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141A -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141A
KR20160150141A KR1020150086403A KR20150086403A KR20160150141A KR 20160150141 A KR20160150141 A KR 20160150141A KR 1020150086403 A KR1020150086403 A KR 1020150086403A KR 20150086403 A KR20150086403 A KR 20150086403A KR 20160150141 A KR20160150141 A KR 20160150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ter
storage cell
layer
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3824B1 (ko
Inventor
한신인
정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8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8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5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보차도블럭 및 보차도블럭 사이에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블럭으로 형성되는 보차도블럭층; 상기 보차도블럭층 하부에 골재의 다짐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도블럭과 연통하며 상기 유도블럭으로부터 유도된 물을 하방향으로 유도하는 연결구가 게재된 기층; 상기 기층 하부에 복수의 저류셀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를 통해 하방향으로 유도된 물이 저류되도록 하는 저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WATER-PERMEABLE PAVEMENT AND WATER CIRCULATION SYSTEM}
본 발명은 보차도블럭층 및 기층의 특정포인트에서 저류조로 빗물 등이 유도되도록 하여 하방향으로 투수 및 저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투수포장 및 물순환이 가능게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발전과 도시화로 인하여 수질문제가 제기되면서 세계의 많은 도시들은 수질보호를 위해 경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물순환 체계의 필요성을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생태계 보호와 수질 관리에 있어 기존의 물 관리 시스템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홍수 피해, 도시의 비점오염 피해, 지하수 고갈 및 그에 따른 지반 침하현상, 하천의 건천화 등의 여러 문제는 더욱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미국에서 처음 저영향 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이라는 새로운 도시 계획 기법을 제안하였다.(위키백과)
이러한 불투수층의 증가 즉 물순환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의 일 예로서 투수포장구조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04723호는, 스티렌계 아크릴 수지 50 ~ 75 중량%,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 5 ~ 25 중량%, 채움재 5 ~ 10 중량%, 증점제 1 중량%, 소포제 1 중량%, 안정제 1 중량%를 혼합교반하여 제조한 탄성포장용 바인더 20 ~ 25 중량%와; 1 ~ 5㎜ 크기를 갖는 콜크칩 이 혼합되는 탄성칩 75 ~ 80 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포장한 다음, 50 ~ 80℃로 가열된 20 ~ 30㎏의 롤러로 다져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투수 포장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더라도 초기 설치시에는 하방향으로 투수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막힘(clogging)에 의해 하방향 투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상부 표층이 투수층을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표층의 하부에 기층 또는 보조기층은 일반적으로 혼합골재를 사용하여 다짐을 함으로써 표층으로부터의 상재하중에 대한 구조건전성을 도모하는데, 이러한 기층 또는 보조기층은 다짐으로 인해 하방향 투수에 의해 지반으로 빗물 등을 침투시킬 수 없어 표층을 통과한 빗물 등이 표층과 기층 또는 보조기층 사이로 횡방향으로 유동함에 따라 지반으로 즉 하방향 투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러한 횡방향 유동에 의해 표층과 기층 또는 보조기층 사이에 들뜸 등 구조건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047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적 건전성 저하없이 표층 하방향으로 투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이에 더하여 저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투수포장 및 물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은 복수의 보차도블럭 및 보차도블럭 사이에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블럭으로 형성되는 보차도블럭층; 상기 보차도블럭층 하부에 골재의 다짐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도블럭과 연통하고 상기 유도블럭으로부터 유도된 물을 하방향으로 유도하는 연결구가 게재된 기층; 상기 기층 하부에 복수의 저류셀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를 통해 하방향으로 유도된 물이 저류되도록 하는 저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보차도블럭층은 복수의 안치공간이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안치공간에 안치되는 보차도블럭과, 상기 안치공간에 안치되며 상면이 덮개에 의해 개폐가 되고 하면이 개구되는 유도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의 격자와 각각 격자 내주연에서 돌출되는 돌출테두리와 각각 격자에서 돌출테두리에 의해 구획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안치공간과 하부에 형성되는 미끌림방지공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블럭은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의해 상면이 개폐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하면은 폐면을 형성하되 하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월류관이 형성되고, 상기 월류관은 상기 연결구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구 하부에 위치하는 저류셀 내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월류관은 상기 몸체 하면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월류관의 내면에는 여과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월류관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구 하면의 저류셀에 노출되도록 장착이 되며, 상기 월류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여과수단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유로에는 상부에 힌지결합에 의해 힌지연동을 하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저류셀은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직경이 좁아드는 4개의 기둥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 간 각각의 기둥이 접하도록 조립되어 3방향의 직교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류층에 있어 최외곽에 위치하는 저류셀에는 캡이 구성되어 상기 저류층에 유입된 물이 저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은 구조적 건전성의 저하없이 빗물 등이 표층인 보차도블럭층 및 기층을 통해 저류층으로 유입되어 저류되도록 함으로써 하방향 투수 및 저류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하방향 투수 및 저류과정에서 여과가 가능하여 초기우수 등의 비점오염원을 제거토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투수 및 여과를 포인트화 하여 청소 등 사후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들로서 유도블럭, 연결구 및 저류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유도블럭, 연결구 및 저류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저류셀에 있어 유닛의 조립에 의해 저류셀이 형성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저류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연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보차도블럭(21) 및 보차도블럭(21) 사이에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블럭(22)으로 형성되는 보차도블럭층(2); 상기 보차도블럭층(2) 하부에 골재의 다짐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도블럭(22)과 연통하고 상기 유도블럭(22)으로부터 유도된 물을 하방향으로 유도하는 연결구(32)가 게재된 기층(3); 상기 기층(3) 하부에 복수의 저류셀(41)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32)를 통해 하방향으로 유도된 물이 저류되도록 하는 저류층(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차도블럭층(2)에 빗물 등이 보차도블럭(21) 사이에 간헐적으로 게재되는 유도블럭(22)으로 유도되고, 유도블럭(22)에 유도된 빗물 등은 유도블럭(22)과 연통하는 연결구(32)를 통해 기층(3)을 통과하여 하방향으로 투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연결구(32)와 연통하는 저류셀(41)로 유도되어 빗물 등이 저류층(4)에 저류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저류층(4)에 저류되는 물은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할 것이나 도면에서 점선으로 보는 바와 같이 일정시간이 경과후 지반으로 침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1)은 포장구조에서 하방향 투수 및 저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투수포장 및 물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차도블럭층(2)은 복수의 안치공간(233)이 형성된 스페이서(23)와, 상기 안치공간(233)에 안치되는 보차도블럭(21)과, 상기 안치공간(233)에 안치되며 상면이 덮개(221)에 의해 개폐가 되고 하면이 개구되는 유도블럭(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보차도블럭층(2)은 스페이서(23)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보차도블럭(21) 및 유도블럭(22)이 안치되도록 하여 그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페이서(23)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격자(231)와 각각 격자(231) 내주연에서 돌출되는 돌출테두리(232)와 각각 격자(231)에서 돌출테두리(232)에 의해 구획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안치공간(233)과 하부에 형성되는 미끌림방지공간(234)으로 구성되는 예가 제시된다.
여기서 안치공간(233)과 미끌림방지공간(234)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연통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23)를 구성하는 이유는 각각의 격자(231)에 보차도블럭(21)과 유도블럭(22)의 안치가 안치공간(233)을 통해 용이하게 시공되도록 하는 것이며, 하부에 미끌림방지공간(234)을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연결구(32) 상부가 미끌림방지공간(234)에 삽입(안치)되도록 하여 유도블럭(22)과 연결구(32) 간의 견고한 연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유도블럭(22)과 연결구(32)의 상,하 견고한 고정을 통해 유도블럭(22)과 연결구(32) 간의 하방향 투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연결구(32)가 게재되지 않는 미끌림방지공간(234)의 경우는 기층(3)을 형성하는 다짐골재(31)의 상부가 게재되도록 함으로써 기층(3)과 보차도블럭층(2) 간의 미끌림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고 상부의 지속적인 군집하중 또는 교통하중을 분산시켜 기층(3)의 평탄성이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기층(3)내로 침투된 빗물의 횡방향 유동속도를 저하시켜 다짐골재(31) 중의 세립질 성분이 세굴되어 기층(3) 상부와 보차도블럭층(2)의 부분적 홀형성 등 구조적 건전성 저하포인트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도블럭(22)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덮개(221)와 몸체(222)로 구성되는데 상기 몸체(222)는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상단부에 복수의 삽입홀(222-1)이 형성되어 삽입몸체(221-2)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단(221-3)이 복수로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삽입홀(222-1)로 상기 삽입단(221-3)이 삽입하므로써 몸체(222)에 덮개(221)가 체결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삽입홀(222-1)의 길이는 상기 삽입단(221-3)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하여 체결시 몸체(222)의 측면부에 수평방향 관통공을 조성하여 보차도 블록간의 간격을 빗물 침투유로로 이용하는 틈새블록에 있어서 측면부를 통한 몸체(222) 하단부로도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221)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221-1)이 복수로 형성되어 보차도블록간의 틈새유로가 미세 입자 등에 의한 막힘현상으로 측면 유입배수성능이 저하될 경우 덮개(221)상부 측에서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몸체(222)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면이 폐면을 형성하되 하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월류관(32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222)로 유도된 물은 상기 월류관(322)을 통해 상기 연결구(32) 하부에 위치하는 저류셀(41)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222)에는 상기 몸체(222)에 착탈이 가능한 월류관(322)이 구성되는데, 상기 몸체(222)는 상면이 개구되고 하면이 폐면을 형성하되 하면에는 월류관(322)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체결관(222-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월류관(322)은 상기 체결관(222-2)에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체결에 의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월류관(322)은 상기 연결구(32)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구(32) 하부에 위치하는 저류셀(41)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월류관(322) 하단에는 여과수단(322-1)이 장착되도록 하여 월류관(322) 내부로 월류된 빗물 등으로부터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유도블럭(22) 및 월류관(322)의 작동상태를 보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물 등은 상기 유도블럭(22)에서 상기 덮개(221)에 형성된 관통공(221-1) 및 상기 몸체(222)에 형성된 삽입홀(22-1)의 하단부로 유입되어 상기 몸체(222) 내부로 유도되는데, 상기 몸체(222)에서는 수위가 높아져 감에 따라 상기 월류관(322)으로 빗물 등이 월류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빗물 등에 혼입된 비교적 비중이 큰 이물질(S1)은 상기 몸체(222) 하면에 침전이 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월류관(322)으로 월류된 빗물 등은 상기 월류관(322) 하부의 여과수단(322-1)에 의해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S2)이 걸러지도록 하여 상기 월류관(322)이 관통하는 연결구(32) 하부의 저류셀(41)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기작에 의해 포장구조에서 하방향 투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침전 및 여과에 의해 특히 오염도가 높은 초기 빗물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여 비점오염의 처리수단으로서의 기능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여과수단(322-1)은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월류관(322) 및 덮개(3221)가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몸체(222)에 이물질의 침적 및 상기 여과수단(322-1)의 폐색 등의 경우 그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여 유지 및 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8에서는 상기 월류관(322)의 다른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월류관(322)의 하단부에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유로(322-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바이패스유로(322-2)에는 상부에 힌지결합에 의해 힌지연동을 하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322-2)를 개폐하는 개폐부(322-3)가 형성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유로(322-2) 및 개폐부(322-3)를 구성하는 이유는 빗물 등의 유입량이 많은 경우 여과수단(322-1)이 월류관(322) 하부로 빗물의 유동을 제어함에 따라 월류관(322)으로 유입된 빗물 등이 역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역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빗물 등의 유입량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도 4에서 보는 작용기작에 따라 빗물 등은 저류셀(41)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월류관(322)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유입량이 많은 경우 유입된 빗물 등의 압력으로 상기 개폐부(322-3)가 힌지연동에 의해 바이패스유로(322-2)를 열도록 하여 월류관(322)으로 유입된 빗물 등은 바이패스유로(322-2)를 통해 저류셀(41)로 유입되도록 하여 빗물의 역류를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층(3)은 골재(31)의 다짐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보차도블럭층(2)으로부터의 상재하중을 완화시켜 구조적 건전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즉 상기 기층(3)은 다짐에 의해 불투수층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단, 상기 기층(3)에는 연결구(32)가 게재되도록 하여 하방향 투수의 포인트로서 작용하게 한다.
상기 연결구(32)는 상기 유도블럭(22)과 연통하여 하부의 저류셀(41)로 빗물 등이 유도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연결구(32)에는 삽입공(321)이 형성되어 상기 유도블럭(22)으로부터의 상기 월류관(322)이 상기 삽입공(321)을 관통하도록 하여 연결구(32) 하부의 저류셀(41)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32)는 유도블럭(22) 하부에서 월류관(322)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사후적으로 청소를 위해 월류관(322)을 탈착하는 경우 골재(31)가 저류셀(4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저류층(4)은 저류셀(41)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저류셀(41)은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412-1)가 형성되어 직경이 좁아드는 4개의 기둥(412-3)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원형의 개구(412-2)가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412) 간 각각의 기둥이 접하도록 조립되어 3방향의 직교하는 유로(41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류셀(41)이 종횡으로 적층, 조립됨으로써 완성되는 것으로 우천시 그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유로(411)에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거나 지반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유닛(412)은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412-1)가 4개 형성되어 직경이 좁아드는 4개의 기둥(412-3)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원형의 개구(412-2)가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4개의 기둥(412-3)은 각각 하방향 곡면을 형성하는 개구(412-1)에 의해 연결이 되는데, 이렇게 4개의 기둥(412-3)이 직경이 좁아들도록 구성되되, 곡면을 형성하면서 상호 연결이 되도록 직경이 좁아들게 형성되어 상재하중에 대해 각각의 기둥(412-3)이 하중을 완화시켜 전달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유닛(412)이 각각 기둥(412-3)이 대향하도록 조립이 되어 저류셀(41)이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저류셀(41)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교하는 3개의 유로(41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저류층(4)은 복수의 저류셀(41)이 적층, 조립되어 복수의 저류셀(41) 내부의 유로(411)가 상호간에 연통되어 우천시 빗물이 저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됨은 물론 다방향으로 빗물이 유동하도록 구성되어 지반으로 침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저류층(4)을 구성함에 있어 복수의 저류셀(41)이 적층, 조립되는데 다양한 구성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최외곽에 위치하는 저류셀(41)의 경우 유로(411)를 차단하여 전체 저류층(4)에서 빗물이 저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외곽에 위치하는 저류셀(41)의 유로(411)를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캡(42)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캡(42)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유로(411) 형상에 대향하는 차단판(421)과 차단판(421)을 연결하는 연결대(422)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캡(42)은 인접하는 저류셀(41)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기능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저류셀(41) 유로(411) 차단 및 인접하는 저류셀(41) 간 연결(체결)의 기능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각각 유닛(412)에는 캡(42) 체결홈(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홈에 차단판(421) 및 연결대(422)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유닛(412)이 조립되고 이러한 조립에 의해 인접하는 저류셀(41)이 유로(411)가 차단되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유로(411)로서 저류셀(41)의 도면상 상,하에 위치하는 유로(411)의 경우는 상기 차단판(421)이 외측에서 유로(411)를 차단하도록 부착됨으로써 인접하는 저류셀(41) 간을 유로(411)를 차단하면서 상,하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는 연결캡(43)도 제시되고 있는데, 연결캡(43)은 연결관(431)과 상기 연결관(431)을 연결하는 제 2연결대(432)로 구성되는데, 연결캡(43)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상 횡방향으로 4개 X 4개(도면상)의 저류셀(41) 모듈 간을 체결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인접하는 모듈에서 각각 유닛(412)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에 각각 연결관(431)과 제 2연결대(432)가 삽입되도록 하여 모듈 간이 측면으로 연통하면서 연결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의 시스템 2 : 보차도블럭층
3 : 기층 4 : 저류층

Claims (8)

  1. 복수의 보차도블럭 및 보차도블럭 사이에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유도블럭으로 형성되는 보차도블럭층;
    상기 보차도블럭층 하부에 골재의 다짐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도블럭과 연통하고 상기 유도블럭으로부터 유도된 물을 하방향으로 유도하는 연결구가 게재된 기층;
    상기 기층 하부에 복수의 저류셀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를 통해 하방향으로 유도된 물이 저류되도록 하는 저류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차도블럭층은,
    복수의 안치공간이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안치공간에 안치되는 보차도블럭과, 상기 안치공간에 안치되며 상면이 덮개에 의해 개폐가 되고 하면이 개구되는 유도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격자형의 프레임과 각각 격자 내주연에서 돌출되는 돌출테두리와 각각 격자에서 돌출테두리에 의해 구획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안치공간과 하부에 형성되는 미끌림방지공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블럭은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의해 상면이 개폐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하면은 폐면을 형성하되 하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월류관이 형성되고, 상기 월류관은 상기 연결구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구 하부에 위치하는 저류셀 내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관은 상기 몸체 하면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월류관의 내면에는 여과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관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구 하면의 저류셀에 노출되도록 장착이 되며, 상기 월류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여과수단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로에는 상부에 힌지결합에 의해 힌지연동을 하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셀은,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직경이 좁아드는 4개의 기둥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 간 각각의 기둥이 접하도록 조립되어 3방향의 직교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층에 있어 최외곽에 위치하는 저류셀에는 캡이 구성되어 상기 저류층에 유입된 물이 저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및 물순환 시스템.
KR1020150086403A 2015-06-18 2015-06-18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시스템 KR10183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03A KR101833824B1 (ko) 2015-06-18 2015-06-18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03A KR101833824B1 (ko) 2015-06-18 2015-06-18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141A true KR20160150141A (ko) 2016-12-29
KR101833824B1 KR101833824B1 (ko) 2018-03-05

Family

ID=5773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403A KR101833824B1 (ko) 2015-06-18 2015-06-18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8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4081A (zh) * 2017-05-19 2017-08-15 东南大学 生态型街道排水结构
CN111501462A (zh) * 2020-04-24 2020-08-07 广州市新茵园林绿化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渗水板的地面系统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723B1 (ko) 2006-08-04 2007-04-09 정홍기 탄성 투수 포장체 및 탄성 투수 포장체 포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4496A (ja) * 2004-06-04 2005-12-15 Mamoru Hirose 自然循環水生平板ブロック
JP2009052261A (ja) * 2007-08-27 2009-03-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貯水ユニット及びこの貯水ユニットを用いた保水性舗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723B1 (ko) 2006-08-04 2007-04-09 정홍기 탄성 투수 포장체 및 탄성 투수 포장체 포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4081A (zh) * 2017-05-19 2017-08-15 东南大学 生态型街道排水结构
CN111501462A (zh) * 2020-04-24 2020-08-07 广州市新茵园林绿化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渗水板的地面系统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824B1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0929B2 (en) Ground water filtration system
US9506233B2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with gutter pan flow diverter
KR101051778B1 (ko) 우수저장 블록, 집수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우수처리 시스템
KR101703319B1 (ko) 빗물 침투 시설
KR20180071063A (ko) 집수식 투수블록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KR20180017990A (ko)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KR101833824B1 (ko)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시스템
JP2009127359A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333120B1 (ko)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KR100922895B1 (ko)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우수 유입구에 적용가능한 우수여과장치
KR101331596B1 (ko) 초기 강우 정화 침투 수로관
KR101380776B1 (ko)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20160087099A (ko) 마제형 아치 형상을 갖는 교량용 배수장치
KR101725468B1 (ko) 콘크리트 식생블록을 이용한 원기둥형 교각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110125562A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737730B1 (ko) Lid형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KR20100059750A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0949478B1 (ko)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78238B1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865757B1 (ko) 저영향개발형 수처리장치
KR101020863B1 (ko)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
KR101261122B1 (ko)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
JP2011038241A (ja) 雨水分流枡
KR10105565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여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침투도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