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320A -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320A
KR20170030320A KR1020150127761A KR20150127761A KR20170030320A KR 20170030320 A KR20170030320 A KR 20170030320A KR 1020150127761 A KR1020150127761 A KR 1020150127761A KR 20150127761 A KR20150127761 A KR 20150127761A KR 20170030320 A KR20170030320 A KR 20170030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onut oil
coconut
fermented
o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587B1 (ko
Inventor
권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록리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록리소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록리소스
Priority to KR1020150127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5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C12R1/12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코코넛 밀크, 물, 및 고초균(Bacillus subtilis) 배양물을 혼합하고 발효하며, 비가열 공정을 통해 발효 코코넛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매우 유익한 발효 코코넛 오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발효 코코넛 오일은 피부의 보습과 탄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인자인 Hyaluronan synthase-3 및 Collagen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피부에 유익한 지방산인 리놀렌산과 올레인산의 함량이 높아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코코넛 오일은 항염 인자인 TNF-α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항염 효과를 지니는 소재로서도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ermented coconut oil}
본 발명은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코코넛 밀크, 물, 및 고초균(Bacillus subtilis) 배양물을 혼합하고 발효하며, 비가열 공정을 통해 발효 코코넛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코스야자(또는 코코야자)는 열대 및 아열대 지방의 식물로, 종려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이며 30m 크기까지 자라난다. 코코스야자는 말레이제도가 원산지이고, 열대 지방에서 중요한 경제 식물로 용도가 다양하다. 코코스 야자의 잎은 일반적으로 연료나 바닥에 까는 바닥재, 지붕, 및 모자를 제작하는데 사용하고, 줄기는 각종 건축 용재로 사용되며, 나무껍질은 수지로, 어린 순은 샐러드로 이용된다.
코코넛은 코코스 야자의 열매로 식품 및 산업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코코넛의 겉껍질은 바닷물에 매우 강한 섬유인 코이어(Coir)를 뽑아내는데 사용되고, 열매 내부의 코코넛 워터는 수분을 보충하기 위한 음용수나 음료로 활용된다. 코코넛의 과육은 코코넛 밀크, 코코넛 오일, 조각 코코넛, 코코넛 가루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지고, 이는 요리의 재료, 및 마가린·비누, 양초·화장품 등의 원료로 쓰인다.
한편, 발효는 효소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간단한 화합물로 변화해 자유 에너지를 내놓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효모, 및 곰팡이가 유기물을 분해해서 대사산물을 축적하는 것을 일컫으며, 인간의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대사산물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음식 조리 방법으로 널리 활용되는 기술이다. 김치, 낫토, 장류(간장, 된장, 고추장)를 비롯하여 청주, 맥주, 포도주 등의 각종 주류, 식초, 치즈, 요구르트, 및 젓갈 등이 발효 기술을 이용한 대표적인 식품이다.
신체의 면역력과 피로 조절에 관여하는 오일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중요 영양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미생물의 발효를 통해 인체에 보다 유익한 오일을 제조하는 기술들이 연구되어, 이의 결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5315호, 제10-1080076호 등의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오일의 제조에 미생물을 잘 이용한다면 오일에 함유될 수 있는 인체에 유해하거나 불필요한 성분이 다른 구조로 전환되거나 2차 대사과정을 통해 인체에 매우 유익한 성분들이 생합성될 수도 있어, 특이적인 효과를 나타내거나 품질이 매우 우수한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코코넛으로부터 오일을 제조하는데 미생물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고 다양한 생리활성효과를 갖는 오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53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0076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인체에 유용한 발효 코코넛 오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배양하여 얻어지는 배양물, 코코넛 밀크, 및 물을 혼합하여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코코넛 밀크, 물, 및 상기 배양물은 어느 하나가 먼저 혼합되어야 하는 필연적인 이유는 없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 세 가지의 혼합 우선순위는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코넛 밀크 100부피부에 대해 물 50 내지 200부피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코코넛 밀크와 물의 비율은 고초균에 의해 효율적으로 발효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적합한 비율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로는 고초균을 액체배지에 배양한 배양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 고형배양물 또는 균체만을 회수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나, 배양액을 첨가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발효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고초균을 배양하기 위한 액체배지는 균주의 배양을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어떠한 배지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SM 액체배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배양은 각 균주가 생장곡선의 대수증식기(log phase) 또는 정지기(stationary phase) 상태가 될 때까지 수행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코넛 밀크 100부피부에 대해 상기 배양액 0.1 내지 5부피부를 혼합하는 것이 효율적인 발효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비율을 벗어날 경우 코코넛 밀크에 비해 균체가 적어 충분한 발효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거나 균체가 상대적으로 너무 많아 사멸기(death phase)로 빠르게 전환되어 세포의 사멸로 인해 불필요한 성분들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0 내지 40℃의 온도범위에서 12 내지 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고초균에 의한 발효 효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으며, 발효시간이 너무 짧을 경우 충분한 발효가 이루어지지 못해 발효 코코넛 오일의 생산효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고, 발효시간이 너무 길게 되면 제조공정이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며 과도한 발효로 인해 원치않는 성분들이 생산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정치(靜置)발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정치발효는 교반, 진탕, 관류하거나 하지 않고 발효용기를 정치한 상태에서 발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정치발효방법을 이용하면 원심분리 등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오일층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보다 용이하게 발효 코코넛 오일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배양하여 얻어지는 배양액, 코코넛 밀크, 및 물을 혼합하되, 상기 코코넛 밀크 100부피부에 대해 물 50 내지 200부피부 및 상기 배양액 0.1 내지 5부피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30 ~ 40℃로 12 ~ 48시간 정치 발효하여 상위커드층, 오일층, 하위커드층 및 탈지유층으로 층분리된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층분리된 발효물에서 오일층을 분리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 d) 분리된 오일층을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수득한 오일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커드나 탈지유 등의 불순물이 제거된 보다 순수한 발효 코코넛 오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는 5,000 내지 10,000rpm으로 1 내지 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불순물 제거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여과는 0.1 내지 1 micron의 필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불순물 제거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 코코넛 오일은 널리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는(GRAS, Generally Recongnized as safe) 고초균에 의해 제조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을 포함하므로, 식용 및 화장품 조성물로 장시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매우 유익한 발효 코코넛 오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발효 코코넛 오일은 피부의 보습과 탄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인자인 Hyaluronan synthase-3 및 Collagen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피부에 유익한 지방산인 리놀렌산과 올레인산의 함량이 높아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코코넛 오일은 항염 인자인 TNF-α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항염 효과를 지니는 소재로서도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코넛 밀크 준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흐름에 따른 작업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층커드, 오일, 하층커드, 탈지유 순으로 이루어진 4층의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과 작업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의 독성 측정을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에 의한 Hyaluronan synthase-3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에 의한 Collagen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에 의한 TNF-α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 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은 코코넛 밀크 준비 과정(S100), 코코넛 오일 제조 과정(S200)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이하 첨부된 도 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코코넛 밀크 준비 과정(S100)은 도 1에 도식된 바와 같이, 코코넛 선별 단계(S110), 코코넛 껍질을 벗기는 단계(S120), 코코넛 과육 수득 단계(S130), 코코넛 과육을 조각으로 자르는 단계(S140), 압착 단계(S1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확한 코코넛(학명 Cocos nucifera)은 성숙도와 신선도를 따져서, 미성숙 코코넛과 성숙 코코넛으로 분리한다. 성숙하고 신선한 코코넛만을 선별해 이하의 단계를 진행한다(S110). 코코넛의 껍질은 내과피(endocarp), 중과피(mesocarp), 외과피(exocarp)의 3개의 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딱딱하고 질긴 성질을 지녔다. 따라서 기계와 인력을 함께 이용하여 코코넛의 껍질을 제거한다(S120). 껍질을 제거해 부드러운 코코넛 과육만을 남겨 모은다(S130). 코코넛 과육은 기계를 이용하여 작은 조각으로 자른다(S140). 상기 자른 코코넛 과육은 기계로 압착하여 코코넛 밀크를 얻는다(S150).
상기의 코코넛 밀크 준비과정은, 코코넛 밀크의 신선도를 관리하고 제조과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코코넛 밀크를 구매하여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코코넛 오일 제조 과정(S200)은 도 2에 도식된 바와 같은 순서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코넛 밀크 100L와 물(역삼투 물, RO 수) 100L를 혼합한 다음,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고초균(Bacillus subtilis) 배양액 1L를 바이오 리액터에서 혼합하는 혼합 단계(S210)을 거친다. 코코넛 밀크, 물, 발효균 배양액이 골고루 혼합될 수 있도록 15분 ~ 20분 가량 균질화한다.
상기 혼합 단계를 거친 혼합물은 32℃ ~ 38℃ 온도범위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하는 발효 단계(S220)을 거친다. 상기 발효 단계를 거치고 나면, 도 3에 도식된 바와 같이 상층커드, 오일, 하층커드, 탈지유 순으로 이루어진 4개의 층을 얻을 수 있다(S230). 4개의 층 중에서 오일만을 1차로 추출해 낸다(S240). 상기 추출해낸 오일은 따로 보관 해 둔다(S250). 이어서, 데칸터(Decanter, 경사형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커드와 탈지유로부터 2차로 오일을 추출해 낸다(S260).
1차 및 2차 오일 추출물을 취합(S270)한 다음, 7,300rpm 속도로 원심 분리한다(S280). 원심분리 결과물은 침전물을 제거한 뒤, 0.5micron 필터로 불순물 제거한다(S290).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발효 코코넛 오일은 용기에 충진하고, 뚜껑을 닫아 밀폐시킨다(캐핑). 마지막으로 라벨링 작업을 거치는 포장공정을 통해 완제품으로 유통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험예를 통하여 상기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오일의 효과의 예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비교예]
본 발명에 제조된 오일의 효과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자, 제품화되어 생산되는 버진 코코넛오일을 구매하여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비교예는 시중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버진 코코넛 오일이며, 비정제ㆍ저온 압착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실험방법
하기 실험예 1 내지 3은 본 실험방법에 기초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세포주 배양
HDFa(Human Dermal Fibroblast)는 T-flask 바닥에 접종한 후 페니실린(100IU/㎖), 스테렙토마이신(100㎍/㎖), 10% LSGS(Low Serum Growth Supplement)를 함유는 medium 106을 넣어 37℃, 5% CO2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2) 검액 조제
액상형태로 제공 받은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와 실시예(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을 10%가 되도록 정제수로 용해시킨 뒤 사용배지로 희석하여 농도 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3) 세포 독성 확인 시험
시험 시료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DFa 세포에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ste에 세포를 분주한 다음 세포 배양조건에서 18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검액 및 새로운 배지를 넣고 18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18시간 이후,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도 4).
상기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의 세포 독성은 살아 있는 세포의 mitochondria 활성을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는 MTT Assay에 의해 측정되었다. 하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HDFa 세포에 대해 사용농도 1% 내에서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하기 실험예에서는 세포 독성 확인 시험의 결과에 비추어, 세포 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1] Hyaluronan synthase-3 유전자 발현 확인 시험
상기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의 Hyaluronan synthase-3(HAS-3, 피부보습 인자)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였다.
1-1. 유전자 발현 확인 시험
Hyaluronan synthase-3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검액을 세포에 처리하여 48시간 배양한 뒤 RNA를 추출하여 RT-PCR을 진행하였고, 증폭된 유전자는 Gel documentation system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도 5).
1-2. 시험 결과
Hyaluronic acid(HA)는 탄수화물 형태의 성분으로 진피층 내에서 수분과 결합하여 세포가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진피층의 기질물질의 하나인 HA는 섬유아세포에서 합성되는 물질로 Hyaluronan synthase에 의해 생산된다. 따라서 본 시험 역시 사람 섬유아세포내에서 Hyaluronan synthase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하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무처리군에 비해 Hyaluronan synthase-3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보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에서 더욱 높은 Hyaluronan synthase-3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Collagen 유전자 발현 확인 시험
상기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의 Collagen(주름개선 인자)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였다.
1-1. 유전자 발현 확인 시험
Collagen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검액을 세포에 처리하여 48시간 배양 한 뒤 RNA를 추출하여 RT-PCR을 진행하였고, 증폭된 유전자는 Gel documentation system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도 6).
1-2. 시험 결과
Collagen은 피부, 근육 등 몸 전체를 지탱하고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성분으로 특히 주름의 원인이 되는 피부 속 진피층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본 시험 역시 사람 섬유아세포내에서 Collagen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 1%를 처리하였을 시 Collagen 발현이 약 10%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TNF-α 유전자 발현 확인 시험
상기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의 TNF-α(항염 인자)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였다.
1-1. 유전자 발현 확인 시험
TNF-α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검액을 세포에 처리하여 48시간 배양한 뒤 30분 동안 UVB를 조사하여 세포손상을 유도하였다. 그 후 1일간 배양하여 RNA를 추출하고 RT-PCR을 진행하였다. 증폭된 유전자는 Gel documentation system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도 7).
1-2. 시험 결과
염증은 UVB, Lipopolysaccharide(LPS)와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TNF-α와 같은 염증 관련 Cytokine이 과도하게 생성되면서 유발된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세포에 UVB를 조사하여 염증을 유도한 후 시료처리로 인해 TNF-α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UVB를 처리하였을 때,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TNF-α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세포가 UVB에 의해 염증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액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TNF-α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기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보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에서 TNF-α 발현이 큰 폭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지방산 조성 확인 시험
상기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의 지방산 조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1-1. 분석 방법
본 시험에서는 GC(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불포화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지방산 표준용액은 지방산 혼합(5종) 표준품 10mg을 Hexane 2㎖에 녹여 조제하였다. 상기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 10g에 MeOH 100㎖과 Sodium Methoxide 0.1g을 혼합한 후, 1.5Hr 환류 및 냉각으로 맑은 상층만 취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석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GC 분석 조건
사용기기 YL 6100, 영린기기
검출기 FID detector, 영린기기
컬럼 Phenomenex Capillary Column ZB-1 (30meter, 0.32mmID, 0.25㎛)
주입량 1㎕
Flow 1㎖/min
Split 100:1
Gas N2(질소)
오븐 초기값:50℃, 초기시간 2.0min, 승온속도:4℃/min
→ 최종값:250℃, 최종시간 18min, 분석시간70min
주입구 270℃
검출기 280℃
1-2. 시험 결과
불포화 지방산 Methyl Linoleate와 Methyl Oleate은 피부에 유익한 지방산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불포화 지방산의 조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은 불포화 지방산인 Methyl Linoleate와 Methyl Oleate가 상기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보다 각각 1.21%, 3.34%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 기준 시에는 Methyl Linoleate와 Methyl Oleate가 각각 28%, 12% 증가하였다.
품목 Methyl
Palmitoleate
Methyl
Palmitate
Methyl
Linoleate
Methyl
Oleate
Methyl
Stearate
비교예(버진 코코넛 오일) 0.32 49.11 4.33 27.42 18.82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
0.27 46.67 5.54 30.76 16.76

Claims (10)

  1.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배양하여 얻어지는 배양물, 코코넛 밀크, 및 물을 혼합하여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코코넛 밀크 100부피부에 대해 물 50 내지 200부피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은 고초균을 액체배지에 배양한 배양액이며,
    코코넛 밀크 100부피부에 대해 상기 배양액 0.1 내지 5부피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0 내지 40℃의 온도범위에서 12 내지 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정치(靜置)발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6. a)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배양하여 얻어지는 배양액, 코코넛 밀크, 및 물을 혼합하되, 상기 코코넛 밀크 100부피부에 대해 물 50 내지 200부피부 및 상기 배양액 0.1 내지 5부피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30 ~ 40℃로 12 ~ 48시간 정치 발효하여 상위커드층, 오일층, 하위커드층 및 탈지유층으로 층분리된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층분리된 발효물에서 오일층을 분리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
    d) 분리된 오일층을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수득한 오일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는 5,000 내지 10,000rpm으로 1 내지 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는 0.1 내지 1 micron의 필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효 코코넛 오일.
KR1020150127761A 2015-09-09 2015-09-09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KR101811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761A KR101811587B1 (ko) 2015-09-09 2015-09-09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761A KR101811587B1 (ko) 2015-09-09 2015-09-09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320A true KR20170030320A (ko) 2017-03-17
KR101811587B1 KR101811587B1 (ko) 2017-12-27

Family

ID=5850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761A KR101811587B1 (ko) 2015-09-09 2015-09-09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5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78A (ko) * 2019-04-11 2020-10-21 샘표식품 주식회사 우수한 버터 및 치즈 향미 생성능을 갖는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균주
KR20200140421A (ko) * 2019-06-05 2020-12-16 옥민 발효 및 숙성한 코코넛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8481B1 (ko) * 2020-09-10 2022-02-28 주식회사 피드업 식물성 오일 및 대두박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076B1 (ko) 2009-02-26 2011-11-07 주식회사농심 발효오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5315B1 (ko) 2011-08-26 2015-01-23 (주)다미화학 발효 식물성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4296A (en) * 1980-10-02 1982-06-11 Miragurosu Atakeidoo Reimosu Production of palm o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076B1 (ko) 2009-02-26 2011-11-07 주식회사농심 발효오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5315B1 (ko) 2011-08-26 2015-01-23 (주)다미화학 발효 식물성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78A (ko) * 2019-04-11 2020-10-21 샘표식품 주식회사 우수한 버터 및 치즈 향미 생성능을 갖는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균주
KR20200140421A (ko) * 2019-06-05 2020-12-16 옥민 발효 및 숙성한 코코넛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8481B1 (ko) * 2020-09-10 2022-02-28 주식회사 피드업 식물성 오일 및 대두박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34743A (ko) * 2020-09-10 2022-03-18 주식회사 피드업 식물성 오일 및 대두박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587B1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entka et al. Evaluation of lipid biosynthesis ability by Rhodotorula and Sporobolomyces strains in medium with glycerol
US10188596B2 (en) Omega-7 fatty acid composition, methods of cultivation of tribonema for production of composition and application of composition
Arous et al. A sustainable use of low-cost raw substrates for biodiesel production by the oleaginous yeast Wickerhamomyces anomalus
AU2013316906B2 (en) Oil enriched with arachidonic acid of microorganisms (unicellular fungus Mortierella alpina)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CN104543844A (zh) 一种蓝莓酵素
CN102352323B (zh) 产酯酵母及用该酵母生产小曲清香型调味酒的方法和应用
KR101625163B1 (ko) 자연동굴 조건에서 발효시킨 차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1638608A (zh) 利用微生物制备的烟用无花果香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11587B1 (ko) 발효 코코넛 오일의 제조방법
KR101482873B1 (ko) 액체 발효에 의한 황칠 발효 대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37308B1 (ko) 지방산 쇄 길이 연장 촉진 활성을 갖는 단백질, 이것을 코드하는 유전자 및 그 용도
CN104911116A (zh) 一株酿酒酵母及其在发酵山楂酒中的应用
JP5149812B2 (ja) 脂肪酸合成酵素及びそれをコードするポリヌクレオチド並びにその利用
CN104388439B (zh) 编码酰基‑CoA合成酶同源物的多核苷酸及其用途
CN105505668A (zh) 一种板栗果酒的制备方法
KR101889605B1 (ko) 사카로마이세스 종과 비-사카로마이세스 종의 혼합균을 이용한 향미가 증진된 참다래 와인의 제조방법
Wang et al. Nutritional value and volatiles of the edible mushroom Leucocalocybe mongolica
KR101580107B1 (ko) 버섯균사체 발효 제비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36243A (ko) 수목을 원료로써 사용한 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것에 의하여 얻어진 알코올 용액
KR101540746B1 (ko)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생산방법
KR20200092178A (ko) 초산 생성 능력이 우수한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너스 bgk2018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2258852B1 (ko) 연류 발효추출물 및 슝기트 성분을 함유하여 제공되는 화장비누 및 그 제조방법
Nouska et al.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kefir production using waste pomegranate juice, molasses, and whey.
KR101639467B1 (ko) 신규한 미세조류 오돈텔라 및 이의 용도
KR20130091524A (ko) 높은 이산화탄소 고정능 및 지질 생산능을 가지는 에틀리아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