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569Y1 -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569Y1
KR200413569Y1 KR2020060001786U KR20060001786U KR200413569Y1 KR 200413569 Y1 KR200413569 Y1 KR 200413569Y1 KR 2020060001786 U KR2020060001786 U KR 2020060001786U KR 20060001786 U KR20060001786 U KR 20060001786U KR 200413569 Y1 KR200413569 Y1 KR 200413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roundwater
horizontal
vertical pane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응균
Original Assignee
(주)세종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건설 filed Critical (주)세종건설
Priority to KR2020060001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5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수공의 상부를 보호하는 지하수 보호구조물로써 그 구성을 설명하자면,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 형상으로 쌍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하여 벽을 형성하는 가로패널과 세로패널 및 상기 벽의 내부공간 상부를 덮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패널은 세로패널과 접하는 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로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패널은 상기 결합턱과 접하는 부위에 이와 대응하는 오목형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가로패널과 세로패널의 결합으로 형성된 벽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며 덮을 수 있도록 그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두께로 돌출되는 수용턱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패널, 세로패널 및 상부패널은 그 재질이 경량기포콘크리트 소재인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단열성이 우수하며 경량인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 용이하게 시공가능하여 시공시간의 단축과 시공비를 절감하며, 별도의 단열재나 전열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지하수 보호 구조물 내부의 단열효과를 높여, 단기적으로 보호구조물 내부의 시설 수명을 높이며, 장기적으로는 지하수관정의 오염을 차단하여 환경보호에 지대한 역할을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패널, 보호구조물

Description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PREFABRICATED STRUCTURE MANHOLE MADE FROM AUTOCLAVED LIGHTWEIGHT CINCRETE FOR UNDERGROUND WATER}
도 1은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에 따른 가로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에 따른 세로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에 따른 상부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에 따른 패널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보호구조물의 부분 절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
10 : 가로패널 20 : 세로패널
30 : 상부패널 40 : 토출관
50 : 배수관 60 : 그라우팅
70 : 흡입관 80 : 볼트
90 : 콘크리트 100 : 결합턱
150 : 나사홈 200 : 결합홈
250 : 관통공 300 : 수용턱
400 : 토출관관통공 500 : 배수관관통공
M : 모터
본 고안은 지하수 관정시설이 구비된 지하수공에서 그 상부를 보호하는 지하수보호 구조물로써, 재질이 경량기포콘크리트인 다수의 패널을 포함하고 이들의 조립을 통해 소정의 내부공간이 구비된 벽을 형성하며, 상기 벽의 내부공간을 덮어 외부의 오염원을 차단하고 내부의 지하수 관정시설을 보호할 수 있는 지하수 보호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하수법 개정 이후, 농업용을 제외한 모든 지하수공에는 지하수상부보호공이 설치되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지하수상부보호공은 그 시공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우선, 현재 시공되는 지하수상부보호공은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는 제자리콘크리트 지하수상부보호공과 기성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는 지하수상부보호공, 시멘트 블록을 쌓고 미장을 하는 조적식 지하수상부보호공이 있다.
그러나,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자리 콘크리트 지하수상부보호공의 경우에는 방수성은 우수하나 시공기일이 길고, 시공상의 어려움이 많고 그에따라 공사비 또한 증대된다. 그러므로 제자리콘크리트 지하수상부보호공은 거의 시공되지 않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성 콘크리트 지하수상부보호공을 공장에서 대량 생산하여 그 제품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지만 제품의 재료가 일반 콘크리트이므로 제품의 중량이 상당하여 시공시 굴삭기나 지게차를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제품의 단가나 품질 또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마다 천차만별로 일정한 기준이 없다.
또한, 시멘트 블록을 이용한 조석식 지하수상부보호공은 재료비는 적게 들지만 조적공이 반드시 필요하며, 시공시 구조물 안팎으로 미장을 해야 하고 미장을 바른 면이 양생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또한, 모든 지하수상부보호공이 우수차단과 오염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판 뚜껑을 쓰고 있는데, 뚜껑 가격까지 합하면 그 시공비가 더욱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근래 개정된 지하수법은 모든 지하수상부보호공은 보호공안에 배수를 위해 지하매립식에서 지상에 그대로 설치하도록 변경되었다. 지상에 설치되므로 일반콘 크리트의 단열과 차음에 약한 재료상의 단점으로 인하여 모터펌프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선을 감거나 보온재를 설치하는 별도의 보온시공 또한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위 중량이 일반 콘크리트의 절반밖에 되지 않고 단열과 차음성능이 우수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하고, 시공하기 편리하도록 규격화된 패널을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구조로 시공비 절감과 시공기일의 단축을 이룰 수 있는 지하수 보호구조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단열재나 보온시설을 갖추지 않고, 보호공 내부의 단열효과를 줄 수 있는 지하수 보호구조물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 형상으로 쌍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하여 벽을 형성하는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 및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로 형성된 벽의 내부공간 상부를 덮는 상부패널(30);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패널(10)은 세로패널(20)과 접하는 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로 돌출된 결합턱(100)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패널(20)은 상기 결합턱(100)과 접하는 부위에 이와 대응하는 오목형의 결합홈(200)이 형성되고, 상기 벽을 형성하는 가로패널(10) 또는 세로패널(20)은 토출관(40)이 관통하는 토출관관통공(400)과 배 수관(50)이 관통하는 배수관관통공(50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패널(30)은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의 결합으로 형성된 벽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며 덮을 수 있도록 그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두께로 돌출되는 수용턱(300)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패널(10), 세로패널(20) 및 상부패널(30)은 그 재질이 경량기포콘크리트 소재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세로패널(20)은 가로패널(10)과 접하는 부분에 내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250)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패널(10)은 상기 다수의 관통공(250)과 상응하는 부분에 오목형의 나사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15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각 패널이 볼트결합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은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재료로 사용하여 다수의 패널을 성형하고, 이들의 조립으로 보호구조물을 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는 말 그대로 기포와 콘크리트가 혼합된 콘크리트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와는 달리 골재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량의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슬러지에 크림(Cream: 보통 동식물성 유지)과 같은 일정량의 기포제를 콤프레샤를 이용하여 기포화 시킨 상태에서 혼합 믹싱하여 고압호스를 통하여 일정한 장소에 이송하여 양생시키는 경량콘크리트 제품으로 무수히 많고 미세한 독립기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는 단열성에서 일반 콘크리트보다 열전도율이 월등히 높아 단열 및 결로방지에 우수한 특성이 있으며, 밀도에 있어서도 일반 콘크리트 제품보다 1/4 ~ 1/5로 제품을 경량화할 수 있으며, 다공성의 무수히 많은 독립된 기포형성으로 흡음성이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5배 정도로 아파트 시공상 문제점인 주거공간의 고체전달음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일반 콘크리트보다 우수한 특성이 있는 경량기포콘크리트를 본 고안에 따른 각 패널에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경량으로 인해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이 공사를 시공할 수 있고, 겨울철 보호구조물 내부 장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적인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보호구조물은 쌍으로 나란히 위치한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의 결합으로 내부공간이 구비된 벽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이 구비된 벽의 상부를 덮는 상부패널(30)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은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가로패널(10)의 결합턱과 세로패널(20)의 결합홈이 상호 결합하여 고정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세로패널(20)은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로패널 (10)은 상기 세로패널(20)로부터 관통되는 볼트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이 형성되어야 바람직하다.
도면에 미설명 부호 (40)은 상기 보호구조물을 관통하며, 내부에서 모터를 통해 외부로 지하수를 이동시키는 토출관이며, (50)은 상기 보호구조물 내에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다.
이하 설명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각 패널을 통해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에 따른 가로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에 따른 세로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에 따른 상부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가로패널(1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 형상으로 쌍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가로패널(20)과 수직방향에 위치한 세로패널(20)과 접하는 부위인 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로 돌출성형되는 결합턱(20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로패널(10)에 형성된 결합턱(20)은 추후에 설명할 세로패널(20)에 형성되는 결합홈(200)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세로패널(20)을 설명하자면, 상기 세로패널(20) 역시 상기 가로패널(10)과 동일한 형상인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 형상으로 쌍으로 나란 하게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세로패널(20)은 가로패널(10)의 수직방향에 위치하며, 상호 결합하여 지하수 보호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세로패널(20)에는 가로패널(10)의 결합턱(100)과 접하는 부위 즉, 일측면의 두 곳에 상기 결합턱(100)과 대응하는 오목형의 결합홈(200)이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가로패널(10)은 쌍으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고 그 양단부에는 결합턱(100)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로패널(10)과 수직방향에 위치하는 세로패널(20)은 상기 결합턱(100)이 접하게 되는 면에는 즉, 세로패널(20)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로패널(10)의 결합턱(100)이 접하는 부위는 두 곳이 되며, 이 부위에 상기 결합턱(100)과 대응하는 결합홈(20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은 서로 간에 결합은 하였지만, 그 결합의 고정은 되어 있지 않아, 이를 고정하고, 결합을 보강하기 위해 별도의 또 다른 결합수단이 추가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결합수단의 예로 볼트결합을 통해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을 결합하고 고정한다.
먼저, 볼트결합을 위해 상기 세로패널(20)에는 가로패널(10)과 접하는 면에 그 내부를 관통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관통공(250)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패널(10)은 상기 다수의 관통공(250)과 상응하는 부분에 오목형의 나사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15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각 패널(10,20)이 볼트결합을하여 결합을 보강하며 각 패널(10,20) 간에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에 따른 상부패널(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상부패널(30) 또한 가로패널(10) 및 세로 패널(20)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 간에 결합으로 형성된 벽의 내부공간 상부를 덮는다.
이때, 상기 상부패널(30)은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의 결합으로 형성된 벽 상부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고 돌출 형성되는 수용턱(300)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부패널(30)은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의 결합으로 형성된 벽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하여 그 상부 덮거나 일부분을 수용하여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에 따른 패널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패널(10,20,30)들의 조립은 쌍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에 상부패널(30)을 덮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보호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먼저, 하나의 세로패널(20)을 시공할 지면에 알맞은 장소에 위치하게 한 다음, 상기 세로패널(20)에 형성되는 두 곳의 결합홈(200)에 가로패널(10)의 결합턱(100)이 접하도록 위치하게 하고, 이들을 상기 결합홈(200)에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세로패널(20)과 결합한 두 개의 가로패널(10)의 타측 결합턱(100)에 또 다른 세로패널(20)의 결합홈(200)이 접하도록 끼워 넣는다.
이로써 시공할 지면의 둘레에 사면을 이루는 벽이 형성되고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그 후, 상기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한 벽의 상부에 그 외주면 을 따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턱이 형성된 상부패널(30)을 덮어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하게 되고 외부의 오염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벽을 형성하는 가로패널(10) 또는 세로패널(20)은 외부로부터 구조물 내부로 관통되는 토출관이 관통할 수 있는 토출관관통공(400)과 배수관이 관통되는 배수관관통공(5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토출관관통공(400)과 배수관관통공(500)은 본 고안에서는 세로패널를 그 예로 하여 도시하였으며 설명하였으나, 가로패널(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세로패널(20)에 토출관관통공(400)을 형성하며, 가로패널(10)에는 배수관관통공(500)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반대로도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특별한 제약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 지하수 보호구조물의 결합을 보강하며, 고정하기 위해 또 다른 결합수단으로 볼트결합을 하게 되는데, 상기 볼트결합은 상기 관통공(250) 및 나사홈(15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볼트(80)가 상기 세로패널(20)의 관통공(200)을 관통하여 가로패널(10)의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15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보호구조물의 결합을 보강 및 고정하게 되며, 지하수 보호구조물의 시공이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보호구조물은 규격화된 제품의 패널을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시공상 어려움이 없고, 특히 경량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재질의 패널을 사용하여, 기존의 일반콘크리트 제품을 사용할 때와 같이 별도의 운반장비 없이 시공가능하여 시공기간의 단축과 누구라도 시공 가능한 특징적인 효 과가 발생한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보호구조물의 부분 절개단면도로, 도 6(a)은 도 1의 A-A' 종단면도이며, 도 6(b)은 도 1의 B-B' 횡단면도이다.
지하수 개발 후, 그 주위의 지면에 일정영역을 그라우팅(60)하고 다시 그 상부에 콘크리트(90)로 기초를 하여 마감을 하게 된다. 그 다음에 상기 마감이 완료되면 상기 일정영역을 보호하는 지하수 보호구조물을 설치하고, 구조물 내부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50)을 설치한다.
여기에서, 상기 그라우팅(60)(groutig)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토목공사에서 누수방지공사나 토질안정 등을 위하여 지반의 갈라진 틈이나 공동 등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작업을 말한다.
한편, 상기 지하수 관정에서 모터(M)에 의해 흡입관(70)을 통해 지하수를 끌어올리고 토출관(40)으로 지하수를 필요로 하는 곳까지 이동을 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토출관(40)은 보호구조물의 일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배관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로패널에는 토출관(40)이 관통할 수 있는 토출관관통공(400)과 상기 배수관(50)이 관통할 수 있는 배수관관통공(500)이 형성되어, 토출관 및 배수관이 구조물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관이 설치되게 된다.
도 6(a)은 도 1의 A-A' 종단면도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보호구조물의 내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보호구조물 내부에는 이와 같이 지하수를 이용하기 위 해 다양한 배관과 설비가 구비되며, 이들을 보호하며,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구조물은 필연적으로 동반되어야만 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보호구조물은 내부를 감싸는 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의 상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턱(300)이 형성된 상부패널(30)을 통해 보호구조물 내부를 완전히 밀폐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도시된 세로패널(20)과 상부패널(30)은 그 재질이 경량기포콘크리트로 우수한 단열성으로 보호구조물 내부의 배관과 설비들을 스티로폼과 같은 별도의 보온재가 필요없이 겨울철 동파로부터 방지할 수는 있는 단열재의 역할도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6(b)은 도 1의 B-B' 횡단면도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보호구조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다. 먼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은 결합턱과 상기 결합턱에 상응하는 결합홈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져 소정의 크기를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사면의 벽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의 결합은 또 다른 결합수단인 볼트결합을 통해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이 결합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들의 결합을 보강하며 고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볼트결합은 세로패널(20)의 내부를 관통하여 가로패널에 형성된 나산홈에 볼트(80)가 삽입되어 나사조립되어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이 고정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조립식 구조를 갖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재료로 일반 콘크리트보다 경량인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장비가 없이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시공시간의 단축과 시공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부 보호구조물은 단열효과가 뛰어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하므로, 별도의 단열재나 전열기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지하수 보호구조물 내부의 단열효과를 높여, 단기적으로는 모터펌프와 내부시설의 수명을 높이며, 장기적으로는 지하수관정의 오염을 차단하여 환경보호에 지대한 역할을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 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 형상으로 쌍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하여 벽을 형성하는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 및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로 형성된 벽의 내부공간 상부를 덮는 상부패널(30);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패널(10)은 세로패널(20)과 접하는 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로 돌출된 결합턱(100)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패널(20)은 상기 결합턱(100)과 접하는 부위에 이와 대응하는 오목형의 결합홈(200)이 형성되고,
    상기 벽을 형성하는 가로패널(10) 또는 세로패널(20)은 토출관(40)이 관통하는 토출관관통공(400)과 배수관(50)이 관통하는 배수관관통공(50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패널(30)은 상기 가로패널(10)과 세로패널(20)의 결합으로 형성된 벽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며 덮을 수 있도록 그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두께로 돌출되는 수용턱(300)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패널(10), 세로패널(20) 및 상부패널(30)은 그 재질이 경량기포콘크리트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패널(20)은 가로패널(10)과 접하는 부분에 내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250)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패널(10)은 상기 다수의 관통공(250)과 상응하 는 부분에 오목형의 나사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15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각 패널이 볼트결합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
KR2020060001786U 2006-01-20 2006-01-20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 KR200413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786U KR200413569Y1 (ko) 2006-01-20 2006-01-20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786U KR200413569Y1 (ko) 2006-01-20 2006-01-20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569Y1 true KR200413569Y1 (ko) 2006-04-07

Family

ID=4176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786U KR200413569Y1 (ko) 2006-01-20 2006-01-20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5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07B1 (ko) * 2015-05-14 2016-08-19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조립식 frp-콘크리트 혼성 밸브실 제조방법
KR102662381B1 (ko) * 2023-05-04 2024-04-30 강성국 지하수 모터 보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07B1 (ko) * 2015-05-14 2016-08-19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조립식 frp-콘크리트 혼성 밸브실 제조방법
KR102662381B1 (ko) * 2023-05-04 2024-04-30 강성국 지하수 모터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2438A (en) Method of rehabilitating manholes by custom lining/relining
KR101281070B1 (ko)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CN109026012A (zh) 竖井围岩支护结构及其开挖支护方法
CN202660067U (zh) 防止墙体渗漏的防水套管
KR200413569Y1 (ko) 조립식 경량기포콘크리트 지하수 보호구조물
KR20170114386A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JP5038281B2 (ja) 止水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並びに、遮水部材のアンカー貫通部を止水する方法
CN208982058U (zh) 竖井围岩支护结构
KR100891617B1 (ko) 콘크리트 충전형 암거 시공용 강박스
KR10076536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CN209339510U (zh) 外挂墙板与钢梁的防水连接结构
KR102116912B1 (ko) 에어 돔
CN206545284U (zh) 一种下沉式卫生间
KR100302684B1 (ko) 관로 밸브실 시공공법 및 밸브실의 벽 구조물
KR100408926B1 (ko) Frp 박스암거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464844Y1 (ko)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KR102197879B1 (ko) 지하벽체 유지보수 구조 및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유지보수 방법
KR101968968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04035956A1 (en) Block fabrica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582000B1 (ko) 건축물의 외부 차수벽 구조
KR200402945Y1 (ko) 내구성이 강화된 방수 맨홀
Chmielewski et al. Selected problems of protection of historic buildings against the rainwater and the groundwater
JPH09250144A (ja) 地下室の外防水工法
CN212428173U (zh) 一种节能环保的管道井与通风井渗漏水修缮系统
KR200263619Y1 (ko) 복합재 합성패널을 이용한 건축지하 구조물 수중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