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127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127A
KR20170028127A KR1020150125007A KR20150125007A KR20170028127A KR 20170028127 A KR20170028127 A KR 20170028127A KR 1020150125007 A KR1020150125007 A KR 1020150125007A KR 20150125007 A KR20150125007 A KR 20150125007A KR 20170028127 A KR20170028127 A KR 2017002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aying
motion
accommodating por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975B1 (ko
Inventor
서인혁
오영기
엄선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975B1/ko
Priority to PCT/KR2016/001075 priority patent/WO2017039088A1/en
Priority to AU2016316285A priority patent/AU2016316285B2/en
Priority to CN201610072988.1A priority patent/CN106498656A/zh
Priority to US15/065,970 priority patent/US20170067199A1/en
Publication of KR2017002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Y02B40/50

Abstract

본 발명은 제1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교반부와 제2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수용부 제1세척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시키는 제1모션 및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물이 상기 제1수용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수용부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제2투입구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로 유입되게 하는 제2모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 등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데, 의류처리장치를 오래 사용하면 터브 내부와 드럼 외주면에 이물질이 고착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드럼과 터브를 세척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제1수용부와 의류가 저장되는 제2수용부의 세척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물이 제1수용부의 내주면과 제2수용부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한 후 제2수용부로 유입되게 하는 모션(Wave Force motion)을 통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세척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용부 내부에 구비된 교반부를 회전시켜 수류를 발생시키는 모션을 통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세척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용부의 회전시키면서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모션(Jet Spray Motion)을 통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세척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제1투입구,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제2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투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제2투입구,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교반부와 상기 제2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수용부 제1세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시키는 제1모션; 및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물이 상기 제1수용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수용부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제2투입구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로 유입되게 하는 제2모션;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제1수용부에 의류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만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과 상기 제2모션은 교번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제1모션과 상기 제2모션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제2모션과 상기 제1모션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제2모션, 상기 제1모션 및 상기 제2모션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의 완료 후 진행되는 수용부 제2세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단계;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상기 분사단계, 상기 배수단계 및 상기 회전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는 시간구간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상기 제1배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수용부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단계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에 분사하도록 구비된 분사부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과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중심 사이에 위치된 제1지점에서 상기 모서리와 상기 제2투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지점까지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급수원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에 분사하되 연결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의 노즐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제1투입구,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제2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투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제2투입구,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시키는 수용부 제1세척단계;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의 완료 후 진행되는 수용부 제2세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단계; 상기 제1수용부 내부의 물을 상기 제1수용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상기 분사단계, 상기 배수단계 및 상기 회전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는 시간구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급수원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에 분사하되 연결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의 노즐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제1수용부와 의류가 저장되는 제2수용부의 세척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물이 제1수용부의 내주면과 제2수용부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한 후 제2수용부로 유입되게 하는 모션(Wave Force motion)을 통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세척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용부 내부에 구비된 교반부를 회전시켜 수류를 발생시키는 모션을 통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세척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용부의 회전시키면서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모션(Jet Spray Motion)을 통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세척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커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분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은 수용부 제1세척단계에 구비되는 제1모션과 제2모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수용부 제2세척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제1수용부(3), 상기 제1수용부(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5),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제1수용부(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바디(11), 상기 캐비닛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캐비닛 커버(1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2)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캐비닛 투입구(1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는 캐비닛 커버(12)에 구비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2)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17),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3)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바디(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31)는 지지부(15)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15)는 상기 제1바디(31)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쇄 가능한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바디(3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에는 커버(33)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3)는 캐비닛 투입구(121)에 연통하는 제1투입구(35), 상기 커버(33)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투입구(35)를 향해 연장되는 가이더(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37)는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제1수용부 내부에 기 설정된 형태의 수류를 형성시키는 모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용부(5)는 상기 제1수용부(3)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5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바디(51)는 제2투입구(53)를 통해 제1투입구(35) 및 캐비닛 투입구(121)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51)의 원주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바디(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5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바디(51) 내부의 물은 상기 관통홀(55)을 통해 상기 제1바디(31)로 이동하고, 제1바디(31)로 공급된 물은 상기 관통홀(55)을 통해 상기 제2바디(5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제2바디(51)는 구동부(57)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57)는 제1바디(3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바디(31)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57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73), 상기 제1바디(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2바디(51)의 바닥면과 로터(573)을 연결하는 회전축(5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회전축(575)이 제1바디(31)의 바닥면에 수직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제2투입구(53)는 제2바디(51)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상기 교반부(6)는 상기 제2바디(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교반바디(61), 상기 교반바디를 회전시키는 교반부 구동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 구동부는 전류를 공급받아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스테이터(63), 상기 제2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65), 상기 교반바디(61)와 제2로터(65)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6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회전축(67)은 제2수용부의 회전축(575)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축관통홀(577, 회전축(575)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관통홀)에 삽입됨으로써 교반바디(61)와 제2로터(65)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 구동부가 제2수용부의 구동부(57)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바디(3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스테이터(63)가 고정되는 브라켓(6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2바디(51)와 교반바디(61)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도 있고, 제2바디(51)와 교반바디(61) 중 어느 하나만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한 상기 구동부(57)와 교반부 구동부(63, 65, 67)는 어떤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부를 통해 제1수용부(3)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부를 통해 제1수용부(3) 내부의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상기 제1바디(31)에 공급하는 제1공급관(71) 및 상기 제1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7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제1바디(31) 내부의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81), 상기 제1바디(31) 내부의 물을 배수관(81)으로 이동시키는 펌프(83)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제2바디(51)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9)는 캐비닛 커버(12)에 고정되는 연결관(93), 상기 연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제2바디(51)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9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93)은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제1공급관(71)에서 분지된 제2공급관(75)을 통해 물을 공급 받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밸브(77)는 상기 제1공급관(71)과 제2공급관(75)의 분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1공급관(71)과 제2공급관(75)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노즐(91)은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되, 제2바디의 회전축(575)을 통과하고 캐비닛의 배면(또는 캐비닛의 전방면)에 수직한 직선(L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노즐(91)은 회전축(575)을 통과하고 캐비닛의 측면에 수직한 직선(L2)의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한 곳에 위치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노즐(91)이 직선 L2의 후방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2공급관(75)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노즐(91)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 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노즐(91)은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만 분사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과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91)이 제2바디의 상기 모서리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노즐의 물 분사범위는 상기 모서리와 상기 제2바디의 회전축(575) 사이에 위치된 제1지점(P1, 도 7 참고)에서 상기 모서리와 상기 제2투입구(53) 사이에 위치된 제2지점(P2, 도 7 참고)까지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노즐의 분사범위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노즐(91)의 단면적은 연결관(93)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세척을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횟수나 기간이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수용부의 세척을 요청한 경우에만 진행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입력부(17)를 통해 사용자가 수용부 세척코스의 실행을 요청했는지 여부를 판단(S10)한 뒤 수용부 세척코스가 입력된 경우에만 도 4의 제어방법을 실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7)를 통해 "수용부 세척코스만을 선택하는 경우"는 물론 "상기 수용부 세척코스가 포함되어 있는 별도의 코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제어부는 사용자가 수용부 세척코스의 실행을 요청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제어방법은 제2수용부(5)에 의류가 저장된 상태로 실행될 수 있다. 다만, 도 4의 제어방법이 수용부(3, 5)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임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제2수용부(5)에 의류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로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제2수용부(5)에 의류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4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고자 할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수용부 세척코스를 선택한 경우 표시부(19)에 제2수용부(5)에 의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수용부(5)에 의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미도시)가 구비될 경우, 본 발명은 제2수용부(5)에 의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도 4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수용부(5)에 의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의 입력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17)를 통해 제2수용부에 의류가 없음을 확인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방법, 제어부가 제2바디(51)를 기 설정된 회전수(RPM)로 회전시킬 때 스테이터(571)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하는 방법 등이 그 일례가 될 것이다.
사용자가 수용부 세척코스를 선택했거나 수용부 세척코스가 포함된 코스를 선택한 경우, 본 발명은 급수부를 통해 제1수용부(3)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S20)를 진행한다. 상기 급수단계(S20)는 공급관(71)을 통해 제1수용부(3)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급수단계(S20)를 통해 제1수용부(3)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면, 본 발명은 수류를 형성하여 수용부(3, 5)를 세척하는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를 진행한다.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는 교반바디(61)를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하는 제1모션과, 제2바디(51)를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하는 제2모션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션(일명, 교반모션)은 제1바디(31)의 바닥면에 위치된 물을 제1바디(31)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수류를 형성하는 모션이다. 제1모션의 실행을 위해 제어부는 교반바디(61)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바디(51)의 회전축(575)이 제1바디의 바닥면에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출입하는 제2투입구(53)가 제2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서 분리된 오물이나 세제 등의 이물질이 제2바디의 바닥면, 제1바디의 바닥면에 고착될 가능성이 크다.
상기 제1모션은 제1바디(31)의 바닥면에서 제1투입구(35)를 향해 이동하는 수류를 지속시키는 모션이기 때문에 제1모션은 제1바디(31)의 바닥면과 제2바디(51)의 바닥면에 고착된 이물질 분리에 적합한 수류를 형성하는 모션으로 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션(일명, Wave Force Motion)은 제2바디(51)의 외부로 배출된 물이 상기 제1바디(31)의 내주면과 상기 제2바디(51)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한 뒤 제2투입구(53)를 통해 상기 제2바디(51) 내부로 재유입되는 수류를 형성하는 모션이다.
상기 제2모션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제2바디(51)만을 회전시킬 수도 있고, 제2바디(51) 및 교반바디(61)를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진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2모션에서 제2바디 및 교반바디가 함께 회전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2바디(51) 및 교반바디(61)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물은 제1바디의 내주면과 제2바디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제1바디(31)의 커버(33)를 행해 이동한다.
상기 커버(33)에는 그 가장자리에서 제1투입구(35)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37)가 구비되므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커버(33)에 도달된 물은 상기 가이드(37)의 안내를 받아 제1투입구(35)로 이동한 뒤 제1투입구 하부에 위치된 제2투입구(53)를 통해 제2바디(51)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2모션은 제1바디(31)의 바닥면에 위치된 물을 상기 커버(33)까지 상승시킨 뒤 제2바디(51)로 유입시키는 수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모션이므로, 제2모션은 제1바디(31)의 바닥면과 제2바디(51)의 바닥면에 고착된 이물질 분리 및 제1바디(31)의 원주면과 제2바디(51)의 원주면에 고착된 이물질 분리에 적합한 수류를 형성한다.
제2모션에서 이물질을 제1바디와 제2바디에서 분리하는 힘은 제1바디(31)의 내주면과 제2바디 외주면(51)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수류의 속도가 커질수록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모션에서 제어부는 제2바디(51)와 교반바디(61)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좋고, 제2모션에서의 회전수는 제1모션에서의 회전수보다 높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에서 상기 제1모션과 제2모션은 교번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는 제1모션을 먼저 수행한 뒤 제2모션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2모션을 먼저 수행한 뒤 제1모션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제2모션에서의 제2바디(51) 및 교반바디(61)의 회전수가 제1모션에서의 교반바디(61)의 회전수보다 높기 때문에 제1모션을 먼저 수행한 뒤 제2모션을 수행하면 구동부(57) 및 교반부 구동부(63, 65, 67)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는 제2모션, 제1모션 및 제2모션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제2모션의 세척력이나 세척범위가 제1모션보다 크고 넓기 때문에 제2모션의 실행횟수가 제1모션보다 많을수록 수용부(3, 5)의 세척에 유리할 것이다. 다만, 제2모션만을 실행할 경우 구동부(57) 및 교반부 구동부(63, 65, 67)의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2모션, 제1모션 및 제2모션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세척력 향상 및 구동부 부하제어에 유리할 것이다.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가 완료되면 본 발명은 배수부를 통해 제1바디(31)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단계(S40, 제1배수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배수단계(S40)에서 수용부 제1세척단계를 통해 각 바디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상기 제1바디(31) 내부의 물과 함께 제1바디(31)의 바닥면에 연결된 배수관(81)을 통해 제1바디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에서 제1바디(31)와 제2바디(51)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제1배수단계를 통해 모두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가 각 바디(31, 51)에 잔류할 수 있다.
상기 바디(31, 51)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배수단계(S40)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분사부(9)를 통해 물을 분사하는 수용부 제2세척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S50, 일명 Jet Spray Motion)는 수용부(3, 5)를 추가로 세척하는 단계일 뿐 아니라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를 통해 각 수용부(3, 5)의 표면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제1바디(31) 외부로 배출(헹굼)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S50)는 분사부(9)를 통해 제2바디(51)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단계(S53), 분사부(9)에서 분사된 물을 제1바디(3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단계(S55, 제2배수단계), 상기 제2바디(51)를 회전시키는 회전단계(S51)로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3, 5)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분사단계(S53)와 제2배수단계(S55)는 함께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상기 분사단계(S53)와 제2배수단계(S55)가 동시에 진행되는 시간구간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헹굼성능 향상).
한편, 상기 분사부(9)는 제2바디(51)의 일정 영역에만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단계(S51)는 분사범위가 고정된 분사부(9)를 통해 제2바디(51)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회전단계(S51)는 관통홀(55)을 통해 제2바디(51)에서 제1바디(31)로 배출되는 물에 원심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분사부(9)에서 제2바디(51)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1바디(31)의 표면을 타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단계(S51)는 헹굼성능을 높이는 수단일 뿐 아니라 수용부의 세척성능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 된다. 상기 회전단계(S51)에서 제2바디(51)의 회전수는 제1모션의 회전수 및 제2모션의 회전수보다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상기 분사단계(S53), 제2배수단계(S55) 및 회전단계(S51)가 동시에 진행되는 시간구간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9)는 제2바디(51)의 원주면에만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2바디의 바닥면에만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2바디의 원주면 및 바닥면에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분사부(9)가 제2바디(51)의 원주면(C1)에 물을 분사할 경우, 분사영역이 원주면의 일정높이 이상으로 높아지면 제2바디(51)의 회전수에 따라 제2투입구(53) 부근에 분사된 물은 관통홀을 통해 제1바디(31) 내주면을 타격하는데 사용되기 보다 제2투입구(53)를 통해 제2바디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9)가 제2바디의 원주면(C1) 및 바닥면(C2)에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분사부(9)는 제2바디의 모서리(C1과 C2가 만나는 점)와 제2바디의 회전중심(회전축, 575) 사이에 위치된 제1지점(P1)에서 모서리와 제2투입구(53) 사이에 위치된 제2점(P2)까지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 제2세척단계(S50)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2바디(51)에 잔류하는 물을 최소화하기 위한 탈수단계(S60)가 진행된다.
상기 탈수단계(S60)는 제2바디(51) 만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2바디 및 교반바디(61)를 함께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은 제1배수단계(S40)나 탈수단계(S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수용부 제2세척단계(S50)에 구비된 제2배수단계(S55)가 제1배수단계(S40)를 대신할 수 있을 것이고, 회전단계(S51)가 탈수단계(S60)를 대신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수용부 제2세척단계(S50)가 제2배수단계(S55), 회전단계(S51) 및 분사단계(S53)가 동시에 진행되는 시간구간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분사단계(S53)에서 공급되는 유량보다 제2배수단계(S55)에서 배수되는 유량이 많도록 분사부(9) 및 배수부를 제어하면 제1배수단계(S40) 없이도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에서 사용된 물을 배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배수단계(S55), 회전단계(S51) 및 분사단계(S53)를 일정시간 동안 동시에 진행한 뒤 분사단계(S53)를 종료한 뒤 회전단계(S51)와 제2배수단계(S55)만을 유지하면 탈수단계(S60) 없이도 수용부(3, 5)에 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에서 교반부를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하는 제1모션만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제1모션의 종료 후 수용부 제2세척단계(S50)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에서 제2모션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 본 실시예는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S50)의 진행시간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회전단계(S51)에서 회전하는 제2바디(또는 제2바디 및 교반바디)의 회전수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 역시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 제1배수단계(S40), 수용부 제2세척단계(S50), 탈수단계(S60)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배수단계(S40)는 수용부 제2세척단계에 구비된 제2배수단계(S55)로 대체되고, 탈수단계(S60)는 수용부 제2세척단계의 회전단계(S51)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급수단계(S20), 수용부 제1세척단계(S30) 및 수용부 제2세척단계(S50)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2: 캐비닛 커버
121: 캐비닛 투입구 13: 도어 15: 지지부
17: 입력부 19: 표시부 3: 제1수용부
31: 제1바디 33: 커버 35: 제1투입구
37: 가이드 5: 제2수용부 51: 제2바디
53: 제2투입구 55: 관통홀 57: 구동부
6: 교반부 61: 교반바디 9: 분사부
91: 노즐 93: 연결관

Claims (18)

  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제1투입구,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제2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투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제2투입구,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교반부와 상기 제2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수용부 제1세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시키는 제1모션; 및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물이 상기 제1수용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수용부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제2투입구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로 유입되게 하는 제2모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제1수용부에 의류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션과 상기 제2모션은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제1모션과 상기 제2모션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제2모션과 상기 제1모션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는 상기 제2모션, 상기 제1모션 및 상기 제2모션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의 완료 후 진행되는 수용부 제2세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단계;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상기 분사단계, 상기 배수단계 및 상기 회전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는 시간구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상기 제1배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수용부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에 분사하도록 구비된 분사부를 통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과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중심 사이에 위치된 제1지점에서 상기 모서리와 상기 제2투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지점까지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급수원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에 분사하되 연결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의 노즐을 통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제1투입구,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제2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투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제2투입구,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시키는 수용부 제1세척단계;
    상기 수용부 제1세척단계의 완료 후 진행되는 수용부 제2세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단계;
    상기 제1수용부 내부의 물을 상기 제1수용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제2세척단계는 상기 분사단계, 상기 배수단계 및 상기 회전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는 시간구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통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급수원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에 분사하되 연결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의 노즐을 통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25007A 2015-09-03 2015-09-03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31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007A KR102431975B1 (ko) 2015-09-03 2015-09-03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6/001075 WO2017039088A1 (en) 2015-09-03 2016-02-01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6316285A AU2016316285B2 (en) 2015-09-03 2016-02-01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610072988.1A CN106498656A (zh) 2015-09-03 2016-02-02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US15/065,970 US20170067199A1 (en) 2015-09-03 2016-03-10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007A KR102431975B1 (ko) 2015-09-03 2015-09-03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127A true KR20170028127A (ko) 2017-03-13
KR102431975B1 KR102431975B1 (ko) 2022-08-12

Family

ID=5818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007A KR102431975B1 (ko) 2015-09-03 2015-09-03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67199A1 (ko)
KR (1) KR102431975B1 (ko)
CN (1) CN106498656A (ko)
AU (1) AU2016316285B2 (ko)
WO (1) WO201703908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419A (ko) * 1996-12-27 1998-09-25 구자홍 원심력을 이용한 투과 방식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 방법
JP2002248295A (ja) * 2001-02-26 2002-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洗浄方法
KR20040081590A (ko) * 2003-03-14 200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조세정 방법
KR20090013354A (ko) * 2007-08-01 2009-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방식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0933701B1 (ko) * 2005-12-22 2009-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조세정 방법 및 세탁조 세척코스가 구비된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787B2 (ja) * 1993-08-02 2000-07-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洗濯機
JP3063239U (ja) * 1999-01-21 1999-10-29 照美 森屋 内槽と外槽の間を洗浄できる洗濯機
JP3540666B2 (ja) * 1999-04-27 2004-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3815408B2 (ja) * 2002-08-28 2006-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洗浄方法
JP2004141344A (ja) * 2002-10-23 2004-05-20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US20040267473A1 (en) * 2003-06-27 2004-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transferring and utilizing data among laundry devices, users, and the like
KR101144782B1 (ko) * 2004-07-09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방법
US20070084000A1 (en) * 2005-10-13 2007-04-19 Bernardino Flavio E Stain removal process using combination of low and high speed spin
US9290878B2 (en) * 2009-03-20 2016-03-2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ethod
US8176798B2 (en) * 2009-07-09 2012-05-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aundry load
CN103119212A (zh) * 2010-09-13 2013-05-22 Lg电子株式会社 洗涤方法及洗衣机
CN103492628B (zh) * 2011-04-19 2016-03-09 日立空调·家用电器株式会社 洗衣机
EP2860303B1 (en) * 2012-06-08 2018-04-18 Haier Group Corporation Self-cleaning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JP5663688B2 (ja) * 2014-05-08 2015-02-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419A (ko) * 1996-12-27 1998-09-25 구자홍 원심력을 이용한 투과 방식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 방법
JP2002248295A (ja) * 2001-02-26 2002-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洗浄方法
KR20040081590A (ko) * 2003-03-14 200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조세정 방법
KR100933701B1 (ko) * 2005-12-22 2009-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조세정 방법 및 세탁조 세척코스가 구비된 세탁기
KR20090013354A (ko) * 2007-08-01 2009-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방식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316285A1 (en) 2018-03-22
AU2016316285B2 (en) 2019-05-02
CN106498656A (zh) 2017-03-15
KR102431975B1 (ko) 2022-08-12
WO2017039088A1 (en) 2017-03-09
US20170067199A1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0561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KR2017000339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7527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457163B1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EP2128322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washing drum
CN106536807B (zh) 滚筒式洗衣机
RU2461676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варианты)
KR101492499B1 (ko) 세탁기
RU26643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20170002881A (ko) 의류처리장치
US11001954B2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device
JP2011217919A (ja) 洗濯機
KR101049140B1 (ko) 세탁장치
KR20170028127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110056029A1 (en) Rins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KR20130010801A (ko)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US20210071344A1 (en) A method of operating a laundry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recirculation circuit
KR10237604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09923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방법
US20210047768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aundry washing machine
JP626000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647723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793764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CN115772769A (zh) 一种衣物处理设备的漂洗方法及衣物处理设备
US20200370231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aundry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