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595A -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595A
KR20170024595A KR1020170023593A KR20170023593A KR20170024595A KR 20170024595 A KR20170024595 A KR 20170024595A KR 1020170023593 A KR1020170023593 A KR 1020170023593A KR 20170023593 A KR20170023593 A KR 20170023593A KR 20170024595 A KR20170024595 A KR 20170024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flexible
electronic
region
contac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146B1 (ko
Inventor
오스틴 오랜드
브라이언 엘 카쉬
아론 비 위스트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2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2Bending-relie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Abstract

전자 커넥터는 하우징 및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플러그는 플러그의 휘어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리지드 영역을 포함한다. 플러그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커넥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인터커넥트는 리드 및 컨택트를 포함한다. 컨택트들은 플러그의 외부 표면에 노출되고, 이러한 노출은 플러그와 플러그가 제거 가능하데 삽입될 수 있는 전자 리셉터클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ELECTRONIC CONNECTOR HAVING FLEXIBLE REGION}
본 출원은 2013년 3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제13/841,12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커넥터의 휘어짐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USB 또는 그 밖의 다른 전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전자 커넥터들은 전자 디바이스들을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타입의 프로세싱 시스템에 연결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USB 커넥터들 및 다른 전자 커넥터들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컴퓨터 주변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스마트폰, PDA, 및 비디오 게임기 등의 디바이스에서도 흔해졌다. 전자 커넥터들을 위한 새로운 응용분야들은 상이한 사이즈, 형상, 및 기능성의 새로운 디바이스들이 이러한 커넥터들의 사용을 구현하기 시작하면서 계속 생겨나고 있다.
전자 커넥터들의 폭넓은 사용으로 인해, 이들의 여러 특징을 개선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예를 들어, http://www.usb.org/developers/docs/에서 찾을 수 있고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될 수 있는 표준 USB 사양들은 USB 커넥터가 금속 쉘(metal shell)을 구비할 것을 요구한다. 금속 쉘의 하나의 목적은 전자기 간섭(EMI)으로부터 금속 컨택트(contact)들의 신호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금속 쉘은 또한 UBS 리셉터클(receptacle)로의 USB 커넥터의 삽입 및 안전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커넥터의 취급에 적절한 주의를 다하지 않을 수 있는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사용되는 환경에서와 같이, 금속 셀은 USB 커넥터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경향이 있다.
금속 쉘은 USB 커넥터의 강성(rigidity)에 기여함에도 불구하고, 리지드(rigid) USB 커넥터들은 용도의 다양성이 제한되고 부족하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의 액세스가 임의의 방식으로 제약되는 경우, 리지드 USB 커넥터들은 USB 리셉터클로의 삽입을 시도할 수 있다. 컴퓨터의 후면에서의 USB 리셉터클의 배치와 함께, 또는 랩톱 컴퓨터가 얇은 프로파일을 가지면, 리셉터클이 컴퓨터가 위치할 수 있는 임의의 표면에 더 인접하도록 에지에 대한 USB의 배치에 의해, 예를 들어 랩톱 컴퓨터에서 삽입 시도가 일어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리지드 USB 커넥터들은 커넥터들이 USB 커넥터에 직간접적으로 인가될 수 있는 외력에 영향을 받기 쉽거나 이로 인해 위태로워질 수 있는 사용자들에게 최적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외력들은 예를 들어, USB 리셉터클로의 USB 커넥터의 삽입 동안 및/또는 이와 연결 중(예를 들어, 삽입 시도) 또는 USB 커넥터를 채택하는 디바이스의 사용 중(예를 들어, 리셉터클로의 삽입과 동시에)에 다양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로 인해, USB 리셉터클로의 USB 커넥터의 삽입 및/또는 외력들과 관련된 위험성과 함께 일어나는 도전 시도들을 다루는 USB 커넥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도전 시도 및/또는 위험성에 응답하는 USB 커넥터들 이외에 전자 커넥터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커넥터들과 관련된 전술한 다른 문제점 및 결점을 극복하는 전자 커넥터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 및 방법은 전술한 문제점들 및 다른 문제점들을 다루고, 이러한 타입의 이전 전자 커넥터들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이점들 및 양태들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충분한 설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보류되며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진행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태의 일반적인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본 발명의 폭넓은 개요가 아니다. 본 발명의 핵심 또는 중요 요소를 식별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기술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다음의 요약은 이하 제공되는 더 상세한 설명의 서두로서 일반적인 형태로 단순히 본 발명의 일부 개념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하우징 및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자 리셉터클로의 제거 가능 삽입을 위해 구성되는 전자 커넥터들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는 플렉서블 영역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플렉서블 영역은 자연 상태로부터 적어도 +/- 10도의 각도까지 플러그의 휘어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플렉서블 영역은 자연 상태로부터 적어도 +/- 30도의 각도까지 플러그의 휘어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플렉서블 영역은 자연 상태로부터 적어도 +/- 60도 또는 +/- 90도의 각도까지 플러그의 휘어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플러그는 플렉서블 영역과 관련된 리지드 영역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플렉서블 영역은 플렉서블 빔을 포함하고, 리지드 영역은 컨택트 캐리어(contact carrier)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빔은 하우징과 컨택트 캐리어 사이에 연장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플러그는 하나 이상이 리드(lead)를 포함하며, 이러한 리드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 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플러그는 곡선의 삽입 경로를 갖는 비전자(non-electronic) 리셉터클로의 삽입을 위해 더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플렉서블 영역은 60 내지 100 Shore A 사이의 경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컨택트 캐리어는 플랫폼에 대해 함몰되어 있는 복수의 리세스(recess)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며, 여기서 플러그는 플렉서블 영역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물질 및 리세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플렉서블 소재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리지드 영역은 적어도 70 Shore D의 경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은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내의 인쇄 회로 보드, 인쇄 회로 보드와 연통되고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리드, 및 전술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여기에 설명된 커넥터들의 특징들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휴대용 메모리 스토리지(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브이다. 다른 양태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USB 케이블, USB 어댑터, 운동 기록 모니터링 디바이스, 또는 컨트롤러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컨트롤러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어 있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갖는 전자 시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은 도전성 부재들이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컨택트 캐리어와 컨택트 캐리어와 맞물리도록 하우징, 복수의 도전성 부재, 및 컨택트 캐리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전성 부재들과 컨택트 캐리어 주위에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를 몰딩하여 컨택트 캐리어를 하우징에 연결하고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플러그는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영역 및 컨택트 캐리어를 포함하는 리지드 영역을 포함한다. 도전성 부재들은 플러그의 외부면(outer surface)에 컨택트들을 형성하여 외부면에 컨택트들을 형성하는 노출 부분 및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를 통해 컨택트들로부터 하우징으로 연장되는 리드들을 형성하는 내장 부분를 갖는다. 플러그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에 전자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리셉터클로의 삽입을 위해 구성된다. 커넥터는 여기에 설명된 커넥터들의 특징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더 제조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하우징 및 컨택트 캐리어를 연결시키고, 하우징과 컨택트 캐리어 사이에서 연장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컨택트 캐리어는 플랫폼에 대해 함몰되어 있는 복수의 리세스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며, 여기서 컨택트들은 플랫폼과 맞물려 있고,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리세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더 완전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음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커넥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자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자 커넥터의 측면도로서, 파선들은 가능한 휘어진 상태의 커넥터를 예시한다.
도 6은 도 1의 라인(66)을 따라 절취된 도 1의 전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라인(77)을 따라 절취된 도 2의 전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전자 커넥터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전자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로서 상세 사항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도 10은 몰딩 전의 도 1의 전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몰딩 중의 도 1의 전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몰딩 후의 도 1의 전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전자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부분들을 나타내는 파선들은 내부 상세사항을 예시하기 위해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전자 커넥터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로킹(locking) 구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전자 커넥터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전자 커넥터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전자 커넥터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전자 커넥터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커넥터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라인(2020)을 따라 절취된 도 19의 전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커넥터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커넥터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라인(2323)을 따라 절취된 도 22의 전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커넥터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커넥터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라인(2626)을 따라 절취된 도 22의 전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커넥터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커넥터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커넥터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커넥터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예시적인 구조들의 다음의 설명에서, 그 일부인 첨부도면들에 대한 참조가 행해지며, 본 발명의 양태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적인 디바이스, 시스템, 및 환경들이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부분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시스템, 및 환경의 다른 특정 배열들이 활용될 수 있고, 구조적 기능적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면(top)", “하면(bottom)”, “전면”, “후면”, “측면”, “뒷면”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특징들 및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도면에 설명된 예시적인 배향 및 통상적인 사용 중의 배향들에 기반하여, 여기에 사용된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사용된 "복수”라는 용어는 하나보다 크고, 필요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적으로 무한대까지의 임의의 숫자를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떠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두기 위해 구조들의 특정 3차원 배향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이 반드시 비율대로 그려지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태들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SB 커넥터들과 같은 전자 커넥터들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전자 커넥터들은 하우징 및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들은 전자 커넥터들을 구현하는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커넥터들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영역을 갖고, 전자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USB 썸 드라이브(thumb drive), USB 케이블, USB 어댑터, 전자 시계, 운동 기록 모니터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다양한 구현예들은 전자 커넥터들의 예들을 예시한다. 동일한 도면 부호가 복수의 도면에 나타나는 경우, 이러한 도면 부호는 본 명세서에서 일관적으로 사용되어 도면들은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전자 커넥터(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커넥터는 하우징(102) 및 하우징(102)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러그(104)를 포함한다. 플러그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영역(130)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104)는 적어도 하나의 리지드 영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04)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커넥트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복수의 인터커넥트를 포함한다. 일부의 예시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전자 커넥터의 연결 타입에 의해 규정된 개수(일부 케이스에서, 배치, 소재 등)의 인터커넥트들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커넥터 타입은 무엇보다 예를 들어, USB2.0과 같은 기술 표준마다 별도의 규정(prescription)을 가질 수 있음). 각각의 인터커넥트는 리드(105) 및 컨택트(106)를 포함한다. 컨택트들(106)은 플러그(104)의 외부면에 노출되고 하우징에 대해 말단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노출 및 배치는 플러그(104)와 플러그(104)가 제거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전자 리셉터클 사이의 전자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여기에서, “전자 결합(electrical coupling)", “전기 결합(electrically coupled)”, 이들의 파생어는 신호들의 통신 및/또는 전력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연결을 참조하기 위해 채택되는데, 이들 각각 또는 양자 모두는 전자 커넥터로서 이해됨).
리드들(15)은 컨택트들(106)과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리드들(105)은 플러그(104)의 길이에 따라 하우징(102)으로부터 연장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리드(105)가 (여기에 설명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03)을 통해) 하우징(102)으로, 즉 컨택트(106)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리드(105)가 (여기에 설명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03)을 통해) 하우징(102)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리드(105)가 커넥터의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미도시)와 직간접적으로 전기 결합될 수 있다(여기서, “전자 컴포넌트(electronic component)”라는 용어는 전자, 전기, 전자기계 또는 다른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일반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채택되는데, 커넥터의 전자 디바이스 또는 리셉터클의 전자 장치와의 관련 여부, 능동인지 또는 수동인지 여부, 개별적으로 제공되는지 임의의 그룹, 어셈블리, 모듈, 또는 다른 배열로 제공되는지 여부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회로 보드(밀도가 높거나 그렇지 않거나), 모듈, 어셈블리, 집적 회로,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커패시터, 인덕터, 저항기, 센서, 액추에이터, ,디스플레이 기술, 크리스털, 전원, 배선, 커넥터, 안테나, 보호 기술 등을 포함함).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드들(105)을 통해, 컨택트들(106)은 디바이스의 전자 컴포넌트들에 전기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여기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드(10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104) 내에 내장, 밀폐, 은폐된다.
하우징(102)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02)은 일반적으로, 즉 전자 커넥터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지 않고 설명된다. 그 일부가 도 8 및 도 15 내지 도 18에 설명되어 있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02)은 일례로서,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USB 썸 드라이브), USB 케이블, USB 어댑터, 전자 시계, 또는 운동 기록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일부이거나 이와 관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도 불구하고, 하우징(102)은 전자 커넥터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일부이거나 이와 관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02)은 플러그(104)가 연장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02)은 플러그(104)와 전자 커넥터가 관련되어 있는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경계 또는 실질적인 경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02)은 (i)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내부 또는 관통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리드(105) 및/또는 (ii) 커넥터의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전자, 기계, 구조, 또는 그 밖의 컴포넌트(들)(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들), 비아(들), 캐비티(들), 리세스(들), (도 7에 예시된 인테리어(90)과 같은) 인테리어(interior)(들), 또는 다른 유사한 구조(들)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애퍼처(들), 비아(들), 캐비티(들), 리세스(들), 또는 다른 유사한 구조(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임의의 이러한 구조(들)의 수용 목적마다 하우징(102)에 대해 리드 또는 임의의 이러한 컴포넌트들이 조립된 후와 같이 예를 들어, 포팅(potting), 몰딩(molding), 또는 다른 제조 절차를 통해 채워질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전자 커넥터(100)의 플러그(104)는 상면(114), 하면(116), 측면(118 및 120), 전면(122), 후면 또는 뒷면(124)을 갖도록 구현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및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4)는 (즉, 도 1에 도시된 라인(66)을 따라 절취된 단면을 통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단면 형상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상이하거나 가변적인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면들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육각형이거나 이들 또는 다른 형상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른 물리적 특징(예를 들어, 치수, 형상 등)뿐 아니라 플러그(104)의 단면 형상은, 다른 요인들 중에, 플러그(104)가 제거 가능한 삽입을 위해 구성되는 전자 리셉터클의 형상, 사이즈, 위치, 배향, 또는 그 밖의 다른 물리적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커넥터(100)의 의도적인 사용에 응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호환 가능한 전자 리셉터클들로의 제거 가능한 삽입을 위해 구성된다. 플러그(104)가 자신의 커넥터 타입의 규정에 따라 구성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호환 가능한 전자 리셉터클들은 자신의 타입의 규정들에 따라 유사하게 구성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은 플러그(104)는 USB 타입의 리셉터클로의 제거 가능한 삽입을 위해 구성된다(예를 들어, 여기서 USB 타입이 USB2.0이고, 예를 들어, 이들 사이의 전기 결합을 위한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USB2.0 기술 표준은 플러그 및 리셉터클 양자 모두에 관한 구성들을 규정하고 있음).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하나 이상의 비전자 리셉터클(즉, 전자 컴포넌트를 갖지 않는 리셉터클)로의 제거 가능한 삽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전자 리셉터클을 이용하면, 플러그(104)는 리셉터클들과 기계적으로 맞물려 있다. 도 14는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자 커넥터(1400)가 기계적으로 맞물려 있는 비전자 리셉터클(1490)의 일례를 예시한다. 임의의 원하는 리셉터클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그(104)는 플러그(104)의 휘어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영역(130)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 영역(들)은 선택된 유연성 특징들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 영역(들)은 선택된 유연성 특징들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리지드 영역(들)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특성들은 플러그의 휘어짐 각도, 예를 들어, 선택된 각도 초과, 선택된 각도, 또는 선택된 각도 미만, 또는 이들 각도 특성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특징들은 또한 플러그의 휘어짐과 관련된 곡률 반경(radii of curvature), 예를 들어, 각각의 반지름에 대해 반지름이 적용되는 플렉스 축(flex axis)에 대한 반지름 길이 및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특성들은 플러그의 방향성 휘어짐,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선택된 방향으로의 플렉스 컴포넌트(들), 하나 이상의 선택된 평면에서의 플렉스 컴포넌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특징들은 또한 탄성(resiliency)과 같은 물리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특징들은 또한 플러그의 휘어짐과 관련된 곡률 반경, 예를 들어, 각각의 반지름에 대해 반지름이 적용되는 휨 축(flex axis)에 대한 반지름 길이 및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특징들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특징들은 복수의 유연성 영역(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데, 복수의 유영성 영역들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의 플렉서블 영역은 자연 상태에 대해 선택된 각도까지의 플러그의 휘어짐을 제공한다. “자연 상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의 플러그(104)의 상태를 지칭한다. 휘어짐의 선택된 각도는 다양하게 예를 들어,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연 상태로부터 적어도 +/- 10도, 적어도 +/- 30도, 적어도 +/- 60도, 또는 적어도 +/- 90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영역(130)은 자연 상태로부터 적어도 +/- 60도의 각도까지 플러그(140)의 휘어짐을 제공한다. 리셉터클이 커넥터에 제공하는 삽입 경로를 따라 휘어지는 경우에 플렉서블 영역(130)은 리셉터클로의 플러그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8은 장치(800)의 비전자 리셉터클(890)로의 삽입 시에 플러그(804)가 휘어지는 일례를 도시하는데, 리셉터클(890)은 커넥터 삽입 경로를 따라 휘어진다. 또한, 플렉서블 영역(130)은 USB 리셉터클에 액세스하는 경우 플러그(104)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데, 특히 액세스 가능성은 임의의 방식으로 제약된다(예를 들어, 랩톱 컴퓨터에서, 컴퓨터의 후면에 USB 리셉터클의 배치에 의하거나, 랩톱 컴퓨터가 얇은 프로파일을 갖는 경우, 컴퓨터가 배치될 수 있는 임의의 표면에 리셉터클이 가장 근접한 에지에서 USB 리셉터클의 배치에 의함). 플렉서블 영역(130)은 또한 전자 커넥터에서 작용할 수 있는 외력을 흡수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전자 커넥터의 지속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 플렉서블 영역(130)은 또한 리지드 또는 더 리지드 전자 커넥터와 관련된 설계 제약을 제거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의 심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균열되거나 임의의 실질적인 영구적인 변형을 겪지 않도록 여기에 설명된 범위 내에 선택된 각도까지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휘어진 후 자연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여기에 설명된 범위 내의 선택된 각도까지의 플러그(104)의 휘어짐은 분열은 없지만 적어도 일부의 영구적인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플러그(104)의 휘어짐은 최대의 잠재적인 삽입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하우징(102)으로부터 플러그(122)의 전면까지 측정된 플러그(104)의 길이는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플러그(104)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증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104)의 길이는 표준 UBS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예를 들어, 여기서 USB 타입은 USB2.0이고, 호환성, 예를 들어 플러그의 길이를 보장하기 위해 USB2.0 기술 표준은 플러그 및 리셉터클 양자 모두에 관한 구성들을 규정하고 있음). 일례에서, 플러그(104)는 표준 USB 플러그보다 1밀리미터만큼 길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104)는 수직으로 휘어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플렉스 축은 플러그(104)의 중심/중립 축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를 따라 배치되거나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실제로, 도 5에서, 플러그의 수직 휘어짐은 중심/중립 축뿐 아니라 수직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플렉스 축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영역(130)은 다수의 상이한 플렉스 축들을 따라 플러그(104)의 휘어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휘어짐은 하나 이상의 플렉스 축을 따를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축은 중심/중립 축(N), 수평 축(L), 및/또는 수직 축(V) 중 하나 이상을 따라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영역(130)은 플러그(104)의 수직, 수평, 및/또는 회전 휘어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휘어짐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여기에 전술한 바와 같이 각도 플렉스 특징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영역(130)은 플러그(104)의 6개의 자유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에서 플러그(104)의 휘어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상이한 축 및 자유도에 따른 플러그(104)의 휘어짐은 여기에 설명된 휘어짐과 유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영역(130)은 플러그(104)의 길이의 식별가능 부분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체 플러그(104)는 휘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체 플러그(104)는 플렉스 영역(130)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플러그(104)는 자연 상태에 대해 선택된 각도까지 플러그(104)의 휘어짐을 제공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손상에 저항하기 위해 충분한 경도를 갖고, 삽입의 용이성 및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충분히 작은 마찰 계수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러그(104)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연성을 갖는 다수의 플렉서블 영역(140)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영역(130)은 다양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104)는 고분자 소재, 강화 고분자 소재, 또는 다른 합성물, 및 다른 타입의 소재를 포함하는 여러 상이한 소재로 형성된 부분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의 플렉서블 영역(130)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우레탄 또는 천연 고무와 같은 열경화성 탄성중합체, 실리콘 소재, 캐스트 우레탄, 에폭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또는 여기에 설명된 사양을 충족시키는 특성들을 갖는 임의의 다른 성형 가능 탄성중합체, 또는 다른 중합체 및/또는 복합 소재들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영역(130)은 약 60 내지 100 Shore A, 예를 들어 약 80 Shore A의 경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들은 강도, 탄성력, 유연성, 접합력, 다른 소재와의 호환성과 같은 특성들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는 점이 더 이해된다. 이러한 소재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구성 중 하나로 형성되고/되거나 다양하고 상이한 형성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임의의 리지드 영역(140)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로써 플러그(104)의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가 플렉서블일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적어도 하나의 리지드 영역(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복수의 리지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지드 영역(140)은 플렉서블 영역(130)의 유연성 미만의 유연성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지드 영역(140)은 플렉서블 영역(130) 또는 플렉서블 영역(130)의 일부의 유연성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유연성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리지드 영역(140)은 플러그(104)의 길이의 식별가능 부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예시하기 위해, 리지드 영역(140)은 플렉서블 영역(130)으로부터 플러그(122)의 전면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러그(104)는 임의의 또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리지드 영역(140)을 생략할 수 있지만, 여기서 리지드 영역은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 영역과 관련된 플렉스에 비해 적어도 전혀 또는 실질적으로 전혀 유연성을 보이지 않거나 무시할 수 있는 유연성을 보인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지드 영역(140)은 불변의 유연성을 갖거나, 상이한 부분에서 가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104)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연성을 갖는 다수의 리지드 영역(14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 및 도 20은 추가적인 리지드 영역과 함께 여기에 설명된 플러그(104)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플러그(104)를 도시한다. 플러그(1904)는 제1 리지드 영역(1940a) 및 제2 리지드 영역(1940b) 사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영역(19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제1 리지드 영역(1940a)는 하우징(1902)와 플렉서블 영역(1930) 사이에 위치하며, 플렉서블 영역(1930)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제2 리지드 영역(1940b)은 플렉서블 영역(1930)의 타단에 연결되어 플러그(1904)의 일단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리지드 영역(1940a)의 리지드 소재는 플렉서블 영역(1930)으로 연장 또는 침투되고/되거나, 플렉서블 영역(1930)의 플렉서블 소재는 리지드 영역(1940a)으로 침투될 수 있다. 리지드 영역(1940a)의 이러한 확장은 리드들(1905)이 플렉서블 영역(1930)을 통과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904)는 전체에 걸쳐 추가 플렉서블 또는 리지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으로부터 플러그의 전면까지의 교대를 선택하는 것과 같이, 예를 들어 플렉서블 영역과 리지드 영역의 다양한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플렉서블 영역들과 리지드 영역들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는데, 하우징(102)에 인접하게 시작하여, 복수의 리지드 영역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순서에서의 각 영역은 강도를 감소시키고, 그 다음 복수의 플렉서블 영역이 컨택트들을 통해 제공되는데 순서에서의 각 영역은 유연성을 증가시키고(또는 대안으로서, 이러한 증가를 갖는 것은 유연성을 감소시키는 하나 이상의 후반 영역을 제공함), 그 다음 고정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 하나의 리지드 영역이 제공된다(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낮은 마찰 계수에 의해 잠재적으로 수반됨).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지드 영역(140)은 리셉터클로의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유리 충전 폴리프로필렌(glass filled polypropylene), 아세탈(acetal) 소재,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및 나일론 등이 마찰력이 낮고 강도가 높은 소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리지드 영역(140)의 소재는 또한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그(104)를 형성하는 오버몰딩 프로세스 중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영역의 소재와 접합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구성 중 하나로 형성되고/되거나 다양하고 상이한 형성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리지드 영역(140)은 적어도 70 Shore D의 경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컨택트 캐리어(150)를 포함한다. 도 7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택트 캐리어(150)는 리지드 영역(140) 내에 위치하며, 강성을 리지드 영역(140)에 제공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지드 영역(140)의 길이의 일부는 플렉서블 영역(130)의 플렉서블 소재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택트 캐리어(150)의 강성은 리지드 영역(140)이 여기에 설명된 플렉서블 영역(130)의 정도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및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실시예에서의 컨택트 캐리어(150)는 플러그(122)의 전면에서 기울어진 노우즈(nose; 156)를 갖는다. 경사의 길이 및 각도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상이할 수 있다. 기울어진 노우즈(156)는 컨택트(106) 및 플렉서블 영역(130)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뿐 아니라 리셉터클로의 플러그(10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커넥터(100)의 버클링(buckling)을 유발할 수 있는 힘을 회피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컨택트 캐리어(150)는 플러그(122)의 전면부에 있는 측면(118 및 120)에 곡선면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추가 또는 대체적으로 플러그(122)의 전면의 하면 및/또는 측면에 기울어지고/지거나 굽어 있는 표면들일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컨택트 캐리어(150)는 플랫폼(152)에 대해 함몰되어 있는 복수의 리세스(154)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의 플랫폼(1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택트 캐리어(150)는 컨택트들(106)의 길이, 폭, 및 깊이를 따르는 4개의 플랫폼(152)을 포함하며, 이로써 컨택트들(106)은 관련 전자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114)의 상단 표면에 구현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랫폼(152)의 개수 및 플랫폼(152)의 치수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상이할 수 있다. 컨택트들(106)은 도 6 및 도 7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들(152)에 실장되고/거나, 이와 맞물리고/거나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영역(130)을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된) 플렉서블 소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세스를 충전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소재와 컨택트 캐리어(150) 사이의 이러한 인터로킹(interlocking)은 컴포넌트 사이의 접합을 개선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컨택트 캐리어(150)는 상이한 구조 또는 상이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150)는 각각이 다수의 컨택트(106)를 지지하는 플랫폼들(152) 또는 컨택트들(106)의 전보를 지지하는 단일 플랫폼 또는 그 밖의 다른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컨택트 캐리어(150)는 로킹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Eh 14는 비전자 리셉터클(1490)에서 보충 구조를 관여하도록 구성된 로킹 컴포넌트(1460)를 갖는 컨택트 캐리어(1450)를 도시한다. 도 14에서, 로킹 컴포넌트(1460)는 컨택트 캐리어(1450)의 하단 표면에서 노치(notch; 1470)를 포함한다. 전자 커넥터(1400)가 비전자 리셉터클(1490)에 삽입되는 경우, 노치(1470)은 리셉터클(1490)에 보충 구조를 맞물리게 하며, 이로써 커넥터(1400)는 이러한 리셉터클(1490)에서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1400)는 예를 들어, 충분한 힘으로 당김으로써 리셉터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리셉터클(1490) 및/또는 커넥터(1400)에 대한 로킹 구조는 맞물림을 해제(및/또는 이에 작용)시키도록 기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리셉터클들을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리셉터클은 플러그(104)의 로킹 컴포넌트(1460)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 캐리어(150)는 쉘(180)에 의해 부분적으로 밀폐되어 있다. 예를 들어, USB 타입이 USB2.0인 경우, USB2.0 기술 표준은 플러그를 둘러싸는 금속 쉘에 관한 구성들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부분 쉘(180)은 컨택트 캐리어(150)의 적어도 일부를 밀폐하고, 리셉터클로의 플러그(104)의 부정확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9 및 도 30에서, 플러그(104)는 컨택트 캐리어(150)의 상부면 및 측면을 접촉시키는 금속 쉘(180)을 갖는데, 금속 확장부(181)는 컨택트 캐리어(150)의 상단 위로 연장된다. 쉘(180)의 금속 확장부(181)는 플러그(104)의 부정확한 삽입 시도 중에 리셉터클의 일부에 부딪치거나 인접할 수 있으며, 이로써 플러그(104)의 부정확한 삽입을 방지한다. 금속 확장부(181) 및 쉘(180)은 금속 소재의 낮은 마찰계수로 인해 삽입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면서, 내마모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플러그(104) 및 여기에 다른 실시예들은 하우징(102)으로부터 컨택트(106)로 연장되고/되거나 컨택트 캐리어(150) 및/또는 플러그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빔(13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빔(13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드들(105)을 내장한다. 빔(132)은, 예를 들어, 하우징(102)으로부터 컨택트(106) 및/또는 컨택트 캐리어(150) 및/또는 플러그의 전면으로 플러그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빔(132)은 플러그(Lp)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 위해 플러그(Tp)의 최대 두께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빔(132)은 다양한 두께 및/또는 다른 구조적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132)은 플러그(Tp)의 두께 미만의 두께(Tb)를 갖는다. 빔의 폭(Wb)은 도 23에서 알 수 있듯이, 플러그(Wp)의 최대 폭 미만일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서 알 수 있듯이, 빔(132)의 두께(Tb) 및/또는 폭(Wb)은 테이퍼링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테이퍼링된 두께(Tb) 및 폭(Wb)를 생성하기 위해 내부를 향해 구부러진 빔의 상단면, 하단면, 측면을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표면들의 일부는 (빔(132)의 중심 라인에 평행한) 직선일 수 있고, 표면들 중 하나 이상은 테이퍼링된 두께(Tb) 및/또는 폭(Wb)를 생성하기 위해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테이퍼링된 빔(132)는 원형 또는 곡선 테이퍼를 갖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른 곡선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테이퍼링된 빔(132)은 빔(132)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단면들은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및/또는 다른 형상의 다양한 순서, 변이,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테이퍼들은 임의의 단면들 중에 다양하게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빔(132)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136)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8에서 조인트들(136)은 빔(132)의 리세스 또는 두께가 감소된 부분들에 의해 형성되는데, 다른 실시예들은 상이한 구조에 의해 형성된 조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136)는 빔(132)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조인트들은 실질적인 영구 변형에 대한 빔의 저항력을 개선할 수 있다. 빔(132)의 상단면 및 하단면의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조인트들(136)이 빔(132)의 수직 유연성을 증가시킨다는 점이 이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빔(132)은 다른 표면들에 및/또는 이들 사이, 이들을 가로질러, 또는 복수의 표면을 포함하여 조인트들(136)을 추가 또는 대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거나, 다른 구현예에서 수평, 대각, 및/또는 회전을 포함하는 다른 방향으로 빔(132)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25 내지 도 28에 예시된 빔(312)는 여기에 설명된 플렉서블 영역(130)의 소재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는 셀, 또는 다른 소재의 코팅과 같은 추가적인 구조(134)에 의해 둘러싸이거나(예를 들어, 이로써 플러그의 단면은 빔과 이러한 커버 소재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 개방될 수 있다. 구조(134)는 빔(132)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영역(130)의 일부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구조(134)는 리지드 영역(140)의 일부일 수 있다(예를 들어, USB 타입이 USB2.0인 경우, USB2.0 기술 표준은 플러그의 소재에 대한 구성을 규정함).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빔(132)은 플러그(104)의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 영역(들)을 형성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빔(132)은 플러그(104)의 하나 이상의 리지드 영역(들)(140)을 형성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부분(130) 및 리드들(105)은 빔의 길이이 적어도 일부에 대해 빔(132)의 전체 두께를 함께 형성하며, 이로써 예를 들어, 적어도 도 7의 플렉서블 부분(130)에서 빔(132)이 휘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드들(105)은 플렉서블 영역(130) 내에 내장되고 이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컨택트(106)에 연결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드들(105)은 플러그(104)의 중심/중립 축을 따라 일반적으로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리드들(105)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드들(105)은 플러그(104)의 중심/중립 축을 따라 일반적으로 위치한다. 리드들(105)의 위치는 플렉서블 부분(130)의 유연성 및/또는 휘어지는 동안 리드들(105)에 작용하는 응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리드들(105)의 길이는 컨택트들(106)의 길이와 개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컨택트들(106)은 특정 패턴을 갖는 다른 컨택트들과 맞물리게 하기 위해 특정 패턴으로 형상화되어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의 컨택트들(106)은 USB 리셉터클의 컨택트들과 맞물리도록 형상화 및 배열된다. 그러나, 컨택트들(106)은 상이한 타입의 연결을 원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패턴들로 형상화 및 배열될 수 있다. 임의의 원하는 컨택트들 및/또는 전기 결합 구조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사용될 수 있으며, 공지되어 사용 중인 종래의 컨택트 및/또는 전기 결합 구조를 포함한다. 리드들(105) 및 컨택트들(106)은 전기 저항이 낮고 도전성이 높으며, 리드들(105) 또는 컨택트들(106)의 동작을 방해할 수 없는 실질적인 영구 변형 또는 파손 없이 상당히 휘어질 수 있는 탄성 소재 또는 다른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들의 예시는 경화 스테인스강(hardened stainless steel)(예를 들어, Full Hard Stainless Steel 302/304), 스프링 단강(spring tempered steel)(예를 들어, Blue Temper 1095 spring steel), 또는 베릴륨동(beryllium copper)을 포함한다. 금속들의 조합, 예를 들어 합금이 채택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성능, 요건, 목표, 또는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해 금속 조합들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들은 내식성 최적화, 선택된 유연성 획득, 선택된 탄성 획득, 및/또는 선택된 전기 도전성/저항 제공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리드들(105) 및/또는 컨택트들(106)은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성능 요건, 목표, 또는 다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금 또는 니켈과 같은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오버몰딩 기법들을 사용하여 전자 커넥터(100)를 제조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9 내지 도 13에 예시된다. 하우징(102) 및 컨택트 캐리어(150)는 다양한 선택 구조 특징들을 포함하도록 별도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2)의 오프닝(103), 및 컨택트 캐리어(150)의 노우즈(156), 플랫폼(152), 및 리세스들(154)을 포함하는 이러한 선택된 구조적 특징들은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컨택트 캐리어(150)는 몰딩, 예를 들어 사출 성형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컨택트 캐리어(150)는 기계 가공(machining) 등의 다른 기법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리드들(105) 및 컨택트들(106)이 통합되어 있는) 금속 인터커넥트들은 스탬핑, 기계 가공, 용접 또는 다른 제조 기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개별 도전성 부재로 형성된다.
제조 중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2), (리드들(105) 및 컨택트들(106)과 같은) 인터커넥트, 및 컨택트 캐리어(150)는 오버몰딩 도구 내의 개별 위치에 위치한다. 리드들(105)은 컨택트 캐리어(150) 방향으로 오프닝(103)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하우징(102)에 삽입된다. 오프닝(103)은 하우징(102)의 내부(90)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오프닝(103)은 모양이 직사각형일 수 있고;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오프닝(103)은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육각형 등으로 형상화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자 커넥터의 제조 시에, 또는 여러 다른 제조 시에, 리드들(105)은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컴포넌트들은 하우징의 내부(90)에 배치되거나 커넥터의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컨택트들(106)은 오버-몰딩 프로세스를 통해 이러한 플랫폼(152)에 실장되도록 컨택트 캐리어(150)의 개별 플랫폼(152)과 맞물려서 배치된다. 제조의 예시에서, 컨택트들(106)은 캐리어(150) 위의 접합 소재 또는 맞물림 구조에 의해 컨택트 캐리어(150)와 맞물려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컨택트들(106)은 오버-몰딩 프로세스 중에 위치 밖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오버몰드 도구는 오버몰딩 프로세스 중에 각자 위치에 하우징(102), (리드들(105) 및 컨택트들(106)에 관한) 인터커넥트, 및 컨택트 캐리어(150)를 유지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예시하면, 하우징(102), 리드들(105), 컨택트들(106), 및 컨택트 캐리어(150)은 각자 위치에 유지되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가 사출 성형되어 하우징(102), 리드들(105), 컨택트들(106), 및 컨택트 캐리어(150) 주변 공간을 채운다. 오버-몰딩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컨택트 캐리어(150)를 하우징(102)에 연결시키는 빔(132)을 형성한다. 플렉서블 소재, 리드들(105), 컨택트들(106), 및 컨택트 캐리어(150)의 조합은 하우징(102)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렉서블 플러그(104)를 형성한다. 오버-몰드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또한 하우징(102), 리드들(105), 컨택트들(106), 및 컨택트 캐리어(150)를 포함하는 전술한 컴포넌트 모두를 함께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오버-몰드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컨택트 캐리어(150)의 리세스들(154)에 채워지며, 이는 여기에 설명된 접합을 향상시킨다. 추가적으로,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컨택트 캐리어(150)의 최후단(즉, 도 7의 최좌단)과 리드들(105) 사이에 침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리드(105)의 하방 휘어짐이 일 실시예에서 컨택트 캐리어(150)의 후면 에지로부터 분리된다. 휘어지는 동안 컨택트 캐리어(150)의 후면 에지에 의해 플렉서블 영역(130)에 가해질 수 있는 압력을 흡수 및/또는 소멸시킴으로써, 이러한 구성은 플러그(104)가 휘어지는 동안 컨택트 캐리어(150) 및 컨택트들(160) 및/또는 리드들(105)에 대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시예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오버-몰드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오프닝(103)으로 연장 또는 침투되는데, 이로써 예를 들어 플러그(104)와 하우징(102) 사이의 접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오버-몰드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하우징(102)와 플러그(104) 사이에 방수 봉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제조 프로세스로부터 기인하는 플러그(104)는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i) 플렉서블 고분자 오버-몰드 소재에 의해 형성된 플렉서블 영역(130) 및 (ii) 컨택트 캐리어(15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리지드 영역(140)을 갖는다. 오버-몰드 프로세스는 컨택트(106)를 노출 상태로 둔다. 다른 오버몰딩 기법들 및 다른 타입의 기법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뿐 아니라 예시돈 구성에서 플러그(104)를 형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소재는 캐스팅 또는 포팅(potting)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제조에서, 하우징(102) 및 플러그(104)는 하우징(102), 리드들(105), 컨택트들(106) 및 커택 캐리어(150)의 오버몰딩 이외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하우징 및 플러그(104)는 별도로 구조된 후, 예를 들어, 체결구(fastener)를 사용하거나,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 소재를 사용하거나, 용접(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제조에서, 플러그(104) 및 하우징(102)은 인터커넥트를 오버몰딩하여 통합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인터커넥트는 리드들(105) 및 컨택트들(160)을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제조에서, 플러그(104) 및 하우징(102)은 기계 가공 또는 몰딩을 통해 통합 형성될 수 있으며, 리드들 및 컨택트들이 이후에 제공된다(예를 들어, 다른 기법들의 사용 여부와 무관하게 소정의 채널로의 인터커넥트의 삽입을 통하거나, 증착 기법들을 통하거나, 또는 이들 기법의 조합을 통함).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빔(132) 및 컨택트 캐리어(150)는 함께 통합 형성될 수 있고, 그 후 구조(134)는 빔(132) 및 컨택트 캐리어(150)에 구조(134)를 오버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양한 전기 디바이스들은 전자 커넥터(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는 컴퓨팅된 운동 기록 모니터링 디바이스(1501)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전자 커넥터(15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데, 여기서 디바이스(1501)는 하우징(1502)을 포함하며, 커넥터(1500)는 USB 리셉터클로의 삽입을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리적 활동 중에 커넥터(1500)는 즉,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팔에 유지하기 위해 비전자 리셉터클(1590)에 의해 맞물려진다. 이에 따라,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1500)는 리셉터클(1590)로의 더 용이한 삽입 및 더 우수한 안착을 제공하고 또한 활성/운동 사용에서 우연히 마주치는 의도되고 중대한 힘들을 더 잘 흡수하기 위해 일정 방향으로의 유연성으로부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전자 커넥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도 15에 도시된 운동 기록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예시들은 2011년 11월 1일에 출원되어 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12/0253485호로서 공개된 미국 특허출원 제13/287,047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되어 일부를 형성한다.
도 16은 컨트롤러(1620) 및 컨트롤러와 동작 관련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30)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시계(1601)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여기에 설명된 전자 커넥터(16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시계(1601)는 기계 사용 중에 커넥터(1600)를 수용하는 리셉터클(1690)을 포함하는데, 리셉터클(1690)은 전자 또는 비전자 리셉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플러그(1604)는 연결 해제되어 별도의 장치, 예를 들어, 데이터 업로드/다운로드를 위한 컴퓨터의 USB 리셉터클로 플러깅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시계(1601)는 또한 운동 기록 모니터링 능력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능력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커넥터(1600)는 유연성으로부터 리셉터클(1690)로의 더 용이한 삽입을 및 더 우수한 안착을 제공하고 활성/운동 사용에서 우연히 마주치는 힘들을 더 잘 흡수한다는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전자 커넥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컨트롤러와 동작 관련되어 있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갖는 시계의 예시들은 2010년 4월 26에 출원되어 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11/0003665호로서 공개된 미국 특허출원 제12/767,288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되어 일부를 형성한다.
도 17 및 도 18은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도 17은 하우징(1702)를 포함하는 휴대용 메모리 저장 (예를 들어, USB 썸 드라이브) 디바이스(1701)와 사용되는, 여기에 설명된 전자 커넥터(17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7의 커넥터(1700)는 USB 포트에 수신되도록 구성된다. 도 18은 하우징(1800)를 포함하는 연결(예를 들어, USB) 케이블(1801)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여기에 설명된 전자 커넥터(18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전자 커넥터(1800)는 USB 포트에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연결 케이블(1801)은 각각의 개별 장치의 리셉터클을 통해 다양한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다른 장치 중에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및 디스플레이와 같은) 컴퓨터 주변 장치,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저장 유닛(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스마트폰, PDA, 및 비디오 게임 콘솔을 포함하며, 이러한 장치들을 다른 장치, 디바이스, 및/또는 전원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 드라이브(1701) 및 연결 케이블(1801)은 커넥터들(1700 및 1800)에 의해 제공되는 유연성 증가로부터 더 넓은 범위의 응용분야 및 용도를 생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전자 커넥터(100)의 또 다른 용도 및 적용 분야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당업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여러 상이한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들 중 어느 하나가 결합 및/또는 교환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되고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플러그(104)는 도 5 및 도 8에 대해 여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 중에 직선으로 남거나 부분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설명되고, 도 8 및 도 1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의 전자 커넥터들은 도 1 내지 도 7, 도 9, 도 13, 및 도 14에 대해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구성 또는 변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8에 예시된 실시예들의 전부는 플러그(114)의 상단에 컨택트들(106)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단면(116), 측면(118 및 120), 및/또는 플러그(122)의 전면은 여기에 설명된 바와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컨택트들(106)을 추가 또는 대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택트들(106) 중 하나 이상은 선형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없고, 휘어질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전자 커넥터들 및 플러그들은 기존의 제품에 비해 여러 이점 및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영역(130)은 리셉터클의 액세스가 임의의 방시으로 제약되는 경우 플러그(104)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예를 들어, 플러그의 중립 축은 리셉터클의 중립 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또한, 플렉서블 영역(130)은 비선형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리셉터클(전자 또는 비전자)로의 플러그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는 상이한 형상, 사이즈, 및/또는 배향의 전자 커넥터들을 요구할 수 잇는 전자 디바이스들의 전자 커넥터들의 가능한 많은 적용분야들을 제공한다. 일례로서, 플렉서블 영역(130)은 플러그(104)의 휘어짐을 제공하여 일정한 전자 디바이스들 및/또는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일정 부분의 형상, 사이즈, 배향, 및/또는 사용 조건과 더 잘 매칭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5에 되어 있는데, 여기서 디바이스는 운동 활동 모니터링에 사용되고, 플러그는 전자 리셉터클과의 전자 결합을 위할 뿐 아니라, 디바이스의 사용 중에 로킹 맞물림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예에서, 플렉서블 플러그는 리지드 직선 플러그의 사용에 비해 여러 이점을 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리셉터클로의 더 용이한 삽입 및 더 우수한 안착을 제공할 수 있고, 활성/운동 사용에서 우연히 마주치는 의도되고 중대한 힘들을 더 잘 흡수한다. 다른 예시로서, 플렉서블 영역(130)의 사이즈 및 형상이 특정 리셉터클에 대응하도록 커스터마이즈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예를 들어, 연결 부분 근처 또는 주변에 대한 외력 또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보조하여 커넥터의 지속시간을 개선함으로써 플렉서블 영역(130)의 사이즈 및 형상은 전자 커넥터의 성능을 개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은 종종 일정한 전기 디바이스들에 일어날 수 있는데, 플렉서블 플러그는 종종 리지드 직선 플러그보다 더 잘 이러한 충경을 흡후할 수 있다. 플렉서블 영역(130)은 또한 리지드 전자 커넥터와 관련된 설계 제약을 제거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의 심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이익 및 이점들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었다.
본 발명은 현재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모드들을 포함하는 특정 예시들에 설명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전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여러 변형 및 치환이 존재한다는 덤을 이해할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청구항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폭넓게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는,
    (a)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반대되는 바닥면을 갖는 컨택트 캐리어(contact carrier) - 상기 컨택트 캐리어의 상기 바닥면에 노치(notch)가 정의되어 있음 - 와,
    (b) 상기 컨택트 캐리어의 상부면 상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노출된 컨택트들
    을 갖는 것인, 상기 전자 커넥터; 및
    상기 전자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비전자 리셉터클(non-electronic receptacle)로서, 상기 비전자 리셉터클은 상기 전자 커넥터를 상기 비전자 리셉터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택트 캐리어의 바닥면에 정의된 상기 노치와 맞물리는 보충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비전자 리셉터클
    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또한,
    (a) 자연 상태(natural state)로부터 10°의 각도까지 상기 플러그의 휘어짐을 지원(support)하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로 형성된 플렉서블 영역과,
    (b) 상기 컨택트 캐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영역과 맞물리는 리지드 영역
    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드들이 상기 복수의 노출된 컨택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리드들은 상기 플렉서블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embedded)된 것인, 전자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들 각각은 상기 플렉서블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컨택트 캐리어의 후면 에지로부터 이격된 하방 구부림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의 일부는 상기 하방 구부림 영역과 상기 컨택트 캐리어의 후면 에지 사이에 배치된 것인 전자 디바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의 일부는 상기 리지드 영역과 상기 복수의 리드들 사이에 배치된 것인 전자 디바이스.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자연 상태로부터 30°의 각도까지 상기 플러그의 휘어짐을 지원하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자연 상태로부터 60°의 각도까지 상기 플러그의 휘어짐을 지원하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9.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자연 상태로부터 90°의 각도까지 상기 플러그의 휘어짐을 지원하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10.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영역은 하우징과 상기 컨택트 캐리어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의 플렉서블 빔(flexible beam)을 포함하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11.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자 리셉터클은 곡선의 삽입 경로를 가지며,
    상기 플렉서블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상기 전자 커넥터가 상기 곡선의 삽입 경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12.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60 내지 100 Shore A의 경도를 갖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13.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드 영역은 적어도 70 Shore D의 경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된 것인 전자 디바이스.
  14.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드들이 상기 복수의 노출된 컨택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리드들은 상기 플렉서블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되고,
    상기 복수의 리드들은 상기 전자 커넥터의 상기 플러그가 연장되는 위치에서부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15.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캐리어는 복수의 리세스들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세스들은 상기 플랫폼들에 대해 함몰되어 있고, 상기 플렉서블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플렉서블 고분자 소재는 상기 복수의 리세스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1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및 상기 노치와 맞물리는 상기 보충 구조물은, 상기 보충 구조물로부터 상기 노치를 맞물림 해제하기 위한 충분한 힘으로 당겨짐으로써, 서로로부터 릴리즈(release)될 수 있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1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및 상기 노치와 맞물리는 상기 보충 구조물은 로킹 구조(locking)를 형성하며, 상기 보충 구조물로부터 상기 노치의 맞물림을 릴리즈하기 위해서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이동 컴포넌트가 작동되는 것인 전자 디바이스.
  1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커넥터의 상기 플러그는 USB 플러그인 전자 디바이스.
  1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운동 수행 모니터링 디바이스(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device)인 전자 디바이스.
  2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의 동작들과 관련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갖는 시계인 것인, 전자 디바이스.
KR1020170023593A 2013-03-15 2017-02-22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 KR101800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41,122 2013-03-15
US13/841,122 US9293851B2 (en) 2013-03-15 2013-03-15 Electronic connector having flexible reg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592A Division KR101712311B1 (ko) 2013-03-15 2016-02-12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595A true KR20170024595A (ko) 2017-03-07
KR101800146B1 KR101800146B1 (ko) 2017-11-21

Family

ID=5028791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952A KR101597020B1 (ko) 2013-03-15 2014-03-17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
KR1020160016592A KR101712311B1 (ko) 2013-03-15 2016-02-12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
KR1020170023593A KR101800146B1 (ko) 2013-03-15 2017-02-22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952A KR101597020B1 (ko) 2013-03-15 2014-03-17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
KR1020160016592A KR101712311B1 (ko) 2013-03-15 2016-02-12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293851B2 (ko)
EP (2) EP2779329B1 (ko)
JP (2) JP5840247B2 (ko)
KR (3) KR101597020B1 (ko)
CN (2) CN104051881B (ko)
BR (1) BR102014006120A2 (ko)
WO (1) WO2014143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2108B2 (en) 2011-09-16 2016-05-17 Apple Inc.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USD684539S1 (en) * 2012-07-06 2013-06-18 Apple Inc. Connector
US9432492B2 (en) * 2013-03-11 2016-08-30 Apple Inc. Drop countermeasures for electronic device
US9505032B2 (en) 2013-03-14 2016-11-29 Apple Inc. Dynamic mass reconfiguration
US9293851B2 (en) * 2013-03-15 2016-03-22 Nike, Inc. Electronic connector having flexible region
US9715257B2 (en) 2014-04-18 2017-07-25 Apple Inc. Active screen protection for electronic device
DE102015107304B4 (de) * 2015-05-11 2018-02-1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Berührschutzelement und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6561668B2 (ja) * 2015-08-07 2019-08-21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3208890A1 (en) * 2016-02-19 2017-08-23 Thomson Licensing Socket for an electrical plug and flexible electrical plug
CN107086387B (zh) * 2017-04-06 2020-06-12 深圳罗马仕科技有限公司 护套、扩充设备、数据线及其连接器
US10797421B2 (en) * 2018-05-23 2020-10-06 Xerox Corporation Landing electrical contact
CN110875554A (zh) * 2018-09-03 2020-03-10 立讯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
US10673157B1 (en) * 2018-12-04 2020-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or frame
CN109494522B (zh) * 2018-12-28 2024-04-12 杭州余杭电缆有限公司 柔性转头及柔性线卡及柔性插头
US11133614B2 (en) * 2019-08-30 2021-09-28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Low insertion force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1313917B (zh) * 2020-04-18 2021-12-10 深圳市爱保科技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5g移动通信信号感应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5843A (en) * 1993-01-19 1994-03-2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ower and signal contacts
JPH0831498A (ja) * 1994-07-13 1996-02-02 Fujikura Ltd Icカード対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3147781B2 (ja) 1995-07-31 2001-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蒸気処理装置の故障診断方法
US7021971B2 (en) * 2003-09-11 2006-04-04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Dual-personality extended-USB plug and receptacle with PCI-Express or Serial-At-Attachment extensions
US6513532B2 (en) 2000-01-19 2003-02-04 Healthetech, Inc. Diet and activity-monitoring device
JP2004327521A (ja) 2003-04-22 2004-11-18 Alps Electric Co Ltd 配線基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並びにスイッチ装置
TWM278139U (en) 2005-06-07 2005-10-11 He And Technology Co Ltd Small USB connector
JP4923821B2 (ja) 2006-07-26 2012-04-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一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033034A1 (en) * 2007-09-07 2009-03-12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CN201142507Y (zh) * 2007-11-09 2008-10-29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可旋转usb头的装置
US7503780B1 (en) * 2008-01-24 2009-03-17 Ho E Screw & Hardware Co., Ltd. USB flash disk with cover
TW201037493A (en) * 2009-04-15 2010-10-16 Kye Systems Corp Circuit interface apparatus
CN102449561B (zh) * 2009-04-26 2014-06-18 耐克国际有限公司 在运动手表系统中的gps特征和功能
US8998632B2 (en) * 2010-05-28 2015-04-07 Apple Inc. Dual orientation connector with external contacts
CN202196950U (zh) * 2010-10-25 2012-04-18 徐国元 卡销式插头插座
US8814754B2 (en) 2010-11-01 2014-08-26 Nike, Inc. Wearable device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9011292B2 (en) 2010-11-01 2015-04-21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20140069108A1 (en) * 2012-09-07 2014-03-13 General Electric Company Bucket assembly for turbomachine
US9293851B2 (en) * 2013-03-15 2016-03-22 Nike, Inc. Electronic connector having flexible reg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4006120A2 (pt) 2015-10-20
WO2014143648A1 (en) 2014-09-18
US9742092B2 (en) 2017-08-22
EP2779329B1 (en) 2017-08-30
US20170331214A1 (en) 2017-11-16
US9293851B2 (en) 2016-03-22
CN104051881A (zh) 2014-09-17
KR101800146B1 (ko) 2017-11-21
CN107579366A (zh) 2018-01-12
JP6243890B2 (ja) 2017-12-06
US20140273607A1 (en) 2014-09-18
JP2014183050A (ja) 2014-09-29
JP2016076497A (ja) 2016-05-12
EP3258553A1 (en) 2017-12-20
KR20160024889A (ko) 2016-03-07
KR20140113584A (ko) 2014-09-24
EP2779329A1 (en) 2014-09-17
US20160104959A1 (en) 2016-04-14
JP5840247B2 (ja) 2016-01-06
EP3258553B1 (en) 2020-08-12
CN104051881B (zh) 2017-09-15
KR101597020B1 (ko) 2016-02-23
KR101712311B1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146B1 (ko) 플렉서블 영역을 갖는 전자 커넥터
US8535102B1 (en) Compliant mount for connector
CN112583966B (zh) 移动电子设备和便携通信设备
CN101815416B (zh) 电子设备用筐体的电磁屏蔽结构
CN206041026U (zh) 电子设备
CN106505336B (zh) 连接器
JP2013054844A (ja) 電気コネクタ
US20170325348A1 (en) Structure, electronic device inc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ructure
TWI595711B (zh) 防水連接器
US7961459B2 (en) Electronic device
US8753150B2 (en) Simplified connector receptacles
KR101374460B1 (ko) 수직-수평 변환 콘택트를 갖는 usb 커넥터
CN102612293A (zh) 电子装置、定位件及电子元件固定模块
KR10177350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5398032B2 (ja) 筐体
US11114781B1 (en) Seal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CN207835977U (zh) 电子设备及其限位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