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887B1 - 조절성 안내 렌즈 - Google Patents

조절성 안내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887B1
KR101816887B1 KR1020160101224A KR20160101224A KR101816887B1 KR 101816887 B1 KR101816887 B1 KR 101816887B1 KR 1020160101224 A KR1020160101224 A KR 1020160101224A KR 20160101224 A KR20160101224 A KR 20160101224A KR 101816887 B1 KR101816887 B1 KR 10181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portion
optical
lens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246A (ko
Inventor
현동원
Original Assignee
현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동원 filed Critical 현동원
Priority to JP201851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JP6648263B2/ja
Priority to US15/751,898 priority patent/US10368978B2/en
Priority to PCT/KR2016/008747 priority patent/WO2017026771A1/ko
Publication of KR2017002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24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 A61F2/1627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for changing index of refraction, e.g. by external means or by t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16Pseudo-accommodative, e.g. multifocal or enabling monovi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9Surrounding o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901Supporting structure conforms to shape of capsular ba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5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조절성 안내 렌즈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중앙 광학부를 구비한 렌즈 본체와, 상기 렌즈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중앙 광학부의 외측에 상기 중앙 광학부를 일주하도록 배치된 광학 섬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절성 안내 렌즈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본 발명은 안내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눈에 이식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내 렌즈(Intraocular Lens; IOL)는 백내장 환자의 혼탁해진 수정체를 대신하여 눈 안에 이식되는 인공수정체를 말한다.
이러한 안내 렌즈(인공수정체) 삽입술이란, 백내장 환자에서 백내장을 제거한 후 그 대용으로 인공물질로 만든 안내 렌즈(인공수정체)를 눈 안에 삽입하여 수술 후 안경이나 콘텍트 렌즈의 역할을 대신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많이 시행하고 있다.
이때, 백내장은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져 외부의 빛이 망막에 명확하게 맺히지 못하게 되어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으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수정체낭 내부에 있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그 곳에 사람에게 삽입하여도 염증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는 여러 가지 물질로 만들어진 안내 렌즈(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수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내 렌즈를 이식하여 환자가 가깝거나 멀리 있는 물체를 선명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안내 렌즈의 형상이나 재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예를들어, 안내 렌즈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를 주입하여 다 초점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거나, 안내 렌즈의 형상이 변화하여 초점을 조절하게 하는 방안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09-0088840호 (발명의 명칭: ZONAL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에는 다 초점 안내 렌즈를 제공하기 위해서 렌즈의 표면에 굴절영역을 형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 2009-0088840호(2008.09.3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내 렌즈에 입사되는 광을 정렬하여 시인성이 향상된 조절성 안내 렌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중앙 광학부를 구비한 렌즈 본체와, 상기 렌즈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 광학부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앙 광학부의 외측에 상기 중앙 광학부를 일주하도록 배치되는 광학 섬유부를 포함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의 굴절률은 상기 중앙 광학부의 굴절률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광학 섬유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이 소정의 각을 형성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본체는 상기 중앙 광학부를 둘러싸며, 상기 광학 섬유부가 배치되는 전이부 및 상기 전이부를 둘러싸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가 연결되는 가장자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두께는 상기 중앙 광학부에서 상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중앙 광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 및 상기 제1 섬유부에 반경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섬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섬유부의 길이 방항과 상기 제1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의 크기는 상기 제2 섬유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중앙 광학부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광학 섬유부의 직경은 반경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전면에서 상기 후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후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후면보다 상기 전면에 인접하거나, 상기 본체의 상기 전면보다 상기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외벽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유리 섬유 또는 광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학 섬유부의 내벽에서 전반사될 수 있다.또한, 상기 중앙 광학부를 향하는 외부 광은 상기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고, 상기 광학 섬유부를 향하는 상기 외부 광은 입사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섬유부의 외벽에는 광흡수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는 중앙 광학부에 입사되는 광은 투과하나, 광학 섬유부에 입사되는 광은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이미지를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가 입사되는 광을 정렬하여 초점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절성 안내 렌즈는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망막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절성 안내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1의 조절성 안내 렌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도 1의 조절성 안내 렌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의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8a 내지 도 8g는 도 6의 조절성 안내 렌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자연 수정체를 도시한 인간의 눈의 단면도이다.
도10b는 도1의 조절성 안내 렌즈가 삽입된 인간의 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1의 조절성 안내 렌즈로 외부 광이 입사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절성 안내 렌즈(100)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렌즈 본체(150), 광학 섬유부(160) 및 지지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사람의 눈의 자연 수정체(17, 도 10a 참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고, 제거된 부분에 이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조절성 안내 렌즈(100)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은 조절성 안내 렌즈(100)의 두께 방향의 중심 라인(CL)의 방향과 입사되는 빛의 방향 사이 각도로 정의한다. 따라서, 입사각이 작다는 의미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에 거의 수직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의미하고, 입사각이 크다는 의미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의 측면에서 조절성 안내 렌즈(100)를 향하여 입사하는 것을 의미 한다.
렌즈 본체(150)는 전면(150a)과 후면(150b)을 가질 수 있다. 전면(150a)은 외부 광이 입사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후면(150b)은 전면(150a)에 대응하며 사람의 수정체 낭과 접촉하거나 망막 쪽 방향을 향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외부의 광은 전면(150a)으로 입사하고 렌즈 본체(150)를 이동하여 후면(150b)을 통과할 수 있다.
렌즈 본체(150)는 중앙 광학부(110), 광학 섬유부(160)가 배치되는 전이부(120) 및 가장자리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150)는 외부의 광이 투과되는 영역으로 통상적으로 옵틱(optic)으로 사용된다.
렌즈 본체(150)는 비교적 경질 재료, 비교적 연질 굴곡성의 반강성 재료, 또는 이들 경질 재료와 연질 재료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렌즈 본체(150)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술폰(polysulfone, PSF), 기타 비교적 경질의 생물학적 불활성 광학 재료일 수 있다. 또한 렌즈 본체(150)는 실리콘 수지(silicone), 하이드로겔(hydrogel), 열불안정성 재료(thermolabile materials), 및 기타 굴곡성을 가지면서 반강성인 생물학적 불활성 광학 재료일 수 있다.
중앙 광학부(central optic zone, 110)는 렌즈 본체(150)의 두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110)는 전면(150a)이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후면(150b)이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전면(150a) 및 후면(150b)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면(150a) 및 후면(150b)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광학부(110)는 렌즈 본체(15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110)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대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중앙 광학부(110)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가 사람의 눈에 이식될 때 황반부에 정렬될 수 있다.
전이부(120)는 중앙 광학부(110)를 둘러싸며, 광학 섬유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이부(120)는 중앙 광학부(110)에서 가장자리부(130) 갈수록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두께는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이부(120)는 소정의 홈(Groove)이 형성되어 중앙 광학부(110)와 가장자리부(130)를 구별할 수 있다.
가장자리부(130)는 전이부(120)를 둘러싸며 복수개의 지지부(170)가 연결될 수 있다. 가장자리부(130)는 도2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장자리부(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부(170)가 연결되는 부분이 플랫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의 외곽부분에 일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적어도 일부가 중앙 광학부(11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섬유부(160)의 단면은 다각형이거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는 대략 다각기둥 형상이거나, 대략 원형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를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고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섬유부(160)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섬유부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에 인접하고 중앙 광학부(110)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1 섬유부(161)와, 제1 섬유부(161)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섬유부(162)와, 제2 섬유부(162)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16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섬유부(161), 제2 섬유부(162) 및 제3 섬유부(163)는 각각 전면(150a)에서 후면(150b)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각각의 길이방향과 제1 방향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은 중앙 광학부(110)의 반경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입사각이 큰 빛이 입사하면, 상기 빛이 광학 섬유부(160)의 측벽에 의해서 반사될 수 있다. 이때, 광학 섬유부(160)는 경사를 가지는바 입사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빛을 정렬할 수 있다.
상세히, 제1 섬유부(161)의 길이방향과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CL)은 제1 각(α)을 형성하고, 제2 섬유부(162)의 길이방향과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CL)은 제2 각(β)을 형성하며, 제3 섬유부(163)의 길이방향과 중앙 광학부(110)의 중심라인은 제3 각(γ)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각은 제2각 보다 크고, 제1 각 보다 크다. 또한, 제3 각은 제2 각보다 크다. 따라서, 광학 섬유부(160)는 중심라인(CL)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배치 각도가 작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1의 조절성 안내 렌즈(1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를 보면, 광학 섬유부(160’)는 길이방향의 중심이 일 영역(P)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섬유부(161’), 제2 섬유부(162’) 및 제3 섬유부(163’)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은 일 영역(P)에 모이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는 외부의 광을 일 영역으로 수렴하여 시야를 확보 할 수 있다.
다시, 도3을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가 배치되는 영역의 거리(b)는 중앙 광학부(110)의 직경(a)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은 대부분 중앙 광학부(110)를 통과하고, 입사각이 큰 일부의 빛만 광학 섬유부(160)에서 반사시켜 광을 정렬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입사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광의 이동방향 사이의 각도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은 중앙 광학부(110)의 굴절률과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이 중앙 광학부(110)의 굴절률 보다 크거나,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이 중앙 광학부(110)의 굴절률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광학 섬유부(160)로 입사하는 광을 입사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는 광 섬유 또는 유리 섬유의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렌즈 본체(150)의 가장자리부(130)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지지부(170)는 햅틱(haptic)으로 사용된다.
지지부(170)는 안구 내에서 렌즈 본체(150)가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즉, 지지부(170)는 수정체 낭내(intracapsular) 또는 설커스(sulcus) 등, 눈의 내측 면에 지지되어, 눈의 광학경로에 렌즈 본체(15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가 이식되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170)는 C-형상, J-형상, U-형상, 평면 디자인 또는 다른 디자인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2개의 지지부(170)가 가장자리부(130)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도 5a 내지 도 5f는 도 1의 조절성 안내 렌즈(1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의 변형예들은 광학 섬유부의 구조 및 배치에 있어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5a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a)는 전면(150a)에서 후면(150b)을 연결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제1 섬유부(161a) 및 제2 섬유부(162a)는 전면(150a)에서 후면(150b)을 향해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광학 섬유부(160a)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a)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a)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망막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a)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망막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b)는 전면(15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전면(150a)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후면(150b)으로는 광학 섬유부(160)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b)는 제1 섬유부(161b)와 제2 섬유부(162b)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면(150a)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광학 섬유부(160b)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b)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b)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망막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b)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망막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5c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c)는 후면(150b)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후면(150b)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전면(150a)으로는 광학 섬유부(160c)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c)는 제1 섬유부(161c)와 제2 섬유부(162c)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후면(150b)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외부 광은 전이부(120)에 입사되어 광학 섬유부(160c)를 향하여 이동한다.
광학 섬유부(160c)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광학 섬유부(160c)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c)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c)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망막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c)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망막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d)는 렌즈 본체(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렌즈 본체(15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d)는 제1 섬유부(161d)와 제2 섬유부(162d)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161d)와 제2 섬유부(162d)는 후면(150b)보다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광학 섬유부(160d)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d)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d)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망막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d)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망막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e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e)는 렌즈 본체(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렌즈 본체(150)의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e)는 제1 섬유부(161e)와 제2 섬유부(162e)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161e)와 제2 섬유부(162e)는 전면(150a)보다 후면(150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전면(150a)의 전이부(12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을 일부 선택적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광학 섬유부(160e)의 굴절률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광학 섬유부(160e)의 임계각 이상이면, 광학 섬유부(160e)는 입사 광을 전부를 반사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의 입사각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입사되는 광의 전부를 통과 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조절성 안내 렌즈(100)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에서 일부 만을 통과 시켜서 망막에 상이 선명하게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e)는 핀홀 효과(pinhole effect)과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나, 핀홀 효과(pinhole effect)와 비교하여 통과하는 전체 광량과 빛이 통과 가능한 총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망막에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f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160f)는 렌즈 본체(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f)는 렌즈 본체(150)의 두께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160f)는 제1 섬유부(161f)와 제2 섬유부(162f)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161e)와 제2 섬유부(162e)는 전면(150a)과 후면(15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은 도 6의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200)는 렌즈 본체(250), 지지부(270) 및 광학 섬유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250)는 중앙 광학부(210), 전이부(220) 및 가장자리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2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260)는 중앙 광학부(210)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광학 섬유부(260)의 직경은 반경방향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섬유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260)는 중앙 광학부(210)에 인접하고 중앙 광학부(210)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와, 제1 섬유부(261)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섬유부(26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부(262)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를 구비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는 각각의 길이방향과 제1 방향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는 중앙 광학부(21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은 중앙 광학부(210)의 반경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로 입사되는 외부 광은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여 망막에 상(image)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광학부(210)를 통과하는 광은 형성된 상(image)을 밝게 조절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는 중앙 광학부의 반경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광학 섬유부의 직경은 반경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섬유부(261)의 직경을 크게 설계 하면 시축의 중심을 형성하는 망막내의 구조인 황반을 향하는, 정렬된 빛의 양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정열되어 초점 심도가 향상된 빛을 최대한 많이 확보함으로써, 명도가 개선된 조절성 안내렌즈(2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 3 섬유부(263)의 직경을 작게 한다면, 같은 면적 안에 포함된 광학 섬유의 밀도를 증가시켜, 조절성 안내렌즈(200)의 외측을 향하여 큰 입사각으로 입사하여, 초점심도의 향상을 방해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한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섬유부(261)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면, 전이부(220)에서 제1 섬유부(261)가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든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전이부(220)에 입사되는 광이 많아진다. 제1 섬유부(261)는 중앙 광학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중앙 광학부(210) 가까운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량을 높이고, 중앙 광학부(210)에서 먼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량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명도가 개선된 조절성 안내 렌즈(2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8a 내지 도 8g는 도 6의 조절성 안내 렌즈(2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조절성 안내 렌즈(200)의 변형예들은 광학 섬유부의 구조 및 배치에 있어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a)는 전면(250a)에서 후면(250b)을 연결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a)는 제1 섬유부(261a), 제2 섬유부(262a) 및 제3 섬유부(263a)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면(250a)에서 후면(250b)로 연장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a)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c)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b)는 전면(250a)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b)는 전면(250a)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후면(250b)으로는 광학 섬유부(260b)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b)는 제1 섬유부(261b), 제2 섬유부(262b) 및 제3 섬유부(263b)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면(250a)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b)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b)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8c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c)는 후면(250b)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c)는 후면(250b)에서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고, 전면(250a)으로는 광학 섬유부(260c)가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c)는 제1 섬유부(261c), 제2 섬유부(262c) 및 제3 섬유부(263c)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후면(250b)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c)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c)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d)는 렌즈 본체(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d)는 렌즈 본체(25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d)는 제1 섬유부(261d), 제2 섬유부(262d) 및 제3 섬유부(263d)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261d), 제2 섬유부(262d) 및 제3 섬유부(263d)는 후면(250b)보다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d)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d)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e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e)는 렌즈 본체(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e)는 렌즈 본체(250)의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e)는 제1 섬유부(261e), 제2 섬유부(262e) 및 제3 섬유부(263e)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261e), 제2 섬유부(262e) 및 제3 섬유부(263e)는 전면(250a)보다 후면(250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섬유부(261e)의 직경은 가장 크며, 중앙 광학부(210)에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섬유부(263de)의 직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f를 참조하면, 광학 섬유부(260f)는 렌즈 본체(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f)는 렌즈 본체(250)의 두께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섬유부(260f)는 제1 섬유부(261f), 제2 섬유부(262f) 및 제3 섬유부(263f)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전이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섬유부(261f)와 제2 섬유부(162f)는 전면(250a)과 후면(25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g는 도 6의 조절성 안내 렌즈(20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조절성 안내 렌즈(200)의 변형예는 광학 섬유부의 구조 및 배치에 있어 특징적으로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260g)는 외벽(261g)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g)는 제1 방향으로 테이퍼진 외벽(261g)을 구비할 수 있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260g)는 전면(250a)에 형성되는 단면은 크고, 후면(250b)으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들 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g)를 입사한 광 중 일부는 테이퍼진 외벽(261g)에 부딪칠 수 있다. 즉, 광학 섬유부(260g)에 통과하는 광 중 일부를 다시 외벽(261g)에 부딪혀서 광학 섬유부(260g)를 투과하는 광의 양을 줄 일수 있다. 광학 섬유부(260g)는 테이퍼진 외벽(261g)에 의해 광학 섬유부(260g)의 부피를 감소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입사된 빛을 재 반사하여 광을 정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성 안내 렌즈(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300)는 렌즈 본체(350), 지지부(370) 및 광학 섬유부(36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350)는 중앙 광학부(310), 전이부(320) 및 가장자리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광학 섬유부(360)의 형상 및 배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시 서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섬유부(360)는 복수개의 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섬유부(360)는 전이부(320)에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360)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밴드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개의 밴드를 가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히, 광학 섬유부(360)는 중앙 광학부(3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섬유밴드(361)와, 제1 섬유밴드(36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섬유밴드(362)와, 제2 섬유밴드(362)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3 섬유밴드(36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섬유밴드(361)와 제2 섬유밴드(362)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제2 섬유밴드(362)와 제3 섬유밴드(363)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각 섬유밴드들은 렌즈 본체(350)의 중심라인(CL)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어느 일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본체(350)의 어느 일면과 간극을 형성하면서 인접하게 배치되고나, 렌즈 본체(35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서술한 원 실시예의 기재를 원용하기로 한다.
조절성 안내 렌즈(300)는 섬유밴드들 사이의 간격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섬유 밴드들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외부에서 입사된 광으로 인해서 시야가 넓어질 수 있다.
도 10a는 자연 수정체(17)를 도시한 인간의 눈(10)의 단면도이고, 도10b는 도1의 조절성 안내 렌즈(100)가 삽입된 인간의 눈(10)의 단면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홍채(30)에 의해 분리된 전방 챔버(12)와 후방 챔버(14)를 갖는 인간의 눈(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후방 챔버(14) 내에는 눈의 자연 수정체(17)를 붙들고 있는 수정체낭(16)이 존재한다. 눈에 들어온 빛은 각막(18)을 통과하여 수정체(17)까지 진행하며, 각막(18)과 수정체(17)는 눈의 뒤쪽에 위치한 망막(20) 상(image)에 빛을 지향시키고 초점 조절하는 역할을 함께 한다. 망막(20)은 시신경(22)에 연결되며, 시신경(22)은 망막(20)에 의해 받아들여진 이미지를 해석을 위해 뇌로 전달한다.
자연 수정체(17)가 손상된 눈(10)에서는(예를 들어, 백내장에 의해 흐려짐), 자연 수정체(17)가 입사광을 망막으로 더 이상 적절히 초점 조절하거나 지향시킬 수 없고, 이미지가 흐려진다. 이러한 상황을 치료하기 위해 잘 알려진 외과적 기술은 손상된 수정체를 제거하고, 안내 렌즈 등의 인공 수정체로 교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외과 의사는 자연 수정체(17)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제한 뒤, 조절성 안내 렌즈(100)를 이식 할 수 있다. 이때, 중앙 광학부(110)는 황반부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렌즈 본체(150)가 이동하지 않도록 수정체낭 내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는 도1의 조절성 안내 렌즈(100)로 외부 광이 입사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절성 안내 렌즈(100)가 눈에 이식되어 망막에 이미지가 명확하게 생성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종래의 다초점 안내 렌즈는 중간거리나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볼 때, 섬광이나 헤일로(halos)와 같이 초점이 맞지 않는 빛이 발생하여 시력 장애를 유발하였다. 이는 광이 직진하는 특성과 관련된다. 먼 거리에서 입사되는 광은 대부분 망막(20)에 수직으로 입사하나, 근 거리에서 입사되는 광은 입사각이 다양하게 형성되어 망막(20)에 일부만 수직으로 입사된다. 즉, 중간거리나 근거리에 있는 물체를 볼 때에는 입사각이 다른 광들로 인해서 망막에는 복수의 상이 형성되어 시력 장애가 발생한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되는 광을 정렬하여 망막에 선명한 상을 형성할 수 있다.
D1은 원거리에서 광이 입사되는 것을 나타내며, D2와 D3는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되는 광을 나타낸다. D2는 광학 섬유부(160)를 통과하는 것을 나타내벼, D3은 입사되는 각이 커서 광학 섬유부(160)의 측벽에 반사되는 것을 나타낸다.
D1과 같이 멀리서 입사되는 광은 각막(18), 중앙 광학부(110) 또는 광학 섬유부(160)에 수직으로 들어와서 통과한다. 즉, 멀리서 들어오는 광은 대부분 조절성 안내 렌즈(100)를 통과할 수 있다.
D2와 같이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각이 작은 광이 입사되면, 즉 조절성 안내 렌즈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입사되면 광은 광학 섬유부(160)를 통과할 수 있다. 입사각이 작은 광은 중앙 광학부(110) 및 광학 섬유부(160)를 모두 통과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D3와 같이 근거리나 중간거리에서 입사각이 큰 광이 입사되면, 광은 광학 섬유부(160)에 반사될 수 있다. 즉,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근거리에서 입사각이 큰 경우, 중앙 광학부(110)를 향하는 빛은 통과하나, 광학 섬유부(160)를 향하는 빛은 굴절률이 중앙 광학부(110)와 달라 반사한다.
특히, 빛은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광학 섬유부(160)의 굴절률은 전이부(120)와 상이하므로, 입사각이 큰 빛은 전이부(120)를 통과하고,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서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서 반사된다.
또,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 광흡수 도료 등을 도포할 수 있다. 입사각이 큰 빛은 전이부(120)를 통과하거나, 광학 섬유부(160)의 측면에서 도료를 통해 흡수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입사하는 빛 중 일부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바 광학 섬유부(160)에서 광을 정렬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광학 섬유부(160)는 핀홀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여 망막에 상이 선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중앙 광학부(110)에 입사되는 광은 투과하나, 광학 섬유부(160)에 입사되는 광은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이미지를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100)는 광학 섬유부(160)가 빛을 정렬하고, 빛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 하여 초점 심도를 향상할 수 있다.
조절성 안내 렌즈(200, 300)는 중앙 광학부(210, 310)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망막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200, 300: 조절성 안내 렌즈
110, 210, 310: 중앙 광학부
120, 220, 320: 전이부
130, 230, 330: 가장자리부
150, 250, 350: 렌즈 본체
160, 260, 360: 광학 섬유부
170, 270, 670: 지지부

Claims (17)

  1.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중앙 광학부를 구비한 렌즈 본체;
    상기 렌즈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 광학부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앙 광학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광학 섬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광학부를 향하는 외부 광은 상기 중앙 광학부를 통과하고, 상기 광학 섬유부를 향하는 상기 외부 광 중 일부는 상기 광학 섬유부를 통과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의 굴절률은 상기 중앙 광학부의 굴절률과 다른, 조절성 안내 렌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광학 섬유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이 소정의 각을 형성하게 배치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본체는,
    상기 중앙 광학부를 둘러싸며, 상기 광학 섬유부가 배치되는 전이부; 및
    상기 전이부를 둘러싸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가 연결되는 가장자리부;를 구비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두께는 상기 중앙 광학부에서 상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얇아지는, 조절성 안내 렌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중앙 광학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섬유부; 및
    상기 제1 섬유부에 반경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섬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섬유부는 복수개의 제1 섬유가 상기 중앙 광학부를 일주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섬유부는 복수개의 제2 섬유가 상기 제1 섬유부를 일주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섬유는 상기 제1 섬유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의 크기는 상기 제2 섬유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의 크기보다 작은, 조절성 안내 렌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중앙 광학부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광학 섬유부의 직경은 반경방향으로 감소하는, 조절성 안내 렌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전면에서 상기 후면으로 연장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전면 또는 후면에 삽입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렌즈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광학 섬유부의 일단과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전면 사이의 제1 거리가 상기 광학 섬유부의 타단과 상기 렌즈 본체의 상기 후면 사이의 제2 거리보다 길거나 짧게 배치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외벽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는,
    유리 섬유 또는 광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선택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로 입사되는 외부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학 섬유부의 내벽에서 전반사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를 통과하는 상기 외부 광은 상기 중앙 광학부의 중심축을 향하여 정렬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섬유부의 외벽에는 광흡수 도료가 도포되는, 조절성 안내 렌즈.
KR1020160101224A 2015-08-13 2016-08-09 조절성 안내 렌즈 KR10181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513271A JP6648263B2 (ja) 2015-08-13 2016-08-09 調節性眼内レンズ
US15/751,898 US10368978B2 (en) 2015-08-13 2016-08-09 Adjustable intraocular lens
PCT/KR2016/008747 WO2017026771A1 (ko) 2015-08-13 2016-08-09 조절성 안내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4569 2015-08-13
KR1020150114569 2015-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246A KR20170020246A (ko) 2017-02-22
KR101816887B1 true KR101816887B1 (ko) 2018-01-09

Family

ID=5831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224A KR101816887B1 (ko) 2015-08-13 2016-08-09 조절성 안내 렌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68978B2 (ko)
EP (1) EP3335678B1 (ko)
JP (1) JP6648263B2 (ko)
KR (1) KR101816887B1 (ko)
CN (1) CN1079209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3851A (ja) 2014-08-07 2017-08-24 シャークレット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流れ制御および生体接着性制御のためのパターン
WO2018182380A1 (ko) * 2017-03-31 2018-10-04 현동원 카메라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E102017112087A1 (de) 2017-06-01 2018-12-06 Carl Zeiss Meditec Ag Künstliche Augenlinse mit lasererzeugter doppelbrechender Struktur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ünstlichen Augenlinse
DE102017112085A1 (de) * 2017-06-01 2018-12-06 Carl Zeiss Meditec Ag Künstliche Augenlinse mit darin ausgebildetem Medikamentendepo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ünstlichen Augenlinse
USD1006087S1 (en) * 2021-09-10 2023-11-28 Aperture In Motion, LLC Contact lens
USD1019728S1 (en) * 2021-09-10 2024-03-26 Aperture In Motion, LLC Contact lens
USD1006086S1 (en) * 2021-09-10 2023-11-28 Aperture In Motion, LLC Contact lens
KR102636556B1 (ko) * 2022-03-28 2024-02-15 (주)딥포커스 조절성 안내 렌즈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8462A (en) * 1987-08-24 1988-10-18 Grendahl Dennis T Multiple element zone of focus artificial lens
DE69435264D1 (de) 1993-08-27 2010-02-25 Nice Trust St Martin Akommodationsfähige Intraokularlinse
WO2000052516A2 (en) 1999-03-01 2000-09-08 Boston Innovative Op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depth of focus of the human eye
US6935743B2 (en) * 2002-02-06 2005-08-30 John H. Shadduck Adaptive optic lens and method of making
US7341345B2 (en) * 2004-07-19 2008-03-11 Massachusetts Eye & Ear Infirmary Ocular wavefront-correction profiling
US9427313B2 (en) 2004-09-17 2016-08-30 Gene Currie Intraocular lens (IOL)
US20080027537A1 (en) * 2006-07-26 2008-01-31 Calhoun Vision, Inc. Method for improved retinal safety using the light adjustable lens (LAL)
US8619362B2 (en) * 2006-08-01 2013-12-31 Valdemar Portney Multifocal diffractive ophthalmic lens with multifocal base surface
US20080077238A1 (en) 2006-09-21 2008-03-27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es for managing glare, adhesion, and cell migration
JP4943824B2 (ja) 2006-11-17 2012-05-30 ユニタック株式会社 貫通孔の形成方法
US20090088840A1 (en) 2007-10-02 2009-04-02 Simpson Michael J Zonal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EP2271964A4 (en) 2008-03-18 2017-09-20 Mitsui Chemicals, Inc. Advanced electro-active optic device
CN102448404B (zh) 2009-08-13 2015-06-10 阿库福库斯公司 掩盖型眼内植入物和透镜
US9389433B2 (en) 2013-03-15 2016-07-12 Johnson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form ophthalmic devices incorporating photonic elements
WO2016145068A1 (en) * 2015-03-09 2016-09-15 Charles Deboer Intraocular lens with enhanced depth of focus and reduced aber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5678B1 (en) 2022-06-15
JP2018525179A (ja) 2018-09-06
JP6648263B2 (ja) 2020-02-14
US20180228601A1 (en) 2018-08-16
US10368978B2 (en) 2019-08-06
CN107920917B (zh) 2019-12-31
EP3335678A1 (en) 2018-06-20
EP3335678A4 (en) 2019-04-17
CN107920917A (zh) 2018-04-17
KR20170020246A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887B1 (ko) 조절성 안내 렌즈
CA2784782C (en) Limited echelette lens, systems and methods
TWI587016B (zh) 一種設計用於抑制或減少近視加深之一屈光透鏡之方法
RU2431167C2 (ru) Аподизированная дифракционная интраокулярная линза с областью нарушенной дифракции
EP2152202B1 (en) Iol peripheral surface designs to reduce negative dysphotopsia
KR20100021422A (ko) 네가티브 이상 광시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계된 주변부를 갖는 안구내 렌즈
CA2685367A1 (en) Iol peripheral surface designs to reduce negative dysphotopsia
KR102047157B1 (ko) 눈 내 또는 그 위에 착용되는 다초점 광학 렌즈
US20080269882A1 (en) Intraocular lens with asymmetric optics
CN104127263B (zh) 多焦点人工晶状体
WO2014054946A1 (en) Artificial asymmetrical pupil for extended depth of field
JP2010104772A (ja) 眼内レンズ
EP0578739B1 (en) Bifocal intraocular lens with spherical aberration correction
CA2888850C (en) Edge design for reducing photic effects in intraocular lenses
US20080269881A1 (en) Intraocular Lens with Asymmetric Haptics
JP7358619B2 (ja) 眼鏡レンズ
RU2544097C2 (ru) Интракорнеальная линза для коррекции пресбиопии
KR20230139690A (ko) 조절성 안내 렌즈
WO2017026771A1 (ko) 조절성 안내 렌즈
KR20210151875A (ko) 고선명도 및 연장된 피사계 심도 안구내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