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581A -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581A
KR20170026581A KR1020177002868A KR20177002868A KR20170026581A KR 20170026581 A KR20170026581 A KR 20170026581A KR 1020177002868 A KR1020177002868 A KR 1020177002868A KR 20177002868 A KR20177002868 A KR 20177002868A KR 20170026581 A KR20170026581 A KR 2017002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ing
marking
writing
input devic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920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티이스
마르쿠스 핸드페스트
Original Assignee
슈테틀러 마르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5247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2658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슈테틀러 마르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슈테틀러 마르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02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06Pen or pencil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14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16Making non-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이 기구/도구/디바이스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로 만들어지는 하나 이상의 생크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생크 엘리먼트는 표면을 가지며, 또는 하나 이상의 생크 엘리먼트는 커버링 표면을 가지는 재료 층으로 피복되는 표면을 가지며, 생크 엘리먼트의 표면 또는 재료 층의 커버링 표면은 촉각 및/또는 논-슬립 층의 형태이며, 촉각 및/또는 논-슬립 층은 구조물을 가지며, 구조물은 생크 엘리먼트 및/또는 재료 층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구조물은 코루게이션(corrugation)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WRITING, DRAWING, MARKING AND/OR PAINTING UTENSIL OR COSMETICS IMPLEMENT OR INPUT DEVICE FOR CONTACT-SENSITIVE SURFAC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특정 외부 형상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들(substitutes)로부터 형성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들 또는 화장용 도구들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이들의 제조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효과를 나타내는 표면을 갖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들 또는 화장용 도구들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들은 원칙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압출에 의해 제조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트 기구들 또는 화장용 도구들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들은 항상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진다. 단면 프로파일들은 그 기하학적 형상이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거나 상이한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될 때, 그러나, 압출의 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이부들, 예컨대, 예를 들어 오목부들 또는 양각 구조물들은 중단되지 않거나(uninterrupted) 연속적인 프로세스에서 제조될 수 없다. 이러한 유형들의 오목부들 또는 구조물들이 사용자를 위한 쾌적한 촉각 감각(pleasant tactile sensation)을 가지고,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기구들의 중요한 컴포넌트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범프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후속하는 기계가공 프로세스를 요구하는 필기 기구는 DE 299 08 890 U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기구들은 인체 공학적인 또는 촉각의 관점으로부터 기구를 개선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액체 분산으로 형성되는 범프들(bumps)을 가진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은, 기구가 장기간 사용될 때, 사용자 피로를 방지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유형의 기구들에 관한 단점은, 적용되는 범프들이 이후에, 즉 별도의 그리고 추가의 작업 단계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액체 분산(aqueous dispersion)으로부터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범프들(액체 또는 페이스트(paste) 형태로 적용됨)은 우선적으로 적용 또는 증착(deposition) 후에 경화되어야 한다. 이는 연속적인 프로세스를 방해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기구에 대한 제조 비용들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불리하게는, 적용된 범프들은 사용 중에 용이하게 마모되어서, 이 범프들은 보기 좋지 않은 외부 상세 엘리먼트를 구성하고, 게다가 인체공학적 장점들과 관련한 그 긍정적인 특성들을 잃는다.
슬립-저항 표면을 가지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스타일러스들(styluses)은 또한 DE 201 16 363 U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연필들은 표면 슬립-저항이 가지게 하고 양호한 파지(grip)를 이 연필들에 제공하게 하는 특별한 페인트로 코팅된다. 게다가, 제조는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이도록 청구된다.
이러한 유형의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스타일러스들에 관한 단점은, 비록 이들이 매력적인 촉각 표면을 가지지만, 이들이 또한 표면 외형을 보다 가시적이게 만들 수 있는 양각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기구가 슬립-저항이 없는 일반적인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기구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일체로 형성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샤프트들은 또한 DE 10 2010 030539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샤프트 엘리먼트의 표면은 레이저(laser)에 의해 가열되며, 이는 가열되는 플라스틱이 용적에서의 변화 때문에 샤프트 엘리먼트의 표면 밖으로 돌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단점은, 설명된 프로세스가 상당량의 에너지를 요구하고, 또한 제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각각의 제조될 개별적 구조물은 개별적으로 프로그래밍되어야(programmed) 한다. 게다가, 부분적으로, 레이저 빔으로부터의 에너지 입력은 너무 크며, 이 때 연소(burning)가 기구 샤프트의 부품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한 촉각 표면을 가지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이들은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을 겪지 않고 특히 연속적인 프로세스에서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주요한 특성들, 예를 들어, 기구의 샤프닝(sharpening), 염색, 강도, 커버리지 및 지움가능함(erasability)의 용이함을 변경함 없이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독특함)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또한 구조물들이 절단들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또는 추가적인 가공 프로세스 또는 다른 준비 프로세스를 사용해야 함 없이 압출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목적은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성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가시적으로 식별가능한 상승된 표면은 코루게이터(corrugator)에 의해 촉각 특성들을 개선시키기 위해 기구의 샤프트 엘리먼트에 적용되며, 그리고 따라서 본 방법은 코루게이션이 기구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코루게이션 프로세스"는 코루게이터로 알려져 있는 것에 의한 압출된 로드의 이후의 처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플라스틱 파이프들에 대한 이러한 유형의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DE 10 2010 056239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방법에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새로 압출된 로드는 이러한 로드가 그 후 코루게이터의 성형 조들(jaws)을 통해 이어지는 코루게이터 내로 빼내어져, 따라서 성형 조들의 디자인에 상응하는 파형 구조를 제조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플라스틱 로드는 성형 조들 내의 캐비티들 내로 압축된다. 이는 예를 들어 진공에 의해 달성될 수 있거나 지지될 수 있다.
놀랍게도, 이는, 필기, 도면,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성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형태의 중실형 본체의 코루게이션 때문에, 안티슬립(antislip)인 표면이, 이에 의해 제조 프로세스를 차단해야 함 없이 기구의 샤프트 엘리먼트 상에 직접적으로 그리고/또는 샤프트 엘리먼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재료 층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유리하게는, 이와 달리 추가적인 작동들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오직 제조될 수 있는 기하학적 형상들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특성들, 즉 샤프닝, 염색, 강도, 커버리지, 지움가능함 등의 용이함은 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게다가, 기구들이 구조물들 및 기본 구성물이 일체의 샤프트의 형태로 구성되는 이러한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은 유리하며, 이는 샤프트 엘리먼트 또는 기본 구성물로부터 촉각 및/또는 안티슬립 층 또는 구조물들의 늘어짐(loosening)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촉각 및/또는 안티슬립 표면 또는 층을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기구는 보다 양호한 촉각 특성들을 가진다. 특정 촉각 및/또는 안티슬립 표면을 가지는 기구가 사용 중에 편안함을 느낄 것이라는 것이 양각 구조로부터 사용자에게 즉시 명백해진다. 따라서, 피로됨 없이 장기간 동안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그림, 마킹(marking) 및/또는 페인팅(painting) 기구(utensil) 또는 화장용 도구(cosmetic implement) 또는 접촉-감응식(touch-sensitive)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를 가진다.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는 하나의 표면, 또는 커버링 표면(covering surface)을 가지는 재료 층으로 피복되는(sheathed) 표면을 가진다. 샤프트 엘리먼트의 표면 또는 상기 재료 층의 커버링 표면은 촉각(tactile) 및/또는 논-슬립(non-slip) 층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촉각 및/또는 논-슬립 층은 샤프트 엘리먼트 및/또는 재료 층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물을 가진다. 기구 상에 빌드업된(built up) 구조물은 코루게이션에 의해 형성된다.
설명된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는 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로드 예비성형품(rod preform)으로서 존재한다.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는 횡 방향 압출에 의해 적용되는 재료 층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청구된 실시예들에서, 샤프트 엘리먼트의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목재 대체물에서의 플라스틱 부분은 열가소성 물질이다. 횡 방향 압출에 의해 적용된 재료 층은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목재 대체물로 구성되며, 여기서 플라스틱 재료는 열가소성 물질로서 형성된다.
샤프트 엘리먼트 및/또는 샤프트 엘리먼트를 커버하는 재료 층은 구성이 또한 팽창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양각 구조물들의 제조를 위한 장점을 가진다. 팽창가능한 샤프트 엘리먼트 및/또는 재료 층은 중공형 마이크로비드들(microbead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 또는 로드 예비성형품 또는 재료 층을 갖는 로드 예비프리폼은 캐스케이드 압출(cascade extrusion)에 의해 제조된다.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의 표면은 코루게이팅될(corrugated)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며, 여기서 코루게이팅가능한 플라스틱은 기구의 외부 구조화된 촉각 및/또는 안티슬립 층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 층은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에 적용되며, 코루게이션이 실시될 때, 이 샤프트 엘리먼트는 기구의 외부 구조화된 촉각 및/또는 안티슬립 층을 형성하는 양각 구조물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기구들은 하나 이상의 리필(refill), 하나 이상의 접합제 및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연필 또는 색연필을 구성할 수 있다.
기구는 하나 이상의 미세 납(fine lead), 하나 이상의 납 튜브(tube) 및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미세 납 연필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구는 볼 포인트 펜(ball point pen), 섬유-팁(fibre-tip) 펜 또는 마커(marker)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구는 하나 이상의 페이스트(paste) 또는 잉크 저장소(ink reservoir) 및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기구가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 및 하나 이상의 구획부를 포함할 때,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는 중공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구획부는 필기 매체를 위해 그 안에 형성되거나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구획부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첨부 도면들 및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도움으로 이제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통해 횡 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한 길이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횡 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한 길이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미세 납(fine lead) 연필의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통해 횡 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한 길이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횡 방향 축선에 수직한 길이 방향 단면의, 섬유-팁(tip) 펜의 형태의 기구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통해 횡 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한 길이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통해 횡 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한 길이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통해 횡 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한 길이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통해 횡 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한 길이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10) 또는 화장용 도구(10)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10)를 도시하며, 이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입력 디바이스는 벽 두께(s)를 갖는 샤프트 엘리먼트(2)에 의해 둘러싸이는 직경(m)을 갖는 중심부에 납(lead)(1)을 포함한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로 형성될 수 있다. 납(1)은 구획부(compartment)(5) 내에 배치된다. 최소 벽 두께(fn) 및 최대 벽 두께(fh)를 갖는 변형가능한 재료 층(3)이 샤프트 엘리먼트(2)의 외측 상에 있다. 구조물들의 높이는 벽 두께들(fh 및 fn) 사이의 차이 만큼으로 주어진다. 구조물들은 코루게이션 프로세스(corrugation process)에 의해 제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1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통과하는 길이 방향 단면을 도시하며, 이 기구는 샤프트 엘리먼트(2)에 의해 둘러싸이는 직경(m)을 갖는 중심부에 납(1)을 포함한다. 납(1)은 구획부(5) 내에 배치된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압출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야 하고, 압출의 완료 후에 변형 작동들에 대해 적합한 온도로 또한 존재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샤프트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코루게이션에 의해 변형될 수 있고 최소 벽 두께(fn) 및 최대 벽 두께(fh)를 가진다.
도 3은 미세 납 연필의 형태의 기구(10)를 통과하는 길이 방향 단면을 도시하며, 이 기구는 그 중심에서 직경(m)을 갖는 미세 납(1a)을 가진다. 벽 두께(s)를 갖는 샤프트 엘리먼트(2)는 미세 납(1a)이 하우징되는 벽 두께(r)를 갖는 납 튜브(4)를 둘러싼다. 그 안에서 하우징되는 미세 납(1a)을 갖는 납 튜브(4)는 구획부(5) 내에 배치된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가능한 재료 층(3)은 샤프트 엘리먼트(2) 상에 배치되며, 이 재료 층은 최소 벽 두께(fn) 및 최대 벽 두께(fh)를 가진다.
도 4는 벽 두께(s)를 갖는 샤프트 엘리먼트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심부 내에 직경(m)을 갖는 잉크 저장소(ink reservoir)(1b)를 가지는 기구(10)를 도시한다. 잉크 저장소(1b)는 구획부(5) 내에 배치되며, 여기서 구획부는 샤프트 엘리먼트(2)에 의해 반경 방향 외향으로 제한된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가능한 재료 층(3)은, 이전의 도면들에 대해서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엘리먼트(2) 상에 배치되며, 이 재료 층은 최소 벽 두께(fn) 및 최대 벽 두께(fh)를 가진다.
도 5는 중심부에서 직경(m)을 갖는 미세 납(1a)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10)를 또한 도시한다. 미세 납(1a)은 납 튜브(4) 내에 배치된다. 그 안에서 배치되는 미세 납(1a)을 갖는 납 튜브(4)는 구획부(5) 내에 그 자체가 배치된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납 튜브(4)를 둘러싸고 코루게이팅될(corrugated)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샤프트 엘리먼트는 코루게이션에 의해 성형되고 최소 벽 두께(fn) 및 최대 벽 두께(fh)를 가진다.
도 6의 기구(10)는 중심부에서 잉크 저장소(1b)를 가진다. 잉크 저장소(1b)는 이러한 유형의 기구들과 일반적인 방식으로 구획부(5) 내에 배치된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잉크 저장소(1b)를 둘러싸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코루게이팅될(corrugated) 수 있는 재료로 또한 형성되어야 한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로 형성될 수 있다. 코루게이션에 의해 성형되는 샤프트 엘리먼트(2)는 최소 벽 두께(fn) 및 최대 벽 두께(fh)를 가진다. 최소 및 최대 벽 두께들 사이의 차이는 양각 구조물들의 형상을 제공한다.
도 7은 기구(1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기구는 벽 두께(s)를 갖는 샤프트 엘리먼트(2)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지는 구획부(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샤프트 엘리먼트의 형태의 구획부(5)는 임의의 필기 매체를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엘리먼트(2)의 표면은 변형가능한 재료 층(3)에 의해 둘러싸이며, 여기서 최소 벽 두께(fn) 및 최대 벽 두께(fh)가 제공된다.
도 7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 8은 구획부(5) 내에 임의의 필기 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구(10)를 도시하며, 이 기구는 중심부에 구획부(5)를 가진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구획부(5)를 둘러싸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코루게이팅가능한(corrugatable)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목재 대체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엘리먼트(2)는 코루게이션에 의해 성형되고, 최소 벽 두께(fn) 및 최대 벽 두께(fh)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유형의 중공형 프로파일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리고 따라서 이러한 중공형 프로파일에는 외부 양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중실형 프로파일들 또는 중실형 본체들에도 코루게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양각 구조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파일링된 표면을 갖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제조를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방법들이 이제 설명될 것이며; 제 1 방법에서, 중실형 본체의 형태의 기구가 제조되며, 그리고 제 2 방법에서 중공형 본체는 샤프트 엘리먼트로서 제조된다.
중실형 본체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제조를 위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케스케이드 압출(cascade extrusion) 단계(여기서 납, 광학 접합제 및 샤프트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베어(bare) 연필은 로드 예비성형품(rod preform)으로 압출됨),
냉각에 의해 로드 예비성형품의 기하학적 형상을 동결시키는(freezing) 단계,
제 2 횡 방향 압출에 의해 로드 예비성형품에 변형가능한 또는 코루게이팅가능한 재료 층을 적용하는 단계,
코루게이터(corrugator)의 캐비티들(cavities)로 변형가능한 재료 층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하나 이상의 변형가능한 재료 층이 열가소성일 때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열가소성 물질은 화학적 엑소(exo-) 또는 흡열성(endothermic) 발포제들(blowing agents)을 갖는 폴리올레핀들(polyolefins)의 그룹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스티렌 블록 중합체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특히 유리하게는, 발포제는 아조디카르빈아미드(azodicarbinamide) 또는 옥시비스 벤젠술포닐 히드라지드(oxybis benzenesulphonyl hydrazide)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코루게이션 중에, 공지된 코루게이션 분야와는 대조적으로, 중공형 본체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중공형 본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중공형 본체는 변형가능한 층에 의해 피복되어서(sheathed), 오직 이러한 층은 코루게이터의 캐비티들로 팽창하며, 그리고 따라서 오직 기구의 외부 구조물은 코루게이션에 의해 변경된다. 따라서, 진공을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지만, 이는 가능하게는 미리-압출된 기구의 내부 구조의 파괴를 발생한다.
그러나, 중공형 본체 또는 중공형 프로파일의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제조를 위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로드 예비성형품으로의 중공형 프로파일의 형태의 샤프트 본체의 압출 단계,
냉각에 의해 로드 예비성형품의 기하학적 형상을 동결시키는(freezing) 단계,
제 2 횡 방향 압출에 의해 로드 예비성형품에 변형가능한 또는 코루게이팅가능한 재료 층을 적용하는 단계,
코루게이터(corrugator)의 캐비티들(cavities)로 변형가능한 재료 층을 팽창시키는 단계.
도 2, 도 5, 도 6 및 도 8에 대한 설명들로부터 파악되는(discerned) 바와 같이, 로드 예비성형품은 반드시 코루게이션의 목적들을 위한 재료에 의해 코팅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샤프트 엘리먼트의 형태의 중실형 또는 중공형 본체들 양자 모두를 위해, 본 방법의 코루게이션을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양각 구조들을 도입하거나 생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샤프트 엘리먼트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케스케이드 압출(cascade extrusion) 단계에 의해, 납, 광학 접합제 및 샤프트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로우(raw) 로드는 로드 예비성형품(rod preform)으로 압출된다. 이러한 로드 예비성형품 상에, 양각 구조물들이 코루게이터의 캐비티들에 의한 샤프트 엘리먼트의 여전히 변형가능한 열가소성 재료의 팽창 및 변형에 의해 제조된다.
대안적으로, 중공형 프로파일로서 형성되는 샤프트 본체 또는 샤프트 엘리먼트는 로드 예비성형품을 형성하도록 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코루게이터의 캐비티들로 또는 이 캐비티들을 통해 변형가능한 샤프트 재료의 팽창 또는 변형에 의해 양각 구조물들이 제조된다.
압출 헤드에 따라,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들(둥근, 각진 또는 이의 조합들)을 취할 수 있다.
10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1 납
1a 미세 납
1b 잉크 저장소
2 샤프트 엘리먼트
3 재료 층
4 납 튜브
5 구획부
6 커버링 표면

Claims (18)

  1. 필기, 그림, 마킹(marking) 및/또는 페인팅(painting) 기구(utensil) 또는 화장용 도구(cosmetic implement) 또는 접촉-감응식(touch-sensitive)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로서,
    상기 기구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함유 목재 대체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는 표면을 가지며,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는 커버링 표면(covering surface)을 가지는 재료 층으로 피복되는(sheathed) 표면을 가지며,
    상기 샤프트 엘리먼트의 표면 또는 상기 재료 층의 커버링 표면은 촉각(tactile) 및/또는 논-슬립(non-slip) 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촉각 및/또는 논-슬립 층은 구조물을 가지며,
    상기 구조물은 상기 샤프트 엘리먼트 및/또는 상기 재료 층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구조물은 코루게이션(corrugation)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는 로드 예비성형품(rod preform)으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로드 예비성형품은 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는 횡 방향 압출에 의해 적용되는 재료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 엘리먼트의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목재 대체물에서의 플라스틱 재료 분획물(fraction)은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층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목재 대체물은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물질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엘리먼트 및/또는 상기 재료 층은 팽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된 재료 층 및/또는 상기 팽창가능한 샤프트 엘리먼트는 중공형 마이크로비드들(hollow microbead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케스케이드 압출(cascade extrusion)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의 표면은 코루게이팅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코루게이팅될 수 있는 상기 플라스틱은 상기 기구의 외부 구조화된, 촉각 및/또는 안티슬립(antislip)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가능한 재료 층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에 적용되며,
    그리고 상기 변형가능한 재료 층은 코루게이션에 의해 기구의 외부 구조화된, 촉각 및/또는 안티슬립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연필 또는 색연필(coloured pencil)이며,
    상기 기구는 하나 이상의 납(lead), 하나 이상의 접합제(bonding agent) 및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미세 납(fine lead) 연필이며,
    그리고 상기 기구는 하나 이상의 미세 납, 하나 이상의 납 튜브(tube) 및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볼 포인트 펜(ball point pen), 섬유-팁(fibre-tip) 펜 또는 마커(marker)이며,
    그리고 상기 기구는 하나 이상의 페이스트(paste) 또는 잉크 저장소(ink reservoir) 및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 및 하나 이상의 구획부(compartment)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는 중공형 프로파일(hollow profile)을 가지며,
    필기 매체(writing medium)는 하나 이상의 구획부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구획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샤프트 엘리먼트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따른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케스케이드 압출(cascade extrusion) 단계─납, 광학 접합제(optional bonding agent) 및 샤프트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베어(bare) 연필은 로드 예비성형품(rod preform)으로 압출됨─,
    냉각에 의해 상기 로드 예비성형품의 기하학적 형상을 동결시키는(freezing) 단계,
    제 2 횡 방향 압출에 의해 로드 예비성형품에 변형가능한 또는 코루게이팅가능한 재료 층을 적용하는 단계,
    코루게이터(corrugator)의 캐비티들(cavities)로 변형가능한 재료 층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방법.
  16. 제 1 항에 따른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로드 예비성형품으로의 중공형 프로파일의 형태의 샤프트 본체의 압출 단계,
    냉각에 의해 상기 로드 예비성형품의 기하학적 형상을 동결시키는(freezing) 단계,
    제 2 횡 방향 압출에 의해 로드 예비성형품에 변형가능한 또는 코루게이팅가능한 재료 층을 적용하는 단계,
    코루게이터(corrugator)의 캐비티들(cavities)로 변형가능한 재료 층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방법.
  17. 제 1 항에 따른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케스케이드 압출(cascade extrusion) 단계─납, 광학 접합제(optional bonding agent) 및 샤프트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베어(bare) 연필은 로드 예비성형품(rod preform)으로 압출됨─,
    코루게이터의 캐비티들로 또는 상기 캐비티들을 통해 변형가능한 샤프트 엘리먼트를 팽창시키거나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방법.
  18. 제 1 항에 따른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로드 예비성형품으로의 중공형 프로파일의 형태의 샤프트 본체의 압출 단계,
    코루게이터의 캐비티들로 또는 상기 캐비티들을 통해 변형가능한 샤프트 엘리먼트를 팽창시키거나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방법.
KR1020177002868A 2014-07-02 2015-06-24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961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0308.0 2014-07-02
DE102014010308.0A DE102014010308B4 (de) 2014-07-02 2014-07-02 Schreib-, Zeichen-, Markier- und/oder Malgerät oder Kosmetikgerät oder Eingabegerät für berührungsempfindliche Oberfläch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CT/EP2015/001275 WO2016000811A1 (de) 2014-07-02 2015-06-24 Schreib-, zeichen-, markier- und/oder malgerät oder kosmetikgerät oder eingabegerät für berührungsempfindliche oberfläch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581A true KR20170026581A (ko) 2017-03-08
KR101961920B1 KR101961920B1 (ko) 2019-03-25

Family

ID=5352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868A KR101961920B1 (ko) 2014-07-02 2015-06-24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10059142B2 (ko)
EP (1) EP3164269B1 (ko)
JP (1) JP6419228B2 (ko)
KR (1) KR101961920B1 (ko)
CN (1) CN106573489B (ko)
AU (1) AU2015283268B2 (ko)
BR (1) BR112017000034B1 (ko)
CA (1) CA2949394C (ko)
DE (1) DE102014010308B4 (ko)
ES (1) ES2962241T3 (ko)
HK (1) HK1231443A1 (ko)
MX (2) MX2016015775A (ko)
MY (1) MY176413A (ko)
PL (1) PL3164269T3 (ko)
RU (1) RU2672629C2 (ko)
WO (1) WO2016000811A1 (ko)
ZA (1) ZA2016080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9834B2 (en) * 2017-10-24 2019-08-06 Jacob Landers Crayon wrapp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1040A (ja) * 2003-07-25 2005-02-17 Pentel Corp 軸体
JP2006136347A (ja) * 2004-11-10 2006-06-01 Tokiwa Corp 描画具
EP2447051A1 (de) * 2010-10-26 2012-05-02 REHAU AG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ndlosfaserverstärkten Kunststoffprofilen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JP2013537811A (ja) * 2010-09-10 2013-10-07 ロレアル 美容製品のための加熱、収容および塗布用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3408A (en) * 1971-07-16 1976-11-23 Hasbro Industries, Inc. Pencil comprising a marking core and a porous resin sheath
JPS54144220A (en) * 1978-04-28 1979-11-10 Toshiichi Fujimura Method of making thermoplastic color pencil
FI98137C (fi) * 1992-03-30 1997-04-25 Uponor Bv Menetelmä ja laite muoviputken orientoimiseksi sekä menetelmällä aikaansaatu orientoitu ripalaippamuoviputki
JP2649899B2 (ja) * 1994-09-21 1997-09-03 ヤマウチ株式会社 成形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
DE29908890U1 (de) * 1999-05-07 2000-02-03 A.W. Faber-Castell Unternehmensverwaltung GmbH & Co, 90547 Stein Holzgefasster Stift für Schreib-, Mal-, Zeichen- und Kosmetikzwecke
FR2802148B1 (fr) * 1999-12-13 2003-01-24 Conte Procede de fabrication par tri-extrusion d'un crayon a ecrire ou a colorier et crayon a ecrire ou a colorier comportant une couche intermediaire de protection
JP3937868B2 (ja) * 2001-02-28 2007-06-27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
WO2002068211A1 (fr) * 2001-02-28 2002-09-06 Pentel Kabushiki Kaisha Instrument pour ecrire
DE20116363U1 (de) * 2001-10-04 2002-11-21 J. S. STAEDTLER GmbH & Co. KG, 90427 Nürnberg Beschichtungsmittel und Beschichtung, zur Erzeugung von Oberflächen mit besonderem Effekt
DE602004030570D1 (de) * 2003-06-26 2011-01-27 Pilot Corp Schreibgerät
DE20314274U1 (de) * 2003-09-12 2004-05-27 Faber-Castell Ag Holzgefasster Stift für Schreib-, Mal-, Zeichen-, und Kosmetikzwecke
DE202004004010U1 (de) * 2004-03-15 2004-05-13 Bleistiftmaschinenfabrik Dipl.-Ing. Karl Zuber Gmbh & Co Kg Stift
ATE375260T1 (de) * 2005-03-09 2007-10-15 Faber Castell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ungen mit strukturierter oberfläche, verwendet insbesondere für stifte, und gegenstand mit strukturierter oberfläche
DE102006046491B4 (de) * 2006-09-29 2017-03-16 Staedtler Mars Gmbh & Co. Kg Schreib-, Zeichen-, Mal- und/oder Kosmetikstift
EP2110185B1 (de) * 2008-04-17 2013-06-12 Faber-Castell AG Verfahren zur Erzeugung erhabener Strukturen auf der Oberfläche eines Stiftes
DE102008034015B4 (de) * 2008-07-15 2011-08-25 J. S. Staedtler GmbH & Co. KG, 90427 Schreib-, Zeichen-, Mal- oder Kosmetikstift
DE102010030539A1 (de) * 2010-06-25 2011-12-29 Faber-Castell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iftes mit einem aus Kunststoff bestehenden, erhaben aus seiner Oberfläche vorstehende Strukturen aufweisenden Schaft
DE102013001495B4 (de) * 2013-01-23 2023-11-02 Staedtler Mars Gmbh & Co. Kg Schreib-, Zeichen-, Mal- und/oder Kosmetikstift, umfassend eine Komponente zur Aufnahme von mindestens einem Auftragsmedium,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1040A (ja) * 2003-07-25 2005-02-17 Pentel Corp 軸体
JP2006136347A (ja) * 2004-11-10 2006-06-01 Tokiwa Corp 描画具
JP2013537811A (ja) * 2010-09-10 2013-10-07 ロレアル 美容製品のための加熱、収容および塗布用デバイス
EP2447051A1 (de) * 2010-10-26 2012-05-02 REHAU AG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ndlosfaserverstärkten Kunststoffprofilen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1005496A (es) 2021-06-18
US10549570B2 (en) 2020-02-04
MX2016015775A (es) 2017-04-25
CN106573489A (zh) 2017-04-19
US20170232782A1 (en) 2017-08-17
DE102014010308A1 (de) 2016-01-07
US10059142B2 (en) 2018-08-28
PL3164269T3 (pl) 2024-02-19
CN106573489B (zh) 2018-07-27
BR112017000034B1 (pt) 2021-11-03
US20180222244A1 (en) 2018-08-09
AU2015283268A1 (en) 2016-12-15
BR112017000034A2 (pt) 2018-07-17
RU2017102486A3 (ko) 2018-08-02
CA2949394C (en) 2019-01-29
RU2672629C2 (ru) 2018-11-16
DE102014010308B4 (de) 2016-10-27
AU2015283268B2 (en) 2018-05-17
HK1231443A1 (zh) 2017-12-22
EP3164269A1 (de) 2017-05-10
ZA201608013B (en) 2018-05-30
CA2949394A1 (en) 2016-01-07
JP2017528336A (ja) 2017-09-28
JP6419228B2 (ja) 2018-11-07
MY176413A (en) 2020-08-06
RU2017102486A (ru) 2018-08-02
WO2016000811A1 (de) 2016-01-07
EP3164269B1 (de) 2023-08-16
KR101961920B1 (ko) 2019-03-25
ES2962241T3 (es) 202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8101A (zh) 把手以及用于制造把手的方法
KR101961920B1 (ko) 필기, 그림, 마킹 및/또는 페인팅 기구 또는 화장용 도구 또는 접촉-감응식 표면들을 위한 입력 디바이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6752555B2 (en) Attachment providing comfortable grip
JP5896156B2 (ja) シボ付き樹脂成形品
CN202811705U (zh) 防滑式伸缩套管
CN100427326C (zh) 一种笔杆
CN102582331A (zh) 用于在笔表面进行涂层的方法以及具有表面涂层的笔
WO2015184647A1 (en) Blow molded container
CA2998658C (en) Use of elements for writing, drawing, marking, and/or painting devices, or cosmetic devices, or input devices
EP1875989B2 (de) Griffelement mit Naturstoff
US11235499B2 (en) Natural fiber layer with injection molded surface
DE102013103560A1 (de) Luftpumpe für einen Zweiradreifen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6851267B2 (ja) 制振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構造体の製造方法
CN115007414A (zh) 一种美术雕塑品上漆笔
KR20120074872A (ko) 지팡이 및 그 제조방법
JP2002172674A (ja) 異形樹脂管及び製造方法
DE202006010387U1 (de) Griffelement mit Naturstoff
PL69354Y1 (pl) Uchwyt, zwłaszcza do narzędzi ręcznych
JP2007144702A (ja) 筆記具の軸筒
JP2007216545A (ja) 異質材料一体化製造方法とそ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