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451B1 -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451B1
KR102537451B1 KR1020220148687A KR20220148687A KR102537451B1 KR 102537451 B1 KR102537451 B1 KR 102537451B1 KR 1020220148687 A KR1020220148687 A KR 1020220148687A KR 20220148687 A KR20220148687 A KR 20220148687A KR 102537451 B1 KR102537451 B1 KR 102537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hull
frame
lave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용균
나은영
Original Assignee
나용균
나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용균, 나은영 filed Critical 나용균
Priority to KR102022014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적재공간에 양식한 김을 커팅하는 작업과 동시에 그 커팅되는 김이 바로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적재되게 안내하여 줌으로써, 커팅된 김을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옮겨 담는 작업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의 낭비를 사전에 차단하여 주는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체(S)의 장방향을 따라 기지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부(110) 및 상기 가로프레임부(110)에 교차설치되는 것으로, 기지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세로프레임부(120)에 의해, 다수의 수납영역(SA)이 격자단위로 형성되는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와; 상기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 격자단위로 각 수납영역(SA)을 형성하는 가로프레임부(110) 및 세로프레임부(120)에 연결되어, 커팅되는 김(N1)이 수납되는 다수의 수납포대(200)와; 상기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체로서, 인양되는 김양식망(N)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N1)을 채취부(330)를 통해 커팅하여, 격자단위로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수납포대(200)에서, 선체(S)의 너비로 연이은 수납포대(200)에 커팅된 김(N1)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다수의 수납포대(200) 중 비어 있는 선체(S)의 너비로 연이은 수납포대(200)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양되는 김양식망(N)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N1)을 채취부(330)를 통해 반복 커팅하는 이동형 김 채취부재(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Mobile seaweed collection device provided on the hull}
본 발명은 선체의 적재공간에 양식한 김을 커팅하는 작업과 동시에 그 커팅되는 김이 바로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적재되게 안내하여 줌으로써, 커팅된 김을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옮겨 담는 작업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의 낭비를 사전에 차단하여 주는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의 양식은 부표식과 지주식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이중 부표식은 김을 양식할 경우 부표에 매달려 바다에 떠 있는 김양식망에 김의 포자를 부착시켜서 양식하는 것으로, 김이 생장되어 김양식망의 하측으로 늘어지면, 늘어 진 김의 하측을 잘라 채취하게 된다.
즉, 김의 채취는 채취선을 끌고 나가서 2인이나 4인이 한조가 되어 배에다가 그물 즉, 김발을 통과시키면서 채 취선의 중간에 있는 김 채취기를 돌려서 김을 잘라낸다.
이와같이, 김양식망(그물)에 부착되어 생장된 김을 채취하는 김채취기는 보트 등의 선체에 고정 설치되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김채취기는 선체(S)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측이 개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수평설치되는 회전축(2)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다수개의 칼날(3)을 포함하는 채취부(2,3)와, 상기 본체(1)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커버(4)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선체(S)에 고정설치된 종래의 김채취기는 김양식망(N)이 본체(1)의 상면을 타고 넘으면서 채취부(2,3)의 커터(3)에 의해 김양식망(N)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N1)이 커팅되고, 커팅되는 김(N1)은 선체(S)의 적재공간(LS)에 적재되는데, 이때, 본체(1)는 선체(S)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커팅되는 김(N1)은 선체(S)의 적재공간(LS) 중 일측부에 쌓이게 된다.
이 때문에, 선체작업자는 선체(S) 적재공간(LS)의 일측부에 쌓인 커팅된 김(N1)을 선체(S)의 적재공간(LS) 안쪽 즉, 적재공간(LS)의 타측부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커팅된 김(N1)이 최대한 많이 적재되게 한다. 이후, 선체작업자는 선체(S) 적재공간(LS)에 쌓인 커팅된 김(N1)을 기지정된 규격을 가지는 수납포대들에 재차 옮겨 담는 판매 전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이처럼, 선체(S)에 고정설치된 종래의 김채취기를 이용하여 김 수확작업을 할 경우 1차적으로 선체(S) 적재공간(LS)에 양식한 김(N1)을 커팅하는 작업과 더불어 판매를 위해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옮겨 담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939501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의 적재공간에 양식한 김을 커팅하는 작업과 동시에 그 커팅되는 김이 바로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적재되게 안내하여 주는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는, 선체의 적재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선체의 장방향을 따라 기지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부 및 상기 가로프레임부에 교차설치되는 것으로, 기지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세로프레임부에 의해, 다수의 수납영역이 격자단위로 형성되는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와; 상기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에 격자단위로 각 수납영역을 형성하는 가로프레임부 및 세로프레임부에 가장자리 부분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커팅되는 김이 수납되는 다수의 수납포대와; 상기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체로서, 인양되는 김양식망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을 채취부를 통해 커팅하여, 격자단위로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수납포대에서, 선체의 너비로 연이은 수납포대에 커팅된 김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다수의 수납포대 중 비어 있는 선체의 너비로 연이은 수납포대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양되는 김양식망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을 채취부를 통해 반복 커팅하는 이동형 김 채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프레임부는, 선체의 장방향을 따라 기지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선체의 적재공간을 이루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하단프레임과; 상기 가로 하단프레임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과; 상기 가로 하단프레임과 상기 가로 상단프레임 사이에 기지정 간격마다 고정연결되는 형상유지용 가로측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로프레임부는, 선체의 폭방향을 따라 기지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선체의 적재공간을 이루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 하단프레임과; 상기 세로 하단프레임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 상단프레임과; 상기 세로 하단프레임과 상기 세로 상단프레임 사이에 기지정 간격마다 고정연결되는 형상유지용 세로측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는, 상기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 중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일측 가로 상단프레임에 연결되는 일측 슬라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 중 다른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타측 가로 상단프레임에 연결되는 타측 슬라이드봉;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김 채취부재는, 상기 일측 슬라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와; 상기 타측 슬라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와;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 및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다수개의 칼날로 이루어진 채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는, 상기 일측 슬라이드봉에 접촉지지되는 일측 구름롤러, 상기 일측 구름롤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 지지몸체로 이루어진 일측 회동지지구와; 상기 일측 회동지지구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 슬라이딩몸체와;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일측 스프라켓과; 상기 일측 스프라켓에 맞물리는 것으로, 양단이 상기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의 한 쪽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일측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는, 상기 타측 슬라이드봉에 접촉지지되는 타측 구름롤러, 상기 타측 구름롤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 지지몸체로 이루어진 타측 회동지지구와; 상기 타측 회동지지구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 슬라이딩몸체와;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에 고정연결되는 타측 스프라켓과; 상기 타측 스프라켓에 맞물리는 것으로, 양단이 상기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의 다른 한 쪽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타측 체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는,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일측 스프라켓의 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스프라켓에 맞물린 전방 쪽 일측 체인이 들뜨지 않도록, 상기 전방 쪽 일측 체인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일측 전방텐션롤러와;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타측 스프라켓의 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 스프라켓에 맞물린 전방 쪽 타측 체인이 들뜨지 않도록, 상기 전방 쪽 타측 체인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타측 전방텐션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는,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일측 스프라켓의 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스프라켓에 맞물린 후방 쪽 일측 체인이 들뜨지 않도록, 상기 후방 쪽 일측 체인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일측 후방텐션롤러와;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타측 스프라켓의 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 스프라켓에 맞물린 후방 쪽 타측 체인이 들뜨지 않도록, 상기 후방 쪽 타측 체인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타측 후방텐션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는,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의 후단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스프라켓에 맞물린 후방 쪽 일측 체인이 처지지 않도록, 상기 후방 쪽 일측 체인의 하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일측 후단지지롤러와;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의 후단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 스프라켓에 맞물린 후방 쪽 타측 체인이 처지지 않도록, 상기 후방 쪽 타측 체인의 하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타측 후단지지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는, 상기 채취부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이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주는 축지지용 공회전베어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는, 상기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 중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일측 가로 상단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슬라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일측 회동지지구를 보호하는 일측 가이드봉과; 상기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 중 다른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타측 가로 상단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 슬라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타측 회동지지구를 보호하는 타측 가이드봉;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선체의 적재공간에 양식한 김을 커팅하는 작업과 동시에 그 커팅되는 김이 바로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적재되게 안내하여 줌으로써, 커팅된 김을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옮겨 담는 작업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의 낭비를 사전에 차단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의 김채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선체에 설치된 종래의 김채취기를 통해 김을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가 선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김 채취부재의 후방 부분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리모콘을 촬영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김 채취부재의 전방을 나타낸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 부분을 나타낸 요부정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 부분을 나타낸 요부정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김 채취부재의 전방을 촬영한 도면.
도 4e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 부분을 촬영한 도면.
도 4f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 부분을 촬영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일측 체인이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의 양측에 고정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격자단위로 형성된 다수의 수납영역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김을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적재공간에 양식한 김을 커팅하는 작업과 동시에 그 커팅되는 김이 바로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적재되게 안내하여 줌으로써, 커팅된 김을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옮겨 담는 작업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의 낭비를 사전에 차단하여 주도록,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는 크게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 수납포대(200) 및 이동형 김 채취부재(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는 선체(S)의 적재공간(LS)에 배치되는 것으로, 선체(S)의 장방향을 따라 기지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부(110) 및 가로프레임부(110)에 교차설치되는 것으로, 기지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세로프레임부(120)에 의해, 다수의 수납영역(SA)이 격자단위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수납영역(SA)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선체(S)의 폭 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의 2개가 연이어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선체(S)의 크기에 따라 선체(S)의 폭 방향으로 1개 또는 3개 등 그 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 중 가로프레임부(110)는 선체(S)의 장방향을 따라 기지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선체(S)의 적재공간(LS)을 이루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하단프레임(111), 가로 하단프레임(111)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112) 및 가로 하단프레임(111)과 가로 상단프레임(112) 사이에 기지정 간격마다 고정연결되어, 가로 하단프레임(111)과 가로 상단프레임(112)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시켜주는 보강기능과 더불어 후술되는 수납포대(200)가 수납영역(SA)에 안치 시 그 안치되는 수납포대(200)의 외관형을 유지할 수 있게 제공하여 주는 기능도 수행하는 형상유지용 가로측 연결프레임(11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로 하단프레임(111)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3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선체(S)의 크기에 따라 그 수는 2개에서 5개 등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 중 세로프레임부(120)는 선체(S)의 폭방향을 따라 기지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선체(S)의 적재공간(LS)을 이루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 하단프레임(121), 세로 하단프레임(121)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 상단프레임(122) 및 세로 하단프레임(121)과 세로 상단프레임(122) 사이에 기지정 간격마다 고정연결되어, 세로 하단프레임(121)과 세로 상단프레임(122)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시켜주는 보강기능과 더불어 후술되는 수납포대(200)가 수납영역(SA)에 안치 시 그 안치되는 수납포대(200)의 외관형을 유지할 수 있게 제공하여 주는 기능도 수행하는 형상유지용 세로측 연결프레임(1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는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112) 중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일측 가로 상단프레임(112)에 연결되는 일측 슬라이드봉(114) 및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112) 중 다른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타측 가로 상단프레임(112)에 연결되는 타측 슬라이드봉(115)도 구비되어진다.
또한,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는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112) 중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일측 가로 상단프레임(112)에 연결되는 것으로, 일측 슬라이드봉(114)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일측 회동지지구(311)를 보호하는 일측 가이드봉(116) 및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112) 중 다른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타측 가로 상단프레임(112)에 연결되는 것으로, 타측 슬라이드봉(115)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타측 회동지지구(321)를 보호하는 타측 가이드봉(117)도 구비되어진다.
상기 수납포대(200)는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 격자단위로 각 수납영역(SA)을 형성하는 가로프레임부(110) 및 세로프레임부(120)에 가장자리 부분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커팅되는 김(N1)이 수납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수납포대(200)의 착탈가능한 연결구조는 암수의 벨크로테이프, 암수의 후크 또는 단추 및 고리 등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김 채취부재(300)는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체로서, 인양되는 김양식망(N)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N1)을 채취부(330)를 통해 커팅하여, 격자단위로 형성되는 다수의 수납포대(200)에서, 선체(S)의 너비로 연이은 수납포대(200)에 커팅된 김(N1)의 적재가 완료되면, 다수의 수납포대(200) 중 비어 있는 선체(S)의 너비로 연이은 수납포대(200)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양되는 김양식망(N)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N1)을 채취부(330)를 통해 반복 커팅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형 김 채취부재(300)는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 채취부(330), 구동축(340) 및 구동패널(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축(340)은 후술되는 일측 스프라켓(313) 및 타측 스프라켓(323)이 고정연결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구동축(340)이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주는 축지지용 공회전베어링(341)이 채취부(330) 쪽에 고정설치되어진다.
상기 구동패널(350)은 구동축(340)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구동모터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DC모터나 유압모터 등 다양한 구동수단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패널(35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켜주는 제어부재인 리모콘(351)이 제공되어진다.
이처럼, 제공되는 리모콘(351)은 도시된 것처럼, 무선신호로 구동되는 무선 리모콘(351a)과 유선신호로 구동되는 유선 리모콘(351b)으로 구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는 일측 슬라이드봉(1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의 세부구성은 일측 회동지지구(311), 일측 슬라이딩몸체(312), 일측 스프라켓(313) 및 일측 체인(314)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일측 회동지지구(311)는 일측 슬라이드봉(114)에 접촉지지되는 일측 구름롤러(311a), 일측 구름롤러(311a)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는 일측 지지몸체(311b)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상기 일측 슬라이딩몸체(312)는 일측 회동지지구(311)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회전축(331)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재이다.
상기 일측 스프라켓(313)는 구동축(340)의 일단부에 고정연결되는 기어부재이다.
상기 일측 체인(314)은 일측 스프라켓(313)에 맞물리는 것으로, 양단이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의 한 쪽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일측 체인(314)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 고정 연결 시 일측 체인(314)의 한 쪽은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고리 타입의 샤클(400)로 고정연결된다.
또한, 일측 체인(314)의 다른 한 쪽은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 장력을 발생시켜, 일측 체인(314)을 팽팽하게 당겨주는 턴버클(500)로 연결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턴버클(500)은 텐션조절부재(141)와 연결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즉, 텐션조절부재(510)의 양측에 봉 형상의 연결부재(520)가 각각 결합하는 구조로, 텐션조절부재(510)의 양측에는 연결부재(520)가 결합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며, 각 연결부재(520)에는 나사산(144)이 형성되어 홀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연결부재(520)의 종단에는 개폐가 가능한 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 형성되는 각 고리에 걸림 고정될 수 있게 제공하여 준다.
이를 통해, 턴버클(500)을 이루는 텐션조절부재(51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측의 연결부재(520)는 텐션조절부재(510)에 끼워지는 연결부재(520)의 나사산 방향에 따라 동시에 텐션조절부재(510)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어 일측 체인(314)의 장력을 증가시키게 되거나, 동시에 외측으로 빠지게 되어 장력이 감소하도록 제공한다.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는 타측 슬라이드봉(11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의 세부구성은 타측 회동지지구(321), 타측 슬라이딩몸체(322), 타측 스프라켓(323) 및 타측 체인(324)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타측 회동지지구(321)는 타측 슬라이드봉(115)에 접촉지지되는 타측 구름롤러(321a), 타측 구름롤러(321a)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는 타측 지지몸체(321b)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상기 타측 슬라이딩몸체(322)는 타측 회동지지구(321)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회전축(331)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재이다.
상기 타측 스프라켓(323)은 구동축(340)의 타단부에 고정연결되는 기어부재이다.
상기 타측 체인(324)은 타측 스프라켓(323)에 맞물리는 것으로, 양단이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의 다른 한 쪽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타측 체인(324)도 앞에서 언급한 일측 체인(314)과 같이,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 고정 연결 시 타측 체인(324)의 한 쪽은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고리 타입의 샤클(400)로 고정연결되고, 타측 체인(324)의 다른 한 쪽은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 장력을 발생시켜, 일측 체인(314)을 팽팽하게 당겨주는 턴버클(500)로 연결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는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에 고정설치되되, 일측 스프라켓(313)의 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일측 스프라켓(313)에 맞물린 전방 쪽 일측 체인(314)이 들뜨지 않도록, 전방 쪽 일측 체인(314)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일측 전방텐션롤러(315) 및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에 고정설치되되, 타측 스프라켓(323)의 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타측 스프라켓(323)에 맞물린 전방 쪽 타측 체인(324)이 들뜨지 않도록, 전방 쪽 타측 체인(324)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타측 전방텐션롤러(325)도 구비제공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는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에 고정설치되되, 일측 스프라켓(313)의 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일측 스프라켓(313)에 맞물린 후방 쪽 일측 체인(314)이 들뜨지 않도록, 후방 쪽 일측 체인(314)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일측 후방텐션롤러(316) 및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에 고정설치되되, 타측 스프라켓(323)의 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타측 스프라켓(323)에 맞물린 후방 쪽 타측 체인(324)이 들뜨지 않도록, 후방 쪽 타측 체인(324)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타측 후방텐션롤러(326)도 구비제공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에는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의 후단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일측 스프라켓(313)에 맞물린 후방 쪽 일측 체인(314)이 처지지 않도록, 후방 쪽 일측 체인(314)의 하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일측 후단지지롤러(317) 및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의 후단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타측 스프라켓(323)에 맞물린 후방 쪽 타측 체인(324)이 처지지 않도록, 후방 쪽 타측 체인(324)의 하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타측 후단지지롤러(327)도 구비제공되어진다.
상기 채취부(330)는 인양되는 김양식망(N)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N1)을 커팅하여, 격자단위로 형성되는 수납포대(200)에 커팅된 김(N1)을 적재가능하도록,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 및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331) 및 회전축(331)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다수개의 칼날(332)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채취부(330)에는 전측을 따라 상부커버(333)가 설치제공되어짐과 더불어 후측을 따라 망지지용 관체(334)가 설치제공되어, 김양식망(N)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격자단위로 형성된 다수의 수납영역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김을 채취하는 과정을 도 8을 이용하여 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여, 선체작업자는 리모콘(351)을 조작하여, 이동형 김 채취부재(300)가 비어 있는 수납포대(200)들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에서, 김양식망(N)을 인양한다. 이때, 김양식망(N)은 별도의 구동부재를 통해 인양되어진다.
이후, 김양식망(N)은 이동형 김 채취부재(300)에 구비되는 채취부(330)의 상면을 타고 넘으면서 회전되는 채취부(330)의 칼날(332)에 의해 김양식망(N)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N1)이 커팅되어, 직하에 위치하는 수납포대(200)들에 적재된다.
선체작업자는 해당 수납포대(200)들에 커팅된 김(N1)의 적재가 완료되면, 도 8ab를 참조하여, 김양식망(N)김양식망(N)정지하고, 채취부(330)의 회전도 정지한 상태에서, 리모콘(351)을 조작하여, 이동형 김 채취부재(300)가 다음에 비어 있는 수납포대(200)들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재차 김양식망(N)을 인양하고, 채취부(330)를 구동제어를 반복함으로써, 선체의 적재공간에 양식한 김을 커팅하는 작업과 동시에 그 커팅되는 김이 바로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적재되게 안내하여, 커팅된 김을 기지정된 규격의 수납포대들로 옮겨 담는 작업에 필요한 인력없이도 각 수납포대(200)들에 커팅된 김(N1)을 수납가능하게 안내하여 준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
200 : 수납포대
300 : 김 채취부재
400 : 샤클
500 : 턴버클

Claims (9)

  1. 선체(S)의 적재공간(LS)에 배치되는 것으로, 선체(S)의 장방향을 따라 기지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부(110) 및 상기 가로프레임부(110)에 교차설치되는 것으로, 기지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세로프레임부(120)에 의해, 다수의 수납영역(SA)이 격자단위로 형성되는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와;
    상기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에 격자단위로 각 수납영역(SA)을 형성하는 가로프레임부(110) 및 세로프레임부(120)에 가장자리 부분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커팅되는 김(N1)이 수납되는 다수의 수납포대(200)와;
    상기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체로서, 인양되는 김양식망(N)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N1)을 채취부(330)를 통해 커팅하여, 격자단위로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수납포대(200)에서, 선체(S)의 너비로 연이은 수납포대(200)에 커팅된 김(N1)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다수의 수납포대(200) 중 비어 있는 선체(S)의 너비로 연이은 수납포대(200)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양되는 김양식망(N)의 하측으로 늘어진 김(N1)을 채취부(330)를 통해 반복 커팅하는 이동형 김 채취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프레임부(110)는, 선체(S)의 장방향을 따라 기지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선체(S)의 적재공간(LS)을 이루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하단프레임(111)과; 상기 가로 하단프레임(111)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112)과; 상기 가로 하단프레임(111)과 상기 가로 상단프레임(112) 사이에 기지정 간격마다 고정연결되는 형상유지용 가로측 연결프레임(1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로프레임부(120)는, 선체(S)의 폭방향을 따라 기지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선체(S)의 적재공간(LS)을 이루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 하단프레임(121)과; 상기 세로 하단프레임(121)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 상단프레임(122)과; 상기 세로 하단프레임(121)과 상기 세로 상단프레임(122) 사이에 기지정 간격마다 고정연결되는 형상유지용 세로측 연결프레임(1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112) 중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일측 가로 상단프레임(112)에 연결되는 일측 슬라이드봉(114);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112) 중 다른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타측 가로 상단프레임(112)에 연결되는 타측 슬라이드봉(115);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김 채취부재(300)는, 상기 일측 슬라이드봉(1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와; 상기 타측 슬라이드봉(11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와;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 및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331) 및 상기 회전축(331)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다수개의 칼날(332)로 이루어진 채취부(330);를 포함하고,
    구동축(340)과;
    상기 구동축(340)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패널(3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는, 상기 일측 슬라이드봉(114)에 접촉지지되는 일측 구름롤러(311a), 상기 일측 구름롤러(311a)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 지지몸체(311b)로 이루어진 일측 회동지지구(311)와; 상기 일측 회동지지구(311)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331)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 슬라이딩몸체(312)와; 상기 구동축(340)의 일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일측 스프라켓(313)과; 상기 일측 스프라켓(313)에 맞물리는 것으로, 양단이 상기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의 한 쪽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일측 체인(314);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는, 상기 타측 슬라이드봉(115)에 접촉지지되는 타측 구름롤러(321a), 상기 타측 구름롤러(321a)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 지지몸체(321b)로 이루어진 타측 회동지지구(321)와; 상기 타측 회동지지구(321)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331)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 슬라이딩몸체(322)와; 상기 구동축(340)의 타단부에 고정연결되는 타측 스프라켓(323)과; 상기 타측 스프라켓(323)에 맞물리는 것으로, 양단이 상기 김 수납용 프레임부재(100)의 다른 한 쪽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타측 체인(3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일측 스프라켓(313)의 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스프라켓(313)에 맞물린 전방 쪽 일측 체인(314)이 들뜨지 않도록, 상기 전방 쪽 일측 체인(314)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일측 전방텐션롤러(315)와;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타측 스프라켓(323)의 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 스프라켓(323)에 맞물린 전방 쪽 타측 체인(324)이 들뜨지 않도록, 상기 전방 쪽 타측 체인(324)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타측 전방텐션롤러(3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일측 스프라켓(313)의 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스프라켓(313)에 맞물린 후방 쪽 일측 체인(314)이 들뜨지 않도록, 상기 후방 쪽 일측 체인(314)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일측 후방텐션롤러(316)와;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타측 스프라켓(323)의 후방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 스프라켓(323)에 맞물린 후방 쪽 타측 체인(324)이 들뜨지 않도록, 상기 후방 쪽 타측 체인(324)의 상측을 회동가능하게 누르는 타측 후방텐션롤러(3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슬라이딩 이동부(310)의 후단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스프라켓(313)에 맞물린 후방 쪽 일측 체인(314)이 처지지 않도록, 상기 후방 쪽 일측 체인(314)의 하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일측 후단지지롤러(317)와;
    상기 타측 슬라이딩 이동부(320)의 후단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 스프라켓(323)에 맞물린 후방 쪽 타측 체인(324)이 처지지 않도록, 상기 후방 쪽 타측 체인(324)의 하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타측 후단지지롤러(3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330) 쪽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340)이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주는 축지지용 공회전베어링(3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112) 중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일측 가로 상단프레임(112)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일측 슬라이드봉(114)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일측 회동지지구(311)를 보호하는 일측 가이드봉(116)과;
    상기 복수의 가로 상단프레임(112) 중 다른 한 쪽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타측 가로 상단프레임(112)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타측 슬라이드봉(115)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타측 회동지지구(321)를 보호하는 타측 가이드봉(1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KR1020220148687A 2022-11-09 2022-11-09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KR102537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687A KR102537451B1 (ko) 2022-11-09 2022-11-09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687A KR102537451B1 (ko) 2022-11-09 2022-11-09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451B1 true KR102537451B1 (ko) 2023-05-26

Family

ID=8653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687A KR102537451B1 (ko) 2022-11-09 2022-11-09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4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625U (ko) * 2009-06-04 2009-07-01 박종식 김 이송장치
KR20110010673U (ko) * 2010-05-10 2011-11-16 박종식 해태 수확장치
KR20170032920A (ko) * 2015-09-15 2017-03-24 황원용 해초수확장치
KR101849767B1 (ko) * 2016-11-16 2018-04-17 황원용 해초수확장치
KR101890912B1 (ko) * 2018-03-15 2018-09-07 주식회사 케이알엔티 김 채취기
KR101939501B1 (ko) 2017-11-13 2019-01-16 김홍기 김채취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625U (ko) * 2009-06-04 2009-07-01 박종식 김 이송장치
KR20110010673U (ko) * 2010-05-10 2011-11-16 박종식 해태 수확장치
KR20170032920A (ko) * 2015-09-15 2017-03-24 황원용 해초수확장치
KR101849767B1 (ko) * 2016-11-16 2018-04-17 황원용 해초수확장치
KR101939501B1 (ko) 2017-11-13 2019-01-16 김홍기 김채취기
KR101890912B1 (ko) * 2018-03-15 2018-09-07 주식회사 케이알엔티 김 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29225B (zh) 一种鱼类捕捞起运装置及方法
CN107711734B (zh) 一种升降式渔网
DE60110583T2 (de) Vorrichtung zum ernten und verarbeiten von mollusken und zum reinigen von einer zugehörigen molluskenmaschine im wasser
KR101394139B1 (ko) 해초류 양식줄 자동 인양장치
CN111945691A (zh) 一种智能水上保洁机器人
CN111937821B (zh) 一种横绳养殖牡蛎采收装置及采集方法
CN112339921A (zh) 一种水利工程使用的河道漂浮物打捞船
CN111622196A (zh) 一种河道水生植物打捞装置
KR102537451B1 (ko)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KR100626404B1 (ko) 해태망 회수장치
CN210177480U (zh) 一种基于水利工程的闸坝水草清理装置
CN108271508A (zh) 一种自动拖拽转挂式海带收割机
CN212335966U (zh) 一种河道水生植物打捞装置
KR102563850B1 (ko) 선체용 김 채취기 자동 이송장치
CN107651461B (zh) 一种海带采收后的整理转运装置
CN111466203A (zh) 一种海带单绳自动采收分切一体设备
CN217284483U (zh) 养殖工船养殖舱
KR102494738B1 (ko) 양식 굴 자동 수확장치
CN212306162U (zh) 一种海带单绳自动采收分切一体设备
CN115024084A (zh) 箱式链拖曳海带采收装置
US4937956A (en) Ocean floor dredging
CN109122454A (zh) 一种带抽屉式养殖箱和闸门装置的岸上养殖喂料系统
KR102629432B1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102640969B1 (ko) 수하연 양식 굴 및 우렁쉥이 자동수확장치
CN221082414U (zh) 一种养殖网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