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616A - 차량 구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구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616A
KR20170029616A KR1020177004254A KR20177004254A KR20170029616A KR 20170029616 A KR20170029616 A KR 20170029616A KR 1020177004254 A KR1020177004254 A KR 1020177004254A KR 20177004254 A KR20177004254 A KR 20177004254A KR 20170029616 A KR20170029616 A KR 2017002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member
shaft
holding port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027B1 (ko
Inventor
미키코 스즈키
히로유키 콘도
히로유키 나카고시
미츠아키 쿠리타
하지메 타카모리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2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차량구속장치는 차량의 휠허브에 착탈이 자유롭게 취부되는 허브취부부, 상기 허브취부부에 접속되는 축에 결합되는 축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차량지지부재 유지부, 및 상기 차량지지부재유지부에 연결되고 차량을 지지하는 한쌍의 차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차량구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지지부재유지부는 상기 한쌍의 차량지지부재중 일방 제1차량지지부재와 연결되는 환상의 제 1 지지부재와, 타방 제2차량지지부재와 연결되는 환상의 제2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축에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제1축베어링과 제2축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로 일체로 중첩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 구속 장치{VEHICLE RESTRAINT DEVICE}
본 발명은 모의 주행상태에 있는 차량을 샤시다이나모미터상에 재치시켜 평가시험을 행할 때, 그 차량을 샤시다이나모미터상에서 구속시키기 위한 차량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샤시다이나모미터상에 재치된 차량을 모의 주행상태에서 평가시험을 행하는 경우에 그 차량은 안전상, 예를 들어, 특허문헌1 등에 개시되어 있는 차량구속장치에 의해 구속되어진다. 특허문헌 1은 차량의 휠허브에 차량구속장치의 플랜지샤프트를 고정시켜 플랜지샤프트와 연결된 차량지지부재를 차량의 전후방향만 고정시키고, 상하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플랜지 샤프트와 상대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된 차량구속장치이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을 개시하지는 않았지만 특허문헌1의 기술과는 다른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구속장치가 있다. 이 종래의 차량구속 장치는 허브취부부가 그 중앙에 접합된 축을 외측으로 연장시켜 돌출시킨 형태로, 외주를 허브볼트로 고정시켜 휠허브에 취부되어 있다.
또한, 타원 형상의 차량지지부재유지부가 그 허브취부부에 외측으로부터 덮는 형태로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차량지지부재유지부는 상기 축의 선단측이 삽입된 하나의 축베어링에 의해 허브취부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되어 있다. 차량지지부재유지부에는 두개의 차량지지부재가 축베어링을 중심에 끼워넣은 그 외주에 장반경측에 따른 양단부(제1단부,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차량의 측부에서 보면, 각 차량지지부재는 휠허브를 중앙에 배치시킨 대략 八자형상으로 취부되어, 제1단부와 피트바닥과의 사이를, 그리고 제2단부와 피트바닥과의 사이를 각각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샤시다이나모미터상에서 행하는 차량의 평가시험중에는, 예를 들면, 차체의 횡방향 떨림(요오잉등), 코너 주행시에 생기는 차륜의 횡마모 등의 시험도 있고, 이러한 시험에서는 차체의 측부측(횡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이 차량구속장치에 필요하다.
특허문헌1의 기술은 이러한 기능이 없어서, 차량의 폭방향에 대하여 차량 지지부재를 구속하지 않게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차륜의 횡마모시험 등의 평가시험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 실시예에 따른 차량구속장치에서는 샤시다이나모미터상의 차량이 평가시험중에 급속히 가속이나 감속을 하면 차량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따라서 차량지지부재유지부가 허브취부부와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버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차량지지부재유지부의 회전을 추종하여 차량이 전후방향으로 약간 움직여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2-18963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평가시험중 샤시다이나모미터에 재치된 차량을 차량의 전후 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확실히 구속가능한 차량구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차량구속장치는, 차량의 휠허브에 착탈이 가능하게 취부한 허브취부부와, 상기 허브취부부에 접속되는 축에 결합한 축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차량지지부재유지부와, 상기 차량지지부재유지부에 연결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한쌍의 차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차량구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지지부재유지부는 상기 한쌍의 차량지지부재중 일방 제1차량지지부재와 연결되는 환상의 제1지지부재와, 타방 제2차량지지부재와 연결되는 환상의 제2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축에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된 제1축베어링과 제2축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로, 일체로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샤시다이나모미터상에 재치된 차량으로 시험중, 급격한 가속도가 발생하면, 피칭 등, 차량의 관성력에 기인한 외력이 차량지지부재유지부에 작용한다, 이때, 차량지지부재유지부에서는 제1차량지지부재와 제2차량지지부재가 교차하는 축의 축심이 휠허브의 회전 중심과에 일치하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외력이 발생하여도 차량지지부재유지부에 토오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급격한 가속도가 차량에 수반되어도 차량지지부재유지부가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차량이 샤시다이나모미터위에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없어진다.
또한, 차량의 측부에서 보면, 한쌍의 차량지지부재가 휠허브를 중심으로 대략 八자형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바닥면과의 사이를 각각 경사지게 설치하면, 한쌍의 차량지지부재에 의해 차량의 측부측(횡측)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차량구속장치는 차체 전방으로부터의 풍력 및 그에 의한 진동 등의 평가시험 외에 차체의 횡방향 진동(요오잉 등), 코너주행시에 발생하는 차륜의 횡마모 등의 평가시험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은 스플라인이 형성된 스프라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취부부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스플라인부에 취부되어, 상기 축의 축심을 따라 상기 스플라인부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구속장치가 휠허브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차량시험을 행하는 피트바닥에 고정하는 부분과 차량지지부재유지부와의 거리를 미세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각각 장방향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샤시다이나모미터상에서 시험을 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트레드와 타이어 외경이 차종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발명의 차량구속장치는 차량 휠허브에 적절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의 차폭방향의 양측에는 레일이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바닥에 부설되어, 상기 레일에 걸림지지되는 레일 코마가 상기 레일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 및 상기 레일 코마가 상기 제1차량지지부재에 대하여, 연결하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반대쪽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차량지지부재에 대하여, 연결하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반대쪽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구속장치는 샤시다이나모미터상에서 시험을 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휠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차종을 대상으로 차량의 휠허브에 적절히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차량구속장치에 따르면 평가시험중 샤시다이나모미터상에 재치된 차량을 차량의 전후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확실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구속장치의 정면 부분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A 방향에 따른 부분 생략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에서의 차량지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피트고정부재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5는 레일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구속장치를 차량에 취부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7은 도6의 측면도이다.
도8은 도1에서 차량구속장치의 차량지지부재의 신축기능을 셜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구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10은 종래의 차량구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구속장치에 대하여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구속장치는 모의 주행상태로 차량의 평가시험을 행할 때 샤시다이나모미터의 롤러 위에 재치시킨 차량을 안전을 위해 구속하는 장치이다.
차량구속장치(1)는 차량(90)의 휠허브(91)에 착탈이 자유롭게 취부된 허브취부부(10)와, 상기 허부취부부(10)에 접속되는 축(20)에 결합된 축베어링(25A)(제1축베어링)과 축베어링(25B)(제2축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와, 상기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에 연결되어 차량(90)을 지지하는 한쌍의 차량지지부재(40)를 구비한다.
허브취부부(10)는 휠허브(91)에 구비된 모든 (예를들어 5개) 허브볼트(도시생략)에 각각 수나사부너트(12)의 암나사(13)를 결합하고 관통공(11)을 삽입하여 통과시킨 상기 수나사부너트(12)의 수나사(14)와 너트(15)를 체결하여 휠허브(91)에 취부되어진다.
축(20)은 스플라인이 형성된 스플라인부(21)와, 두개의 축베어링(25A, 25B)이 나란히 배열되어 취부된 축베어링 결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허브취부부(10)와 축(20)은 스플라인부(21)에서 스플라인결합되고, 허브취부부(10)가 축(20)의 축심(X)을 따라 스플라인부(21)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그에 따라 차량구속장치(1)가 휠허브(9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피트바닥의 레일(4)과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와의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축베어링(25A, 25B)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 축베이링이다. 축베어링(25A)의 내륜과 축베어링(25B)의 내륜은 각각 축베어링결합부(22)에 결합되고 서로 구속함이 없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있다. 축베어링(25A,25B)의 외륜은 축베어링(25A,25B)의 내륜에 대해 각각 자유로운 상태로 유지부재(27)에 결합되어 있다.
유지부재(27)는 원통상으로 형성된 원통부와 그 원통부의 축선방향일단부(도1에서 좌측)에 직경방향 내외에 단턱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협지부재(28)는 대략 원반상으로 형성된 원반부와 그 원반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단턱부 및 원반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단턱부를 구비하고 있다. 협지부재(28)는 체결볼트(29)로 볼트체결되고 유지부재(27)의 원통부에 취부되어진다. 그에 따라 축베어링(25A, 25B)은 유지부재(27)의 내측 단턱부와 협지부재(28)의 내측 단턱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유지부재(27)의 외주부에는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가 취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는 한쌍의 차량지지부재(40)중, 일방 제1차량지지부재(41)와 연결부(31a)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환상의 제1지지부재(31)와, 타방 제2 차량지지부재(42)와 연결부(32a)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환상의 제2지지부재(32)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는 축(20)에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된 두개의 축베어링(25A,25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협지부재(28)의 외측단턱부와 협지부재(28)의 외측단턱부의 지지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일체로 중첩되어있다.
차량지지부재(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차량지지부재(41)와 제2차량지지부재(4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차량지지부재(40)로 통칭한다.
차량지지부재(40)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의 연결부(31a, 32a)와 핀(4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41a, 42a)와, 후술하는 피트고정부재(51)의 연결부(51a)와, 핀(5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41b. 42b)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지지부재(40)에는 사다리꼴형 우나사(45)가 연결부(41a, 42a)측에 장방향으로 연하여 배설되고, 우나사와 좌나사 차이를 제외하고 사다리꼴형 우나사(45)와 동일한 사양의 사다리꼴형 좌나사(46)가 연결부(41b, 42b)측에 장방향으로 배설되어진다. 사다리꼴형 우나사(45)와 사다리꼴형 좌나사(46)를 벌려놓은 위치로 되도록 치합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치합부(44)는 그 일방측에서 사다리꼴형 우나사(45)의 일부와 치합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타방측에서 사다리꼴형 좌나사(46)의 일부와 치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치합부(44)는 예를들면, 차량지지부재(40)의 장방향에 연하여 제1축선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구, 또는 상기 제1 축선과 직교하는 제2 축선을 중심으로 핸들을 회전시키는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이와 같은 회전을 치합부(44)에 부여하는 것에 의해 사다리꼴형 우나사(45)와 사다리꼴형 좌나사(46)가 동시에 치합부(44)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차량지지부재(40)를 신축시킨다.
즉, 사다리꼴형 우나사(45)와 사다리꼴형 좌나사(46)에 대하여 치합부(44)의 치합위치가 동시에 치합부(44)를 중심으로 사다리꼴형 우나사(45)와 사다리꼴형 좌나사(46)가 근접 또는 이격되는 것에 의해 차량지지부재(40)의 길이가 자유롭게 조정된다.
도6 및 도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샤시다이나모미터(2)를 설치한 피트의 바닥에는 레일(4)이 각 1열, 차량(90)의 차폭방향의 양측에 차량(90)의 전후방향으로 부설되어 있다. 레일(4)은 도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트바닥면보다 아래쪽으로 요홈 설치되고 레일 코마(55)의 하단부(56)와 걸림가능한 걸림부(4a)를 상부에 구비하고 있다.
레일 코마(55)는 하단부(56)를 레일(4)의 걸림부(4a)에 걸리게 하여 레일(4)에 대하여 차량(90)의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가능하게 된다.
레일코마(55)의 암나사(57)와 피트고정부재(51)의 수나사(52)가 체결됨에 따라 차량지지부재(40)는 레일(4) 상면에 와셔(58)가 당접한 상태로 레일(4)에 취부되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구속장치(1)는 샤시다이나모미터(2)의 롤러(3)위에 재치된 차량(90)의 모든 차륜의 휠허브(91)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어, 차량지지부재(40)가 피트바닥의 레일(4)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어진다. 특히 레일코마(55)가 레일(4)위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차량구속장치(1)는 휠베이스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차종을 대상으로 차량(90)의 휠 허브(91)에 장착가능하다.
도8은 차량지지부재의 신축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차량(90)의 차종에 따라 트레드와 타이어 외경이 다르다. 차량구속장치(1)의 고정에는 트레드와 타이어의 외경이 모두 비교적 큰 차량(90)의 경우에는 차량구속장치(1)가 레일(4)에 근접하기 때문에 사다리꼴형 우나사(45)와 사다리꼴형 좌나사(46)에 대하여 양방향 모두 동수로 동시에, 치합부(44)와 치합하는 나사산의 수를 늘리는 조정을 행하여 차량지지부재(40)의 길이를 짧게 한다(도8(a)).
또한, 타이어 외경이 비교적 큰 반면에, 트레드가 비교적 작은 차량(90)의 경우에는 도8(a)에서 보여지는 경우에 비하여 차량구속장치(1)가 레일(4)에서 멀어진다. 그 때문에 사다리꼴형 우나사(45)와 사다리꼴형 좌나사(46)에 대하여 양방향 모두 동수로 동시에, 치합부(44)와 치합하는 나사산의 수를 줄이는 조정을 행하여 차량지지부재(40)의 길이를 길게 한다.(도8(b))
또한, 타이어 외경이 비교적 작은 반면에, 트레드가 비교적 큰 차량(90)의 경우에는 차량구속장치(1)가 레일(4)에 근접하기 때문에 사다리꼴형 우나사(45)와 사다리꼴형 좌나사(46)에 대하여 양방향 모두 동수로 동시에, 치합부(44)와 치합하는 나사산의 수를 늘리는 조정을 행하여 차량지지부재(40)의 길이를 짧게 한다(도8(c)).
또한, 트레드와 타이어 외경이 모두 비교적 작은 차량(90)의 경우에는 도8(c)에서 보여지는 경우에 비하여 차량구속장치(1)가 레일(4)에서 멀어진다. 그 때문에 사다리꼴형 우나사(45)와 사다리꼴형 좌나사(46)에 대하여 양방향 모두 동수로 동시에, 치합부(44)와 치합하는 나사산의 수를 줄이는 조정을 행하여 차량지지부재(40)의 길이를 길게 한다.(도8(d))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구속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구속장치(1)는 차량(90)의 휠허브(91)에 착탈이 자유롭게 취부되는 허브취부부(10)와, 상기 취부허브부(10)에 접속되는 축(20)에 결합되는 두개의 축베어링(25A,25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와, 상기 차량지지부재 유지부(30)에 연결되어 차량(90)을 지지하는 한쌍의 차량지지부재(40)를 구비한다.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는 한쌍의 차량지지부재(40)중 일방 제1 차량지지부재(41)와 연결되는 환상의 제1 지지부재(31)와, 타방 제2차량지지부재(42)와 연결되는 환상의 제2지지부재(32)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부재(31)와 제2 지지부재(32)는 축(20)의 축베어링결합부(22)에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된 두개의 축베어링(25A,25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로 일체로 중첩되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구속장치(1)에 따르면, 샤시다이나모미터(2)의 롤러(3)상에 재치된 차량(90)으로 시험중에 급격한 가속도가 생기면, 피칭 등, 차량(90)의 관성력에 기인한 외력이 휠허브(91)에 장착된 차량구속장치(1)의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에 작용한다. 이 경우에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에서는 도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차량지지부재(41)와 제2차량지지부재(42)가 교차하는 축(20)의 축심(X)이 휠허브(91)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외력이 발생하여도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에 토오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급격한 가속도가 차량(90)에 수반되어도 차량지지부재 유지부(30)의 회전이 억지될 수 있어서, 차량(90)의 차륜이 샤시다이나모미터(2)의 롤러(3)상으로부터 전후 방향(도7에서 좌우방향)으로 움직여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6 및 도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차량(90)의 측부에서 볼 때, 한쌍의 차량지지부재(40)(제1차량지지부재(41), 제2차량지지부재(42))가 휠허브(91)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八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피트바닥에 있는 레일(4)과의 사이에 각각 경사지게 설치하면 한쌍의 차량지지부재(40)에 의해 차량(90)을 측부(횡측)(도6에서 상하방향)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서, 차량구속장치(1)는 차량전방으로부터의 풍력, 그에 수반된 진동 등의 평가시험외에 차체의 횡방향 진동(요오잉 등), 코너주행시에 생기는 차륜의 횡마모 등의 평가시험에도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차량구속장치(1)에 따르면, 평가시험중 샤시다이나모미터(2)의 롤러(3)상에 재치된 차량(90)을 차량의 전후방향(도6, 좌우방향) 및 폭방향(도6, 상하방향)에 대하여 확실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다고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구속장치를 장착한 차량의 시험중에는 급격한 가속도가 발생하면 도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차량의 관성력에 기인한 외력(F)에 의해 차량지지부재유지부(130)가 허브취부부에 대하여 회전하여 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즉, 차량지지부재유지부(130)에서는 도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차량지지부재(141)와 제2차량지지부재(142)가 휠허브(91)의 회전 중심에 있는 축심(X)에 일치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외력(F)이 발생하면 차량지지부재유지부(130)에 토오크가 발생하여 버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회전이 발생하면, 타원 형상의 차량지지부재유지부(130)의 장반경측에 있는 양단부(제1단부 C1, 제2단부 C2)에 연결된 제1 차량지지부재(141)와 제2차량지지부재(142)가 축심(X)을 중심으로 하는 차량지지부재 유지부(130)의 회전을 추종하여 교차하여 버리고 차량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차량구속장치(1)에서는 전술한 외력(F)이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에 작용하여도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에 토오크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지지부재유지부(30)가 회전할 수 없고 제1차량지지부재(41)와 제2차량지지부재(42)가 교차하는 것도 없어서, 샤시다이나모미터(2)상에 재치된 차량(90)은 확실히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차량구속장치(1)는 차량(90)을 샤시다이나모미터(2)의 롤러(3)상에 재치시켜 평가시험을 행할 때, 전후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차량(90)을 확실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평가시험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차량구속장치(1)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기 때문에 평가시험의 작업성도 향상된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말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의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 예를 들면, 차종에 따라 휠허브(91)의 외경(허브볼트의 피치 외경)이 다른 복수종의 차량(90)에 대응하기 위해, 평가시험대상으로 되는 차량의 허브볼트의 피치외경에 대응한 관통공(11)의 피치외경으로 복수종의 허브취부부(10)를 형성하여, 그 복수종의 허브취부부(10)로, 접속되는 축(20)의 스플라인부(21)에 자유롭게 교환 가능하다.
(2)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베어링(25A,25B)이 볼 축베어링이지만 축베어링은 본 실시형태이외에도 예를들면, 롤러베어링 등도 좋고, 두개의 축베어링에 있어서, 내륜끼리 축에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되고 쌍방으로 외륜이 그 내륜과 상대적으로 자유롭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3)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휠허브(91)에 설치된 허브볼트의 수를 5개로 예시하였지만 허브볼트의 수는 평가시험의 대상으로 되는 실제 차량의 허브볼트 수에 따라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가시험중 샤시다이나모미터위에 재치된 차량을 차량의 전후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확실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차량구속장치 4: 레일
10: 허브취부부 20: 축
21: 스플라인부 25A: 축베어링(제1축베어링)
25B: 축베어링(제2축베어링) 30: 차량지지부재유지부
31: 제1지지부재 32: 제2지지부재
40: 한쌍의 차량지지부재 41: 제1차량지지부재
42: 제2차량지지부재 55: 레일 코마
90: 차량 91:휠허브
X: 축심

Claims (4)

  1. 차량의 휠허브에 착탈이 자유롭게 취부되는 허브취부부, 상기 허브취부부에 접속되는 축에 결합되는 축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차량지지부재 유지부, 및 상기 차량지지부재유지부에 연결되고 차량을 지지하는 한쌍의 차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차량구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지지부재유지부는 상기 한쌍의 차량지지부재중 일방 제1차량지지부재와 연결되는 환상의 제 1 지지부재와, 타방 제2차량지지부재와 연결되는 환상의 제2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축에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제1축베어링과 제2축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로 일체로 중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구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스플라인이 형성된 스플라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취부부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상기 스플라인부에 취부되고 상기 축의 축심을 따라 상기 스플라인부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구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각각 장방향의 길이가 자유롭게 조정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구속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차량의 차폭 방향의 양측에는 레일이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바닥에 부설되고, 상기 레일에 걸림지지된 레일 코마가 상기 레일에 대하여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배설되고,
    상기 레일코마는 상기 제1차량지지부재에 대하여, 연결되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반대측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하여, 연결되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반대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장치.
KR1020177004254A 2014-11-28 2015-11-17 차량 구속 장치 KR101923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0981A JP6304766B2 (ja) 2014-11-28 2014-11-28 車両拘束装置
JPJP-P-2014-240981 2014-11-28
PCT/JP2015/082255 WO2016084655A1 (ja) 2014-11-28 2015-11-17 車両拘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616A true KR20170029616A (ko) 2017-03-15
KR101923027B1 KR101923027B1 (ko) 2018-11-28

Family

ID=5607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254A KR101923027B1 (ko) 2014-11-28 2015-11-17 차량 구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04766B2 (ko)
KR (1) KR101923027B1 (ko)
CN (1) CN107076642B (ko)
WO (1) WO201608465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9639U (ko) 1986-05-26 1987-12-02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148Y2 (ko) * 1985-11-15 1991-11-20
JPH0411151Y2 (ko) * 1986-10-21 1992-03-19
JP2576967Y2 (ja) * 1991-05-08 1998-07-23 株式会社明電舎 車両固定装置
DE29817113U1 (de) * 1998-09-24 1998-12-03 Fag Automobiltechnik Ag Vorrichtung zum Prüfen von Radnaben
DE19923340C2 (de) * 1999-05-21 2003-03-27 Audi Ag Vorrichtung zum Halten eines Fahrzeuges mit an einer Radachse eines Fahrzeugrades angreifenden Fesselungsmitteln
JP2003114172A (ja) * 2001-10-04 2003-04-18 Meidensha Corp 固定補助具
DE102006030299B3 (de) * 2006-06-30 2008-01-10 Audi Ag Vorrichtung zur Fesselung eines Fahrzeuges auf einem Fahrzeugprüfstand
KR101567616B1 (ko) * 2008-03-03 2015-11-09 엠티에스 시스템즈 코포레이숀 차량용 구속 시스템
JP5109852B2 (ja) * 2008-07-22 2012-12-2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ハブユニットのフランジ面振れ測定治具及び面振れ測定方法
DE102009056157B4 (de) * 2009-11-27 2018-10-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sselung eines Prüffahrzeuges in einem Prüfstand
CN202221381U (zh) * 2011-09-01 2012-05-16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商用车高速行驶操控性能试验防侧翻装置
CN203216725U (zh) * 2013-03-11 2013-09-25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防侧翻装置
JP2015121485A (ja)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不二工機 圧力セ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9639U (ko) 1986-05-26 1987-12-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02712A (ja) 2016-06-02
CN107076642A (zh) 2017-08-18
WO2016084655A1 (ja) 2016-06-02
JP6304766B2 (ja) 2018-04-04
KR101923027B1 (ko) 2018-11-28
CN107076642B (zh)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8917B2 (en) Multifunctional system for the self-recovery of wheeled vehicles
JP6941628B2 (ja) 自動車のダイナモメータ試験で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676231B2 (en) Aircraft wheel rim with removable flange
JP2017509524A (ja) 横力を支持する支持面を有する部品連結装置
KR101923027B1 (ko) 차량 구속 장치
US9796225B2 (en) Method of preparing a tire for mounting
KR101688215B1 (ko) 자동차 허브용 풀러
KR101473565B1 (ko) 휠 베어링의 허브와 아웃트레이스의 코킹 결합구조
JP2009180289A (ja) ボルトの回り止め構造
KR20110127952A (ko) 자동차용 코너모듈
CN206796996U (zh) 用于免充气轮胎的两片式轮毂
US201402386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Tire
RU2684245C2 (ru) Колесо
KR20160036744A (ko)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디스크 체결장치
US8961027B1 (en) Hub bearing
US9757981B2 (en) Broken axle recovery apparatus
KR20140142885A (ko) 휠 베어링과 등속조인트의 아웃트레이스 체결구조
JP2003114172A (ja) 固定補助具
JP2015020463A (ja) 車両のアクスル固定治具
JP6594723B2 (ja) シャシダイナモメータ
CN207000033U (zh) 机器人的从动轮机构
JP4482733B2 (ja) 車輪脱落防止クランプ
JP2022117680A (ja) 脱輪防止構造および車輪装置
JP2005271611A (ja) ランフラットホイール
US1397813A (en) Wheel-rim-clamping device for automobile-t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