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569B1 - 분봉 받는 기구 - Google Patents

분봉 받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569B1
KR101496569B1 KR20130115285A KR20130115285A KR101496569B1 KR 101496569 B1 KR101496569 B1 KR 101496569B1 KR 20130115285 A KR20130115285 A KR 20130115285A KR 20130115285 A KR20130115285 A KR 20130115285A KR 101496569 B1 KR101496569 B1 KR 101496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pe
pulley
support member
st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균
Original Assignee
조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균 filed Critical 조상균
Priority to KR2013011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7/00Appliances for providing, preventing or catching swarms; Drone-catc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분봉 받는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봉 받는 기구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단파이프와, 다단파이프의 상부에 결합되며 분봉이 위치한 나뭇가지에 걸쳐진 상태로 분봉용 벌통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구와, 지지구에 결합되어 분봉 받는 벌통에 연결된 로프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도르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봉 받는 기구{ Accepting apparatus for Swarming}
본 발명은 분봉 받는 벌통을 분봉이 위치한 곳까지 승강시켜 분봉 나온 벌 무리가 벌통에 자연스럽게 수용되도록 유도하는 분봉 받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분봉(分蜂)은 꿀벌이 번식이 많이 되어 개체수가 많아지면 후계 왕대(王臺)를 만들어 새 여왕벌이 왕대(王臺)에서 나오기 전에 원래의 여왕벌이 일벌의 일부와 함께 집에서 나와 다른 개체를 만드는 현상으로 봄 번식기에 자주 일어난다.
벌이 분봉을 나오면 주변에 있는 가까운 나무를 선택해서 가지가 많은 곳에 주로 1차 집단을 이룸으로써 봉군(蜂群)을 형성하게 된다. 이 후 벌들이 새로 살 곳이 찾아지면 그곳으로 모두 날아가게 되는데, 벌들이 분봉을 위해 1차 집단을 이루고 있는 수 시간 내지 1~2일 안에 분봉을 받지 않으면 벌을 유실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런데 높은 나뭇가지에 분봉 나와 붙으면 젊은 사람이라도 올라가기 어렵고, 낮은 곳은 사다리를 이용하기도 하나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는 위험하여 사다리를 붙들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높은 곳의 나뭇가지에 봉군이 형성되면 사다리를 이용하는 것조차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양봉장 주변에 큰 나무가 많으면 봉군이 나무의 높은 곳에 붙어 제때에 수용하지 못함으로써 봉군을 유실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분봉을 받는 방법으로 가벼운 스티로폼 같은 벌통에 벌집(소비)을 벌 개체 수에 맞게 3~5매 정도의 소비를 넣어 분봉 나온 벌 무리에 가까이 대주어 벌들 스스로 새로운 벌통에 기어 들어가 살려는 습성이 이용된다. 그래서 양봉의 사양관리 중 분봉 시기에 분봉되어 나간 봉군을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받을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9557호 및 등록특허 제10-0510338호에서는 지면에 삼각 고정대를 고정한 상태에서 벌집 케이스를 올려 분봉을 수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 이동이 어렵고, 비탈지형에서 삼각 고정대를 고정하기가 어려워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많아 이러한 장비를 구입한 사람도 거의 사용을 하지 않는 상황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가 단순하고 경량이며, 나뭇가지 등 높은 곳에 위치한 분봉을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는 분봉 받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단파이프; 상기 다단파이프의 상부에 결합되며, 분봉이 위치한 나뭇가지에 걸쳐진 상태로 분봉용 벌통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분봉용 벌통에 연결된 로프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봉 받는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는, 상기 다단파이프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봉;상기 결합봉의 측면에 연결되며, 분봉이 위치한 나뭇가지에 걸쳐지는 지지고리; 및 상기 결합봉의 상단부로부터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며, 말단부에 상기 도르래가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결합봉의 상단부로부터 일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와 타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말단부에 구비된 도르래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말단부에 연결된 도르래를 통해 상기 다단파이프의 하부까지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고리는, 상기 결합봉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단파이프는, 서로 직경이 다른 다수의 파이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파이프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강화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부에 상기 분봉용 벌통이 연결되고, 상기 도르래에 고정된 로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로프를 풀거나 당김에 따라 승하강하는 움직도르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봉 받는 기구는 경량의 단순한 구조에 의해 이동이 간편하고 작업자 혼자서도 충분히 분봉을 받을 수 있으며, 나뭇가지에 걸어 지지한 채 분봉을 받을 수 있어 분봉의 위치나 지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분봉을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봉 받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지지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결속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봉 받는 기구를 이용하여 분봉을 받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움직도르래를 이용하여 봉용 받는 벌통을 승하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봉 받는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구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지지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결속구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봉 받는 기구를 이용하여 분봉 받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움직도르래를 이용하여 분봉용 벌통을 승하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봉 받는 기구는 분봉용 벌통(1)에 로프(2)에 연결하고, 로프(2)를 잡아당겨 분봉(B) 하부에 분봉용 벌통(1)을 위치시킴으로써 분봉(B)이 분봉용 벌통(1)에 자연스럽게 수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구이다. 분봉용 벌통(1)은 하중을 줄이기 위해 많이 공급되어 있는 가벼운 스티로폼 벌통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봉 받는 기구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단파이프(10)와, 다단파이프(10)의 상부에 결합하는 지지구(20)와, 지지구(20)의 단부에 결합하는 도르래(30)를 포함한다.
지지구(20)는 분봉용 벌통(1)이 연결된 로프(2)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것으로, 다단파이프(10)의 상부에 결합하는 결합봉(21)과, 분봉(B)이 위치한 나뭇가지에 걸쳐지는 지지고리(22)와, 결합봉(21)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도르래(30)가 연결되는 지지대(23)와, 결합봉(21)의 측면과 지지대(23)를 연결하는 보강대(24)를 포함한다.
결합봉(21)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다단파이프(10)의 상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지지구(2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다단파이프(10)에 연결되는 하부는 다단파이프(1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의 봉 형태로 마련되고,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 지지대(23)와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결합봉(21)은 다단파이프(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결합봉(21)의 측면에는 로프(2)가 통과하는 로프유도고리(25)가 결합될 수 있다. 로프유도고리(25)는 본 실시예의 분봉 받는 기구를 나뭇가지 사이로 올리거나 내릴 때 로프(2)가 나뭇가지에 걸리지 않고 제자리에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결합봉(21)은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고소 작업용 전지가위에서 전지가위 부분을 탈거하고 결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보조물(미도시)을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소 작업용 전지가위와 본 발명의 분봉 받는 기구 두 가지 형태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고리(22)는 결합봉(21)의 측면에 결합되며, 분봉(B)이 위치한 나뭇가지에 걸쳐질 수 있는 고리 형태로 마련된다. 지지고리(22)는 결합봉(2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고리(22)는 후술되는 지지대(23)에 연결된 도르래(30,30a)의 높이보다 충분히 아래쪽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는 분봉용 벌통(1)에 로프(2)를 열십자로 묶어주었을 때 로프(2)가 늘어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로프(2)를 당겨 분봉용 벌통(1)을 최대로 상승시켰을 때 분봉용 벌통(1)이 분봉(B) 붙은 곳까지 충분히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대(23)는 결합봉(21)의 상단부로부터 일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23a)와, 타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23b)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재(23a)와 제2 지지부재(23b)는 지지고리(22)와 각각 90도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23)는 결합봉(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1 지지부재(23a)와 제2 지지부재(23b)의 길이는 분봉 받는 벌통(1)이 결합봉(21) 주변이나 지지대(23)에 간섭을 안 받고 분봉(B)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이, 예를 들어 벌통 폭의 중간 정도인 20~30cm의 길이로 마련된다.
제1 지지부재(23a)와 제2 지지부재(23b)의 양 단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 절곡된 형태도 가능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T'자 형태로도 가능하다.
제1 지지부재(23a)와 제2 지지부재(23b)에 의해 결합봉(21)의 중심에서 동일거리 떨어진 양측에서 로프(2)를 지지하게 되어, 분봉용 벌통(1)을 승하강시킬 때 지지구(20)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흔들리지 않고 균형을 이루게 된다. 그래서 하중이 균형을 이루어 다단파이프(10)의 축이 무게 중심이 되며, 다단파이프(10)가 길어질수록 분봉 받는 벌통(1)과 소비와 벌이 들어간 무게를 견디기가 어렵지만 지지고리(22)를 통하여 나뭇가지에 걸려 있기 때문에 결국 나뭇가지로 하중이 전달된다. 따라서 나뭇가지는 스티로폼으로 만든 분봉 받는 벌통(1)과 그 안에 들어있는 벌집(소비) 3~4장의 무게만 더 지탱할 수 있으면 된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로프(2)가 연결되었을 때 로프(2)와 결합봉(21)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재(23a)와 제2 지지부재(23b)는 일직선 상이 아닌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봉(21)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각각의 지지부재(23a, 23b) 단부에는 로프(2)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도르래(30, 30a)가 결합된다. 도르래(30, 30a)에는 로프(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31)가 연결된다.
보강대(24)는 지지대(23)의 변형을 방지하고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봉(21)의 측면으로부터 양측으로 두 개의 보강대(24)가 각각 제1 지지부재(23a)와 제2 지지부재(23b) 중간에 연결된다.
도 4는 지지대(23)의 다른 실시예로서 일측에만 결합봉(21)으로부터 지지부재(23c)가 연장된 형태를 나타낸다. 지지구(20)의 하중을 줄이기 위한 구조로 지지부재(23c)의 단부와 지지부재(23c)와 결합봉(21)과의 결합부위에 각각 도르래(30)가 결합된다.
한편, 다단파이프(10)는 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파이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신장 또는 조립되는 구조이고, 길이조절을 위한 길이조절구(12, 13)가 구비된다. 또한, 로프(2)를 고정하기 위한 로프고리(13)가 다단파이프(10) 하부에 마련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길이조절구(12)는 큰 직경의 파이프(10a) 선단에 확장 형성된 수나사부(12a)와, 작은 직경의 파이프(10b) 선단에 구비되어 수나사부(12a)와 결합되도록 테이퍼진 암나사부(12b)를 포함한다. 암나사부(12b)를 회전시켜 수나사부(12a)와 분리한 후 작은 직경의 파이프(10b)를 큰 직경의 파이프(10a)로부터 원하는 길이까지 인출하고, 수나사부(12a)와 암나사부(12b)를 조여 고정함으로써 다단파이프(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b)는 길이조절구(13)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큰 직경의 파이프(10a) 선단에 씌워지는 고정캡(13a)과 고정캡(13a)을 통해 조립되는 고정볼트(13a)로 이루어지며, 작은 직경의 파이프(10b)를 인출한 후 고정볼트(13a)를 조여 고정할 수도 있다.
다수의 파이프에는 하중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강화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강화홈(11)은 파이프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파이프의 단면적을 넓혀 수직 및 수평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다단파이프(10)의 재료를 좀 더 경량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다단파이프(10)와 지지구(20)는 가볍고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이나 탄소봉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봉 받는 기구를 이용하여 분봉(B) 받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일측에 분봉용 벌통(1)에 연결된 로프(2)를 제1 지지부재(23a)와 제2 지지부재(23b)에 연결된 도르래(30)를 차례로 통과시켜 다단파이프(10) 하부로 인출시킨다. 분봉용 벌통(1)에는 나뭇가지에 자리한 분봉(B)이 자연스럽게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벌집이 3~4개 안치된다.
로프(2)가 연결되면, 지지고리(22)를 분봉(B)이 위치한 인근의 나뭇가지에 걸어 본 발명의 분봉 받는 기구를 지지시킨다. 만일, 나뭇가지가 가늘어 무게를 지탱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분봉이 형성된 나뭇가지 위쪽에 있는 적당한 나뭇가지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로프(2)를 잡아당겨 분봉용 벌통(1)을 분봉(B) 하부에 위치시킨다. 분봉용 벌통(1)이 적절한 위치에 자리 잡으면 로프(2)를 손으로 잡고 있거나 로프(2)의 단부를 다단파이프(10) 하부의 로프고리(13)에 매어 분봉용 벌통(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로프(2)가 로프고리(13)에 고정되면 더 이상 작업자가 다단파이프(10)나 로프(2)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분봉 받는 기구와 분봉용 벌통(1)이 균형 있게 지지고리(22)에 의해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된다.
분봉용 벌통(1)이 분봉이 붙은 부위에 가깝게 다다르면 벌들은 벌집이 있는 곳으로 옮겨가는 습성이 있어 자연스럽게 이동을 하면서 여왕벌도 같이 이동하여 들어가게 된다. 필요하면 로프(2)나 지지고리(22)에 별도로 연결한 로프를 이용하여 세게 잡아당겼다 놓았다 하며 몇 번 흔들어 분봉한 무리가 분봉용 벌통(1) 안으로 떨어져 들어가게 하면 분봉 받는 시간을 줄일 수가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 분봉(B)이 모두 분봉용 벌통(1)으로 들어가 수용되면 로프(2)를 풀어 서서히 분봉용 벌통(1)을 하강시킨다. 이때에도 본 발명의 분봉 받는 기구가 나뭇가지에 걸쳐져 지지되는 상태이므로 로프(2)만을 잡고 서서히 분봉용 벌통(1)을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혼자서도 충분히 분봉 받는 작업이 가능하다. 만일, 분봉 주변에 나뭇가지가 많아 분봉용 벌통(1)을 수직으로 올리거나 내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사전에 분봉용 벌통(1)에 별도의 줄을 매어 방해되는 나뭇가지로부터 떨어지도록 별도의 줄을 잡아당기면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움직도르래를 이용하여 분봉용 벌통을 승하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본봉 받는 기구는 움직도르래(40)와 로프(2) 연결방식만 다를 뿐 타 구성은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로프(2)는 제1 지지부재(23a) 말단의 도르래(30a)의 일측에 형성된 로프걸이(32)에 고정된 후 움직도르래(40)를 걸쳐 다시 제1 지지부재(23a) 말단의 도르래(30a)와 제2 지지부재(23b) 말단의 도르래(30)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연결된다. 움직도르래(40)는 로프(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로프(2)를 풀거나 잡아당김에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움직도르래(40)의 하부에는 분봉용 벌통(1)이 연결된다.
움직도르래(40)를 사용함으로써 로프(2)를 잡아당기는 힘이 반으로 줄어 고령자의 경우에도 손쉽게 분봉 받는 벌통(1)을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봉 받는 기구는 경량의 단순한 구조에 의해 이동이 간편하고 나무에 오르지 않고 작업자 혼자서도 충분히 분봉을 받을 수 있는 기구이다. 또한, 나뭇가지 걸어 지지하는 기구이므로 분봉의 위치나 지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분봉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움직도르래(40)를 사용하는 이중도르래 구조를 사용하면 적은 힘으로도 분봉용 벌통(1)을 승하강시킬 수 있어 고령자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분봉 받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다단파이프 11: 강화홈
12: 길이조절구 20: 지지구
21: 결합봉 22: 지지고리
23: 지지대 24: 보강대
25: 로프유도고리 30, 30a: 도르래
40: 움직도르래

Claims (6)

  1.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단파이프;
    상기 다단파이프의 상부에 결합되며, 분봉이 위치한 나뭇가지에 걸어놓은 상태로 분봉 받는 벌통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에 결합되어 상기 분봉 받는 벌통에 연결된 로프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도르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는 분봉이 위치한 나뭇가지에 거는 지지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봉 받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다단파이프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봉; 및
    상기 결합봉의 상단부로부터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며, 말단부에 상기 도르래가 연결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봉 받는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결합봉의 상단부로부터 일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와 타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말단부에 구비된 도르래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말단부에 연결된 도르래를 통해 상기 다단파이프의 하부까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봉 받는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과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지지대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봉 받는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파이프는 서로 직경이 다른 다수의 파이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파이프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강화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봉 받는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분봉 받는 벌통이 연결되고, 상기 도르래에 고정된 로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로프를 풀거나 당김에 따라 승하강하는 움직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봉 받는 기구.
KR20130115285A 2013-09-27 2013-09-27 분봉 받는 기구 KR101496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285A KR101496569B1 (ko) 2013-09-27 2013-09-27 분봉 받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285A KR101496569B1 (ko) 2013-09-27 2013-09-27 분봉 받는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569B1 true KR101496569B1 (ko) 2015-02-25

Family

ID=5259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5285A KR101496569B1 (ko) 2013-09-27 2013-09-27 분봉 받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5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625A (ko) * 2003-04-01 2004-10-08 조영만 채봉기
KR200379557Y1 (ko) * 2005-01-04 2005-03-18 조영만 채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625A (ko) * 2003-04-01 2004-10-08 조영만 채봉기
KR200379557Y1 (ko) * 2005-01-04 2005-03-18 조영만 채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059B1 (ko) 해초수확장치
CN105358016B (zh) 盆装置和与其相关的方法
JP5956056B2 (ja) 脚立
CN110915603A (zh) 一种树木砍伐牵引装置
CN105186358B (zh) 电力架线跨线器
JP6223701B2 (ja) 重量物の吊り上げ治具
AU2008200703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fruit
KR101496569B1 (ko) 분봉 받는 기구
US20080237415A1 (en) Hoist apparatus
CN204113097U (zh) 金字塔形荔枝树的修剪采摘用三脚梯
CN111466237B (zh) 一种现代农业大棚生长捆扎装置
CN210695264U (zh) 一种藤本果树栽培支架
JP3206376U (ja) 果樹栽培棚の押上げ装置
CN211558282U (zh) 一种树木砍伐牵引装置
CN209134983U (zh) 一种沃柑拉托装置
KR101653048B1 (ko) 분봉 받는 기구용 휨 방지 다단 파이프
JP5634887B2 (ja) 樹木用ロープ取付具
US20140116803A1 (en) Hook elevator system for providing ascending support along any number of load bearing limbs
CN211020311U (zh) 一种苹果树形整形装置
CN218773052U (zh) 一种果树攀爬架
KR102440292B1 (ko) 내림재배용 줄기 지지장치
KR20230167554A (ko) 과수 가지 견인용 유인끈 안내구 및 이를 이용한 과수 가지 견인용 유인끈 설치방법
JP6058202B1 (ja) 足場確保器具
CN211745816U (zh) 一种稳定性好的园林用树木防倒伏支撑架
CN212126509U (zh) 一种大棚悬挂式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