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189B1 -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 Google Patents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189B1
KR102339189B1 KR1020210062444A KR20210062444A KR102339189B1 KR 102339189 B1 KR102339189 B1 KR 102339189B1 KR 1020210062444 A KR1020210062444 A KR 1020210062444A KR 20210062444 A KR20210062444 A KR 20210062444A KR 102339189 B1 KR102339189 B1 KR 102339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polish
body portion
brush member
storage space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1020210062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측에 기 설정된 용량의 매니큐어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제1 바디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체결 관계를 이루되, 적어도 일 단부에서 돌출 연장된 아암의 끝 단에 브러쉬 부재가 구비되도록 하여, 제1 바디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서 매니큐어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제2 바디부의 아암과 브러쉬 부재의 연결 둘레면에는 수납 공간에서 인출되는 매니큐어가 아암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둑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PEN TYPE MANICURE CONTAINER}
본 발명은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매니큐어 브러쉬 부재에 매니큐어가 적정량 묻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파지 안정성을 높여 손, 발톱에 매니큐어를 도포하는 것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니큐어는, 손톱을 연마시키고, 윤기를 내며, 색상을 칠하는 손톱 화장법을 일컫는 것으로서, 상술한 매니큐어 액은 염료 등이 혼합된 에나멜로서 손톱의 표면을 윤기 나게 하거나 손톱의 표면에 여러 가지 색상을 코팅하여 아름답게 한다.
한편 이러한 매니큐어 액을 저장하기 위한 매니큐어 용기는 한국 공개 실용신안20-2011-0005338(매니큐어 용기)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갖는 저장용기와 저장 용기의 입구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며, 그 하단에 매니큐어 액을 찍어 바르기 위한 솔대 및 솔대의 단부에 형성된 솔 등의 도포구를 포함하는 개폐 뚜껑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기술을 포함한 종래 기술의 매니큐어 용기의 경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뚜껑 부분이 단순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손에서 미끄러지거나 손에서 쉽게 유동되는 문제가 있어 비전문가의 경우, 손톱 및 발톱에 매니큐어 액을 균일하고 정교하게 도포하는 것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종래 기술 기반의 매니큐어 용기는, 매니큐어의 잔여량에 따라 브러쉬 부재에 묻어 나오는 매니큐어 인출량이 상이하여 매니큐어 인출량에 대한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 또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매니큐어 브러쉬 부재에 매니큐어가 적정량 묻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파지 안정성을 높여 손, 발톱에 매니큐어를 도포하는 것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에 대한 편의를 높이도록 하고, 특히 매니큐어의 잔여량이 미량 남았을 경우에 대한 인출 편의를 크게 높인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는, 내측에 기 설정된 용량의 매니큐어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제1 바디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체결 관계를 이루되, 적어도 일 단부에서 돌출 연장된 아암의 끝 단에 브러쉬 부재가 구비되도록 하여, 제1 바디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서 매니큐어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제2 바디부의 아암과 브러쉬 부재의 연결 둘레면에는 수납 공간에서 인출되는 매니큐어가 아암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둑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제2 바디부는, 양 단부에서 돌출 연장된 아암의 끝 단에 브러쉬 부재를 구비하되, 일 단부에는 스펀지 타입의 브러쉬 부재가 구비되도록 하고, 타 단부에는 모(毛) 타입의 브러쉬 부재가 구비되도록 하며, 스펀지 타입의 브러쉬 부재 및 모 타입의 브러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브러쉬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크기로 형성되는 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 바디부는, 수납 공간 중, 매니큐어가 인출되는 인출 영역의 내측에 기 설정된 두께의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마개의 중심부 일 영역에는, 브러쉬 부재가 수납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출입 경로의 단면 상은, 매니큐어의 인출 영역에 인접할수록 좁은 단면적을 갖도록 테이퍼진 단면 상을 갖되, 내면에 다수의 굴곡부가 마련되도록 하여, 브러쉬 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2 바디부는, 브러쉬 부재의 돌출 연장 지점으로부터 일 측 방사상에 형성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고, 제1 바디부는, 수납 공간에서 매니큐어가 인출되는 인출 영역의 외측에 결합되는 인출량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되, 인출량 제어 부재는, 출입 경로에 대응하는 중심부 일 영역이 관통되어 있고, 중심부 주변의 둘레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둘 이상의 단차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2 바디부의 브러쉬 부재가 제1 바디부의 수납 공간으로 출입하는 경우, 걸림편이 인출량 제어부재에 형성된 둘 이상의 단차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차면과 맞닿아 수납 공간으로의 출입 정도가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브러쉬 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 바디부는, 제1 바디부의 내측에서 수납 공간의 외면 일 영역을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스프링 부재는, 브러쉬 부재가 수납 공간에 출입하여 수납 공간의 바닥면에 대한 압력이 인가되면 수축하였다가, 브러쉬 부재가 외부로 인출되어 압력이 해제되면 이완되어 수납 공간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 바디부에는, 내측에 위치한 수납 공간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외측 일 영역을 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매니큐어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큐어 브러쉬 부재에 매니큐어가 적정량 묻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파지 안정성을 높여 손, 발톱에 매니큐어를 도포하는 것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큐어의 브러쉬 부재가 구비되는 영역에 추가 구비되는 둑 부재에 의하여, 수납 공간의 내벽에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는 매니큐어를 쓸어 내린 후 사용되게 함으로써, 매니큐어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매니큐어가 아암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매니큐어의 아암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매니큐어 액의 인출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으로의 매니큐어가 묻어 나오는 일이 없도록 하여 사용 상의 편의를 더욱 증대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에 대한 편의를 높이도록 하고, 특히 매니큐어 수납 공간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프링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매니큐어의 잔여량이 미량 남았을 경우에 대한 인출 편의가 향상됨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의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납 공간이 스프링 부재에 의해 압축 및 이완 구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개 부재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바디부의 걸림편의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출량 제어부재의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걸림편과 인출량 제어부재를 이용하여 매니큐어 인출량의 제어가 수행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라 제1 바디부에 매니큐어 잔여량 확인을 위한 윈도우가 마련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매니큐어 브러쉬 부재(21, 22)에 매니큐어가 적정량으로 묻어나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사용자의 파지 안정성을 높여 손, 발톱에 매니큐어를 도포하는 것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고, 매니큐어의 인출량에 제어에 대한 편의를 높이도록 하면서 특히 매니큐어 잔여량이 미량 남았을 경우에 대한 인출 편의가 크게 증대된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이어가기로 하며,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의 단면 구조도가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개진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는 내측에 기 설정된 용량의 매니큐어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 공간(11)이 형성된 제1 바디부(10)와, 제1 바디부(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술한 제1 바디부(10)와 체결 관계를 이루되, 적어도 일 단부에서 돌출 연장된 아암의 끝 단에 브러쉬 부재(21)가 구비되도록 하여 제1 바디부(10)에 형성된 수납 공간(11)에서 매니큐어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바디부(20)를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바디부(20)의 상술한 아암과 브러쉬 부재(21)의 연결 둘레면에는 수납 공간(11)에서 인출되는 매니큐어가 아암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둑 부재(210)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상술한 둑 부재(210)는, 탄성이 있는 소재인 실리콘 및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준비되어, 아암과 브러쉬 부재(21)의 연결 둘레면에 대해 측방향으로 도톰하게 볼륨감이 있는 형태로 돌출된 단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에는 상술한 둑 부재(210)가 타원형 단면을 갖는 형태에 한정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는 상술한 둑 부재(210)는, 둘레면에서 양 끝 단부로 향할수록 차지하는 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가공되도록 하고, 양 단부가 수납 공간(11)의 너비에 맞닿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이러한 둑 부재(210)의 형상적 특징은, 제2 바디부(20)를 수납 공간(11)으로 출입시킬 때, 둑 부재(210)가 수납 공간(11)의 내벽에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는 매니큐어를 쓸어 내린 후 사용되게 함으로써, 매니큐어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매니큐어가 아암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매니큐어의 아암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매니큐어 액의 인출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으로의 매니큐어가 묻어 나오는 일이 없도록 하여 사용 상의 편의를 더욱 증대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상술한 둑 부재(210)의 형상적 특징은 제2 바디부(20)의 아암과 브러쉬 부재(21)가 후술할 마개(12)를 거쳐 수납 공간(11)으로 출입됨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점에서 사용 상의 편의가 더 더욱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2 바디부(2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개진하여 보면, 제2 바디부(20)는 바람직하게 양 단부에서 돌출 연장된 아암의 끝 단에 브러쉬 부재(21, 22)를 구비하도록 하되, 일 측 단부에는 스펀지 타입의 브러쉬가 구비되도록 하고, 타측 단부에는 모(毛)타입의 브러쉬 부재(22)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바디부(2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브러쉬 부재(21, 22)가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도록 하여, 제1 바디부(10)에 수납된 매니큐어를 인출하여 도포하는 것에 대한 도구의 선택 폭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2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제2 바디부(20)에 구비되는 브러쉬 부재(21, 22)를 나사 결합 방식 등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브러쉬 부재(21, 22)의 교체 용이성을 증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도 2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제2 바디부(20)의 양 단부에 각각 브러쉬 부재(21, 22)가 구비되는 경우, 일 측 단부의 브러쉬 부재(21)는 제1 바디부(10)에 수납될 것이나, 타 측 단부의 브러쉬 부재(22)는 노출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스펀지 타입의 브러쉬 부재(21) 및 모 타입의 브러쉬 부재(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브러쉬 부재(21, 22)를 보호하기 위한 크기로 형성되는 캡 부재(30)를 포함하도록 하여, 브러쉬 부재(21, 22)의 변형을 방지하고 외부 오염 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캡 부재(30)는 내주에 홈부가 마련되고, 제2 바디부(20)의 결합 단부를 단턱지게 마련한 후, 단턱의 외주에 돌기부를 마련하여 홈부와 돌기부의 체결에 따른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는 등으로 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빛이 브러쉬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재질의 소재로 구비하여 브러쉬가 굳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듯, 전술한 제1 바디부(10)에는 수납 공간(11) 중, 매니큐어가 인출되는 인출 영역의 내측에 기 설정된 두께의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마개(12)가 포함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상술한 마개(12)의 소재는 예를 들어 실리콘, 우레탄,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마개(12)의 중심부 일 영역에는 제2 바디부(20)에 구비된 브러쉬 부재(21, 22)가 수납 공간(11)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경로가 되는 출입 경로(120)가 관통된 형상으로 마련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출입 경로(120)의 형상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가 존재할 수 있는데, 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출입 경로(12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자형 단면을 갖도록 하여, 제2 바디부의 브러쉬 부재(21, 22)가 수납 공간(11)으로 밀려들어오게 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소재로 구비되는 출입 경로(120)의 직경이 확대되었다가 제2 바디부(20)의 브러쉬 부재(21, 22)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축소되어 수납 공간(11)에 수납된 매니큐어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출입 경로(120)의 평면 단면을 일자(一)형 및, 십자(十) 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면을 갖도록 하여 제2 바디부(20)에 구비된 브러쉬 부재의 출입 편의를 높이면서, 수납 공간(11)의 매니큐어 유출 방지 목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술한 출입 경로(120)의 측 단면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큐어의 인출 영역에 인접할수록 좁은 단면적을 갖도록 테이퍼진 단면 상을 갖도록 하여 매니큐어가 출입 경로(120) 상으로 유출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매니큐어의 출입 경로(120)를 테이퍼진 측 단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되, 내면에 도 4와 같이 다수의 굴곡부를 마련하여 브러쉬 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매니큐어의 인출량이 굴곡부에서 덜어져 과다한 양의 매니큐어가 인출되지 않도록 그 인출량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상술한 도 4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술한 굴곡부는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 목적을 더욱 확실히 달성하기 위해 굴곡부의 단부가 하향 수납 공간(11) 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제2 바디부(20)에는 브러쉬 부재의 돌출 연장 지점으로부터 일 측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걸림편(2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10)에는 수납 공간(11)에서 매니큐어가 인출되는 인출 영역의 외측에 결합되는 인출량 제어 부재(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걸림편(22)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면, 도 5의 A에서는 제2 바디부(20)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의 B에서는 제2 바디부(20)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제2 바디부(20)에 형성되는 걸림편(22)의 개략적인 형상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도 6의 A에서는 상술한 인출량 제어 부재(4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B에서는 인출량 제어 부재(40)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어 제1 바디부(10)에 결합되는 인출량 제어 부재(40)의 개략적인 형상을 살펴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인출량 제어 부재(4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개진하여 보면, 인출량 제어 부재(40)는 전술한 마개(12)의 출입 경로(120)에 대응하는 중심부 일 영역이 관통되어 제2 바디부(20)에 구비된 브러쉬 부재의 출입 경로(120)를 연장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인출량 제어 부재(40)는 중심부 주변의 둘레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둘 이상의 단차면을 형성하고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예를 도 6의 A 및 B에서 살펴볼 수 있다.
도 6의 A 및 B에서 보여지듯 짙은 색으로 표현된 영역이 높은 단차면(40b)을 갖는 것으로 옅은 색으로 표현된 영역이 낮은 단차면(40a)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걸림편(22)과 인출량 제어 부재(40)에 의해 브러쉬 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가 수행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제2 바디부(20)의 브러쉬 부재가 제1 바디부(10)의 수납 공간(11)으로 출입하게 될 시, 걸림편(22)이 인출량 제어 부재(40)에 형성된 둘 이상의 단차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차면과 맞닿아 수납 공간(11)으로의 출입 정도가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브러쉬 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가 수행되게 된다.
한 실시 예로서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도 7의 A 및 B에서는 제2 바디부(20)의 걸림편(22)이 제1 바디부(10)의 인출량 제어 부재(40)의 낮은 단차면(40a)으로 출입 경로(120)를 결정하여 매니큐어 인출량 제어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즉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걸림편(22)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단차가 형성된 인출량 제어 부재(40) 측으로 출입 경로(120)를 결정하여, 브러쉬 부재가 매니큐어가 수납된 수납 공간(11) 측으로 더 깊숙하게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매니큐어 인출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측하여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도 8의 A 및 B에서는 제2 바디부(20)의 걸림편(22)이 제1 바디부(10)의 인출량 제어 부재(40)의 높은 단차면(40b)으로 출입 경로(120)를 결정하여, 매니큐어 인출량 제어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즉 도 8의 실시 예에서는 걸림편(22)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의 단차가 형성된 인출량 제어 부재(40) 측으로 출입 경로(120)를 결정하여, 브러쉬 부재가 수납 공간(11) 측으로 출입되는 정도가 전술한 도 7의 실시 예에 비하여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대도 7에 비해 적은 양의 매니큐어가 인출되어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걸림편(22) 및 인출량 제어 부재(40)는, 제2 바디부(20) 및 제1 바디부(10) 각각에 고정적으로 형성되는 것 일수도 있으나, 제2 바디부(20)의 아암 및 제1 바디부(10)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닛의 개념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도 6 내지 8의 실시 예에서는, 인출량 제어부의 단차면을 둘로 구비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둘 이상의 단차면을 구비되도록 하여 매니큐어 인출량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제1 바디부(10)에는 제1 바디부(10)의 내측에서 수납 공간(11)의 외면 일 영역을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스프링 부재(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으로서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스프링 부재(13)는 수납 공간(11)을 지지하는 형태로 수납 공간(11)의 매니큐어(M) 인출 영역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프링 부재(13)는, 제2 바디부(20)에 구비된 브러쉬 부재가 수납 공간(11)에 출입하여 수납 공간(11)의 바닥면에 대한 압력이 인가되면 수축하였다가, 브러쉬 부재가 외부로 인출되어 압력이 해제되면 이완되어 수납 공간(11)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바디부(10)에 상술한 스프링 부재(13)를 포함시킴으로써, 수납 공간(11)에 매니큐어(M)의 잔량이 극소량으로 잔여한 경우에도, 매니큐어(M)의 인출이 쉽도록 하여 종래 매니큐어(M) 용기들에서, 매니큐어(M) 용기의 바닥면에 잔여한 매니큐어(M)의 인출이 어렵던 문제를 해소하여 매니큐어(M)의 경제적 이용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제1 바디부(10)에는 내측에 위치한 수납 공간(11)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외측 일 영역을 투명 재질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도 9의 A 및 B를 동시 참조하여 설명해 보면, 도 9의 A에는 제1 바디부(10)의 단면도를 도시하여 내측 구조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 9의 B에서는 제1 바디부(10) 외면을 도시하여 외측 구조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술한 제1 바디부(10)에서 언급하는 투명 재질은, 강화유리,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투명 재질의 사용은, 제1 바디부(10)에 수납 공간(11) 내측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Window, 100)을 마련하여, 수납 공간(11)에 수납된 매니큐어의 잔여량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9의 B에도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바디부(10)에 형성된 윈도우(100)의 인접면에 매니큐어의 잔여량에 대한 식별자(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식별자(110)는 수납 공간(11)에 수납되는 매니큐어의 수납량에 대한 정량적 표식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손톱 또는 발톱 하나에 도포되는 매니큐어의 평균량으로부터 손톱 또는 발톱을 도포할 수 있는 단위 개수의 형태로 매니큐어 수납량을 안내하도록 하는 표식이 사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측에 매니큐어 잔여량에 대한 명확한 안내를 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즉 종합적으로 살펴보건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큐어 브러쉬 부재에 매니큐어가 적정량 묻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파지 안정성을 높여 손, 발톱에 매니큐어를 도포하는 것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큐어의 브러쉬 부재가 구비되는 영역에 추가 구비되는 둑 부재(210)에 의하여, 수납 공간(11)의 내벽에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는 매니큐어를 쓸어 내린 후 사용되게 함으로써, 매니큐어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매니큐어가 아암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매니큐어의 아암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매니큐어 액의 인출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으로의 매니큐어가 묻어 나오는 일이 없도록 하여 사용 상의 편의를 더욱 증대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에 대한 편의를 높이도록 하고, 특히 매니큐어 수납 공간(11)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프링 부재(1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매니큐어의 잔여량이 미량 남았을 경우에 대한 인출 편의가 향상됨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도 1 내지 9의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인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에 대한 설명을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에 있어서,
    내측에 기 설정된 용량의 매니큐어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체결 관계를 이루되, 적어도 일 단부에서 돌출 연장된 아암의 끝 단에 브러쉬 부재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바디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서 매니큐어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의 상기 아암과 상기 브러쉬 부재의 연결 둘레면에는 상기 수납 공간에서 인출되는 매니큐어가 상기 아암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둑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양 단부에서 돌출 연장된 아암의 끝 단에 브러쉬 부재를 구비하되,
    일 단부에는 스펀지 타입의 브러쉬 부재가 구비되도록 하고, 타 단부에는 모(毛) 타입의 브러쉬 부재가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스펀지 타입의 브러쉬 부재 및 상기 모 타입의 브러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브러쉬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크기로 형성되는 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수납 공간 중, 매니큐어가 인출되는 인출 영역의 내측에 기 설정된 두께의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의 중심부 일 영역에는, 상기 브러쉬 부재가 상기 수납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경로의 단면 상은,
    상기 매니큐어의 인출 영역에 인접할수록 좁은 단면적을 갖도록 테이퍼진 단면 상을 갖되, 내면에 다수의 굴곡부가 마련되도록 하여, 상기 브러쉬 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브러쉬 부재의 돌출 연장 지점으로부터 일 측 방사상에 형성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서 매니큐어가 인출되는 인출 영역의 외측에 결합되는 인출량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출량 제어 부재는,
    상기 출입 경로에 대응하는 중심부 일 영역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중심부 주변의 둘레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둘 이상의 단차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제2 바디부의 브러쉬 부재가 상기 제1 바디부의 수납 공간으로 출입하는 경우, 상기 걸림편이 상기 인출량 제어 부재에 형성된 둘 이상의 단차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차면과 맞닿아 상기 수납 공간으로의 출입 정도가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러쉬 부재를 통해 인출되는 매니큐어의 인출량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 공간의 외면 일 영역을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브러쉬 부재가 상기 수납 공간에 출입하여 상기 수납 공간의 바닥면에 대한 압력이 인가되면 수축하였다가, 상기 브러쉬 부재가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압력이 해제되면 이완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에는,
    내측에 위치한 상기 수납 공간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외측 일 영역을 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매니큐어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KR1020210062444A 2021-05-14 2021-05-14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KR102339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44A KR102339189B1 (ko) 2021-05-14 2021-05-14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44A KR102339189B1 (ko) 2021-05-14 2021-05-14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189B1 true KR102339189B1 (ko) 2021-12-13

Family

ID=7883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444A KR102339189B1 (ko) 2021-05-14 2021-05-14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1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488A (ko) * 2011-10-28 2013-05-08 이영주 립글로스의 와이핑 장치
KR101626539B1 (ko) * 2015-02-23 2016-06-13 (주)연우 무빙 와이퍼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KR101671857B1 (ko) * 2014-12-03 2016-11-03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패티큐어용 매니큐어 브러쉬
KR20170032467A (ko) * 2014-08-04 2017-03-22 샤넬 파르퓜 보트 수축가능한 도포 요소를 갖는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488A (ko) * 2011-10-28 2013-05-08 이영주 립글로스의 와이핑 장치
KR20170032467A (ko) * 2014-08-04 2017-03-22 샤넬 파르퓜 보트 수축가능한 도포 요소를 갖는 페이스트형 또는 액체 화장 제품을 위한 병
KR101671857B1 (ko) * 2014-12-03 2016-11-03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패티큐어용 매니큐어 브러쉬
KR101626539B1 (ko) * 2015-02-23 2016-06-13 (주)연우 무빙 와이퍼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9378A2 (en) Dual cosmetic container
US10172432B2 (en) Applicator for semi-solid materials
US20020185148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US20050169696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US20030000543A1 (en) Cosmetic container
US4189245A (en) Suction producing disposable pump and dispenser
US4321936A (en) Nail polish remover
KR101626539B1 (ko) 무빙 와이퍼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KR20200135235A (ko)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2007209743A (ja) 化粧用ブラシ
KR102339189B1 (ko) 펜 타입의 매니큐어 용기
US8206049B2 (en) Packaging item
US2570596A (en) Holder for cosmetics and the like
KR100696364B1 (ko) 액상체 화장기구
US2533349A (en) Bottle and holder therefor
US20170265627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aligning cap
JPH1156460A (ja) 化粧料塗布容器
KR101453922B1 (ko) 화장용 솔
US11779096B2 (en) Cosmetic package
KR101595518B1 (ko) 화장품 용기
US20100322694A1 (en) Single container for multi-applicator with single or multi-housing chambers
KR100586796B1 (ko) 승강식 마스카라
CN212754676U (zh) 一种化妆品包装物
KR19990021984U (ko) 패킹을구비한마스카라용기
KR20100006762U (ko) 다수 매니큐어와 제거액이 일체화된 매니큐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