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863A - 베일 포장기 - Google Patents

베일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863A
KR20170032863A KR1020160117580A KR20160117580A KR20170032863A KR 20170032863 A KR20170032863 A KR 20170032863A KR 1020160117580 A KR1020160117580 A KR 1020160117580A KR 20160117580 A KR20160117580 A KR 20160117580A KR 20170032863 A KR20170032863 A KR 20170032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station
length
packing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347B1 (ko
Inventor
어포 쿠로넨
Original Assignee
아그로닉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그로닉 오와이 filed Critical 아그로닉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7003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14Ty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aling presses
    • A01F15/141Ty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aling presses for round ba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35Combined machines that include a press bale and a wrapping device in a further step, e.g. turning table, not in the same closed press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4Mechanisms for discharging a bale from the wrapping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55Configuration of support surfaces which can move in order to rotate a bale around at least one axis while wrapp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베일 포장기는 프레임(10), 베일(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스테이션(12), 및 수용된 베일(100)의 둘레로 보호 필름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 장치는 포장 스테이션(22), 포장 테이블(24), 및 상기 포장 테이블을 수용 스테이션과 포장 스테이션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로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로커에 의해 프레임에 매달린다. 상기 로커는 포장 테이블이 수용 스테이션에 있도록 제1 위치로, 그리고 상기 포장 테이블이 포장 스테이션에 있도록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는 포장 테이블이 상기 수용 스테이션과 포장 스테이션 사이의 중간 스테이션에 있도록 제3 위치로 바람직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포장 테이블은 그 위에 배치되는 포장 테이블 및 베일의 중력의 영향에 의해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간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베일 포장기{BALE WRAPPER}
본 발명은 프레임, 베일(bale)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스테이션, 및 수용된 베일의 둘레로 보호 필름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 장치가 포장 스테이션, 포장 테이블, 및 상기 포장 테이블을 상기 수용 스테이션과 포장 스테이션 사이로 이동하기 위한 작동기를 포함하는 베일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사료초(feed plant) 및 건초(hay)는 둥근 베일로 자주 저장된다. 트랙터 뒤에 견인된 복합 기계(combined machine)는 베일링(baling)에 사용되며, 이는 피킹 롤(picking roll)을 사용함으로써 필드 상의 공급 매트리스(feed mattress)를 장치의 베일링 챔버 내로 상승시켜 베일러(baler)가 이동함에 따라 원통형 베일을 형성한다. 상기 베일링 챔버로부터, 둥근 베일이 포장 장치로 전달되며, 상기 포장 장치에서 플라스틱제의 기밀 및 수밀 보호 필름이 베일의 둘레로 밀착되어 포장된다.
알려진 복합 기계에 있어서, 상기 포장 장치는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고, 베일링 챔버는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둥근 베일은 포장 장치에 속하는 별도의 포장 테이블 상의 베일링 챔버로부터 컨베이어로 전달된다. 포장 테이블은 전형적으로 수평 위치의 베일이 그 길이방향 축선의 둘레로 회전되는 2개의 평행한 지지 롤을 포함한다. 베일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신축성 보호 필름이 포장 장치의 사용에 의해 베일의 둘레로 포장된다. 보호 필름의 포장 후, 상기 보호 필름으로 포장된 베일이 포장 테이블로부터 필드로 롤링되도록 상기 포장 테이블이 경사지며, 거기에서 저장 또는 사용 위치로의 이송을 위해 대기된다.
문헌 EP 0865723 B1 및 EP 1438889 B1에는 가동형 포장 테이블을 구비한 복합 기계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 테이블은 베일링 챔버의 수용 스테이션과 포장 장치의 포장 스테이션 사이에서 안내 트랙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포장 테이블의 이동에 관한 전형적인 문제점은 그 느린 이동 속도이며, 이는 장치의 작동에 지연을 유발시킨다. 문헌 EP 0865723 B1에서 포장 테이블은 체인-구동 기구에 의해 이동되며, 문헌 EP 1438889 B1에서 포장 테이블은 여러 개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이동된다. 안내 트랙 및 체인-구동 기구는 특히 습한 그리고 혼탁한 작동 환경에서 오작동하기 쉽다. 전술한 전달 기구 또한 구조적으로 복잡하며, 그 제조비가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관한 단점 및 결점이 감소될 수 있는 베일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에 기재된 바를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항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베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스테이션, 및 수용된 베일의 둘레로 보호 필름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를 갖는 베일 포장기이다. 상기 포장 장치는 포장 스테이션, 포장 테이블, 및 상기 포장 테이블을 수용 스테이션과 포장 스테이션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기를 갖는다. 상기 포장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로커(rocker)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로커에 의해 프레임에 관절식으로 매달린다. 상기 로커는 포장 테이블이 수용 스테이션에 있도록 제1 위치로, 또한 포장 테이블이 포장 스테이션에 있도록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테이블은 그네(swing)처럼 베일러의 프레임에 매달리며, 상기 포장 테이블은 상기 로커의 길이에 의해 형성된 만곡된 경로를 따라 수용 스테이션과 포장 스테이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수용 스테이션은 여기에서는 베일이 보호 필름으로 포장될 베일 포장기에 도달하였을 때 베일이 위치되는 베일 포장기의 지점으로서 지칭된다. 또한 상기 포장 스테이션은 여기에서는 보호 필름의 포장 주기 동안 수용 스테이션에 수용된 베일이 전달되는 베일러의 지점으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는 베일러에 의해 형성된 베일이 예를 들어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될 수 있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베일 포장기는 베일러에 형성된 베일이 베일 포장기로 자동으로 전달되도록 고정된 또는 분리 가능한 부품으로서 베일러에 결합되는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는, 베일러의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베일러 및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를 포함하는, 이른바 복합 기계의 부분으로서 구축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복합 기계에 있어서, 베일은 베일링 챔버를 떠날 때 베일 포장기의 수용 스테이션에서 포장 테이블로 직접 전달된다. 복합 기계는 베일러와 베일 포장기 모두의 프레임으로서 기능하는 하나의 프레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포장 테이블이 수용 스테이션과 포장 스테이션 사이의 중간 스테이션에 있도록 제3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베일 포장기의 통상적인 사용 위치에 있어서, 베일 포장기는 공작 기계에 의해 견인된 그 휠의 필드 상으로 이동한다. 베일 포장기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포장 테이블은 수용 스테이션 및 포장 스테이션 보다 고도가 낮은 중간 스테이션에 있다. 고도의 변화는 포장 테이블이 하향의 만곡된 경로를 따라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포장 스테이션으로 이동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유리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베일 포장기가 통상적인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포장 테이블 및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베일의 중력의 영향에 의해, 포장 테이블은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간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실제로, 이는 예를 들어 작동기를 사용함으로써 포장 테이블이 수용 스테이션으로 전달되고 또한 로킹 요소에 의해 수용 스테이션에서 제 위치에 로킹되도록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빈 포장 테이블을 제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지만 그러나 그 위에 위치된 베일로 인해 포장 테이블의 중량이 충분히 증가할 때 자동으로 개방된다. 포장 테이블은, 별도의 로킹 요소가 없어도 포장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작동기의 보유 기능에 의해, 베일의 수용 주기에도 제 위치에 로킹될 수 있다.
복합 기계에 있어서, 베일이 베일링 챔버로부터 수용 스테이션으로 롤링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일링 챔버의 후방벽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베일이 베일링 챔버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후방벽은 베일이 포장 스테이션을 향해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충분히 이동하기 전에는 폐쇄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이런 실시예의 특별한 이점은, 베일링 챔버에 형성된 베일이 베일링 챔버로부터 포장 테이블로 이동할 때, 상기 포장 테이블이 중력에 의해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간 스테이션으로 즉시 전달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베일의 전달은 복합 기계의 작동에 대한 지연을 유발시킬 수 있는 베일 위치의 별도의 확인 및/또는 전달 기구의 활성화를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중간 스테이션은 포장 테이블 상의 베일이 베일링 챔버의 후방벽의 폐쇄를 방지하지 않는, 베일링 챔버로부터의 그런 거리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장 테이블은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가지며, 포장 스테이션의 포장 테이블은 포장 테이블의 전방 에지가 높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후방 에지 보다 높은 방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포장 테이블의 전방 에지는 여기에서는 포장 테이블의 에지로 지칭되고, 이는 베일 포장기의 전방 단부에 가장 가깝고 또한 베일러의 길이방향으로 횡단하며; 상기 후방 에지는 포장 테이블의 에지로 지칭되고, 이는 베일 포장기의 후방 단부에 가장 가까우며 상기 전방 에지에 평행하다. 방출 위치에 있어서, 따라서 포장 테이블은 포장 테이블 상의 베일이 포장 테이블로부터 베일러 뒤로 낙하하도록, 후방 에지의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선 둘레로 강하게 경사진다. 이 상태에서, 보호 필름이 베일의 둘레로 제 위치에 포장된다.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의 높이는, 이것이 통상적인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베일러로부터 측정된 높이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포장 테이블은 질량 중심선을 가지며, 또한 포장 테이블은 상기 질량 중심선과 전방 에지 사이의 부분으로부터 2개의 제1 로커 및 상기 질량 중심선과 후방 에지 사이의 부분으로부터 2개의 제2 로커에 의해 프레임에 매달린다. 따라서 포장 테이블은 4개의 로커로 베일 포장기의 프레임에 매달린다. 상기 제1 로커는 굴곡 가능한 단단한 로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로커와 프레임의 고정 지점의 둘레로 제1 로커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로커가 단단하고 또한 포장 테이블이 단단한 부재이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로커에 회전력이 지향되었을 때, 모든 로커가 동시에 회전한다. 따라서 포장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데는 오직 하나의 작동기만 필요하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의 길이는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제2 로커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조정 가능한 길이를 구비한 실린더이다. 제2 로커의 길이를 조정하면 포장 스테이션에서 포장 테이블의 후방 에지의 높이에 영향을 끼친다. 포장 테이블의 전방 에지의 높이는 상기 제1 로커의 회전각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런 유리한 실시예는 베일 포장기의 사용 중 포장 스테이션에서 포장 테이블의 고도 위치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런 특성은 베일 포장기에서 상이한 크기의 베일이 보호 필름에 포장될 때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직접적으로 또는 레버 기구를 통해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로커에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갖는, 조정 가능한 길이의 전달 실린더이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전달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이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기구는 프레임에 관절식으로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전달 실린더의 제2 단부에 관절식으로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갖는 제어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레버는 전달 실린더의 제2 단부가 원호의 형태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강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 기구는 제1 로커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전달 실린더의 제2 단부에 관절식으로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갖는 크랩 바(crab bar)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크랩 바 및 제어 레버에 의해, 전달 실린더의 제2 단부의 길이방향 이동은 제1 로커를 강하게 경사지게 하는 운동으로 변환되며, 이는 포장 테이블이 방출 위치로 회전되게 한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장 테이블은 전달 실린더를 제1 길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용 스테이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포장 테이블은 전달 실린더를 제2 길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중간 스테이션으로, 또한 전달 실린더를 제3 길이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장 스테이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전히 포장 스테이션에 있는 포장 테이블은, 전달 실린더를 제4 길이로 이동시킴으로써 방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전달 실린더는 상기 전달 실린더의 제4 길이가 제3 길이 보다 더 길고, 제3 길이가 제2 길이 보다 더 길고, 또한 제2 길이가 제1 길이 보다 더 길도록 베일 포장기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방출 스테이션으로 포장 테이블의 이동은 전달 실린더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또한 방출 위치로부터 수용 스테이션으로 포장 테이블의 이동은 전달 실린더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이점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신뢰성이 있다는 점이다. 상기 간단한 구조는 베일 포장기의 제조비 및 유지비의 절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다른 이점은 베일이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간 스테이션으로 빨리 이동하며, 이는 복합 기계의 베일링 챔버의 후방벽의 빠른 폐쇄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새로운 베일의 형성이 지연 없이 시작될 수 있으며, 이는 복합 기계의 작업 달성도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실시예의 특별한 이점은 상이한 크기의 베일에 적합하도록 포장 스테이션에서 포장 테이블의 고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를 구비한 복합 기계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복합 기계의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유리한 실시예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를 구비한 복합 기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에 있어서, 상기 복합 기계는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b는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복합 기계는 빔(beam)-타입 부분으로 구성된 긴(elongated) 프레임(10), 및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그 단부에 휠(11)을 구비한 2개의 축을 갖는다. 프레임의 제1 단부에는 작업기계 또는 트랙터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토잉 아일렛(towing eyelet)을 갖는 토우 바(13)가 있다. 프레임의 제1 단부에는 베일링 챔버(40)가 있으며, 그 토우 바와 대면하는 에지는 필드로부터 베일될 재료를 수집하고 또한 이를 베일링 챔버로 보내는 수단을 갖는다. 베일링 챔버의 내측에는 베일링 툴이 있으며, 이에 의해 베일러는 사료초 또는 건초와 같은 베일링 챔버로 공급되는 재료로부터 둥근 베일을 형성한다. 상기 베일링 챔버는 프레임에 고정 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방 섹션(44) 및 개방 가능한 후방벽(42)을 포함하며, 그 상부 에지는 전방 섹션의 상부 에지에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후방벽은, 베일링 챔버에 형성된 베일이 베일링 챔버의 외측에서 베일 수용 스테이션(12)으로 롤링될 수 있도록,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개방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베일링 챔버에 속하는 베일링 툴(tool)은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는 베일링 챔버의 뒤에서 복합 기계의 프레임의 상부에 구축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베일링 챔버는 베일 포장기의 프레임의 상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기계는 2개의 분리된 프레임을 갖지 않지만, 그러나 베일링 챔버와 베일 포장기는 동일한 프레임 상에 지지된다. 베일 포장기의 프레임은 여기에서는 복합 기계의 프레임의 부분으로 지칭되며, 이는 베일 포장기의 영역으로 연장한다. 상기 베일 포장기는 2가지 형태의 지지 암(arm)(52)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제2 단부에 포장 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암은 그 제1 단부로부터 프레임에 부착되며, 그 제2 단부는 프레임의 제2 단부 위에서 상호 연결기(54)에 연결된다. 2개의 포장 암(52)은 상기 상호 연결기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그 자유단부는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으로 지향된다. 상기 포장 암은 보호 필름 롤(58)이 부착되는 브래킷을 갖는다. 포장 암의 원형 경로의 중간에는, 포장 테이블 상에 안착된 베일(100)이 보호 필름으로 포장될 때, 포장 테이블(24)이 위치되는 포장 스테이션(22)이 있다.
베일 포장기에 속하는 포장 테이블(24)은 2개의 평행한 지지 롤, 상기 지지 롤의 둘레로 순환하는 무한 벨트, 및 제2 지지 롤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알려진 장치와 같다.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포장 테이블 상의 베일은 보호 필름 롤이 수직의 회전축선 둘레로 베일을 순환시킴과 동시에 그 수평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보호 필름이 베일의 외면에 균일하게 포장된다. 상기 포장 테이블(24)은, 포장 테이블이 베일링 챔버의 근방에서 수용 스테이션(12)으로, 또한 상기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된 포장 스테이션(22)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로커에 의해 프레임(10)에 매달린다(로커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수용 스테이션은 베일링 챔버에서 형성된 베일(100)이 베일링 챔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베일 포장기의 프레임의 지점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에 있어서, 포장 테이블은 베일링 챔버에서 형성된 베일이 베일링 챔버로부터 포장 테이블로 직접 이동하도록 수용 스테이션으로 전달된다. 베일이 수용된 후, 포장 테이블은 상기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의 거리에서 상기 수용 스테이션(12)과 포장 스테이션(22) 사이의 중간 스테이션(18)으로 이동한다. 중간 스테이션에 있어서, 포장 테이블 상에 안착된 베일은 상기 후방벽이 폐쇄되지 않고 또한 새로운 베일의 형성이 시작될 수 있도록, 베일링 챔버(40)의 후방벽(42)의 폐쇄 경로와 만나지 않는다. 상기 중간 스테이션으로부터, 포장 테이블(24)은 포장 장치(50)의 중간에서 포장 스테이션(22)으로 이동하며, 거기에서는 보호 필름이 포장 테이블(24) 상에서 베일(100)의 둘레로 포장된다. 보호 필름의 포장 후, 베일이 포장 테이블의 후방 에지(16) 위로 그리고 포장 테이블로부터 멀리 낙하하도록, 포장 테이블이 경사진다. 그 후, 포장 테이블은 다음 베일의 수용을 위해 수용 스테이션으로 다시 전달될 준비가 된다.
도 2a, 2b, 2c, 및 2d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는 측면으로부터 투시한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은 포장 테이블(24)의 상이한 위치에서 동일한 베일 포장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명확함을 유지하기 위해, 포장 장치가 모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러나 포장 테이블의 지지 및 이동에 필요한 툴뿐만 아니라 베일링 챔버(40)의 일부와 베일 포장기의 프레임(10)만 도시되었다. 상기 포장 테이블은 간략화된 구조로 도시되었다. 도면은 사용 위치, 즉 베일 포장기가 통상적인 베일링 상태에 있는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 있어서, 포장 테이블(24)은 베일링 챔버(40)의 개방 가능한 후방벽(42)에 가까운 수용 스테이션에 있다. 베일 포장기 프레임은 베일 포장기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평행한 프레임 빔(17)을 포함하며, 그 사이에 포장 테이블(24)이 로커(26, 28)에 의해 매달린다. 포장 테이블을 지지하는 툴의 더 좋은 도시를 위하여, 도면에 더 가까운 프레임 빔이 생략되었다. 포장 테이블은 전방 에지(14) 및 후방 에지(16)를 갖는다. 상기 전방 에지는 베일링 챔버(40)에 가장 가까운 포장 테이블의 에지를 지칭하며, 후방 에지는 베일링 챔버로부터 가장 먼 포장 테이블의 에지를 지칭한다. 포장 테이블의 질량 중심선(PP)은 상기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 사이의 대략 중간으로 이동한다. 상기 포장 테이블은 2개의 제1 로커(26) 및 2개의 제2 로커(28)에 의해 프레임 빔(17)에 매달린다. 상기 로커는 가요성의 단단한 로드형 금속 부품이다. 상기 제1 로커는 그 제1 단부로부터 질량 중심선(PP)과 포장 테이블의 전방 에지(14) 사이의 섹션으로의 포장 테이블의 측부에 부착된다. 각각, 제2 로커는 그 제1 단부로부터 질량 중심선(PP)과 포장 테이블의 후방 에지(16) 사이의 포장 테이블의 측부에 부착된다. 그 제2 단부로부터, 상기 로커는 프레임 빔의 고정 러그(19)에 부착된다. 로커의 양 단부의 장착은, 로커가 그 고정 지점의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장착형 피봇 장착이다. 따라서 로커 상에 매달린 포장 테이블은 하향의 만곡된 경로를 따라 로커 상으로 이동한다. 도 2a에 있어서, 로커는 그 제1 단부가 제2 단부 보다 베일링 챔버에 더 가까운 제1 위치에 있다. 포장 테이블에 횡방향으로 힘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포장 테이블은 도 2b에 도시된 중간 스테이션에서 중력의 영향에 의해 그 만곡된 경로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 설정된다.
베일 포장기는 포장 테이블의 장소 및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길이가 조정 가능한 유압식 전달 실린더(30)의 형태인 작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전달 실린더는 베일링 챔버(40)에 가까운 프레임 빔(17)에 그 제1 단부가 고정된다. 전달 실린더의 제2 단부에는 2개의 가요성의 단단한 로드형 레버, 즉 제어 레버(32) 및 크랩 바(34)가 부착된다. 상기 제어 레버는 그 제1 단부가 프레임 빔(17)의 고정 러그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그 제2 단부가 전달 실린더의 제2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다. 각각, 상기 크랩 바(34)는 그 제1 단부가 제1 로커(26)에, 제1 로커의 길이의 대략 절반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며, 그 제2 단부가 전달 실린더의 제2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전달 실린더(30), 제어 레버(32), 및 크랩 바(34)는 기구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상기 포장 테이블(24)이 베일 포장기의 프레임 빔(17)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달 실린더의 길이의 변경은 전달 실린더의 제2 단부가 상기 제어 레버에 의해 강제되어 원호의 형태인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한다. 전달 실린더의 단축은, 로커의 제1 단부가 크랩 바에 의해 견인되어 베일링 챔버를 향해 이동하도록, 크랩 바를 베일링 챔버를 향해 이동시킨다. 각각, 전달 실린더의 연장은, 상기 로커의 제1 단부가 바에 의해 견인되어 베일링 챔버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크랩 바를 베일링 챔버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도 2a에 있어서, 전달 실린더(30)는 포장 테이블이 로커 상에서 베일링 챔버의 후방벽(42)에 가까운 수용 스테이션으로 이동되도록, 제1 길이로 있다. 수용 스테이션에서, 상기 포장 테이블은 포장 테이블의 만곡된 경로의 가장 낮은 지점 보다 더 높이 위치된다. 수용 스테이션으로 이동된 포장 테이블은 유압 유체 압력, 이른바 수용 스테이션의 전달 실린더에 영향을 끼치는 제동 압력에 의해 제 위치로 보유된다.
베일링 챔버에 형성된 둥근 베일은, 베일링 챔버(40)의 후방벽(42)이 개방될 때, 베일링 챔버로부터 포장 테이블로 직접 롤링된다(상기 베일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전달 실린더의 제동 압력은, 수용 스테이션에서 빈 포장 테이블의 중량(그러나 포장 테이블과 베일의 전체 중량은 아니다)을 제 위치에 보유할 수 있도록 치수를 갖는다. 이 때문에, 포장 테이블은 베일의 수용 직후에 중력에 의해 베일링 챔버로부터 거리를 두고 도 2에 따른 중간 스테이션으로 이동한다. 중력에 의해 이동하는 포장 테이블은, 전달 실린더를 상기 제1 길이 보다 더 큰 제2 길이로 견인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로커는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3 위치로 회전한다.
따라서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간 스테이션으로 포장 테이블의 이동은 베일 위치의 별도의 식별 및/또는 포장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작동기의 개시를 요구하지 않는다. 베일링 챔버의 후방벽(42)으로부터 중간 스테이션의 거리는, 중간 스테이션의 베일이 후방벽의 폐쇄 경로 상에 있지 않을 정도로 크다. 따라서 후방벽은 실제로 완성된 베일이 제거된 직후에 폐쇄되며, 또한 새로운 베일의 형성이 베일링 챔버에 시작될 수 있다.
도 2c에 있어서, 포장 테이블(24)은 포장 스테이션(22)에 있다. 중간 스테이션으로부터 포장 스테이션으로 포장 테이블의 이동은, 전달 실린더의 길이가 상기 제2 길이 보다 더 큰 제3 길이로 성장하도록, 가압된 유압 유체를 전달 실린더로 유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후, 로커(26, 28)가 도 2c에 따라 제2 위치로 회전하며, 또한 포장 테이블은 만곡된 경로를 따라 베일링 챔버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상향으로 동시에 상승한다. 상기 포장 테이블은 전달 실린더에서 작용하는 유압 유체 압력에 의해 포장 챔버에서 제 위치에 보유된다. 포장 테이블의 이 위치에서, 포장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보호 필름이 베일의 둘레로 포장된다.
상기 보호 필름이 제 위치로 포장되었을 때, 베일이 포장 테이블(24)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베일은 포장 테이블의 전방 에지(14)가 포장 테이블의 후방 에지(16) 보다 실질적으로 높게 위치된 도 2d에 따라 포장 테이블(24)을 방출 위치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제거된다. 그 후, 보호 필름으로 포장된 베일은 포장 테이블로부터 오프되어 포장 테이블의 후방 에지 위로 롤링된다. 상기 포장 테이블은, 전달 실린더의 길이가 상기 제3 길이 보다 더 큰 제4 길이로 성장하도록, 가압된 유압 유체를 전달 실린더(30)로 유도함으로써 방출 위치로 이동된다. 그 후, 제1 로커(26)는 그 제1 단부가 제2 단부 보다 더 높이 상승하도록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제2 로커(28)는 반대 방식으로 행동하며, 즉 이들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제1 단부가 미세하게 하향으로 낙하한다. 상기 로커의 상이한 회전 때문에, 포장 테이블의 전방 에지(14)는 상향으로 상승하고, 후방 에지(16)는 하향으로 경사진다. 베일이 포장 테이블을 떠났을 때, 전달 실린더(30)는 상기 포장 테이블이 중간 스테이션을 통해 수용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도 3a 및 3b는 측부로부터 투시한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유리한 실시예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a, 1b, 및 2a-2d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 부품을 포함하며, 이들에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포장 테이블(24)의 후방벽(16)을 지지하는 제2 로커(28a)가 조정 가능한 길이의 실린더,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이도록, 이미 설명한 발명으로부터 벗어났다. 포장 테이블의 전방 에지(14)를 지지하는 제1 로커(26)는 전술한 바와 유사한 가요성의 단단한 로드이다. 포장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전달 실린더(30), 제어 레버(32), 및 크랩 바(34)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베일 포장기의 이런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로커의 길이는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포장 테이블의 후방 에지(16)의 고도에 영향을 끼친다. 포장 테이블의 전방 에지(14)의 고도는, 전달 실린더(30)에 의해 제1 로커(28)를 적절한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후방 에지의 고도와 동일한 레벨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제2 로커가 연장된 위치로, 그리고 도 3b에서는 짧은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로커를 단축시킴으로써, 포장 테이블(24)은 프레임 빔(17)에 의해 형성된 레벨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테이블 상의 베일이 포장 장치의 보호 필름 롤의 높이 레벨과 관련하여 원하는 높이로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런 특징은 상이한 크기의 둥근 베일이 준비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챔버를 구비한 복합 기계에서 특히 유리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로커는 굴곡 가능한 단단한 로드이거나 또는 연장 가능한 길이의 실린더이었다. 제1 로커가 굴곡 가능한 단단한 로드일 때, 제2 로커가 반드시 단단한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 제2 로커는 예를 들어 내인장성 체인 또는 와이어일 수 있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로커는 굴곡 가능한 단단한 로드이었으며, 또한 제2 로드는 조정 가능한 길이의 실린더이었다. 또한, 상기 제1 로커가 실린더와 같은 조정 가능한 길이의 부품인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제2 로커는 표준이거나 또는 조정 가능한 길이의 부품일 수 있다.
포장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전달 실린더의 힘은 로커 대신에 포장 테이블로 직접 지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로커가 필연적으로 단단한 물체일 필요는 없지만, 그러나 이들은 내인장성 와이어 또는 체인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는 굴곡 가능한 단단한 로드이어야만 한다.
오직 단단한 제1 로커를 사용하여 상기 포장 테이블을 프레임에 매달리는 것도 가능하며, 그 위치는 전달 실린더에 의해 변경된 위치이다. 이 경우에, 베일 포장기는 수용 스테이션 및 포장 스테이션의 포장 테이블을 수평 레벨과 관련하여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하기 위해 별도의 작동기를 가져야만 한다. 상기 작동기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예시적인 방식으로 기재된 포장 장치는, 수평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베일의 둘레로 회전하는 포장 암을 수직 위치로 포함한다. 또한 상이한 구조 및 작동 원리의 포장 장치가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에 사용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포장 장치는 최신의 포장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위에 안착된 베일을 수직 축선과 수평 축선 모두의 주위로 회전시킨다. 그 후, 보호 필름 롤이 상기 장치의 프레임에 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일부 유리한 실시예가 기재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해결책에 제한되지 않지만, 개별적인 사상이 청구범위에 의해 설정된 한계 내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 프레임 11: 휠
12: 수용 스테이션 13: 토우 바
14: 전방 에지 16: 후방 에지
17: 프레임 빔 18: 중간 스테이션
19: 고정 러그 22: 포장 스테이션
24: 포장 테이블 26: 제1 로커
28: 제2 로커 40: 베일링 챔버
42: 후방벽 44: 전방 섹션
50: 포장 장치치 52: 지지 암
54: 상호 연결기 58: 보호 필름 롤
100: 베일

Claims (16)

  1. 프레임(10), 베일(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스테이션(12), 및 수용된 상기 베일(100)의 둘레로 보호 필름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50)를 가지는 베일 포장기로서, 상기 포장 장치는 포장 스테이션(22)과 포장 테이블(24) 및 상기 포장 테이블(24)을 상기 수용 스테이션(12)과 포장 스테이션(22)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기를 포함하며,
    로커(26, 28)가 상기 포장 테이블(24)이 수용 스테이션(12)에 있는 제1 위치 및 상기 포장 테이블(24)이 포장 스테이션(22)에 있는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포장 테이블(24)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로커(26)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로커(28)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관절식으로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커(26, 28)는, 포장 테이블(24)이 상기 수용 스테이션(12)과 포장 스테이션(22) 사이의 중간 스테이션(18)에 있도록, 제3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스테이션(18)에서, 베일 포장기가 통상적인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포장 테이블(24)은 수용 스테이션(12) 및 포장 스테이션(22) 보다 낮은 고도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장 테이블(24)은, 베일 포장기가 통상적인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포장 테이블(24) 및 그 위에 배치된 베일(100)의 중력의 영향에 의해 상기 수용 스테이션(12)으로부터 중간 스테이션(18)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테이블(24)은 전방 에지(14) 및 후방 에지(16)를 가지며, 또한 상기 베일 포장기가 통상적인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포장 스테이션(22)의 포장 테이블(24)은 포장 테이블의 전방 에지(14)가 후방 에지(16) 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은 고도로 위치되는 방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포장 테이블(24)은 질량 중심선(PP)을 가지며, 또한 상기 포장 테이블(24)은 질량 중심선(PP)과 전방 에지(14) 사이의 부분을 위한 2개의 제1 로커(26)에 의해 그리고 상기 질량 중심선과 후방 에지(26) 사이의 부분을 위한 2개의 제2 로커(28)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커(26)는 굴곡 가능한 단단한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제1 로커(26)를 상기 로커(26) 및 프레임(10)의 고정 지점의 둘레로 회전시키기에 적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28)의 길이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28)는 조정 가능한 길이의 실린더,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조정 가능한 길이의 전달 실린더(30)이며, 이는 직접적으로 또는 레버 기구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로커(26)에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레버 기구는 제어 레버(32)를 가지며, 이는 상기 프레임(10)에 관절식으로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전달 실린더(30)의 제2 단부에 관절식으로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레버 기구는 크랩 바(crab bar)(34)를 포함하며, 상기 크랩 바(34)는 상기 제1 로커(26)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전달 실린더(30)의 제2 단부에 관절식으로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14.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테이블(24)은 전달 실린더(30)를 제1 길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용 스테이션(12)으로, 상기 전달 실린더(30)를 제2 길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스테이션(18)으로, 상기 전달 실린더(30)를 제3 길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포장 스테이션(12)으로, 및 상기 전달 실린더(30)를 제4 길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포장 스테이션(22)의 방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달 실린더(30)의 제4 길이는 제3 길이 보다 더 길고, 상기 제3 길이는 상기 제2 길이 보다 더 길며, 상기 제2 길이는 제1 길이 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실린더(30)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포장기.
KR1020160117580A 2015-09-15 2016-09-12 베일 포장기 KR102614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55662 2015-09-15
FI20155662A FI126651B (fi) 2015-09-15 2015-09-15 Paalinkäärij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863A true KR20170032863A (ko) 2017-03-23
KR102614347B1 KR102614347B1 (ko) 2023-12-18

Family

ID=5689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580A KR102614347B1 (ko) 2015-09-15 2016-09-12 베일 포장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143867B1 (ko)
JP (1) JP6870940B2 (ko)
KR (1) KR102614347B1 (ko)
CN (1) CN106508300B (ko)
FI (1) FI126651B (ko)
PL (1) PL3143867T3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845A (ko) 2017-10-13 2019-04-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초 베일러 로봇
KR102066116B1 (ko) * 2018-10-11 2020-01-15 대한민국 자망 분리 처리기
KR102432331B1 (ko) 2022-05-23 2022-08-16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베일러 바퀴 교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406U1 (fi) * 2016-09-02 2016-10-05 Agronic Oy Paalinkäärintälaite
FI128611B (fi) 2018-12-14 2020-08-31 Agronic Oy Paalinkäärijä ja yhdistelmäkone
DE102022115782A1 (de) * 2022-06-24 2024-01-04 Maschinenfabrik Bernard Krone GmbH & Co. KG Ballenpresse für landwirtschaftliches Erntegu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15653U1 (de) * 2000-09-08 2001-04-19 Schuster Thomas Wickelvorrichtung
US20030024407A1 (en) * 2001-06-11 2003-02-06 Lely Enterprises A.G., A Swiss Limited Liability Company Round baler for agricultural stalk material
WO2011056063A1 (en) * 2009-11-04 2011-05-12 Lely Patent N.V. Agricultural system to form and wrap bales of crop material
KR20130113393A (ko) * 2012-04-05 2013-10-15 아그로닉 오와이 베일 형성을 위한 베일러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1959B1 (fr) * 1989-09-20 1992-02-21 Bugnot Ets Dispositif groupeur de balles de fourrage cylindriques.
EP0865723B1 (de) 1997-03-17 2002-08-21 Herbert Göweil Ballenbilder für landwirtschaftliches Halmgut
DE10257252A1 (de) 2002-12-07 2004-08-12 Deere & Company, Moline Presse, insbesondere Rundballenpresse
NL1037740C2 (en) * 2010-02-23 2011-08-24 Forage Innovations Bv Wrapper for wrapping round bales of crop material.
CN203353232U (zh) * 2013-04-19 2013-12-25 四川农业大学 饲料裹包成型机
CN204448785U (zh) * 2014-12-31 2015-07-08 桑德环境资源股份有限公司 垃圾打捆缠膜处理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15653U1 (de) * 2000-09-08 2001-04-19 Schuster Thomas Wickelvorrichtung
US20030024407A1 (en) * 2001-06-11 2003-02-06 Lely Enterprises A.G., A Swiss Limited Liability Company Round baler for agricultural stalk material
WO2011056063A1 (en) * 2009-11-04 2011-05-12 Lely Patent N.V. Agricultural system to form and wrap bales of crop material
KR20130113393A (ko) * 2012-04-05 2013-10-15 아그로닉 오와이 베일 형성을 위한 베일러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845A (ko) 2017-10-13 2019-04-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초 베일러 로봇
KR102066116B1 (ko) * 2018-10-11 2020-01-15 대한민국 자망 분리 처리기
KR102432331B1 (ko) 2022-05-23 2022-08-16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베일러 바퀴 교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143867T3 (pl) 2018-12-31
EP3143867B1 (en) 2018-07-04
FI20155662A (fi) 2017-03-16
KR102614347B1 (ko) 2023-12-18
JP2017057013A (ja) 2017-03-23
CN106508300B (zh) 2021-05-14
EP3143867A1 (en) 2017-03-22
JP6870940B2 (ja) 2021-05-12
FI126651B (fi) 2017-03-31
CN106508300A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2863A (ko) 베일 포장기
JP4308136B2 (ja) 物体をコンテナ内に案内する装置
JP5563070B2 (ja) 穀物材料を梱包し包装するための梱包・包装システム
JP2017057013A5 (ko)
CA1187327A (fr) Machine automatique permettant de ligaturer, selon un cycle preetabli, au moyen d'un fil, ficelle ou analogue, des objets pleins ou creux
DE102007002381A1 (de) Füllanlage
FR2704830A1 (fr) Dispositif pour le remplissage et la fermeture de sacs remplis.
EP3547820B1 (en) Bale forming system and method with a foldable bale carrier
US6474050B1 (en) Device for filling and sealing sacks
US20200047932A1 (en) Adjustable Bagging Tunnel
NO860443L (no) Fremgangsm¨te og lesse- eller transportvogn for emballerin g av avling.
GB2436322A (en) Handling of bags to be filled
EP3692781B1 (en) Bale wrapper and combination machine
FR3046840B1 (fr) Module de pesage d'un produit
JPS5855049B2 (ja) 袋詰め包装装置
FR2514985A1 (fr) Rampe epandeuse pour distributeur d'engrais
CN210202717U (zh) 自动菌包装袋机菌包去浮料装置
WO2005037686A2 (en) Apparatus for stacking of vulnerable products in crates or containers
EP3063087B1 (fr) Installation de remplissage ponderal de recipients reposant sur un convoyeur
SU4627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пакета длиномерных грузов
EP0053211A1 (fr) Groupeur-stockeur de balles de paille
FR2460098A1 (fr) Groupeur-stockeur de balles de paille
BE506986A (ko)
BE345317A (ko)
FR2649638A2 (fr) Chaine de production automatique de poutres coffrantes en beton arme pour planchers-dal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