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808A -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808A
KR20170029808A KR1020150126862A KR20150126862A KR20170029808A KR 20170029808 A KR20170029808 A KR 20170029808A KR 1020150126862 A KR1020150126862 A KR 1020150126862A KR 20150126862 A KR20150126862 A KR 20150126862A KR 20170029808 A KR20170029808 A KR 20170029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et board
pet
envelope
corn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선
Original Assignee
문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선 filed Critical 문종선
Priority to KR102015012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808A/ko
Publication of KR2017002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fibres or chip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or with an outer layer of fibres 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은 PET 보드에 열을 가하여 상기 PET 보드의 표면을 용융시키는 PET 보드의 표면 용융단계; 표면이 용융된 PET 보드의 표면에 외피를 배치하는 외피 배치단계; 및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 쪽으로 압착시켜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외피 접착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Fiber board manufacturing method and fiber board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용 섬유보드 표면에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외피를 접합하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색상의 변화가 없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외피가 잘 떨어지지 않고 제조 시 자동화 제조가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PET 보드와 외피가 접착된 상태에서 절삭 부분의 품질 저하 없이 모서리 커팅이 가능하고, PET 보드의 색상부분을 자연스럽게 노출 시켜 접합부의 경계면에 뚜렷한 구분선을 부여함으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있으면서도 깔끔한 시공을 이끌어낼 수 있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표면에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외피를 접합하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용 섬유보드는 방음, 단열, 인테리어의 목적을 위해 건축물의 내장재로 사용되는 보드(board)이다.
통상의 건축물용 섬유보드는 도 1 및 도 2에 이미지로 나타난 것처럼 견고한 판상체로 된 PET 보드(1)의 외면에 방염처리가가 된 벽포지용 원단 합성수지의 외피(2)를 덧씌운 형태를 갖는 것을 많이 사용한다.
이때, 외피(2)는 PET 보드(1)의 전면에서 측면을 덮어 후면에서 고정되는데 이러한 외피(2)를 PET 보드(1)의 후면에 고정시킬 때, 종래에는 접착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바르거나 살포 후 즉시 접합효과가 나타나는 편리성 때문에 담황색 유성본드를 사용하여 왔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이 본딩(bonding) 작업을 통해 외피(2)를 PET 보드(1)에 고정시켜 왔다.
그런데, 종래의 본딩 기술로 외피(2)를 PET 보드(1)에 고정시켜 건축물용 섬유보드를 제조할 경우, 아래와 같은 무수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첫째, 유성본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하다. 실제, 건축물용 섬유보드가 천장이나 벽면에 시공되고 그 내부에서 사람이 생활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본드로 인한 새집증후군, 아토피 피부염 등의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둘째, 사용되는 유성본드의 색상이 담황색이라서 시간이 지나면 본딩된 부분이 본드와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되어 색상이 변화되기 때문에 건축물용 섬유보드의 외관이 깔끔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다시 말해, 건축물용 섬유보드의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셋째, 접착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외피(2)가 PET 보드(1)에서 잘 떨어진다.
종래에는 주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PET 보드의 표면과 외피 안쪽에 본드를 분사한 후 압착하여 접합시키거나, 회전 롤러 표면에 유성본드를 일정 간격으로 뭍혀 외피와 PET보드를 부분 접합한 후 열로 건조시킨 방식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 방법은 부분접합 상태 이므로 외부 충격시 쉽게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따라서 접합 상태가 쉽게 손상된다.
넷째, 도 1 및 도 2처럼 외피(2)를 PET 보드(1)의 후면으로 접어야만 본딩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외피(2) 및 본드가 낭비될 수밖에 없다.
다섯째, 도 1 및 도 2처럼 외피(2)를 PET 보드(1)의 후면으로 접어서 본딩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현저히 낮다.
특히 수동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가 있는데, 본드의 접착성이 유지되는 동안 접착되는 제품을 수차례 뒤집어야하고, 모서리 부분의 겹치는 외피를 짤라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여섯째, 도 1 및 도 2처럼 외피(2)를 PET 보드(1)의 후면으로 접어서 본딩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존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 기계 자동화의 구현이 불가능하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5137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6654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10332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434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색상의 변화가 없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외피가 잘 떨어지지 않고 자동화 제조가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PET 보드와 외피가 접착된 상태에서 절삭 부분의 품질 저하 없이 모서리 커팅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깔끔한 시공을 이끌어낼 수 있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PET 보드에 열을 가하여 상기 PET 보드의 표면을 용융시키는 PET 보드의 표면 용융단계; 표면이 용융된 PET 보드의 표면에 외피를 배치하는 외피 배치단계; 및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 쪽으로 압착시켜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외피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외피 접착단계 이후에,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를 형성시키는 모서리 커팅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커팅부의 커팅각도는 45도혹은 타원형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은, PET 보드의 표면에 외피를 배치하는 외피 배치단계; 및 상기 외피와 상기 PET 보드에 열을 가하면서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 쪽으로 열압착시켜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열압착에 의한 외피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외피 접착단계 이후에,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를 형성시키는 모서리 커팅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커팅부의 커팅각도는 45도 혹은 타원형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은, PET 보드의 표면에 접착필름을 배치하는 접착필름 혹은 접착 부직포 배치단계; 상기 접착필름 혹은 접착 부직포 상에 외피를 배치하는 외피 배치단계; 및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 쪽으로 압착시켜 상기 접착필름 혹은 접착 부직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외피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표면에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외피를 접합하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외피 접착단계 이후에,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를 형성시키는 모서리 커팅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커팅부의 커팅각도는 45도 혹은 타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색상의 변화가 없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외피가 잘 떨어지지 않고 자동화 제조가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외피와 PET 보드와 접합이 된 상태에서 모서리 커팅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 및 시공 속도를 향상 시킬 있으면서도 연결부의 깔끔한 외관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의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의 입체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3의 벽면 혹은 천장 시공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3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의 입체 이미지, 도 4는 도 3의 정면 이미지, 도 5는 도 3의 천장 시공 이미지, 도 6은 도 3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8은 도 6의 측면도, 도 9는 도 5의 정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10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보드(110)의 표면에 외피(120)가 접착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100)표면에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외피를 접합하는 제조방법에는 종전처럼 본드가 전혀 사용되지 않으며, 측면에 모서리 커팅부(11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건축물용 섬유보드(100)는 도 5 및 도 9와 같이 벽 또는 천장에 시공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100)에는 측면에 모서리 커팅부(11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9처럼 줄눈 간격이 커질 수 있으며 외피와 건축물용 섬유보드의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줄눈 간격이 커지면 건축물용 섬유보드(100)들의 배열이 강조되면서 눈에 잘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가 향상되기에 충분하다.
PET 보드(110)는 열가소성 소재이며, 가벼우면서도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데에 탁월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PET 보드(110)가 정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나 PET 보드(11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외피(120)는 천연소재일 수도 있고 합성소재일 수도 있으며, 이들의 혼합소재일 수도 있다. 특히, 외피(120)는 염색이라든지 색상이 쉽게 가미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기술의 경우, 외피(120)로 PET 보드(110)를 둘러싼 후에 유성본드로 외피(120)를 접착시켜 왔기 때문에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종래기술의 경우, 외피(120)가 PET 보드(110)를 둘러싸는 구조이기 때문에 먼저 PET보드의측면에 모서리 커팅부(111)를 형성시킨 이후 외피를 감싸는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 질 수 밖에 수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후술하는 것처럼 PET 보드(110)의 일측 표면을 용융시켜 외피(120)를 접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모서리 가공이 충분히 가능하다. 즉 PET 보드(110)와 외피(120)가 일체로 접합되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모서리 커팅하여도 외피와 PET 보드의 연결부분이 깨끗하게 절단되어 모서리 커팅부(111)를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5 및 도 9와 같이 벽 또는 천장에 시공할 경우,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축물용 섬유보드(100)는 PET 보드의 표면 용융단계(S11), 외피 배치단계(S12), 외피 접착단계(S13), 모서리 커팅부 형성단계(S14)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PET 보드의 표면 용융단계(S11)는 PET 보드(110)에 열을 가하여 PET 보드(110)의 표면을 용융시키는 과정이다.
PET 보드(110)의 표면을 용융시킬 때, 열원으로 불꽃, 혹은 히터(heater)를 사용할 수도 있고, 열 롤러(heat roll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외피 배치단계(S12)는 표면이 용융된 PET 보드(110)의 표면에 외피(120)를 배치하는 과정이다. 이때는 PET 보드(110)의 표면 면적만큼 외피(120)를 배치하면 된다.
외피 접착단계(S13)는 외피(120)를 상기 PET 보드(110) 쪽으로 압착시켜 외피(120)를 PET 보드(110)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과정이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금형이나 롤러를 이용할 수 있다.
모서리 커팅부 형성단계(S14)는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111)를 형성시키는 과정이다.
이때는 압착식 절단기, 혹은 원형회전 절단장치, 대패형 절단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모서리 커팅부(111)의 커팅각도는 45도 혹은 타원형일 수 있다.
이하, 건축물용 섬유보드(100)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일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PET 보드(110)에 열을 가하여 PET 보드(110)의 표면을 용융시킨다(S11). 그런 다음, 표면이 용융된 PET 보드(110)의 표면에 외피(120)를 배치한다(S12).
다음, 외피(120)를 PET 보드(110) 쪽으로 압착시켜 외피(120)를 PET 보드(110)의 표면에 접착시킨다(S13).
그리고는 절단기 등을 이용해서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111)를 형성시킴으로써(S14), 도 3의 이미지와 같은 형태의 건축물용 섬유보드(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종전처럼 유성본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
둘째, 종전처럼 유성본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더라도 건축물용 섬유보드(100)가 변색되지 않는다.
셋째, 외피(120)가 열에 의해 PET 보드(110)에 압착되면서 접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피(120)가 PET 보드(110)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다.
넷째, PET 보드(110)의 사이즈만큼만 외피(120)가 사용되기 때문에 외피(120)가 낭비되지 않는다.
다섯째, 앞서 기술한 것처럼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111)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이 PET 보드에 모서리를 커팅한 후 외피를 감싸는 방법에 비해 시공 속도가 현저히 빨라지고, PET보드와 외피의 색상이 같게 혹은 다르게 할 수 있어, 이러한 방식에 의한 모서리 커팅부(111)로 인해 깔끔한 시공을 이루어낼 수 있다.
여섯째, 수작업뿐만 아니라 기계 자동화의 구현이 가능하다.
종전 방법에 의할 경우 PET 보드의 모서리를 커팅한 후 외피를 감쌀 때 약간의 장력의 변동이나 압착정도, 방향에 따라 모서리 커팅부의 품질이 현저히 차이가 남으로 인해 수작업에 의존하는데, 유성본드가 단시간에 용매가 증발하여 그 접착성능을 단시간만 이용할 수 있어,기계 자동화 구현이 아주 곤란하기 때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2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우선, PET 보드(210)의 표면에 외피(220)를 배치한다(S21).
그런 다음, 외피(220)와 PET 보드(210)에 열을 가하면서 외피(220)를 PET 보드(210) 쪽으로 열압착시켜 외피(220)를 PET 보드(210)의 표면에 접착시킨다(S22). 즉 PET 보드(210)를 미리 가열하여 표면이 용융된 상태에서 외피(220)와 동시에 열압착시켜 외피(220)를 PET 보드(210)의 표면에 접착시킨다.
다음,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211)를 형성시킴으로써 (S23), 도 12와 같은 건축물용 섬유보드(20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색상의 변화가 없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외피가 잘 떨어지지 않고 자동화 제조가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PET 보드에 모서리를 커팅한 후 외피를 감싸는 방법에 비해 시공 속도가 현저히 빨라지고, PET보드와 외피의 색상이 같게 혹은 다르게 할 수 있어, 이러한 방식에 의한 모서리 커팅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있으면서도 깔끔한 시공을 이끌어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섬유보드(3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우선, PET 보드(310)의 표면에 접착필름(330)을 배치한다(S31). 그런 다음, 접착필름(330) 상에 외피(320)를 배치한다(S32).
다음, 외피(320)를 PET 보드(310) 쪽으로 열압착시켜 접착필름(330)을 매개로 하여 외피(320)를 PET 보드(310)의 표면에 접착시킨다(S33).
그런 다음,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311)를 형성시킴으로써(S34), 도 14와 같은 건축물용 섬유보드(30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색상의 변화가 없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외피가 잘 떨어지지 않고 자동화 제조가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PET 보드에 모서리를 커팅한 후 외피를 감싸는 방법에 비해 시공 속도가 현저히 빨라지고, PET보드와 외피의 색상이 같게 혹은 다르게 할 수 있어, 이러한 방식에 의한 모서리 커팅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있으면서도 깔끔한 시공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건축물용 섬유보드 110 : PET 보드
111 : 모서리 커팅부 120 : 외피

Claims (12)

  1. PET 보드에 열을 가하여 상기 PET 보드의 표면을 용융시키는 PET 보드의 표면 용융단계;
    표면이 용융된 PET 보드의 표면에 외피를 배치하는 외피 배치단계; 및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 쪽으로 압착시켜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외피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접착단계 이후에,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를 형성시키는 모서리 커팅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커팅부의 커팅각도는 45도 혹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되 유성본드가 사용되지 않으며 측면에 모서리 커팅부가 형성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5. PET 보드의 표면에 외피를 배치하는 외피 배치단계; 및
    상기 외피와 상기 PET 보드에 열을 가하면서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 쪽으로 열압착시켜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열압착에 의한 외피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접착단계 이후에,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를 형성시키는 모서리 커팅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커팅부의 커팅각도는 45도 혹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되 유성본드가 사용되지 않으며 측면에 모서리 커팅부가 형성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9. PET 보드의 표면에 접착필름을 배치하는 접착필름 혹은 접착 부직포 배치단계;
    상기 접착필름 상에 외피를 배치하는 외피 배치단계; 및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 쪽으로 압착시켜 상기 접착필름 혹은 접착 부직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외피를 상기 PET 보드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외피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접착단계 이후에,
    둘레면을 따라 모서리를 커팅하여 모서리 커팅부를 형성시키는 모서리 커팅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커팅부의 커팅각도는 45도 혹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되 담황색 유성본드가 사용되지 않으며 측면에 모서리 커팅부가 형성되는 건축물용 섬유보드.
KR1020150126862A 2015-09-08 2015-09-08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 KR20170029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62A KR20170029808A (ko) 2015-09-08 2015-09-08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62A KR20170029808A (ko) 2015-09-08 2015-09-08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808A true KR20170029808A (ko) 2017-03-16

Family

ID=5849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862A KR20170029808A (ko) 2015-09-08 2015-09-08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980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370A (ko) 1999-11-08 2001-06-25 가네꼬 히사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30066543A (ko) 2003-07-16 2003-08-09 윤승기 풍선을 이용한 꽃 장식방법 및 풍선을 이용한 꽃 장식
KR20040103328A (ko) 2003-05-28 2004-12-08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경화성 수지 조성물, 보호막 및 보호막의 형성 방법
KR20090043478A (ko) 2009-03-24 2009-05-06 박세천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370A (ko) 1999-11-08 2001-06-25 가네꼬 히사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40103328A (ko) 2003-05-28 2004-12-08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경화성 수지 조성물, 보호막 및 보호막의 형성 방법
KR20030066543A (ko) 2003-07-16 2003-08-09 윤승기 풍선을 이용한 꽃 장식방법 및 풍선을 이용한 꽃 장식
KR20090043478A (ko) 2009-03-24 2009-05-06 박세천 알코올을 이용한 낚시미끼 포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2563B2 (ja) 端面を閉鎖したプラスチック中空板とその製造方法
RU2016102419A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в форме трусов
US10160165B2 (en) Three-dimensional printer with an inverted cutting surface and a movable platform for creating layered objects
KR20170029808A (ko) 건축물용 섬유보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물용 섬유보드
JP2004002253A (ja) フェイスマスク
CN205652521U (zh) 一种便携式包装盒
WO2008117146A3 (en) Heating apparatus
KR101740659B1 (ko) 붙임머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5020306A (ja) ラッピング化粧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896912B1 (ko) 단열벽지 제조장치
CN207863187U (zh) 一种墙板连接结构
JP3185038U (ja) 縁なし薄畳
KR20090128367A (ko) 커버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5120624A (ja) 縁なし畳及びその製法
TWM546305U (zh) 紙袋加工機
CN111988723A (zh) 布艺音箱壳体的制造工艺
JP6846695B2 (ja) 障子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13221B1 (ko) 장식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패널
US20110250391A1 (en) Needlepoint system
JP2007176151A (ja) 組子シート及びその製作方法
CN203864133U (zh) 一种织物与epe的复合板材
JP5791174B2 (ja) 化粧シート
KR20130006196U (ko) 접착 가능한 조립식 종이모형
KR20100095707A (ko) 화장실용 복합패널
JP3047349U (ja) 塗り絵シート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