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982A - 자동스크류체결기 - Google Patents

자동스크류체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982A
KR20170027982A KR1020150124658A KR20150124658A KR20170027982A KR 20170027982 A KR20170027982 A KR 20170027982A KR 1020150124658 A KR1020150124658 A KR 1020150124658A KR 20150124658 A KR20150124658 A KR 20150124658A KR 20170027982 A KR20170027982 A KR 20170027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oupled
mounting member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인환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스타
Priority to KR102015012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982A/ko
Publication of KR20170027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6Holding or positioning the article in front of the apply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스크류체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헤드베이스; 상기 헤드베이스의 한쪽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가이드바;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유닛; 상기 헤드베이스의 다른 한쪽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상하로 움직이는 상하구동유닛;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결합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큠이 작용하는 버큠블록; 상기 버큠블록에 상단이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스크류를 흡착하는 스크류홀더; 상기 버큠블록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연결유닛; 상기 장착부재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비트가 상기 스크류홀더에 삽입되는 전동드라이버; 상기 버큠블록과 인접하도록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버큠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를 부품의 나사구멍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스크류가 부품에 충돌시 부품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스크류의 흡착위치와 스크류의 체결위치를 쉽고 간단하게 측정한다.

Description

자동스크류체결기{AUTO SCREW DRIVE}
본 발명은 자동스크류체결기에 관한 것이다.
제품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들을 결합할 때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텔레비젼이나 컴퓨터 모니터 등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경우 전면 프레임과 후면 커버를 체결할 때 전면 프레임의 내측 테두리에 다수 개의 나사구멍들이 구비되고 후면 커버의 테두리에 나사구멍들과 대응되게 다수 개의 관통구멍들이 구비되어 스크류들이 후면 커버의 관통구멍들에 각각 관통 삽입되어 전면 커버의 나사구멍에 체결된다.
디스플레이패널 조립라인에서 전면 프레임과 후면 커버를 조립시 작업자가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전면 프레임과 후면 커버를 스크류로 체결하였으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자동으로 스크류를 체결하는 자동스크류체결기가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스크류체결기는, 스크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스크류공급유닛과, 스크류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스크류를 부품의 체결 부분에 체결하는 스크류체결유닛과, 스크류공급유닛과 스크류체결유닛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스크류체결유닛은 구동유닛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전동드라이버와, 전동드라이버의 비트가 삽입되며 전동드라이버와 함께 상하로 직선 왕복하면서 스크류를 흡착하는 스크류홀더와, 스크류홀더에 버큠을 공급하는 버큠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스크류공급유닛은 경사지게 위치하여 스크류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공급되는 스크류피딩레일과, 스크류피딩레일에 스크류들을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스크류피딩레일의 측부에 위치함과 아울러 스크류홀더의 하부에 위치하며 스크류피딩레일로부터 공급된 스크류가 위치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자동스크류체결기는, 스크류피딩레일을 통해 스토퍼로 스크류가 공급되면 전동드라이버와 스크류홀더가 수직으로 아래로 이동하면서 스크류홀더가 스크류를 흡착하고, 스크류홀더가 더 아래로 이동하면서 스크류를 부품의 체결위치에 위치시키고 전동드라이버의 비트가 스크류홀더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회전하면서 스크류를 부품의 나사구멍에 체결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6375호(2009. 11. 04. 등록일)(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 자동체결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에 개시된 자동체결기는, 공급수단(스크류공급유닛)으로부터 피딩되어 스크류가 픽업부(스토퍼)에 위치하게 되면 이송수단(구동유닛)에 의해 비트실린더(스크류홀더)가 수직으로 아래로 이동하면서 픽업부(스토퍼)에 위치한 스크류를 흡착하고 비트실린더가 픽업부를 밀면서 더 아래로 이동하여 스크류 체결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비트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한 비트가 아래로 이동하여 회전하면서 스크류를 체결위치에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 1에 개시된 자동체결기는, 전동드라이버의 비트가 내부에 삽입된 비트실린더가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스크류를 부품의 나사구멍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스크류를 흡착한 비트실린더가 과도하게 아래로 이동할 경우 비트실린더에 흡착된 스크류가 부품에 충돌하여 부품의 파손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비트실린더가 부품의 체결위치에 도착한 것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여 비트실린더가 부품의 체결위치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트실린더 내부에 위치한 비트가 하강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킬 경우 스크류가 부품의 체결위치에 체결되지 못하고 떨어지게 된다. 특히, 부품이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면 커버인 경우 곡면을 포함하고 있어 나사들이 각각 체결될 체결위치들이 상하 높이가 다르게 되어 위와 같은 문제가 종종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스크류 체결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스크류를 부품의 체결위치에 정확하게 체결하는 자동스크류체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 충돌시 파손을 방지하는 자동스크류체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헤드베이스; 상기 헤드베이스의 한쪽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가이드바;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유닛; 상기 헤드베이스의 다른 한쪽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상하로 움직이는 상하구동유닛;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결합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큠이 작용하는 버큠블록; 상기 버큠블록에 상단이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스크류를 흡착하는 스크류홀더; 상기 버큠블록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연결유닛; 상기 장착부재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비트가 상기 스크류홀더에 삽입되는 전동드라이버; 상기 버큠블록과 인접하도록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버큠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자동스크류체결기가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되는 하측슬라이딩블록과, 상기 하측슬라이딩블록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상측슬라이딩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구동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부재를 탄성력으로 연결하는 제2 탄성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구동유닛은 상기 헤드베이스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재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상판부과,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하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판부와, 상기 중간판부와 하판부를 연결하며 상기 버큠블록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스크류가 흡착된 스크류홀더가 하강하여 스크류홀더에 흡착된 스크류가 부품의 체결위치에 접촉되면 스크류홀더가 탄성력을 받으면서 위로 움직임에 따라 스크류홀더가 체결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위치센서가 감지하고 전동드라이버를 작동시켜 전동드라이버의 비트가 스크류를 체결위치에 체결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면 커버와 같이 스크류들이 각각 체결될 체결위치들의 상하 높이가 다르게 될 경우에도 각 체결위치에 정확하게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홀더의 초기위치에서 스크류를 흡착해야 할 흡착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경우 스크류가 위치한 스토퍼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크류홀더의 초기위치에서 상하구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홀더가 아래로 이동하여 스크류에 접촉되면 스크류홀더와 버큠블록이 제1 탄성연결유닛의 탄성력을 받으며 위로 밀리면서 버큠블록이 위치센서에 접촉됨에 의해 스크류홀더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스크류의 흡착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동드라이버의 작동이 되지 않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진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크류체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크류체결기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부재와 버큠블록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크류체결기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부재와 버큠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크류체결기의 일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크류체결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크류체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크류체결기는, 헤드베이스(100), 수직가이드바(B), 슬라이딩유닛(200), 상하구동유닛(300), 장착부재(400), 버큠블록(500), 스크류홀더(600), 제1 탄성연결유닛(700), 전동드라이버(800), 위치센서(S)를 포함한다.
헤드베이스(100)는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전면에 평면인 전면판이 구비된다. 헤드베이스(100)는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는 수평컬럼(10)에 연결된다.
수직가이드바(B)는 헤드베이스(100)의 전면판의 전면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이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유닛(200)은 수직가이드바(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유닛(200)의 일실시예로, 슬라이딩유닛(200)은 수직가이드바(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장착부재(400)와 연결되는 하측슬라이딩블록(210)과, 하측슬라이딩블록(210)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수직가이드바(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슬라이딩블록(220)과, 상측슬라이딩블록(220)에 결합되어 상하구동유닛(300)과 연결되는 연결부재(230)와, 장착부재(400)와 연결부재(230)를 탄성력으로 연결하는 제2 탄성연결유닛(240)을 포함한다. 제2 탄성연결유닛(240)은 장착부재(400)와 연결부재(230)를 연결하는 연결축(241)과, 연결축(241)과 결합되어 장착부재(400)와 연결부재(230)를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242)을 포함한다. 장착부재(400)는 연결축(241)을 따라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축(241)과 결합되고, 압축코일스프링(242)은 내부에 연결축(241)이 삽입되고 한쪽 단부는 장착부재(400)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연결부재(230)에 지지된다. 즉, 장착부재(400)에 상측으로 힘이 가해지면 장착부재(400)는 압축코일스프링(242)의 탄성력을 받으며 위로 움직이고, 상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압축코일스프링(242)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한다. 제2 탄성연결유닛(240)을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하구동유닛(300)은 헤드베이스(100)의 다른 한쪽, 즉 전면판의 후면측에 위치하며, 슬라이딩유닛(200)을 상하로 움직인다. 상하구동유닛(300)은 헤드베이스(1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310)와, 회전모터(3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슬라이딩유닛(2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어셈블리(320)를 포함한다. 볼스크류어셈블리(320)는 슬라이딩유닛(200)의 연결부재(230)와 연결된다. 상하구동유닛(300)의 회전모터(310)가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게 되면 볼스크류어셈블리(32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연결부재(23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장착부재(400)는 슬라이딩유닛(200)에 결합된다. 장착부재(400)의 일예로, 장착부재(400)는,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판부(410)와, 수직판부(41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상판부(420)과, 수직판부(410)의 하부에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하판부(430)와, 상판부(420)와 하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판부(440)와, 중간판부(440)와 하판부(430)를 연결하며 상기 버큠블록(500)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축(450)을 포함한다. 상판부(420), 하판부(430), 중간판부(440)는 각각 수직판부(410)의 한쪽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중간판부(440)와 하판부(430)는 각각 가운데 부분이 관통되며, 중간판부(440)의 한쪽과 하판부(430)의 한쪽에 가이드축(450)이 구비되고 중간판부(440)의 다른 한쪽과 하판부(430)의 다른 한쪽에 다른 한 개의 가이드축(45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버큠블록(500)은 장착부재(400)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큠이 작용한다. 버큠블록(500)은 수직 방향 가운데의 상부에 제1 홀(510)이 구비되고 이어 하부에 제1 홀(510)보다 내경이 큰 제2 홀(520)이 구비된다. 제1,2 홀(510)(520)의 양쪽으로 각각 관통홀(530)이 구비된다. 버큠블록(500)의 전면에 제2 홀(520)과 연통되는 버큠홀(540)이 구비되어 버큠홀(540)에 버큠튜브가 연결된다. 버큠블록(500)의 관통홀(530)들에 장착부재(400)의 가이드축(450)이 삽입된다. 버큠블록(500)은 장착부재(400)의 하판부(430) 상면에 위치하며 가이드축(45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스크류홀더(600)는 버큠블록(500)에 상단이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스크류를 흡착한다. 스크류홀더(600)는 파이프 형상이며, 그 상단부가 버큠블록(500)의 제2 홀(520)에 고정 결합된다. 스크류홀더(600)는 버큠블록(500)과 연동된다.
제1 탄성연결유닛(700)은 버큠블록(500)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제1 탄성연결유닛(700)은 압축코일스프링(710)을 포함한다. 압축코일스프링(710)은 장착부재(400)의 가이드축(450)에 결합되며, 압축코일스프링(710)의 한쪽 끝은 장착부재(400)의 중간판부(440)의 하면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 끝은 버큠블록(500)의 상면에 지지된다. 압축코일스프링(710)은 장착부재(400)의 두 개의 가이드축(450)에 각각 결합된다. 스크류홀더(600)에 위쪽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스크류홀더(600)와 버큠블록(500)이 제1 탄성연결유닛(700)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위로 움직이고 스크류홀더(600)에 작용하는 힘이 해제되면 제1 탄성연결유닛(700)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버큠블록(500)이 장착부재(400)의 하판부(430) 상면에 접촉 지지된다.
전동드라이버(800)는 수직방향으로 장착부재(400)에 결합된다. 전동드라이버(800)는 본체(810)와, 본체(810)에 결합되어 나사를 체결하는 비트(820)를 포함한다. 전동드라이버(800)는 본체(810)가 장착부재(400)의 상판부(430) 상면에 장착되고 비트(820)가 버큠블록(500)의 제1 홀(510)과 관통하여 스크류홀더(600)에 삽입된다.
위치센서(S)는 버큠블록(500)과 인접하도록 장착부재(400)에 장착되어 버큠블록(500)의 움직임에 따라 버큠블록(500)에 연결된 스크류홀더(600)가 체결위치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게 된다. 위치센서(S)가 스크류홀더(600)의 체결위치를 감지하여 전동드라이버(800)의 비트(820)가 작동되도록 전동드라이버(800)에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스크류홀더(600)의 옆으로 스크류피딩레일(900)이 구비된다. 스크류피딩레일(900)은 경사지게 위치하여 수평컬럼(1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크류피딩레일(900)은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910)이 구비되고, 그 가이드홈(910)을 따라 스크류들이 일렬로 배열된다. 스크류피딩레일(900)에 배출유닛(미도시)이 구비되어 스크류를 한 개씩 배출시킨다.
헤드베이스(100)에 홀더가이드부재(110)가 연결되고 홀더가이드부재(110)의 하부에 스크류피딩레일(900)에서 배출된 스크류가 위치하는 스토퍼(120)가 구비되고, 스토퍼(120)는 홀더가이드부재(110)에 수평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크류체결기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스크류피딩레일(900)에서 스크류를 스토퍼에 공급한다. 상하구동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유닛(200)이 아래로 이동함과 함께 장착부재(400), 전동드라이버(800), 버큠블록(500), 스크류홀더(600)가 아래로 움직인다.
스크류홀더(600)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스크류홀더(600)의 끝에 스토퍼(120)에 위치한 스크류를 흡착한다. 스크류를 흡착한 스크류홀더(600)가 아래로 더 이동하여 스크류홀더(600)에 흡착된 스크류가 부품의 나사구멍(체결위치)에 접촉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홀더(600)와 버큠블록(500)이 제1 탄성연결유닛(700)의 탄성력을 받으며 위로 이동하면서 버큠블록(500)이 위치센서(S)에 접촉되며, 버큠블록(500)이 위치센서(S)에 접촉됨에 따라 상하구동유닛(300)의 작동을 멈추고 전동드라이버(800)가 작동하여 전동드라이버(800)의 비트(820)가 스크류홀더(600)의 내부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스크류의 머리부에 접촉되고 비트(820)가 회전하면서 아래로 이동하여 스크류를 부품의 체결위치인 나사구멍에 체결시킨다.
스크류 체결이 완료되면 전동드라이버(800)의 작동에 의해 비트(820)가 위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하구동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유닛(200)이 위로 이동함과 함께 장착부재(400), 전동드라이버(800), 버큠블록(500), 스크류홀더(600)가 위로 움직인다. 스크류홀더(600)가 위로 움직이면 스토퍼(120)가 원위치로 이동하고 스크류피딩레일(900)에서 스토퍼(120)에 스크류를 공급하게 된다.
위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면서 스크류를 부품의 체결위치인 나사구멍에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류가 흡착된 스크류홀더(600)가 하강하여 스크류홀더(600)에 흡착된 스크류가 부품의 체결위치에 접촉되면 스크류홀더(600)가 탄성력을 받으면서 위로 움직임에 따라 스크류홀더(600)가 체결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위치센서(S)가 감지하고 전동드라이버(800)를 작동시켜 전동드라이버(800)의 비트(820)가 스크류를 체결위치에 체결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면 커버와 같이 스크류들이 각각 체결될 체결위치들의 상하 높이가 다르게 될 경우에도 각 체결위치에 정확하게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홀더(600)의 초기위치에서 스크류(20)를 흡착해야 할 흡착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경우 스크류(20)가 위치한 스토퍼(1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크류홀더(600)의 초기위치에서 상하구동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홀더(600)가 아래로 이동하여 스크류(20)에 접촉되면 스크류홀더(600)와 버큠블록(500)이 제1 탄성연결유닛(700)의 탄성력을 받으며 위로 밀리면서 버큠블록(500)이 위치센서(S)에 접촉됨에 의해 스크류홀더(600)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스크류(20)의 흡착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동드라이버(800)의 작동이 되지 않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진행한다.
본 발명은 전동드라이버(800)의 비트(820)가 내부에 삽입된 스크류홀더(600)가 상하로 왕복 운동하면서 스크류를 부품의 체결위치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스크류홀더(600)가 타부품과 충돌하여 과도한 힘이 작용하게 될 경우 그 충격이 제1 탄성연결유닛(700)의 탄성력뿐만 아니라 제2 탄성연결유닛(240)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되어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0; 헤드베이스 200; 슬라이딩유닛
300; 상하구동유닛 400; 장착부재
500; 버큠블록 600; 스크류홀더
700; 제1 탄성연결유닛 800; 전동드라이버
B; 수직가이드바(B), S; 위치센서

Claims (5)

  1. 헤드베이스;
    상기 헤드베이스의 한쪽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가이드바;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유닛;
    상기 헤드베이스의 다른 한쪽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상하로 움직이는 상하구동유닛;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결합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큠이 작용하는 버큠블록;
    상기 버큠블록에 상단이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스크류를 흡착하는 스크류홀더;
    상기 버큠블록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연결유닛;
    상기 장착부재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비트가 상기 스크류홀더에 삽입되는 전동드라이버;
    상기 버큠블록과 인접하도록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버큠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자동스크류체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되는 하측슬라이딩블록과, 상기 하측슬라이딩블록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상측슬라이딩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구동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부재를 탄성력으로 연결하는 제2 탄성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스크류체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유닛은 상기 헤드베이스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스크류체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상판부과,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하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판부와, 상기 중간판부와 하판부를 연결하며 상기 버큠블록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자동스크류체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연결유닛은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스크류체결기.
KR1020150124658A 2015-09-03 2015-09-03 자동스크류체결기 KR20170027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58A KR20170027982A (ko) 2015-09-03 2015-09-03 자동스크류체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58A KR20170027982A (ko) 2015-09-03 2015-09-03 자동스크류체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982A true KR20170027982A (ko) 2017-03-13

Family

ID=5841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658A KR20170027982A (ko) 2015-09-03 2015-09-03 자동스크류체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9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8000A (zh) * 2017-09-22 2018-01-23 深圳市盛世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批头装置和螺丝批
CN109623356A (zh) * 2019-01-14 2019-04-16 深圳市智能机器人研究院 一种可用于机械自动化装配系统的机械臂电批模组
CN109664094A (zh) * 2019-01-24 2019-04-23 苏州华鑫荣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吹吸式深孔锁螺丝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8000A (zh) * 2017-09-22 2018-01-23 深圳市盛世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批头装置和螺丝批
CN107618000B (zh) * 2017-09-22 2024-05-03 深圳市盛世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批头装置和螺丝批
CN109623356A (zh) * 2019-01-14 2019-04-16 深圳市智能机器人研究院 一种可用于机械自动化装配系统的机械臂电批模组
CN109664094A (zh) * 2019-01-24 2019-04-23 苏州华鑫荣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吹吸式深孔锁螺丝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0483B2 (ja) 自動ねじ締め装置
KR20170027982A (ko) 자동스크류체결기
KR101226832B1 (ko) 자동 나사 체결장치
US20140339753A1 (en) Electric clamp apparatus
KR101684164B1 (ko) 리스폿 용접용 고정 장치
CN103949878A (zh) 一种吸式螺丝锁附装置
CN107253045A (zh) 一种螺栓螺母全自动装配机
CN110961900A (zh) 一种可调节皮带锁扣机
KR20170027981A (ko) 자동스크류체결기의 스크류이송장치
KR20190093878A (ko) 스크류 수평 자동체결시스템
US20190134933A1 (en) Press apparatus
CN109396280B (zh) 弯管机中的管材零位定位及托料装置
KR101765263B1 (ko) 자동스크류체결기
CN206982130U (zh) 一种螺栓螺母全自动装配机
CN211305427U (zh) 端子外壳组装装置
CN211548651U (zh) 地板敲击伸缩机构及具有其的地板安装整机
CN211505385U (zh) 一种汽车零部件冲压整形自检装置
CN103338626A (zh) 插件机用多夹具插件头部机构
WO2020155884A1 (zh) 一种高效高精度螺丝安装机
KR200453575Y1 (ko) 스탠드형 자동 볼트 체결기
CN209504353U (zh) 一种板材侧边钻孔装置
CN109176716B (zh) 一种节能型汽车隔音垫打孔装置
CN109570987A (zh) 取锁螺丝装置和全自动锁螺丝机
CN111721244A (zh) 载台及尺寸检测设备
CN111001751A (zh) 一种冲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