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938B1 -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 Google Patents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938B1
KR102119938B1 KR1020180044982A KR20180044982A KR102119938B1 KR 102119938 B1 KR102119938 B1 KR 102119938B1 KR 1020180044982 A KR1020180044982 A KR 1020180044982A KR 20180044982 A KR20180044982 A KR 20180044982A KR 102119938 B1 KR102119938 B1 KR 10211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ing device
drug
blowing
spraying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545A (ko
Inventor
최경준
Original Assignee
최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준 filed Critical 최경준
Priority to KR102018004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93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5Fan or ventilator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캐터필러가 저면에 설치되고 엔진에 의해 주행하는 운반기 본체, 상기 운반기 본체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의 송풍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제1분사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약제를 살포하는 주 살포장치, 및 상기 주 살포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송풍력에 의해 약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살포장치의 상부에 설치되고, 약제가 살포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살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살포장치의 일측 단부는 지면에 수평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 살포장치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약제가 분무되는 제2분사노즐이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2분사노즐을 통해 약재가 분무되는 경우 상기 보조 살포장치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A Spray Height adjustable Driving Type Sprayer}
본 발명은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엔진에 의해 주행하는 운반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약제를 살포하는 주 살포장치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보조 살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과수의 높이에 맞추어 영양제 또는 살충제 등의 약제를 용이하게 살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식 약제살포기가 직접 진입하기 곤란한 계단식 밭의 경우에도 상기 주 살포장치와 보조 살포장치를 이용하여 고지대와 저지대에 모두 균일하게 약제 살포가 가능한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과수 등에 농약이나 물비료 등의 약제를 살포하는 경우 종래에는 약제통과 연결된 호스의 단부에 분무장치를 설치하고, 살포자가 약제통을 휴대한 상태에서 약제 살포가 필요한 지역을 직접 이동하면서 살포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는데, 이 경우 하나의 분무장치에 의하여 살포되므로 작업효율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살포자가 직접 이동하면서 살포하는 방식은 넓은 지역에 조속히 살포가 어려워 비살포 지역에 해충 등이 다시 번지게 되어 살포효과가 크게 감소되며, 살포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균일하고 정확하지 못한 살포작업이 이루어졌으며, 살포자들이 살포액에 노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케터필러가 장치된 서행 운반기 선단에 약제살포기를 설치하고, 약제살포기내에 송풍팬을 설치하여 상기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약제를 살포하는 주행식 살포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주행식 살포장치의 경우 송풍팬이 전방에서 흡입한 바람을 직각방향으로 굴절시켜서 살포노즐 방향으로 송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송풍력이 허약하여 분무노즐에서 분사되는 약제송출거리가 2∼3m로 짧아 키가 큰 과수 상단에는 약제가 닿지 않아 방제력이 떨어지는 불편이 있었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대용량의 블로워를 설치해야 하나 대용량의 블로워는 고출력의 엔진이 필요하므로 서행운반기와 같은 소규모의 운반기에 장치된 엔진의 구조를 감안할 때 실현성이 떨어지므로 송풍팬 구동용 엔진과 운반기 이송용엔진을 따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와 사용이 번거로운 불편과 비용부담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저면에 케터필러가 장치된 서행 운반기의 차대 상판 선단부에 약제살포기를 설치하되, 약제살포기 송풍실에는 보행속도로 이동하는 운반기의 엔진 힘으로 고속회전하는 시로코팬으로 된 송풍기를 설치한 약제살포기를 개발하였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 [문헌 1]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하기 [문헌 1]에 개시된 약제살포기의 경우 시로코팬의 특성상 송풍실 전방에서 흡입한 바람을 송풍실 외주에 장치된 약제 살포노즐의 살포방향으로 직접 송풍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 살포노즐에서 분무되는 약제가 시로코팬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힘을 받아 5∼8m 까지 장거리 살포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하기 [문헌 1]에 따른 약제살포기의 경우 송풍실이 낮게 설치되어 있어서 시로코팬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살포된 약제가 공중에서 바람에 의해 사방으로 흩어지기 때문에, 키가 큰 과수의 경우 정상에까지 정확하게 약제가 살포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447213호(2013. 3. 18.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에 의해 주행하는 운반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약제를 살포하는 주 살포장치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보조 살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과수의 높이에 맞추어 영양제 또는 살충제 등의 약제를 용이하게 살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식 약제살포기가 직접 진입하기 곤란한 계단식 밭의 경우에도 상기 주 살포장치와 보조 살포장치를 이용하여 고지대와 저지대에 모두 균일하게 약제 살포가 가능한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송풍실의 외주면으로 송출되는 바람이 나선형의 회오리 바람 형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송풍 거리를 더욱 증가시킴과 동시에 바람을 직접 받을 수 없는 뒤쪽에 가려진 과수의 잎이나 열매에도 약제 살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캐터필러가 저면에 설치되고 엔진에 의해 주행하는 운반기 본체, 상기 운반기 본체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의 송풍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제1분사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약제를 살포하는 주 살포장치, 및 상기 주 살포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송풍력에 의해 약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살포장치의 상부에 설치되고, 약제가 살포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살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살포장치의 일측 단부는 지면에 수평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 살포장치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약제가 분무되는 제2분사노즐이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2분사노즐을 통해 약재가 분무되는 경우 상기 보조 살포장치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살포장치는, 상기 주 살포장치의 상부 일측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 상기 지면과 수평한 방향이나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관형의 회동 프레임,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 프레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된 관형의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살포장치는, 중앙에 흡기구가 형성된 제1패널, 상기 제1패널과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패널과의 사이에서 외주면이 개방된 형태의 공간인 송풍실을 형성하는 제2패널, 상기 송풍실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실의 외주면 방향으로 송출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실 내부에서 송풍팬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분사노즐, 및 상기 제1분사노즐에 약제를 공급하는 제1약제이송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살포장치는 상기 제1약제이송관의 일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분사노즐에 약제를 공급하는 제2약제이송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약제이송관은 상기 회동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분사노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살포장치는 송풍팬에서 송출되는 바람을 상기 제1분사노즐 각각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2패널의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송풍 유도날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송풍실의 외주면으로 송출되는 바람이 나선형의 회오리 바람 형태로 배출되도록, 상기 송풍 유도날개는 바람을 유도하는 면이 바람이 송출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어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엔진에 의해 주행하는 운반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약제를 살포하는 주 살포장치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보조 살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과수의 키가 큰 경우에도 상기 보조 살포장치의 높이를 조절하여 과수의 높이에 맞추어 영양제 또는 살충제 등의 약제를 용이하게 살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과수의 키에 따라 약제 살포자가 주 살포장치만을 작동시키는 경우, 보조 살포장치만을 작동시키는 경우, 또는 주 살포장치와 보조 살포장치를 모두 작동시키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살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과수의 높이에 맞추어 영양제 또는 살충제 등의 약제를 효율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직접적으로 진입이 곤란한 계단식 밭의 경우에도 상기 주 살포장치와 보조 살포장치를 이용하여 고지대와 저지대에 모두 균일하게 약제 살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상기 보조 살포장치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수의 키가 크지 않아서 살포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살포장치를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약제살포기의 주행시 보조 살포장치에 의하여 높이가 낮은 과수의 가지나 열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주 살포장치의 송풍실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송풍 유도날개가 바람을 유도하는 면이 바람이 송출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어진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송풍실에서 송출되는 바람이 나선형의 회오리 바람 형태로 배출됨으로써 송풍 거리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람을 직접 받지 않는 뒤쪽에 가려진 잎이나 열매 등에도 약제 살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식 약제살포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약제살포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약제살포기의 주 살포장치에 포함된 송풍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4와 도5는 각각 도1에 도시한 약제살포기에 설치된 보조 살포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과 도7은 각각 도1에 도시한 약제살포기의 송풍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와 사시도,
도8은 도6에 도시한 송풍 유도날개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와 측면도, 및
도9는 도1의 약제살포기를 이용하여 계단식 밭에서 고지대와 저지대의 과수에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식 약제살포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약제살포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한 약제살포기의 주 살포장치에 포함된 송풍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4와 도5는 각각 도1에 도시한 약제살포기에 설치된 보조 살포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6과 도7은 각각 도1에 도시한 약제살포기의 송풍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와 사시도이고, 도8은 도6에 도시한 송풍 유도날개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와 측면도이다.
또한, 도9는 도1의 약제살포기를 이용하여 계단식 밭에서 고지대와 저지대의 과수에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캐터필러(1a)가 저면에 설치되고 엔진(6)에 의해 주행하는 운반기 본체(1), 상기 운반기 본체(1)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약제를 살포하는 주 살포장치(2), 및 상기 주 살포장치(2)와 연계하여 약제를 살포하도록 상기 주 살포장치(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보조 살포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운반기 본체(1)는 주행을 위한 엔진(6), 액상의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통(9),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약제저장통(9)에 저장된 약제를 인출하여 약제이송관(9a,9b)를 통해 분사노즐(4a,4b)로 약제를 공급하는 분무기(미도시) 등이 탑재되는 차대상판(1b), 상기 차대상판(1b) 선단부에 일정각도로 형성된 부착판체(1c), 및 상기 차대상판(1b)의 하부에 설치된 케터필러(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무기(미도시)는 운반기 본체(1)에 장치된 엔진(6)의 동력을 변속기로 감속시킨 동력으로 작동되며, 약제저장통(9)의 약제를 약제인출관(미도시)을 통해 인출하여 약제이송관(9a,9b)을 통해 분사노즐 연결관(4)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운반기 본체(1)는 차대상판(1b)에 착탈되는 적재함(미도시)과, 운반기 본체(1)의 차체 운전조작부에 설치되어 차체가 후진할 때 압력을 받으면 차체이동이 중지되도록 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키는 안전레버(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살포장치(2)는 서행 운반기 본체(1)의 차대상판(1b) 선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주 살포장치(2)의 내부에 형성되는 송풍실(20b)에는 보행속도로 이동하는 운반기 본체(1)에 설치된 엔진(6)에 의한 구동력으로 고속회전하는 송풍팬(3)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송풍팬(3)은 원심 송풍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송풍팬(3)이 일예로서 시로코팬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풍실(20b)의 전방에서 흡입한 공기를 방향 전환없이 그대로 송풍실(20b)의 내부에 설치된 제1분사노즐(4a)의 약제 살포방향으로 직접 송풍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분사노즐(4a)에서 분무되는 약제가 송풍팬(3)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힘을 받아 5∼8m 정도의 장거리까지 약제의 살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 살포장치(2)는 중앙에 흡기구(20c)가 형성된 제1패널(23a), 상기 제1패널(23a)과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패널(23a)과의 사이에서 외주면이 개방된 형태의 공간인 송풍실(20b)을 형성하는 제2패널(23b), 상기 송풍실(20b)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20c)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실(20b)의 외주면 방향으로 송출하는 송풍팬(3), 상기 송풍실(20b) 내부에서 송풍팬(3)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분사노즐(4a), 및 상기 분무기(미도시)에 의해 약제저장통(9)의 약제를 제1분사노즐(4a)에 공급하는 제1약제이송관(9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패널(23a)과 제2패널(23b)는 하부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살포기 본체(20)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패널(23a)과 제2패널(23b)이 연결된 상기 살포기 본체(20)의 하부 양측에는 부착판(20a)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볼트(21)와 너트(22)에 의해 상기 차대상판(1b) 선단부에 일정각도로 형성된 부착판체(1c)에 상기 살포기 본체(20)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살포기 본체(20)의 내부에는 하단이 막히고, 나머지 외주면이 개방된 형태의 송풍실(20b)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실(20b)의 내부에 전술한 바와 같이 시로코팬으로 이루어진 송풍팬(3)과 제1분사노즐(4a)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송풍실(20b)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송풍 유도날개(20d)가 복수 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송풍팬(3)에서 송출되는 바람을 각각의 살포노즐(4a)의 살포방향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약제이송관(9a)을 통해 공급되는 약제는 분사노즐 연결관(4)을 통해 각각의 제1분사노즐(4a)로 공급되는데, 상기 분사노즐 연결관(4)은 살포기 본체(20)의 외측,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패널(23b)의 외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3)은 엔진(6)에 의하여 구동되는데, 이를 위하여 살포기 본체(20)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3)의 회전축(3a)에 부착된 회전풀리(3b), 상기 운반기 본체(1)의 차대상판(1b)에 장치된 축잡이(30)에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하고 단부에 중공형의 회전축(30b)이 형성된 동력전달회전풀리(30a), 및 상기 동력전달회전풀리(30a)의 동력을 상기 송풍팬(3)의 회전풀리(3b)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0c)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회전풀리(30a)의 회전축(30b)은 상기 엔진(6) 구동축(미도시)과 연결장치(미도시)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축(60a)의 접속장치(C)와 접속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 동력은 동력전달장치(30c)를 통해 회전풀리(3b)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송풍팬(3)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살포장치(70)는 상기 주 살포장치(2)와 연계하여 상기 송풍팬(3)의 송풍력에 의해 약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살포장치(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약제가 살포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살포장치(70)는 일측 단부가 지면에 수평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 살포장치(2)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약제가 분무되는 제2분사노즐(4b)이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보조 살포장치(70)가 상기 주 살포장치(2)의 상부 일측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71), 상기 지면과 수평한 방향이나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7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관형의 회동 프레임(72),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 프레임(72)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된 관형의 이동 프레임(74), 및 상기 이동 프레임(74)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노즐(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71)은 상기 주 살포장치(2)를 구성하는 제1,2패널(23a,23b)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배치되는 판 형상의 제1지지판(71a), 상기 제1지지판(71a)과 내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제1,2패널(23a,23b)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판(71a)과의 사이에 채널 형상의 공간(71c)을 형성하는 판 형상의 제2지지판(71b), 및 상기 제1,2지지판(71a,71b)으로부터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3지지판(7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지지판(71a,71b)은 각각의 일측 단부가 제1연결판(71f)에 의해 하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각각의 타측 단부는 제2연결판(71g)에 의해 상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판(71d)은 제3연결판(71h)에 의해 일측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동 프레임(7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2지지판(71a,7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71c)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재(73)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7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게 되는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경우 상기 회동 프레임(72)은 이동 프레임(74)이 삽입되는 타측 단부가 지면의 상부 방향을 향하게 되고, 지면과 수평하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경우 상기 회동 프레임(72)의 몸체는 상기 공간(71c)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74)이 삽입되는 타측 단부가 주 살포장치(2)의 전방을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지지판(71a,71b)과 회동 프레임(72)의 결합부에는 회동축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결합부재(73)가 회동축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회동 프레임(72)의 회동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지지판(71a,71b)과 회동 프레임(72)의 결합부에 대한 회동구조 및 상기 회동 프레임(72)의 회동을 단속하는 구성은 공지기술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상기 제1,2지지판(71a,71b)과 회동 프레임(72)의 결합부 및 결합부재(73)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에서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프레임(72)이 상기 제1,2지지판(71a,7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71c)에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연결판 내지 제3연결판(71f,71g,71h)는 상기 회동 프레임(72)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판(71f)의 하부에는 상기 제3연결판(71h)과 대향하는 결합판(71e)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판(71e)과 제3연결판(71h)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패널(23a)의 상부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71)는 주 살포장치(2)의 상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프레임(74)은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 프레임(72)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이동 프레임(74)의 승강 높이는 일예로서 조임 나사 형태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부재(75)에 의하여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이동 프레임(74)의 외경에는 다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높이 조절부재(75)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미도시)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74)의 타측 단부에는 판 형상의 고정판(76)이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판(74)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노즐(4b)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 살포장치(70)는 상기 제1약제이송관(9a)(이는 분사노즐 연결관(4)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의 일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분사노즐(4b)에 약제를 공급하는 제2약제이송관(9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약제이송관(9b)은 상기 회동 프레임(72)과 이동 프레임(74)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분사노즐(4b)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살포장치(70)는 운반기 본체(1)의 주행시 과수의 가지나 열매 등에 걸리게 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부에 제2약제이송관(9b)이 수용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좁은 폭(또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지면과 수평한 방향'이라 함은 완전 수평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각도 범위를 가지고 지면 방향으로 눕혀진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이라 함은 완전 수직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각도 범위를 가지고 상부 방향으로 세워진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도6과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풍실(20b)의 중앙에 위치한 송풍팬(3)의 회전에 의하여 흡기구(20c)를 통하여 송풍팬(3)의 회전축(3a) 방향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반경방향으로 펼쳐져서 송풍실(20b)의 외주면을 통해 빠져 나가게 된다.
이때, 송풍실(20b)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송풍의 크기와 방향을 유도하기 위해 송풍 유도날개(20d)가 설치되는데, 상기 송풍 유도날개(20d)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패널(23a)과 제2패널(23b) 사이의 폭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실(20b)을 전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송풍팬(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연직방향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우측보다 좌측에 설치된 송풍 유도날개(20d)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반대로, 만일 상기 송풍실(20b)을 전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송풍팬(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우측에 설치된 송풍 유도날개(20d)의 폭이 좌측에 설치된 송풍 유도날개(20d)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주 살포장치(2)의 경우 살포기 본체(20)의 하부면에는 제1,2패널(23a,23b)의 하부가 서로 연결되어 연직하방으로는 공기의 배출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송풍팬(3)의 회전날개가 연직하방을 지나갈 때는 공기가 계속 압축되다가 하방에서 상방향으로 처음 이동할 때 압축된 공기가 일제히 빠져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은 사유로 인하여, 본실시예와 같이 상기 송풍팬(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송풍실(20b)의 우측 외주면으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양이 좌측 외주면으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양보다 더 많게 되어 송풍실(20b)을 빠져나가는 공기의 양이 좌, 우가 서로 대칭이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본원 발명과 같이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는 송풍 유도날개(20d)의 폭을 다르게 설정할 경우 송풍팬(3)의 회전방향에 따라 발생하는 좌, 우측 방향의 불균일한 송풍량을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송풍량을 보다 정교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 유도날개(20d)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살포기 본체(2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편(20e)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50a)을 천공하고, 체결구(40)를 이용하여 상기 장공(50a)을 통해 상기 송풍 유도날개(20d)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살포기 본체(20)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송풍 유도날개(20d)는 살포기 본체(2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하면 송풍량이 더 많아지고, 중심방향에서 멀리 고정하면 송풍량이 더 적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송풍실(20b)에서 송출되는 바람은 송풍 유도날개(20d)의 폭과 송풍실(20b) 내부에서의 설치위치를 조정하여 균일하게 조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송풍 유도날개(20d)가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송풍실(20b)의 외주면으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이 직선형으로 과수에 전달되기 때문에 바람을 직접 받는 과수의 잎이나 열매에는 약제가 충분히 살포될 수 있는 반면에, 바람을 직접 받을 수 없는 뒤에 가려진 잎이나 열매에는 상대적으로 약제의 살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 유도날개(20d)의 형상을 도6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을 유도하는 면이 바람이 송출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어진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송풍실(20b)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의 송풍 유도날개(20d)가 형성하는 채널을 통해 배출되는 바람이 나선형의 회오리 바람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나선형의 회오리 바람 형태로 송풍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비회전체보다 회전체의 비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는 것과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송풍 유도날개기 단순히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송풍 거리가 더욱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나선형의 회오리 바람 형태로 송풍이 이루어질 경우 과수의 잎 등이 바람을 받고 단순히 뒤로 밀리는 것이 아니라, 바람에 밀리면서도 바람의 방향(즉, 나선 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의 회전 운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뒤에 가려진 잎이나 열매 등에도 약제가 효과적으로 살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실(20b)에는 약제가 저장되어 있는 약제공급통(9)과 연결된 약제이송관(9a,9b)을 통하여 유압펌프(미도시)에 의하여 약제가 이송되는데, 상기 약제이송관(9a,9b)의 끝단에는 분사노즐(4a,4b)이 볼트체결방식으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4a,4b)은 약제의 살포량에 따라 하나 혹은 한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4a,4b)는 밸브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것으로서 회동에 의하여 약제 분무가 이루어지거나 약제 분무가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약제 분무가 불필요한 방향에 설치된 분사노즐(4a,4b)의 경우에는 살포자의 조작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약제 분무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사노즐(4a)은 송풍실(20b)의 외부 끝단에 위치시켜 제1분사노즐(4a)로부터 살포되는 농약이 상기 송풍실(20b)의 내부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약제살포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케터필러(1a)가 장치되어 보행속도로 이동하는 운반기 본체(1)의 차대상판(1b) 선단부에 주 살포장치(2)를 설치하고, 주 살포장치(2)의 송풍실(20b)에는 운반기 본체(1)에 탑재한 20∼25마력의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송풍팬(3)을 설치하여 1200∼2500rpm의 속도로 송풍팬을 회전시켜 운반기 본체(1)의 전방에서 흡입한 바람을 제1분사노즐(4a)의 설치 방향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송풍팬(3)에서 발생한 바람을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약제의 이송에 이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풍량이 많아서 제1분사노즐(4a)에서 분무되는 약제가 송풍팬(3)의 바람을 받아 5∼8m 거리까지 살포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약제를 살포하지 않을 때는 운반기 본체(1)의 차대상판(1b) 부착판체(1c)에서 주 살포장치(2)를 분리하고 적재함(미도시)을 장착하여 농산물이나 농자재를 운반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약제살포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엔진에 의해 주행하는 운반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약제를 살포하는 주 살포장치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보조 살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과수의 키에 따라 약제 살포자가 주 살포장치만을 작동시키는 경우, 보조 살포장치만을 작동시키는 경우, 또는 주 살포장치와 보조 살포장치를 모두 작동시키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살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과수의 높이에 맞추어 영양제 또는 살충제 등의 약제를 효율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상기 보조 살포장치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수의 키가 크지 않아서 살포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살포장치를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약제살포기의 주행시 보조 살포장치에 의하여 높이가 낮은 과수의 가지나 열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주행식 약제살포기가 주행할 수 있는 농로의 양측이 높낮이가 상이한 계단식 밭의 경우에도 고지대와 저지대에 있는 과수에 모두 효과적으로 약제 살포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되는데, 이를 도9에 도시하였다.
즉,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단식 밭의 경우 고지대의 구릉에는 주행식 약제살포기가 직접 진입하기 곤란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주행식 약제살포기는 상기 고지대 구릉에 위치한 과수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약제 살포가 이루어지기 곤란한 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식 약제살포기의 경우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살포장치(70)를 수직 방향으로 회동시켜 높이를 높게 조절한 상태에서 도면상에서 좌측의 고지대에는 보조 살포장치(70)를 이용하여 약제를 살포하고, 우측의 저지대에는 주 살포장치(2)를 이용하여 약제를 살포함으로써 고지대와 저지대의 과수에 모두 균일하게 약제를 살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고지대를 향하고 있는 주 살포장치(2)의 왼쪽에 위치한 제1분사노즐(4a)과, 상기 저지대를 향하고 있는 보조 살포장치(70)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2분사노즐(4b)에는 불필요한 약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제 공급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1447213호)에 대한 개량 발명으로서 [문헌 1]에 기재된 내용 중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 등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반하지 않는 한 당연히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1 : 운반기 본체 2 : 주 살포장치
3 : 송풍팬 4a,4b : 제1,2분사노즐
6 : 엔진 9 : 약제저장통
9a,9b : 제1,2약제이송관 20 : 살포기 본체
70 : 보조 살포장치 71 : 지지 프레임
72 : 회동 프레임 74 : 이동 프레임

Claims (4)

  1. 캐터필러가 저면에 설치되고, 엔진에 의해 주행하는 운반기 본체;
    상기 운반기 본체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의 송풍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제1분사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약제를 과수에 살포하는 주 살포장치; 및
    상기 주 살포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송풍력에 의해 상기 과수에 약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살포장치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약제가 살포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 살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살포장치는,
    지면에 수평하고 상기 주 살포장치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주 살포장치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제1방향이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중도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관형의 회동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일측 단부 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판과 타측 단부 상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회동 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 프레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된 관형의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고 약제가 분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노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살포장치는, 상기 제2분사노즐을 통해 약제가 분무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2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분사노즐을 통해 약제가 분무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운반기 본체의 주행시 과수의 가지나 열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1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살포장치는,
    중앙에 흡기구가 형성된 제1패널, 상기 제1패널과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패널과의 사이에서 외주면이 개방된 형태의 공간인 송풍실을 형성하는 제2패널, 상기 송풍실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실의 외주면 방향으로 송출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실 내부에서 송풍팬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분사노즐, 및 상기 제1분사노즐에 약제를 공급하는 제1약제이송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살포장치는 상기 제1약제이송관의 일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분사노즐에 약제를 공급하는 제2약제이송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약제이송관은 상기 회동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분사노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살포장치는 송풍팬에서 송출되는 바람을 상기 제1분사노즐 각각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2패널의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송풍 유도날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송풍실의 외주면으로 송출되는 바람이 나선형의 회오리 바람 형태로 배출되도록, 상기 송풍 유도날개는 바람을 유도하는 면이 바람이 송출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어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KR1020180044982A 2018-04-18 2018-04-18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KR10211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982A KR102119938B1 (ko) 2018-04-18 2018-04-18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982A KR102119938B1 (ko) 2018-04-18 2018-04-18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545A KR20190121545A (ko) 2019-10-28
KR102119938B1 true KR102119938B1 (ko) 2020-06-05

Family

ID=6842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982A KR102119938B1 (ko) 2018-04-18 2018-04-18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9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43A (ko) * 2021-01-27 2022-08-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단 살포장치가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
KR20230094655A (ko) * 2021-12-21 2023-06-28 에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방제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9013A (zh) * 2019-11-26 2020-03-24 薄士霞 一种涂抹均匀度高的具有干燥功能的园林养护装置
KR102185488B1 (ko) * 2020-07-17 2020-12-03 송혁명 선박 도장장치
CN112314563B (zh) * 2020-09-30 2022-01-18 邢旭英 可以调节高度的喷药机装置
CN112676097A (zh) * 2020-11-26 2021-04-20 江苏润居建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用的树木养护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619978B (zh) * 2020-12-02 2022-02-22 山东智亚德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市政绿化树冬季全自动粉刷石灰水的防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567Y1 (ko) * 2006-06-29 2006-09-13 김창일 자주형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회오리 바람 유도기
KR101593496B1 (ko) * 2015-05-22 2016-02-17 최경준 과수의 높이에 맞게 약제를 분무할 수 있는 주행식 분무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32B1 (ko) * 2010-11-15 2013-01-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주형 농기구용 정전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567Y1 (ko) * 2006-06-29 2006-09-13 김창일 자주형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회오리 바람 유도기
KR101593496B1 (ko) * 2015-05-22 2016-02-17 최경준 과수의 높이에 맞게 약제를 분무할 수 있는 주행식 분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43A (ko) * 2021-01-27 2022-08-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단 살포장치가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
KR102531297B1 (ko) 2021-01-27 2023-05-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단 살포장치가 구비된 스피드 스프레이어
KR20230094655A (ko) * 2021-12-21 2023-06-28 에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방제 로봇
KR102563960B1 (ko) 2021-12-21 2023-08-04 에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방제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545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938B1 (ko)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KR101593496B1 (ko) 과수의 높이에 맞게 약제를 분무할 수 있는 주행식 분무기
US4659013A (en) Spray unit for controlled droplet atomization
JP2018520857A (ja) 噴霧ユニット、このような噴霧ユニットを含むコンパクトな噴霧モジュール、およびこのようなモジュールを複数含む噴霧および操縦用システム
CN102696572A (zh) 一种自走式喷杆喷雾机
AU2007216830B2 (en) A spraying apparatus
KR20180120042A (ko) 무인항공 살포기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20130028127A (ko) 케터필러를 장치한 서행 운반기에 착탈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KR20180105493A (ko) 광범위 확산용 노즐 승강식 약제살포기
KR101515499B1 (ko) 좌우로 살포되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101722071B1 (ko) 주행식 살포기
KR100590170B1 (ko) 집중식 약제살포기
KR200301384Y1 (ko) 농약 살포 장치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102089670B1 (ko) 멀티형 영농 살포기
US11930807B2 (en) Anti-drift diffuser for pneumatic atomization sprayers
KR100427778B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KR200488377Y1 (ko) 과수용 약액 분사장치
KR102431391B1 (ko) 운행식 광범위 영농 복합 살포기
KR200260778Y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KR102141171B1 (ko) 탑재형 광범위 약제살포기용 분사기
KR101515495B1 (ko) 좌우로 살포되는 차량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20240018747A (ko) 다용도 보행형 원거리 방제기
KR200182532Y1 (ko)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