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313A -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313A
KR20160074313A KR1020140183504A KR20140183504A KR20160074313A KR 20160074313 A KR20160074313 A KR 20160074313A KR 1020140183504 A KR1020140183504 A KR 1020140183504A KR 20140183504 A KR20140183504 A KR 20140183504A KR 20160074313 A KR20160074313 A KR 20160074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eck card
counterfeit
server
virtual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4313A/ko
Publication of KR2016007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체크카드 발급 장치로서,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지폐를 입금받는 지폐 투입부, 상기 입금된 지폐가 위폐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위폐 감별부, 은행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여권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증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취득하는 여권 스캔부, 오프라인용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카드 발급부, 및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된 지폐의 금액 정보 및 상기 위폐감별부에 의한 위폐감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은행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가상계좌 정보 및 체크카드 발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드 발급부로 하여금 상기 오프라인용 체크카드를 발급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SSUING CHECK CARD}
본 발명은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공항이나 은행 지점 등에 설치된 체크카드 발급 장치를 통해 현금을 입금하면 자동으로 가상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가상계좌가 부여된 체크카드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외여행자는, 개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여행지(또는 여행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결제수단을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다양한 결제수단(예 : 현금, 여행자수표, 신용카드 등)을 소지한다.
특히 현금은 현지 화폐로 환전할 경우 어디서나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결제수단이다. 그러나 다른 결제수단에 비해서 현금은 분실의 위험이 높고, 분실에 대비한 안전기능(예 : 사용정지, 지급정지 등)을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행자가 해당 여행지(또는 여행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은행 계좌(현지 은행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현지 은행 계좌에 현금을 입금한 후 상기 은행 계좌가 부여된 체크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행자가 현지 은행 계좌를 개설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금의 사용 비율이 높은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14514호(2009.11.04.공개, 외국인 관광객용 카드 발급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공항이나 은행 지점 등에 설치된 체크카드 발급 장치를 통해 현금을 입금하면 자동으로 가상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가상계좌가 부여된 체크카드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체크카드 발급 장치를 통해 현금을 입금하면 위폐 여부를 판별하여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개설된 가상계좌에 입금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크카드 발급 장치를 통해 입금된 현금에 대한 시리얼번호를 이용하여 위폐 여부를 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소정의 체크카드 앱(APP)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체크카드 사용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체크카드 앱을 통해 상기 체크카드에 부여된 가상계좌의 안전기능(예 : 지급정지, 사용정지)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체크카드 발급 장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로서,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지폐를 입금받는 지폐 투입부; 상기 입금된 지폐가 위폐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위폐 감별부; 은행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여권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증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취득하는 여권 스캔부; 오프라인용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카드 발급부; 및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된 지폐의 금액 정보 및 상기 위폐감별부에 의한 위폐감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은행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가상계좌 정보 및 체크카드 발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드 발급부로 하여금 상기 오프라인용 체크카드를 발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어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 가능한 언어를 직접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부는, 정보 입력 기능과 정보 출력 기능이 결합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거나, 정보 출력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를 별도로 조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폐 감별부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위폐감별 알고리즘 및 위폐감별 정보를 바탕으로 자체적으로 위폐를 감별하거나, 위폐 감별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위폐 감별부를 통해 스캔된 지폐 스캔 정보를 상기 위폐 감별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위폐 감별서버로부터 감별 결과를 전송받아 위폐를 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 발급부를 통해 아무런 정보도 입력되지 않은 공카드에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공카드의 표면에 카드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인쇄하여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여권발급기관 서버나 여권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관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여권 스캔부를 통해 취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여권 위변조 여부 또는 분실 여권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은행서버는 해당 은행에서 인정하는 국내 또는 외국의 전자화폐를 외국 은행서버로부터 이체받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드 발급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전자화폐를 환전하여 입금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는, 상기 은행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입금된 현금 중 위폐를 제외한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지의 화폐로 환전하여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는, 상기 은행서버와 통신하여 위폐를 제외한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직접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에 입금하거나,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로부터 취득된 지폐 정보를 위폐 감별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위폐 감별서버로부터 위폐 감별 결과를 전송받아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에 입금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는, 앱 서버로부터 가상계좌 개설에 관련된 정보,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 가상계좌 사용 정보, 및 체크카드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전송받는 인증된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은행서버는, 미리 지정된 앱(APP)이 설치된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체크카드에 부여된 가상계좌에 대한 지급정지 및 사용정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 가능하게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체크카드 발급 방법은, 카드 발급 장치가 사용자의 여권정보를 스캔하여 은행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전송받은 여권정보를 바탕으로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 절차를 처리하여 상기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카드 발급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드 발급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현금을 입금받아 위폐를 감별하고,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은행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발급 장치가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카드 발급 장치는 상기 체크카드에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인쇄하되,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는 전화번호, 숙소, 가상계좌 및 체크카드의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권정보가 스캔되면, 상기 카드 발급 장치가 여권발급기관 서버나 여권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관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스캔된 여권 정보를 바탕으로 여권 위변조 여부 또는 분실 여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이 상기 은행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은행서버는, 상기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금을 입금받은 이후에, 상기 은행서버로 전송된 금액에 대하여 위폐 감별이 완료되지 않았거나, 위폐 감별된 지폐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금액보다 많을 경우,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가상계좌나 체크카드의 사용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이 완료되면, 상기 은행서버는, 앱 서버와 연계하여 가상계좌 개설에 관련된 정보,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 가상계좌 사용 정보, 및 체크카드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증된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체크카드 발급 장치를 통해 현금을 입금하면 자동으로 가상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가상계좌가 부여된 체크카드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에 입금되는 현금에 대한 위폐 여부를 판별하여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상기 가상계좌에 입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소정의 체크카드 앱(APP)을 통해 상기 체크카드 사용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체크카드에 부여된 가상계좌의 안전기능을 상기 체크카드 앱을 통해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여행자의 위폐 사용으로 인해 국내 사업자들에게 미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하고, 또한 여행자에게는 분실의 위험이 높은 현금 대신에 안전기능이 있는 체크카드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여행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카드 발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카드 발급 장치의 체크카드 발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은행서버의 체크카드 발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크카드는 직불카드와 신용카드를 절충한 형태의 지급결제수단으로서, 결제계좌의 잔액 범위 안에서 신용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크카드는 전국의 모든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24시간 사용할 수 있고 전자상거래나 해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불카드의 이용불편을 해소하며, 신용카드의 현금서비스 및 할부 기능을 없앰으로써 신용불량자가 발생할 요소를 차단하고, 현금카드(캐시카드)의 기능도 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체크카드의 결제방식은 직불카드와 마찬가지로 물건을 구매하고 결제하는 즉시 은행의 계좌에서 대금이 빠져나가는 방식이다. 따라서 직불카드와 마찬가지로 계좌의 잔액 범위 안에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려운 여행자(예 : 외국인)에게 체크카드를 발급해 주고, 상기 체크카드에 부여된 가상계좌에 입금되는 금액(즉, 위폐를 제외한 진폐에 해당하는 환전금액) 범위 내에서 상기 체크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행자의 위폐 사용으로 인해 국내 사업자들에게 미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하고, 또한 여행자에게는 분실의 위험이 높은 현금 대신에 안전기능이 있는 체크카드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여행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한 관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시스템은, 카드 발급 장치(100) 및 은행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정보 표시부(110), 지폐 투입부(120), 지폐 반환부(130), 금고부(140), 위폐 감별부(150), 카드 발급부(160), 여권 스캔부(170), 통신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은행서버(200)는 가상계좌 개설부(210) 및 통신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와 은행 전산망으로 연결된다.
상기 은행서버(200)는 외국 은행서버(300), 위폐 감별서버(400), 카드사 서버(500) 및 앱(APP) 서버(600)(예 : 스마트 단말기(700)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계하여 가상계좌 사용 및 카드(체크카드) 사용에 따른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행서버(200)는 외국 은행서버(300)와 미리 제휴된 경우에 외국 은행서버(300)가 인정하는 전자화폐에 대해서도 그에 상응하는 현금에 맞게 환전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즉, 외국의 전자화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지의 현금에 맞게 환전하여 상기 체크카드에 연계된 가상계좌에 입금할 수 있다.
이 중 외국 은행서버(300), 카드사 서버(500) 및 앱(APP) 서버(600)는 현재에도 상기 은행서버(200)와 연계하여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금융 서비스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700)는 다양한 기능에 적합하도록 구현 가능하되 응용 프로그램(앱 : APP)을 통해 상당 부분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패드, 스마트TV, 각종 휴대형 컴퓨팅 장치 등을 포함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예 : RF, NFC, 블루투스, 적외선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정보 표시부(110)는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예 : 정보 입력 지시 정보, 카드 발급 안내 정보, 입금 정보, 소정의 처리 내역 등)를 표시한다. 상기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는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은행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정보 표시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어(예 :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즉, 여행자)는 사용 가능한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표시부(110)는 정보 입력 기능과 정보 출력 기능이 결합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정보 출력 장치(예 : 엘시디, 모니터 등) 및 정보 입력 장치(예 : 키패드, 터치패드, 지문 감지부, 카메라 등)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정보 표시부(110)가 정보 입력부(미도시)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보 입력 기능이 포함된 정보 표시부(110)를 통해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예 : 전화번호, 숙소, 가상계좌 및 체크카드의 비밀번호, 기타 신상정보 등)를 추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정보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는 사운드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운드 방식의 정보 출력을 위해서 사운드 출력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지폐 투입부(120)는 사용자(즉, 여행자)가 소지한 현금(즉, 지폐, 여행자 수표 등)을 입력받는다. 상기 지폐 투입부(120)는 사용자가 지폐를 투입할 때 개폐할 수 있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지폐 반환부(130)는 사용자가 상기 지폐 투입부(120)를 통해 입금한 지폐들 중 상기 위폐 감별부(150)를 통해 감별된 위폐(또는 정상이 아닌 지폐)를 반환한다.
상기 금고부(140)는 상기 지폐 반환부(130)를 통해 반환되지 않은 나머지 지폐들(예 : 진폐, 정상인 지폐 등)을 수납한다.
상기 위폐 감별부(150)는 상기 지폐 투입부(120)를 통해 입금된 지폐(예 : 새지폐, 헌지폐, 구겨진 지폐, 구멍난 지폐, 찢어진 지폐, 낙서된 지폐, 위조지폐 등)가 정당한 것인지 어떤지를 감별한다.
예컨대 상기 위폐 감별부(150)는 지폐의 정사(즉, 새지폐 / 헌지폐)를 감별하거나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폐 감별부(150)는 지폐감별 기능 뿐만 아니라 계수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위폐 감별부(15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위폐감별 알고리즘 및 위폐감별 정보를 바탕으로 자체적으로 위폐를 감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별도의 위폐 감별서버(400)와 통신하여 상기 위폐 감별부(150)를 통해 스캔된 지폐 스캔 정보(예 : 지폐 형상, 지폐에 인쇄된 정보, 지폐 시리얼 번호 정보 등)를 상기 위폐 감별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위폐 감별서버(400)로부터 위폐 감별 결과를 전송받아 위폐를 감별할 수도 있다.
상기 카드 발급부(160)는 상기 은행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가상계좌가 부여된 체크카드를 발급한다. 이때 상기 가상계좌의 경우, 현지 은행과 사용자의 본국 은행과 제휴를 통해 가상계좌로의 외환 송금도 가능하고 환전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카드 발급부(160)를 제어하여 공카드(즉, 아무런 정보도 입력되지 않은 IC 카드)에 상기 은행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예 : 가상계좌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공카드의 표면에는 카드 사용자(즉, 여행자)에 관련된 정보(예 : 이름, 여권정보, 사진 등)를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여권 스캔부(170)는 사용자(즉, 여행자)를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명서(예 : 여권, 전자여권 등)의 정보를 스캔한다. 상기 전자여권은 사진, 지문, 홍채 등 신원 확인 정보가 입력된 마이크로칩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복제가 어렵다.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여권발급기관 서버(미도시)(예 : 법무부 서버, 경찰청 서버 등)와 통신하여 상기 스캔된 정보를 이용하여 여권 위변조 여부(또는 분실 여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80)는 상기 은행서버(200) 및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와 연계된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정보(예 : 지폐 스캔 정보, 위폐 정보, 입금 정보, 여권 스캔 정보,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 가상계좌 개설 정보, 체크카드 발급 정보 등)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의 구성 수단(예 : 정보 표시부, 지폐 투입부, 지폐 반환부, 금고부, 위폐 감별부, 카드 발급부, 여권 스캔부, 통신부)을 통합 관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입금된 지폐의 금액 정보 및 상기 위폐 감별부(150)에 의한 위폐감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180)를 통하여 상기 은행서버(200)에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은행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가상계좌 정보 및 체크카드 발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드 발급부(160)로 하여금 상기 오프라인용 체크카드를 발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은행서버(200)는 상기 가상계좌 개설부(210)를 통해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여권정보를 이용하여 가상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 정보를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를 통해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로 사용자의 현금(즉, 위폐를 제외한 진폐에 해당하는 환전금액)이 입금되면 상기 은행서버(200)는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예 : 유효기간, 사용자 정보 등)를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해당 은행에서 인정하는 국내 또는 외국의 전자화폐를 상기 은행서버(200)가 외국 은행서버(300)로부터 이체받거나,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를 통해 미리 정해진 입력 절차의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보유한 전자화폐를 상기 현금 입금 과정과 유사한 방식의 전화화폐 환전 안내에 따라 환전하여 상기 체크카드가 연계된 가상계좌에 입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은행서버(200)는 별도의 위폐 감별서버(400)와 통신하여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지폐 스캔 정보(예 : 지폐 형상, 지폐에 인쇄된 정보, 지폐 시리얼 번호 정보 등)를 상기 위폐 감별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위폐 감별서버(400)로부터 위폐 감별 결과를 전송받아 위폐를 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상계좌 개설에 관련된 정보, 및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에 순차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상기 두 가지 정보(즉, 가상계좌 개설에 관련된 정보, 및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거나 상기 예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전송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은행서버(200)는 상기 앱 서버(600)와 연계하여 상기 두 가지 정보(즉, 가상계좌 개설에 관련된 정보, 및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 및 그 사용 정보(예 : 가상계좌 사용 정보, 체크카드 사용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700)에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700)에 설치된 체크카드 앱(APP)(미도시)을 통해 상기 체크카드에 부여된 가상계좌의 안전기능(예 : 지급정지, 사용정지)을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700)가 NFC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한 경우, 사용자는 IC 칩을 내장한 체크카드를 스마트 단말기(700)에 가까이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스마트 단말기(700)로 하여금 상기 체크카드와 통신하여 체크카드의 거래내역조회, 잔액조회, 환전정보 등을 조회하거나 전자 이체를 통한 추가 송금이나 환전 등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카드리더기(예 : 체크카드 리더기)(미도시)와 영수증 프린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카드리더기(미도시)는 사용자(예 : 외국인)가 출국 시 체크카드(예 : 입국 시 발급받아 사용한 체크카드)에 연계된 계좌의 잔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환전하여 현금으로 인출하거나 본국 은행계좌(즉, 해외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영수증 프린터(미도시)는 카드 발급 장치(100)에서 처리한 내역 및 체크카드 사용내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영수증으로 프린트 한다. 물론,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에서 처리한 내역 및 체크카드 사용내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정보 표시부(110)를 통해서도 보여줄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카드 발급 장치의 체크카드 발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여권 스캔부(170)를 통해 사용자(즉, 여행자)의 신분증명서(예 : 여권, 전자여권 등)의 정보를 스캔하고, 또한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예 : 전화번호, 숙소, 가상계좌 및 체크카드의 비밀번호, 기타 신상정보 등)를 입력받는다(S101).
상기와 같이 사용자(즉, 여행자)의 신분증명서(예 : 여권, 전자여권 등)의 정보가 스캔되면,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상기 여권 스캔부(170)를 통해 스캔된 신분증명서(예 : 여권, 전자여권 등)에 대한 위변조(즉, 여권 위변조 또는 분실 여권) 여부를 확인한다(S102).
추가적으로,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여권발급기관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여권 위변조(또는 분실 여권)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가 여권 위변조를 확인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여권 위변조 확인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상기 신분증명서(예 : 여권, 전자여권 등)의 정보 및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예 : 전화번호, 숙소, 가상계좌 및 체크카드의 비밀번호, 기타 신상정보 등)를 상기 은행서버(200)에 전송한다(S103).
이에 따라 상기 은행서버(200)는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신분증명서(예 : 여권, 전자여권 등)의 정보 및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예 : 전화번호, 숙소, 가상계좌 및 체크카드의 비밀번호, 기타 신상정보 등)를 바탕으로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사용자(즉, 여행자)로부터 현금(예 : 지폐)을 입금받는다(S104).
그런데 상기 입금받은 현금에는 위폐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상기 현금에 대하여 위폐 여부를 감별한다.
이때 상기 위폐 감별 동작은 상기 위폐 감별부(150)를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별도의 위폐 감별서버(400)와 통신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상기 위폐 감별정보를 상기 은행서버(200)에 전송하고, 위폐로 판별된 지폐에 대해서는 상기 지폐 반환부(130)를 통해 곧바로 반환한다(S105).
본 실시예에서는 현금 입금(S104)과 위폐 감별(S105)이 단계(S103)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S101)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은행서버(200)가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 동작을 완료하여,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가 상기 은행서버(200)로부터 가상계좌 정보 및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예 : 유효기간, 사용자 정보 등)를 수신하면(S106, S107),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즉, 여행자)가 입금한 현금 중 위폐로 판별된 금액을 제외한 진폐에 해당하는 환전금액만 상기 가상계좌로 입금한다(S108).
아울러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를 통해 입금된 현금은 일련의 처리를 거쳐 위폐로 판별되면 상기 지폐 반환부(130)로 배출되고, 정상적인 화폐로 판별된 경우 상기 금고부(140) 내로 이송되어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는 상기 은행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예 : 가상계좌 정보)를 공카드(즉, 아무런 정보도 입력되지 않은 IC 카드)에 저장하고, 표면에는 카드 사용자(즉, 여행자)에 관련된 정보(예 : 이름, 여권정보, 사진 등)를 인쇄하여 체크카드를 발급한다(S109).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은행서버의 체크카드 발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은행서버(200)는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즉, 여행자)의 신분증명서(예 : 여권, 전자여권 등) 정보 및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예 : 전화번호, 숙소, 가상계좌 및 체크카드의 비밀번호, 기타 신상정보 등)를 수신한다(S201).
그리고 상기 은행서버(200)는 상기 두 정보(즉, 신분증명서 정보 및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 절차(즉, 체크카드 발급을 위한 내부 처리 절차임, 실제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체크카드는 카드 발급 장치에서 인쇄하여 발급함)를 수행한다(S202).
그리고 상기 은행서버(200)가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 절차를 완료하면, 상기 은행서버(200)는 개설된 가상계좌 정보 및 상기 가상계좌가 부여된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예 : 유효기간, 사용자 정보 등)를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에 전송한다(S203, S204).
그리고 상기 은행서버(200)는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를 통해 가상계좌에 입금된 전체 금액 중 위폐로 판별된 금액을 차감하거나 가상계좌의 사용(또는 체크카드의 사용)을 정지한다(S205).
예컨대 상기 입금된 금액 중 위폐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금액보다 많을 경우, 상기 은행서버(200)는 해당 가상계좌의 사용(또는 체크카드의 사용)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또는 위폐 감별서버(400)와 통신하여 위폐 감별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를 통해 실제 체크카드가 발급 되었다고 하더라도, 일시적으로 해당 가상계좌의 사용(또는 체크카드의 사용)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에 상기 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외한 진폐에 해당하는 환전금액의 입금이 완료되고 또한 상기 가상계좌(또는 체크카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면, 상기 은행서버(200)는 상기 정보(예 : 체크카드 발급 정보, 가상계좌 정보 등)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700)에 전송한다(S206).
물론 상기 정보(예 : 체크카드 발급 정보, 가상계좌 정보 등)는 상기 카드 발급 장치(100)의 정보 표시부(110)를 통해서도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크카드 발급 절차는 본 발명의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서 기재된 순서이며, 실제로는 상기 각 단계별 순서가 동시에 수행되거나 다른 순서로 바뀌어 수행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카드 발급 장치 110 : 정보 표시부
120 : 지폐 투입부 130 : 지폐 반환부
140 : 금고부 150 : 위폐 감별부
160 : 카드 발급부 170 : 여권 스캔부
180 : 통신부 200 : 은행서버
210 : 가상계좌 개설부 220 : 통신부
300 : 외국 은행서버 400 : 위폐 감별서버
500 : 카드사 서버 600 : 앱 서버
700 : 스마트 단말기

Claims (17)

  1. 체크카드 발급 장치로서,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지폐를 입금받는 지폐 투입부;
    상기 입금된 지폐가 위폐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위폐 감별부;
    은행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여권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증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취득하는 여권 스캔부;
    오프라인용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카드 발급부; 및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금된 지폐의 금액 정보 및 상기 위폐감별부에 의한 위폐감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은행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가상계좌 정보 및 체크카드 발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드 발급부로 하여금 상기 오프라인용 체크카드를 발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어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 가능한 언어를 직접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부는,
    정보 입력 기능과 정보 출력 기능이 결합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거나, 정보 출력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를 별도로 조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폐 감별부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위폐감별 알고리즘 및 위폐감별 정보를 바탕으로 자체적으로 위폐를 감별하거나,
    위폐 감별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위폐 감별부를 통해 스캔된 지폐 스캔 정보를 상기 위폐 감별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위폐 감별서버로부터 감별 결과를 전송받아 위폐를 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 발급부를 통해 아무런 정보도 입력되지 않은 공카드에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공카드의 표면에 카드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인쇄하여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여권발급기관 서버나 여권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관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여권 스캔부를 통해 취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여권 위변조 여부 또는 분실 여권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서버는 해당 은행에서 인정하는 국내 또는 외국의 전자화폐를 외국 은행서버로부터 이체받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드 발급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전자화폐를 환전하여 입금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는,
    상기 은행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입금된 현금 중 위폐를 제외한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지의 화폐로 환전하여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는,
    상기 은행서버와 통신하여 위폐를 제외한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직접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에 입금하거나,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로부터 취득된 지폐 정보를 위폐 감별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위폐 감별서버로부터 위폐 감별 결과를 전송받아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에 입금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카드 발급 장치는,
    앱 서버로부터 가상계좌 개설에 관련된 정보,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 가상계좌 사용 정보, 및 체크카드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전송받는 인증된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서버는,
    미리 지정된 앱(APP)이 설치된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체크카드에 부여된 가상계좌에 대한 지급정지 및 사용정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 가능하게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장치.
  12. 카드 발급 장치가 사용자의 여권정보를 스캔하여 은행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전송받은 여권정보를 바탕으로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 절차를 처리하여 상기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카드 발급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드 발급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현금을 입금받아 위폐를 감별하고,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은행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발급 장치가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카드 발급 장치는 상기 체크카드에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인쇄하되,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는 전화번호, 숙소, 가상계좌 및 체크카드의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권정보가 스캔되면,
    상기 카드 발급 장치가 여권발급기관 서버나 여권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관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스캔된 여권 정보를 바탕으로 여권 위변조 여부 또는 분실 여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이 상기 은행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은행서버는,
    상기 진폐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개설된 가상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금을 입금받은 이후에,
    상기 은행서버로 전송된 금액에 대하여 위폐 감별이 완료되지 않았거나, 위폐 감별된 지폐가 미리 설정된 기준 금액보다 많을 경우,
    상기 은행서버가 상기 가상계좌나 체크카드의 사용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계좌 개설 및 체크카드 발급이 완료되면,
    상기 은행서버는,
    앱 서버와 연계하여 가상계좌 개설에 관련된 정보, 체크카드 발급에 관련된 정보, 가상계좌 사용 정보, 및 체크카드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증된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카드 발급 방법.
KR1020140183504A 2014-12-18 2014-12-18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KR20160074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504A KR20160074313A (ko) 2014-12-18 2014-12-18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504A KR20160074313A (ko) 2014-12-18 2014-12-18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313A true KR20160074313A (ko) 2016-06-28

Family

ID=5636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504A KR20160074313A (ko) 2014-12-18 2014-12-18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43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4170B1 (en) * 2018-08-03 2019-09-24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to issue a secured bank c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4170B1 (en) * 2018-08-03 2019-09-24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to issue a secured bank c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77154A1 (en) User positive approval and authentication services (upaas)
KR20060110801A (ko) 현금자동거래장치
WO2014196274A1 (ja) 現金処理装置及び現金処理システム
JP4890774B2 (ja) 金融取引システム
KR101010008B1 (ko) 자동거래 장치, 자동거래 시스템 및 자동거래 장치의 동작방법
JP2006227769A (ja) 自動取引装置
US20180308076A1 (en) Electronic financial processing system using personal atm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JP6790588B2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プログラム
Jaiswal et al. Enhancing ATM security using Fingerprint and GSM technology
JP2008015867A (ja) 現金自動取引システム
KR20160074313A (ko) 체크카드 발급 장치 및 방법
KR102276394B1 (ko) 카드결제 기능이 구비된 무인 화폐교환장치
WO2021246072A1 (ja) 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31169A (ja) 現金自動取引装置及び取引システム
US201701937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An Amount Of A First Denomination At An Automated Teller Machine
JP5087997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828445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4648A (ko) 변하는 핀을 가진 금융 거래
KR101544754B1 (ko) 웹기반 수표의 위변조 검증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142036A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プログラム
JPWO2002075676A1 (ja) 自動取引装置及びそれにおける取引方法
WO2015083443A1 (ja) 取引装置及び取引方法
JP2011059835A (ja) 自動取引装置
JP5231320B2 (ja) 取引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WO2023106593A1 (ko) 메타버스 환경과 연계하여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5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03

Effective date: 201903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