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506A - 주행식 살포기 - Google Patents

주행식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506A
KR20170034506A KR1020150132841A KR20150132841A KR20170034506A KR 20170034506 A KR20170034506 A KR 20170034506A KR 1020150132841 A KR1020150132841 A KR 1020150132841A KR 20150132841 A KR20150132841 A KR 20150132841A KR 20170034506 A KR20170034506 A KR 20170034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raying
blowing fan
fan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071B1 (ko
Inventor
최경준
Original Assignee
최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준 filed Critical 최경준
Priority to KR102015013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0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4Protection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에 약제를 살포하는 주행식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약제를 공중에 살포하는 살포부와 작업자가 주행식 살포기를 조작하는 운전부 사이에 에어차단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에어분사부를 구비시켜, 살포부에서 살포되어 공중에 비산된 약제가 운전부에 위치한 작업자 방향으로 유동되어 작업자가 약제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식 살포기의 주행을 위한 캐터필러, 살포부의 송풍팬 및 에어분사부의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엔진을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작동시킬 수 있는 주행식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캐터필러가 구비된 운반기의 전방에 구비된 살포부와 운반기의 후방에 구비된 운전부의 사이에 형성된 에어분사부로써 지면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에어차단막에 의하여, 공중에 비산된 약제가 작업자에게 날아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주행식 살포기의 주행을 위한 캐터필러, 약제 살포를 위한 살포부의 송풍팬 및 에어차단막 형성을 위한 에어분사부의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엔진을 단일 또는 복수 개로 구비시켜, 주행식 살포기의 주행력, 약제 살포력 및 에어차단막 형성력을 강력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주행식 살포기{Driving style sprayer}
본 발명은 과수에 약제를 살포하는 주행식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약제를 공중에 살포하는 살포부와 작업자가 주행식 살포기를 조작하는 운전부 사이에 에어차단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에어분사부를 구비시켜, 살포부에서 살포되어 공중에 비산된 약제가 운전부에 위치한 작업자 방향으로 유동되어 작업자가 약제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식 살포기의 주행을 위한 캐터필러, 살포부의 송풍팬 및 에어분사부의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엔진을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작동시킬 수 있는 주행식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농약이나 물비료 등의 살포액을 이동이 가능한 호스에 분무대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살포하거나, 강력한 분무기를 주행이 가능한 동력장치에 부착하여 이동하면서 살포하였다.
전자방식과 같이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살포하는 경우에는, 살포액을 살포하기 위해 다수의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고, 하나의 분무대에 의하여 살포되므로 효율이 저조하고, 넓은 지역에 조속히 살포가 어려워 비살포 지역에 해충 등이 다시 번지게 되어 살포효과가 크게 감소되며,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균일하고 정확하지 못한 살포작업이 이루어졌으며, 작업자들이 살포액에 노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후자방식과 같이 주행이 가능한 동력장치에 분무기를 부착하여 이동하면서 살포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분무기에 살포작업정보를 미리 설정한 후 살포작업을 실시하는데, 살포하지 않아도 되거나 소량 살포구간에도 일정량을 살포하여 살포액을 낭비하게 되고, 또한 과다살포로 인한 오염문제도 있었다.
또한, 이동거리에 따라 살포액의 분무 정도가 달라 균일한 농도로 살포작업이 불가능하고, 바람의 제약이 크며, 동력장치가 진입할 수 없는 곳에서는 살포작업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이에 따른 장거리 살포작업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의 농약 살포기는 캐터필러가 장치된 서행 운반기의 선단에 약제살포기를 설치하고, 약제살포기 내에 송풍팬을 장치하여 전방에서 흡입한 바람을 직각방향으로 굴절시켜서 살포노즐 방향으로 송출했기 때문에 송풍력이 허약하여 분무노즐에서 분무되는 약제송출거리가 2∼3m로 짧아 키가 큰 과수 상단에는 약제가 닿지 않아 방제력이 떨어지는 불편이 있었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대용량의 블로워를 장치해야 하나 대용량의 블로워는 고출력의 엔진이 필요하므로 서행운반기와 같은 소규모의 운반기에 장치된 엔진의 구조를 감안할 때 실현성이 떨어지므로 송풍팬구동용 엔진과 운반기 이송용 엔진을 따로 설치하고 있으나 장치와 사용이 번거로운 불편과 비용부담이 많은 결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447213호의 "캐터필러를 장치한 서행 운반기에 착탈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가 공개되었으나, 상기 구성은 저면에 캐터필러가 장치된 서행 운반기의 차대 상판 선단부에 약제살포기를 설치하되 약제살포기 송풍실에는 보행속도로 이동하는 운반기의 엔진 힘으로 고속회전하는 시로코팬으로 된 송풍기를 장치하여 송풍실 전방에서 흡입한 바람을 송풍실 외주에 장치된 약제 살포노즐의 살포방향으로 직접 송풍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 살포노즐에서 분무되는 약제가 시로코팬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힘을 받아 5∼8m 까지 이송되어 키가 큰 과수의 정상에까지 약제가 당도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는 약제살포기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송풍실이 낮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로코팬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살포된 약제가 공중에서 바람에 의해 사방으로 흩어지기 때문에 과실의 높이까지 정확하게 살포할 수 없었고, 작업자에게 살포된 약제가 날아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24213호의 농약 살포기가 공개되었으나, 상기 기술 역시 살포되어 비산된 약제가 작업자에게 그대로 날아오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7213호(2014.09.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4213호(2011.03.09.)
본 발명은 주행식 살포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주행식 살포기는 전진 주행하며 과수가 위치된 연직방향으로 약제를 살포하도록 구성되고, 그 결과 주행식 살포기의 운반기 후방에 위치된 운전부에서 주행식 살포기를 운전하는 작업자가 공중에 비산된 약제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약제를 살포하는 살포용 송풍팬은 과수의 높이에 걸맞게 약제를 연직방향으로 살포시켜야 하기 때문에 강력한 구동력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단일의 엔진을 사용하여 주행식 살포기의 캐터필러와 살포부의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때문에, 주행식 살포기의 주행력 및 약제 살포력이 다소 미흡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엔진을 포함하며, 캐터필러가 저면에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운반기; 상기 운반기의 전방에 구비되어 약제를 살포하는 살포부; 상기 운반기의 후방에 구비되어 주행식 살포기를 조정하는 운전부 및; 상기 살포부와 운전부 사이에 해당하는 운반기에 구비되고, 지면의 상부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차단막을 형성시키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행식 살포기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주행식 살포기는 캐터필러가 구비된 운반기의 전방에 구비된 살포부와 운반기의 후방에 구비된 운전부의 사이에 형성된 에어분사부로써 지면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에어차단막에 의하여, 공중에 비산된 약제가 작업자에게 날아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주행식 살포기의 주행을 위한 캐터필러, 약제 살포를 위한 살포부의 송풍팬 및 에어차단막 형성을 위한 에어분사부의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엔진을 단일 또는 복수 개로 구비시켜, 주행식 살포기의 주행력, 약제 살포력 및 에어차단막 형성력을 강력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주행식 살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주행식 살포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주행식 살포기의 에어분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주행식 살포기의 에어분사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주행식 살포기의 에어분사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주행식 살포기의 에어분사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주행식 살포기의 착탈식 발판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주행식 살포기의 엔진에 의한 구동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
본 발명은 과수에 약제를 살포하는 주행식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11a)을 포함하며, 캐터필러(12)가 저면에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운반기(10); 상기 운반기(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약제를 살포하는 살포부(20); 상기 운반기(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주행식 살포기를 조정하는 운전부(30) 및; 상기 살포부(20)와 운전부(30) 사이에 해당하는 운반기(10)에 구비되고, 지면의 상부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차단막을 형성시키는 에어분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행식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주행식 살포기는 운반기(10)에 커터필러가 구비되어 농작지를 엔진(11a)에 의한 구동력으로 주행가능하고, 분사노즐이 포함된 살포부(20)에서 약제를 연직방향으로 살포하여 과수와 과실에 약제를 살포할 수 있으며, 운전부(30)를 조작하여 작업자가 운반기(10)의 주행 및 약제의 살포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살포부(20)에서 살포되는 약제는 외부에서 호스를 통하여 공급받을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운반기(10)의 상부에 약제통(50)이 더 구비되어 약제통(50)으로부터 살포부(20)의 분사노즐에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반기(10)는 엔진(11a)을 포함하며, 캐터필러(12)가 저면에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구성으로서, 주행식 살포기의 차제를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즉, 운반기(10)는 복수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형성되어 살포기의 전장과 전폭을 형성시키고, 상부에는 전방에서부터 살포부(20), 에어분사부(40) 및 운전부(30)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이때, 살포부(20)와 에어분사부(40)의 사이에는 약제통(50)이 더 구비되어 약제의 외부공급없이 살포부(20)에 직접 공급할 수도 있다.
더불어 운반기(10)의 전방에는 좁은 장소에서도 농약을 살포할 수 있는 호스를 감은 회전릴을 지지하는 지지구가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터필러(12)는 엔진(11a)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주행식 살포기의 이동성을 확보시키는 구성으로서, 운반기(10)의 전장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형성하며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캐터필러(12)의 구동력은 운반기(10)에 구비된 엔진(11a)으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엔진(11a)과 캐터필러(12)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기어장치, 밸트/체인과 같은 연결장치, 변속기(13), 운전부(30)의 핸들과 연결된 조향장치 또는 구동축 등의 일반적인 장치가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엔진(11a)은 주행식 살포기의 캐터필러(12), 살포부(20) 또는 에어분사부(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또한 상기 살포부(20)는 상기 운반기(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약제를 살포하는 구성으로서, 외부 또는 약제통(50)으로부터 공급받은 약제를 송풍팬(41)을 이용하여 연직방향으로 살포시키는 구성이다.
즉, 살포부(20)는 운반기(10)의 전방 또는 전방의 상부에 고정체결되거나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약제를 연직방향으로 살포할 수 있다. 이때, 살포부(20)에서 약제를 살포하는 방식은 압축펌프(15)를 이용하여 액상의 약제를 고압으로 형성시킨 후 분사노즐에 고압의 약제를 공급하여 살포할 수도 있고, 송풍팬(21)을 이용하여 유동에어를 형성시키고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액제를 유동에어와 함께 살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송풍팬(21)을 이용하여 약제를 살포하는 방식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겠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살포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21)은 실리콘팬, 레이디얼팬, 다익팬(시로코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41)의 구동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송풍팬(21)의 회전축은 엔진(11a)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21)의 회전축과 엔진(11a)의 회전축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기어장치, 밸트/체인과 같은 연결장치, 변속기(13) 또는 구동축 등의 일반적인 장치가 더 포함되는 구성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운전부(30)는 상기 운반기(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주행식 살포기를 조정하는 구성으로서, 주행식 살포기의 주행여부, 살포부(20)에서 분사되는 약제의 분사 조절 또는 하기 에어분사부(40)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 조절 등의 기능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운전부(30)에는 엔진(11a), 살포부(20)의 송풍팬(21) 또는 에어분사부(40)의 송풍팬(41)과 연결된 조절레버 또는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연결관계 및 작동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운전부(30)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석이 더 포함될 수도 있고, 운전석은 미포함되고 작업자는 보행을 하며 운전부(3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부(40)는 상기 살포부(20)와 운전부(30) 사이에 해당하는 운반기(10)에 구비되고, 지면의 상부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차단막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서, 주행식 살포기를 전진 방향으로 주행하며 약제를 살포할 때 공중에 비산된 약제가 작업자에게 날아오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분사부(40)는 약제가 살포되는 살포부(20)와 운전부(30) 사이에 해당하는 운반기(10)의 일정부분에 구비되어, 약제가 미포함된 에어를 지면의 상부 방향(연직방향 또는 측연직방향)으로 분사하여 작업자의 전방에 에어차단막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에어분사부(40)는 에어차단막을 작업자의 전방에 형성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송풍실(43)에 송풍팬(41)을 구비하고, 상부에 송풍실(43)에서 형성된 유동에어를 분사하는 분사구(44)가 형성되는 하우징(42); 상기 송풍팬(41) 외측에 해당하는 송풍실(43) 내부에 상호 이격 구비되어 유동에어를 분사구(44) 방향으로 유도하는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42)의 하부는 운반기(10)의 상부에 체결되어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고, 하우징(42)의 상부 또는 측부에는 내부에 형성된 송풍실(43)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분사구(44)가 형성된다. 아울러 하우징(42)의 전방부, 측부 또는 후방부에는 송풍실(43) 내부로 외부의 에어를 인입시킬 수 있는 흡입구(46)가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42)은 상기 분사구(44)와 흡입구(46) 이외의 부분은 기밀의 상태를 가져 송풍팬(41)에 의하여 송풍실(43) 내부에서 형성된 유동에어가 분사구(44)로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42)의 송풍실(43)에 구비되는 송풍팬(41)은 실리콘팬, 레이디얼팬, 다익팬(시로코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41)의 구동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송풍팬(41)의 회전축은 엔진(11a)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송풍팬(41)의 회전축과 엔진(11a)의 회전축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기어장치, 밸트/체인과 같은 연결장치, 변속기(13) 또는 구동축 등의 일반적인 장치가 더 포함되는 구성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즉, 송풍팬(41)이 시로코팬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송풍실(43)에 위치한 시로코팬의 회전에 의하여 하우징(42)의 흡입구(46)를 통하여 회전축 방향으로 유입된 외부 에어는 시로코팬의 반경방향으로 펼쳐져서 유동에어를 생성시키고, 상기 유동에어는 하우징(42)의 상부 또는 측부에 형성된 분사구(44)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 배출된다.
도 5를 기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42)의 하부인 연직하방으로는 에어의 분사구(44)가 미형성되어 있으므로, 시로코팬의 회전날개가 연직하방을 지나갈 때는 에어가 계속 압축되다가 하방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축된 에어가 일제히 송풍실(43)의 상부 또는 측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로코팬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시로코팬의 중앙으로 유입된 에어는 시로코팬의 회전날개에 의하여 유동에어로 변환되어 송풍실(43)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시로코팬의 중앙에서 송풍실(43) 내부로 유입되는 유동에어는 송풍실 타측 부분(43a)으로 유입되는 유동에어의 양이 송풍실 일측 부분(43b)으로 유입되는 유동에어의 양보다 더 많게 되어, 송풍실(43) 내부의 유동에어의 양이 좌ㆍ우 비대칭되게 된다. 또한 송풍실(43) 내부에서 분사구(44)로 배출되는 유동에어 역시 송풍실 타측 부분(43a)에 인접된 분사구(44) 부분에서 배출되는 유동에어가 송풍실 일측 부분(43b)에 인접된 분사구(44) 부분에서 배출되는 유동에어보다 많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에어유도판(45)은 송풍실(43)에서 좌ㆍ우 비대칭으로 배출되는 유동에어의 양을 조절하여 분사구(44)의 좌ㆍ우측에서는 균일한 양의 유동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은 송풍팬(41)과 분사구(44)의 사이에 해당함과 동시에 송풍팬(41)의 외측에 해당하는 송풍실(43) 내부에 상호 이격되며 구비되어, 송풍팬(41)에서 좌ㆍ우측으로 편중된 양으로 생성된 유동에어를 에어유도판(45)과 에어유도판(45)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켜 분사구(44)로 배출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은 송풍실(43) 내부의 좌ㆍ우측으로 편중된 양으로 형성된 유동에어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면, 에어유도판(45) 각각의 형태 또는 길이 등을 달리하는 방식으로 송풍실(43)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송풍팬(41)에서 분사구(44)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서로 다른 길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이 송풍팬(41)에서 분사구(44)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서로 다른 길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면, 송풍실(43) 내부의 좌ㆍ우측으로 편중된 양으로 형성된 유동에어를 분산시켜, 에어유도판(45)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유로로 균일하게 유동에어를 유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은 송풍팬(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송풍실 타측 부분(43a)에서 송풍실 일측 부분(43b)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에어유도판(45)의 일단이 송풍실 타측 부분(43a)에서 송풍실 일측 부분(43b) 방향으로 갈수록 송풍팬(41)와 인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을 하는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되도록 구성되되, 유동에어의 양이 많게 생성되는 송풍실의 타측 부분(43a)에서는 짧은 길이를 가지며 에어유도판(45)의 일단이 송풍팬(41)과 멀게 위치되어 많은 양의 유동에어 중 적은 양의 유동에어만을 유로로 유입시키고, 유동에어의 양이 적게 생성되는 송풍실의 일측 부분(43b)에서는 긴 길이를 가지며 에어유도판(45)의 일단이 송풍팬(41)과 가깝게 위치되어 적은 양의 유동에어 중 많은 양의 유동에어를 유로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송풍실 타측 부분(43a)에 형성된 유로와 송풍실 일측 부분(43b)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동에어의 양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아울러 상기 송풍팬(41)은 송풍팬(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송풍팬(41)이 송풍실(43)의 수평방향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 구성되어, 송풍실 타측 부분(43a)은 송풍팬(41)과 넓은 간격을 형성하고, 송풍실 일측 부분(43b)은 송풍실 타측 부분(43a)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송풍팬(41)이 송풍실(43) 내부에 수평방향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 편중되게 구성되면, 송풍팬(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송풍팬(41)을 기준하여 송풍실 타측 부분(43a)과 송풍실 일측 부분(43b)의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그 결과 송풍실 일측 부분(43b) 보다 다량의 유동에어를 송풍실(43)로 유입시키는 송풍실 타측 부분(43a)은 송풍실 일측 부분(43b) 보다 넓은 공간에 유동에어를 수용시키기 때문에 유동에어의 유동속도를 줄일 수 있고, 양은 많지만 속도가 줄어든 유동에어는 보다 적은 양으로 송풍실 타측 부분(43a)에 구비된 에어유도판(45)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로 분산되어 유입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여, 결과적으로는 송풍실 일측 부분(43b)에 구비된 에어유도판(45)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와 유사한 정도의 양으로 유동에어를 분사구(44)로 유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에어분사부(40)의 송풍실(43)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은 서로 다른 길이를 형성하며 송풍팬(41)과의 인접 간격을 달리하므로써, 에어유동판 사이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로 유동되는 유동에어의 양을 최대한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송풍실(43)에 구비되는 송풍팬(41)의 위치가 송풍실(43)의 수평방향 어느 한쪽 방향으로 편중되게 구성됨으로써, 송풍실(43)의 일측 부분(b)과 송풍실(43)의 타측 부분(a)의 공간 크기가 달라지도록 하고, 송풍팬(41)의 회전방향에 따라 다른 양의 유동에어를 유입받는 송풍실의 일측 부분(43b)과 송풍실의 타측 부분(43a)의 유동에어의 유동 속도를 최대한 동일하게 형성시켜, 송풍실의 일측 부분(43b)과 송풍실의 타측 부분(43a) 각각 형성된 복수의 유로로 유동되는 유동에어의 양을 최대한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더불어 송풍팬(4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와 반대로 구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엔진(11a)은 주행식 살포기의 캐터필러(12), 살포부(20)의 송풍팬(21) 및 에어분사부(40)의 송풍팬(4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단일의 것으로 구성되어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살포기의 캐터필러(12), 살포부(20)의 송풍팬(21) 및 에어분사부(40)의 송풍팬(41)에 일괄적인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고, 두 개로 구성되어 하나의 엔진(11a)은 운반기(10)의 캐터필러(12)에 동력을 전달하며, 다른 하나의 엔진(11b)은 에어분사부(40)의 송풍팬(41)와 살포부(20)의 송풍팬(21)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엔진(11a)이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 도 9와 같이 운반기(10)에 구비된 엔진(11a)은 분배기(12)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분배기(12)는 캐터필러(12)가 연결된 변속기(13), 에어분사부(40)의 송풍팬(41) 및 살포부(20)의 송풍팬(21)과 연결된 기어박스(14)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살포부(20)에서 살포되는 약제에 고압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압축펌프(15)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분배기(12)에 압축펌프(15)가 더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엔진(11a, 11b)이 두 개로 구성되는 경우, 도 10과 같이 운반기(10)에는 두 대의 엔진(11a, 11b)이 구비되고, 어느 하나의 엔진(11a)은 캐터필러(12)가 연결된 변속기(13) 및 살포부(20)에서 살포되는 약제에 고압을 형성기키기 위한 압축펌프(15)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고, 다른 엔진(11b)은 에어분사부(40)의 송풍팬(41) 및 살포부(20)의 송풍팬(21)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운반기(10)의 후방에는 운전부(30)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착탈식 발판(60)이 더 포함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착탈식 발판(60)은 작업자가 주행식 살포기를 운전하며 약제를 살포하다가 잠시의 편의를 위하여 착탈식 발판(60)에 올라타 편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발판(60)이 주행식 살포기에 고정체결되는 구성을 하면, 발판(60)이 불필요한 작업환경에서는 오히려 작업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운반기(10)의 후방에 착거 또는 찰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 8과 같이 착탈식 발판(60)의 일측에는 고정바(6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61)는 운반기(10)의 후방의 프레임에 꽂아져 볼트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바(61)의 후방에는 접이가능한 발판(62)이 구비되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발판(62)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주행식 살포기를 전진 주행하며 과수의 높이에 맞게 살포부(20)에서 약제를 살포하는 상황에서, 살포부(20)와 운전부(30) 사이의 운반기(10) 일정부분에 구비된 에어분사부(40)에서는 지면의 상부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차단막을 형성시킨다.
이때, 에어분사부(40)는 하우징(42)의 전방에 형성된 흡입구(46)를 통하여 외부에어를 흡입하고, 흡입구(46)로 흡입된 에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팬(41, 시로코팬)의 회전력에 의하여 송풍팬(41)의 중앙에서 송풍실(43)로 유입된다.
더불어 송풍실(43)로 유입되는 에어는 하부가 막힌 하우징(42)의 송풍실(4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팬(41)에 의하여 송풍실 타측 부분(43a)의 에어 양이 송풍일 일측 부분(43b)의 에어 양보다 더 많지만, 송풍실 타측 부분(43a)이 송풍일 일측 부분(43b)보다 더 넓은 간격을 하기 때문에 에어 양을 차이를 줄일 수 있ek
더 나아가 송풍팬(41)의 외측에 해당하는 송풍실(43) 내부에 상호 이격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의 길이가 송풍실 타측 부분(43a)에서 송풍실 일측 부분(43b)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더 긴 길이를 하기 때문에, 송풍실(43)의 너비와 유사한 너비를 가지는 분사구(44)를 통하여 분사되는 에어의 양이 분사구(44)의 전체부분에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에어차단막의 형성 높이는 에어분사부(40)의 송풍팬(41) 회전속도의 조절에 의하여 자유롭게 조절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즉, 상기 작동과정을 통하여 분사구(44)로 분사되는 에어는 운전부(30)에 위치한 작업자 전방에 에어차단막을 형성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고, 그 결과 공중에 비산된 약제가 작업자에게 날아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운반기 11a, 11b : 엔진
12 : 분배기 13 : 변속기
14 : 기어박스 15 : 압축펌프
12 : 캐터필러 20 : 살포부
21 : 송풍팬 30 : 운전부
40 : 에어분사부 41 : 송풍팬
42 : 하우징 43 : 송풍실
43a : 송풍실 타측 부분 43b : 송풍실 일측 부분
44 : 분사구 45 : 에어유도판
46 : 흡입구 50 : 약제통
60 : 착탈식 발판 61 : 고정바
62 : 접이가능한 발판

Claims (7)

  1. 엔진(11a)을 포함하며, 캐터필러(12)가 저면에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운반기(10);
    상기 운반기(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약제를 살포하는 살포부(20);
    상기 운반기(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주행식 살포기를 조정하는 운전부(30) 및;
    상기 살포부(20)와 운전부(30) 사이에 해당하는 운반기(10)에 구비되고, 지면의 상부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차단막을 형성시키는 에어분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살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11a)은,
    두 개로 구성되고, 하나의 엔진(11a)은 운반기(10)의 캐터필러(12)와 에어분사부(40)의 송풍팬(41)에 동력을 전달하며, 다른 하나의 엔진(11b)은 살포부(20)의 송풍팬(21)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살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40)는,
    송풍실(43)에 송풍팬(41)을 구비하고, 상부에 송풍실(43)에서 형성된 유동에어를 분사하는 분사구(44)가 형성되는 하우징(42);
    상기 송풍팬(41) 외측에 해당하는 송풍실(43) 내부에 상호 이격 구비되어 유동에어를 분사구(44) 방향으로 유도하는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살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은,
    송풍팬(41)에서 분사구(44)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서로 다른 길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살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에어유도판(45)은,
    송풍팬(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송풍실 타측 부분(43a)에서 송풍실 일측 부분(43b)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에어유도판(45)의 일단이 송풍실 타측 부분(43a)에서 송풍실 일측 부분(43b) 방향으로 갈수록 송풍팬(41)와 인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살포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41)은 송풍팬(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송풍팬(41)이 송풍실(43)의 수평방향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 구성되어, 송풍실 타측 부분(43a)은 송풍팬(41)과 넓은 간격을 형성하고, 송풍실 일측 부분(43b)은 송풍실 타측 부분(43a)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살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기(10)의 후방에는,
    운전부(30)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착탈식 발판(6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살포기.
KR1020150132841A 2015-09-21 2015-09-21 주행식 살포기 KR10172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841A KR101722071B1 (ko) 2015-09-21 2015-09-21 주행식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841A KR101722071B1 (ko) 2015-09-21 2015-09-21 주행식 살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506A true KR20170034506A (ko) 2017-03-29
KR101722071B1 KR101722071B1 (ko) 2017-03-31

Family

ID=5849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841A KR101722071B1 (ko) 2015-09-21 2015-09-21 주행식 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0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2986A (zh) * 2017-06-27 2017-09-22 合肥市老海新材料有限公司 一种喷洒植保机械
JP2021090375A (ja) * 2019-12-10 2021-06-17 株式会社イーエムアイ・ラボ 薬液散布機
KR20220112526A (ko) * 2021-02-04 2022-08-11 장재욱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22851U (ko) * 1988-05-28 1989-12-01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방제차에 있어서 강제송풍에 의한 작업자 보호 공기막 형성장치
JPH11204975A (ja) * 1998-01-16 1999-07-30 Nec Eng Ltd 冷却ダクト
KR20110024213A (ko) 2009-09-01 2011-03-09 고재영 농약 살포기
KR101447213B1 (ko) 2012-11-15 2014-10-14 최경준 케터필러를 장치한 서행 운반기에 착탈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22851U (ko) * 1988-05-28 1989-12-01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방제차에 있어서 강제송풍에 의한 작업자 보호 공기막 형성장치
JPH11204975A (ja) * 1998-01-16 1999-07-30 Nec Eng Ltd 冷却ダクト
KR20110024213A (ko) 2009-09-01 2011-03-09 고재영 농약 살포기
KR101447213B1 (ko) 2012-11-15 2014-10-14 최경준 케터필러를 장치한 서행 운반기에 착탈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2986A (zh) * 2017-06-27 2017-09-22 合肥市老海新材料有限公司 一种喷洒植保机械
JP2021090375A (ja) * 2019-12-10 2021-06-17 株式会社イーエムアイ・ラボ 薬液散布機
KR20220112526A (ko) * 2021-02-04 2022-08-11 장재욱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071B1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0569B1 (ja) マルチロータ型ヘリコプター及びこれを使用した薬剤の空中散布方法
KR101593496B1 (ko) 과수의 높이에 맞게 약제를 분무할 수 있는 주행식 분무기
KR100938804B1 (ko) 무인 헬리콥터
US5251818A (en) Spraying equipment for plants grown in rows
KR101722071B1 (ko) 주행식 살포기
CN107771104A (zh) 喷洒单元、包括这种单元的紧凑型喷洒模块以及包括多个这种模块的喷洒和控制系统
KR102119938B1 (ko)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JP2012126216A (ja) 薬剤散布装置
US11752511B2 (en) Mist sprayer apparatus
KR101708183B1 (ko)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20130028127A (ko) 케터필러를 장치한 서행 운반기에 착탈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JP4217655B2 (ja) 無線操縦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る薬剤散布装置
KR200464258Y1 (ko) 방제장치
KR101710112B1 (ko)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KR101918541B1 (ko) 방제차량의 송풍장치
KR100424986B1 (ko) 방제용약제살포기
JPH08214757A (ja) 果樹園用防除機
KR200488377Y1 (ko) 과수용 약액 분사장치
CN108464292B (zh) 一种隧道式喷雾机
JP2852636B2 (ja) 防除用薬剤散布機
JP2015154719A (ja) 散布装置および散布方法
JP2569409Y2 (ja) 薬液散布車
CN217564694U (zh) 果树送风喷药装置
JP2004097139A (ja) 自走式粒剤散布装置
IT202100000200U1 (it) Apparato atomizzatore per il trattamento di colture agric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