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467A - 수축가능한 도포 요소를 갖는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병 - Google Patents

수축가능한 도포 요소를 갖는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467A
KR20170032467A KR1020177005675A KR20177005675A KR20170032467A KR 20170032467 A KR20170032467 A KR 20170032467A KR 1020177005675 A KR1020177005675 A KR 1020177005675A KR 20177005675 A KR20177005675 A KR 20177005675A KR 20170032467 A KR20170032467 A KR 20170032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shaft
configuration
applicato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483B1 (ko
Inventor
파울로 포구에테이로
크리스티앙 살시아리니
Original Assignee
샤넬 파르퓜 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넬 파르퓜 보트 filed Critical 샤넬 파르퓜 보트
Publication of KR2017003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A45D2040/105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액체 또는 페이스트형 화장 제품을 위한 병(1)은 세장형 본체(10), 이 제품을 수용하며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의 작용 하에 상단 작동 위치와 최대로 눌러진 위치 사이에서 본체 내에서 병진 이동할 수 있는 저장소(20), 및 도포 요소(40)를 포함하고, 도포 요소는 본체 내로 수축될 수 있는 캡(50)에 고정되고 스템(41)을 포함하며, 스템은 이 캡에 고정되고 도포기에 의해 종결되며, 도포기는 저장소 내로 침지되었을 때 제품이 적재되기에 적합하며,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로킹 핑거(25C)를 구비하는 주연 부분(25) 및 더 유연한 내측 부분(26)이 그 에지에 근접하게 저장소에 부착되며, 그래서, 밀봉에 관하여, 스템의 확장부(44)와 맞물리고 본체 내에서의 저장소의 여정의 단지 일부에 걸쳐 저장소에 확장부를 로킹한다.

Description

수축가능한 도포 요소를 갖는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병 {BOTTLE FOR A LIQUID OR PASTY COSMETIC PRODUCT,HAVING A RETRACTABLE APPLICATION ELEMENT}
본 발명은 도포기를 구비하는 수축가능한 도포 부재를 포함하는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도포기는 제품이 적용되는 기간 이외에는 적용을 위한 제품을 수용하는 관형 저장소 내에 결합되며; 이는 마스카라나 글로즈, 즉, 유체 제품, 즉, 액체 또는 점성질인 제품을 위한 용기에 특히 양호하게 적용된다.
종래에, 액체 또는 점성 제품을 위한 용기는 도포 부재를 구비한다. 이 도포 부재는 관례적으로 캡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예로서, 그녀의 속눈썹이나 입술에 제품을 적용하기 위해 한 손의 손가락으로 캡을 파지한다. 제품이 유체라는 사실은 제품이 적용되는 기간 이외에 용기의 목부 상에 캡이 맞물려질 때 효율적 밀봉이 제공되어야만 함을 의미하며; 관례적으로 이러한 밀봉은 용기의 목부 상으로의 캡의 클립 작용에 의한 또는 나사결합에 의한 폐쇄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캡이 폐쇄 구성에서 마스카라 또는 글로즈 용기의 외측 표면의 상당한 부분을 형성하는 부재가 되고, 제품 적용 동작 이전에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 조합된 이동 또는 상당한 힘이 필요할 수 있다.
문서 EP-1 721 543에 변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화장 제품을 위한 다양한 용기 중에서, 마스크라용(또는 심지어 글로즈용) 용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ㆍ 길이 방향으로 세장형이고, 저부 및 자유 에지를 구비하는 본체,
ㆍ 이 본체 내에 수용되고, 하위 안정한 위치와 고위 안정한 위치 사이에서 병진 이동할 수 있는 저장소로서, 목부를 포함하는 저장소,
ㆍ 본체와 저장소 사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안정한 인출 위치를 갖는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그 두 개의 안정한 축방향 인출 위치는 저장소의 하위와 고위의 두 개의 안정한 위치를 형성하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
ㆍ 마스카라가 적재되도록 구성된 도포기에 의해 종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도포 부재로서, 이 도포 부재는 샤프트의 일부와 도포기가 저장소 내에 수용되어 도포기에 마스카라가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휴지 구성을 가지고, 완전히 저장소와 용기의 외측에 있게 될 때까지 해당 휴지 구성을 벗어날 수 있는, 도포 부재,
ㆍ 도포 부재의 샤프트에 결합되고, 본체 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캡으로서,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의 안정한 축방향 인출 구성은 도포 부재가 저장소 내에서 그 휴지 구성으로 있을 때 캡이 본체의 자유 에지와 일치하는 상태로 본체 내로 수축되거나 본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캡과,
ㆍ 도포기가 저장소에 진입할 때 또는 도포기가 저장소 외부로 빼내질 때 도포기가 횡단하게 되도록 저장소의 출구에 제공되는 와이퍼,
ㆍ 샤프트에 의해 지탱되는 돌출부와 저장소의 목부 상에 제공된 고정 클로우에 의해 구성되는, 저장소의 목부와 샤프트에 의해 각각 보유되는 상보적 밀봉 부재들을 포함하고; 저장소의 고위 위치에서, 클로우는 저장소가 내부에서 활주하는 본체의 내부 체적 외부로 펼쳐지는 반면, 하위 위치에서, 클로우는 돌출부 상에 맞물려져 유지되도록 해당 본체의 내측 벽에 의해 모여진 구성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은 간단하고 부주의한 개방에 대한 큰 위험 없이 신뢰성 있게 사용될 수 있으며(이동가능한 부분은 휴지 구성에서 망원경식으로 완전히 수축됨), 동시에, 매우 매끈한 미관을 가질 수 있고, 과도한 부피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이런 용기에서, 저장소는 본질적으로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규정되는 두 개의 주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보적 밀봉 부재는 저장소가 그 고위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한 서로 맞물려 유지되고, 분리될 수 있기 위해서는 본체의 축방향 외측에 도달하여야 한다. 이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의 여정이 캡의 축방향 치수와 적어도 동일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용기는 사용이 간단하고 신뢰성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런 용기는 또한 양호한 밀봉 특성을 가지면서도, 사용자에 의한 복잡한 이동을 요구하지 않지만, 소정 구조적 복잡성 및 치수적 제약이라는 대가를 치르고 있다.
이후, 문헌 FR-2 936 939(또는 EP-2 346 370)는 동일한 치수적 제약이 전혀 없이 더 양호한 밀봉을 갖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형 화장 제품을 위한 용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용기는 문헌 EP-1 721 543의 교지에 비해 다양한 차이점을 갖는다.
특히, 밀봉 부재에 관하여, 샤프트는 도포기를 향해 밀봉 부분 및 캡을 향해 횡방향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저장소는 그 목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축방향 접촉 상태로 밀봉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긴축부와, 그 목부를 지나서, 복수의 강성 섹터 및 탄성 섹터에 의해 그 원주를 따라 형성된 칼라를 포함하고, 칼라는 본체의 내측 단면보다 큰 횡방향 크기로 이루어지는 이완 구성과 해당 본체 내측에 국한되어 있는 수축 구성을 가지고, 강성 섹터는 해당 칼라의 내측 에지를 따라서 돌출부의 횡방향 접촉 표면에 대해 축방향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된 림을 포함하고, 그래서, 도포 부재가 그 휴지 구성에 있을 때 긴축부에 대하여 밀봉 부분을 유지하며; 바람직하게, 적어도 칼라의 강성 섹터는 본체의 내측에서 그 수축된 구성으로 칼라를 유지하기 위해 본체의 내측 벽에 대해 지탱되는 외측 림을 더 포함하고; 유리하게, 칼라는 또한 저장소의 긴축부를 캡핑하는 강성 또는 가요성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스커트에 의해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긴축부는 저장소의 내측을 향해 와이퍼 립을 포함하는 저장소의 부가 부분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이 문헌은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가 캡이 캡을 당길 수 있기 위한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한 충분한 보유를 제공하는 구성이 되자마자,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장치가 저장소를 그 고위 작동 위치를 확보하도록 상승시킬 수 있어야할 필요성이 없고, 캡 상의 당김력은 해당 고위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저장소의 상승 이동을 완료할 수 있게 하고, 고위 위치에서 저장소는 그후 해당 고위 위치로부터의 하강을 제동하는 증가된 저항의 지점의 존재에 의해 보유될 수 있다.
저장소의 목부에 의해 제공되는 밀봉 부재와 샤프트의 돌출부 사이의 상술한 협력은 문헌 EP-1 721 543의 기술에 비해, 샤프트의 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클로우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지만, 도포기의 내구성과 해당 저장소의 목부의 청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도포기에 의해 동반되는 제품에 의해 막혀지기 쉬운 슬롯에 의해 분리되며; 사실, 이 문헌은 해당 칼라의 원주방향 연속성을 보증하는 탄성 섹터를 칼라의 강성 섹터 사이에 배치하는 것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클로우와 유사하게 칼라는 반경방향으로만 확장되고, 해당 칼라(또는 그 클로우)가 해당 본체의 외측에 있게 되도록 본체 내에서 저장소가 충분히 상승되었을 때 돌출부를 해제하며; 달리 말하면, 돌출부의 해제는 도포 부재가 그 내부로 수축하는 본체의 에지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밀봉은 돌출부 상의 칼라의 영향으로부터 초래되는 축방향 성분의 존재로부터 초래되며, 이는 저장소와 도포 부재 사이의 축방향 연결 기능 및 밀봉 기능이 결합되는 것에 상당한다.
그러나, 밀봉을 유지하면서 특히 본체 내의 중간 레벨에서 상술한 축방향 연결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로킹과 밀봉에 의한 축방향 연결의 이들 기능들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 유리한 구성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용기를 제공하며, 이는
- 저부 구역과 자유 에지를 구비하는 길이 방향(Z-Z)으로 연장하는 세장형 본체,
- 해당 제품을 수용하며, 최대로 밀어넣어진 위치와 고위 작동 위치로 지칭되는 최소로 밀어넣어진 위치 사이에서 본체 내에서 병진 이동할 수 있는 저장소로서, 해당 저장소는 저부와 해당 저부로부터 원격위치된 에지를 포함하는, 저장소,
- 본체와 저장소 사이에 배치되며 본체 내로의 저장소의 최대로 밀어넣어진 위치를 결정하는 최대 축방향 수축 구성에 대한 두 개의 안정한 축방향 인출 구성, 즉, 저장소의 고위 작동 위치를 결정하는 최대 연장 구성 및 해당 저장소에 대해 하위 휴지 위치를 결정하는 안정한 수축된 구성을 가지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로서, 하위 휴지 위치는 최대로 밀어넣어진 위치와 고위 작동 위치 사이의 중간이고, 이들 안정한 구성 중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로의 해당 디바이스의 통과는 해당 본체와 해당 저장소 사이에 개재된 축방향 스프링에 맞서 최대 축방향 수축의 구성으로의 수축에 의해 이루어지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
- 캡에 결합되고 샤프트를 포함하는 도포 부재로서, 샤프트는 해당 캡에 결합되고 도포기에 의해 종결되며, 도포기는 샤프트가 저장소의 에지를 횡단하는, 해당 저장소에 대한 폐쇄 구성에서 저장소 내로 밀어넣어질 때 제품이 적재되도록 구성되며, 해당 캡은 폐쇄 구성에서 적어도 대략적으로 본체 내에서 수축되고, 해당 저장소가 그 고위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서의 파지와 단지 축방향 당김에 의해 본체로부터 그리고 저장소로부터 외부로의 도포 부재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본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도포 부재,
- 저장소가 그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으로 있을 때 그 에지에서 저장소의 밀봉 폐쇄를 보증하면서 샤프트를 저장소에 축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그 자유 에지 부근에서 도포 부재의 샤프트 상에 그리고 저장소 상에 분포되는, 상보적 부재를 포함하고,
이들 상보적 부재는 다음의 구성:
* 주연 부분으로서, 그 상부 부분은 본체의 내측 표면에 대해 측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저장소의 에지를 캡핑하고, 그 하부 부분은 그 에지 부근에서 저장소에 밀봉식으로 맞물려지는, 주연 부분,
* 주연 부분을 구성하는 것보다 더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면서 주연 부분에 체결되는 내측 부분으로서, 내측 부분은 저장소의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내측 표면을 가지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는 내측 스커트를 포함하는, 내측 부분;
* 길이 방향으로 더 근접하게 또는 그로부터 더 멀리 이동하도록 주연 부분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핑거로서, 저장소의 횡방향 외측에 배치되지만 항상 본체의 내측에 있는 헤드를 포함하는, 핑거,
* 본체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되는 캠 형성 표면으로서, 본체 내로의 저장소의 하강 이동시에 길이 방향을 향해 헤드를 추진하도록 구성되는, 캠 형성 표면, 및
* 확장부로서, 도포 부재가 저장소 내에서 그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해당 확장부가 내측 스커트의 상부 부분 내에 마찰에 의해 맞물려지도록 하는 위치에서 샤프트 상에 제공되고, 길이 방향에 대해 핑거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 존재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도포 부재와 저장소 사이의 축방향 연결의 잠금해제는 저장소 또는 주연 부분이나 내측 부분이 본체를 벗어날 필요 없이 본체 내에서 용기의 설계자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사용 중의 구성에서를 포함하여 용기의 미관을 보전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내측 스커트의 상부 부분에서의 샤프트의 확장부의 마찰에 의한 맞물림은 이동가능한 핑거에 의해 제공되는 축방향으로의 로킹에 독립적으로 만족스러운 밀봉이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공지된 해법에서 제공되는 것보다 많은, 다수의 단일 부분을 동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유리하게, 캠 형성 표면은 그 최대로 밀어넣어진 위치를 향한 저장소의 여정의 종점을 넘어 핑거의 헤드와 협력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저장소 상의 도포 부재의 로킹이 저장소의 이동 범위의 작은 부분에 걸쳐서만 발생한다는 것에 상당하며; 그 고위 작동 위치(최소로 밀어넣어진 위치)를 달성하기 위한 저장소의 상승이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도포 부재의 당김은 단지 실제로 저장소와의 밀봉을 보존할 필요 없이 도포 부재가 저장소로부터 분리된 시기에만 발생하며; 따라서 내측 스커트의 상부 부분의 확장부의 마찰에 의한 맞물림은 많은 힘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캠 형성 표면은 하위 휴지 구성으로부터 시작하여 본체 내에서의 저장소의 이동 범위의 최대 1/3과 같은 길이 방향 거리에 걸쳐 핑거의 헤드와 협력하도록 배치된다.
또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내측 부분의 내측 스커트의 상부 부분의 벌어진 표면은 융기된(in relief) 형상부에 연결되고, 이 형상부는 유리하게는 환형이고, 샤프트의 확장부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며, 샤프트의 확장부는 유리하게는 중공부로 형성되고, 환형이며, 융기된 해당 형상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변형으로서, 해당 내측 스커트의 벌어진 표면은 중공부에 연결되고, 이 중공부는 유리하게는 환형이며, 샤프트의 확장부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샤프트의 확장부는 유리하게는 환형인 융기된 형상부를 유리하게 구비한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라서, 내측 스커트는 또한 하부 부분을 포함하고-내측 스커트는 따라서 이중 스커트를 형성함-, 이 하부 부분은 저장소의 저부를 향해, 그리고, 길이 방향을 향해 수렴한다.
하부 부분은 예로서 상부 부분보다 더 유연하다.
또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라서, 샤프트는 도포 부재가 저장소 내의 그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내측 부분의 내측 스커트의 하부 부분의 자유 에지가 긴축 구역 둘레에 배치되도록 하는 레벨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긴축 구역을 포함한다. 이는 저장소 내의 공기 압력의 균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해당 하부 부분이 본체 내의 저장소의 하위 구성에서 받게 되는 힘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하며; 정확하게 말하면, 샤프트의 확장부의 맞물림으로 인한 상부 부분의 변형은 길이 방향을 향한 하부 부분의 경사도를 유발할 수 있고; 이때 하부 부분이 해당 샤프트에 대해 가압되는 데에는 어떠한 장점도 없다(반대로, 해당 하부 부분은 용기가 사용되지 않는 주기 동안 탄성적으로 작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내측 부분의 내측 스커트의 하부 부분은 해당 내측 스커트의 상부 부분이 연장하는 거리의 최대 절반과 같은 거리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라서, 내측 부분의 내측 스커트의 하부 부분은 저장소의 저부를 향해 감소하는 두께를 갖는다. 이는 해당 하부 부분에 그 자유 에지에서 큰 정도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와이퍼 립으로서의 그 역할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라서, 도포 부재의 샤프트의 확장부는 해당 확장부의 벌어진 표면의 상부 에지로부터 샤프트를 향해, 예로서, 샤프트의 정점을 향해 연장하는 수렴 부분을 포함하며, 그래서, 저장소로부터의 도포 부재를 인출하는 길이방향 이동 동안 샤프트에 대한 핑거의 확산을 강요한다. 이는 헤드가 더 이상 캠 형성 표면에 대해 적용되어 있지 않을 때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핑거의 인출을 보증하는 데 기여한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주연 부분 및 내측 부분은 성형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는 제조의 큰 단순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주연 부분 및 내측 부분은 단일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두 개의 별개의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이들은 그후 예로서 하나를 나머지 하나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함께 탄성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는 캠 형성 표면이 제공된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을 포함한다. 이는 원하는 미관을 제공하는 재료가 외측 부분을 위해 선택되고, 원하는 기하형상에 호환적인 다른 재료가 내측 부분을 위해 선택될 수 있게 한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의 내측 표면과 저장소의 외측 표면은 그 고위 작동 위치로부터의 저장소의 본체 내에서의 이동, 특히, 그 고위 작동 위치로부터의 본체 내로의 저장소의 하강에 대한 저항을 유도하는 증가된 저항의 지점을 구성하는 상보적 부재를 포함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비제한적 예로서 제공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수축 구성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유사한, 그러나, 확장 구성에서의 도면이다.
도 3은 그 확장 구성에서 용기의 상부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용기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수축 구성에서의, 도 1 내지 도 3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확장 구성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수축 구성에서의 용기의 입면도이다.
도 8은 본체와 저장소에 의해 구성되는 서브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서브조립체의 저장소, 손가락, 스프링, 및 본체의 내측 케이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케이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전체가 1로 표시된 용기를 나타낸다. 이는 원론적으로, 본체(10), 본체(10) 내에서 이동가능한 관형 저장소(20), 본체와 저장소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조립체(30), 저장소(20)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도포 부재(40) 및 캡(50)을 포함하고, 캡은 도포 부재(40)를 지탱하고, 도포 부재(40)가 저장소(20) 내에 맞물릴 때 본체(10)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0)는 세장형이고, 여기서는 길이 방향(Z-Z)으로 연장하며, 자유 에지(12)와 저부 구역(11)을 구비한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대칭축이며, 본 예에서 정사각형 형상(도 5 및 도 6 참조)을 갖는 본체의 단면이 고려되거나, 더 구체적으로, 둥근 정사각형 형상, 즉, 본체의 측방향 면들이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것이 고려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으로서,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 또는 유사한 기하학적 형상, 예로서, 원의 형상(회전 대칭) 또는 심지어 더 복잡한 형상, 예로서, 네개보다 많은 수의 코너를 갖는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길이 방향은 그를 통과하는 임의의 평면에서 해당 평면과 본체의 교차부에 대해 대칭 축이도록 이루어진다.
본체(10)는 하나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서로 장착된 다수의 부분(예로서, 저부 부분이 장착되어 있는 튜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예에서, 이 본체는 외측 금속 슬리브(10A)(측방향 벽과 저부를 형성)와 예로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내측 케이지(10B)에 의해 형성되고, 외측 금속 슬리브의 재료 및 질감은 주로 용기에 제공하고자 하는 외관에 따라 선택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제시되어 있는 케이지(10B)는 여기서 저부(10C) 및 세 개의 직립부(10D, 10E, 10F)를 포함하고, 이 세 개의 직립부는 슬리브의 측방향 벽의 네 개의 2면각 중 세 개에 배치된다. 케이지의 세 개의 직립부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윤곽은 케이지가 슬리브의 저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슬리브의 내측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또한, 케이지의 세 개의 직립부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윤곽은 후술될 저장소(20)의 안내를 가능하게 하도록 원형 인벨로프를 갖는다. 세 개의 직립부 중 둘은 슬리브의 높이의 절반에 가까운 높이를 가지고, 이 높이는 중요하지 않으며, 세 번째 직립부(10F)에는 측방향 지탱부(15)를 위한 접촉 표면과 경사진 표면(16)에서 종결하는 높이 증가 부분이 연장된다. 이들 부분은 후술된다. 조립체는 본체 내측에서의 저장소의 이동 범위와 슬리브의 높이에 의해 규정되는 높이를 갖는다. 이는 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세 개의 직립부는 케이지의 높이에 걸쳐 분포되는 크로스-부재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어떠한 직립부도 없이 2면각에 위치되는 케이지의 개구는 부분이 사출 성형시에 형성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케이지 내측에서의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조립체 및 저장소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케이지(10B)는 슬리브(10A)의 저부에 수용되고, 이들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특히, 열가소성 접착제를 사용한 결합에 의해 조립된다. 다른 수단도 적절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슬리브 및 케이지는 단일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저장소(20)는 도포 부재(40)를 사용한 도포를 위한 유체, 즉, 액체나 점성질인 제품을 수용한다. 제품은 도 8에 참조 번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는 글로즈이지만, 변형으로서 예로서, 마스카라일 수 있다. 이 저장소는 저부(21)와 에지(22)를 포함하고; 그 단면은, 하나가 본체의 저부를 향해 본체 내로 최대한 밀어넣어진 위치에 대응하고 나머지 하나가 해당 본체 내로 최소로 밀어넣어진 위치에 대응하는 두 개의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된 구성 사이에서 케이지의 직립부들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도록(단순히 병진 이동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저장소는 이들 두 개의 밀어넣어진 구성 사이의 전체 이동 범위에 걸쳐 해당 본체 내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설계된다. 저장소의 높이는 따라서 그 두 개의 밀어넣어진 구성 사이에서 저장소의 이동 진폭 만큼 감소된 본체의 높이보다 작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저장소는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형 단면을 갖는다. 벽은 저장소의 직경의 변화에 의해 국지적으로 마킹되는 견부를 가질 수 있으며, 견부(2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의도적으로, 저장소는 또한 원형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단면 형상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이는 제품의 더 양호한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케이지와 저장소 사이에 개재된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조립체(30)는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에 대해 두 개의 안정한 인출 위치를 저장소에 부여하도록 설계되며: 도 1에서, 저장소는 본체에 대해 "안정한 하위 인출 위치"라 정해지는 이들 안정한 위치들 중 하나의 위치에, 즉,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에 근접한 안정한 위치에 있으며; 도 2에서, 저장소는 본체에 대해 나머지 안정한 인출 위치에 있고, 이는 "안정한 고위 인출 위치"이며, 상술한 저장소의 최소로 밀어넣어진 구성에 대응한다. 사실, 조립체(30)는 본체의 저부(11)와 저장소 사이(여기서는 저장소의 벽에서 외부적으로 형성된 견부(23)와 케이지의 저부(10C)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압축된 스프링(31)을 포함하고, 이는 특히 도 9에 표시된 트랙(34)을 따라 저장소에 의해 지탱되는 종동자 핑거(33)와 조합되고, 트랙은 케이지의 중간의 직립부로부터 중공화되어 있으며, 직립부(10E) 및 그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반전된 심장의 형상이다. 추가적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특히 문헌 EP-1 721 543 또는 문헌 EP-2 346 370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동작시, 저장소(20)가 본체의 저부(11)에 대한 그 안정한 인출 위치 중 하나인 경우,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미도시)이 도달될 때까지 인가된 압력은 스프링(31)의 영향 하에 저장소가 그 다른 밀어넣어진 구성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특허 출원 EP 1 721 543 또는 예로서 EP 2 346 370에 설명된 것들 같은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조립체를 구성하는 다른 방식도 적절할 수 있다.
저장소의 하위 안정한 인출 위치는 트랙의 "사점"(34A)에서의 종동자 핑거(33)의 위치설정에 의해 규정된다. 고위 안정한 인출 위치는 저장소(20)의 외측 표면 내로 중공화된 두 개의 정반대로 대향한 홈(단지 홈(24)만이 도 9에서 볼 수 있음) 내를 통과하는 두 개의 정반대로 대향한 스키드(단지 스키드(10G)만이 도 9에서 볼 수 있음)의 통과에 의해 규정된다. 고위 안정한 위치에서, 스키드는 홈의 하부 단부에 대해 접촉하고, 스프링(31)은 완전히 이완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케이지와 저장소 사이에 추력을 인가한다. 본체의 자유 에지(12)를 향한 저장소의 여정을 제한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구성도 적합할 수 있다.
도포 부재(40)는 해당 저장소에 대해 "폐쇄 구성"으로 지칭되는 구성으로 저장소 내로 밀어넣어질 때 제품이 적재되도록 구성되는 도포기(42)에 의해 종결되는 샤프트(41)를 포함한다. 다른 단부에는 캡(50)이 위치되며, 이 캡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시 도포 부재를 보유한다. 도포기(42)는 공지된 유형으로 이루어지며,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는 주걱, 브러시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샤프트의 단부에 장착되거나 다르게는 샤프트와 단일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캡(50)은 내부로 수축될 때까지 본체의 상단 부분에서 작은 수준의 측방향 유격을 갖고 활수할 수 있도록 성형된 단면을 갖는다.
캡(50)은 도포 부재(40)에 결합되지만, 일반적으로 해당 부재로부터 별개인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제시된 예에서, 샤프트(41)는 헤드가 얹혀 있으며, 이 헤드는 캡 내측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장착되지만, 변형으로서, 이는 제조 기술이 허용한다면 하나의 동일한 부분일 수 있다.
저장소(20)는 그 자유 에지(22) 상에 주연 부가 부분(25)을 구비하고, 이 주연 부가 부분에는 내측 부가 부분이 장착된다. 이들 두 부분의 각각의 기능을 고려하여, 내측 부분(26)은 주연 부분의 것보다 낮은 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주연 부분(25)은 원통형의 대체적 형상이면서 자유 에지(22) 부근에서 저장소의 상단 부분에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려지는 하부 부분(25A)(방향 Z-Z 참조)과, 상부 부분(25B)을 포함하고, 상부 부분은 본체의 내측 벽으로 저장소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따라서 본체의 내측 벽과 저장소의 외측 벽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된 공간을 밀폐하며, 동시에, 본체 내측에서의 저장소의 이동 동안 해당 내측 벽을 따라 활주할 수 있고; 그 자유 단부(12)의 위치에서 본체의 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 및 치수의, 이 상부 부분(25B)의 돌출 부분(25E)은 본체의 내측 벽을 따라 통과하도록 활주하기 위해 원주방향 립에 적응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소는 그 저부 부분에서 케이지의 직립부에 의해, 그리고, 그 상단 부분에서, 슬리브의 내측 부분을 따라 활주하는 돌출 부분(25E)에 의해 본체 내에서 안내된다.
상부 부분(25B)은 돌출 부분 아래에 길이 방향(Z-Z)을 향해 지향된 보어를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내부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된 핑거(25C)가 장착된다. 이 보어는 여기서 길이 방향(Z-Z)에 수직이지만, 변형으로서, 해당 길이 방향(Z-Z)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미소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핑거(25C)는 보어 내의 그 위치 중 일부에서 길이 방향(Z-Z)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된 내측 단부와, 상부 부분(25B) 외측에 배치되고 후술될 바와 같이 저장소 외측에 배치된 다양한 표면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확장 헤드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핑거는 저장소의 자유 에지 수직방향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소 내의 상부 부분(25B)의 최적의 기계적 강도 특성을 보증하고, 따라서, 해당 상부 부분의 핑거의 최적의 보유를 보증하기 위해, 해당 핑거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소의 벽 내에 국지적으로 형성된 길이방향 절결부(또는 심지어 단순한 개구)에 의해 저장소의 벽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이는 해당 핑거가 상부 부분(25B)이 저장소 내에 보유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도 3에서 27로 표시되어 있는 또는 도 9에서 볼 수 있는 절결부의 저부 에지는 핑거(25C)가 길이 방향(Z-Z) 부근에 올 때 헤드를 위한 접촉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저장소가 본체 내의 제 위치에 있을 때, 핑거(25C)는 케이지의 세 번째 직립부(10F)와 정렬되고, 그 확장 헤드는 직립부의 경사진 표면(16)과 접촉하도록 유도된다.
경사진 표면(16)은 핑거(25C)가 본체 내측에서 도포기와 캡(50)의 밀어넣음시 길이 방향(Z-Z)으로부터 떨어진 그 위치(도 2의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Z-Z) 부근으로 이동된 그 위치(도 1의 위치)로 옮겨지게 되도록 제공된다. 측방향 지탱부(15)를 위한 접촉 표면은 저장소가 그 안정한 하위 인출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그 부근 이동 위치에서 핑거를 유지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측 부분(26)은 여기서 횡방향 부분(26A)으로부터 시작하여 외측 스커트(26B)와 이중 내측 스커트(26C+26D)를 포함하고; 내측 스커트는 여기서 이것이 상부 부분(26C)과 하부 부분(26D)을 포함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중이라고 말해진다.
이 하부 부분은 단지 선택적이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기능이 이러한 하부 부분이 없는 경우에도 제공되기 때문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외측 스커트(26B)는 주연 부분(25)의 하부 부분(25A)의 저부 부분(25D) 둘레에 탄성 삽입 끼워맞춤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더 구체적으로, 도면에서 상향 배향된 이 외측 스커트는 여기서 외측 스커트(26B)로부터 길이 방향(Z-Z)을 향해 돌출하는, 그 상단 에지를 따른 비드(26F)를 포함하고, 주연 부분(25)의 저부 부분(25D)은 그 저부 에지를 따라, 길이 방향(Z-Z)에 반대로 돌출하는 비드(25F)를 포함하며; 이들 두 개의 비드(25F, 26F)의 조합은 부분(25, 26) 사이의 양호한 상호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지만; 그러나, 이들 비드의 존재는 단지 선택적인 것이다. 횡방향 부분(26A)은 바람직하게는 해당 외측 스커트(26B)와 이중 내측 스커트(26C+26D)의 상부 부분(26C)에 의해 형성된 환형 채널의 저부를 형성한다.
도면에서 횡방향 부분(26A)으로부터 상향 배향된 이 상부 부분(26C)은 벽을 가지며, 벽의 일반적 배향은 길이 방향에 평행하고, 동시에 상방으로 벌어져 있는 내측 표면(26E)과, 주연 부분(25)의 저부 부분의 내측 표면에 대략 평행한 외측 표면(주연 부분(25)의 저부 부분(25D)을 향함)을 가지며; 따라서, 이 상부 부분(26C)은 여기서 도포 부재(상술한 바 참조)의 샤프트의 기하형상의 함수에 따라 용어의 일반적 개념에서(디스크 단면) 또는 용어의 수학적 개념에서(예로서, 다각형 단면 또는 예로서 타원) 실질적 원통형 형상의 체적을 한정한다. 길이 방향으로부터 떨어진 이 상부 부분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환형 공간이 주연 부분의 저부 부분과 이중 스커트의 이 상부 부분 사이에 제공된다.
횡방향 부분(26A)으로부터 하방으로 상부 부분(26C)을 연장하는 내측 이중 스커트의 하부 부분(26D)은 길이 방향을 향해 그리고 하방으로 미소하게 수렴하고; 후술될 바와 같이, 이 하부 부분은 도포기의 와이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하부 부분은 하방으로 테이퍼진 단면을 가져서 그 유연성을 제공하고, 이 유연성은 횡방향 부분으로부터 증가하며, 샤프트 상의 와이핑 립으로서 작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스커트의 하부 부분은 선택적이다.
중간 부분(26G)은 상부 부분(26C)과 하부 부분(26D)을 연결한다. 이 중간 부분은 원통형이다. 중간 부분은 내측 부분의 횡방향 부분(26A)의 위치에 배치된다.
내측 부분(26)을 부분(25)에 체결하는 기능을 갖는 외측 스커트(26B) 및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봉 기능을 갖는 이중 스커트의 상부 부분(26C)은 적절히 와이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른 부분보다 더 유연한 이중 스커트의 하부 부분(26D)보다 더 두껍다.
내측 부분(26)의 주연 부분(25)의 구성의 이러한 형태는 양호한 결과를 제공하지만, 다른 형태의 구성도 가능하며, 특히, 주연 부분(25) 및 내측 부분(26)은 이중사출 성형에 의한 요건에 따라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단일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체에 대한 저장소의 위치에 따른 핑거(25C)의 거동은 저장소가 안정한 하위 인출 구성에 있을 때 저장소 내에서의 도포 부재의 일시적 로킹을 가능하게 하고, 샤프트는 저장소의 기밀 밀폐를 제공하도록 내측 부분(26)과 협력한다.
사실, 이 핑거 및 내측 부분은 도포 부재의 샤프트(41) 상에 제공된 확장부(44)와 협력한다.
제1 페이즈에서, 저장소가 그 최대 인출 위치를 향해 하강할 때, 핑거는 캠 형성 표면(16)과 접촉하게 되고, 축(Z-Z)을 향해 이격 방향으로 추진되는 반면, 확장부(44)는 핑거의 레벨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샤프트는 캡의 부근에 확장부(44)를 포함한다. 해당 확장부는 폐쇄 구성에서 도포 부재가 저장소 최대 내측에 맞물려질 때 내측 부분(26)과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이러한 폐쇄 구성의 시기에 부분(26) 내측에 있는 구역에서 샤프트 상에 배치된다.
특히, 해당 확장부(44)는 벌어진 저부 부분(45)을 가지고, 이 벌어진 저부 부분은 내측 부분(26)의 이중 스커트의 상부 부분의 내측 치수 및 기하형상에 근사한 것이 유리한 기하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제시된 예에서, 이중 스커트의 상부 부분의 벌어진 내측 표면은 경사도를 가지며, 이 경사도는 길이 방향에 관하여 벌어진 부분(45)의 경사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변형으로서, 이 내측 표면의 경사도는 이중 스커트가 횡방향 부분(26A)에 대해 수 도에 걸쳐 기울어진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벌어진 부분의 경사도보다 수 도만큼 작을 수 있다. 이들 경사도는 여기서 이들 표면이 절두 원추형이라는 사실로부터 유래된다.
예로서, 이중 스커트의 상부 부분(26C)의 벌어진 표면 및 샤프트의 벌어진 부분(45)의 것은 적어도 3°와 같은, 예로서, 5 내지 20°범위의 경사도를 갖는다.
여기서 제시된 예에서, 확장부(44)는 해당 벽을 국소 변형시킴으로써 이중 스커트(26)의 중간 부분(26G)의 벽 내로 추진되도록 구성된 융기된 환형 리브(46)를 포함한다. 환형 리브(46)는 여기서 벌어진 부분(45) 둘레에 형성된다. 중간 부분의 이 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당 환형 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 같은 오목한 구역을 포함한다. 변형으로서, 벌어진 부분은 중간 부분의 벽 상에 형성된 융기된 구역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구역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부분(26C) 및 중간 부분(26G)과 각각 협력함으로써, 리브(46)와 샤프트의 벌어진 부분(45)은 도포기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저장소의 밀봉 폐쇄를 생성한다(도 1). 그 밀봉 기능에 추가로, 벌어진 부분(45)은 또한 핑거가 축(Z-Z)을 향해 접근한 경우 용기의 폐쇄시 핑거(25C) 상에 작용하고; 이는 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벌어진 부분(45)은 샤프트의 상부 부분을 향해 수렴하는 확장부(44)의 상단 수렴 부분(47)에 결합한다.
폐쇄 구성(도 1)에서 핑거(25C)의 레벨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수렴 부분(47)은 저장소가 그 최대로 밀어넣어진 위치를 벗어난 이후 상승할 때 축(Z-Z)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핑거를 이동시켜 그 도 2의 위치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확장부가 이중 스커트의 상부 부분에 맞물릴 때, 이중 스커트의 하부 부분의 자유 단부는 국소적으로 감소된 단면을 가지는 샤프트의 부분(48)과 횡방향으로 대면한다.
도 1의 폐쇄 구성에서, 도포 부재는 저장소 최대 내측에 맞물려지고, 즉, 도포기(42)는 저장소 내의 그 최하위 위치에 있다. 이러한 폐쇄 구성에서, 샤프트의 확장부는 부분(25)의 저부 부분의 내측 표면과 해당 상부 부분의 외측 표면 사이에 배치된 유격에 의해 확장될 수 있는, 부분(26)의 이중 스커트의 상부 부분의 벌어진 내측 표면에 대해 맞물려진다.
확장부(44)의 레벨 위쪽에 위치되어 있는 핑거(25C)는 측방향 지탱부(15)를 위한 접촉 표면에 의해 축(Z-Z) 부근에 접근한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는 확장부(44)의 통과를 저지함으로써 도포기를 보유한다. 또한, 부분(26)의 이중 스커트의 상부 부분(26C)의 내측 표면과 확장부(44)의 외측 표면의 협력에 의해 밀봉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들 두 기능은 독립적이다.
제시된 예에서, 폐쇄 구성은 캡의 내측 부분이 주연 부분(25)의 상부 부분(25B)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지탱되는 구성임을 알 수 있지만; 그러나, 전술한 밀봉 및 로킹의 효과에 유해하지 않게 이러한 길이방향 지탱부의 존재는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거나, 심지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캡(50)의 높이(h)는 그 안정한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과 그 최소로 밀어넣어진 구성 사이에서의 저장소의 여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래서, 제1 위치에서, 캡은 본체의 자유 에지(12)의 레벨과 일치하고, 제2 위치에서, 캡은 한 손의 손가락과 사이에 파지되어 저장소로부터 빼내어지기에 충분한 보유를 제공한다.
측방향 지탱부(15)를 위한 접촉 표면은 캠 형성 표면(16)으로부터 그 상부 안정한 위치와 그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 사이에서의 저장소의 여정보다 더 큰 저장소 내의 깊이까지 연장하며, 그래서, 적어도 저장소의 여정의 하부 부분에서, 도포기 및 저장소가 서로 연결된다. 캠 형성 표면(16)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이 위치는 저장소의 여정에서 저장소와 도포기가 서로 연결되는 순간 또는 해당 연결이 해제되는 시간을 결정한다. 도 1의 구성에서, 도포 부재는 저장소 내의 그 폐쇄 구성에 있지만, 저장소는 본체 내의 그 안정한 하위 인출 구성으로 있다. 그후 캡이 본체 내로 수축되고, 따라서, 그를 외측으로 당기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어떠한 보유도 제공하지 않으며; 캡이 본체의 외부로 단지 짧은 거리만큼 돌출한 경우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포기를 사용하여 용기 내에 수용된 제품을 도포하기를 원할 때, 그녀는 캡을 밀어 저장소가 그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으로 하강하게 하고, 스프링이 저장소를 도 2의 그 최소로 밀어넣어진 구성까지 상승시킬 수 있게 한다. 측방향 지탱부(15)의 접촉 표면은 그 도 1의 구성으로부터 그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으로의 저장소의 하강이 핑거(25C)에 대한 열화 없이 가능하도록 소정 거리에 걸쳐 하향 연장한다.
스프링(31)의 영향 하에서의 본체 내에서의 저장소의 상승 이동시에, 측방향 지탱부(15)를 위한 접촉 표면에 의한 핑거의 로킹은 헤드가 상방으로 캠 형성 표면(16)을 벗어나자 마자 제거된다. 그러나, 핑거는 도포 부재가 저장소로부터 빼내어질 때까지 축(Z-Z) 부근에 접근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 시기까지, 부분(26)의 이중 스커트의 상부 부분의 벌어진 내측 표면 및 샤프트의 확장부의 벌어진 표면 사이의 밀봉은 단지 해당 밀봉을 제공하는 표면들 사이에 존재하는 자연적 점착과 접촉에 의해서 보전된다.
본체 내측에서의 핑거의 인출에 의해 로킹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은 저장소가 그 안정한 최소 인출 구성에서 본체 내측에 완전히 남아있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시된 예에서, 부분(25)은 저장소와 본체 사이의 측방향 공간의 밀폐를 제공하고; 이러한 밀폐는 도 2(또는 도 3)의 저장소의 최소로 밀어넣어진 구성에서 본체의 자유 에지(12)의 위치에서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며, 즉, 부분(25)의 가장 넓은 부분이 이때 해당 자유 에지와 동일한 레벨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캠 형성 표면(16)이 위치되는 레벨은 용기의 설계자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해당 레벨은 최소로 밀어넣어진 위치를 향해서보다 더 많이 최대로 밀어넣어진 위치를 향해 위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예로서, 캠 형성 표면은 하위 휴지 구성으로부터 본체 내측의 저장소의 이동 범위의 최대 1/3의 거리에서 핑거의 헤드와 협력하도록 위치된다.
저장소가 그 최소로 밀어넣어진 구성에 있는 도 2의 이러한 구성에서, 도포 부재는 여전히 저장소 내에 마찰에 의해 맞물려져 있다. 캡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캡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거리만큼 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기 때문에, 저장소로부터 외부로 도포 부재를 빼어내는 것은 단지 해당 캡을 당기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도포 부재 상의 이러한 당김은 저장소에 대한 온건한 당김만을 유도하며, 저장소와 본체 사이의 마찰력은 단지 부분(26)에 관한 확장부(44)의 벌어짐에 의해 도포 부재가 저장소로부터 자체적으로 자유 상태가 되는 동안 본체 내에 저장소를 유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도포 부재를 빼어낼 때, 수렴 표면(47)은 핑거(25C)를 이격 방향으로 추진한다. 그리고, 도포 부재가 저장소로부터 빼내질 때 만약 핑거가 축(Z-Z)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이 때, 벌어진 저부 부분(45)은 도포기가 다시 저장소 내로 삽입되는 시기에 핑거를 정확한 위치에 재배치한다.
최소로 밀어넣어진 구성(즉, 안정한 고위 인출 구성)에서 본체의 자유 에지와 일치하도록 주연 부분(25)이 제공될 때, 캡이 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거리는 실질적으로 그 높이(h)(도 2 참조)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동작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본체의 자유 에지의 레벨만큼 멀리 상승하지 않도록 주연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도 4의 la 참조).
캡을 계속 당김에 따라 점진적으로, 도포 부재가 저장소로부터 분리되고 저장소에 관하여 길이방향으로 벌어진다. 제1 페이즈에서, 부분(26)의 이중 스커트의 하부 부분은 저장소의 벽을 향해 압박되지 않을 때 해당 하부 부분의 자유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단면의 직경보다 미소하게 큰 값으로 유리하게 선택되는 샤프트의 직경으로 인해 탄성적으로 미소하게 작용된다. 따라서, 스템에 부착되어있을 수 있는 제품의 미소한 긁어냄이 이루어진다. 제2 페이즈에서, 해당 하부 부분은 도포기(42)에 의해 탄성적으로 작용되며; 도포기가 사실 샤프트보다 큰 단면을 갖기 때문에, 이중 스커트의 하부 부분의 자유 에지는 그에 부착되어 있는 잉여 제품을 그로부터 분리하도록 도포기의 긁어냄(또는 와이핑)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그후 제품을 그녀가 원하는 대로 그녀가 원하는 장소에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포기에 제품을 다시 적재하기를 원할 때, 일반적 용기에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저장소 내로 도포기를 밀어넣는다. 저장소는 이제 스프링의 추진에 의해 고위 안정한 위치에 보유되어 있고, 본체에 관해 크게 이동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제품 적용을 끝내고, 용기를 휴지 구성이 되게 하기를 원할 때, 그녀는 도포 부재를 저장소 내로 밀고, 캡을 계속 누르며, 이는 저장소가 본체 내로 하강하기 시작하게 한다. 저장소가 캠 형성 표면(16)의 레벨로 하강되었을 때, 이는 핑거의 헤드를 샤프트에 더 근접하게 이동하도록 강제하고, 이는 수렴 부분(47) 위에서 샤프트를 향해 핑거가 맞물리게 한다. 도포 부재는 그후 저장소 상에 로킹되고; 이들 두 부분의 조립체는 그후 하강하여 저장소의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을 달성한다. 사용자가 추진력을 해제할 때, 스프링은 그후 저장소를 다시 그 안정한 하위 인출 구성이 되게 하고, 여기서, 도포 부재의 캡은 본체 내로 수축된다. 도포 부재는 그후 저장소 내의 제 위치에 로킹되고, 동시에, 부분(26)의 이중 스커트의 상부 부분 및 확장부(44)의 벌어진 표면의 조합은 양호한 밀봉을 보증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로킹 기능이 밀봉 기능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들 기능은 매우 온건한 힘에 의해 본체 내에서의 저장소의 길이방향 위치에 독립적으로 활성화되며, 저장소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저장소의 어떠한 부분도 종방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본체의 외부로 나올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중 스커트의 하부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와이핑 효과는 짧은 길이방향 거리에 걸쳐 하부 부분이 연장할 때에도 달성되며; 내측 부분(26)은 간단한 형태를 가지고, 제조가 용이하며; 유사하게, 주연 부분은 간단한 형태를 가지고, 제조가 용이하다. 샤프트의 확장부의 기하형상에 관하여서도, 이 또한 단순하다. 간단한 부분의 수는 단지 3개, 즉, 주연 부분(25), 이에 장착되는 연계된 핑거(25C) 및 내측 부분(26)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101로 표시되어 있는 용기의 부재는 도 1 내지 도 3의 것들과 유사하며, 번호 100을 추가하여, 도 1 내지 도 3의 것들의 참조 번호로부터 얻어지는 참조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 용기(101)는 따라서 용기(1)와 유사하게, 본체(110), 저장소(120), 두 개의 안정한 인출 위치를 갖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130), 도포 부재(140) 및 캡(150)을 포함한다.
캡(150)은 내측 구조의 기하형상이 캡(50)과 다소 다르며, 특히, 이 내측 부분이 부분(125)의 상단 표면에 대해 주연 부분에 의해 지탱되게 된다는 사실에 관하여 캡과 다르고; 또한, 부분(125)의 내측 표면과 부분(126)의 이중 스커트의 상부 부분(126C)의 외측 표면 사이에 배치된 공간이 용기(1)에서보다 더 크며, 이것이, 주연 부분(125)에 대한 내측 부분(126)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해당 상부 부분의 더 큰 측방향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이 캡과 다르다.
도 1 내지 도 3의 경우와 대조적으로, 용기(101)의 저장소(120)는 부분(125)의 주연이 본체의 자유 에지(112)와 일치할 때까지 상승하지 않고, d로 표시된 거리만큼 해당 에지 아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저장소가 그 최소로 밀어넣어진 구성에 있을 때, 캡은 본체로부터 완전히 외부로 나오지 않지만, 파지될 수 있게 하기에는 충분하게 본체에 대해 상승된다.
또한, 저장소 및 본체는 본체 내의 상부 위치에서 저장소의 유지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서로 대면하는 표면들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 본체(110)에 포함된 케이지(110B)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 여기서는, 캠 형성 표면(116) 아래에서 대략 측방향 지탱부(115)를 위한 접촉 표면의 위치에 위치되지만 그로부터 원주방향으로(여기서는 도 4의 우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상단 구역과, 샤프트를 향한 돌출부(117)를 포함하는 반면, 저장소의 외측 표면은 저장소가 그 최소로 밀어넣어진 구성에 있을 때 해당 돌출부(117) 바로 위에 있게 되도록 구성된 돌출부(118)를 포함한다. 이들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 여기서, 돌출부(118)는 본체에 관한 저장소의 상대적 상승 이동의 시기에 다른 돌출부를 위한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경사진 표면(119)에 결합된다. 따라서, 저장소가 하위 안정한 위치로부터 고위 안정한 위치로 전이될 때, 돌출부(117)는 제동 효과를 제공하는 경사진 표면 위로 활주한다. 스프링의 추력하에서의 저장소의 상승이 이러한 방식으로 저속화된다. 다른 구성 형태도 적절할 수 있다. 저장소가 그 고위 안정한 위치에 도달했을 때, 돌출부(118)는 다른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덩어리를 벗어나고; 이는 따라서 증가된 저항의 지점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 증가된 저항 효과의 지점은 사용자가 캡(150)을 눌러 이를 본체 내로 수축시킬 대 용기의 폐쇄시에도 발생된다.
회전 위험 없이 본체 내에서의 저장소의 적절한 안내를 보증하도록 안내 부재가 제공될 수 있는 구역 위에 돌출부(117)가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추가 부분은 여기서 플라스틱 재료, 예로서, 열가소성 재료(특히, 폴리아미드, PVC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주연 부분 및 내측 추가 부분을 위한 엘라스토머 재료에 관하여 고 강도 엘라스토머 재료의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변형으로서, 이들은 단일 또는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단지 단일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수축 구성 또는 도 2의 확장 구성에서의 관점에서 용기(1)를 나타낸다. 캡의 단면은 에지가 미소하게 굴곡되어 있는 정사각형이고; 도포 부재의 이동이 단지 저장소의 병진과만 결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실 본체에 임의의 원하는 단면(다각형, 타원형 또는 클로버잎 형상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소에 유사한 형태(예로서, 본체의 것보다 다소 작음)를 제공하거나 반대로, 다른 형태, 예로서, 원형 단면을 제공하여, 본체의 모서리(arris)와 대면하는 최대 폭을 구비하고 저장소의 외측 표면과 본체의 내측 표면 사이에 측방향으로 공간을 남기는 것이 가능하고, 해당 공간은 두 개의 안정한 인출 위치를 갖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의 부분 또는 안내 부재가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도 7에서, 캡이 본체 내로 수축되는 것에서 시작한다는 사실은 캡의 임의의 부분이 본체의 체적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실, 중요한 것은 캡이 저장소가 그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으로 이동될 때까지 캡 추진하거나 본체로부터 도포 부재를 빼내기에 불충분한 보유를 외측에서(예로서 주머니 내에서 용기와 접촉하게 될 수 있는 물체나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해) 제공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제시된 예에서, 외측에서 접근할 수 있는 캡의 면은 돔형이어서 도면부호 'e'만큼 미소하게 돌출하도록 돌출부를 제공한다.
도 8의 검토는 부분(25, 26)의 조립체의 작은 길이방향 부피 때문에, 저장소가 그 자유 에지에 근접한 레벨까지 제품(100)으로 채워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 9 및 도 10은 케이지(10B), 스프링(31), 종동자 핑거(33) 및 저장소(20)의 구성을 더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케이지(10B)가 여기서 그 네 개의 코너 중 세 개에 위치된 세 개의 직립부를 포함하고, 대향되게 위치된 직립부를 전혀 갖지 않는 중간 직립부인 직립부(10E)는 트랙(34)을 포함하고, 직립부(10F)는 측방향 지탱부(15)를 위한 접촉 표면과 경사진 표면(16)에서 종결하는 높이 증가 부분만큼 연장되는 점이 용이하게 관찰된다.
본 발명은 단지 설명된 구성의 형태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형 제품이 도포기를 사용하여 적용되는 화장 제품의 임의의 분배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Claims (10)

  1.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용기(1, 101)로서,
    - 저부 구역(11)과 자유 에지(12)를 구비하는 길이 방향(Z-Z)으로 연장하는 세장형 본체(10, 110),
    - 해당 제품을 수용하며, 최대로 밀어넣어진 위치와 고위 작동 위치로 지칭되는 최소로 밀어넣어진 위치 사이에서 본체 내에서 병진 이동할 수 있는 저장소(20, 120)로서, 해당 저장소는 저부(21)와 해당 저부로부터 원격위치된 에지(22)를 포함하는, 저장소,
    - 본체(10, 110)와 저장소(20, 120) 사이에 배치되며 본체 내로의 저장소의 최대로 밀어넣어진 위치를 결정하는 최대 축방향 수축 구성에 대한 두 개의 안정한 축방향 인출 구성, 즉, 저장소의 고위 작동 위치를 결정하는 최대 연장 구성 및 해당 저장소에 대해 하위 휴지 위치를 결정하는 안정한 수축된 구성을 가지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30, 130)로서, 하위 휴지 위치는 최대로 밀어넣어진 위치와 고위 작동 위치 사이의 중간이고, 이들 안정한 구성 중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로의 해당 디바이스의 통과는 해당 본체와 해당 저장소 사이에 개재된 축방향 스프링(31, 131)에 맞서 최대 축방향 수축의 구성으로의 수축에 의해 이루어지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
    - 캡(50, 150)에 결합되고 샤프트(41, 141)를 포함하는 도포 부재(40, 140)로서, 샤프트는 해당 캡에 결합되고 도포기(42, 142)에 의해 종결되며, 도포기는 샤프트가 저장소의 에지를 횡단하는, 해당 저장소에 대한 폐쇄 구성에서 저장소 내로 밀어넣어질 때 제품이 적제되도록 구성되며, 해당 캡은 폐쇄 구성에서 적어도 대략적으로 본체 내에서 수축되고, 해당 저장소가 그 고위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서의 파지와 단지 축방향 당김에 의해 본체로부터 그리고 저장소로부터 외부로의 도포 부재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본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도포 부재,
    - 저장소가 그 최대로 밀어넣어진 구성으로 있을 때 그 에지에서 저장소의 밀봉 폐쇄를 보증하면서 샤프트를 저장소에 축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저장소의 자유 에지 부근에서 도포 부재의 샤프트 상에 그리고 저장소 상에 분포되는, 상보적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이들 상보적 부재는
    * 주연 부분(25, 125)으로서, 그 상부 부분은 본체의 내측 표면에 대해 측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저장소의 에지를 캡핑하고, 그 하부 부분은 그 에지 부근에서 저장소에 밀봉식으로 맞물려지는, 주연 부분,
    * 주연 부분을 구성하는 것보다 더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면서 주연 부분에 체결되는 내측 부분(26, 126)으로서, 내측 부분은 저장소의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내측 표면을 가지는 상부 부분(26C)을 포함하는 내측 스커트를 포함하는, 내측 부분;
    * 길이 방향으로 더 근접하게 또는 그로부터 더 멀리 이동하도록 주연 부분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핑거(25C)로서, 저장소의 횡방향 외측에 배치되지만 항상 본체의 내측에 있는 헤드를 포함하는, 핑거,
    * 본체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되는, 캠 형성 표면(16, 116)으로서, 본체 내로의 저장소의 하강 이동시에 길이 방향을 향해 헤드를 추진하도록 구성되는 캠 형성 표면, 및
    * 확장부(44, 144)로서, 도포 부재가 저장소 내에서 그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해당 확장부가 내측 스커트의 상부 부분 내에 마찰에 의해 맞물려지도록 하는 위치에서 샤프트 상에 제공되고, 길이 방향에 대해 핑거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 존재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캠 형성 표면(16)은 하위 휴지 구성으로부터 시작하여 본체 내에서의 저장소의 이동 범위의 최대 1/3과 같은 길이방향 거리에 걸쳐 핑거의 헤드와 협력하도록 배치되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측 부분의 내측 스커트의 상부 부분(26C)의 벌어진 표면은 샤프트의 확장부(46) 상에 형성된 중공부 또는 융기된 형상부(26G)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융기된 형상부(26G) 또는 중공부에 연결되는,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 스커트는 길이 방향을 향해 그리고 저장소의 저부를 향해 수렴하는 하부 부분(26D)을 포함하고, 샤프트는 도포 부재가 저장소 내의 그 폐쇄 구성으로 있을 때, 내측 부분의 내측 스커트의 하부 부분(26D)의 자유 에지가 긴축 구역 둘레에 배치되도록 하는 레벨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긴축 구역(48)을 포함하는,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내측 부분의 내측 스커트의 하부 부분(26D)은 해당 내측 스커트의 상부 부분이 연장하는 거리의 최대 절반과 같은 거리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용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내측 부분의 내측 스커트의 하부 부분(26D)은 저장소의 저부를 향해 감소하는 두께를 갖는,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 부재의 샤프트의 확장부(44, 144)는 저장소로부터의 도포 부재를 인출하는 길이방향 이동 동안 샤프트에 대한 핑거의 확산을 강요하도록, 해당 확장부(44, 144)의 벌어진 표면(45)의 상부 에지로부터 샤프트를 향해 연장하는 수렴 부분(47)을 포함하는,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연 부분 및 내측 부분은 성형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0, 110)는 캠 형성 표면(16, 116)이 제공된 내측 부분(10B)과 외측 부분(10A)을 포함하는,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0, 110)의 내측 표면과 저장소(20, 120)의 외측 표면은 그 고위 작동 위치로부터의 본체 내로의 저장소의 하강에 대한 저항을 유도하는 증가된 저항의 지점을 구성하는 상보적 부재(117, 118)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177005675A 2014-08-04 2015-07-31 수축가능한 도포 요소를 갖는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병 KR102365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7588A FR3024338B1 (fr) 2014-08-04 2014-08-04 Flacon pour produit cosmetique liquide ou pateux a element d'application escamotable
FR1457588 2014-08-04
PCT/FR2015/052126 WO2016020610A1 (fr) 2014-08-04 2015-07-31 Flacon pour produit cosmétique liquide ou pâteux à élément d'application escamo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467A true KR20170032467A (ko) 2017-03-22
KR102365483B1 KR102365483B1 (ko) 2022-02-18

Family

ID=5178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675A KR102365483B1 (ko) 2014-08-04 2015-07-31 수축가능한 도포 요소를 갖는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병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130157B2 (ko)
EP (1) EP3177175B1 (ko)
JP (1) JP6652962B2 (ko)
KR (1) KR102365483B1 (ko)
CN (1) CN106572735B (ko)
CA (1) CA2957163A1 (ko)
DK (1) DK3177175T3 (ko)
ES (1) ES2677252T3 (ko)
FR (1) FR3024338B1 (ko)
RU (1) RU2677090C2 (ko)
WO (1) WO201602061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255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에이엔피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339189B1 (ko) * 2021-05-14 2021-12-13 박기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4340B1 (fr) 2014-08-04 2016-08-19 Chanel Parfums Beaute Accrochage mecanique de deux pieces d'un conteneur de produit cosmetique
KR101760627B1 (ko) * 2016-12-06 2017-07-24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립글로스 용기
US11583057B2 (en) * 2017-09-01 2023-02-21 L'oreal Stem with bayonet closure and device equipped therewith
US10849405B2 (en) * 2017-09-20 2020-12-01 Elc Management Llc Cap and vial applicator system for applying two cosmetic products
FR3082713B1 (fr) 2018-06-22 2021-09-17 Oreal Ensemble comprenant un system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d'un produit cosmetique, et un dispositif de protection dudit systeme
FR3085256B1 (fr) * 2018-08-29 2020-11-06 Oreal Applicateur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d'un produit cosmetique
CN109770524B (zh) * 2018-12-11 2021-11-05 上海洋明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睫毛膏涂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1543A1 (fr) * 2005-05-10 2006-11-15 Chanel Parfums Beauté Conteneur de produit cosmétique liquide, solide, pateux ou pulvérulent à élément d'application escamotable
JP2009242001A (ja) * 2008-03-17 2009-10-22 L'oreal Sa 製品、特に化粧品を包装するシステムのための保護装置
FR2936939A1 (fr) * 2008-10-13 2010-04-16 Chanel Parfums Beaute Flacon pour produit cosmetique liquide ou pateux a element d'application escamotable
FR2982132A1 (fr) * 2011-11-09 2013-05-10 Pierre Joulia Dispositif a ouverture automatiqu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8130B1 (fr) * 2004-11-25 2007-02-09 Lvmh Rech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mascara, et son utilisation pour le maquillage
FR2932657B1 (fr) * 2008-06-20 2010-08-13 Oreal Brosse a mascara.
FR2933961B1 (fr) * 2008-07-16 2013-06-21 Valois Sas Dispositif applicateur de produit fluide.
FR2936938B1 (fr) * 2008-10-13 2012-12-14 Chanel Parfums Beaute Flacon telescopique pour produit cosmetique liquide ou pateux
WO2010106235A1 (fr) * 2009-03-16 2010-09-23 L'oreal Ensemble comprenant un systeme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a fermeture etanche.
FR2949446B1 (fr) * 2009-08-28 2016-11-11 Lvmh Rech Recipient comprenant un reservoir pour produit liquide, dispositif comprenant un tel recipient et utilisation d'un tel dispositif pour appliquer sur une surface le produit contenu dans le reservoir
FR3024340B1 (fr) 2014-08-04 2016-08-19 Chanel Parfums Beaute Accrochage mecanique de deux pieces d'un conteneur de produit cosmetiqu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1543A1 (fr) * 2005-05-10 2006-11-15 Chanel Parfums Beauté Conteneur de produit cosmétique liquide, solide, pateux ou pulvérulent à élément d'application escamotable
JP2008539921A (ja) * 2005-05-10 2008-11-20 シャネル パルファン ボーテ 格納式分配要素を有する液体状、固体状、ペースト状または粉末状化粧品用容器
JP2009242001A (ja) * 2008-03-17 2009-10-22 L'oreal Sa 製品、特に化粧品を包装するシステムのための保護装置
FR2936939A1 (fr) * 2008-10-13 2010-04-16 Chanel Parfums Beaute Flacon pour produit cosmetique liquide ou pateux a element d'application escamotable
JP2012504996A (ja) * 2008-10-13 2012-03-01 シャネル パルファン ボーテ 引込み式塗布要素を備えた液体またはペースト状化粧品用の小瓶
FR2982132A1 (fr) * 2011-11-09 2013-05-10 Pierre Joulia Dispositif a ouverture automatiqu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255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에이엔피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339189B1 (ko) * 2021-05-14 2021-12-13 박기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72735A (zh) 2017-04-19
ES2677252T3 (es) 2018-07-31
EP3177175A1 (fr) 2017-06-14
RU2677090C2 (ru) 2019-01-15
CN106572735B (zh) 2019-11-12
WO2016020610A1 (fr) 2016-02-11
FR3024338B1 (fr) 2016-09-09
DK3177175T3 (en) 2018-07-23
EP3177175B1 (fr) 2018-04-11
RU2017107029A3 (ko) 2018-10-30
FR3024338A1 (fr) 2016-02-05
JP6652962B2 (ja) 2020-02-26
JP2017524477A (ja) 2017-08-31
US20170224089A1 (en) 2017-08-10
RU2017107029A (ru) 2018-09-06
CA2957163A1 (fr) 2016-02-11
KR102365483B1 (ko) 2022-02-18
US10130157B2 (en)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2467A (ko) 수축가능한 도포 요소를 갖는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병
JP5922108B2 (ja) ピペットを使用するパッケージング/塗布装置
US7581544B2 (en) Applicator and a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EP3225126A1 (en) Dual brush stem type cosmetic container for mascara
KR102200245B1 (ko) 유체-제품 디스펜서
EP3203872B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ication by means of a pipette
KR20150096747A (ko) 개폐식 커버링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구비한 제품 포장 및 도포 조립체
US9809052B2 (en) Container with integrated closure and methods
US9301590B2 (en) Retractable cosmetic pencil
WO2014086720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by means of a pipette
US10786063B2 (en) Flow-through applicator device
KR102427475B1 (ko) 화장품 밀봉 패키지
KR101595518B1 (ko) 화장품 용기
JP6337201B2 (ja) 化粧品容器
US20190208891A1 (en) Hinged applicator for a cosmetic product and associated packaging and application assembly
US20180098614A1 (en) Receptacle, in particular a bottle intended for receiving a cosmetic product
KR20210020255A (ko)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7055571B2 (ja) 塗布容器
US11641924B2 (en) Dual-ended stick mechanism
KR102157039B1 (ko) 화장품 용기용 패킹
KR102045053B1 (ko) 스크류 분리 방지 기능을 구비한 양방향 동작이 가능한 누름 작동식 화장품 용기
CN115379778A (zh) 用于包装和分配流体产品、特别是化妆品产品的组件
KR20200119072A (ko) 스크류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160134296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