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980A - 냉장컨테이너용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 - Google Patents

냉장컨테이너용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980A
KR20170031980A KR1020150129624A KR20150129624A KR20170031980A KR 20170031980 A KR20170031980 A KR 20170031980A KR 1020150129624 A KR1020150129624 A KR 1020150129624A KR 20150129624 A KR20150129624 A KR 20150129624A KR 20170031980 A KR20170031980 A KR 2017003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or
inflow
concentration
outflow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선
이진수
박희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5012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1980A/ko
Publication of KR2017003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환풍장치는, 냉장컨테이너(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유입환풍기(110); 유입환풍기(110)와 대향하도록 냉장컨테이너(10)의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유출환풍기(120); 냉장컨테이너(120) 내의 온도,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에틸렌 농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링 수단(130); 및 모니터링 수단(130)으로부터 감지 내용을 피드백 받아 유입환풍기(110)와 유출환풍기(120)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환풍기 컨트롤러(1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풍기 덮개(160)와 환풍기(110, 120)가 굴곡진 면이 합치되는 상태로 만나 환풍 구멍의 폐쇄가 이루어지므로 평상시에 환풍 구멍을 통하여 냉장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환풍기 덮개(160)가 굴곡(113, 163)이 서로 합치되는 상태에서 굴곡(113, 16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열리고 닫히므로 환풍기 덮개(160)가 제 위치를 벗어남이 없이 정확한 위치에서 신속하게 열리고 닫히게 되어 밀폐성과 신속 정확성이 담보된다.

Description

냉장컨테이너용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Ventilation apparatus of cold container, and method for ventila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컨테이너용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과, 배, 수박, 키위, 가지, 브로콜리 등과 같은 원예산물을 보관하는 냉장컨테이너에 적합한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과, 배, 수박, 키위, 가지, 브로콜리 등과 같은 원예산물은 수확 후 저장 중에 회색곰팡이, 푸른곰팡이 등과 같은 병원균의 관여에 의해 부패가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이들 부패 병원균의 발생을 촉진하는 원인으로는 고온다습한 환경이 큰 몫을 한다. 따라서 원예작물은 수확 후 통상적으로 냉장컨테이너에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컨테이너는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작물의 호흡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내부 온도가 높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작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산소가 감소하고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게 되어 환기를 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저산소 고이산화탄소에 의한 가스장해로 세포가 괴사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더욱이, 작물에서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는 작물의 노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냉장컨테이너의 내부공기를 모니터링하여 정확한 시점에 내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때, 냉장컨테이너 입구 문을 개방하여 인위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경우 너무 과대한 공기순환이 갑자기 일어나 냉장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공기순환의 적절한 타이밍을 가늠하기가 어려워 공기순환이 불필요하게 과대하거나 너무 적게 이루어질 우려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예산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냉장컨테이너의 문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풍기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서만 이러한 환풍기를 가동시켜 냉장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냉장컨테이너의 온도, 습도,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에틸렌 가스 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냉장컨테이너용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예작물을 보관하는 냉장컨테이너에 설치되는 환풍장치로서,
상기 냉장컨테이너의 측면에 설치되는 유입환풍기;
상기 유입환풍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냉장컨테이너의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유출환풍기;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에틸렌 농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링 수단; 및
상기 모니터링 수단으로부터 감지 내용을 피드백 받아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환풍기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환풍기는 상기 냉장컨테이너의 중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환풍기는 상기 냉장컨테이너의 중간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 각각에 환풍기 덮개가 설치되며, 상기 유입환풍기와 상기 유출환풍기에는 상기 환풍기 덮개와 맞닿는 면에 굴곡이 형성되고, 상기 환풍기 덮개에도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에 맞닿는 면에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에 형성되는 굴곡에 합치되도록 굴곡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곡에 의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이 더욱 밀폐성 있게 폐쇄되기 때문이다.
상기 환풍기 덮개는 상기 환풍기 덮개의 굴곡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굴곡에 합치된 상태에서 상기 굴곡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환풍기 덮개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환풍기 덮개의 열리고 닫힘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높아졌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서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환풍기 덮개를 열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중량%를 넘는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환풍기 덮개를 열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산소 농도가 10중량%보다 작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입환풍기로부터 외부 공기가 들어와 상기 유출환풍기를 통하여 나가도록 상기 환풍기 덮개를 열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에틸렌 농도가 2ppm 보다 크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환풍기 덮개를 열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높아지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1중량%를 넘거나, 산소 농도가 10중량%보다 작거나, 에틸렌 농도가 2ppm 보다 크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환풍기 덮개를 열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며,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작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1중량%을 넘지 않으며, 산소 농도가 10중량%보다 작지 않으며, 에틸렌 농도가 2ppm 보다 크지 않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환풍기 덮개를 닫아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에 에틸렌 제거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풍방법은,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높아지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1중량%를 넘거나, 산소 농도가 10중량%보다 작거나, 에틸렌 농도가 2ppm 보다 크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고,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높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1중량%을 넘지 않으며, 산소 농도가 10중량%보다 작지 않으며, 에틸렌 농도가 2ppm 보다 크지 않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가동을 멈추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예산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냉장컨테이너의 문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환풍기를 통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냉장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냉장컨테이너의 온도, 습도,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에틸렌 가스 농도 등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예작물의 보관에 매우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환풍기 덮개(1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배에 관한 것으로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4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고온피해 증상이 나타난 경우의 도면;
도 5는 사과에 관한 것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5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저산소 고이산화탄소 피해증상이 나타난 경우의 도면;
도 6은 수박에 관한 것으로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6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틸렌 피해증상이 나타난 경우의 도면;
도 7은 가지에 관한 것으로서,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7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틸렌 피해증상이 나타난 경우의 도면;
도 8은 브로콜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8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틸렌 피해증상이 나타난 경우의 도면;
도 9 및 도 10은 키위에 관한 것으로서, 도 9a 및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9b 및 도 10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틸렌 피해증상이 있는 경우의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컨테이너(10)에는 사과, 배, 수박, 키위, 가지 브로콜리 등과 같은 원예산물이 보관되며 냉장기능이 기본적으로 부여되어 있다. 냉장컨테이너(10)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장치는, 유입환풍기(110), 유출환풍기(120), 모니터링 수단(130), 및 환풍기 컨트롤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입환풍기(110)는 냉장컨테이너(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유출환풍기(120)는 유입환풍기(110)와 대향하도록 냉장컨테이너(10)의 다른 일 측면에 설치된다. 유입환풍기(110)를 통해서 들어오는 외부공기가 유출환풍기(120)를 통하여 쉽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유입환풍기(110)와 유출환풍기(120)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예산물은 냉장컨테이너(10)의 바닥에서부터 쌓여 보관될 것이므로 유출환풍기(120)가 유입환풍기(110)보다 위쪽에 설치되는 것이 환풍에 바람직하고, 특히 유입환풍기(110)는 냉장컨테이너(10)의 중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유출환풍기(120)는 중간에서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 공기 대류 측면에서 볼 때 더욱 바람직하다.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환풍기(110, 120)의 환풍 구멍을 폐쇄하고 있다가 환풍 시에만 환풍 구멍을 개방시키는 것이 냉장기능을 고려해 볼 때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유입환풍기(110)와 유출환풍기(120) 각각에 환풍 구멍을 개폐시키기 위한 환풍기 덮개(1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환풍기 덮개(1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환풍기(110)는 환풍팬(111)과 환풍기 몸체(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출환풍기(120)의 구조도 마찬가지이므로 유출환풍기(120)의 경우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환풍기 덮개(160)는 유출환풍기(120)에도 설치된다.
환풍기 덮개(160)는 환풍기 몸체(112)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환풍 구멍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된다. 이 때, 환풍기 덮개(160)와 환풍기 몸체(112) 사이에 틈이 존재하게 되면 냉장컨테이너(10)의 공기가 새어 냉장기능이 저하되므로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환풍기 몸체(112)에는 환풍기 덮개(160)와 맞닿는 면에 굴곡(113)을 형성시키고, 환풍기 덮개(160)에도 환풍기 몸체(112)의 굴곡(113)에 합치되도록 환풍기 몸체(112)에 맞닿는 면에 굴곡(163)을 형성시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113, 163)은 오목한 부분이 고랑을 이루게 되는데, 이 때 고량의 방향이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굴곡(113, 163)이 서로 합치된 상태에서 굴곡의 길이방향으로 환풍기 덮개(160)를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환풍 구멍의 개폐가 밀폐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에서는 고랑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환풍기 덮개(160)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열리고 닫히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수단(130)은 냉장컨테이너(10) 내의 온도, 습도,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에틸렌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수단(130)은 센서부(131), 데이터 저장부(132), 모니터링 패널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131)는 냉장컨테이너(10) 내의 온도, 습도,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에틸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데이터 저장부(132)는 센서부(131)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모니터링 패널부(133)는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보여주기 것이다. 모니터링 수단(130)에는 필요에 따라 알람수단(13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환풍기 컨트롤러(140)는 모니터링 수단(130)으로부터 감지 내용을 피드백 받아 환풍기 덮개(160)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어하고 또한 유입환풍기(110)와 유출환풍기(120)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냉장컨테이너(10)의 냉장온도가 0℃라고 가정할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물의 호흡에 의해서 내부 온도가 0℃보다 높아질 수 있다. 또는 냉장컨테이너(10)의 갑작스런 전원 공급 차단으로 인해서도 이러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면 작물의 품질이 저하되므로 바로 자동 강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냉장컨테이너(10)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 예컨대 10℃ 보다 높아졌다고 모니터링 수단(130)에 의해 감지되면, 환풍기 컨트롤러(140)가 환풍기 덮개(160)를 슬라이딩시켜 유입환풍기(120)와 유출환풍기(130)의 환풍 구멍을 개방시키고, 유입환풍기(110)와 유출환풍기(120)를 가동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유입환풍기(110)로부터 외부 공기가 들어와 유출환풍기(120)를 통하여 나감으로써 냉장컨테이너(10) 내의 강제 환기가 이루어진다.
상기 환기 기간 동안에 냉장기능을 멈추는 것보다는 냉장기능을 계속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낮아지면 다시 환풍 구멍이 다시 닫히면서 냉장 기능이 계속 유지되어 온도가 내려갈 것이다.
한편, 이산화탄소는 통상 공기 중에 약 0.02중량% 만큼 포함되어 있는데, 작물의 호흡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산소가 감소하고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게 되면 저산소 고이산화탄소에 의한 가스 장애로 세포가 괴사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냉장컨테이너(10)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냉장컨테이너(10) 내의 전체 공기에 대하여 1중량%를 넘는다고 모니터링 수단(130)에 의해 감지되면, 환풍기 컨트롤러(140)가 환풍기 덮개(160)를 슬라이딩시켜 유입환풍기(120)와 유출환풍기(130)의 환풍 구멍을 개방시키고, 유입환풍기(110)와 유출환풍기(120)를 가동시킴으로써 강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산소의 경우, 통상적으로 공기 중에 약 21중량% 포함되어 있는데, 작물에 주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산소의 농도가 10중량% 보다 작아지면 마찬가지 방식으로 강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의 경우, 통상적으로 공기 중에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으나 작물에서 에틸렌 가스가 발생하여 작물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에틸렌 농도가 2ppm보다 크다고 모니터링 수단(130)에 의해 감지되면 마찬가지 방식으로 강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너무 잦은 환기는 냉장컨테이너(10)의 냉장능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에틸렌의 제거를 위한 에틸렌 제거수단(170)이 냉장컨테이너(10)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에틸렌에 한해서는 에틸렌 제거수단(170)의 용량이 한계에 도달할 경우 최후 방어막으로서 강제 환기 기능이 작동하게 될 것이다.
에틸렌 제거수단(170)으로는 에틸렌 수용체 작용방법, 과망간산칼리 등 에틸렌을 산화하는 화학적 방법, 숯이나 제오라이트 등 흡착과 같은 물리적 방법, 광 촉매 산화법, 마이크로파 연결 광 촉매법 등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에틸렌제거수단(170)은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에틸렌제거수단(170)은 공기흐름을 막지 않도록 설치되며, 유니트쿨러(180) 앞 또는 뒤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입환풍기(110)와 유출환풍기(120)가 환풍기 컨트롤러(140)의 제어를 받지 않고 수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수동 자동 변환 스위치(15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배에 관한 것으로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4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고온피해 증상이 나타난 경우이다.
도 5는 사과에 관한 것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5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저산소 고이산화탄소 피해증상이 나타난 경우이다.
도 6은 수박에 관한 것으로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6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틸렌 피해증상이 나타난 경우이다.
도 7은 가지에 관한 것으로서,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7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틸렌 피해증상이 나타난 경우이다.
도 8은 브로콜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8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틸렌 피해증상이 나타난 경우이다.
도 9 및 도 10은 키위에 관한 것으로서, 도 9a 및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이 이루어진 경우이고, 도 9b 및 도 10b는 환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틸렌 피해증상이 있는 경우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강제 환기를 통해서 고온피해, 저산소 고이산화탄소 피해, 에틸렌 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예산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냉장컨테이너(10)의 입구문(11)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환풍기(110, 120)를 통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냉장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냉장컨테이너(10)의 온도, 습도,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에틸렌 가스 농도 등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예작물의 보관에 매우 바람직하다.
특히 환풍기 덮개(160)와 환풍기(110, 120)가 굴곡진 면이 합치되는 상태로 만나 환풍 구멍의 폐쇄가 이루어지므로 평상시에 환풍 구멍을 통하여 냉장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환풍기 덮개(160)가 굴곡(113, 163)이 서로 합치되는 상태에서 굴곡(113, 16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열리고 닫히는 특이한 미닫이 방식으로 설치되므로 환풍기 덮개(160)가 제 위치를 벗어남이 없이 정확한 위치에서 신속하게 열리고 닫히게 되어 밀폐성과 신속 정확성이 담보된다.
10: 냉장컨테이너 110: 유입환풍기
111: 환풍팬 112: 환풍기 몸체
113, 163: 굴곡 120: 유출환풍기
130: 모니터링 수단 131: 센서부
132: 데이터 저장부 133: 모니터링 패널부
134: 알람수단 140: 환풍기 컨트롤러
160: 환풍기 덮개 170: 에틸렌 제거수단
180: 유니트쿨러

Claims (12)

  1. 원예산물을 보관하는 냉장컨테이너에 설치되는 환풍장치로서,
    상기 냉장컨테이너의 측면에 설치되는 유입환풍기;
    상기 유입환풍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냉장컨테이너의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유출환풍기;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에틸렌 농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링 수단; 및
    상기 모니터링 수단으로부터 감지 내용을 피드백 받아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환풍기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환풍기는 상기 냉장컨테이너의 중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유출환풍기는 상기 냉장컨테이너의 중간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 각각에 환풍기 덮개가 설치되며, 상기 유입환풍기와 상기 유출환풍기에는 상기 환풍기 덮개와 맞닿는 면에 굴곡이 형성되고, 상기 환풍기 덮개에도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에 맞닿는 면에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에 형성되는 굴곡에 합치되도록 굴곡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굴곡에 의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이 더욱 밀폐성 있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 덮개는 상기 환풍기 덮개의 굴곡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굴곡에 합치된 상태에서 상기 굴곡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환풍기 덮개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가 상기 환풍기 덮개의 열리고 닫힘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높아졌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서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환풍기 덮개를 열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중량%를 넘는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환풍기 덮개를 열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산소 농도가 10중량%보다 작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환풍기 덮개를 열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에틸렌 농도가 2ppm 보다 크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환풍기 덮개를 열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높아지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1중량%를 넘거나, 산소 농도가 10중량%보다 작거나, 에틸렌 농도가 2ppm 보다 크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환풍기 덮개를 열어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며,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작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1중량%을 넘지 않으며, 산소 농도가 10중량%보다 작지 않으며, 에틸렌 농도가 2ppm 보다 크지 않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환풍기 덮개를 닫아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환풍 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에 에틸렌 제거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
  12. 제1항의 환풍장치를 이용하는 환풍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높아지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1중량%를 넘거나, 산소 농도가 10중량%보다 작거나, 에틸렌 농도가 2ppm 보다 크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를 가동시키고, 상기 냉장컨테이너 내의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온도보다 높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1중량%을 넘지 않으며, 산소 농도가 10중량%보다 작지 않으며, 에틸렌 농도가 2ppm 보다 크지 않다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 컨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유입환풍기와 유출환풍기의 가동을 멈추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방법.

KR1020150129624A 2015-09-14 2015-09-14 냉장컨테이너용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 KR20170031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24A KR20170031980A (ko) 2015-09-14 2015-09-14 냉장컨테이너용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24A KR20170031980A (ko) 2015-09-14 2015-09-14 냉장컨테이너용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80A true KR20170031980A (ko) 2017-03-22

Family

ID=5849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624A KR20170031980A (ko) 2015-09-14 2015-09-14 냉장컨테이너용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19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617B1 (ko) * 2020-11-02 2021-05-26 정수유통 주식회사 농산물 수송용 차량
CN113137812A (zh) * 2021-04-28 2021-07-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控制方法及冰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617B1 (ko) * 2020-11-02 2021-05-26 정수유통 주식회사 농산물 수송용 차량
CN113137812A (zh) * 2021-04-28 2021-07-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控制方法及冰箱
CN113137812B (zh) * 2021-04-28 2022-08-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控制方法及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6479B1 (en) Automatic fresh air exchange system
JP6215485B2 (ja) 冷却庫
EP324097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port unit
US201603669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rvation of perishable substances
CN110074177B (zh) 一种移动式自适应果蔬保鲜气调装置
KR20180041783A (ko) 자동 환기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
KR20170031980A (ko) 냉장컨테이너용 환풍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환풍방법
JP2017044444A (ja) コンテナ用冷凍装置
JP2023024466A (ja) 品質判定装置
US20190364915A1 (en) Refrigerated transport container
KR20170016546A (ko)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JP7148798B2 (ja) 庫内空気調整装置
US10905994B2 (en) Atmosphere control for cargo storage spaces
US20210278128A1 (en) Refrigerated container provided with ventilation system
CN113446791A (zh) 食品保鲜方法、控制装置、冰箱及保鲜系统
WO2018009947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closure environmental control
CN104764268B (zh) 冰箱
KR20140010827A (ko) 결로 저감을 위한 냉장고 야채실
CN113137804A (zh) 气调保鲜系统故障诊断方法、气调保鲜系统及冰箱
EP3486191B1 (en) Hatch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supporting a flow guiding part
JPH043875A (ja) 冷蔵庫
US20240167750A1 (en) Temperature adjustment apparatus and storage
KR20190018802A (ko) 농작물에서 발생하는 에틸렌가스 검출 및 조절 장치
KR20160079994A (ko) 냉장컨테이너 내부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3002798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