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009A - 유수정체 안내렌즈 - Google Patents

유수정체 안내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009A
KR20170024009A KR1020177001990A KR20177001990A KR20170024009A KR 20170024009 A KR20170024009 A KR 20170024009A KR 1020177001990 A KR1020177001990 A KR 1020177001990A KR 20177001990 A KR20177001990 A KR 20177001990A KR 20170024009 A KR20170024009 A KR 20170024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raction grating
lens
center
grooves
guid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0612B1 (ko
Inventor
기미야 시미즈
가즈히코 오누마
Original Assignee
무사시노 렌즈 리서치,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사시노 렌즈 리서치,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무사시노 렌즈 리서치,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2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02Corrective lenses for use in addition to the natural lenses of the eyes or for pseudo-phakic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01Lens body having features to facilitate aqueous fluid flow across the intraocular lens, e.g. for pressure equalization or nutrient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02Corrective lenses for use in addition to the natural lenses of the eyes or for pseudo-phakic eyes
    • A61F2/161Posterior chamber lenses for use in addition to the natural lenses of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54Diffractive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5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채와 수정체의 사이에 이식되는 유수정체 안내렌즈로서, 렌즈 중앙부(2)에 배치되고, 동심원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5)와, 회절 격자(5)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절 격자(5)를 지지하는 지지부(3)를 구비하고, 회절 격자(5)의 중심에는 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수정체 안내렌즈{PHAKIC INTRAOCULAR LENS}
본 발명은, 회절 격자를 이용한 렌즈 유수정체 안내렌즈에 관한 것이다.
유수정체 안내렌즈는,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 이외의 시각 질환을 보정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 유수정체 안내렌즈로서는, 홍채와 수정체의 사이에 이식되는 렌즈가 알려져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유수정체 안내렌즈는, 중앙 광학 부분과, 주변 햅틱 부분과,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를 갖는 관통된 구멍을 가지며, 홈이 중앙 광학 부분의 경계부 또는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표2007-534360호 공보
그러나, 유수정체 안내렌즈에서, 볼록 렌즈의 경우, 렌즈의 중앙 부분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볼록 렌즈의 중앙 부분에 구멍을 뚫으면, 광학적 기능이 저하한다.
또, 종래의 유수정체 안내렌즈에서는, 축동한 경우, 구멍이 중앙에 없고 주변에 있는 경우, 홍채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방수의 흐름에 장해가 된다.
본 발명은, 렌즈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방수의 흐름을 좋게 할 수 있는 유수정체 안내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는, 홍채와 수정체의 사이에 이식되는 유수정체 안내렌즈로서, 렌즈 중앙부에 배치되고, 동심원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와, 상기 회절 격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절 격자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절 격자의 중심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를 갖는 눈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에 갖는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에 갖는 톱니 형상의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에 의한 단초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톱니 형상의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유수정체 안내렌즈에 갖는 톱니 형상의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에 의한 2초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유수정체 안내렌즈에 갖는 톱니 형상의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1)는, 콜라겐의 공중합체 소재, 콜라머(Collamer)로 이루이지고, 홍채와 수정체의 사이에 이식된다. 유수정체 안내렌즈(1)는, 렌즈 중앙부(2)에 배치되고 동심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5)와, 회절 격자(5)의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회절 격자(5)를 지지하는 지지부(3)를 구비하고 있다.
4a, 4b는, 유수정체 안내렌즈의 마킹이며, 렌즈 중앙부(2)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회절 격자(5)의 중심에는 1개의 원 형상의 구멍(6)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6)의 직경은, 0.25㎜~0.5㎜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를 갖는 눈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8)은, 각막(9), 수정체(10), 홍채(11), 전방(13), 후방(14)을 갖고 있다. 유수정체 안내렌즈(1)는, 홍채(11)와 수정체(10)의 사이에 이식된다. 유수정체 안내렌즈(1)와 수정체(10)의 사이에는, 갭(12)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14)에 갖는 방수는, 갭(12)과 회절 격자(5)의 구멍(6)을 통해 전방(13)으로 흐르게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에 갖는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홈이 슬릿이며, 회절 격자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절 격자(5)에는, 동심원 형상으로 홈(5a~5d)이 형성되어 있다. 홈(5a~5d)은, 회절 격자(5)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홈과 홈의 간격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홈(5b)과 홈(5c)의 간격은, 홈(5a)과 홈(5b)의 간격보다 작고, 홈(5d)과 홈(5c)의 간격은, 홈(5b)과 홈(5c)의 간격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회절 격자(5)의 중심(O)으로부터 동심원 형상의 각각의 홈(5a~5d)까지의 높이(h)는, 식 (1)로 표시된다.
h=(2Rmλ)1/2…(1)
여기서, λ는 빛의 파장이며, m은 정수이며, R은 회절 격자(5)의 중심(O)과 초점(P)의 거리이다. m이 1일 때의 높이(h)는, 중심(O)으로부터 홈(5a)까지의 거리이다. m이 2일 때의 높이(h)는, 중심(O)으로부터 홈(5b)까지의 거리이다. 이하, m이 3 이상일 때의 높이(h)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에 갖는 톱니 형상의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에 의한 단초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톱니 형상의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회절 격자(5)에 렌즈 작용을 갖게 하기 위해서, 홈에 톱니 형상부(5A~5C)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 형상부(5A~5C)는,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톱니 형상부(5A)의 폭보다 톱니 형상부(5B)의 폭이 작고, 톱니 형상부(5B)의 폭보다 톱니 형상부(5C)의 폭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톱니 형상부(5A~5C)의 각각의 굴절률을 nL로 하고, 톱니 형상부(5A~5C) 이외의 영역의 굴절률을 nW로 한다. 굴절률(nL)은, 빛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1보다 큰 것으로 한다.
도 4에 나타내는 톱니 형상의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5)는, 모든 위상이 맞춰지고, 단초점(P)을 얻고 있다. 이 단초점(P)을 얻기 위해서, 도 5에 나타내는 예를 들면 톱니 형상부(5B)의 위와 아래를 통과한 빛이 정확히, 1파장 어긋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길이×굴절률=광로 길이이기 때문에, 식 (2)가 성립한다.
D(nL-nW)=λ…(2)
여기서, 파장(λ)이 0.546㎛(e선), nL이 1.46(렌즈의 굴절률), nW가 1.336(방수의 굴절률)이 되면, 높이(D)는 4.4㎛가 된다. 각 톱니 형상부(5A~5C)의 높이(D)도 4.4㎛가 된다.
도 6은 종래의 유수정체 안내렌즈에 갖는 톱니 형상의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에 의한 2초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유수정체 안내렌즈에 갖는 톱니 형상의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홈에 톱니 형상부(5-1~5-3)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 형상부(5-1~5-3)는, 2초점으로 하기 위해서, 모든 위상을 맞추지 않도록 한다. 평행하게 나가는 빛이 서로 강하게 하여, 높이(D)를 작게 함으로써 겹친 빛의 강도는 약해진다. 높이(D)는, 2개의 초점으로 나누는 강도의 비율을 5:5로 한 경우, 식 (3)이 성립한다.
D(nL-nW)=0.5λ…(3)
2초점의 굴절률(nL, nW), 파장(λ)을, 단초점의 굴절률(nL, nW), 파장(λ)과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 높이(D)는 2.2㎛가 된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톱니 형상부(5A~5C)의 각각의 높이는 D가 되는데 반해, 도 6에 나타내는 톱니 형상부(5-1~5-3)의 각각의 높이는 D/2가 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구성된 유수정체 안내렌즈(1)에 의하면, 렌즈 중앙부(2)에 동심원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5)를 배치했기 때문에, 회절 격자(5)는, 볼록 렌즈로서 기능하고, 유수정체 안내렌즈(1)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 중앙부(2)에 형성된 회절 격자(5)의 중심에 구멍(6)을 용이하게 뚫을 수 있다. 또, 회절 격자(5)는 얇기 때문에, 유수정체 안내렌즈의 광학적인 기능이 저하하지 않게 된다.
또, 회절 격자(5)의 중심에 뚫린 구멍(6)은, 홍채(11)와 수정체(10) 사이의 동공에 위치되므로, 방수는, 후방(14)으로부터 갭(12)을 통해 회절 격자(5)의 중심에 뚫린 구멍(6)을 통과하고, 전방(13)으로 용이하게 흐른다. 따라서, 방수의 흐름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구멍(6)을 설치하고 있어도, 구멍(6)이 없을 때의 광학적 특성과 거의 동일한 광학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회절 격자(5)는, 회절 격자(5)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홈의 간격이 작게 설정되고, 홈에는 톱니 형상부(5A~5C)가 형성되고, 톱니 형상부(5A~5C)의 높이(D)가 식 (2)에 의해 소정치로 조정되고 있으므로, 단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수정체 안내렌즈의 광학적인 기능이 저하하지 않게 된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 2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는, 회절 격자(5)의 중심 부근에 3개의 구멍(6a, 6b, 6c)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개의 구멍(6a, 6b, 6c)은, 회절 격자(5)의 중심에 대해 직경 1.5㎜ 이내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구멍(6a, 6b, 6c)의 직경은, 0.1㎜이다.
이와 같이 회절 격자(5)의 중심 부근에 3개의 구멍(6a, 6b, 6c)을 설치한 경우에도, 실시예 1에 따른 유수정체 안내렌즈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에서는, 회절 격자(5)의 중심에 대해 직경 1.5㎜ 이내에 3개의 구멍을 설치했지만, 예를 들면, 회절 격자(5)의 중심에 대해 직경 1.5㎜ 이내에 2개의 구멍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2개의 구멍의 각각의 직경은 0.15㎜이다.
즉, 복수의 구멍을 설치한 경우의 각각의 구멍의 면적의 총화가, 1개의 구멍을 설치한 경우의 구멍의 면적 이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홍채와 수정체의 사이에 이식되는 안내렌즈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3)

  1. 홍채와 수정체의 사이에 이식되는 유수정체 안내(眼內)렌즈로서,
    렌즈 중앙부에 배치되고, 동심원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 회절 격자와,
    상기 회절 격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절 격자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절 격자의 중심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유수정체 안내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직경은 0.25㎜~0.5㎜인, 유수정체 안내렌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절 격자는, 상기 회절 격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홈의 간격이 작게 설정되고, 상기 홈에는 톱니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 형상부의 높이가 소정치로 조정됨으로써 단초점을 형성하는, 유수정체 안내렌즈.
KR1020177001990A 2014-07-25 2014-07-25 유수정체 안내렌즈 KR101840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9742 WO2016013121A1 (ja) 2014-07-25 2014-07-25 有水晶体眼内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009A true KR20170024009A (ko) 2017-03-06
KR101840612B1 KR101840612B1 (ko) 2018-03-20

Family

ID=5516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990A KR101840612B1 (ko) 2014-07-25 2014-07-25 유수정체 안내렌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70216019A1 (ko)
EP (1) EP3173050B1 (ko)
JP (1) JP6263266B2 (ko)
KR (1) KR101840612B1 (ko)
CN (1) CN106659566B (ko)
ES (1) ES2775599T3 (ko)
RU (1) RU2650208C1 (ko)
WO (1) WO2016013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2815A1 (ja) * 2020-01-31 2021-08-05 有限会社武蔵野レンズ研究所 有水晶体眼内レン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4360A (ja) 2003-12-15 2007-11-29 ファルマシア・フローニンゲン・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改良された流体循環特性を有する有水晶体眼内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5456A (en) * 1984-03-12 1986-04-29 Ioptex Inc. Corrective lens for the natural lens of the eye
US4769035A (en) * 1987-06-02 1988-09-06 Kelman Charles D Artificial lens and the method for implanting such lens
US5121980A (en) * 1989-04-19 1992-06-16 Cohen Allen L Small aperture multifocal
US4955904A (en) * 1989-08-21 1990-09-11 The Beth Israel Hospital Association Masked intraocular lens and method for treating a patient with cataracts
US5098444A (en) * 1990-03-16 1992-03-24 Feaster Fred T Epiphakic intraocular lens and process of implantation
RU2033114C1 (ru) * 1993-04-22 1995-04-20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скусственный хрусталик глаза
US6197057B1 (en) 1998-10-27 2001-03-06 Gholam A. Peyman Lens conversion system for teledioptic or difractive configurations
JP3530776B2 (ja) * 1999-07-28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回折光学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系
US7048759B2 (en) * 2000-02-24 2006-05-23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es
US20030014107A1 (en) * 2001-06-28 2003-01-16 Michael Reynard Multifocal phakic intraocular lens
US20030097177A1 (en) * 2001-11-21 2003-05-22 Tran Son Trung Posterior chamber phakic lens
JP2003203997A (ja) * 2002-01-07 2003-07-18 Mitsubishi Electric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112944B2 (ja) * 2002-10-29 2008-07-0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
US20060116764A1 (en) * 2004-12-01 2006-06-01 Simpson Michael J Apodized aspheric diffractive lenses
US20070258143A1 (en) * 2006-05-08 2007-11-08 Valdemar Portney Aspheric multifocal diffractive ophthalmic lens
US20080097599A1 (en) * 2006-10-19 2008-04-24 Rozakis George W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US20080300679A1 (en) 2007-06-01 2008-12-04 Altmann Griffith E Diffractive Intraocular Lens
JP4551489B2 (ja) * 2009-01-06 2010-09-29 株式会社メニコン 回折レンズの製造方法
WO2010100523A1 (en) * 2009-03-05 2010-09-10 Amo Regional Holdings Multizonal lens with extended depth of focus
RU2552699C2 (ru) * 2009-10-26 2015-06-10 Новартис Аг Дифракцио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о смещением фазы области центра-дальней зоны для глаз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FR2952298B1 (fr) * 2009-11-06 2012-05-25 Gilbert Cohen Lentille diffractive intracorneenne avec inversion de phase
US8623083B2 (en) * 2009-11-06 2014-01-07 Amo Groningen B.V. Diffractive binocular lens systems and methods
US8608800B2 (en) * 2011-08-02 2013-12-17 Valdemar Portney Switchable diffractive accommodating lens
CA2857306C (en) * 2011-12-02 2017-07-25 Acufocus, Inc. Ocular mask having selective spectral transmission
US9945792B2 (en) * 2012-12-19 2018-04-17 Kla-Tencor Corporation Generating an array of spots on inclined surfaces
CN103006351A (zh) * 2013-01-14 2013-04-03 杭州百康医用技术有限公司 眼内透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4360A (ja) 2003-12-15 2007-11-29 ファルマシア・フローニンゲン・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改良された流体循環特性を有する有水晶体眼内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59566A (zh) 2017-05-10
WO2016013121A1 (ja) 2016-01-28
EP3173050A4 (en) 2018-04-04
US11166807B2 (en) 2021-11-09
US20170216019A1 (en) 2017-08-03
RU2650208C1 (ru) 2018-04-11
ES2775599T3 (es) 2020-07-27
EP3173050B1 (en) 2020-02-19
US20190183634A1 (en) 2019-06-20
JPWO2016013121A1 (ja) 2017-04-27
KR101840612B1 (ko) 2018-03-20
EP3173050A1 (en) 2017-05-31
CN106659566B (zh) 2018-06-12
JP6263266B2 (ja)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1106B2 (ja) 被写界深度が改善された眼内レンズ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AU2012314904B2 (en) Lens having an extended focal range
JP5429842B2 (ja) フラストレイトした回折領域を有するアポダイズ回折型iol
RU2008136206A (ru) Псевдоаккомодационные интраокулярные линзы с изменяющимися областями дифракционных зон
KR101816887B1 (ko) 조절성 안내 렌즈
RU2015148919A (ru) Световод для изменения паттерн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света
JP2010104772A (ja) 眼内レンズ
WO2014054946A1 (en) Artificial asymmetrical pupil for extended depth of field
WO2020026172A3 (en) Dynamically tunable apodized multiple-focus opthalmic devices and methods
WO2012138426A3 (en) An implantable ophthalmic device with multiple static apertures
RU2017114048A (ru) Мультифокальная интраокулярная линза с увеличенной глубиной резкости
MX2018009350A (es) Lente oftalmica con una profundidad de foco extendida.
KR101840612B1 (ko) 유수정체 안내렌즈
KR101118839B1 (ko) 핀 홀 효과를 이용한 시력보정용 안경렌즈와 그 안경렌즈를 적용하여 제작된 시력보정용 안경
RU2013145313A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нтраокулярной линзы и интраокулярная линза
JP5205495B2 (ja) 眼内レンズ
RU2021132402A (ru) Интраокулярная линза с высоким разрешением и увеличенной глубиной поля зрения
KR20240038776A (ko) 안경 또는 기타 안과용 렌즈에 적용하기 위한 grin 요소를 갖는 필름
CN114967179A (zh) 眼镜结构、隐形眼镜及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