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270A -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270A
KR20170030270A KR1020150127618A KR20150127618A KR20170030270A KR 20170030270 A KR20170030270 A KR 20170030270A KR 1020150127618 A KR1020150127618 A KR 1020150127618A KR 20150127618 A KR20150127618 A KR 20150127618A KR 20170030270 A KR20170030270 A KR 20170030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orage
rainwater
flow path
storag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595B1 (ko
Inventor
전형우
서병환
박건관
Original Assignee
전형우
박건관
서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우, 박건관, 서병환 filed Critical 전형우
Priority to KR102015012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5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과 내벽으로 구성되어 내측저류공간과 외측저류공간을 구획하되 외벽은 단면이 4각형으로 각각의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며 내벽은 일단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타단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벽과 내벽에 의해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들면서 중공이 형성된 4개의 기둥이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의 조립에 의해 원형단면의 유로가 3방향에서 직교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Rain Water Storage Cell Of Improved Capacity And Coupling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자중을 감소시켜 보관, 이동 및 시공이 용이하고 특히 저류용량을 향상시키면서도 구조적 건전성이 도모되는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함이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고 있으며, 유입허용량을 초과하는 결과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천의 유입량이 적으면 수질이 악화되고 지하수도 고갈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빗물을 일단 현장타설의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제로 구성된 빗물저장시설에 저장하고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중 하나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 평6-272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블록 단체의 경량화를 위하여 저면 저면판부의 네 모서리 기둥의 상단부분에 수평 들보가 설치되고, 전후좌우의 각 수평 들보 사이에 상면 개구부를 형성한 본체부용 블록과, 측면판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면판부와 저면판의 단부 부분을 연결하는 슬리브 벽부를 설치한 ㄷ자 형상의 주변부용블록과, 측면판부의 하단 부분에 저면판부를 연결 설치하여 상단 부분에 상면판부를 연결설치하여 모퉁이 벽부용 블록으로 구성되고, 본체부용 블록군의 측면 개구부가 주변부용 블록으로 폐쇄되며, 수평 들보에 탑재된 뚜껑판으로 본체부 용 블록의 상면 개구부가 폐쇄된다.
그러나, 이러한 빗물 저류조는 각각의 블록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각각의 부분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부분을 조립하여 설치하는데 많은 노동력과 조립시간이 요구되어 시공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85742호는,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 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위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블록과, 조립되었을 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블록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주변부용 블록에 결합되는 슬래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빗물 저류조는 나사부재를 통해 각 블록들 및 슬래브를 결합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본체부용 및 주변부용 블록이 각각 기둥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을 배열할 때 블록들의 기둥이 겹쳐서 불필요하게 두꺼운 기둥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통상 상부와 하부를 하나의 와이어를 매개로 상호 연결하기 때문에 지반이 불균형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공이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에 사용되는 블록은 통상 시공현장에 맞게 별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규격화된 블록의 제작이 곤란하고, 제작된 블록보다 작거나 큰 블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주문하여 시공해야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지진하중 등 횡방향 하중에 대한 보강 및 상재하중 등 종방향 하중에 대한 보강이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콘크리트의 재질에 직접 빗물이 저류됨에 따라 콘크리트 열화의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1994-272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857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빗물저류조의 시공현장 크기 및 범위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여 공기를 줄일 수 있어 시공경제를 도모할 수 있는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 및 조립을 용이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횡방향 및 종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하고 특히 빗물저류용량을 크게 하여 장소적 경제성이 도모되는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은 외벽과 내벽으로 구성되어 내측저류공간과 외측저류공간을 구획하되 외벽은 단면이 4각형으로 각각의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며 내벽은 일단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타단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벽과 내벽에 의해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들면서 중공이 형성된 4개의 기둥이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의 조립에 의해 원형단면의 유로가 3방향에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유닛의 기둥에는 중공이 형성된 삽입돌기와 타 유닛의 기둥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삽입, 체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연결구조는, 상기 저류셀에 있어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유로 중 상기 기둥과 평행한 방향의 유로에는 외벽의 4각 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외벽삽입테두리와 내벽의 원형 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내벽삽입테두리가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종방향연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종방향연결판에는, 상기 내벽삽입테두리 내부에 메쉬가 형성된 제 1여과판이 구성된 여과종방향연결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종방향연결판은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유로 중 기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에는 원형의 유로에 삽입되는 삽입테두리가 양방향으로 형성되는 횡방향연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횡방향연결판에는, 상기 삽입테두리 내부에 메쉬가 형성된 제 2여과판이 구성된 여과횡방향연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유로 중 기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에는 유로의 형상과 대향하는 원통형의 필터가 삽입되며 외측저류공간에는 여재가 충진되어 여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는 한쌍의 유닛에 의해 저류셀이 형성되고, 이러한 저류셀 간 연결판에 의해 적층, 조립됨으로써 시공현장의 크기 및 범위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고 범용성이 뛰어나 현장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저류셀에 내측저류공간과 외측저류공간이 형성되어 저류용량을 배가시키면서도 구조적 건전성이 도모되도록 하고, 중량이 경량화되어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저류셀 간 연결에 있어 연결판에 의해 선택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저류는 물론 초기우수 등의 비점오염원을 제거토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셀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셀에서 각 연결판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방향 연결판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저류셀과 연결판의 적용으로 저류셀의 내측저류공간이 여과모듈로 작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저류셀이 여과모듈로 작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이하 “저류셀”이라함)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벽(23)과 내벽(24)으로 구성되어 내측저류공간(21)과 외측저류공간(22)을 구획하되 외벽(23)은 단면이 4각형으로 각각의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25)가 형성되며 내벽(24)은 일단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타단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벽(23)과 내벽(24)에 의해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들면서 중공이 형성된 4개의 기둥(26)이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2)의 조립에 의해 원형단면의 유로(27, 28, 29)가 3방향에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저류셀(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유닛(2)이 각각 기둥(26)이 대향하도록 조립되어 형성되며 외벽(23)과 내벽(24)에 의해 내측저류공간(21)과 외측저류공간(22)이 구획되어 저류셀(1) 전체에 걸쳐 저류가 되도록 함으로써 저류용량을 크게 가져갈 수 있으며 내측저류공간(21)과 외측저류공간(22)에 동시에 저류가 됨으로써 내벽(24)을 기준으로 양측의 횡방향 수압이 상쇄되어 외측저류공간(22)에 의해 내벽(24)의 변형 등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4개의 기둥(26)은 각각 상,하방향 곡면을 형성하는 개구(25)에 의해 연결이 되는데, 이렇게 4개의 기둥(26)이 직경이 좁아들도록 구성되되, 곡면을 형성하면서 상호 연결이 되도록 직경이 좁아들게 형성되어 상재하중에 대해 각각의 기둥(26)이 하중을 완화시켜 전달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장점이 있다.
상기 저류셀(1)을 형성하는 한쌍의 유닛(2)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외벽(23)과 내벽(24)으로 구성되어 내측저류공간(21)과 외측저류공간(22)을 구획하되 외벽(23)은 단면이 4각형으로 각각의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25)가 형성되며 내벽(24)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상부에 위치하는 유닛(2)을 기준으로 설명)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타단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되 4개의 개구(25)와 연결되도록 하여 외벽(23) 모서리부분과 내벽(24)이 인접하는 개구(25)와 연결되는 부분이 하단부에서 연결되면서 기둥(26)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내측저류공간(21)은 상단에서 원형단면의 내부로 시작하여 하방향으로 넓어지면서 개구(25)을 통해 외부(인접하는 개구)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며 외측저류공간(22)은 상단에서 4각 단면의 외벽(23)과 원형 단면의 내벽(24) 사이에서 시작하여 하방향으로 각각 기둥(26) 내부의 공간을 통해 하단 유닛(2)의 기둥(26)과 연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저류셀(1)은 내측저류공간(21)이 3방향의 유로(27, 28, 29)가 되어 저류는 물론 종방향, 횡방향에서 조립된 인접하는 저류셀(1)과 각각 유로(27,28,29)로 연통하여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에 더하여 외측저류공간(22)에도 저류가 됨은 물론 상,하방향에서 조립된 인접하는 저류셀(1)과 외측저류공간(22)이 연통하도록 하여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조의 저류셀(1)에 의해 자중을 줄여 보관, 운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며 수압의 상쇄와 하중을 완화시키는 구조에 의해 구조적 건전성을 도모하고 특히 저류용량을 크게 가져감으로써 이러한 저류셀(1)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류조 등의 사이즈를 작게 가져갈 수 있어 공간경제에 있어서도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1 저류셀(1)을 조립하기 위한 한쌍의 유닛(2) 간 결합을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닛(2)의 기둥(26)에는 중공이 형성된 삽입돌기(261)와 타 유닛(2)의 기둥(26)에 형성된 삽입돌기(261)가 삽입, 체결되는 수용홈(262)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닛(2) 간 기둥(26)이 대향하도록 하여 강제끼움방식으로 체결이 되도록 한다. 이때 삽입돌기(261)는 중공이 형성되어 수용홈(262)에 체결시도 상,하 기둥(26) 간에는 연통되는 구조가 유지되어 외측저류공간(22)이 기둥(26)을 매개로 연통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류셀(1) 간을 연결하면서 용도에 따라 폐면, 개면, 여과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각종 연결판으로 구성된 연결구조에 대해서도 제시한다.
우선 도 2에서 상기 유로 중 상기 기둥(26)과 평행한 방향의 유로(27)에는 외벽(23)의 4각 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외벽삽입테두리(31)와 내벽(24)의 원형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내벽삽입테두리(32)가 복수의 지지대(3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종방향연결판(3)이 제시된다.
이러한 종방향연결판(3)의 구성에 의해 상,하로 인접하는 저류셀(1) 간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내측저류공간(21) 및 외측저류공간(22)의 동시저류에 의해 내벽(24)의 원형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부(도면상 상부에 위치하는 유닛(2) 기준)를 수압의 상쇄에 의해 잡아주도록 함과 동시에 외벽삽입테두리(31)에 고정된 내벽삽입테두리(32)에 삽입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조립구조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종방향연결판(3)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 종류가 제시된다.
우선 도 2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유닛(2)의 하면에 체결되는 종방향연결판(3-1)은 상기 내벽삽입테두리(32)의 내부를 개구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종방향연결판(3-1)은 상,하 간 저류셀(1)을 연결시키면서 상,하로 연통되는 구조에 의해 물의 유동이 자유롭게 유동토록 하는 것으로 주로 복수의 저류셀(1)을 이용하여 빗물저류조를 구성하는 경우 내부에 위치하는 저류셀(1) 간의 연결에 사용된다.
그 다음으로 도 2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유닛(2)의 상면에 체결되는 종방향연결판(3-2)은 상기 내벽삽입테두리(32) 내부에 메쉬(341)가 형성된 제 1여과판(34)이 구성됨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내벽삽입테두리(32) 내부에 메쉬(341)가 형성된 제 1여과판(34)이 구성된 종방향연결판을 여과종방향연결판(3-2)이라고 정의한다.
도 2에 도시된 여과종방향연결판(3-2)은 복수의 저류셀(1)을 이용하여 빗물저류조를 구성시 최상단의 유닛(2)에 장착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어 하부로 빗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연결판(3-1)이 복수의 세트(3-4)로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1)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1)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예가 제시된다.
도면상 2개의 종방향연결판(3-1)이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종방향연결판(3-1)이 2개가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여과종방향연결판(3-2) 및 이하에서 설명할 여과종방향연결판(3-3)이 일체로 형성된 세트가 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벽삽입테두리(32) 내부에 메쉬(341)가 형성된 제 1여과판(34)이 형성된 여과종방향연결판(3-4)으로 도 2에 도시된 여과종방향연결판(3-2)과 대비 지지대(33) 간 간극이 더 크게 구성되는 점이 다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1) 간의 연결구조로 횡방향연결판(4)이 제시되는 바, 횡방향연결판(4)의 경우도 2가지의 예가 제시된다.
상기 횡방향연결판(4)은 상기 유로 중 기둥(26)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28,29)에 체결되는 것으로 원형의 유로(28,29)에 삽입되는 삽입테두리(41)가 양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첫 번째 횡방향연결판(4-1)은 상기 삽입테두리(41)의 내부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횡방향연결판(4-1)은 횡방향으로 저류셀(1)을 연결시키면서 횡방향으로 연통되는 구조에 의해 물의 유동이 자유롭게 유동토록 하는 것으로 주로 복수의 저류셀(1)을 이용하여 빗물저류조를 구성하는 경우 내부에 위치하는 저류셀(1) 간의 연결에 사용된다.
두 번째가 상기 삽입테두리(41) 내부에 메쉬(421)가 형성된 제 2여과판(42)이 구성된 여과횡방향연결판(4-2)이다. 이러한 여과횡방향연결판(4-2)은 횡방향의 저류셀(1) 간을 연결하면서 입자가 큰 물질이 상기 제 2여과판(42)에 의해 여과가 되면서 저류된 빗물이 유동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종방향연결판(3) 및 횡방향연결판(4)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최외곽에 위치하는 저류셀(1)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완전히 폐면을 형성토록 하여 저류된 빗물이 외부로의 유출을 제어토록 하는 예도 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어느 하나의 저류셀(1)을 여과모듈로 구성하여 저류된 빗물에서 오염물질이 선택된 저류셀(1)에서 여과가 되도록 하여 타 저류셀(1)로 비점이 처리된 상태의 빗물이 저류되도록 하여 빗물저류조 자체에서 비점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류셀(1)에 도면상 상면에는 상기 종방향연결판(3-1)이 장착되도록 하고 하면에는 상기 여과종방향연결판(3-3)이 장착되도록 하면서 측면의 유로(28,29)에는 여과횡방향연결판(4-2)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종방향연결판(3-1)을 통해 내측저류공간(21)으로 유입된 빗물이 저류되면서 종방향으로는 상기 여과종방향연결판(3-3)에 의해 비점이 여과된 빗물이 하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1)의 내측저류공간(21)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횡방향으로는 상기 여과횡방향연결판(3-3)에 의해 전방향에서 비점이 여과된 빗물이 인접하는 저류셀(1)의 내측저류공간(21, 유로(28,29))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선택된 저류셀(1)을 여과모듈로 구성하여 선택된 저류셀(1)을 통과하여 비점이 처리된 빗물이 타 저류셀(1)로 유동 및 저류토록 하여 본 발명의 저류셀(1)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자체가 비점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여과모듈로 선택된 저류셀(1)은 주로 최상단에 위치하여 빗물저류조로 빗물이 유입되는 초입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는 내측저류공간(21)으로 저류된 빗물만이 비점이 처리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전체를 여과시키는 경우 유체의 원활한 유동을 제한하여 빗물이 역류 등이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양의 빗물이 유동 및 저류되는 내측저류공간(21)만이 여과가 수행되도록 하며 외측저류공간(22)에서는 여과없이 빗물이 유동 및 저류가 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어느 하나의 저류셀(1)을 여과모듈로 구성하여 저류된 빗물에서 오염물질이 선택된 저류셀(1)에서 여과가 되도록 하여 타 저류셀(1)로 비점이 처리된 상태의 빗물이 저류되도록 하여 빗물저류조 자체에서 비점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른 예를 제시한다.
도 5에서 제시하는 실시 예는 상기 유로(27,28,29) 중 기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27)에는 유로의 형상과 대향하는 원통형의 필터(5)가 삽입되며 외측저류공간(22)에는 여재가 충진되어 여재층(6)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로(27)를 관통하도록 필터(5)를 삽입시키며 저류셀(1) 중 상부에 위치하는 유닛(2)에 있어 외측저류공간(22)에는 여재를 충진하여 여재층(6)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연결구조는 저류셀(1)에 도면상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종방향연결판(3-1)이 장착되도록 하고 도면상 측면에는 각각 횡방향연결판(4-1)이 장착되도록 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연결구조가 아닌 필터(5)와 여재층(6)에 의해 유입된 빗물이 여과된 후에 필터(5)로부터 여과된 빗물은 타 저류셀(1)의 내측저류공간(21)으로 퍼져나가도록 하고 여재층(6)으로부터 여과된 빗물은 하부의 유닛(2)의 외측저류공간(22)을 통해 타 저류셀(1)의 외측저류공간(22)을 통해 하부로 유동토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는 도 4의 실시 예와 달리 선택된 저류셀(1)에서 내측저류공간(21) 및 외측저류공간(22) 모두에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필터(5) 및 여재층(6)이 형성하는 간극은 각각 유체유동저항을 최소화 하는 범위에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저류셀(1)들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빗물저류조의 외부에 마감재를 더 처리할 수 있는데,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류조의 외부를 감싸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도록 하는 투수형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수형시트는 부직포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데, 폐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폐색현상이란 흙입자가 흙모체로부터 이탈한 후 부직포의 간극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다가 부직포의 간극을 메우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부직포의 통수능을 감소시켜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함이 타당하다.
상기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투수형시트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되도록 하는 기능에 더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빗물저류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도록 하는 차수형시트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수형시트는 EDPM 재질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의 지반 유출 및 외부이물질이 빗물저류조의 내부로의 유입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차수형시트를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의 외부유출을 위해 별도의 배수관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감재에 따라 투수형시트를 빗물저류조의 외부에 설치하여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침투형이라함.)할 수 있으며, 빗물의 지반으로의 침출을 차단하고, 상기 저장된 빗물을 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빗물저류조의 외부를 차수형시트로 감싸서 빗물을 상기 빗물저류조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차수형이라함.)할 수 있는데, 상기 차수형시트는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유출됨이 없으므로 빗물의 압력 등에 의해 차수형시트가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의 내, 외부로 보호용으로 투수용시트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투형과 상기 차수형을 병용하여 구성(이하, 병용형이라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저류셀 2 : 유닛
3 : 종방향연결판 4 : 횡방향연결판

Claims (9)

  1. 외벽과 내벽으로 구성되어 내측저류공간과 외측저류공간을 구획하되 외벽은 단면이 4각형으로 각각의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며 내벽은 일단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타단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벽과 내벽에 의해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들면서 중공이 형성된 4개의 기둥이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의 조립에 의해 원형단면의 유로가 3방향에서 직교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2. 제 1항에 있어서,
    유닛의 기둥에는 중공이 형성된 삽입돌기와 타 유닛의 기둥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삽입, 체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3. 제 1항의 저류셀에 있어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연결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유로 중 상기 기둥과 평행한 방향의 유로에는 외벽의 4각 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외벽삽입테두리와 내벽의 원형 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내벽삽입테두리가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종방향연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연결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연결판에는, 상기 내벽삽입테두리 내부에 메쉬가 형성된 제 1여과판이 구성된 여과종방향연결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연결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연결판은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연결구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유로 중 기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에는 원형의 유로에 삽입되는 삽입테두리가 양방향으로 형성되는 횡방향연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연결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연결판에는, 상기 삽입테두리 내부에 메쉬가 형성된 제 2여과판이 구성된 여과횡방향연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연결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유로의 형상과 대향하는 원통형의 필터가 삽입되며 외측저류공간에는 여재가 충진되어 여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연결구조.
KR1020150127618A 2015-09-09 2015-09-09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 KR10185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618A KR101857595B1 (ko) 2015-09-09 2015-09-09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618A KR101857595B1 (ko) 2015-09-09 2015-09-09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270A true KR20170030270A (ko) 2017-03-17
KR101857595B1 KR101857595B1 (ko) 2018-05-14

Family

ID=5850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618A KR101857595B1 (ko) 2015-09-09 2015-09-09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2174A1 (en) * 2022-05-19 2023-11-23 Urban Water Retention Aps A unit for a module system for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parts for a module system,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a method and a use of a plurality of units for building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99Y2 (ja) 1988-06-24 1994-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位置決め治具
KR100485742B1 (ko) 2004-09-02 2005-04-27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우수 저류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0295A1 (en) * 2008-05-12 2009-11-19 Cudo Stormwater Products, Inc. Modular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99Y2 (ja) 1988-06-24 1994-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位置決め治具
KR100485742B1 (ko) 2004-09-02 2005-04-27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우수 저류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2174A1 (en) * 2022-05-19 2023-11-23 Urban Water Retention Aps A unit for a module system for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parts for a module system,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a method and a use of a plurality of units for building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595B1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9095B (zh) 渗透块
US20140105684A1 (en) Modular Stormwater Storage System
US8123436B2 (en) Underground infiltration tank module
US20090279953A1 (en) Modular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s
KR101896264B1 (ko) 전처리 일체형 조립식 빗물 침투-저류 시설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US20230056371A1 (en) Underground water tanks using modular crates
JP2012057441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KR101857595B1 (ko)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
KR100663798B1 (ko)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KR101997173B1 (ko) 단계적 여과방식 빗물 저류 시스템
JP5832658B2 (ja) 捨石が除去された防波堤構造物
KR101525778B1 (ko)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122344A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KR101020863B1 (ko)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
WO2022249501A1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および雨水貯留浸透施設の堆砂滞留板
KR20160150141A (ko)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JP2012052349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KR101847553B1 (ko) 조립식 침투저류조
KR20170087219A (ko) 끼움 유닛 구조를 가지는 조적식 빗물저류 lid시설
KR102595221B1 (ko) 건습식 복합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 구조체
JP201124702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JP6198446B2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CN211447094U (zh) 一种用于收集雨水储水再利用的城市道路绿化箱
DE20219139U1 (de) Versickerungs- und Rückhalteanlage für Regenwas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