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976A -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976A
KR20170030976A KR1020150128582A KR20150128582A KR20170030976A KR 20170030976 A KR20170030976 A KR 20170030976A KR 1020150128582 A KR1020150128582 A KR 1020150128582A KR 20150128582 A KR20150128582 A KR 20150128582A KR 20170030976 A KR20170030976 A KR 20170030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255B1 (ko
Inventor
이승일
이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웍스
Priority to KR102015012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2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W4/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가 이용자의 단말기인 제1 단말기로부터 입차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입차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차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는 차량을 인수하는 인수 장소에 관한 정보,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에 관한 정보, 상기 차량을 인수하는 인수 시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VALET PARKING SERVIC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최적의 기사, 최적의 인도 장소, 최적의 인도 시간을 결정하고 신뢰성 있는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통행량이 많은 도심의 경우, 주차 공간(주차장)을 찾기는 어려우며, 교통 혼잡으로 인하여 주차장까지 이동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차량 이용시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특히 식당이나 주점 등이 많은 유흥가를 이용하려는 운전자 중 운전이 익숙하지 않은 자에게 이동 및 주차가 더욱 불편한 실정이다.
기존의 발렛 파킹(valet parking)은 식당, 호텔 등 특정 업소에서만 서비스가 제공되어 그 이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도심의 유명 식당가나 유흥지에는 발레 파킹 서비스를 받는 지역까지 이동하는 것 또한 용이하지가 않다.
또한, 발렛 파킹 서비스를 받는 이용자로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의 진위 여부가 의심스러울 경우가 종종 있으며, 차량을 안전하게 보관하는지 의심스러운 경우도 있다. 또한, 발렛 파킹을 제공하는 회사 입장에서는 넓은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주차대행 요원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용을 절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발렛 파킹과 다르게 넓은 지역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광역 주차대행 서비스를 고객에게 시간을 맞추고, 요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인증 기능을 갖추며 최소의 요원을 통해 가장 비용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2158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최적의 기사 배정, 최적의 인도 장소 선정, 최적의 인도 시간을 결정, 최적의 주차장소 선정, 최적의 기사 출발 시간, 기사와 차량의 최적의 이동경로 선정이다. 또한 신뢰성 있는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주차 대행 서비스 대리 기사의 진위 여부와 이용자의 진위 여부를 확인(인증)하여 안전하고 정확하게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가 이용자의 단말기인 제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제1 인증 수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인증 수단을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차량을 인수하기 위한 인수 장소에 관한 정보, 차량을 인수하는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차량을 인수하기 위한 인수 장소에 관한 정보,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기사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을 인수하는 인수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수 장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수 장소에 기초하여 기사의 위치와 업무량, 이동방법에 따른 이동시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기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수 장소와 상기 결정된 기사에 기초하여 기사의 이동 시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인수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수 장소와 상기 결정된 기사에 기초하여 기사와 이용자가 가장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결정된 기사가 언제 인수 장소로 출발해야 하는지를 서버에서 기사의 위치와 기사의 이동 수단, 교통 정보 등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출발시간을 기사의 제2 단말기로 알람을 주는 단계, 기사가 이동하는 교통수단에 따른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기사가 단말기에서 서버가 제공하는 경로에 따라 이용자의 차량을 인수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이용자와 기사가 이용자가 지정하거나 서버가 추천 또는 지정한 장소에서 만났을 경우 이용자는 기사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 소속된 기사가 맞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사 또한 이용자가 상기 서비스를 신청한 이용자가 맞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가 상기 기사에게 근처의 서비스 이용 가능 주차장 중 최적의 주차장 추천하는 단계에서, 이용자의 차량을 인수한 장소에서 주차장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고객이 출차를 요청할 장소, 고객이 출차를 요청할 시간 등을 고려하여, 주차장까지 이동하는 최적의 경로를 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사의 위치를 파악하고 기사가 인수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의 교통량 및 이용자가 희망하는 출차 장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주차장을 결정한다. 또한, 이용자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곳에서 이용자가 출차를 희망하는 곳까지의 교통량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를 제2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기사는 제2 단말기를 통해 주차장까지 이동하는 최적의 경로를 안내해 줄 수 있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선택하여 이동시 도움을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후 고객이 출차를 희망하면 서버는 고객이 희망하는 출차(차량인계) 장소, 출차(차량인계) 시간을 고려하여, 기사의 위치, 주차장의 위치 등을 고려하고, 또한 주차장별 차량을 주차된 공간에서 주차장 밖으로 이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고, 또한, 주차장에서 출차(차량인계)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여 기사가 현재 위치에서 주차장으로 언제 출발해야 하는지 최적의 출발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이 출발 시간을 기사의 제2 단말기로 알람을 주는 단계, 기사가 이동하는 교통수단에 따른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기사가 단말기에서 서버가 제공하는 경로에 따라 이용자의 차량을 인수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태를 촬영한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차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태를 촬영한 화상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제2 인증 수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인증 수단을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차량이 주차될 주차장의 관리인의 단말기인 제3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인증 수단은 바코드(barcode) 또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용자의 단말기인 제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스케쥴링부, 및 제1 인증 수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인증 수단을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인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할 경우, 최적의 인도 장소에서 최적의 인도 시간에 최적의 기사에 의한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사에게 인수 장소(또는 인도 장소)로 출발해야 하는 최적의 시간과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할 경우, 인증 수단을 통하여 상대방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신뢰도 있는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서버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차 대행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기(100), 제1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제3 단말기(700)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버(9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단말기인 제1 단말기(10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1 서버(300)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는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제1 서버(300)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로 명명될 수도 있는 제1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 또는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300)는 제1 인증 수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인증 수단을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100)를 소지한 이용자와 제2 단말기(500)를 소지한 기사는 상대방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하게 차량을 전달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300)는 제2 인증 수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인증 수단을 제2 단말기(500)와 제3 단말기(700)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단말기(500)를 소지한 기사와 제3 단말기(700)를 소지한 주차장 관리인은 상대방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서버(300)의 기능 및 구조에 관하여는 도 2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단말기(50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가 소지하는 단말기이며, 제3 단말기(700)는 이용자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 또는 상기 이용자의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의 관리인이 소지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제2 서버(900)는 상기 이용자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 또는 상기 이용자의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을 관리하기 위한 서버로서 주차장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500) 및 제3 단말기(700)는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PMP, MP3 플레이어, 또는 MP4 플레이어와 같은 핸드헬드 장치(handheld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서버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서버(300)는 스케쥴링부(310), 인증부(330), 기사 정보 관리부(350), 차량 정보 관리부(370) 및 DB(39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서버(300)는 부가 서비스 관리부(38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스케쥴링부(31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 또는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스케쥴링 정보(또는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변경된 스케쥴링 정보(또는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입차를 요청하는 입차 요청 메시지이거나 출차를 요청하는 출차 요청 메시지일 수 있고, 상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는 수신된 스케쥴링 정보 또는 이전에 수신된 변경된 스케쥴링 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스케쥴링부(310)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동작 및 과정은 상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변경된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경된 스케쥴링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동작 및 과정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주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입차 요청 메시지인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하지만,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출차 요청 메시지인 경우에도 동일한 기술적 원리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제1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서비스(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를 식별하기 위한 기사 식별 정보, 차량을 기사에게 인수시키는 인수 장소에 관한 정보, 차량을 기사에게 인수시키는 인수 시간에 관한 정보,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에 관한 정보, 차량을 기사로부터 인도받는 인도 장소에 관한 정보, 및 차량을 기사로부터 인도받는 인도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제1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스케쥴링부(310)는 차량을 인수하기 위한 최적의 인수 장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기사, 차량을 인수하기 위한 최적의 인수 시간, 및 차량을 주차할 주차장을 분석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부(310)는 기사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출발해야 하는 출발 시간 및/또는 인수 장소까지 이동하는 경로에 관한 정보인 경로 정보를 결정하여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케쥴링부(310)는 최적의 인수 장소를 결정할 수 있다. 인수 장소는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차량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도받기 위한 장소를 의미한다. 상기 인수 장소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수 장소는 미리 정해진 장소들 중에서 상기 제1 단말기(100)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장소들은 차량을 인도하거나 인도받기 적합한 장소로써 주차장의 위치, 주차시에 소요되는 시간, 출차시에 소요되는 시간, 교통량, 유동 인구 수, 출차 희망 장소 등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된 장소일 수 있다.
스케쥴링부(310)는 DB(390)에 포함된 기사 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기사 정보, 예컨대 기사의 위치, 업무량, 이동수단, 이동시간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기사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스케쥴링부(310)는 현재 상태가 "대기" 중인 기사들 중 인수 장소에 가장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기사 또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입차 희망 시간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기사들 중 인수 장소에 가장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기사를 서비스를 제공할 기사로 결정할 수 있다. 기사가 인도 장소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이동 방법(도보, 지하철, 택시, 차량), 실시간 교통량 등을 고려하여 예측될 수 있다.
스케쥴링부(310)는 최적의 인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케쥴링부(310)는 결정된 최적의 인수 장소에 결정된 최적의 기사가 도달할 수 있는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최적의 인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최적의 인수 시간은 기사의 현위치, 기사의 이동 수단, 인수 장소 및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스케쥴링부(310)는 결정된 최적의 인수 시간과 결정된 최적의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5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적의 기사가 차량을 인수하기 위해 출발해야 하는 출발 시간과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발 시간 및/또는 이동 경로를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출발 시간은 제2 단말기(500)의 현재 위치, 기사의 이동 수단, 실시간 교통 상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출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기사가 주차장까지의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주차면(주차 공간)까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주차 공간으로부터 주차장 밖으로 차량을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등이 더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단말기(500)는 수신된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인수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를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기사에게 안내할 수 있다. 기사의 현재 위치는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므로, 스케쥴링부(310)에 의한 출발 시간을 결정하는 동작과 결정된 출발 시간과 이동 경로의 제2 단말기로의 송신 동작은 적어도 1회 이상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부(310)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최적의 주차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차장은 인수 장소로부터 시간상으로 또는 거리상으로 가장 근접한 위치에 위치한 주차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인수 희망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스케쥴링부(310)는 가능한 인수 장소들 중에서 상기 인수 희망 장소와 가장 가까운 장소를 인수 장소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부(310)는 DB(390)에 포함된 기사 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기사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기사를 결정할 수 있고, 인수 장소에 결정된 기사가 도달할 수 있는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최적의 인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부(310)는 결정된 기사가 차량을 인수하거나 차량을 인도하기 위해 출발해야 하는 출발 시간 및/또는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발 시간 및/또는 이동 경로를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케쥴링부(310)는 최적의 주차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인수 희망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스케쥴링부(310)는 가능한 인수 장소들과 가능한 기사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수 희망 시간에 서비스 제공 가능한 기사들의 목록과 가능한 인수 장소들의 목록에 관한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목록 중 서비스 제공을 희망하는 기사와 장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는 제1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1 서버(300)로 송신된다. 제1 서버(300)는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부(310)는 결정된 기사가 차량을 인수하거나 차량을 인도하기 위해 출발해야 하는 출발 시간 및/또는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발 시간 및/또는 이동 경로를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케쥴링부(310)는 최적의 주차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인수 희망 기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스케쥴링부(310)는 상기 인수 희망 기사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 정보 및/또는 인수 장소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서비스 제공을 희망하는 장소 및/또는 시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는 제1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1 서버(300)로 송신된다. 제1 서버(300)는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부(310)는 결정된 기사가 차량을 인수하거나 차량을 인도하기 위해 출발해야 하는 출발 시간 및/또는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발 시간 및/또는 이동 경로를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케쥴링부(310)는 최적의 주차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차량을 인도받기 위한 인도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스케쥴링부(310)는 차량을 인수하기 위한 최적의 인수 장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기사, 차량을 인수하기 위한 최적의 인수 시간, 및 차량을 주차할 최적의 주차장을 분석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부(310)는 기사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출발해야 하는 출발 시간 및/또는 인수 장소까지 이동하는 경로에 관한 정보인 경로 정보를 결정하여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최적의 주차장은 상기 인도 장소로부터 시간상으로 또는 거리상으로 가장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주차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스케쥴링부(310)는 인수 장소 결정부, 기사 결정부, 및 인수 시간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사 결정부는 차량을 인수하거나 인도하기 위한 최적의 기사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인수 장소 결정부는 차량을 인수하거나 인도하기 위한 최적의 인수 장소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인수 시간 결정부는 차량을 인수하거나 인도하기 위한 최적의 인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부(310)는 결정된 기사에 대한 정보, 결정된 인수 장소에 대한 정보 및 결정된 인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인증부(330)는 제1 인증 수단을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제1 인증 수단을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330)는 제2 인증 수단을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인증 수단을 제2 단말기(500)와 제3 단말기(700)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인증 수단은 상기 제1 인증 수단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증 수단 또는 상기 제2 인증 수단은 숫자, 문자, 이미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인증 수단 또는 상기 제2 인증 수단은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기인 제1 단말기(100)와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500)에는 동일한 인증 수단인 제1 인증 수단이 전송된다. 상기 제1 인증 수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는 차량을 인도받거나 인도하는 기사가 정당한 기사임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기사는 차량을 인도받거나 인도하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500)와 주차장 관리인의 단말기인 제3 단말기(700)에는 동일한 인증 수단인 제2 인증 수단이 전송된다. 상기 제2 인증 수단을 통하여 상기 기사는 입차하거나 출차하려는 주차장의 관리인이 정당한 관리인임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주차장 관리인은 입차하거나 출차하려는 기사가 정당한 기사임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증 수단과 상기 제2 인증 수단이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과 같이 인간의 눈으로 식별하기 어렵게 구현된 경우에는 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1 인증 수단과 상기 제2 인증 수단을 확인할 수 있다.
기사 정보 관리부(350)는 등록된 기사들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기사 정보 관리부(350)는 등록된 기사들 각각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를 기사 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다.
차량 정보 관리부(370)는 사용자의 차량, 즉 사용자로부터 인수한 차량의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차량의 정보를 차량 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정보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 차량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보 관리부(370)는 상기 차량의 정보를 제2 서버(900) 또는 제2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정보 관리부(3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차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차량의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차량의 현재 위치(주차된 주차장의 위치, 상기 주차장에서의 주차된 구역의 위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 등), 주차 후에 상기 차량을 촬영한 이미지, 차량의 현재 상태(주차중, 세차중, 경정비중 등) 등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에 자동화 설비가 존재하지 않아 차량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즉 제2 서버(9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차량의 정보는 제2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관리부(38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부가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력 업체의 서버로 상기 부가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는 세차, 경정비, 타이어 교환, 주유 등일 수 있다.
DB(390)는 회원 정보 DB, 기사 정보 DB, 주차장 정보 DB, 차량 정보 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 정보 DB에는 사용자, 즉 회원의 신상에 관한 정보, 소유하고 있는 차량에 관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기사 정보 DB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사들 각각의 현재 상태(예컨대, 업무중, 대기중, 예약중 등), 소지하고 있는 운전면허증의 종류(예컨대, 1종 보통, 2종 보통 등)에 관한 정보, 입출차 이력에 관한 정보,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주차장 정보 DB에는 주차 가능한 주차장들 각각의 현황(규모, 위치 등), 현재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 등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 DB에는 서비스를 받고 있는 사용자의 차량에 관한 정보로써, 차량번호, 차종, 현재 위치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차 대행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중복되는 설명의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가 서비스 요청 메시지, 예컨대 입차 요청 메시지를 제1 서버(300)로 송신한다(S100). 제1 단말기(100)를 소지한 이용자가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1 서버(300)로 송신하여야 한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서버(300)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200).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이용자의 차량을 인수하기 위한 인수 장소에 관한 정보,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에 관한 정보,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을 인수하기 위한 인수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용자와 상기 기사 모두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고 결정된 인수 시간에 결정된 인수 장소에서 상기 차량을 인수하거나 인도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서비스 정보의 내용이 변경되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용자는 제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제1 서버(300)로 송신한다(S300).
상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서버(300)는 상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2 단말기(500)로 송신한다(S400).
S500 단계에서, 제1 서버(300)는 제1 인증 수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인증 수단을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600)로 송신한다. 이는 차량을 인수하거나 인도할 때 이용자와 기사의 진위 여부를 서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S600 단계에서, 제1 서버(300)는 제2 인증 수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인증 수단을 제2 단말기(500)와 제3 단말기(700)로 송신한다. 이는 차량을 주차할 때 주차장 관리인과 기사의 진위 여부를 서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기사가 이용자의 차량을 지정된 주차장에 주차한 경우, 상기 기사는 제2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을 촬영한 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상기 차량이 주차된 구역에 관한 정보와 함께 제1 서버(300)로 송신한다(S700). 물론, 상기 영상 정보와 주차된 구역에 관한 정보는 주차장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2 서버(9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100)로부터 출차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출차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제1 단말기(100) 및/또는 제4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제4 단말기는 출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의 단말기를 의미하며, 실시 예에 따라 제2 단말기(500)와 동일한 단말기일 수도 있다. 출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경우, 앞서 설명한 입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바,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제1 단말기
300 : 제1 서버
310 : 스케쥴링부
330 : 인증부
350 : 기사 정보 관리부
370 : 차량 정보 관리부
380 : 부가 서비스 관리부
390 : DB
500 : 제2 단말기
700 : 제3 단말기
900 : 제2 서버

Claims (12)

  1. (a) 서버가 이용자의 단말기인 제1 단말기로부터 입차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버가 상기 입차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차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는 차량을 인수하는 인수 장소에 관한 정보,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에 관한 정보, 상기 차량을 인수하는 인수 시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e) 단계 이전에,
    (b)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장소들 중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장소를 상기 인수 장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e) 단계 이전에,
    (c) 상기 인수 장소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기사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도 장소와 상기 결정된 기사에 기초하여 상기 인도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기사가 상기 인수 시간 이전에 상기 인수 장소에 도착하기 위하여 출발하여야 하는 출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제1 인증 수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인증 수단을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로부터 차량이 주차된 상태를 촬영한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차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태를 촬영한 화상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제2 인증 수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인증 수단을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와 상기 주차장의 관리인의 단말기인 제3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출차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차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10. 이용자의 단말기인 제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스케쥴링부; 및
    제1 인증 수단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인증 수단을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사의 단말기인 제2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는 차량을 인수하는 인수 장소에 관한 정보,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기사에 관한 정보, 상기 차량을 인수하는 인수 시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수 장소를 결정하고, 상기 인수 장소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기사를 결정하고, 상기 인수 장소와 상기 결정된 기사에 기초하여 상기 인수 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50128582A 2015-09-10 2015-09-10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70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582A KR102470255B1 (ko) 2015-09-10 2015-09-10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582A KR102470255B1 (ko) 2015-09-10 2015-09-10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976A true KR20170030976A (ko) 2017-03-20
KR102470255B1 KR102470255B1 (ko) 2022-11-23

Family

ID=58503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582A KR102470255B1 (ko) 2015-09-10 2015-09-10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2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329A (ko) * 2018-12-28 2020-07-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 발렛 주차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인프라 및 차량
KR20200123499A (ko) 2019-04-12 2020-10-30 이근호 발렛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125414A (ko) * 2019-04-23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1421A (ko) * 2020-09-25 2022-04-01 이경민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62967B1 (ko) * 2023-06-26 2024-05-07 박가영 일정 구역 내의 주차대행 발렛 파킹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367A (ja) * 2000-07-04 2002-01-25 Mitsubishi Heavy Ind Ltd 駐車サービスシステム、駐車サービス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70021582A (ko) 2005-08-19 2007-02-23 이천수 대리인에 의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10116913A (ko) * 2010-04-20 201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39372A (ko) * 2010-10-15 2012-04-25 주식회사 케이티 콜택시 및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00747A (ko) * 2013-06-25 2015-01-05 김준호 다수의 개별 주차장을 통합 운용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367A (ja) * 2000-07-04 2002-01-25 Mitsubishi Heavy Ind Ltd 駐車サービスシステム、駐車サービス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70021582A (ko) 2005-08-19 2007-02-23 이천수 대리인에 의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10116913A (ko) * 2010-04-20 201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39372A (ko) * 2010-10-15 2012-04-25 주식회사 케이티 콜택시 및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00747A (ko) * 2013-06-25 2015-01-05 김준호 다수의 개별 주차장을 통합 운용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329A (ko) * 2018-12-28 2020-07-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 발렛 주차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인프라 및 차량
KR20200123499A (ko) 2019-04-12 2020-10-30 이근호 발렛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125414A (ko) * 2019-04-23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358613B2 (en) 2019-04-23 2022-06-14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vehicle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041421A (ko) * 2020-09-25 2022-04-01 이경민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62967B1 (ko) * 2023-06-26 2024-05-07 박가영 일정 구역 내의 주차대행 발렛 파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255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1981B2 (en) Variable bus stops across a bus route in a regional transportation network
US10026042B2 (en) Public parking space remote reservation system
KR20170030976A (ko)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JP6488906B2 (ja) 共用車両管理装置及び共用車両管理方法
US20160133133A1 (en) Vehicle-Parking Services
US20080270305A1 (en) Validation of queue ticke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terminals by near-field communicatons with ticket machines
KR20180043347A (ko) 출행 정보 푸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JP2008268218A (ja) 予約方法
KR102432578B1 (ko) 사용자에게 사업장 이용 편의 정보를 제공하는 레저 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944996B1 (ko) 대행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120053966A1 (en) Detected arrival at navigated destination automatically triggers delivery of arrival notice to third party
KR20110042205A (ko) 수송될 적어도 한 사람과 접촉하여 자동 및 직접적으로 운전자를 배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2164125A (ja) 予約管理システム
JP2004078639A (ja) タクシー呼び出しシステム
JP2006284246A (ja) タクシー経路検索システム
US20120054032A1 (en) Detected arrival at navigated destination automatically triggers delivery of relevant local information to user
KR20070006527A (ko) 택시요금의 협상 및 안심택시 운영에 관한 시스템과 그방법
KR20060089815A (ko) 모바일대리운전서비스 방법
JP2019070966A (ja) 駐車区画提供方法、駐車区画提供システム、駐車区画提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015021A (ko)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37180A1 (ja) 予約管理システム及び予約管理方法
JP2020052836A (ja) 配送経路作成装置
JP2005165757A (ja) 駐車場予約システム
KR20190141533A (ko) 차량 점검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차량점검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92590B1 (ko) 단말을 이용한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