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532Y1 -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532Y1
KR200182532Y1 KR2019990030356U KR19990030356U KR200182532Y1 KR 200182532 Y1 KR200182532 Y1 KR 200182532Y1 KR 2019990030356 U KR2019990030356 U KR 2019990030356U KR 19990030356 U KR19990030356 U KR 19990030356U KR 200182532 Y1 KR200182532 Y1 KR 200182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granular
motor
reservoir
sp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의
Original Assignee
강봉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봉의 filed Critical 강봉의
Priority to KR2019990030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1/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combined liquid- and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논, 밭 등에 액체농약이나 비료 및 입자상의 종자, 비료, 농약 등을 자동으로 살포하는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논이나 밭의 양측 두렁 각각에 일정구간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기둥과; 상기 각 고정기둥의 적당한 높이에 수평상으로 고정된 수평지지간에 지지되도록 논이나 밭의 상방에 수평상태로 지그재그로 설치됨과 동시 상기 각 고정기둥 상단에 고정된 수개의 버팀줄들로 고정되는 이송레일과; 액체저장통과, 상기 액체저장통 상면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액체저장통에 저장된 액체를 흡입관으로 흡입한 다음 분무관으로 분무하는 펌핑작동을 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분무관 끝단에 수평상으로 연결되어 분무되는 액체를 사방으로 살수하는 분무관과, 상기 액체저장통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레일을 타고 굴러가는 구동바퀴 및 연동바퀴로 구성되는 액체 살포기 또는 입상체 저장통과, 상기 입상체 저장통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채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축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입상체 저장통의 하부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입상체를 사방으로 분산시켜주는 회전분산판과, 상기 입상체 저장통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레일을 타고 굴러가는 구동바퀴 및 연동바퀴로 구성되는 입상체 살포기로 구성하여 경작지에 입자상으로 된 농약이나 비료 등을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고안이다.

Description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Auto sprinkler system of fluid and particle}
본 고안은 논, 밭 등에 액체농약이나 액체비료 및 종자, 비료, 농약 등의 입상체를 자동으로 살포하는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과 밭에 심은 작물이 병에 걸리지 않고 생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농약과 비료를 뿌려주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농약통 또는 비료통을 등에 지고 한손으로는 펌프질하는 살포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경운기 등의 동력을 이용한 펌프에 호스를 연결하여 살포하는 수단으로 액체농약 또는 액체비료를 살포하고 있으며, 또한 논과 밭에 종자를 뿌려서 파종하고자 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종자통을 직접 운반하면서 종자를 뿌려주는 수단으로 파종하고 있다.
상기에서 농약이나 비료를 살포하기 위하여 살포기를 등에 진 상태로 논이나 밭을 보행하면서 살포할 경우에는 살포되는 농약이나 비료가 작업자의 피부에 묻게되어 피부질병이 유발되거나 또는 호흡기로 흡입되어 농약중독과 같은 무서운 질병에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경운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펌프에 연결된 호스를 이용하여 농약이나 비료를 살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살포되는 농약이나 비료가 작업자의 피부에 묻거나 호흡기로 흡입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농약이나 비료 등을 살포할 때 작업자가 피해를 당하게 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작업자가 논이나 밭에 직접 들어가지 않고 원거리에서도 농약이나 비료 및 종자 등을 살포할 수 있는 장치로서 액체농약이나 액체비료 등을 살포하는 액체 자동살포기와 종자나 입상비료 또는 입상농약 등을 살포하는 입상체 자동살포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논이나 밭의 양측 두렁 각각에 일정구간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기둥과;
상기 각 고정기둥의 적당한 높이에 수평상으로 고정된 수평지지간에 지지되도록 논이나 밭의 상방에 수평상태로 지그재그로 설치됨과 동시 상기 각 고정기둥 상단에 고정된 수개의 버팀줄들로 고정되는 이송레일과;
액체저장통과, 상기 액체저장통 상면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액체저장통에 저장된 액체를 흡입관으로 흡입한 다음 분무관으로 분무하는 펌핑작동을 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분무관 끝단에 수평상으로 연결되어 분무되는 액체를 사방으로 살수하는 분무관과, 상기 액체저장통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레일을 타고 굴러가는 구동바퀴 및 연동바퀴로 구성되는 자동살포기;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입상체 저장통과, 상기 입상체 저장통 상면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입상체 저장통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채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축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입상체 저장통의 하부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입상체를 사방으로 분산시켜주는 회전분산판과, 상기 입상체 저장통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레일을 타고 굴러가는 구동바퀴 및 연동바퀴로 구성되는 입상체 살포기를 상기 이송레일상에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구조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송레일의 설치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액체 살포기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도 3 실시예의 액체 살포기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입상체 살포기의 설치상태도.
도 6은 도 5 실시예의 입상체 살포기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기둥 2 : 경작지
3 : 이송레일 4 : 액체 살포기
5 : 입상체 살포기 11 : 수평지지간
12 : 버팀줄 41 : 액체 저장통
42,43 및 52,53 : 브라켓 44, 54 : 모터
45 : 펌프 46,48 및 56,58 :벨트
47 : 분무관 51 : 입상체 저장통
55 : 회전축봉 57 : 회전분산판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구조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송레일의 설치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액체 살포기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 실시예의 액체 살포기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입상체 살포기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6은 도 실시예의 입상체 살포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고정기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고정기둥(1)은 논 또는 밭 등의 경작지(2)를 구획하는 양측 두렁(21)에 매설되는 기초콘크리트 등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높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기둥(1)은 양측 두렁(21) 각각에 일정구간을 두고 다수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기둥(1)들 각각에는 적당한 높이에 수평지지간(11)이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기둥(1)들 각각에 설치된 수평지지간(11)을 이용하여 경작지(2) 상방 적당한 높이에 이송레일(3)을 설치하는데, 상기 이송레일(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작지(2)의 상방에 수평상으로 지그재그 배설하는데, 이송레일(3)의 배설간격은 후술하는 액체 및 입상체 살포기가 상기 이송레일의 양단을 왕복하면서 살포작동을 수행할 때 농약이나 비료 또는 종자 등이 경작지(2) 전체에 골고루 살포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기둥(1)들 상단에는 다수의 버팀줄(12)을 고정시킨 다음 각 버팀줄(12)들을 이용하여 상기한 수평지지간(11) 및 이송레일(3)을 현수식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하므로서 이송레일(3)이 처짐현상없이 수평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각 고정기둥(1)들이 경작지와 경작지 사이를 구획하는 두렁(21)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그 상단에 버팀줄(12)을 양쪽에 설치하여 양측의 경작지(2) 상방에 설치되는 이송레일(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이송레일(3)에는 액체농약이나 액체비료 등을 살포하는 액체 살포기(4) 또는 작물의 종자(씨)나 알갱이로 된 비료나 농약 등을 살포하는 입상체 살포기(5)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액체 살포기(4)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액체 살포기(4)는 액체농약이나 액체비료를 주입할 수 있는 뚜껑(도시 생략)이 구비된 액체 저장통(41)과, 그 상면의 양측에는 상기 액체 저장통(41)을 이송레일(3)에 매달리게 하는 브라켓(42)(43) 각각에는 구동바퀴(421)와 연동바퀴(431)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액체 저장통(41) 상면에는 동력원인 모터(44)와 펌프(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44)의 출력축(441)에는 두개의 풀리가 설치되어 그 하나는 펌프(45)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구동바퀴(421)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펌프(45)의 일측에는 모터(44)의 출력축(441)에 설치된 두개의 풀리 중 하나의 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벨트(46)가 연설되는 연동풀리(451)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펌프(45)에는 상기 연동풀리(451)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액체 저장통(41)에 저장된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관(452)과 흡입된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관(45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흡입관(452)의 끝단은 액체 저장통(41) 내부의 바닥까지 연장된 상태로 설치하여 저장된 액체 전량을 펌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출관(453)의 끝단에는 분무공이 다수 뚫어져 있는 분무관(47)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측 브라켓(42)(43) 중 일측 브라켓(42)의 하단에 설치된 연동축(422)의 일단에는 축착된 연동풀리(423)는 상기 모터(44)의 출력축(441)에 설치된 2개의 풀리 중 펌프(45)의 연동풀리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풀리에 연설된 벨트(48)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 상기 연동축(422)에 축착된 회전풀리(424)와 상기 구동바퀴(421)의 축에 축착된 종동풀리(425) 각각을 벨트(426)로 연설하는 수단으로 상기의 구동바퀴(421)가 모터(44)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이송레일(3)을 타고 이동하도록 하므로서 액체 살포기(4)가 이송레일(3)상을 활주하게 된다.
상기에서 액체 살포기(4)의 액체 저장통(41) 상면 일측에 설치된 브라켓(43)의 연동바퀴(431)는 구동바퀴(421)와 함께 액체 살포기(4)를 이송레일(3)에 안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상기 구동바퀴(421)의 회전구동에 따라 이송레일(3)을 따라 굴러가도록 하므로서 액체 살포기(4)는 안정된 상태에서 이송레일(3)을 활주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입상체 살포기(5)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상체 살포기(5) 역시 종자나 입자상의 비료 및 농약을 저장하는 입상체 저장통(51)과, 그 상면 양측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양측 브라켓(52)(53)에는 이송레일(3)을 타고 굴러가는 구동바퀴(521)와 연동바퀴(531)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입상체 저장통(51) 상면에는 동력원인 모터(54)가 설치되어 있고, 또 입상체 저장통(51)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봉(5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54)의 출력축(541)에는 두개의 풀리가 축설되어 있는데, 그 하나의 풀리에 연설된 벨트(56)는 상기의 회전축봉(5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축(551)의 일측에 설치된 연동풀리(552)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전달축(551)에 축착된 구동베벨기어(553)와 회전축봉(55)의 상단에 축착된 연동베벨기어(554)는 서로 치합되게 하므로서 모터(54)의 회전동력이 회전축봉(55)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회전축봉(55)의 상,하단부는 입상체 저장통(51)의 상면과 저부에 지지되는 별도의 지지간(555) 각각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입상체 저장통(51)의 저부는 배출공(556)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하여 저장된 입상체를 전량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의 배출공(556)을 통해 회전축봉(55)의 하단부가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배출공(556)을 관통한 회전축봉의 하단부에는 회전분산판(57)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556)으로 배출되는 입상체를 회전작동하는 상기 회전분산판(57)이 사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 브라켓(52)의 하단에 횡설된 연동회전축(557)의 일단에 축착된 연동풀리(559)은 모터(54)의 출력축(541)에 축착된 또 하나의 풀리와 함께 벨트(58)로 연설되어 있으며, 상기의 연동회전축(557)에 설치된 회전풀리(558)와 상기 구동바퀴(521)의 축에 축착된 풀리(522)는 벨트(523)으로 연설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 브라켓(52) 상단의 구동바퀴(521)는 모터(54)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므로 입상체 살포기(5)가 이송레일(3)을 타고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타측 브라켓(53)의 상단에 설치된 연동바퀴(531)가 이송레일(3)을 타고 굴러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입상체 살포기(5) 자체가 안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활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의 모터(44)(54)는 정·역으로 구동하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한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은 경작지의 일측에 별도로 설치된 전선릴에 감겨져 액체 및 입상체 살포기(4)(5)가 이송레일(3)을 따라 활주함에 따라 전선이 풀려지고 감겨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전철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구성과 같이 이송레일(3)을 따라 배설된 전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모터는 온(on)/오프(off) 스위치에 의하여 구동 및 정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리모트콘트롤에 의한 원격제어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경작지(2)의 상방에 수평상으로 지그재그 배설된 상기 이송레일(3)은 일정구간에 설치된 고정기둥(1)의 수평지지간(11)과 수개의 버팀줄(1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설치상태가 견고하여 자체의 중량은 물론이고 액체 살포기(4) 또는 입상체 살포기(5)의 중량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상기 이송레일(3)상에 액체 살포기(4)를 설치하고 액체농약이나 액체비료를 살포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액체 살포기(4)의 액체 저장통(41)에 농약 또는 비료가 되는 액체를 저장시킨 상태에서 이송레일(3)의 일측 예를 들어, 시작단에 위치시킨 다음 원거리에서 스위치를 온작동시키게 되면 모터(44)가 구동하게 되는데, 상기 모터(44)의 출력축(441)에 축설된 두개의 풀리에 연설된 벨트(46)(48)에 의하여 펌프(45)는 펌핑작동을 개시하게 되어 분무관(47)에서 액체가 사방으로 분무됨과 동시 구동바퀴(421)는 회전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44)의 출력축(441)에 설치된 두개의 풀리에 연설된 두개의 벨트 중 일측 벨트(46)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연동풀리(451)이 설치된 펌프(45)의 흡입관(452)는 액체 저장통(41)에 저장된 액체를 흡입하여 배출관(453)으로 배출시키게 되므로 상기 배출관(453) 끝단에 수평상으로 연결된 분무관(47)으로 공급된 액체는 다수 뚫려져 있는 분무공을 통해 사방으로 분무되는 것이며, 이와 때를 같이 하여 모터(44)의 출력축(441)에 설치된 두개의 풀리에 연설된 두개의 벨트 중 타측 벨트(48)가 연동풀리(423)를 회전시키게 되고, 또 상기 연동풀리(423)가 축착된 연동축(422)에 설치된 회전풀리(424)의 회전력이 벨트(426)에 의하여 구동바퀴(421)가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의 구동바퀴(4210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엑체 살포기(4) 자체는 이송레일(3)을 타고 이동작동을 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액체 살포기(4)는 이송레일(3)을 따라 정해진 속도록 이동하면서 액체 저장통(41)에 저장된 액체농약 또는 액체비료를 사방으로 분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이송레일(3)은 경작지(2) 전체에 액체농약 또는 액체비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경작지(2)의 상방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액체 살포기(4)는 이송레일(3)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액체농약 또는 액체비료를 분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송레일(3)을 따라 이동하면서 액체농약 또는 액체비료를 분무하던 액체 살포기(4)가 이송레일(3)의 시작단의 반대측 끝단에까지 이동하게 되면 모터(44)의 구동을 정지시키므로서 경작지(2)에 액체농약 또는 액체비료의 살포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며, 이후 다시 액체농약 또는 액체비료를 재 살포하고자 할 때에는 액체 저장통(41)에 원하는 액체농약 또는 액체비료를 저장한 다음 모터(44)를 재 구동시키는데 이때에는 액체 살포기(4)가 전술의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게 되면 경작지(2)에 원하는 액체농약 또는 액체비료를 살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이송레일(3)에 입상체 살포기(5)의 입상체 저장통(51)에 종자나 입자상의 비료 또는 농약을 저장하여 살포하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입상체 살포기(5)를 이송레일(3)의 시작단 또는 끝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리모트콘트롤을 이용하여 모터(54)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입상체 저장통(51)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회전축봉(55)이 회전작동을 하게 됨과 동시 구동바퀴(521)도 회전구동을 개시하게 되므로서 입상체 살포기(5)는 이송레일(3)을 따라 정해진 속도로 이동하면서 입상체 저장통(51)의 배출공(556)으로 배출되는 입상체를 사방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입상체 저장통(51)에 저장된 입상체는 그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556)으로 배출될 때 그 밑에 위치한 회전분산판(57)에 떨어지는데, 상기한 회전분산판(57)은 회전축봉(55)과 같이 회전하는 상태이므로 배출공(556)으로 배출되는 입상체는 회전분산판(57)의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사방으로 분산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구동바퀴(521)가 이송레일(3)을 타고 굴러가게 되므로 결국 입상체 살포기(5)는 입상체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면서 이송레일(3)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경작지(2)에 종자나 입자상의 비료 또는 농약 등을 골고루 뿌려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입상체 살포기(5)가 시작단에서 끝단까지 이동을 완료한 상태가 되면 모터(54)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다음 작동을 대기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경작지의 앵측 두렁에 일정구간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기둥을 이용하여 경작지 상방의 적당한 높이에 이송레일을 수평상으로 안정되고 견고하게 설치한 다음 상기 이송레일에 액체 살포기 또는 입상체 살포기를 정·역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단으로 상기 액체 살포기 및 입상체 살포기가 이송레일 따라 정해진 속도로 이동하면서 경작지에 액체농약이나 액체비료 또는 종자나 입자상의 비료 및 농약을 자동으로 살포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액체 살포기 및 입상체 살포기를 원격조정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경작지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액체 살포기 및 입상체 살포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살포되는 농약이나 비료 등이 피부에 묻거나 또는 호흡기로 흡입되는 사례가 절대 발생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농약이나 비료 등을 살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인력이 안들고 농약 및 비료 등의 살포시간이 단축되어 효율적으로 농작물을 경작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논이나 밭의 양측 두렁 각각에 일정구간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기둥과;
    상기 각 고정기둥의 적당한 높이에 수평상으로 고정된 수평지지간에 지지되도록 논이나 밭의 상방에 수평상태로 지그재그로 설치됨과 동시 상기 각 고정기둥 상단에 고정된 수개의 버팀줄들로 고정되는 이송레일과;
    액체저장통과, 상기 액체저장통 상면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액체저장통에 저장된 액체를 흡입관으로 흡입한 다음 분무관으로 분무하는 펌핑작동을 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분무관 끝단에 수평상으로 연결되어 분무되는 액체를 사방으로 살수하는 분무관과, 상기 액체저장통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레일을 타고 굴러가는 구동바퀴 및 연동바퀴로 구성되는 자동살포기;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상에 설치되며, 입상체 저장통과, 상기 입상체 저장통 상면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입상체 저장통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채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축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입상체 저장통의 하부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입상체를 사방으로 분산시켜주는 회전분산판과, 상기 입상체 저장통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레일을 타고 굴러가는 구동바퀴 및 연동바퀴로 구성되는 입상체 살포기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
KR2019990030356U 1999-12-30 1999-12-30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 KR200182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356U KR200182532Y1 (ko) 1999-12-30 1999-12-30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356U KR200182532Y1 (ko) 1999-12-30 1999-12-30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532Y1 true KR200182532Y1 (ko) 2000-05-15

Family

ID=1960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356U KR200182532Y1 (ko) 1999-12-30 1999-12-30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5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600B1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KR102119938B1 (ko)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CN107372433B (zh) 一种风送施药装置及方法
KR101371076B1 (ko) 원거리 농약살포기
KR101478389B1 (ko) 방제 및 온도와 습도 조절용 이동 살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86801B1 (ko) 비가림하우스용 약액 및 용수 자동 살포장치
CN106857471A (zh) 一种省力自走式高低杆作物田间喷药装置
JP4790683B2 (ja) 肥料・農薬散布器
KR200182532Y1 (ko) 액체 및 입상체 자동살포장치
CN107372434A (zh) 一种田间喷药车及其喷药方法
CN108450306A (zh) 梯田自动灌溉系统
CN210168592U (zh) 一种大棚花卉种植浇灌装置
CN208227969U (zh) 梯田自动灌溉系统
CN216493003U (zh) 一种远程遥控的橡胶树地面喷粉机
CN105766870A (zh) 自走式管道施药系统及其控制方法
CN206620753U (zh) 一种省力自走式高低杆作物田间喷药装置
CN215582618U (zh) 一种园林绿化的水肥喷洒装置
EP0040828A1 (en) Mechanism for irrigation, maintenance and harvesting of farm crops
KR200301384Y1 (ko) 농약 살포 장치
CN108633860A (zh) 一种农业用喷洒装置
CN108207575A (zh) 一种偏心转动式牵引型农业田地施肥喷药灌溉一体装置
JP2775027B2 (ja) マイクロスプリンクラ−自動化システム
CN208742847U (zh) 一种苹果园林用高效农药喷洒装置
CN207023017U (zh) 固定支架式宽幅水稻喷药机
CN220831575U (zh) 葡萄树双行喷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