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678A -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678A
KR20170031678A KR1020170030435A KR20170030435A KR20170031678A KR 20170031678 A KR20170031678 A KR 20170031678A KR 1020170030435 A KR1020170030435 A KR 1020170030435A KR 20170030435 A KR20170030435 A KR 20170030435A KR 20170031678 A KR20170031678 A KR 20170031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noise reduction
road noise
reduction devi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남균
임찬
Original Assignee
임남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남균 filed Critical 임남균
Priority to KR102017003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1678A/ko
Publication of KR2017003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도로 위를 지나갈 때 차량의 바퀴가 도로면에 마찰되며 생기는 마찰음을 흡수하여 도로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장치 및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은, 도로면의 차량진행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매립 홈에 안착하여 설치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에 있어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일단의 일부와 타단의 일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의 내측 방향으로 끼움 홈이 형성되며, 타단에 외부로 돌출되는 끼움쇠가 형성되며,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측부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복수 개의 본체부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고, 매립 홈과 도로소음 감소 장치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되 연통부는 메우지 않도록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도로면의 차량진행 방향으로 매립 홈을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하는 매립 홈 형성단계와 도로소음 감소장치를 연통부의 끝단이 도로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매립 홈에 안착시키되, 복수 개의 본체부 각각을 상호 연결하면서 매립 홈에 안착시키는 배치 단계와 배치단계의 매립 홈에 채움재를 주입하여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매립 홈에 매립시키는 주입 단계와 채움재를 굳히는 굳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설치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Road noise reduction equipment and installation methods}
본 발명은 차량이 도로 위를 지나갈 때 차량의 바퀴가 도로면에 마찰되며 생기는 마찰음을 흡수하여 도로소음을 감소시켜주는 장치 및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통공이 형성된 복수 개의 파이프형 본체부를 도로에 매설하고, 통공이 도로면에 노출되도록 하여 차량의 바퀴와 도로면이 마찰되며 생기는 마찰음을 통공을 통해 파이프 내부로 흡수시켜 도로소음을 감소시켜주는 장치 및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 통행량이 많은 도로 주변에 위치한 주거지역에서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각종 소음으로 인한 소음공해 문제로 도로 옆에 방음벽 등의 소음 차단시설을 갖추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소음차단을 위해 사용되는 방음벽은 설치비용이 매우 부담이 되고, 자연환기에 방해가 되며 도로주변의 미관에도 악영향을 끼쳐 이를 대신할 수 있는 도로소음 차단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로 소음 감소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5583호의 "도로용 소음감소형 안전홈"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8200호의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9322호의 "소음 감소 구조를 갖는 노면의 그루브 구조"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6746호의 "아스팔트 개질제가 폐타이어칩이나 고무칩과 혼합된 저소음 복층 포장 조성물, 저소음 복층 포장공법"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5583호의 "도로용 소음감소형 안전홈"에는 콘크리트 포장면에 안전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표면마찰력을 증가시켜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음을 감소시키는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8200호의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에는 개량된 스틸 덮개와 소음 방지구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어 차량 통과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콘크리트 배수박스의 양측면에 우수 저장구가 설치되어 배수관거로 유입된 우수의 빠른 배수처리가 가능하며, 개량된 도로의 폭 방향으로 횡단 배수관거를 설치하여 도로의 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9322호의 "소음 감소 구조를 갖는 노면의 그루브 구조"에는 내측면을 따라서 요철과 요홈이 형성된 소리감쇠부를 통하여 도로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쇠시키고 제동력을 향상시켜 차량이 빗길이나 눈길에서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노면의 그루브 구조가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6746호의 "아스팔트 개질제가 폐타이어칩이나 고무칩과 혼합된 저소음 복층 포장 조성물, 저소음 복층 포장공법"에는 아스팔트 개질제를 팰릿타입으로 성형하고 이를 고무칩이나 폐타이어칩과 혼합하여 아스콘 조성물로 제조함으로써 포장도로의 저소음화를 이루기 위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가 도로면에 위치되어 차량의 바퀴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파손이 발생하여 유지 및 보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소음감소 효과가 방음벽에 미치지 못하여 소음 차단 설비를 추가로 더 설치해야 하는 비용의 낭비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차량의 바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적게 들고, 종래의 방음벽과 비슷하거나 더 뛰어난 소음차단 효과를 보일 수 있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5583호(2001. 01. 1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8200호(2005. 03. 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9322호(2009. 03. 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6746호(2011. 06. 29)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
차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도로 주변의 소음공해가 점점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소음차단을 위한 방음벽은 설치비용이 비싸고 자연환기에 방해가 되며 도로 주변의 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방음벽의 대체수단으로써 설치되는 소음차단 시설은 그 효과가 방음벽에 미치지 못하거나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도로면의 차량진행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매립 홈에 안착하여 설치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일단의 일부와 타단의 일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일단의 내측 방향으로 끼움 홈이 형성되며, 상기 타단에 외부로 돌출되는 끼움쇠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측부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매립 홈과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되 연통부는 메우지 않도록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도로면의 차량진행 방향으로 매립 홈을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하는 매립 홈 형성단계; 도로소음 감소장치를 상기 연통부의 끝단이 도로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매립 홈에 안착시키되,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 각각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매립 홈에 안착시키는 배치 단계; 상기 배치단계의 상기 매립 홈에 채움재를 주입하여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상기 매립 홈에 매립시키는 주입 단계; 상기 채움재를 굳히는 굳힘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설치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은,
도로면에 노출되는 통공을 통해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내부로 마찰음이 흡수되므로 도로소음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기존의 방음벽 설치비용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설비가 가능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방음벽 설치에 따른 환기문제가 해결되며 도로 주변의 미관이 훼손되지 아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소음의 확산방지가 아닌 소음 자체를 흡수하므로 기존의 방음벽과 비슷하거나 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도로면보다 낮은 위치에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매설하므로 차량의 바퀴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본체부가 상호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도로에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절개도.
본 발명은 차량이 도로 위를 지나갈 때 차량의 바퀴가 도로면에 마찰되며 생기는 마찰음을 흡수하여 도로소음을 감소시켜주는 장치 및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도로면의 차량진행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매립 홈에 안착하여 설치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일단의 일부와 타단의 일부를 관통하는 중공(104)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일단의 내측 방향으로 끼움 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타단에 외부로 돌출되는 끼움쇠(102)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104)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103)가 측부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부(1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매립 홈과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되 연통부(103)는 메우지 않도록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도로면의 차량진행 방향으로 매립 홈(140)을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하는 매립 홈 형성단계; 도로소음 감소장치를 상기 연통부(103)의 끝단이 도로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매립 홈(140)에 안착시키되,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 각각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매립 홈(140)에 안착시키는 배치단계; 상기 배치단계의 상기 매립 홈(140)에 채움재(150)를 주입하여 상기 도로소음 감소장치를 상기 매립 홈(140)에 매립시키는 주입 단계; 상기 채움재(150)를 굳히는 굳힘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장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중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일단의 일부와 타단의 일부를 관통하는 중공(104)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일단의 내측 방향으로 끼움 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타단에 외부로 돌출되는 끼움쇠(102)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104)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103)가 측부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부(1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본체부(100)의 일단에는 상기 끼움 홈(101)이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본체부(100)의 타단에는 상기 끼움쇠(102)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중공(104)은 상기 본체부(100)의 일단과 타단의 면적 중 일부만을 관통하는 구경(口徑)을 가진다.
상기 중공(104)은 도로면에 차량의 바퀴가 마찰되며 발생하는 소음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내부로 흡수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며, 상기 중공(104)의 부피가 클수록 소음의 흡수효과가 뛰어나다.
하나의 상기 본체부(1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 홈(101)과 또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부(100)의 타단에 구비되는 상기 끼움쇠(102)는 상호 간에 대응하여 체결되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 홈(101)과 상기 끼움쇠(102)는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이며, 복수개의 상기 본체부(100) 중 어느 하나의 본체부(100)에 구비되는 상기 끼움쇠(102)를 다른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 홈(101)에 삽입하는 형태로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를 상호 연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상기 끼움 홈(101) 및 상기 끼움쇠(102)가 항상 동일한 위치와 방향으로만 체결되도록 형태를 갖추어야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면 복수 개의 상기 연통부(103)가 일직선상에 배열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측부에 구비되는 상기 연통부(103)는 도로소음이 상기 중공(104)으로 흡수되기 위해 필요한 통로이다.
상기 연통부(103)는 지름이 4 내지 10㎜인 원통형일 수 있으나, 지름의 크기가 상기의 범위를 만족하는 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연통부(103)의 지름이 4 내지 10㎜보다 작게 형성되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소음 흡수효과가 낮아지게 되며, 상기 연통부(103)의 지름이 4 내지 10㎜보다 크게 형성되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내부로 작은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양이 증가하여 상기 중공(104)이 막히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연통부(103)는 도로소음의 흡수효과를 최대한 유지하고 이물질 유입량은 최소화할 수 있는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4 내지 10㎜으로 한다.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상기 연통부(103) 상호 간의 간격은 40±10㎜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연통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면 복수 개의 상기 연통부(103)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배열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상기 끼움 홈(101) 및 상기 끼움쇠(102)는 항상 동일한 위치와 방향으로만 체결되도록 형태를 갖추고 있으므로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면 복수 개의 상기 연통부(103)가 일직선상에 배열된다.
단위면적당 배열되는 상기 연통부(103)의 개수가 많을수록 소음 흡수효과가 증가하나, 이와 동시에 단위면적당 배열되는 상기 연통부(103)의 개수가 많을수록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내부로 흡수된 소음이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기 쉬우므로 상기의 현상들을 고려하여 상기 연통부(103)의 간격을 형성하여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40±10㎜의 범위로 한다.
상기 연통부(103)는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형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측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 또는 상기 본체부(10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그 방식은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연통부(103)가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 또는 상기 본체부(100)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연통부(103)의 파손 및/또는 상기 연통부(103)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통부(103)의 외부로 개방된 끝단에는 망 또는 체와 같은 거름막을 설치하여 이물질 유입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전열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PVC, 플라스틱 등의 어떠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열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구리 도금, 아연 도금, 스테인리스 등의 스틸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중 도로소음 감소 장치 설치 방법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설치 방법은 도로면의 차량진행 방향으로 매립 홈(140)을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하는 매립 홈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 개의 상기 매립 홈(140)은 복수 개의 상기 매립 홈(140)에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각각 안착되면 가장 근접한 상기 연통부(103) 상호 간의 간격이 40±10㎜가 되도록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립 홈(140)은 양 끝단이 개방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매립 홈(140)은 도로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설치 방법은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상기 연통부(103)의 끝단이 도로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매립 홈(140)에 안착시키되,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 각각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매립 홈(140)에 안착시키는 배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매립 홈(140)에 안착시키고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부(100)를 먼저 안착된 상기 본체부(100)와 상호 연결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상기 매립 홈(14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일체로써 구성한 후 상기 매립 홈(140)에 안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매립 홈(140)에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각각 안착되면 복수 개의 상기 매립 홈(140)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복수 개의 상기 연통부(103) 중 어느 하나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다른 매립 홈(140)에 안착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하나 이상의 상기 연통부(103)는 40±10㎜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연통부(103)의 끝단은 도로면보다 2 내지 3㎜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103)의 끝단의 높이가 도로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은 상기 연통부(103) 및 차량의 바퀴에 대한 보호수단으로써, 상기 연통부(103)의 끝단이 도로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경우, 상기 연통부(103)는 고속으로 주행하는차량의 바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나게 되어 상기 연통부(103)와 차량의 바퀴 모두 손상의 가능성이 있고 차량 운행의 안정성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통부(103)의 끝단이 도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는 도로면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연통부(103)가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바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나게 되므로 상기 연통부(103)의 끝단은 도로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설치 방법은 상기 배치단계의 상기 매립 홈(140)에 채움재(150)를 주입하여 상기 도로소음 감소장치를 상기 매립 홈(140)에 매립시키는 주입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채움재(150)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상기 매립 홈(140) 내부에 매립된 채로 고정되어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움직이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상기 채움재(150)에 의해 상기 매립 홈(140) 내부에 매립되나 상기 매립 홈(140)의 양 끝단은 채움재(150)에 의해 매립되어서는 아니되며, 상기 매립 홈(140)의 양 끝단에는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일측과 타측이 외부로 각각 노출된다.
상기 채움재(150)는 아스팔트, 에폭시 수지 시멘트, 무수측 모르타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느나 도로면을 구성하는 물질이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설치 방법은 상기 채움재(150)를 굳히는 굳힘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복수 개의 본체부(100) 중 어느 하나의 본체부(100) 타단에 구비되는 끼움쇠(102)를 다른 하나의 본체부(100) 일단에 형성되는 끼움 홈(101)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측부에는 연통부(103)가 구비되는데,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면 복수 개의 상기 연통부(103)들은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야 하므로, 상기 끼움 홈(101)과 상기 끼움쇠(102)는 항상 동일한 위치와 방향으로만 상호 간에 체결이 가능한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가 상호 연결된 구성으로써, 일체로써 차량의 바퀴가 도로면에 마찰되며 생기는 마찰음을 흡수하여 도로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장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100)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의 폭에 맞는 길이만큼 연결하여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매립 홈(140)에 매립되어 소음감소 장치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매립 홈(140)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상기 매립 홈(140)에 안착되면 상기 연통부(103)의 끝단이 도로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깊이가 형성되어야 한다.
도 3에서는 상기 연통부(103)의 끝단이 채움재(150)로 형성된 층보다는 높게위치되나 원래의 도로면보다는 2 내지 3㎜ 낮게 위치되는 모습이 나타나있다.
상기 매립 홈(140)에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안착되면 채움재(150)를 상기 매립 홈(140)에 주입하여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매립시키되, 상기 연통부(103)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104)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채움재(150)로 메우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도로면(130) 아래에 매설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통부(103)를 통해 도로소음을 흡수한다.
상기 연통부(103)는 끝단이 원래의 도로면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차량 바퀴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나지 않으며, 도로면이 손상되어 홈이 생기는 경우에도 도로면보다 낮은 위치가 계속 유지되거나 도로면 위로 돌출되는 높이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통상적인 도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 끝단에 빗물을 흘려보내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도로면의 차량진행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매립 홈(140)은 양 끝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매립 홈(14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매립 홈(140)의 양 끝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상기 연통부(103)에 의해 도로면에 나타나는 복수 개의 구멍들이 이루는 형태가 지그재그 형태로 나타나도록 배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내부에 도로 소음을 흡수하는 중공(104)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04)으로 도로 소음이 흡수되는 통로인 상기 연통부(103)가 구비된다.
상기 연통부(103)는 외부와 상기 중공(104)을 연통시키는 구성으로써, 상기 연통부(103)를 통해 상기 중공(104)으로 도로 소음뿐만 아니라 먼지 등의 이물질도 유입된다.
상기 중공(104)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상기 중공(104)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고 이는 도로소음 흡수효과의 저하로 이어지므로 주기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일측을 통해 상기 중공(104)의 내부로 압축공기 또는 물을 분사하여 상기 중공(104) 내부의 이물질을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의 타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104)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얼어붙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중공(104)의 내부로 온수를 분사할 수 있고,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부 내부 또는 외부에 전열선을 구비하여 열을 가할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 도로에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절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도로소음 차단이 필요한 구간에만 도로면(130)의 차량진행 방향을 따라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써 내부로 흘러든 빗물,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도로소음 차단이 필요한 구간을 벗어난 범위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는, 연장된 부분은 상기 연통부(103)가 도로면(130)에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매립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본체부 101 : 끼움 홈
102 : 끼움쇠 103 : 연통부
104 : 중공 120 : 분사기
130 : 도로면 140 : 매립 홈
150 : 채움재

Claims (8)

  1. 도로면의 차량진행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매립 홈에 안착하여 설치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는, 일단의 일부와 타단의 일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일단의 내측 방향으로 끼움 홈이 형성되며, 상기 타단에 외부로 돌출되는 끼움쇠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측부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매립 홈과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되 연통부는 메우지 않도록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의 본체부의 상기 끼움 홈과 또 다른 하나의 본체부의 상기 끼움쇠는 상호 간에 대응하여 체결되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지름이 4 내지 10㎜인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상기 연통부 상호 간의 간격은 4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전열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6. 도로면의 차량진행 방향으로 매립 홈을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하는 매립 홈 형성단계;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도로소음 감소장치를 상기 연통부의 끝단이 도로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매립 홈에 안착시키되, 복수 개의 상기 본체부 각각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매립 홈에 안착시키는 배치 단계;
    상기 배치단계의 상기 매립 홈에 채움재를 주입하여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를 상기 매립 홈에 매립시키는 주입 단계;
    상기 채움재를 굳히는 굳힘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설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매립 홈은 복수 개의 상기 매립 홈에 상기 도로소음 감소 장치가 각각 안착되면 가장 근접한 상기 연통부 상호 간의 간격이 40±10㎜가 되도록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설치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의 끝단은 도로면보다 2 내지 3㎜ 낮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소음 감소 장치 설치 방법.
KR1020170030435A 2017-03-10 2017-03-10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KR20170031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35A KR20170031678A (ko) 2017-03-10 2017-03-10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35A KR20170031678A (ko) 2017-03-10 2017-03-10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030A Division KR101725922B1 (ko) 2015-09-11 2015-09-11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678A true KR20170031678A (ko) 2017-03-21

Family

ID=5850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435A KR20170031678A (ko) 2017-03-10 2017-03-10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167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583A (ko) 2003-04-15 2004-01-16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도로용 소음감소형 안전홈
KR200378200Y1 (ko) 2004-12-09 2005-03-10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KR20090029322A (ko) 2007-09-18 2009-03-23 손철주 소음 감소 구조를 갖는 노면의 그루브 구조
KR101046746B1 (ko) 2010-06-11 2011-07-06 주식회사 포이닉스 아스팔트 개질제가 폐타이어칩이나 고무칩과 혼합된 저소음 복층 포장 조성물, 저소음 복층 포장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583A (ko) 2003-04-15 2004-01-16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도로용 소음감소형 안전홈
KR200378200Y1 (ko) 2004-12-09 2005-03-10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KR20090029322A (ko) 2007-09-18 2009-03-23 손철주 소음 감소 구조를 갖는 노면의 그루브 구조
KR101046746B1 (ko) 2010-06-11 2011-07-06 주식회사 포이닉스 아스팔트 개질제가 폐타이어칩이나 고무칩과 혼합된 저소음 복층 포장 조성물, 저소음 복층 포장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32863T2 (de) Schienenschutz
KR101725922B1 (ko)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KR20170031678A (ko) 도로소음 감소 장치 및 설치 방법
CN110130177B (zh) 公路减振降噪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95684B1 (ko) 균열을 억제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보수공법
KR101014268B1 (ko) 자갈도상용 자갈막이 방호패널
KR20130013214A (ko) 흡음형 기층용 콘크리트 블록과 아스팔트 표층을 조합한 차량주행소음 저감용 저소음 포장 시스템
DE102006028740B4 (de) Kontinuierliche elastische Schienenlagerung
KR20100128405A (ko) 교량 상판의 차수 방법 및 구조
EP1248883B1 (de) Kammerfüllelement mit umkleidung
JP2011052458A (ja) 樹脂固定軌道の構築方法
KR200378200Y1 (ko)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JP3125931U (ja) 側溝の道路横断構造
KR200413569Y1 (ko)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
KR100490958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10201588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및 그 방수방법
JP4400799B2 (ja) 地盤表層を伝播してくる道路交通振動の吸収方法
CN210262554U (zh) 一种具有防软化结构的公路路基
JP5346183B2 (ja) 軌道構造
JPH0860736A (ja) 透水性舗装路面用街渠蓋
KR200414666Y1 (ko) 교량의 가장자리 배수처리구조체
JP7057739B2 (ja) 軌道内ケーブル防護板
WO2008148936A1 (en) Arrangement, method, as well as use of a rubber mat
JP3729099B2 (ja) レール
JP3323915B2 (ja) 高架道路遮音壁外側面用雨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