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374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374A
KR20170027374A KR1020150123793A KR20150123793A KR20170027374A KR 20170027374 A KR20170027374 A KR 20170027374A KR 1020150123793 A KR1020150123793 A KR 1020150123793A KR 20150123793 A KR20150123793 A KR 20150123793A KR 20170027374 A KR20170027374 A KR 20170027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ttering particles
layer
scattering
particle siz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7423B1 (ko
Inventor
양정진
송원준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423B1/ko
Priority to US15/172,059 priority patent/US9831469B2/en
Priority to CN201610794856.XA priority patent/CN106486611B/zh
Priority to CN202010067349.2A priority patent/CN111244325B/zh
Publication of KR2017002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374A/ko
Priority to US15/823,470 priority patent/US10644266B2/en
Priority to KR1020210114075A priority patent/KR102425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01L51/5268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H01L27/3209
    • H01L51/5237
    • H01L51/5281
    • H01L51/5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2Stacked devices having two or more layers, each emit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31Nanoparticles used in non-emissive layers, e.g. in packag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유기 발광 소자들, 봉지층, 및 산란층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다. 상기 봉지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을 커버한다. 상기 산란층은 복수의 산란 입자들과 상기 산란 입자들과 혼합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 입자들은 500㎚ 내지 800㎚인 제1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입자 사이즈를 갖는 산란 입자의 농도가 가장 크고, 상기 제1 입자 사이즈와 더 큰 차이가 나는 입자 사이즈를 갖는 산란 입자일수록 더 작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야각에 따른 색상 차이가 감소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유기 발공 소자는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고, 이러한 발광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self-luminance)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시야각에 따라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의 공진 거리가 달라져 컬러가 쉬프트된 것으로 보이는 색 편이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시야각에 따른 색상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유기 발광 소자들, 봉지층, 및 산란층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산란층은 복수의 산란 입자들과 상기 산란 입자들과 혼합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 입자들은 500㎚ 내지 800㎚인 제1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입자 사이즈를 갖는 산란 입자의 농도가 가장 크고, 상기 제1 입자 사이즈와 더 큰 차이가 나는 입자 사이즈를 갖는 산란 입자일수록 더 작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는 정규 분포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산란층 상에 배치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층은 상기 봉지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산란층은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봉지층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투명 점착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산란층은 상기 편광 필름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산란층의 두께는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산란층 내에서 상기 산란 입자들의 농도는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산란 입자들은 Al2O3 및 Z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 입자들은 SiO2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제1 입자 사이즈는 650 ㎚이고,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은 145 ㎚ 내지 155 ㎚일 수 있다.
상기 산란 입자들은 560 ㎚ 내지 740 ㎚인 제2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갖고, 상기 제1 입자 사이즈는 650 ㎚이고,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은 70 ㎚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산란 입자들은 605 ㎚ 내지 695 ㎚인 제3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갖고, 상기 제1 입자 사이즈는 650 ㎚이고,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은 25 ㎚ 내지 35 ㎚일 수 있다.
상기 산란 입자들은 515 ㎚ 내지 665 ㎚인 제4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갖고, 상기 제1 입자 사이즈는 590 ㎚이고,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은 45 ㎚ 내지 5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의하면, 시야각에 따른 색상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전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들에서,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3는 CIE 1931 색공간에서, 시야각에 따른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 색상의 x축 또는 y축 좌표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14는 배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기판(100), 화소층(200), 봉지층(encapsulation substrate, 300), 및 산란층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과 인접하여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으로 구분된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 영역들(PA)이 정의될 수 있다.
기판(100)은 가요성 기판일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100)은 금속이나 유리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00)과 화소층(200)의 사이에는 수분이나 산소와 같은 외부의 이물질이 기판(100)을 통과하여 유기 발광 소자(LD)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막(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화소층(200)은 기판(100)과 봉지층(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층(2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m),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1~Dn), 및 복수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들(G1~Gm)과 데이터 라인들(D1~Dn)은 서로 절연되며 교차할 수 있다. 도 1에서 게이트 라인들(G1~G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데이터 라인들(D1~Dn)은 제1 방향(DR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게이트 라인들(G1~Gm)과 데이터 라인들(D1~Dn)이 절연되며 교차한다면, 게이트 라인들(G1~Gm)과 데이터 라인들(D1~Dn) 각각은 직선 형상이 아닌 일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1~Gm)과 데이터 라인들(D1~Dn)은 화소 영역들(PA)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화소 영역들(PA)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게이트 라인들(G1~Gm) 중 어느 하나와 데이터 라인들(D1~Dn)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색상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화소들(PX) 각각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이외에 다른 색상(예를 들면, 화이트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 화소들(PX) 각각은 사각 형상을 갖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화소들(PX) 각각의 형상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1 게이트 라인(G1)과 제1 데이터 라인(D1)에 연결된 하나의 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 Qs),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 Qd),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LD)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제어 단자(N1), 입력 단자(N2), 및 출력 단자(N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단자(N1)는 제1 게이트 라인(G1)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N2)는 제1 데이터 라인(D1)에 연결되어 있고, 출력 단자(N3)는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제1 게이트 라인(G1)에 인가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라인(D1)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출력한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제어 단자(N4), 입력 단자(N5), 및 출력 단자(N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단자(N4)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의 출력 단자(N3)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N5)는 구동 전압(ELVdd)을 수신하고, 출력 단자(N6)는 유기 발광 소자(LD)에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제어 단자(N4)와 출력 단자(N6)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Id)를 유기 발광 소자(LD)에 출력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의 출력 단자(N3)와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입력 단자(N5)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N4)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s)가 턴 오프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충전된 데이터 전압을 유지한다.
화소층(200)은 구동 전압 라인(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압 라인은 제1 게이트 라인(G1)과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제1 데이터 라인(D1)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구동 전압 라인은 구동 전압(ELVdd)을 수신하고,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입력 단자(N5)에 연결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제1 전극(AE), 유기층(OL), 및 제2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애노드 전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은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N6)에 연결되어 정공을 생성한다. 제2 전극(CE)은 캐소드 전극 또는 음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공통 전압(ELVss)을 수신하고, 전자를 생성한다. 유기층(OL)은 제1 전극(AE)과 제2 전극(C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OL)은 복수의 층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층(OL) 내부의 유기 발광층(미 도시)으로 주입된다. 유기 발광층(미 도시)에서는 정공과 전자가 결합된 엑시톤(exiton)이 형성되며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지면서 광을 방출한다. 유기 발광층(미 도시)에서 발광하는 광의 세기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N6)에 흐르는 출력 전류(Id)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기층(OL)은 서로 다른 색들의 광을 생성하는 2 이상의 유기 발광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전극(AE) 상에 제2 전극(CE)이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전극(AE)과 제2 전극(CE)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봉지층(300)은 화소층(2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300)은 표시 영역(DA)을 커버할 수 있다. 봉지층(300)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봉지층(300)은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밀봉 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 부재(310)는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기판(100)과 봉지층(300)을 접합할 수 있다. 밀봉 부재(310)는 봉지층(300)과 함께 유기 발광 소자(LD)를 외부의 수분 및 공기 등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산란층은 유기 발광 소자(LD)에서 출사된 광을 수신한다.
산란층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의 광 출사 방향에 따라 배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전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배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산란층의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산란층은 입사된 광을 산란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된다.
봉지층(3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산란층(400)은 봉지층(300)에 접착될 수 있다. 산란층(400)은 복수의 산란 입자들(410)과 수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된다.
도 3은 도 1의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전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하나의 화소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트랜지스터(Qd)는 활성층(211), 게이트 전극(213),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을 포함한다.
활성층(211)은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층(200)은 활성층(211)과 게이트 전극(213)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막(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221)은 활성층(211)과 게이트 전극(213)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은 게이트 전극(2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층(200)은 게이트 전극(213)과 소스 전극(215) 사이 및 게이트 전극(213)과 드레인 전극(217)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막(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215)과 드레인 전극(217) 각각은 제1 절연막(221) 및 제2 절연막(223)에 구비된 콘택홀들(CH1, CH2)을 통해 활성층(21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구동 트랜지스터(Qd)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활성층(211), 게이트 전극(213),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의 위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게이트 전극(213)은 활성층(211)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게이트 전극(213)이 활성층(211)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화소층(200)은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 상에 배치된 보호막(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보호막(230) 상에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보호막(230)에 형성된 콘택홀(CH3)을 통해 드레인 전극(217)에 연결된다.
제1 전극(AE)은 화소 전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은 투과형 전극,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이 투과형 전극인 경우, 제1 전극(AE)은 투명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AE)이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인 경우, 제1 전극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금속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투명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AE)은 ITO, Ag 또는 금속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 단일층 구조, ITO/Mg 또는 ITO/MgF의 2층 구조 또는 ITO/Ag/ITO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층(200)은 보호막(230) 상에 배치된 화소 정의막(PD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평면상에서 도 1의 화소 영역들(PA)의 경계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OL)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유기층(OL)은 유기 발광층 이외에,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유기층(OL)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공통 전극 또는 음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투과형 전극,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이 투과형 전극인 경우, 제2 전극(CE)은 Li, Liq, Ca, LiF/Ca, LiF/Al, Al, Mg, BaF, Ba, A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이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인 경우, 제2 전극(CE)은 Ag, Liq,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LiF/Ca, LiF/Al, Mo, Ti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질로 형성된 반사막이나 반투과막 및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으로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 구조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보조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극은 상기 물질이 발광층을 향하도록 증착하여 형성된 막, 및 상기 막 상에 투명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고, Mo, Ti, Ag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소자(LD)가 전면 발광형일 경우, 제1 전극(AE)은 반사형 전극이고, 제2 전극(CE)은 투과형 전극 또는 반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LD)가 배면 발광형일 경우, 제1 전극(AE)은 투과형 전극 또는 반투과형 전극이고, 제2 전극(CE)은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화소층(200), 봉지층(300), 및 밀봉 부재(3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320)은 진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 공간(320)은 질소(N2)로 채워지거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충전 부재로 채워질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편광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500)은 산란층(400)을 사이에 두고 봉지층(300) 또는 기판(100)과 마주할 수 있다. 전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에서, 편광판(500)은 산란층(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500)은 외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편광판(500)은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에서, 산란층(400)은 봉지층(3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산란층(400)은 봉지층(300)을 사이에 두고 기판(100)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산란층(400)은 봉지층(300)과 편광판(500) 사이를 접착시킬 수 있다. 산란층(400)은 복수의 산란 입자들(410)과 수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420)는 투명 점착 물질로 이루어져, 산란 입자들(410)을 감쌀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에서 출사되는 광은 시야각에 따라 광 경로차가 발생한다. 만일, 산란층(400)이 없는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에서 표시하는 영상의 색상과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영상의 색상 사이에 색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산란층(400)에 포함된 산란 입자들(410)은 입사된 파장이 결정된 광을 다양한 각도로 분산시킴으로써 시야각에 따라 색상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한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산란 입자들(410)의 농도, 재료, 입자 사이즈,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및 산란층의 두께 등에 대한 최적화된 조건이 필요하다.
산란 입자들(410)은 특정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특정 범위 내의 제1 입자 사이즈를 갖는 산란 입자의 농도가 가장 크고, 제1 입자 사이즈와 더 큰 차이가 나는 입자 사이즈를 갖는 산란 입자일수록 더 작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입자 사이즈를 갖는 산란 입자의 농도는 특정 입자 사이즈와 제1 입자 사이즈 사이의 크기 차이에 반비례한다. 즉, 특정 입자 사이즈와 제1 입자 사이즈 사이의 크기 차이가 클수록 특정 입자 사이즈를 갖는 산란 입자의 농도는 작아진다.
산란 입자들(410)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는 정규 분포를 만족할 수 있다.
산란층(400) 내에서 전체 산란 입자들(410)의 농도는 50 % 이하일 수 있다.
산란층(400)의 두께는 50㎛ 이하일 수 있다. 산란층(400)의 두께가 50㎛ 보다 크면 투과율이 낮아지고, 반사율 및 굴절률 특성을 최적 조건에 맞추기 어렵다.
산란 입자들(410)은 Al2O3, Zr, 및 Si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산란 입자들(410)은 제1 범위(RG1)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범위(RG1)는 약 500㎚ 내지 800㎚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입자 사이즈는 650 ㎚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산란 입자들(410)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H1)은 145 ㎚ 내지 155 ㎚ 일 수 있다.
도 6는 제2 실시예에서,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6를 참조하면, 산란 입자들(410)은 제2 범위(RG2)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제2 범위(RG2)는 제1 범위(RG1, 도 5 참조) 내에 포함되는 범위일 수 있다. 제2 범위는 약 560 ㎚ 내지 740 ㎚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입자 사이즈는 650 ㎚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산란 입자들(410)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H2)은 70 ㎚ 내지 80 ㎚일 수 있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서,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산란 입자들(410)은 제3 범위(RG3)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제3 범위(RG3)는 제1 범위(RG1, 도 3 참조) 및 제2 범위(RG2, 도 5 참조) 내에 포함되는 범위일 수 있다. 제3 범위(RG3)는 약 605 ㎚ 내지 695 ㎚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입자 사이즈는 650 ㎚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산란 입자들(410)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H3)은 25 ㎚ 내지 35 ㎚일 수 있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서,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산란 입자들(410)은 제4 범위(RG4)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가질 수 있다. 제4 범위(RG4)는 약 515 ㎚ 내지 665 ㎚ 일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제1 입자 사이즈는 590 ㎚일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산란 입자들(410)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H4)은 45 ㎚ 내지 55 ㎚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는 CIE 1931 색공간에서, 시야각에 따른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 색상의 x축 또는 y축 좌표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9 내지 도 13에서, 시야각 0 °에서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 색상의 x축 또는 y축 좌표는 0으로 표시하였다.
도 9 내지 도 13에서, 비교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달리 산란층(400)이 제거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다. 도 9 내지 도 13에서, 제1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산란 입자들의 농도 그래프를 갖는 산란층을 포함하고, 제2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산란 입자들의 농도 그래프를 갖는 산란층을 포함하고, 제3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산란 입자들의 농대 그래프를 갖는 산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은 시야각에 따른 화이트 색상의 x축 좌표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는 시야각에 따른 화이트 색상의 y축 좌표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시야각에 따라 화이트 색상의 x축 좌표가 더 작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화이트 색상의 x축 좌표 변화량의 폭이 작다.
도 10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시야각에 따라 화이트 색상의 y축 좌표가 더 작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화이트 색상의 y축 좌표 변화량의 폭이 작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시야각에 따른 화이트 색상의 색상 차이가 작다.
도 11은 시야각에 따른 레드 색상의 x축 좌표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레드 색상의 경우, x축 좌표 변화량이 y축 좌표 변화량에 비해 중요한 팩터이다. 따라서, 시야각에 따른 레드 색상의 y축 좌표 변화량은 생략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시야각에 따라 레드 색상의 x축 좌표가 더 작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레드 색상의 x축 좌표 변화량의 폭이 작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시야각에 따른 레드 색상의 색상 차이가 작다.
도 12은 시야각에 따른 그린 색상의 x축 좌표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린 색상의 경우, x축 좌표 변화량이 y축 좌표 변화량에 비해 중요한 팩터이다. 따라서, 시야각에 따른 그린 색상의 y축 좌표 변화량은 생략하였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시야각에 따라 그린 색상의 x축 좌표가 더 작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그린 색상의 x축 좌표 변화량의 폭이 작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시야각에 따른 그린 색상의 색상 차이가 작다.
도 13는 시야각에 따른 블루 색상의 y축 좌표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블루 색상의 경우, y축 좌표 변화량이 x축 좌표 변화량에 비해 중요한 팩터이다. 따라서, 시야각에 따른 블루 색상의 x축 좌표 변화량은 생략하였다.
도 13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시야각에 따라 블루 색상의 y축 좌표가 더 작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블루 색상의 y축 좌표 변화량의 폭이 작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시야각에 따른 블루 색상의 색상 차이가 작다.
도 14는 배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1)는 기판(100), 화소층(200), 봉지층(300), 산란층(400-1), 및 편광판(500-1)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1)의 기판(100), 화소층(200), 및 봉지층(300)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의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배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1)에서 산란층(400-1)은 기판(1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산란층(400-1)은 기판(100)을 사이에 두고 봉지층(300)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산란층(400-1)은 봉지층(300)과 편광판(500) 사이를 접착시킬 수 있다. 산란층(400-1)은 복수의 산란 입자들(410-1)과 수지(420-1)를 포함할 수 있다. 산란 입자들(410-1) 및 수지(420-1)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의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배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1)에서 편광판은(500-1)은 산란층(400-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500-1)은 산란층(400-1)을 사이에 두고 기판(100)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편광판(500-1)은 외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편광판(500-1)은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0: 기판
200: 화소층 300: 봉지층
400: 산란층 410: 산란 입자
420: 수지 500: 편광판

Claims (15)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을 커버하는 봉지층; 및
    복수의 산란 입자들과 상기 산란 입자들과 혼합된 수지를 포함하는 산란층을 포함하고,
    상기 산란 입자들은 500㎚ 내지 800㎚인 제1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갖고,
    제1 입자 사이즈를 갖는 산란 입자의 농도가 가장 크고, 상기 제1 입자 사이즈와 더 큰 차이가 나는 입자 사이즈를 갖는 산란 입자일수록 더 작은 농도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는 정규 분포를 만족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 상에 배치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은 상기 봉지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서로 마주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은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봉지층과 서로 마주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투명 점착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산란층은 상기 편광 필름에 접착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의 두께는 50 ㎛이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 내에서 상기 산란 입자들의 농도는 50 % 이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입자들은 Al2O3 및 Z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입자들은 SiO2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자 사이즈는 650 ㎚이고,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은 145 ㎚ 내지 155 ㎚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입자들은 560 ㎚ 내지 740 ㎚인 제2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갖고,
    상기 제1 입자 사이즈는 650 ㎚이고,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은 70 ㎚ 내지 80 ㎚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입자들은 605 ㎚ 내지 695 ㎚인 제3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갖고,
    상기 제1 입자 사이즈는 650 ㎚이고,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은 25 ㎚ 내지 35 ㎚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입자들은 515 ㎚ 내지 665 ㎚인 제4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갖고,
    상기 제1 입자 사이즈는 590 ㎚이고,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 그래프의 반치폭은 45 ㎚ 내지 55 ㎚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을 커버하는 봉지층; 및
    복수의 산란 입자들과 상기 산란 입자들과 혼합된 수지를 포함하는 산란층을 포함하고,
    상기 산란 입자들은 500㎚ 내지 800㎚ 내에서 다양한 입자 사이즈들을 갖고,
    상기 산란 입자들의 입자 사이즈에 따른 농도는 정규 분포를 만족하고,
    상기 산란층의 두께는 50 ㎛이하이고,
    상기 산란층 내에서 상기 산란 입자들의 농도는 50 % 이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50123793A 2015-09-01 2015-09-0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97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93A KR102297423B1 (ko) 2015-09-01 2015-09-0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5/172,059 US9831469B2 (en) 2015-09-01 2016-06-02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CN201610794856.XA CN106486611B (zh) 2015-09-01 2016-08-31 有机发光显示装置
CN202010067349.2A CN111244325B (zh) 2015-09-01 2016-08-31 有机发光显示装置
US15/823,470 US10644266B2 (en) 2015-09-01 2017-11-27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0210114075A KR102425685B1 (ko) 2015-09-01 2021-08-27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93A KR102297423B1 (ko) 2015-09-01 2015-09-0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075A Division KR102425685B1 (ko) 2015-09-01 2021-08-27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374A true KR20170027374A (ko) 2017-03-10
KR102297423B1 KR102297423B1 (ko) 2021-09-06

Family

ID=581043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793A KR102297423B1 (ko) 2015-09-01 2015-09-0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10114075A KR102425685B1 (ko) 2015-09-01 2021-08-27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075A KR102425685B1 (ko) 2015-09-01 2021-08-2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831469B2 (ko)
KR (2) KR102297423B1 (ko)
CN (2) CN11124432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007A (ko) * 2018-10-26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14564A1 (ko) * 2022-07-11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필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4607A (zh) 2010-11-16 2021-05-07 Tva医疗公司 用于形成瘘管的装置和方法
JP2015532152A (ja) 2012-10-11 2015-11-09 ティーブイエー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ィステル形成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2968852B1 (en) 2013-03-14 2019-07-31 TVA Medical, Inc. Fistula formation devices
US10695534B2 (en) 2014-03-14 2020-06-30 Tva Medical, Inc. Fistula formation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US10603040B1 (en) 2015-02-09 2020-03-31 Tva Medical, Inc. Methods for treating hypertension and reducing blood pressure with formation of fistula
KR102297423B1 (ko) * 2015-09-01 2021-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405982A (zh) * 2015-12-09 2016-03-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封装结构、封装方法及有机发光二极管
CA3011253A1 (en) 2016-01-15 2017-07-20 Tva 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a fistula
US10874422B2 (en) 2016-01-15 2020-12-29 Tva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blood flow
CA3011238C (en) 2016-01-15 2024-01-02 Tva 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dvancing a wire
US11285028B2 (en) 2016-09-25 2022-03-29 Tva Medical, Inc. Vascular stent devices and methods
CN107403881A (zh) * 2017-08-08 2017-11-28 江苏集萃有机光电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增强oled光取出的散射膜及其制备方法
KR102645419B1 (ko) * 2018-08-20 2024-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CN111384284B (zh) 2018-12-29 2021-06-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电子设备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EP3955055A4 (en) * 2019-04-11 2023-01-18 Nittoh Inc. OPTICAL FILTER AND IMAGING LENS UNIT
CN110444688A (zh) * 2019-08-15 2019-11-1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20220022528A (ko) * 2020-08-18 2022-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4523A1 (en) * 2005-11-18 2007-05-24 Manabu Oumi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00225229A1 (en) * 2009-03-05 2010-09-09 Fujifilm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2857B2 (en) * 2002-09-19 2008-12-09 Sharp Kabushiki Kaisha Memory device including resistance-changing function body
KR20070085321A (ko) 2004-10-12 2007-08-2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계 발광 광원
JP5090227B2 (ja) 2008-03-26 2012-12-05 学校法人金沢工業大学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0256431A (ja) * 2009-04-22 2010-11-11 Toppan Printing Co Ltd 積層樹脂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47421B1 (ko) 2009-11-26 2012-05-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108697A (ko) 2010-03-29 201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에 채용되는 편광 구조 장치
WO2013021865A1 (ja) * 2011-08-11 2013-02-14 株式会社 きもと 有機el用散乱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el発光装置
KR20130061206A (ko) * 2011-12-01 2013-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14827B1 (ko) * 2012-06-12 2019-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표시 장치
CN103917000B (zh) * 2013-01-07 2017-06-13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图案化色转换膜及应用其的显示装置
KR101475331B1 (ko) 2013-02-22 2014-12-22 주식회사 창강화학 산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322914B2 (ja) 2013-07-16 2018-05-1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散乱層用樹脂組成物、光散乱層、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CN104466010A (zh) * 2013-09-12 2015-03-25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装置及其制备方法
US20150084005A1 (en) * 2013-09-23 2015-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Leds with improved light extraction
DE102014100405A1 (de) * 2014-01-15 2015-07-16 Osram Oled Gmbh Organisches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rganischen lichtemittierenden Bauelements
JP6573160B2 (ja) * 2014-09-17 2019-09-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素子
JP6103390B2 (ja) * 2014-12-24 2017-03-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有機発光デバイスおよび有機表示装置
KR102297423B1 (ko) * 2015-09-01 2021-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4523A1 (en) * 2005-11-18 2007-05-24 Manabu Oumi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00225229A1 (en) * 2009-03-05 2010-09-09 Fujifilm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007A (ko) * 2018-10-26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14564A1 (ko) * 2022-07-11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필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86611A (zh) 2017-03-08
KR102297423B1 (ko) 2021-09-06
KR20210112273A (ko) 2021-09-14
CN111244325A (zh) 2020-06-05
US20170062765A1 (en) 2017-03-02
CN111244325B (zh) 2023-04-07
US9831469B2 (en) 2017-11-28
CN106486611B (zh) 2020-02-21
US20180083228A1 (en) 2018-03-22
KR102425685B1 (ko) 2022-07-29
US10644266B2 (en)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685B1 (ko) 표시 장치
US866464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13650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56146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9105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00778A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3007640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14719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35680A (ko) 회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595570B2 (en) Display device
KR10242583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106992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47332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20121301A1 (en) Display device
KR102127238B1 (ko) 유기 발광 장치
KR101201782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15898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40083143A (ko)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183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95519B1 (ko) Oled 표시 장치
US11121342B2 (en) Display panel having a nano-stack layer
KR20160033850A (ko) 고 휘도 광 시야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284214B1 (ko) 회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0186693A (ja) 有機el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