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920A - 해초수확장치 - Google Patents

해초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920A
KR20170032920A KR1020150130236A KR20150130236A KR20170032920A KR 20170032920 A KR20170032920 A KR 20170032920A KR 1020150130236 A KR1020150130236 A KR 1020150130236A KR 20150130236 A KR20150130236 A KR 20150130236A KR 20170032920 A KR20170032920 A KR 20170032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support
lever
housing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059B1 (ko
Inventor
황원용
Original Assignee
황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용 filed Critical 황원용
Priority to KR102015013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0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초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망으로부터 분리된 해초가 저장된 망태를 지지바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한 해초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초수확장치는 선박으로 인양된 양식망에 붙은 해초가 분리되면서 자유낙하하여 망태에 자동저장되며, 망태가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해초가 저장된 망태를 하역하기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초수확장치 {Harvest device of seaweed}
본 발명의 해초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망으로부터 분리된 해초가 저장된 망태를 지지바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한 해초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식장에서 해초수확은 양식장에 배를 타고 나가 인양기 등을 사용하여 해태가 양식된 양식망을 인양하면서 해초가 양식망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양식망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기가 있는 롤러 등을 사용하여 양식망에서 해초를 분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식망에서 분리되는 해초는 선박의 갑판 혹은 갑판 상에 실려있는 대형 수거함에 내입한 상태로 항구에 이송한 후 5명의 작업자가 삽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선두 부분을 이송하고 선두부분에 이송된 해초를 다시 단위용기로 사용되는 이송용 마대에 담아 대기한 차량에 상차를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작업방법은 정해진 시간에 작업을 끝내야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5~6명이 팀을 이루어야 하므로 수확시마다 비용이 발생하고 인력확보의 어려움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2457호에 게시된 김 수확시 용기의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단위용기 거치대는 자동분리기로부터 분리된 김이 자연 낙하하면서 단위용기에 담겨지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켰으나 적층된 김의 하중에 의해 김이 저장된 단위용기를 거치대에서 분리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2457호 : 김수확시 용기의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단위용기 거치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양식망에 분리된 해초가 담긴 망태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여 망태를 지지한 지지바로부터 망태의 분리가 용이한 해초수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초수확장치는 선박으로 인양된 양식망으로부터 해초를 분리시키는 해초분리유닛과; 상기 해태분리유닛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양식방으로부터 분리되는 해초가 담길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는 망태와; 상기 망태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여 해초가 저장된 상기 망태의 분리가 용이하게 상기 지지바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다수의 망태지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망태 입구 측 상부를 걸 수 있도록 다수의 걸이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망태지지유닛은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선박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승강부재에 상기 지지바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와 일측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 및 지지해제 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상태를 조절하는 레버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지지바거치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바거치대는 상기 선박의 가장자리에 상호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재는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나란한 제2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제1측부와 상기 제1측부와 마주하는 제2측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승강가이드장공과, 일측에 상기 레버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로 진입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진퇴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지지바거치대와 마주하는 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레버진퇴홀과 가까워지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무게가 상기 레버진퇴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진입한 상기 레버의 단부에 집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버진퇴홀은 상기 제1측부와 제2측부를 연결하고 상기 레버가 장착되는 제3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초분리유닛은 상기 선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으로 인양되는 양식망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된 상기 양식망으로부터 해초를 분리시키는 자동분리기와, 상기 선박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자동분리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 지지바거치대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분리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프레임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성으로 상기 파이프에 걸리 수 있는 고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해초수확장치는 선박으로 인양된 양식망에 붙은 해초가 분리되면서 자유낙하하여 망태에 저장되며, 망태가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해초가 저장된 망태를 하역하기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초수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해초수확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지지바거치유닛에 대한 일부 절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지지바거치유닛의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지지바거치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초수확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초수확장치에 수확되는 해초는 해조류로서 양식이 가능한 김, 미역, 톳, 다시마 등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초수확장치(1)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해초수확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지지바거치유닛에 대한 일부절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지지바거치유닛의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지지바거치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해초수확장치(1)는 해초분리유닛(100), 망태(200), 다수의 지지바(300), 다수의 지지바거치유닛(400),을 구비한다.
해초분리유닛(100)은 선박으로 인양된 양식망(10)으로부터 해초를 분리시키는 부분으로, 가이드부(110), 지지프레임(130), 자동분리기(150)를 구비한다.
가이드부(110)는 바다에서 선박(5)으로 양식망(10)을 인양할 때 양식망(10)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부분으로, 양식망(10)이 최초 인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프레임(130)은 다수의 파이프(131)가 상호 연결되어 선박의 갑판에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것으로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직육면체 형상이다. 지지프레임(130)은 후술되는 자동분리기(150)가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에 레일(135)이 설치되어있다.
자동분리기(150)는 가이드부(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된 양식망(10)으로부터 해초를 분리시키는 부분으로 지지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된다. 자동분리기(150)는 구동모터(151)와, 선박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모터(151)에 의해 회전되면서 양식망(10)과 접촉되는 롤러(155)를 구비한다. 롤러(155)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양식망(10)과 접촉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동분리기는 롤러(155)의 양측 단부에 레일(135)을 따라 이동가능한 대차(157)가 설치되어 있다.
망태(200)는 해태분리유닛(100)의 하방에 위치되어 양식망(10)으로부터 분리된 해초가 담기는 부분으로, 후술되는 지지바(300)에 거치된다. 망태(200)는 내부에 해초를 저장할 수 있도록 입구가 형성되며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다수의 망 형태로, 다수 개 구비된다.
지지바(300)는 망태(200)가 거치되는 부분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데, 각각 망태 입구 측 상부를 걸 수 있도록 다수의 걸이부재(310)가 형성된다. 다수의 걸이부재(310)는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지지바(3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다수의 지지바(300)는 후술되는 다수의 지지바거치유닛(400)에 각각 지지되어 상호 일정간격을 이루며 선박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배열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망태(200)는 지지바(300)들 사이에 위치되고, 망태(200)의 입구가 상방으로 벌려진 상태가 되도록 망태(200)의 입구 측 가장자리가 인접하는 다수의 걸이부재(310)에 걸린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바거치유닛(400) 망태(200)를 지지하는 지지바(30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여 해초가 저장된 망태의 분리가 용이하게 지지바(3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부분이다.
지지바거치유닛(400)은 선박의 가장자리에 상호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되어 지지바(20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바거치대(410)와 제2지지바거치대(42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지지바거치대(410, 420)는 선박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지지프레임(1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1 및 제2지지바거치대(410, 420)은 각각 승강부재(430), 하우징(440), 레버(450)를 구비한다.
승강부재(430)는 지지바(300)의 하면과 접촉되어 지지바(300)를 지지하며 후술되는 하우징(440)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승강부재(430)는 하우징(440)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승강되어 지지바(200)와 함께 높이가 조절되는 부분이다.
승강부재(430)는 하방으로 갈수록 일측면이 타측면과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게 형성된 사각기둥형상이다. 즉, 승강부재(430)는 후술되는 하우징(440)에 결합시 제1 또는 제2지지바거치대(410, 420)와 마주하는 상기 일측면이 후술되는 하우징(440)의 레버진퇴홀(445)과 가까워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부재(430)의 형상은 승강부재(430)의 하부를 지지하는 후술되는 레버(450)의 단부에 승강부재(430)의 하중이 집중되게 함으로써 망태(10)가 거치된 지지바(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승강부재(430)은 상기 타측면에 각각 직교되며 선박의 선두 또는 후미를 바라보는 제1측면(431)과 제1측면(431)과 나란한 제2측면(433)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돌기(437, 439)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돌기(437, 439)는 후술되는 하우징(440)의 제1 및 제2 승강가이드장공(442, 444)에 각각 관통삽입되어 승강부재(430)가 일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돌기(437,439)의 각 단부에는 제1 및 제2승강가이드장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확장부(438)가 각각 형성되어있다.
하우징(440)은 선박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130)을 구성하는 파이프(13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바(300)가 지지된 승강부재(430)를 승강가능하게 수용한다.
하우징(440)은 상하로 연장된 직사각기둥형상이며 승강부재(430)가 지지바(200)와 함께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부와 일측부가 개방된다.
하우징(440)의 측부는 상하로 연장된 부분으로 제1측부(441), 제2측부(443), 제3측부(445)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측부(441)와 제2측부(443)는 하우징(440)에 결합된 승강부재(430)의 제1측면(431)과 제2측면(433)에 각각 접촉되거나 인접하며 상호 마주하는 부분이다.
제1측부(441)와 제2측부(445)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제1 및 제2승강가이드장공(442, 444)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승강가이드장공(442, 444)은 제1및 제2승강가이드돌기(437, 439)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승강부재(430) 승강시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돌기(437, 439)를 안내하여 승강부재(430)가 일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제3측부(445)는 제1 및 제2측부(441,443)와 직교하며 지지프레임(130)의 파이프(131)와 맞닿는 부분이다.
제3측부(445)는 중앙부분에 후술되는 레버(450)의 단부가 하우징(440) 내로 진입하여 승강부재(4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진퇴홀(447)이 형성되고, 모서리마다 지지프레임결합부(449)가 구비된다. 또한, 후술되는 레버(450)와 힌지결합되는 레버힌지결합부(448)가 레버진퇴홀(447) 상부에 형성된다.
지지프레임결합부(449)는 지지프레임(130)을 구성하는 파이프(131)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파이프(131)에 걸릴 수 있는 고리형태이다.
하우징(440)은 지지프레임결합부(449)를 통해 지지프레임(130)과 분리 및 결합된다.
레버(450)는 하우징(440)의 제3측부(445)에 설치되어 승강부재(430)를 지지 및 지지해제 함으로써 승강부재(430)의 승강상태를 조절하는 부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레버(450)는 파지부(451), 하우징힌지결합부(453), 승강부재지지부(455)를 구비한다.
파지부(451)는 레버(450) 조작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하우징힌지결합부(453)는 파지부(451)의 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이며 하우징(440)의 레버힌지결합부(448)와 힌지 결합하는 부분이다. 하우징힌지결합부(453)와 레버결합부(448)가 힌지결합시 토션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된다.
승강부재지지부(455)는 하우징힌지결합부(453)에서 파지부(45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는 레버진퇴홀(447)을 관통할 수 있도록 제3측부(445) 방향으로 꺽여있다.
파지부(451)와 승강부재지지부(455)는 하우징힌지결합부(453)를 중심으로 상호 멀어지게 연장되는데, 파지부(451)가 제3측부(445)에 가까워지면 승강부재지지부(455)의 단부는 제3측부(445)와 멀어지고 승강부재지지부(455)의 단부가 레버진입홀(447)에 관통되면 파지부(451)가 제3측부(445)와 멀어지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레버(450)는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승강부재지지부(455)의 단부가 레버진퇴홀(447)에 진입된 상태를 유지되고, 파지부(451)는 하우징(440)에서 멀어지는 상방을 향해 있다.
레버(450)의 승강부재지지부(455)의 단부는 하우징(440)의 내부로 진입하여 하우징(440)의 상부로 상승된 승강부재(430)의 하단을 지지하여 승강부재(430)의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해태수확장치(1)를 이용한 해태수확과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및 제2지지바거치대(410, 420)의 각 승강부재(430)를 하우징(440) 상부로 승강시켜 레버(450)를 통해 승강부재(430)의 상승상태를 유지시킨다.
제1 및 제2지지바거치대(410, 420)의 승강부재(430)가 상승상태로 유지되면, 지지바(300)의 결합부재(310)가 상방을 향하도록 지지바(20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제1 및 제2지지바거치대의 승강부재(430)의 상면에 각각 거치시킨다.
다수의 지지바거치유닛(400)은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30)에 설치되므로, 제1 및 제2지지바거치대(410, 420)에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바(300)도 지지바거치유닛(400)과 같은 간격마다 거치된다.
이제, 지지바(300)가 거치되면, 망태(10) 입구가 상방을 벌려지도록 인접하는 지지바(300)의 걸이부재(310)에 건다.
망태(10) 설치가 완료되면, 가이드부(110)를 통해 양식망(10) 인양을 시작한다.
가이드부(110)를 통해 인양된 양식망(10)은 선박의 선두로 이송된다. 자동분리기(150)를 작동시켜 롤러(155)를 양식망(10)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롤러(155)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양식망과 접촉되면서 양식망에 붙어있는 해초가 하방에 위치한 망태로 떨어진다.
한 열의 망태(10)들에 해초가 가득하게되면 롤러(155)를 비어있는 망태(10) 상방으로 대차(157)와 레일(135)을 이용해 이동시켜, 지지바(300)에 거치된 다수의 망태(10)에 해초가 자동으로 담기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양식망(10)으로부터 해초 분리작업이 완료되면, 지지바(300)에 거치된 망태(1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레버(450)의 파지부(451)를 제3측부(445) 방향으로 민다. 파지부(451)를 밀면 레버진퇴홀(447)을 관통해 승강부재(430)의 하부를 지지하던 승강부재지지부(455)가 제3측부(445)로부터 멀어지게 하우징힌지결합부(453)를 중심축으로 회동된다.
도 3 및 도5를 참조하면, 승강부재지지부(455)의 단부가 하우징(440) 밖으로 나오면서 승강부재(430)가 하방으로 하강한다. 승강부재(430) 하강시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돌기(437, 439)가 하우징(440)의 제1및 제2승강가이드장공(442, 444)의 형성된 방향을 따라 하강하면서 승강부재(430)의 하강 방향을 일방향으로 유지시킨다.
승강부재(430)가 하강하면서 승강부재(430)에 지지되던 지지바(300)도 함께 하강하여 망태(10)를 분리시키기 용이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초수확장치는 작업자가 곡괭이나 삼태기 등을 사용하여 망태와 같은 단위용기에 담는 작업이 필요 없으며, 망태를 지지바로부터 분리시키기위한 하역작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높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지지바거치유닛(410,420)은 지지프레임(1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제1 및 제2지지바거치유닛이 선박의 갑판에 고정된 형태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해초수확장치는 승강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승강하는 것을 예를 들고 있으나, 승강부재의 하부에 유압실린더를 적용하여 자동으로 승강하는 구조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초수확장치(1)는 선박으로 인양된 양식망에 붙은 해초가 분리되면서 자유낙하하여 망태에 자동저장되며, 망태가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해초가 저장된 망태를 하역하기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초수확장치는 도면에 도시되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해태수확장치 10 : 양식망
100 : 해초분리유닛 110 : 가이드부
130 : 지지프레임 135 : 레일
150 : 자동분리기 151 : 구동모터
155 : 롤러 157 : 대차
200 : 망태 300 : 지지바
310 : 걸이부재 400 : 지지바거치유닛
410 : 제1지지바거치대 420 :제2지지바거치대
430 : 승강부재 437 : 제1 승강가이드돌기
439 : 제2승강가이드돌기 440 : 하우징
442 : 제1승강가이드장공 444 : 제2승강가이드장공
447 : 레버진퇴홀 448 : 레버힌지결합부
449 : 지지프레임결합부 450 : 레버
451 : 파지부 453 : 하우징힌지결합부
455 : 승강부재지지부

Claims (7)

  1. 선박으로 인양된 양식망으로부터 해초를 분리시키는 해초분리유닛과;
    상기 해태분리유닛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양식방으로부터 분리되는 해초가 담길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는 망태와;
    상기 지지바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여 해초가 저장된 상기 망태의 분리가 용이하게 상기 지지바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다수의 지지바거치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하는 해초수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망태 입구 측 상부를 걸 수 있도록 다수의 걸이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거치유닛은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선박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승강부재에 상기 지지바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와 일측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 및 지지해제 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상태를 조절하는 레버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지지바거치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바거치대는 상기 선박의 가장자리에 상호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수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나란한 제2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제1측부와 상기 제1측부와 마주하는 제2측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승강가이드장공과, 일측에 상기 레버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로 진입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진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수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지지바거치대와 마주하는 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레버진퇴홀과 가까워지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무게가 상기 레버진퇴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진입한 상기 레버의 단부에 집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버진퇴홀은
    상기 제1측부와 제2측부를 연결하고 상기 레버가 장착되는 제3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초수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초분리유닛은
    상기 선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으로 인양되는 양식망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된 상기 양식망으로부터 해초를 분리시키는 자동분리기와, 상기 선박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자동분리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 지지바거치대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수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분리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수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파이프에 걸릴 수 있는 고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수확장치.
KR1020150130236A 2015-09-15 2015-09-15 해초수확장치 KR101724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236A KR101724059B1 (ko) 2015-09-15 2015-09-15 해초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236A KR101724059B1 (ko) 2015-09-15 2015-09-15 해초수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920A true KR20170032920A (ko) 2017-03-24
KR101724059B1 KR101724059B1 (ko) 2017-04-18

Family

ID=5850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236A KR101724059B1 (ko) 2015-09-15 2015-09-15 해초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05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3518A (zh) * 2017-09-12 2017-11-10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海带采收自动解扣装置
CN107651461A (zh) * 2017-09-12 2018-02-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海带采收后的整理转运装置
WO2020132673A1 (en) * 2018-12-21 2020-06-25 Alexander Slocum Sequestering biomass in water
CN111602503A (zh) * 2020-06-09 2020-09-01 山东省科学院海洋仪器仪表研究所 一种容错性高的海带收绳设备
CN114946392A (zh) * 2022-06-09 2022-08-30 威海长青海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海带采收船及采收方法
KR102537451B1 (ko) * 2022-11-09 2023-05-26 나용균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KR102563850B1 (ko) * 2022-12-13 2023-08-04 푸른수산정밀(주)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48B1 (ko) * 2017-08-29 2019-08-07 김석칠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KR101863525B1 (ko) * 2018-02-26 2018-05-31 김행호 해조류 양식용 그물 인양줄 유도 장치 및 시스템
KR102297529B1 (ko) * 2019-07-09 2021-09-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물김처리장치
KR20240064185A (ko) 2022-11-04 2024-05-13 진용부 해초 분할 포집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457U (ko) 2013-03-27 2013-04-24 류주환 김 수확시 용기의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단위용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457U (ko) 2013-03-27 2013-04-24 류주환 김 수확시 용기의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단위용기 거치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3518A (zh) * 2017-09-12 2017-11-10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海带采收自动解扣装置
CN107651461A (zh) * 2017-09-12 2018-02-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海带采收后的整理转运装置
WO2020132673A1 (en) * 2018-12-21 2020-06-25 Alexander Slocum Sequestering biomass in water
CN111602503A (zh) * 2020-06-09 2020-09-01 山东省科学院海洋仪器仪表研究所 一种容错性高的海带收绳设备
CN111602503B (zh) * 2020-06-09 2021-07-09 山东省科学院海洋仪器仪表研究所 一种容错性高的海带收绳设备
CN114946392A (zh) * 2022-06-09 2022-08-30 威海长青海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海带采收船及采收方法
CN114946392B (zh) * 2022-06-09 2023-09-26 威海长青海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海带采收船及采收方法
KR102537451B1 (ko) * 2022-11-09 2023-05-26 나용균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KR102563850B1 (ko) * 2022-12-13 2023-08-04 푸른수산정밀(주)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059B1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059B1 (ko) 해초수확장치
US7661390B2 (en) System for culture and storage of benthic organisms in an aquatic environment
CN109329225B (zh) 一种鱼类捕捞起运装置及方法
US8413609B2 (en) Device for colonizing and harvesting marine hardground animals
KR101438992B1 (ko) 연승 수하식 중층 전복 가두리 시설의 관리장치 및 인양방법
CN114403066A (zh) 牡蛎养殖设备和方法
NO343994B1 (en) Fish farm
KR101426075B1 (ko) 양식장 관리장치
US11737433B2 (en) Aquatic cage rotation device
US4344384A (en) Sea life habitat
KR101849767B1 (ko) 해초수확장치
JP3157283U (ja) 魚介藻類育成用収容体
NO20110322A1 (no) Anordning ved oppdrettsmerd og fremgangsmate for bruk av samme
KR20110010673U (ko) 해태 수확장치
US8726848B2 (en) Poultry cart handler and method
WO2011059336A1 (en) Barge device for cleaning annular floating and/or submerged structures, and use of the barge device
CN213719400U (zh) 一种网箱养殖收鱼装置
CN205052561U (zh) 黄鳝启捕装置
NO311961B1 (no) Dyrkingskasse for skjell
CN210275571U (zh) 一种海洋经济海产品养殖装置
KR20130024337A (ko) 체인슬링 보관대
JP2009179313A (ja) 活魚生け簀の曳航方法
CN213343936U (zh) 用于快速下放家禽的笼子
KR102629432B1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101496569B1 (ko) 분봉 받는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