동작을 실행할 때, 출금 영수증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 저장될 수 있다.
S1100 단계 이후, 서비스사업자 서버(500)에서, 제1 금융기관 서버(300)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 송신한다(S1200, S1300).
S1300 단계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출금정보를 확인한 후(S1400), ATM(100)이 출금동작을 실행한다(S1500). ATM(100)이 출금동작을 실행할 때, 출금 영수증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0은 ATM(100)이 소속된 금융기관을 통해 출금하지 않고 타 금융기관을 통해 출금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9의 경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ATM(100)의 출금메뉴를 선택하면, 서비스사업자 서버(500)가 ATM(100)으로부터 제1 금융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출금요청정보를 수신하고(S100, S200), 서비스 사업자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를 생성하여(S300) 제1 금융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ATM(100)으로 송신한다(S400, S500).
S500 단계 이후,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ATM(100)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킨다(S600). 출금요청화면이 생성될 때,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금융기관명이 디스플레이되고 금융기관명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금융기관명이 선택된 후, 출금액 입력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S600 단계 이후,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다(S700).
S700 단계 이후, 서비스사업자 서버(500)에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S800) 제1 금융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600)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한다(S900, S1000). 출금지시정보가 서비스사업자 서버(500)로부터 제1 금융기관 서버(300)로 송신될 때, 출금지시정보는, ATM(100)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다. 또한, 출금지시정보가 제1 금융기관 서버(300)로부터 제2 금융기관 서버(600)로 송신될 때, 출금지시정보는, ATM(100)의 거래일련번호,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ATM(100)의 기기번호, 출금지시 요청일시, 출금 금융기관 코드,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다.
S1000 단계 이후, 제2 금융기관 서버(600)에서,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호스트 서버(700)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S1100), 제2 호스트 서버(700)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한다(S1200). 여기서, 제2 금융기관 서버(600)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있는데, 제2 금융기관 서버(600)는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할 때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제2 호스트 서버(700)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한다.
S1200 단계 이후, 서비스사업자 서버(500)에서, 제2 금융기관 서버(600)로부터 제1 금융기관 서버(300)를 통하여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S1300, S1400)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 송신한다(S1500).
S1500 단계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출금정보를 확인한 후(S1600), ATM(100)이 출금동작을 실행한다(S17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을 통하여, 도 1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또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씨디롬(CD ROM), 램(RAM), 롬(ROM),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ATM
110 : NFC 태그
130 : QR 코드
150 : 숫자 키패드
200 :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300 : 제1 금융기관 서버
400 : 제1 호스트 서버
500 : 서비스사업자 서버
600 : 제2 금융기관 서버
700 : 제2 호스트 서버

Claims (43)

  1.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2.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출금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숫자 키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착물이 NFC 태그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NFC 태그에 접근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상기 부착물이 QR 코드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QR 코드를 스캔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상기 부착물이 숫자 키패드인 경우에, 상기 숫자 키패드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출금액, 상기 ATM의 기기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요청화면은,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금융기관명 화면, 및 상기 금융기관명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금융기관명이 선택된 후에 상기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금액 입력화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액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출금액 입력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확인정보는 인증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ATM에 입력되어 상기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TM의 소속 금융기관 코드와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가 다른 경우에,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1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TM의 소속 금융기관 코드와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가 다른 경우에,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는 상기 ATM으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출금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사업자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상기 ATM으로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요청정보는,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ATM의 기기번호, 및 출금요청일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요청정보가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요청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및 상기 ATM의 출금제한시간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지시정보가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고,
    상기 출금지시정보가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ATM의 기기번호, 출금지시 요청일시,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할 때, 출금 영수증은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제2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20.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출금액 입력단계;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 및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출금확인정보 수신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21.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부착물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출금액 입력단계;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출금인증정보 수신단계; 및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출금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출금확인정보 송신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숫자 키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착물이 NFC 태그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NFC 태그에 접근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상기 부착물이 QR 코드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QR 코드를 스캔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상기 부착물이 숫자 키패드인 경우에, 상기 숫자 키패드에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출금액, 상기 ATM의 기기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금융기관명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금융기관명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금융기관명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출금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출금액 입력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액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출금액 입력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27.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확인정보는 인증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ATM에 입력되어 상기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출금확인정보 수신단계는,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1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출금확인정보 수신단계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제1 호스트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출금 금융기관 코드를 갖는 제2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 및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의 이전에는,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ATM으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출금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서비스 사업자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를 통하여 상기 ATM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요청정보는,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ATM의 기기번호, 및 출금요청일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요청정보가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요청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및 상기 ATM의 출금제한시간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지시정보가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서비스사업자 거래일련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이고,
    상기 출금지시정보가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로 송신될 때, 상기 출금지시정보는, 상기 ATM의 거래일련번호,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ATM의 기기번호, 출금지시 요청일시, 출금 금융기관 코드,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 출금액, 및 계좌 비밀번호(또는 PIN)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36.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ATM이 출금동작을 실행할 때, 출금 영수증은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실 계좌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는, 상기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제2 금융기관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 및 사용자의 가상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실 계좌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제2 호스트 서버에 계좌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39.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화면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40.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화면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출금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비스사업자 서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41.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화면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출금액 입력단계;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금융기관 서버에 출금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출금지시정보 송신단계; 및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제1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출금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출금확인정보 수신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42.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ATM(Automatic Teller's Machine)의 화면을 통하여 출금요청화면을 생성시키는 출금요청화면 생성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출금액을 입력받는 출금액 입력단계;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금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출금인증정보 수신단계; 및
    상기 서비스사업자 서버에서, 출금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출금확인정보 송신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방법.
  43. 제20항 내지 제38항, 제41항 또는 제4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1020120147115A 2012-01-13 2012-12-17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20130083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4227 2012-01-13
KR1020120004227 2012-01-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650 Division 2012-0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815A true KR20130083815A (ko) 2013-07-23

Family

ID=4899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115A KR20130083815A (ko) 2012-01-13 2012-12-17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38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283A (ko) * 2014-08-19 2016-02-29 류창화 금융 거래 인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7048005A1 (ko) * 2015-09-17 2017-03-23 주식회사지니 개인용 금융 자동화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금융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WO2017052276A1 (ko) * 2015-09-23 2017-03-30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7052275A1 (ko) * 2015-09-23 2017-03-30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283A (ko) * 2014-08-19 2016-02-29 류창화 금융 거래 인증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7048005A1 (ko) * 2015-09-17 2017-03-23 주식회사지니 개인용 금융 자동화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금융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WO2017052276A1 (ko) * 2015-09-23 2017-03-30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7052275A1 (ko) * 2015-09-23 2017-03-30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957166B2 (en) 2015-09-23 2021-03-23 Harex Info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ed teller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0500B2 (ja) 電話ベースの支払機器を有効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561891B2 (en) Fast cash at ATM
US20120197797A1 (en) Pending atm transactions
US20120197798A1 (en) Pending atm authentications
KR101807764B1 (ko)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5338964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KR20110032735A (ko) 모바일 바코드를 이용한 현금 인출 방법, 현금 인출 기능이 내장된 휴대 단말 및 모바일 바코드를 이용한 현금 인출 시스템
KR20130083815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출금서비스 시스템 및 출금서비스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US11393298B2 (en)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JP2017173987A (ja) 取引予約方法、取引予約装置、取引予約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495657B1 (ko) 하이브리드 atm을 이용한 금융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3872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및 장치
JP2012008631A (ja) 操作誘導システム、操作誘導装置、操作誘導プログラム及び自動化機器
JP4835100B2 (ja) 自動取引装置
CN106056803A (zh) 一种多通道pos机系统
KR102669787B1 (ko) 금융거래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및 금융거래 시스템
KR20120059467A (ko) 환전 출금 방법
KR101640300B1 (ko) 휴대용 기기를 활용한 금융 창구 기반의 보안 금융 거래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US20240070636A1 (en) Pre-entry for distributed transactions
JP6083694B2 (ja) 混雑緩和システム及び混雑緩和方法
KR20190138380A (ko) 폰 에이티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2162436A1 (en) Method for replicating an input device
KR20130086020A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KR20220108605A (ko) Nfc 통신을 이용한 금융거래 수행 방법
KR10102019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