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515A -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515A
KR20170027515A KR1020150124253A KR20150124253A KR20170027515A KR 20170027515 A KR20170027515 A KR 20170027515A KR 1020150124253 A KR1020150124253 A KR 1020150124253A KR 20150124253 A KR20150124253 A KR 20150124253A KR 20170027515 A KR20170027515 A KR 20170027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base
upper plate
lower plate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551B1 (ko
Inventor
김경식
이상황
이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50124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5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판(21,61) 및 상기 하판(21,61)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31,71)과, 상기 상판(31,71)을 상기 하판(21,61)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41,81)과, 상기 하판(21,61)과 상판(31,71)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절곡 대상이 되는 베이스(3)의 길이방향 양단을 절곡하여 수직부(5,7)를 형성하는 절곡펀치(33) 및 절곡다이와, 상기 하판(21,61)과 상판(31,71)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5,7)가 형성된 베이스(3)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로 절곡하는 고정구(63) 및 절곡팁(7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공구를 사용하여 절곡하는 방법에 비해 원하는 정확한 치수와 각도로 절곡할 수 있고, 강성이 강한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도 절곡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APPARATUS FOR BENDING HOUSING OF AREA DENIAL AMMUNITION}
본 발명은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약 하우징 절곡공정시, 조립 상 간섭을 회피하고 정확한 각도로 절곡하기 위한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은 내부에 다양한 부품들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외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한 내부 부품의 손상 방지를 위해 탄약 하우징의 내부에는 수지 계열의 몰딩액으로 채워진다.
또한, 탄약 하우징은 탄약의 형상을 유지하고 외부 충격으로 인해 파괴되지 않도록 강성이 높은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절곡공정으로 제작된다.
그런데 탄약 하우징은 탄약 하우징에 조립되는 내부 부품의 위치 및 복잡한 형상으로 인해 수공구를 사용하여 절곡하므로 조립 상 간섭이 발생하고 정확한 치수와 절곡 각도가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탄약 하우징의 절곡시 탄약 하우징의 복잡한 형상으로 인한 조립 상 간섭을 회피하고 정확한 치수와 각도를 가진 형상을 얻기 위한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약 하우징의 절곡시 탄약 하우징의 복잡한 형상으로 인한 조립 상 간섭을 회피하고 강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정확한 치수와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할 수 있는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의 양단에 상기 베이스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된 수직부가 형성되고 베이스가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절곡된 형상인 탄약 하우징을 성형하는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이며, 하판 및 상기 하판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상기 하판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하판과 상판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절곡 대상이 되는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단을 절곡하여 상기 수직부를 형성하는 절곡펀치 및 절곡다이와, 상기 하판과 상판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가 형성된 베이스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로 절곡하는 고정구 및 절곡팁을 포함한다.
상기 절곡다이는 상기 하판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일단이 안착되며, 상기 절곡펀치는 상기 절곡다이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타격시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절곡다이의 내측면에 의해 꺽여져 상기 베이스에 대해 90도로 절곡된 수직부가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곡펀치와 상기 절곡다이가 구비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인 상기 하판과 상판의 타측에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타단의 하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다이와 안내펀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팁에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 절곡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절곡팁과 맞물려 상기 베이스의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로 절곡하기 위한 연동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팁에는 중앙에 상기 경사면과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의 중앙 부분을 절곡시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요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판의 양단에 상기 상판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대응되는 상기 상판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봉을 따라 승하강 가능한 가이드부와, 상기 지지봉에 위치하여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판을 상기 하판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제공되면 압축되었다가 상기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상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는 절곡 대상이 되는 베이스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베이스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된 수직부를 성형하는 1단 절곡을 수행한 후, 베이스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로 절곡하는 2단 절곡을 수행하여 탄약 하우징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수공구를 사용하여 절곡하는 방법에 비해 원하는 정확한 치수와 각도로 절곡할 수 있고, 강성이 강한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도 절곡이 용이하여 조립 불량률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에 구비되는 절곡다이, 절곡펀치 등을 교체할 경우 다양한 형상 절곡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중 1단 절곡장치를 사용하여 베이스의 일단에 수직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중 1단 절곡장치를 사용하여 베이스의 타단에 수직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중 2단 절곡장치를 사용하여 베이스의 길이방향 중앙을 소정각도로 절곡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이하,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라 칭함)는, 하판(21), 상판(31), 절곡펀치(33) 및 절곡다이(23), 고정구(63) 및 절곡팁(73), 구동수단(41)을 포함한다.
탄약 하우징(1)은 내부에 결합되는 부품(9)의 보호를 위해 강성이 강한 금속 재료를 절곡하여 제작한다. 제작된 탄약 하우징(1)의 형상은 베이스(3)의 길이방향 양단에 90도 각도로 절곡된 수직부(5,7)가 형성되고, 베이스(3)는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도 6 참조)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10)는 대략 판형상인 베이스(3)의 길이방향 양단에 90도 각도로 절곡된 수직부(5,7)를 성형하는 1단 절곡장치(20)와 베이스(3)가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절곡되게 성형하는 2단 절곡장치(60)로 구분할 수 있다.
1단 절곡장치(20)와 2단 절곡장치(60)는 하판(21), 상판(31), 구동수단(41)의 구성은 동일하고, 나머지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1단 절곡장치(20)에는 절곡펀치(33) 및 절곡다이(23)가 포함되고, 2단 절곡장치(60)에는 고정구(63) 및 절곡팁(73)이 포함되는 차이가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1단 절곡장치(20)에 대해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1단 절곡장치(20)는 하판(21)과 하판(21)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31)과, 하판(21)과 상판(31)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베이스(3)의 길이방향 양단에 수직부(5,7)를 절곡하는 절곡펀치(33) 및 절곡다이(23)와, 상판(31)을 하판(21)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41)을 포함한다.
하판(21)에 절곡다이(23)가 구비된다. 절곡다이(23)는 하판(21)의 일측에 상판(31)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볼트를 통해 하판(21)에 고정되거나 하판(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다이(23)에 절곡 대상이 되는 베이스(3)의 길이방향 일단이 안착된다. 절곡다이(23)는 절곡펀치(33)로 베이스(3)를 타격시 절곡펀치(33)와 협력하여 베이스(3)의 일단에 베이스(3)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수직부(5)를 성형한다.
하판(21)에 안내다이(25)가 더 구비된다. 안내다이(25)는 절곡다이(23)가 구비되는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하판(21)의 타단에 구비된다. 안내다이(25)에는 베이스(3)의 길이방향 타단이 안착된다. 안내다이(25)는 절곡다이(23)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고, 하부면이 하판(21)에 형성된 홈에 구비되는 스프링(27)에 지지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하방 이동 가능하다.
안내다이(25)는 베이스(3)의 길이방향 타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절곡펀치(33)로 베이스(3)의 일단을 타격시 후술할 안내펀치(35)와 협력하여 베이스(3)의 길이방향 타단의 하방 이동을 자연스럽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하판(21)의 대략 중앙에는 수용홈(21a)이 형성된다. 수용홈(21a)은 베이스(3)의 중앙 돌기부(3a)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중앙 돌기부(3a)는 베이스(3)를 제작시 중앙 부분을 정확한 치수로 절곡을 하기 위해 중앙 부분에 미리 소정 각도로 돌출된 형상을 형성한 것이다.
하판(21)에 위치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위치핀은 베이스(3)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여 베이스(3)가 절곡다이(23) 및 안내다이(25)에 안착된 위치가 유동없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판(31)에 절곡펀치(33)가 구비된다. 절곡펀치(33)는 절곡다이(23)와 대응되는 상판(31)의 일측에 하판(21)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볼트를 통해 상판(31)에 고정되거나 상판(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펀치(33)는 절곡다이(23)와 협력하여 베이스(3)의 길이방향 일단에 수직부(5)를 성형한다. 절곡펀치(33)는 베이스(3)를 타격시 절곡다이(23)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판(31)에 설치된다. 절곡펀치(33)는 베이스(3)를 타격시 선단이 절곡펀치(33)의 내측면과 만나 베이스(3)의 길이방향 일단을 베이스(3)에 대해 90도로 절곡된 수직부(5)가 성형되도록 한다.
절곡펀치(33)는 선단을 제외한 절곡다이(23)의 내측면과 만나는 면에 요입된 간섭방지홈(33a)이 형성된다. 간섭방지홈(33a)은 수직부(5,7)의 절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판(31)에 안내펀치(35)는 구비된다. 안내펀치(35)는 안내다이(25)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절곡펀치(33)로 베이스(3)의 길이방향 일단을 타격시 안내다이(25)와 협력하여 베이스(3)의 길이방향 타단의 하방 이동을 자연스럽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수단(41)은 지지봉(43), 가이드부(45), 탄성부재(47)를 포함한다.
지지봉(43)은 하판(21)의 양단에 상판(31)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가이드부(45)는 지지봉(43)에 대응되는 상판(31)의 양단에 구비되며 지지봉(43)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다.
가이드부(45)는 지지봉(43)이 관통하는 가이드홀(45a)을 구비한다. 가이드홀(45a)에는 단턱부(45b)가 형성되어 지지봉(43)에 위치하는 탄성부재(47)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47)는 지지봉(43)의 외면을 둘러 위치하여 상판(31)이 하판(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47)는 상판(31)을 하판(2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제공되면 단턱부(45b)와 하판(21)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상판(31)이 하판(21)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상판(31)을 하판(2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판(31)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술한 1단 절곡장치(20)는 상판(31)을 하판(2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작용하면 상판(31)의 가이드부(45)가 지지봉(43)을 따라 하강하면서 절곡펀치(33)의 선단과 절곡다이(23)의 내측면이 서로 맞물리고 베이스(3)의 일단을 베이스(3)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하게 된다. 그리고, 상판(31)을 하판(2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판(31)과 하판(21) 사이에서 압축되었던 탄성부재(47)의 복원력에 의해 상판(31)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2단 절곡장치(60)는 하판(61)과 하판(61)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71)과, 하판(61)과 상판(71)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수직부(5,7)가 형성된 베이스(3)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로 절곡하는 고정구(63) 및 절곡팁(73)과, 상판(71)을 하판(61)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81)을 포함한다.
하판(61)에 고정구(63)가 구비된다. 고정구(63)는 절곡팁(73)과 대응되는 위치의 하판(61)에 상판(71)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볼트를 통해 하판(61)에 고정되거나 하판(6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63)의 중앙에 베이스(3)의 중앙 부분이 안착된다. 고정구(63)에는 절곡팁(73)과 맞물려 베이스(3)의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로 절곡하기 위한 연동면(63a)이 형성된다.
상판(71)에 절곡팁(73)이 구비된다. 절곡팁(73)은 고정구(63)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판(71)에 하판(61)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볼트를 통해 상판(71)에 고정되거나 상판(7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팁(73)에는 베이스(3)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 절곡하기 위한 경사면(73b)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면(73b)은 고정구(63)와 협력하여 베이스(3)의 중앙 부분을 72도 각도로 절곡한다.
또한, 절곡팁(73)에는 중앙에 경사면(73b)과 연통되고 베이스(3)의 중앙 부분을 절곡시 베이스(3)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요입홈(73a)이 형성된다. 요입홈(73a)에 베이스(3)의 중앙 돌기부(3a)가 수용된다.
구동수단(81)은 지지봉(83), 가이드부(85), 탄성부재(87)를 포함한다.
지지봉(83)은 하판(61)의 양단에 상판(71)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가이드부(85)는 지지봉(83)에 대응되는 상판(61)의 양단에 구비되어 지지봉(83)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다. 가이드부(85)는 상판(61)과 일체로 고정되어 가이드부(85)가 지지봉(83)을 따라 승하강시 상판(61)도 함께 승하강 된다.
가이드부(85)는 지지봉(83)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지지봉(83)이 관통하는 가이드홀(85a)을 구비한다. 가이드홀(85a)에는 단턱부(85b)가 형성되어 지지봉(83)에 위치되는 탄성부재(87)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87)는 지지봉(83)의 외면을 둘러 위치하여 상판(71)이 하판(6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87)는 상판(71)을 하판(6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제공되면 단턱부(85b)와 하판(61)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상판(71)이 하판(61)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상판(71)을 하판(6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판(71)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판을 하판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은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나 프레스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2단 절곡장치는 1단 절곡장치(20)의 상판(31) 및 하판(21)에 설치한 절곡펀치(33)와 절곡다이(23)를 절곡팁(73)과 고정구(63)로 교환하는 작업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고, 1단 절곡장치(20)와 별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1단 절곡장치(20)와 2단 절곡장치(60)를 사용하여 베이스(3)의 길이방향 양단에 90도 각도로 절곡된 수직부(5,7)가 형성되고, 베이스(3)는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절곡된 형상을 갖는 탄약 하우징(1)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절곡공정은, 1단 절곡장치(20)를 사용하여 절곡 대상이 되는 베이스(3)의 길이방향 일단에 베이스(3)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된 수직부(5)를 성형하고, 베이스(3)의 길이방향 타단에 베이스(3)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된 수직부(7)를 성형하는 1단 절곡을 수행한 후, 2단 절곡장치(60)를 사용하여 베이스(3)의 길이방향 중앙을 소정각도로 절곡하는 2단 절곡을 수행한다.
상술한 절곡공정은 탄약 하우징(1) 내부 부품(9) 위치와 조립 상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1단 절곡공정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1단 절곡장치(20)에 절곡 대상이 되는 베이스(3)를 안착시킨다. 베이스(3)는 중앙에 돌기부(3a)가 형성된 대략 판 형상으로 일단이 절곡다이(23)의 상면에 안착되고 타단이 안내다이(25)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베이스(3)는 하판(21)에 구비되는 위치핀에 적어도 일측이 지지되어 절곡다이(23) 및 안내다이(25)에 안착된 위치가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판(31)을 하판(2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을 제공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1)이 하판(2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곡펀치(33)가 베이스(3)의 일단을 타격하게 된다. 절곡펀치(33)가 베이스(3)의 일단을 타격시 절곡펀치(33)의 선단은 절곡다이(23)의 내측면과 맞물려 베이스(3)의 일단을 90도 각도로 절곡한다.
베이스(3)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된 부분이 일단 수직부(5)가 된다. 이 과정에서 베이스(3)의 타단은 안내펀치(35)와 안내다이(25)에 지지되어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이동되고 현재 형상이 유지된다.
이때, 상판(31)을 하판(2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제공되면 탄성부재(47)가 상판(31)과 하판(21) 사이에서 압축되므로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판(31)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판(31)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수직부(5)가 성형된 베이스(3)를 뒤집어 절곡되지 않은 타단을 절곡다이(23)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수직부(5)가 성형된 부분은 안내다이(25)의 상부면에 지지되되 안내펀치(35)와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판(31)을 하판(2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을 제공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1)이 하판(2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곡펀치(33)가 베이스(3)의 타단을 타격하게 된다.
절곡펀치(33)가 베이스(3)의 타단을 타격시 절곡펀치(33)의 선단은 절곡다이(23)의 내측면과 맞물려 베이스(3)의 타단을 90도 각도로 절곡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베이스(3)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된 부분이 타단 수직부(7)가 된다.
베이스(3)의 일단과 타단 수직부(5,7)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베이스(3)의 중앙 돌기부(3a)는 하판(21)의 수용홈(21a)에 수용되어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1단 절곡공정이 완료된 후 2단 절곡장치(60)로 2단 절곡공정을 수행한다.
2단 절곡공정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2단 절곡장치(60)의 고정구(63)에 양단 수직부(5,7)가 성형된 베이스(3)의 중앙 부분을 고정시킨다. 이때, 베이스(3)는 내부에 부품이 결합된 상태이다.
양단 수직부(5,7)가 형성된 베이스(3)의 중앙 부분이 고정구(63)에 고정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71)을 하판(6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을 제공한다.
가압력을 제공하면, 상판(71)의 가이드부(85)가 지지봉(83)을 따라 하방 이동하면서 상판(71)의 절곡팁(73)과 하판(61)의 고정구(63)가 맞물리고 베이스(3)의 중앙 부분이 소정각도(약 72도)로 절곡된다.
이때, 베이스(3)의 중앙 부분은 중앙 돌기부(3a)가 절곡팁(73)의 요입홈(73a)에 수용되면서 양측 경사면(73b)이 고정구(63)의 연동면(63a)과 상호작용함에 의해 베이스(3)의 중앙 부분을 원하는 정확한 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판(71)을 하판(6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87)의 복원력에 의해 상판(71)이 원위치로 복귀되고 제작 완료된 탄약 하우징(1)을 고정구(6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10)는 상판(31,71)과 하판(21,61)에 구비하는 절곡다이(23) 및 절곡펀치(33) 또는 고정구(63) 및 절곡팁(73)의 형상을 변경하여 다양한 형상의 탄약 하우징(1) 절곡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탄약 하우징 3: 베이스
3a: 중앙 돌기부 5,7: 수직부
9: 부품 10: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20: 1단 절곡장치 21: 하판
23: 절곡다이 23a: 내측면
25: 안내다이 27: 스프링
21a: 수용홈 31: 상판
33: 절곡펀치 35: 안내펀치
41: 구동수단 43: 지지봉
45: 가이드부 45a: 가이드홀
45b: 단턱부 47: 탄성부재
60: 2단 절곡장치 61: 하판
63: 고정구 63a: 연동면
71: 상판 73: 절곡팁
73a: 요입홈 73b: 경사면
81: 구동수단 83: 지지봉
85: 가이드부 85a: 가이드홀
85b: 단턱부 87: 탄성부재

Claims (6)

  1. 하판 및 상기 하판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상기 하판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하판과 상판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절곡 대상이 되는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단을 절곡하여 수직부를 형성하는 절곡펀치 및 절곡다이와,
    상기 하판과 상판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가 형성된 베이스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로 절곡하는 고정구 및 절곡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다이는 상기 하판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일단이 안착되며,
    상기 절곡펀치는 상기 절곡다이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타격시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절곡다이의 내측면에 의해 꺽여져 상기 베이스에 대해 90도로 절곡된 수직부가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곡펀치와 상기 절곡다이가 구비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인 상기 하판과 상판의 타측에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타단의 하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다이와 안내펀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팁에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 절곡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절곡팁과 맞물려 상기 베이스의 중앙 부분을 소정각도로 절곡하기 위한 연동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곡팁에는 중앙에 상기 경사면과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의 중앙 부분을 절곡시 길이방향 중앙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요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판의 양단에 상기 상판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대응되는 상기 상판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봉을 따라 승하강 가능한 가이드부와,
    상기 지지봉에 위치하여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판을 상기 하판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제공되면 압축되었다가 상기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상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KR1020150124253A 2015-09-02 2015-09-02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KR101780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53A KR101780551B1 (ko) 2015-09-02 2015-09-02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53A KR101780551B1 (ko) 2015-09-02 2015-09-02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515A true KR20170027515A (ko) 2017-03-10
KR101780551B1 KR101780551B1 (ko) 2017-09-21

Family

ID=5841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253A KR101780551B1 (ko) 2015-09-02 2015-09-02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5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8110B2 (ja) * 2008-08-11 2013-09-11 村田機械株式会社 角度測定器
CN103990695A (zh) * 2014-04-29 2014-08-20 成都极点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落料弯曲复合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551B1 (ko)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38181T3 (es) Método para fabricar juntas entre miembros en forma de lámina con una capa adhesiva intermedia y aparato para llevar a cabo dicho método
KR101910782B1 (ko)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장치
US98957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knuckle bracket
CN104220184B (zh) 由金属板制至少局部闭合的型材或管状构件的装置和方法
KR20090073833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0652197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CN104707908A (zh) 一种翻孔模具
JP2019006074A (ja) 射出成形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KR101780551B1 (ko) 지역방어용 탄약 하우징 절곡장치
JP4812307B2 (ja) バーリング金型及びバーリング加工方法
CN109530543A (zh) 向上翻边机构、冲压模具及冲压设备
JP2002321014A (ja) 寄曲加工用カム装置
CN104028659A (zh) 一种侧向压料机构及冲压模具
JP6208312B2 (ja) カウンタカム装置
KR101959471B1 (ko) 벤딩 장치
CN215035206U (zh) 一种阀系装配工装
JPH07299527A (ja) プレス成形装置
KR100897375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N105382105A (zh) 汽车散热器支架成型模具
KR101875604B1 (ko) 4방향 단조 프레스
WO2014131761A1 (en) A matrix for making clinch-type joints between sheet-formed members and an apparatus including such a matrix
CN219664848U (zh) 冲压装置
KR101696721B1 (ko) 측면 피어싱 가공용 금형
JP2015051463A (ja) カウンタカム装置
JP2012051003A (ja) カウンタカ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